KR102543386B1 - 고무롤러와 역회전 브러쉬를 이용하여 약품처리와 이물질을 제거하는 유리용기 부식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고무롤러와 역회전 브러쉬를 이용하여 약품처리와 이물질을 제거하는 유리용기 부식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3386B1
KR102543386B1 KR1020220095786A KR20220095786A KR102543386B1 KR 102543386 B1 KR102543386 B1 KR 102543386B1 KR 1020220095786 A KR1020220095786 A KR 1020220095786A KR 20220095786 A KR20220095786 A KR 20220095786A KR 102543386 B1 KR102543386 B1 KR 102543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container
case
shaft
chambe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5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현기
Original Assignee
구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현기 filed Critical 구현기
Priority to KR1020220095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33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5/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et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3/00Other 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C03C23/0075Cleaning of gla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고무롤러와 역회전 브러쉬를 이용하여 약품처리와 이물질을 제거하는 유리용기 부식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유리용기 부식처리 장치는 유리용기를 지지하면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동력장치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다수개의 고무 롤러; 상기 고무 롤러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고무롤러와 상기 고무 롤러의 일부가 불산을 포함하는 수용액 조성물에 잠기도록 수용액 조성물이 공급되는 베이선; 상기 베이선에 수용액 조성물을 공급하는 불산탱크; 상기 수용액 조성물 탱크의 수용액 조성물을 상기 베이선으로 순환시키는 펌프; 상기 베이선에 공급되는 수용액 조성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고무 롤러 각각은 유리용기의 표면에 밀착하도록 위상이 변화하는 복수의 단위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무롤러와 역회전 브러쉬를 이용하여 약품처리와 이물질을 제거하는 유리용기 부식처리 장치{CORROSION TREATMENT DEVICE FOR GLASS CONTAINERS THAT USES RUBBER ROLLER AND REVERSE-ROTATING BRUSH TO PROCESS CHEMICALS AND REMOVE FOREIGN SUBSTANCES}
본 발명은 고무롤러와 역회전 브러쉬를 이용하여 약품처리와 이물질을 제거하는 유리용기 부식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리표면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리에 에칭 스리작업을 하여 유리 표면이 거칠게 된 유리 표면을 불산을 포함하는 수용액 조성물로 처리하여 매끄럽게 함과 동시에 반투명하게 하여 기존의 에칭 및 스리된 제품의 단점인 손자국과 같은 기타 얼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리의 또 다른 미를 창출할 수 있는 유리표면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실시되고 있는 수용액 조성물처리방법으로는 첫째, 유리용기를 침전하는 방식, 둘째, 유리용기를 침전상태로 이송시키는 방식, 셋째로, 유리용기를 침전 후 가공할 부분에 스프레이를 분사시키는 방식이 있으나, 세 가지 모두 침전을 시키는 방식이 모두 같으며, 또 침전시키기 위하여 가공되지 않은 부분에 테이프를 붙이는 작업을 필수적으로 실시해야만하고, 가공 후 테이프를 떼어내는 공정이 추가적으로 발생될 수밖에 없으며, 침전을 완료한 유리용기를 세척 탱크로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수용액 조성물액이 유리 표면에 흘러내릴 때 추가로 발생되는 얼룩에 의한 불량률을 감수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때 대형 원판이 호이스트에 매달려 이송되기 때문에 수용액 조성물 구역을 밀폐시킬 수가 없어 대형 스크라바(scrubber)를 설치한다고 해도 불산의 냄새 등으로 인하여 작업 환경이 나쁠 수밖에 없으며, 테이프 부착 및 제거 작업을 해야 하는 것이 현실이다.
여기서, 스크라바는 기체를 액체에 접촉시켜, 기체 중 가용성 성분을 액상 중에 용해시키는 일련의 고정, 즉 가스 흡수를 목적으로 한 장치로써 이러한 장치를 스크라바 또는 가스 흡수탑이라 통칭하고 있다. 스크라바의 역할은 가스 흡수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실제로 스크라바는 가스 흡수 외에 증류, 증습, 및 먼지와 액적의 제거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불산 분위기를 제거하여 작업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스크라바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상당히 큰 규모의 스크라바가 적용되어야 하므로 비용이 상승되고, 스크라바를 설치하더라도 작업방식의 특성상 쾌적한 작업환경을 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무롤러와 역회전 브러쉬를 이용하여 약품처리와 이물질을 제거하는 유리용기 부식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리용기 부식처리 장치는 유리용기를 지지하면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동력장치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다수개의 고무 롤러; 상기 고무 롤러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고무롤러와 상기 고무 롤러의 일부가 불산을 포함하는 수용액 조성물에 잠기도록 수용액 조성물이 공급되는 베이선; 상기 베이선에 수용액 조성물을 공급하는 불산탱크; 상기 수용액 조성물 탱크의 수용액 조성물을 상기 베이선으로 순환시키는 펌프; 상기 베이선에 공급되는 수용액 조성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고무 롤러 각각은 유리용기의 표면에 밀착하도록 위상이 변화하는 복수의 단위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유리용기의 부식처리 장치는 고무 롤러가 유리용기의 표면에 따라서 위상이 변화하는 복수의 단위 롤러로 구성되어 보틀 형태의 유리용기의 부식방지처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유리용기의 부식처리 장치는 고무롤러가 수용액 조성물 용액이 담긴 베이선에 일정부분 담긴 상태에서 회전되어 유리에 접촉하도록 하여 약품 처리되기 때문에 공정이 아주 간단하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역회전 브러쉬가 설치되어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므로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경기술의 유리용기 부식처리 장치를 사용한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배경기술의 유리용기 부식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유리용기가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복수의 단위 롤러가 유리용기에 밀착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복수의 단위 롤러가 샤프트에 탄성지지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배경기술]
본 발명의 배경기술의 유리용기 부식처리 장치는 유리용기를 지지하면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동력장치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다수개의 고무 롤러와, 상기 고무 롤러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고무 롤러와 반대방향으로 유리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되어 유리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쉬와, 상기 고무 롤러의 일부가 수용액 조성물에 잠기도록 수용액 조성물이 공급되는 베이선과, 상기 베이선에 수용액 조성물을 공급하는 수용액 조성물탱크와, 상기 수용액 조성물탱크의 불수용액 조성물을 상기 베이선으로 순환시키는 펌프와, 상기 베이선에 공급되는 수용액 조성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히터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무롤러 사이에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고무롤러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다수개의 브러쉬가 더 설치된다.
또, 상기 베이선의 전방에서 유리용기를 가열하기 위하여 이송되는 유리용기의 상부에 설치된 히터가 설치된다.
더불어, 상기 고무롤러 사이에는 표면이 스펀지로 이루어진 스펀지 롤러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배경기술의 실시 예를 참조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의 유리용기 부식처리 장치는 수용액 조성물처리를 위한 부품들이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프레임(1)의 상부에 수용액 조성물 체임버(chamber)(10)가 설치되어 있다.
체임버(10)의 전면에는 투입구(13)가 형성되어 유리용기(100)가 투입되고, 그 후방에는 배출구(14)가 형성되어 수용액 조성물로 처리된 유리용기(100)가 배출되도록 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는 다수개의 가스배출구(10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임버(10)의 투입구(13) 전방으로부터 배출구(14)의 후방까지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고무롤러(40)가 배열되어 있고, 그 고무롤러(40)는 모터와 같은 구동장치에 연결되어 회전됨으로써 유리(100)를 체임버(10)의 전방으로부터 후방까지 일정한 속도로 이송시키도록 되어 있다.
체임버(10)의 투입구(13) 바로 후방에는 분진제거실(10b)이 형성되어 있는 바, 모두 고무롤러(40)가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그 대신에 일정간격을 두고 고무롤러(40)와 브러쉬(50)가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브러쉬(50)는 외면에 솔(50a)이 형성되어있고 브러쉬(50)는 고무롤러(40)와는 반대방향으로 유리용기(100)에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브러쉬(50)의 솔(50a)이 유리용기(100) 표면을 닦아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렇게 제거된 분진은 스크라바로 이동되어 처리된다.
상기 분진제거실(10b)의 후방에는 유리용기(100)를 일정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가열실(10c)이 형성되어 있는 바, 가열실(10c)의 상부에는 이송되는 유리용기(100)를 데우기 위한 히터(70)가 설치되어 유리용기(100)를 일정온도로 가열하게 된다.
상기 가열실(10c)의 후방에는 베이선(basin)(20)이 설치된 수용액 조성물 처리실(10d)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액 조성물 처리실(10d)에도 역시 고무롤러(40)와 역회전하는 브러쉬(50)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바, 그 고무롤러(40)와 브러쉬(50)의 하부에는 고무롤러(40)와 브러쉬(50)의 솔(50a)이 일정깊이까지 잠기도록 수용액 조성물 용액(20a)이 공급되는 베이선(2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무롤러(40)와 브러쉬(50)의 솔(50a)에 묻혀진 수용액 조성물액은 유리(100)에 전달되어 유리(100)에 묻게되는 동시에 솔(50a)에 의해 이물질 제거가 이루어진다.
베이선(20)의 하부에는 수용액 조성물 탱크(30)가 형성되어 있고, 이 수용액 조성물 탱크(30)는 수용액 조성물의 순환을 위하여 두개의 유로(11,12)를 통해 베이선(20)에 연결되어 펌프(31)에 의해 수용액 조성물이 순환되도록 되어 있으며 수용액 조성물 탱크(30)의 내부와 베이선(20)의 내부에는 히터(80)가 설치되어 수용액 조성물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체임버(10)의 배출구(14) 후방에는 세척실(10e)이 형성되어 있는 바, 세척실(10e)에는 상하부에 고압노즐(90)이 형성되어 고압의 유체인 중화수를 분사하여 유리용기(100)를 세척하게 되고 세척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유체를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인 스펀지로 외부가 둘러 싸여진 스펀지롤러(60)가 고무롤러 대신에 설치되어 있고 유리용기(100)를 상하방향에서 고정시키는 동시에 이송시킨다.
유리용기(100)의 이동을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면, 유리용기(100)는 테이프 작업을 할 필요 없이 체임버(10)의 투입구(13) 전방에 놓이며, 유리용기(100)는 고무롤러(40)에 의해 투입구(13)를 통해 체임버(10) 내부로 이송된다(S1).
체임버(10) 내부에 이송된 유리용기(100)는 분진제거실(10b)에서 고무롤러(40)에 의해 이송되는 동시에 브러쉬(50)에 의해 1차적으로 이물질이 제거되는 작업이 이뤄진다.
유리용기(100)는 분진제거실(10b)을 통과하여 가열실(10c)에 이르고 히터(70)에 의해 일정온도까지 가열된다(S2).
일정온도로 가열된 유리용기(100)는 고무롤러(40)를 따라 약품 처리되는 수용액 조성물 처리실(10d)에 이송되고 고무롤러(40)에 의해 이송되고 브러쉬(50)에 의해 2차적으로 이물질이 제거되는 동시에 고무롤러(40), 브러쉬(50)에 의해 수용액 조성물 용액(20a)이 유리(100) 표면에 공급되어 약품 처리된다. 여기서, 수용액 조성물은 하부의 수용액 조성물 탱크(30)로부터 펌프(31)에 의해 순환되며 히터(80)에 의해 일정온도로 유지되도록 조절된다. 또한 생성되는 가스는 가스 배출구(10a)를 통하여 배출되고 이 가스는 배출구에 연결되어 설치된 스크라바 의해 처리된다(S3).
이렇게 약품 처리된 유리용기(100)는 체임버(10)의 배출구(14)를 통하여 배출된 다음 스펀지롤러(60)가 설치된 세척실(10e)로 이송되고 이송되는 유리용기(100)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고압노즐(90)에서 분사되는 중화수에 의해 세척이 이루어지며, 그 세척성능은 스펀지롤러(60)의 스펀지에 의해 배가되어 세척이 빠른 시간에 이루어진다(S4,S5).
중화수 세척된 유리용기(100)는 세척 건조기로 투입되어 2차 세척후 건조된 다음 제품으로 출하된다.
[본 발명]
상술한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플레이트 형태의 유리의 일면만을 부식처리를 하는 것에 특화되어 있으며, 일반적인 보틀 형태의 유리용기(100)를 부식처리하는 것에 적합하지 않다. 보틀 형태의 유리용기(100)는 라운드가 형성되어 있으며 표면 전면을 회전시키며 부식처리를 해야하기 때문이다.
이하, 보틀 형태의 유리용기(100)를 부식처리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리용기의 부식처리 장치를 설명한다. 후술하는 내용 외에 본 발명의 유리용기의 부식처리 장치에는 상술한 배경기술의 유리용기의 부식처리 장치에 관한 기술적 특징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용기의 부식처리 장치는 유리용기(100)가 회전하며 체임버(10)를 이동하도록 레일 유닛(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레일 유닛(110)은 체임버(10)의 투입구(13)에서 배출구(14)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레일(111)과, 레일(111)에 배치되어 레일(111)을 따라 이동하며 유리용기(10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112; 일 예로, 모터 등)와, 액추에이터(112)의 샤프트의 말단에 배치되며 유리용기(100)가 장착되는 장착구(1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장착구(113)는 유리용기(100)의 내부에 장입되는 코르크 마개나 유리용기(100)의 병목을 조여 고정하는 클램핑 장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유리용기의 부식처리 장치에서는 유리용기(100)가 액추에이터(112)에 의해 회전하며 이동하기 때문에 유리용기(100)의 모든 면이 부식처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경우, 유리용기(100)의 회전방향은 고무롤러(40)와 스펀지롤러(6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며 브러쉬(5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서, 브러쉬(50)에 의한 이물질 제거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보틀 형태의 유리용기(100)는 굴곡을가져 고무롤러(40)와 모든 면이 완전하게 밀착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한편, 브러쉬(50)와 스펀지롤러(60)는 유리용기(100)와 접촉하는 부분이 강성이 낮아 휘어지는 특성에 의해 외경을 충분히 크게 설계하면 유리용기(100)의 모든 면과 접촉하여 이러한 문제점이 해결되는데, 고무롤러(40)의 경우 브러쉬(50)와 스펀지롤러(60)와 비교하여 유리용기(100)와 접촉하는 부분의 강성이 상대적으로 높아 해결방안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유리용기의 부식처리 장치에서는 고무롤러(40)가 유리용기(100)의 길이 방향(유리용기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며 수직 방향이 아닌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의 단위 롤러(41)와, 복수의 단위 롤러(41)의 회전축을 구성하는 샤프트(42)와 샤프트(42)를 회전시키는 모터(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단위 롤러(41) 각각은 중앙에 샤프트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유리용기(100)의 표면과 접촉하는 롤러 본체(41-1)와 롤러 본체(41-1)와, 중앙에 샤프트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샤프트(42)의 축 방향을 기준으로 롤러 본체(41-1)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1케이스(41-2)와, 중앙에 샤프트(42)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샤프트(42)의 축 방향을 기준으로 롤러 본체(41-1)의 타측에 장착되는 제2케이스(4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케이스(41-2)에는 제1케이스(41-2)의 내면과 샤프트(42)의 외면을 연결하며 샤프트(42)의 축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스프링(입체 나선 형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케이스(41-3)에는 제2케이스(41-3)의 내면과 샤프트(42)의 외면을 연결하며 샤프트(42)의 축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스프링(입체 나선 형태)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단위 롤러(41) 각각은 제1케이스(41-2)와 제2케이스(41-3)에 의해 샤프트(42)에 탄성 지지되어 회전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복수의 단위 롤러(41)는 유리용기(100)의 외곽면을 따라 상호 다른 수직 위상으로 배열되어 유리용기(100)의 외곽면과 밀착함으로써 부식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롤러 본체(41-1)에서 샤프트(42)가 관통하는 홀은 롤러 본체(41-1)의 위상 변화를 차단하지 않도록 충분히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샤프트의 직경보다 큰 직경).
나아가 본 발명의 유리용기 부식처리 장치의 변형례(미도시)에서는 제1케이스(41-2)와 제2케이스(41-3) 각각에 온도 조절 장치가 내장될 수 있고 제1케이스(41-2)와 제2케이스(41-3) 각각의 복수의 스프링은 이방향성 형상기억합금으로 마련되어 제1온도를 기준으로 제1온도 이상에서 팽창(스프링의 전체 길이는 케이스의 내면과 샤프트에 의해 고정되므로 스프링의 팽창 작용 시 상대적으로 탄성계수가 증가하는 효과를 나타냄)하고 제1온도 미만에서 수축(스프링의 전체 길이는 케이스의 내면과 샤프트에 의해 고정되므로 스프링의 수축 작용 시 상대적으로 탄성계수가 감소하는 효과를 나타냄)할 수 있다(그 역의 경우도 성립; 스프링이 제1온도 이상에서 수축하고 스프링이 제1온도 미만에서 팽창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 제어 유닛(미도시)을 이용하여 온도 조절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유리용기(100)의 강도가 충분히 높은 경우 제1케이스(41-2)와 제2케이스(41-3)의 온도를 제1온도 이상(역의 경우 제1온도 미만으로 설정)으로 설정하여 복수의 스프링의 탄성계수를 높여 유리용기(100)에 밀착시킴으로써 부식처리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유리용기(100)의 강도가 낮은 경우 제1케이스(41-2)와 제2케이스(41-3)의 온도를 제1온도 미만으로 설정(역의 경우 제1온도 이상으로 설정)하여 복수의 스프링의 탄성계수를 낮추어 부식처리 효과를 줄이더라도 복수의 단위 롤러(41)의 가압에 의해 유리용기(1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제어 유닛(미도시)은 다양한 방식으로 온조 조절 장치에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일 예로, 무선통신 방식이 적정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

  1. 투입구와 분진제거실과 가열실과 수용액 조성물 처리실과 배출구를 포함하는 수용액 조성물 체임버;
    상기 수용액 조성물 체임버에서 배출된 유리용기가 세척되는 세척실을 포함하고,
    유리용기는 레일 유닛에 의해, 상기 투입구와 상기 분진제거실과 상기 가열실과 상기 수용액 조성물 처리실과 상기 배출구를 순차적으로 거쳐 상기 세척실로 향하고,
    상기 레일 유닛은 체임버의 투입구에서 상기 체임버의 배출구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배치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유리용기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의 샤프트의 말단에 배치되며 유리용기의 병목을 조여 고정하는 장착구를 포함하고,
    상기 분진제거실에는 모터에 의해 유리용기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고무롤러가 복수로 마련되어 유리용기의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가열실에는 유리용기를 일정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히터가 배치되고,
    상기 수용액 조성물 처리실에는 모터에 의해 유리용기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고무롤러가 복수로 마련되어 유리용기의 아래에 배치되고, 고무롤러가 일정 깊이까지 잠기도록 불산을 포함하는 수용액 조성물 용액이 공급되는 베이선이 마련되고,
    상기 분진제거실과 상기 수용액 조성물 처리실의 고무롤러는 유리용기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의 단위 롤러와, 상기 복수의 단위 롤러의 회전축을 구성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 롤러 각각은 중앙에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유리용기의 표면과 접촉하는 롤러 본체와, 중앙에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의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롤러 본체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1케이스와, 중앙에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의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롤러 본체의 타측에 장착되는 제2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케이스에는 상기 제1케이스의 내면과 상기 샤프트의 외면을 연결하며 상기 샤프트의 축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스프링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케이스에는 상기 제2케이스의 내면과 상기 샤프트의 외면을 연결하며 상기 샤프트의 축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스프링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롤러 본체에서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는 홀의 직경은 상기 샤프트의 직경보다 크게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단위 롤러 각각은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에 의해 상기 샤프트에 탄성 지지되어 회전하고,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 각각에는 전자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되는 온도 조절 장치가 내장되고,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의 복수의 스프링은 이방향성 형상기억합금으로 마련되어 제1온도 이상에서 팽창하고 제1온도 미만에서 수축하고,
    상기 전자 제어 유닛은 상기 온도 조절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의 온도를 제1온도 이상으로 설정하거나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의 온도를 제1온도 미만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용기 부식처리 장치.
KR1020220095786A 2022-08-02 2022-08-02 고무롤러와 역회전 브러쉬를 이용하여 약품처리와 이물질을 제거하는 유리용기 부식처리 장치 KR102543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786A KR102543386B1 (ko) 2022-08-02 2022-08-02 고무롤러와 역회전 브러쉬를 이용하여 약품처리와 이물질을 제거하는 유리용기 부식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786A KR102543386B1 (ko) 2022-08-02 2022-08-02 고무롤러와 역회전 브러쉬를 이용하여 약품처리와 이물질을 제거하는 유리용기 부식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3386B1 true KR102543386B1 (ko) 2023-06-13

Family

ID=86762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5786A KR102543386B1 (ko) 2022-08-02 2022-08-02 고무롤러와 역회전 브러쉬를 이용하여 약품처리와 이물질을 제거하는 유리용기 부식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338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1204A (ko) * 2004-06-30 2006-01-06 박일흥 유리표면 처리장치
KR102382340B1 (ko) * 2020-12-29 2022-04-04 주식회사 디쏠 강화섬유 탄성 가압 방식 권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1204A (ko) * 2004-06-30 2006-01-06 박일흥 유리표면 처리장치
KR102382340B1 (ko) * 2020-12-29 2022-04-04 주식회사 디쏠 강화섬유 탄성 가압 방식 권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3771B1 (ko) 반도체웨이퍼의세정,에칭,건조장치및그사용방법
US5964952A (en) Method of cleaning surfaces with water and steam
US20110315162A1 (en) Post polish disk cleaning process
US20020066464A1 (en) Processing a workpiece using ozone and sonic energy
JP2007253258A (ja) ウェーハ研磨用プレートの洗浄方法および洗浄装置
CN109427627A (zh) 液处理装置和液处理方法
CN106876300A (zh) 基板处理装置及基板处理方法
CN111906102B (zh) 清洗腔室及清洗设备
KR102543386B1 (ko) 고무롤러와 역회전 브러쉬를 이용하여 약품처리와 이물질을 제거하는 유리용기 부식처리 장치
KR20090012703A (ko) 기판 세정 장치 및 방법
KR20100050397A (ko)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세정 방법
JP3341727B2 (ja) ウエット装置
KR20010024841A (ko) 압출 헤드의 클리닝 및 프라이밍 시스템 및 그 방법
JPH07108230A (ja) 転がり軸受の洗浄装置
KR100586582B1 (ko) 유리표면 처리장치
JP2001129499A (ja) 洗浄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CN108026658A (zh) 电沉积涂装系统及电沉积涂装方法
JPH01111338A (ja) 洗浄方法及び洗浄装置
JP2008140928A (ja) 洗浄装置
KR20070003216A (ko) 웨이퍼 세정장치
JPH11283951A (ja) 半導体ウエーハ等用洗浄装置
KR20060025836A (ko) 기판 세정 장치 및 기판 세정 방법
JP2002075944A (ja) 液中基板浸漬装置および液中基板浸漬処理方法
CN113118100B (zh) 一种晶圆清洗装置及清洗方法
CN111885846A (zh) 一种垂直传动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