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2765B1 - Mounting apparatus comprising a support apparatus with a reinforcing member - Google Patents

Mounting apparatus comprising a support apparatus with a reinforcing memb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2765B1
KR102542765B1 KR1020230005298A KR20230005298A KR102542765B1 KR 102542765 B1 KR102542765 B1 KR 102542765B1 KR 1020230005298 A KR1020230005298 A KR 1020230005298A KR 20230005298 A KR20230005298 A KR 20230005298A KR 102542765 B1 KR102542765 B1 KR 102542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reinforcing member
support
support portion
hol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52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창원
이성안
Original Assignee
렉스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렉스젠(주) filed Critical 렉스젠(주)
Priority to KR1020230005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76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7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고 도로 시설물이 설치되는 강관 및 상기 강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강관의 피로부위에 고정되어 상기 강관의 처짐을 방지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강관에 결합되기 위한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재가 상기 강관에 고정될 시, 상기 강관의 피로부위 하중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보강부재가 상기 강관에 고정될 시, 상기 강관의 내면에 접촉하며 상기 강관의 피로부위 하중을 분산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장치를 개시한다.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disclosed herein is a support installed vertically from the ground, a steel pipe connec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support and installed with road facilities, and inserted into the steel pipe to be fixed to a fatigue part of the steel pipe A first reinforcing member for preventing sagging of the steel pipe, wherein the reinforcing member supports a load of a fatigue portion of the steel pipe when a member to be coupled to the steel pipe is formed and the reinforcing member is fixed to the steel pipe. Disclosed is a holding device comprising a support part and a second support part extending from the first support part and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steel pipe when the reinforcing member is fixed to the steel pipe and distributing the load of the fatigue portion of the steel pipe. do.

Description

보강부재가 구비된 부착대를 포함하는 지주장치{Mounting apparatus comprising a support apparatus with a reinforcing member}Mounting apparatus comprising a support apparatus with a reinforcing member}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보강부재가 구비된 부착대를 포함하는 지주장치에 관한 것이다.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relate to a holding device including an attachment base equipped with a reinforcing member.

도로에 설치되는 시설물로는 가로등이나 신호등, 각종 표지판 및 교통정보 수집을 위한 카메라 등이 있다. 이러한 도로 시설물들은 교차로나 건널목의 도로변 또는 도로 중앙에 설치되는 지주장치에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Facilities installed on roads include streetlights, traffic lights, various signs, and cameras for collecting traffic information. These road facilities are generally provided in a holding device installed on the roadside or in the center of a road at an intersection or crossing.

지주장치는 보통 도로변 일측에 직립 설치되는 지주와 지주 상부로부터 도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외팔보 형태의 부착대(또는 "가로보"라고도 한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holding device usually includes a support pole installed upright on one side of the roadside and a cantilever-type attachment (also referred to as "crossbeam") installed in the direction of the road from the top of the support pole.

상기 부착대는 외팔보 형태이기 때문에 부착대의 자중에 의해 그 단부로 갈수록 아래로 처지게 된다. 게다가 신호등 또는 카메라 등이 부착되는 경우 그 무게가 더해지기 때문에 부착대가 더 많이 쳐질 수 있다.Since the attachment table is in the form of a cantilever beam, it droops downward toward the end thereof due to its own weight. In addition, when a traffic light or a camera is attached, the weight of the attachment may be increased.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의 부착대는 지주의 상단부에 연결된 와이어에 의해 지지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부착대가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의 와이어가 설치되어야 하는 경우 지주장치의 구조가 복잡하여 도시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으며, 부착대의 상부에 복수개의 와이어가 연결되어야 하므로 와이어의 간섭에 의해 부착대에 설치되는 도로 시설물들의 설치 시 어려움이 있었다.In order to prevent this, the conventional attachment was supported by a wir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However, when a plurality of wires must be installed to prevent the attachment stand from sagging downward, the structure of the holding device is complicated and there is a problem of spoiling the aesthetics of the city, and since a plurality of wires must be connected to the top of the attachment, interference of wires There was a difficulty in installing road facilities installed on the attachment base by .

그리고 복수개의 와이어가 부착대에 연결되는 경우에 와이어 또는 그 고정부의 피로도가 증가하여 와이어의 풀림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이에 따라 특정 와이어에 하중에 집중되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wires are connected to the attachment base, the fatigue of the wire or its fixing part increases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wire may be loosened, and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oad is concentrated on a specific wire.

덧붙여 지주장치에서 도로 폭이 넓어서 지주에서 연장되는 부착대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 와이어를 더 많이 설치할 필요가 있어 상술한 문제가 더 심각해지므로 부착대의 지지력 및 하중에 의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다른 구조 또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In addition, if the width of the road in the holding device is wide and the length of the attachment point extending from the post becomes long, more wires need to be installed, which makes the above-mentioned problem more serious, so other structures or methods for preventing the bearing capacity of the attachment point and deflection due to load The need for is emerging.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공보 제10-0838710호에 개시된 신호등 지지용 지주장치는, 지주와 부착대를 그 외부에서 연결하여 지지하는 와이어 대신 부착대 내부로 연결되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배치된 와이어로 부착대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holding device for supporting traffic lights disclosed in Patent Registration No. 10-0838710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attachment instead of a wire that connects and supports the support from the outside and is arranged so that it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It is proposed to reinforce the bearing capacity of the attachment base.

선행특허1(제10-0838710호)의 경우 지주장치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 및 설치가 어렵고, 다수의 부착대 지지와이어에 의한 처짐 방지의 효과도 그리 크지 않다. 즉, 선행특허1의 경우 지지와이어를 부착대 내부를 통해 연결해야하고 지주기둥에도 와이어 관통공을 뚫어야 하는 등 부착대의 제작 및 설치가 어렵다.In the case of Prior Patent 1 (No. 10-0838710), the structure of the holding device is complicated, making it difficult to manufacture and install, and the effect of preventing sagging due to the plurality of attachment support wires is not so great. That is, in the case of the prior patent 1,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and install the attachment base, such as having to connect the support wire through the inside of the attachment base and drilling a wire through hole in the support column.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1173593호에 개시된 관통리브를 포함하는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는, 부착대의 외부 또는 내부에 설치되는 와이어 대신 부착대의 후단에 지주를 관통하는 파이프가 형성되고, 파이프에 삽입되는 관통리브와 관통리브로부터 연장되어 부착대에서 도로 시설물들이 설치되는 파이프의 내부를 지지하는 보강부를 통해 부착대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holding device for installation of road facilities including through-ribs disclosed in Patent Registration No. 10-1173593, a pipe passing through the post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attachment instead of a wire installed outside or inside the attachment, and is inserted into the pipe. It is proposed to reinforce the bearing capacity of the attachment through a through rib and a reinforcing part extending from the through rib and supporting the inside of a pipe in which road facilities are installed on the attachment.

선행특허2(제10-1173593호)의 경우 보강부의 고정을 위해 지주를 관통하는 파이프의 지름을 보강부의 관통리브의 두께에 맞춰 제작해야 하므로 기존 부착대를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부가 지주에 일체로 형성된 지주장치에 적용하기 어려우며, 지주장치에서 도로 폭이 넓어서 지주에서 연장되는 부착대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 선행특허2의 보강부는 일단이 지주를 관통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부착대의 길이에 맞춰 길이가 길어지므로 부착대의 전체 하중이 증가하여 부착대의 지지력 및 하중에 의한 처짐을 방지하기 어렵다.In the case of Prior Patent 2 (No. 10-1173593), the diameter of the pipe penetrating the post must b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through rib of the reinforcement part to fix the reinforcement part, so the flange part for fixing the existing attachmen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post It is difficult to apply to the holding device, and in the case where the length of the attachment extending from the support is long due to the wide road in the holding device, the reinforcement part of the prior patent 2 is formed by one end penetrating the support, so the length is increas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attachment. Since the overall load of the stand increases, it is difficult to prevent the support of the attachment and deflection due to the load.

또한, 등록특허공보(제10-1216104호)에 개시된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는, 부착대의 내부로부터 하부에 걸쳐 부착대와 일체로 마련되고, 일단이 지주와 연결되어 부착대의 처짐을 방지하는 보강부를 제안하고 있다.In addition, the holding device for installing road facilities disclosed in Patent Registration Publication (No. 10-1216104) is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attachment base from the inside to the bottom of the attachment base,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ost to prevent sagging of the attachment base. are proposing

선행특허3(제10-1216104호)의 보강부는 와이어를 통해 부착대를 지지하는 구조를 응용하여 지주에서부터 연장되어 부착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부착대를 지지하므로, 부착대의 하부에 부착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용접면이 넓어지므로 그에 다른 설치 및 제작에 어려움이 있고, 선행특허2와 동일하게 부착대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 부착대의 길이에 맞춰 보강부의 길이가 길어지므로 부착대의 전체 하중이 증가하여 부착대의 지지력 및 하중에 의한 처짐을 방지하기 어렵다.The reinforcement part of Prior Patent 3 (No. 10-1216104) applies a structure that supports the attachment table through a wire, and extends from the post and is integrally formed at the bottom of the attachment rod to support the attachment base. Since the welding surface for fixing the reinforcing part extending in the direction is widened, it is difficult to install and manufacture it, and as in the prior patent 2, when the length of the attachment is increased, the length of the reinforcement is increas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attachment. As the overall load increases, it is difficult to prevent deflection due to the supporting capacity of the attachment and the load.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된 것으로써, 지주에 연결되는 부착대가 지주로부터 연결되는 와이어, 보강부재에 의해 지지되지 않더라도 충분한 지지력을 가져서 자체 하중이나 설치된 도로시설물의 무게에 의해 처지지 않는 구조를 가진 부착대 및 지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attachment unit connected to the support has sufficient bearing capacity even if it is not supported by the wire or reinforcing member connected from the support, so that it can be handled by its own load or the weight of installed road facilitie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ttachment base and a holding device having a non-supporting structure.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는, 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고 도로 시설물이 설치되는 강관 및 상기 강관의 피로부위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강관과 용접하여 고정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강관의 내면에 접촉하며 상기 강관의 피로부위 하중을 분산하는 제2 지지부로 구성되어 상기 강관의 처짐을 방지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장치를 제공한다.Various embodiments for solving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pport installed vertically from the ground, a steel pipe connec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support and installed with road facilities, and a steel pipe inserted into the fatigue part of the steel pipe and welded with the steel pipe To include a reinforcing member for preventing sagging of the steel pipe composed of a first support portion fixed by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support portion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steel pipe and distributing the load of the fatigue portion of the steel pipe It provides a holding device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강관과 상기 강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강관의 하중에 의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부착대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강관의 피로부위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강관과 용접하여 고정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강관의 내면에 접촉하며 상기 강관의 피로부위 하중을 분산하는 제2 지지부로 구성되어 상기 강관의 처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대를 제공한다.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installed vertically from the ground, a steel pipe connec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support, and a reinforcing member inserted into the steel pipe to prevent deflection due to a load of the steel pipe. In the attachment table, the reinforcing member includes a first support portion inserted into the fatigue portion of the steel pipe and welded and fixed to the steel pipe, and extending from the first support portion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steel pipe and fatigue of the steel pipe. It is composed of a second support for distributing the site load and provides an attachment, characterized in that to prevent sagging of the steel pipe.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부착대가 지주로부터 연장되거나 지주에 관통삽입되는 형태의 보강구조물에 의해 지지되지 않더라도 자체 하중이나 설치된 도로시설물의 무게에 의해 처지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가져서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attachment is not supported by a reinforcing structure extending from the post or inserted through the post, it has a structure that does not sag due to its own load or the weight of the installed road facility, so that it can be sufficiently supported. There are possible effects.

또한, 부착대의 내부에 삽입하여 부착대의 하중에 의한 피로부위를 집중적으로 보강할 수 있어 부착대의 처짐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by inserting it into the inside of the attachment table, it is possible to intensively reinforce the fatigued area caused by the load of the attachment table, thereby enhancing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attachment table from sagging.

또한, 지주장치에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하거나 지주장치의 구조를 변경함 없이 부착대에 보강부재를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어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다.In addition, since a reinforcing member can be inserted into the attachment and coupled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structure to the holding device or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holding device,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are easy.

또한, 독립적인 보강부재가 부착대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부착대의 길이에 종속적으로 보강부재의 크기, 형태, 길이가 변하지 않아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다.In addition, since the independent reinforcing member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attachment stand, the size, shape, and length of the reinforcing member do not change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attachment stand, making it easy to manufacture and install.

도 1은 일반적인 지주장치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보강부재가 강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부착대에서 보강부재의 결합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보강부재가 부착대에 결합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general holding device.
2 is a view showing a steel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reinforc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reinforc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reinforcing member of FIG. 4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a steel pipe.
7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position of reinforcing members in an attachment bas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s are coupled to an attachment bas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detailed descriptions that follow are provid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devices and/or systems described herein.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erminology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nly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in no way be limiting. Unless expressly used otherwise, singular forms of expression include plural forms. In this description, expressions such as "comprising" or "comprising" are intended to indicate any characteristic, number, step, operation, element, portion or combination thereof, one or more other than those described. It should not be construed to exclude the existence or possibility of any other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elem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a),(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Also,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도 1은 일반적인 지주장치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general holding device.

도 1을 참고하면, 일반적인 지주장치(10)는 도로에 직립 설치되는 지주(11)와 지주(11)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도로 시설물(15,17)들이 설치되는 강관(13)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general holding device 10 includes a support 11 installed upright on a road and a steel pipe 13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support 11 to which road facilities 15 and 17 are installed. .

지주(11)는 도로변 또는 도로의 중앙이나 일측에 직립하여 설치된다. 지주(10)의 하단부에는 나사가 통과되는 구멍(미도시)이 형성된 플랜지부(11a)가 형성되어 도로 일측 바닥에 마련된 고정용 플랜지부(11a)와 나사 결합이 되어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The holding 11 is installed upright on the side of the road or in the center or one side of the road. A flange portion 11a having a hole (not shown) through which a screw passes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post 10, and can be fixed to the ground by screwing with a fixing flange portion 11a provided on the floor on one side of the road.

덧붙여 지주의 길이 두께 등을 고려하여 플랜지부(11a)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플랜지부(11a)의 지주의 하단부 외면 사이에는 다수의 보강리브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flange portion 11a in consideration of the length and thickness of the support,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may be integrally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s of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of the flange portion 11a.

강관(13)은 지주(11)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부착대(12,13)는 일정 부위에 도로 시설물(15,17)들이 부착되는 강관(13)과 지주(11)와 강관(13)을 연결하는 연결부(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el pipe 13 may be connec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support 11. In more detail, the attachment bases 12 and 13 may include a steel pipe 13 to which road facilities 15 and 17 are attached to a certain portion and a connection portion 12 connecting the post 11 and the steel pipe 13. .

연결부(12)는 상술한 지주(11)와 도로 지면과의 고정을 위해 형성되는 플랜지부, 다수의 보강리브 등과 유사한 구조로 형성되어 강관(13)과 지주(11)를 연결할 수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12 is formed in a structure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flange portion formed for fixing the post 11 and the road surface,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etc., and can connect the steel pipe 13 and the post 11.

도로 시설물들은 부착대의 하부에 연결되는 신호등(15), 부착대의 상부에 연결되는 카메라(17) 등을 포함할 수 있다.Road facilities may include a traffic light 15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mounting table, a camera 17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mounting table, and the like.

종래의 지주장치(10)의 경우 강관(13)에 도로 시설물(15,17)들이 부착되거나 지주장치(10)의 설치장소, 도로의 폭 등을 고려하여 강관(13)의 길이가 늘어나는 경우 자중에 의한 강관(13)의 처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처짐 현상은 일반적으로 부착대의 피로도가 가장 높은 지점(13a)에서 발생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holding device 10, when the road facilities 15 and 17 are attached to the steel pipe 13 or the length of the steel pipe 13 is increased in consideration of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holding device 10, the width of the road, etc. The sagging of the steel pipe 13 may occur due to this, and the sagging may generally occur at the point 13a where the fatigue of the attachment is highest.

피로도가 가장 높은 지점인 피로부위(13a)는 강관(13)의 길이, 도로 시설물(15,17)들의 설치 위치, 무게 등에 종속적으로 변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강관(13)에서 도로 시설물(15,17)와 연결부(12)의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다.The fatigue part (13a), which is the point with the highest degree of fatigue, may change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steel pipe (13),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road facilities (15 and 17), and the weight, but in general, the road facilities (15 and 17) in the steel pipe (13) ) and the connecting portion 12 may occur.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지주장치의 강관(13)에서 발생할 수 있는 처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는 보강부재가 구비된 부착대를 포함하는 지주장치를 개시하는바,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prevent sagging that may occur in the steel pipe 13 of the conventional holding device, the present embodiment discloses a holding device including an attachment base equipped with a reinforcing member,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elow.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강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강관의 일측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c는 강관의 타측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steel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steel pipe, Figure 2b is a view showing one side of the steel pipe, Figure 2c is a view showing the other side of the steel pipe.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강관(110)은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중공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steel pipe 110 of this embodiment may be formed in a hollow shape forming an empty space therein.

본 실시예의 강관(110)은 원통형, 4각 또는 8각의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강관(110)은 부착대의 형태에 따라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며 원통형, 4각 또는 8각의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steel pipe 110 of this embodiment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quare or octagonal pipe shape. Therefore, the steel pipe 110 forms an empty space insid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attachment and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quadrangular or octagonal pipe shape.

본 실시예의 강관(110)에는 삽입부(111)와 고정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An insertion part 111 and a fixing part 113 may be formed in the steel pipe 110 of this embodiment.

삽입부(111)는 강관(110)의 내부 빈 공간을 연통하며 보강부재(130,230)가 삽입되는 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The insertion part 111 communicates with the inner empty space of the steel pipe 110 and may form an inlet into which the reinforcing members 130 and 230 are inserted.

삽입부(111)는 강관(110)의 일측에서 강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insertion portion 111 may be formed by cutt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pipe 110 at one side of the steel pipe 110 .

고정부(113)는 강관(110)의 타측에서 강관(110)의 내부 빈 공간을 연통하며 보강부재(130,230)를 고정시키기 위한 절개부(113a, 113b, 113c)의 형태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part 113 communicates with the inner empty space of the steel pipe 110 at the other side of the steel pipe 110 and is formed at least one in the form of cutouts 113a, 113b, and 113c for fixing the reinforcing members 130 and 230. can

삽입부(111)와 고정부(113)는 강관(110)에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insertion part 111 and the fixing part 113 are preferably formed at positions symmetrical to each other in the steel pipe 110.

왜냐하면 후술할 도 3,4의 보강부재(130,230)의 무게를 감소시켜 부착대(100)의 전체적인 하중을 감소시키기 위해 보강부재(130,23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판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삽입부(111)와 고정부(113)가 강관(110)에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보강부재(130,230)가 삽입부(111)를 통해 강관(110)의 내부 빈 공간으로 삽입되면서 보강부재(130,230)에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부재들이 고정부(113)에 용이하게 끼움 결합될 수 있기 때문이다.Because, in order to reduce the weight of the reinforcing members 130 and 230 of FIGS. 3 and 4 to be described later to reduce the overall load of the mounting base 100, the reinforcing members 130 and 23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nserted Since the part 111 and the fixing part 113 are formed at positions symmetrical to each other in the steel pipe 110, the reinforcing members 130 and 230 are inserted into the empty space inside the steel pipe 110 through the insertion part 111, and the reinforcing member This is because the plurality of coupling members formed at (130, 230) can be easily fitted into the fixing part (113).

삽입부(111)와 고정부(113)는 강관(110)의 길이, 강관(110)의 무게, 강관(110)에 설치되는 도로 시설물들의 무게 등을 고려하여 강관(110)의 외주면 중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insertion part 111 and the fixing part 113 face each other am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steel pipe 110 in consideration of the length of the steel pipe 110, the weight of the steel pipe 110, and the weight of road facilities installed on the steel pipe 110. It can be formed in each position to be.

삽입부(111)와 고정부(113)는 보강부재(130,230)의 형상, 두께, 길이 등을 고려하여 강관(110)에서 절개되는 길이 또는 너비 등이 결정될 수 있다.The length or width of the insertion part 111 and the fixing part 113 cut from the steel pipe 110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thickness, length, and the like of the reinforcing members 130 and 230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reinforc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 reinforc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3 및 도 4를 설명하되, 도 4의 보강부재(230)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도 3의 보강부재(130)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FIGS. 3 and 4 will be described, but the reinforcing member 230 of FIG. 4 will be described as a standard, and a description of a configuration overlapping with the reinforcing member 130 of FIG. 3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의 보강부재(230)는 제1 지지부(2330)와 제2 지지부(23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2330)와 제2 지지부(2310)는 일체로 형성되어 보강부재(230)를 형성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member 230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art 2330 and a second support part 2310 . The first support part 233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2310 may be integrally formed to form the reinforcing member 230 .

제1 지지부(2330)는 강관(110)에 결합되기 위한 부재(2331,2332)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보강부재(230)가 강관(110)에 고정될 시, 강관(110)의 피로부위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part 2330 may include members 2331 and 2332 to be coupled to the steel pipe 110, and when the reinforcing member 230 is fixed to the steel pipe 110, the fatigue portion of the steel pipe 110 is loaded. can support

제2 지지부(2310)는 제1 지지부(2330)로부터 연장되어 보강부재(230)가 강관(110)에 고정될 시, 강관(110)의 내면에 접촉함으로써 강관(110)의 피로부위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part 2310 extends from the first support part 2330 and when the reinforcing member 230 is fixed to the steel pipe 110, it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steel pipe 110 to distribute the load of the fatigue area of the steel pipe 110. can make it

상술한 구조에 있어서, 보강부재(130,230)의 제2 지지부(1310,2310)는 강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자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제2 지지부(1310,2310)의 상면과 강관(110)의 내면의 접촉면적을 늘려 강관(110)의 피로부위에 가해지는 하중의 분산 효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In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support portions 1310 and 2310 of the reinforcing members 130 and 230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pipe 110 . This is because,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arts 1310 and 23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teel pipe 110, the dispersion efficiency of the load applied to the fatigue part of the steel pipe 110 can be increased.

즉, 제2 지지부(1310,2310)의 상면과 강관(110) 내면과의 접촉 면적을 늘려 강관(110)의 휘어짐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bending of the steel pipe 110 can be more effectively prevented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arts 1310 and 23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teel pipe 110 .

한편, 제2 지지부(1310,2310)는 강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자로 형성되며 그 길이는 강관(110)의 피로부위를 포함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support portions 1310 and 2310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pipe 110, and their length may be determined within a range that may include a fatigue region of the steel pipe 110.

상술한 구조에 있어서, 제1 지지부(1330,2330)은 강관(110)의 피로부위에 대응하는 영역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수 있으며, 제2 지지부(1310,2310)는 강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강관(110)의 피로부위에 대응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전후 소정의 여유를 갖도록 일자로 형성됨으로써, 제1 지지부(1330,2330)에 집중되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다.In the above structure, the first support parts 1330 and 2330 can support the load applied to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atigue part of the steel pipe 110, and the second support parts 1310 and 2310 can support the length of the steel pipe 110 By being formed in a straight line to have a predetermined margin in front and behind based on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fatigue part of the steel pipe 110 along the direction, the load concentrated on the first support parts 1330 and 2330 can be effectively distributed.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지지부(2310)는 지지면(2311)과 경사면(231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지지면(2311)은 보강부재(230)가 강관(110)에 삽입되어 고정될 시, 강관(110)의 내면 중 일부와 접촉하여 강관(110)의 피로부위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econd support part 2310 may include a support surface 2311 and an inclined surface 2313, and the support surface 2311 is a steel pipe when the reinforcing member 230 is inserted into the steel pipe 110 and fixed. It is possible to disperse the load applied to the fatigue part of the steel pipe 110 by contacting a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110).

이하 지지면(2311)이 형성되는 부분은 보강부재(230)의 상부로 정의될 수 있으며, 경사면(2313)이 형성되는 부분은 보강부재(230)의 하부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지지면(2311)은 보강부재(230)가 강관(110)에 삽입되어 고정될 시 강관(110)의 내면 중 상측에 접촉하며 강관(110)의 하중방향 처짐을 지지할 수 있다.Hereinafter, a portion where the support surface 2311 is formed may be defined as an upp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member 230, and a portion where the inclined surface 2313 is formed may be defined as a low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member 230. That is, when the reinforcing member 230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steel pipe 110, the support surface 2311 contacts the upper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teel pipe 110 and can support deflection of the steel pipe 110 in the load direction.

제2 지지부(2310)는 보강부재(230)가 삽입부(111)를 통해 강관(110)의 내부 빈 공간으로 용이하게 삽입되기 위해, 보강부재(230)의 단부로부터 제1 지지부(2330)와 가까워질수록 그 단면의 크기가 커지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part 2310 connects the first support part 2330 and the first support part 2330 from the end of the reinforcing member 230 so that the reinforcing member 230 is easily inserted into the empty space inside the steel pipe 110 through the insertion part 111. It may be provided in a shape in which the size of its cross section increases as it approaches.

보다 구체적으로 경사면(2313)은 지지면(2311)의 단부로부터 소정의 경사를 형성하며 보강부재(230)의 하부로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 지지부(2310)는 제1 지지부(2330)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보강부재(230)의 자중을 줄일 수 있으므로, 강관(110)의 피로부위 처짐방지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inclined surface 2313 may be provided in a form extending to a low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member 230 while forming a predetermined slope from an end of the support surface 2311 . That is, since the width of the second support part 2310 decreases as it moves away from the first support part 2330, the self-weight of the reinforcing member 230 can be reduced, so that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sagging of the fatigue area of the steel pipe 110 can be further improved. can be raised

제1 지지부(2330)는 보강부재(230)가 강관(110)에 삽입되어 고정될 시, 삽입부(111) 또는 고정부(113)에 끼움 고정됨으로써, 강관(11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When the reinforcing member 230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steel pipe 110, the first support part 2330 is fitted and fixed to the insertion part 111 or the fixing part 113, thereby supporting the load applied to the steel pipe 110 can do.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부(2330)는 보강부재(230)가 강관(110)에 삽입되어 고정될 시, 삽입부(111)에 끼움 결합되는 제1 결합부재(2331)와 고정부(113)에 끼움 결합되는 제2 결합부재(2332)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reinforcing member 230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steel pipe 110, the first support part 2330 is fitted to the insertion part 111, the first coupling member 2331 and the fixing part 113 It may include a second coupling member 2332 fitted to.

제1 결합부재(2331)는 보강부재(230)의 상면 중 일부를 형성하며, 제1 결합부재(2331)와 지지면(2311)은 소정의 단차(S)를 형성하며 보강부재(23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member 2331 forms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member 230, and the first coupling member 2331 and the support surface 2311 form a predetermined step (S), and the top surface can be formed.

단차(S)는 강관(110)의 두께에 대응하는 길이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보강부재(230)가 강관(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시, 단차(S)에 의해 지지면(2311)은 강관(110)의 내면과 접촉하며, 제1 결합부재(2331)는 삽입부(11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The step (S) may be formed with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steel pipe (110). In this structure, when the reinforcing member 230 is inserted into and fixed inside the steel pipe 110, the support surface 2311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teel pipe 110 by the step S, and the first coupling member ( 2331) may be fitted into the insertion part 111.

제2 결합부재(2332)는 고정부(113)에 끼움 결합되도록, 고정부(113)의 위치 및 개수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second coupling member 2332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and number of the fixing part 113 so as to be fitted and coupled to the fixing part 113 .

상기 제2 결합부재(2332)는 제1 지지부(2330)에서 돌출된 쐐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113)는 상기 제2 결합부재(2332)의 형상(돌출된 쐐기 형태)에 대응하는 구멍 형태로 구비되거나, 고정부(113)가 삽입부(111)와 같은 형태로 구성된다면 제1 결합부재(2331)와 같이 일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second coupling member 2332 may be formed in a wedge shape protruding from the first support part 2330 . And the fixing part 113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hole corresponding to the shape (protruding wedge shape) of the second coupling member 2332, or if the fixing part 113 is configured in the same shape as the insertion part 111, 1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like the coupling member 2331.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결합부재(2332)가 돌출된 쐐기 형태로 형성되고, 고정부(113)가 제2 결합부재(2332)의 형상에 대응하는 구멍 형태로 구비됨에 따라 제2 결합부재(2332)가 강관(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제2 결합부재(2332)가 고정부(113)에 끼움 결합되어 고정된 경우, 제2 결합부재(2332)는 고정부(113)를 통해 강관(110)의 외면에 노출되어 용접부위를 형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coupling member 2332 is formed in a protruding wedge shape, and the fixing part 113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hol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econd coupling member 2332, so that the second coupling member 2332 ) is inserted into the steel pipe 110 and the second coupling member 2332 is fitted and fixed to the fixing part 113, the second coupling member 2332 passes through the fixing part 113 to the steel pipe 110. ) to form a welded part.

따라서, 보강부재(230)는 제2 결합부재(2332)와 고정부(113)를 통해 용접부위를 형성함으로써, 용접 부위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보강부재(230)를 강관(110)에 결합할 시 강관(110)의 열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refore, the reinforcing member 230 can minimize the welding area by forming a welded area through the second coupling member 2332 and the fixing part 113, and when the reinforcing member 230 is coupled to the steel pipe 110 Thermal deformation of the steel pipe 110 can be minimized.

다만, 제2 결합부재(2332)는 강관(110)의 길이 또는 강관(110)에 가해지는 하중 등을 고려하여 도 3의 보강부재(130)와 같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3의 보강부재(130)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 보강부재(130)가 강관(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시, 보강부재(130)의 하부면은 강관(110)의 내면과 접촉할 수 있다.However, the second coupling member 2332 may not be formed like the reinforcing member 130 of FIG. 3 in consideration of the length of the steel pipe 110 or the load applied to the steel pipe 110. In the same structure as the reinforcing member 130 of FIG. 3, when the reinforcing member 130 is inserted into the steel pipe 110 and fixed, the low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member 130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teel pipe 110. can do.

한편, 제1 지지부(2330)는 단부에 모따기로 가공하여 강관(110)의 내부로 보강부재(23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support portion 2330 may be formed to facilitate insertion of the reinforcing member 230 into the steel pipe 110 by processing an end thereof into a chamfer.

즉, 보강부재(230)의 일측에는 제2 지지부(2310)의 지지면(2311)과 경사면(2313)이 형성되어 보강부재(230)의 일측이 삽입부(111)를 통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보강부재(230)의 타측에는 모따기 가공면(2333)이 형성되어 삽입부(111)를 통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That is, the support surface 2311 and the inclined surface 2313 of the second support part 2310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230, so that one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230 can be easily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part 111. In addition, a chamfered processing surface 2333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230 so that it can be easily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part 111.

보강부재(23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플레이트(230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2300)는 강관(110)과의 용접을 통한 결합이 용이한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shape of the reinforcing member 230 may be formed by a plate 230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plate 230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that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steel pipe 110 through welding.

플레이트(2300)에는 복수개의 구멍(2300h)이 천공되어 보강부재(230)의 무게를 줄임으로써 강관(110)의 피로부위 처짐방지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A plurality of holes 2300h are drilled in the plate 2300 to reduce the weight of the reinforcing member 230,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sagging of the fatigue area of the steel pipe 110.

도 5 및 도 6은 도 4의 보강부재가 부착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5 and 6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reinforcing member of FIG. 4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an attachment base.

이하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4 to 6 will be described below.

본 실시예의 보강부재(230)는 강관(11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member 230 of this embodiment may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steel pipe 110.

보다 구체적으로, 보강부재(230)는 제2 지지부(2310) 측이 먼저 삽입부(111)에 삽입된 뒤 단차(S)를 통해 보강부재(230)가 삽입부(111)의 단부에 걸린 상태에서 제1 지지부(2330) 측이 삽입부(111)에 삽입되어 강관(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reinforcing member 230 i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upport part 2310 side is first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111 and then the reinforcing member 230 is caught on the end of the insertion part 111 through the step S. The side of the first support part 2330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111 and inserted into the steel pipe 110 to be fixed.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지지부(2310) 측이 삽입부(111)를 통해 강관(110)의 내부 공간으로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기 위해 경사면(231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지지부(2330) 측이 삽입부(111)를 통해 강관(110)의 내부 공간으로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기 위해 모따기 가공면(2333)이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n inclined surface 2313 may be formed so that the side of the second support part 2310 is more easily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teel pipe 110 through the insertion part 111, and the side of the first support part 2330 A chamfered surface 2333 may be formed to be more easily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teel pipe 110 through the insertion portion 111 .

그리고 보강부재(230)가 강관(110)의 내부에 삽입되면 결합부재(2331,2332)들은 각각 삽입부(111)와 고정부(113)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Also, when the reinforcing member 230 is inserted into the steel pipe 110, the coupling members 2331 and 2332 may be fit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111 and the fixing portion 113, respectively.

도 6은 보강부재(230)가 강관(110)의 내부에 고정된 경우의 강관(110)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steel pipe 110 when the reinforcing member 230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steel pipe 110.

도 6을 참고하면 보강부재(230)가 강관(110)의 내부 빈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될 시, 제1 결합부재(2331)는 삽입부(111)에 끼움 결합될 수 있고 제2 결합부재(2332)는 고정부(113)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when the reinforcing member 230 is inserted into the empty space inside the steel pipe 110 and fixed, the first coupling member 2331 can be fit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111 and the second coupling member ( 2332 may be fitted and coupled to the fixing part 113.

또한, 보강부재(230)를 보다 견고하게 강관(110)에 결합시키기 위해 보강부재(230)를 강관(110)에 용접하여 결합시킬 수 있으며, 상술한 삽입부(111)에 끼움 결합된 제1 결합부재(2331)는 제1 용접부위(W1)를 형성할 수 있고, 고정부(113)에 끼움 결합된 제2 결합부재(2332)는 제2 용접부위(W2)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more firmly couple the reinforcing member 230 to the steel pipe 110, the reinforcing member 230 may be welded and coupled to the steel pipe 110, and the first inserted portion 111 fitted into the above-described insertion portion 111 The coupling member 2331 may form a first welding region W1, and the second coupling member 2332 fitted to the fixing part 113 may form a second welding region W2.

상술한 구조에 있어서, 작업자는 보강부재(230)를 강관(110)의 내부에 삽입시켜 고정시킨 뒤, 강관(110)의 외부에 형성된 제1 용접부위(W1)와 제2 용접부위(W2)를 용접하여 보강부재(230)를 강관(11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In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the worker inserts and fixes the reinforcing member 230 into the steel pipe 110, and then the first welded portion W1 and the second welded portion W2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steel pipe 110 It is possible to more firmly fix the reinforcing member 230 to the steel pipe 110 by welding.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부착대에서 보강부재의 결합 위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도 7b는 도 7a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착대의 길이가 긴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7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position of a reinforcing member in an attachment tab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B is a view showing a case where the length of the attachment table is relatively longer than that of FIG. 7A.

이하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

본 실시예의 보강부재(230)는 그 크기와 형태가 일정한 상태에서, 부착대의 길이 또는 도로 시설물의 하중에 종속되어 위치가 가변되는 부착대의 피로부위에 결합되어 부착대의 자중에 의한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member 230 of this embodiment can prevent sagging due to its own weight by being coupled to the fatigue part of the mounting bracket whose position is variable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mounting bracket or the load of road facilities while the size and shape of the reinforcing member 230 is constant. there is.

일 예로, 도 7a와 같이 보강부재(230)는 지주(11) 또는 연결부(12)로부터 소정거리(d1) 이격된 위치에서 부착대(100,12)의 강관(100)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7A, the reinforcing member 230 is inserted into the steel pipe 100 of the attachment bases 100 and 12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11 or the connection part 1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1 and fixed. can

그리고 도 7b와 같이 부착대(200,12)의 강관(200)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경우에는 강관(200)에서, 강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되는 피로부위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도록 지주(11) 또는 연결부(12)로부터 소정 거리(d2) 이격된 위치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7B, when the length of the steel pipe 200 of the attachment bases 200 and 12 is relatively long, in the steel pipe 200,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tigue part that varies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teel pipe 200. It may be inserted and fix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11 or the connection part 1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2.

물론, 도 7b의 강관(200)은 상대적으로 도 7a의 강관(100)보다 더 길게 형성되므로, 상기 d1이 형성하는 길이는 d2가 형성하는 길이보다 더 짧게 형성될 수 있다.Of course, since the steel pipe 200 of FIG. 7b is formed relatively longer than the steel pipe 100 of FIG. 7a, the length formed by d1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formed by d2.

또한, 도 7b와 같이 강관(200)이 길게 형성되는 경우, 강관(200)의 하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해 강관(200)과 지주(11)를 연결하는 보강리브(19)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steel pipe 200 is formed long as shown in FIG. 7B, reinforcing ribs 19 connecting the steel pipe 200 and the post 11 may be further provided to more effectively distribute the load of the steel pipe 200. there is.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보강부재가 부착대에 결합된 예시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 지주장치가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부착대의 길이가 길게 형성될 필요가 있는 경우, 지주와 부착대를 연결하는 별도의 구조물 없이 복수개의 부착대 및 보강부재를 통해 부착대의 자중에 의한 처짐을 방지하는 구조를 나타낸다.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s are coupled to an attachment bas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shows a structure that prevents deflection due to the weight of the attachment through a plurality of attachments and reinforcing members without a separate structure connecting the support and the attachment.

이하 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8 below.

본 실시예의 보강부재(230a,230b)와 부착대의 강관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보강부재들은 각각의 강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s 230a and 230b and the steel pipe of the attachment may be provided. Each of the reinforcing members may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each of the steel pipes.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보강부재(230a)는 제1 강관(30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제2 보강부재(230b)는 제2 강관(302)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230a may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irst steel pipe 301, 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230b may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second steel pipe 302.

그리고 제1 강관(301)의 단부는 제2 강관(302)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1 강관(301)과 제2 강관(302)이 서로 겹쳐지면서 하나의 부착대를 형성할 수 있다.Also, an end of the first steel pipe 301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steel pipe 302 so that the first steel pipe 301 and the second steel pipe 302 overlap each other to form one attachment base.

제1 강관(301)과 제2 강관(302)이 겹쳐지는 영역(3100)에는 제1 보강부재(230a)의 일부가 구비되는 영역(310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region 3101 where a part of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230a is provided is formed in the region 3100 where the first steel pipe 301 and the second steel pipe 302 overlap.

왜냐하면 제1 강관(301)과 제2 강관(302)이 겹쳐지면서 부착대가 형성하는 경우, 상기 겹쳐지는 영역(3100)은 결합면을 통해 상대적으로 피로도가 누적될 수 있다.This is because when the first steel pipe 301 and the second steel pipe 302 overlap to form an attachment base, the overlapping area 3100 may accumulate fatigue through the coupling surface.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강관이 겹쳐지는 영역(3100)의 내에서 제1 보강부재(230a)에 의해 지지되는 영역(3101)을 형성함으로써 복수개의 강관으로 부착대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에 복수개의 강관이 결합되는 부위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Therefore, by forming the region 3101 supported by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230a in the region 3100 where the plurality of steel pipes overlap, when the length of the attachment base is increased with the plurality of steel pipes, the plurality of steel pipes The bonded area can be supported more firmly.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fined, and should be defined by not onl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those equivalent to these claims.

11: 지주 12: 연결부
13,110: 강관 15, 17: 도로 시설물
111: 삽입부
113: 고정부
130, 230 : 보강부재
11: holding 12: connection
13,110: steel pipe 15, 17: road facilities
111: insertion part
113: fixing part
130, 230: reinforcing member

Claims (16)

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주;
상기 지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고 도로 시설물이 설치되는 강관; 및
상기 강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강관의 처짐을 방지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강관은,
상기 강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상기 보강부재가 상기 강관의 내부로 삽입되는 입구를 형성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에 대향되는 위치에서 상기 강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독립적으로 절개되어 상기 보강부재를 결합되는 구멍을 형성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강관의 피로부위에 구비되고 상기 강관과 용접하여 고정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강관의 상부 내면에 접촉하여 상기 강관의 피로부위 하중을 분산시키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부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장치.
A post installed vertically from the ground;
A steel pipe connec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holding and to which road facilities are installed; and
Including; a reinforcing member provided inside the steel pipe to prevent sagging of the steel pipe,
The steel pipe,
an insertion part which is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pipe to form an inlet into which the reinforc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steel pipe;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independently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pipe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insertion portion to form a hole to which the reinforcing member is coupled,
The reinforcing member,
A first support provided on a fatigue part of the steel pipe and fixed by welding to the steel pipe;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contacting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steel pipe to distribute the load of the fatigue portion of the steel pipe;
The hol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portion is formed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upper length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강관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삽입부를 통해 상기 강관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ol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steel pipe through the insertion portion in a stat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relativ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pip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삽입부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2 지지부와 단차를 형성하는 제1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hol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e first coupling member fitted to the insertion portion and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portion to form a step difference with the second support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돌출된 쐐기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에 끼움 결합되는 제2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hold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second coupling member provided in the form of a protruding wedge and fitted to the fixing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hol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support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becomes smaller as the distance from the first support portion increas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단부에 모따기로 가공하여 상기 강관의 내부로 상기 보강부재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hol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upport portion is formed to facilitate insertion of the reinforcing member into the inside of the steel pipe by processing a chamfer at an end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보강부재의 자중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ol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upport port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to reduce the dead weight of the reinforcing member.
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강관과 상기 강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강관의 하중에 의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부착대에 있어서,
상기 강관은,
상기 강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상기 보강부재가 상기 강관의 내부로 삽입되는 입구를 형성하는 삽입부; 및
상기 강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독립적으로 절개되어 상기 보강부재를 결합되는 구멍을 형성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강관의 피로부위에 구비되고 상기 강관과 용접하여 고정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강관의 상부 내면에 접촉하여 상기 강관의 피로부위 하중을 분산시키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부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대.
In the attachment including a support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ground, a steel pipe connec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support, and a reinforcing member inserted into the steel pipe to prevent deflection due to a load of the steel pipe,
The steel pipe,
an insertion part which is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pipe to form an inlet into which the reinforc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steel pipe;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independently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pipe to form a hole to which the reinforcing member is coupled,
The reinforcing member,
A first support provided on a fatigue part of the steel pipe and fixed by welding to the steel pipe;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contacting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steel pipe to distribute the load of the fatigue portion of the steel pipe;
Wherein the insertion portion is form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upper length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강관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삽입부를 통해 상기 강관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대.
According to claim 8,
The attachment b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steel pipe through the insertion portion in a stat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relativ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pip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삽입부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2 지지부와 단차를 형성하는 제1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대.
According to claim 9,
The mounting table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support part includes a first coupling member that is fitted into the insertion part and forms a step with the second support par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돌출된 쐐기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에 끼움 결합되는 제2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대.
According to claim 10,
The attachment table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oupling member provided in the form of a protruding wedge and inserted into the fixing uni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대.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second support portion is formed such that a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first support portion increase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단부에 모따기로 가공하여 상기 강관의 내부로 상기 보강부재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대.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first support part is chamfered at an end thereof to facilitate insertion of the reinforcing member into the steel pip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보강부재의 자중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대.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first support port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to reduce the self-weight of the reinforcing member.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30005298A 2023-01-13 2023-01-13 Mounting apparatus comprising a support apparatus with a reinforcing member KR1025427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5298A KR102542765B1 (en) 2023-01-13 2023-01-13 Mounting apparatus comprising a support apparatus with a reinforcing mem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5298A KR102542765B1 (en) 2023-01-13 2023-01-13 Mounting apparatus comprising a support apparatus with a reinforcing memb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2765B1 true KR102542765B1 (en) 2023-06-14

Family

ID=86744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5298A KR102542765B1 (en) 2023-01-13 2023-01-13 Mounting apparatus comprising a support apparatus with a reinforcing memb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2765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050B1 (en) * 2010-09-08 2011-01-31 박인규 Traffic facility holding device
KR101106074B1 (en) * 2011-05-27 2012-01-18 김선미 Mount and support device for establishing traffic facility
KR101244261B1 (en) * 2012-09-24 2013-03-18 황민선 Beam unit and the road traffic facilities support unit with it
KR101919939B1 (en) * 2018-02-22 2019-02-08 동방가로시설(주) Streetlight with improved assembly and stiffness
KR102009620B1 (en) * 2019-02-07 2019-10-23 허진숙 An antideflection structure for a horizontal arm of a traffic lamp pole
KR102092859B1 (en) * 2019-10-24 2020-03-24 주식회사 성지산업 Steel pipe structure for road facilities with bending prevention structure
KR102328091B1 (en) * 2021-05-31 2021-11-18 주식회사 석광아이티에스 Smart traffic lights supporting appratus
KR102386274B1 (en) * 2020-12-06 2022-04-13 (주)아림 Structural safety has excellent traffic light supporting devic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050B1 (en) * 2010-09-08 2011-01-31 박인규 Traffic facility holding device
KR101106074B1 (en) * 2011-05-27 2012-01-18 김선미 Mount and support device for establishing traffic facility
KR101244261B1 (en) * 2012-09-24 2013-03-18 황민선 Beam unit and the road traffic facilities support unit with it
KR101919939B1 (en) * 2018-02-22 2019-02-08 동방가로시설(주) Streetlight with improved assembly and stiffness
KR102009620B1 (en) * 2019-02-07 2019-10-23 허진숙 An antideflection structure for a horizontal arm of a traffic lamp pole
KR102092859B1 (en) * 2019-10-24 2020-03-24 주식회사 성지산업 Steel pipe structure for road facilities with bending prevention structure
KR102386274B1 (en) * 2020-12-06 2022-04-13 (주)아림 Structural safety has excellent traffic light supporting device
KR102328091B1 (en) * 2021-05-31 2021-11-18 주식회사 석광아이티에스 Smart traffic lights supporting app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8679B2 (en) Connector for a modular safety rail
KR101173593B1 (en) Mounting apparatus comprising penetrating rib for establishing road facility
KR101244261B1 (en) Beam unit and the road traffic facilities support unit with it
KR102030510B1 (en) Cantilever-type bridg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106074B1 (en) Mount and support device for establishing traffic facility
JP2010156167A (en) Fence for road
KR102489913B1 (en) Vibration-reducing type girder with expanded structure walking space
KR101934541B1 (en) Multifunctional pole apparatus for establishing road facility
KR102542765B1 (en) Mounting apparatus comprising a support apparatus with a reinforcing member
KR20220162018A (en) Smart traffic lights supporting appratus having strength reinfforce section
CN101874141A (en) Column holder
KR20220162024A (en) Smart traffic lights supporting appratus
KR102167170B1 (en) Wireless multifunctional pole for road facility
KR101703493B1 (en) Mounting apparatus for supporting bar for streetlight
JP4682109B2 (en) Protective fence
US7093322B2 (en) Counter-balance weight for a modular safety rail
KR101544122B1 (en) Supporting equipment for establishing road facility
KR102305795B1 (en) Horizontal support for effectively supporting the vertical load, and installation structure thereof
KR101766266B1 (en) Connecting rod for wireless traffic light
KR101216104B1 (en) Mount and support device for establishing load facility
KR102156689B1 (en) Footbridge with truss structure
KR102504725B1 (en) Assembly type wireless traffic light pole
KR102423261B1 (en) Cantilever For Traffic Lights
KR102316330B1 (en) Truss mounting structure supporting unit plate
KR102513956B1 (en) Bracket structure for bridge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