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8091B1 - Smart traffic lights supporting appratus - Google Patents

Smart traffic lights supporting app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8091B1
KR102328091B1 KR1020210070353A KR20210070353A KR102328091B1 KR 102328091 B1 KR102328091 B1 KR 102328091B1 KR 1020210070353 A KR1020210070353 A KR 1020210070353A KR 20210070353 A KR20210070353 A KR 20210070353A KR 102328091 B1 KR102328091 B1 KR 102328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beam
plate
coupled
base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3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석재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석광아이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석광아이티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석광아이티에스
Priority to KR1020210070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091B1/en
Priority to KR1020210152544A priority patent/KR202201620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0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smart traffic light supporting device. The smart traffic light suppor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pport; a horizontal beam part connected to the support and having objects including a traffic light combined therewith; and a connection part for connecting the horizontal beam part to the support. The connection part includes: a base part combined with the support; and a connector part combined with the base part to support a first horizontal beam of the horizontal beam part. The base part includes: a base body having one end part penetrating a combination hole arranged on the support and having an end part of the first horizontal beam arranged therein; a base plate arranged in the base body to be combined with the connector part; a plurality of reinforcement flanges having one side part combined with the support and having the other side part combined with the base plate; and a base reinforcement member having one side part combined with the base body and having the other side part combined with a reinforcement flange selected among the reinforcement flanges. The connector part includes: a connector body having the inside penetrated by the end part of the first horizontal beam and arranged behind the base part; and a connector plate having one side part combined with the connector body and having the other side part combined with the base plate. Therefore, provided is a smart traffic light supporting device, wherein the center of gravity of a horizontal beam can be distributed to prevent the sagging phenomenon of the horizontal beam caused by a load.

Description

스마트 신호등 지주장치{SMART TRAFFIC LIGHTS SUPPORTING APPRATUS}Smart traffic light holding device {SMART TRAFFIC LIGHTS SUPPORTING APPRATUS}

본 발명은, 신호등 지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로보의 무게 중심을 분산시켜 하중에 의한 가로보의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스마트 신호등 지주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ffic light hold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traffic light holding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the crossbeam from sagging due to a load by dispers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rossbeam.

일반적으로, 지주대(또는 다목적폴)는 도로에 설치되는 지주형 시설물로, 이러한 지주대에는 가로등이나 신호등, 각종 표지판 및 교통정보 수집을 위해 카메라 등이 부착되는 아암이 가로방향으로 결합된다.In general, a post (or multi-purpose pole) is a post-type facility installed on a road, and an arm to which a camera, etc. is attached for collecting street lights, traffic lights, various signs, and traffic information is horizontally coupled to such a post.

즉, 상기 지주대는 도로변 상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주대의 상단에는 가로방향으로 가로대인 아암이 결합되며, 상기 아암의 하방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시설물들로서 가로등, 신호등, 각종 표지판, 교통정보 수집을 위한 카메라 등이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post is installed vertically on the roadside, and an arm that is a cross bar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pos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street light, a traffic light, various signs, and traffic information is collected as one or a plurality of facilities below the arm. A camera and the like for this may be combined.

이때, 상기 아암은 통상 지주대의 상단에서 직교된 상태로 플랜지 결합이 이루어지며, 이는 아암과 지주대가 일체로 형성될 경우 운반이 곤란하기 때문이고, 이에 상기 지주대와 상기 아암은 현장에서 조립하는 것이 일반적이다.At this time, the arm is usually flange-coupled in an orthogonal state at the upper end of the strut, because it is difficult to transport when the arm and the strut are integrally formed. It is common.

한편, 상기 지주대의 상단에 플랜지 결합되는 상기 아암의 처짐을 방지하거나 추락 전도 위험으로부터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종래에는 상기 지주대의 상단과 상기 아암 사이에 철선 와이어를 연결하거나, 또는 상호 연결되는 복수의 아암을 설치하여둔 상태에서, 상기 아암을 현수하는 형태로 붙잡아 매도록 하였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event the sagging of the arm flange-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trut or to secure safety from the risk of fall and fall, conventionally, a wire wire is connect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strut and the arm, or a plurality of interconnected In a state in which the arm was installed, the arm was held and tied in a suspended form.

그러나, 상기와 같이 아암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철선 와이어 또는 복수의 아암을 사용하는 방식은, 도시 미관을 크게 해치게 문제가 있고, 다수의 철선 와이어 또는 복수의 아암을 설치하는 과정은 번거로운 공수가 다수 요구되어 작업성 저하를 야기함은 물론, 시공상의 불편함이 계속될 수 밖에 없었다.However, the method of using the wire wire or the plurality of arms to support the arm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of greatly impairing the aesthetics of the city, and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plurality of wire wires or the plurality of arms requires a lot of cumbersome man-hours. As a result, the workability was deteriorated and, of course, the inconvenience in construction had to continue.

즉, 상기와 같은 철선 와이어 또는 복수의 아암 설치 구조는 아암의 규격이나 중량에 따라 사용되는 갯수가 늘어나게 되고, 특히 철선 와이어는 그 자체로 변형 또는 풀림 현상이 발생되면 아암의 처짐 현상을 회복할 수 있는 방안이 현재 전무한 상태이다.That is, the number of the wire wire or a plurality of arm installation structures as described above increases depending on the size or weight of the arm. There is currently no solution available.

이에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철선 와이어 또는 복수의 아암 설치를 없애도록 지주대의 상단에서 보조 아암을 관통시켜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보조 아암에 메인 아암을 플랜지 결합시키거나, 또는 메인 아암과 지주대를 경사부재로 연결시켜 지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Accordingly, in the prior art, in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arm is penetrated and fix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so as to eliminate the installation of the wire wire or the plurality of arms as described above, the main arm is flange-coupled to the auxiliary arm, or the main arm and the support are inclined. It was connected to a member so that it could be supported.

그러나, 이 방식 또한 연결봉과 아암이 플랜지 결합 구조를 이루는 관계로, 가로보의 하중이 제대로 분산되지 못하며, 이에 따라 가로보의 연장된 하중으로 인해 그 결합상태가 불안정해질 수 밖에 없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However, in this method also, since the connecting rod and the arm form a flange coupling structure, the load of the crossbeam is not properly distributed, and accordingly, the coupling state is inevitably unstable due to the extended load of the crossbeam, so improvement measures are required. .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described technical configuration is a background for helping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mean a conventional technique widely know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10-1999194호(지용금속) 2019. 07. 05.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0-1999194 (Jiyong Metal) 2019. 07. 05.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로보의 무게 중심을 분산시켜 하중에 의한 가로보의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스마트 신호등 지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traffic light holding device capable of dispers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rossbeam to prevent the crossbeam from sagging due to a loa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주대; 상기 지주대에 연결되며 신호등을 포함하는 대상물이 결합되는 가로보부; 및 상기 가로보부를 상기 지주대에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주대에 결합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어 상기 가로보부의 제1 가로보를 지지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일단부가 상기 지주대에 마련된 결합홀을 관통하며 상기 제1 가로부의 단부가 내부에 배치되는 베이스 바디; 상기 베이스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커넥터부에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일측부가 상기 지주대에 결합되고 타측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복수의 보강 플랜지; 및 일측부는 상기 베이스 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복수의 보강 플랜지 중 선택된 보강 플랜지에 결합되는 베이스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제1 가로부의 단부가 내부를 통과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커넥터 바디; 및 일측부는 커넥터 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커넥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스마트 신호등 지주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st; a cross beam connected to the post and to which an object including a traffic light is coupled; and a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crossbeam to the support,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base portion coupled to the support; and a connector part coupled to the base part to support the first crossbeam part of the crossbeam part, wherein the base part has one end penetrating the coupling hole provided in the pole and the end of the first crossbeam part is disposed therein. body; a base plate provided on the base body and coupled to the connector part; a plurality of reinforcing flanges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post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base plate; and a base reinforcing memb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base body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a reinforcing flange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flanges. a connector body disposed on the; And one side is coupled to the connector body and the other side can be provided with a smart traffic light holding device comprising a connector plate coupled to the base plate.

상기 베이스 바디의 내부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제1 가로보의 외벽에는 유격 방지 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 바디의 내벽에 지지되고,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부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제1 가로보의 외벽에는 가로부 보강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가로부 보강부재는 상기 커넥터 바디에 마련된 복수의 용접홀을 통해 상기 커넥터 바디에 용접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 바디의 일단부와 대응되는 영역의 상기 제1 가로보의 외벽에는 가로보 커버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커넥터 바디를 밀폐할 수 있다.A transverse reinforcement member is provided on the outer wall of the first crossbeam disposed in the inner region of the base body and is supported on the inner wall of the base body, and on the outer wall of the first crossbeam disposed in the inner region of the connector body. is provided, and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member is welded to the connector body through a plurality of welding holes provided in the connector body, and a crossbeam cover member is provided on an outer wall of the first crossbeam in an area corresponding to one end of the connector body. may be provided to seal the connector body.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커넥터 플레이트는 탈착 가능하게 볼트 결합될 수 있다.The base plate and the connector plate may be detachably bolted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지주대의 상부에서 지주대를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가로보부의 설치 시 가로보부의 단부가 연결부를 통해 지주대에 삽입되도록 마련함으로써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로보부의 무게 중심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하중에 의한 가로보의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rossbeam part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providing that the end of the crossbeam part is inserted into the post through the connection part when the crossbeam part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 i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It can be dispersed,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flection of the crossbeam due to the loa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신호등 지주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연결부의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연결부의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a) 영역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커버 부재의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제1 보강판과 제2 보강판의 연결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제1 가로보와 제2 가로보에 마련된 러그의 영역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mart traffic light hol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ssential part of the present embodiment.
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3 .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n area of the connection part shown in FIG. 3 .
FIG. 6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n area of the connection part shown in FIG. 1 .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area (a) of FIG. 6 .
FIG. 8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n area of the cover member shown in FIG. 2 .
9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area between the first reinforcing plate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shown in FIG. 2 .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rea of a lug provided in the first crossbeam and the second crossbeam shown in FIG. 1 .
11 is a diagram of a state of use of the present embodiment.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escrib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figure indica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신호등 지주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연결부의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mart traffic light hol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ain part of this embodiment, and FIG. 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3 , and FIG.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area of the connection part shown in FIG. 3 .

또한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연결부의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a) 영역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커버 부재의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제1 보강판과 제2 보강판의 연결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제1 가로보와 제2 가로보에 마련된 러그의 영역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도이다.Also,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area of the connection part shown in FIG. 1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area (a) of FIG. 6 , and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the area of the cover member shown in FIG. 2 . One view, FIG. 9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connection area of the first reinforcing plate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shown in FIG. 2 , and FIG.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gion, and FIG. 11 is a state diagram in use of the present embodiment.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신호등 지주장치(1)는, 지주대(100)와, 지주대(100)에 연결되며 신호등(10)을 포함하는 대상물이 결합되는 가로보부(200)와, 가로보부(200)를 지주대(100)에 연결시키는 연결부(300)와, 가로보부(200)에 마련되어 가로보부(200)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부(400)를 구비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smart traffic light hold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transverse beam that is connected to the post 100 and the post 100 and includes an object including a traffic light 10 coupled thereto. (200), a connection part 300 for connecting the crossbeam part 200 to the post 100, and a reinforcing part 400 provided in the crossbeam part 200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crossbeam part 200 is provided. .

지주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하단부에 마련되는 체결부(110)에 의해 지면에 마련된 연결 포스트에 볼트 또는 용접 결합될 수 있다.The post 100, as shown in FIG. 1,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an empty interior, and may be bolted or welded to the connection post provided on the ground by the fastening unit 110 provided at the lower end. .

본 실시 예에서 지주대(100)의 상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홀(120)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결합홀(120)의 내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로보(210)의 하단부와 베이스 바디(311)의 일단부가 관통하여 지주대(1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결합홀(120)은 지주대(100)의 전후 방에 한 쌍이 이격 마련될 수 있다.4 , a coupling hole 120 may be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post 100 in this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the inside of the coupling hole 120, as shown in Figure 7, the lower end of the first crossbeam 210 and one end of the base body 311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st 100 through penetration. can In this embodiment, a pair of coupling holes 120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post 100 to be spaced apart.

가로보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연결부(300)의 내부에 지지되며 내부에 마련되는 보강부(400)에 의해 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cross beam 200 may have one end supported inside the connection part 300 and the strength may be reinforced by the reinforcing part 400 provided therein.

본 실시 가로보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300)를 통해 지주대(100)에 연결되는 제1 가로보(210)와, 제1 가로보(210)에 결합되며 제1 가로보(210)보다 직경이 작게 마련되는 제2 가로보(220)와, 제2 가로보(220)에 결합되며 제2 가로보(220)보다 직경이 작게 마련되는 제3 가로보(230)와, 제3 가로보(230)의 단부에 결합되는 커버 부재(240)와, 제1 가로보(210)와 제2 가로보(220)가 접하는 영역 및 제2 가로보(220)와 제3 가로보(230)가 접하는 영역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러그(250)를 포함한다.The present embodiment crossbeam unit 200, as shown in FIG. 4, is coupled to the first crossbeam 210 and the first crossbeam 210 connected to the post 100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300, the first A second crossbeam 220 provided with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crossbeam 210 , a third crossbeam 230 coupled to the second crossbeam 220 and provided with a smaller diameter than the second crossbeam 220 , and a third crossbeam The cover member 240 coupled to the end of the 230, the first crossbeam 210 and the second crossbeam 220 are in contact with the area and the second crossbeam 220 and the third crossbeam 230 are in contact with the area, respectively. It includes a plurality of lugs 250 to be coupled.

가로보부(200)의 제1 가로보(2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연결부(300)의 내부와 지주대(100)를 관통하여 지주대(1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관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crossbeam 210 of the crossbeam part 20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er 100 through one end of the first crossbeam 210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part 300 and the supporter 100, as shown in FIG. and may have a tubular shape.

본 실시 예에서 제1 가로보(210)의 외벽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보 커버부재(211)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가로보 커버부재(21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311)의 단부에 결합되어 개방된 베이스 바디(311)를 막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가로보 커버부재(211)는 베이스 바디(311)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on the outer wall of the first crossbeam 210, as shown in FIG. 3, a crossbeam cover member 211 may be provided. In this embodiment, the crossbeam cover member 211 may block the open base body 311 by being coupled to an end of the base body 311 as shown in FIG. 7 . In this embodiment, the crossbeam cover member 211 may be welded to the base body 311 .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1 가로보(210)의 외벽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보 보강부(400)재(212)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가로보 보강부(400)재(21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보 커버부재(211)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일측부가 제1 가로보(210)의 외벽에 결합되며 타측부는 커넥터 바디(321)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가로보 보강부(400)재(212)는 제1 가로보(210)와 커넥터 바디(321)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커넥터 바디(321)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용접홀(H)을 마련하고, 이 용접홀(H)을 통해 가로보 보강부(400)재(212)를 커넥터 바디(321)의 외부에서 편리하고 정확하게 용접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on the outer wall of the first crossbeam 210 in this embodiment, the crossbeam reinforcement part 400 material 212 may be provided. In this embodiment, the crossbeam reinforcing part 400, the material 212 is coupled to the outer wall of the first crossbeam 210 so as to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crossbeam cover member 211 as shown in FIG. 7 and the other side portion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or body 321 . In this embodiment, the crossbeam reinforcing part 400 material 212 may be welded to the first crossbeam 210 and the connector body 321 .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in the connector body 321, a plurality of welding holes (H) are provided, and the crossbeam reinforcement part 400 and the material 212 are connected to the connector through the welding holes (H). It can be conveniently and accurately welded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321 .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제1 가로보(210)의 외벽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유격 방지 부재(213)가 이격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유격 방지 부재(213) 중 하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대(1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고 나머지 하나는 지주대(100)의 외부로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유격 방지 부재(213)는 최외측 영역이 베이스 바디(311)의 내벽에 지지되어 제1 가로보(210)가 상하나 좌우로 유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유격 방지 부재(213)와 가로보 커버부재(211)와 가로보 보강부(400)재(21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on the outer wall of the first crossbeam 210, as shown in FIG. 5, a pair of gap prevention members 213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In this embodiment, one of the pair of gap prevention members 213, as shown in FIG. 7, may be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support 100 and the other one is disposed outside of the support 100. can be provid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ir of gap prevention members 213 may prevent the first crossbeam 210 from being spaced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by supporting the outermost region on the inner wall of the base body 311 . In this embodiment, a pair of the gap prevention member 213, the crossbeam cover member 211, and the crossbeam reinforcing part 400, the material 212 may have a ring shape, as shown in FIG. 5 .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제2 가로보(220)와 근접한 제1 가로보(210)의 단부에는, 도 4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버링(214)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커버링(214)의 일측부는 제1 가로보(210)에 용접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 가로보(220)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1 커버링(214)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그(250)에 의해 상면부가 가압될 수 있고, 러그(250)와 제1 커버링(214)이 접하는 영역도 용접될 수 있다.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at the end of the first crossbeam 210 close to the second crossbeam 220, as shown in FIGS. 4 and 10, a first covering 214 may be provided. In this embodiment, one side of the first covering 214 may be welded to the first crossbeam 210 and the other side may be welded to the second crossbeam 220 .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covering 214, as shown in FIG. 10, the upper surface portion can be pressed by the lug 250, the lug 250 and the first covering 214 is also welded area in contact. can be

가로보부(200)의 제2 가로보(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로보(210)보다 직경이 작게 마련되어 제1 커버링(214)에 의해 제1 가로보(210)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crossbeam 220 of the crossbeam part 200 is provided with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crossbeam 210 as shown in FIG. 3 and is welded to the first crossbeam 210 by the first covering 214 . can be

본 실시 예에서 제2 가로보(220)의 일단부 즉 제1 가로보(210)와 근접되는 제2 가로보(220)의 영역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로보(2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보강부(400)의 제1 연결판(441)에 의해 지지되어 스토핑 될 수 있다. 즉 제2 가로보(220)의 단부는 제1 연결판(441)에 지지되어 제1 가로보(210)의 내부로 더 이상 들어갈 수 없다.In this embodiment, one end of the second crossbeam 220 , that is, the region of the second crossbeam 220 that is close to the first crossbeam 210 is, as shown in FIG. 10 , inside the first crossbeam 210 . It may be supported and stopped by the first connecting plate 441 of the reinforcing part 400 to be disposed. That is, the end of the second crossbeam 220 is supported by the first connecting plate 441 and can no longer enter the interior of the first crossbeam 210 .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2 가로보(220)의 일단부 즉 제2 가로보(220)와 제3 가로보(230)가 접하는 영역의 제2 가로보(22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커버링(221)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커버링(221)의 일측부는 제2 가로보(220)에 용접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3 가로보(230)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2 커버링(221)은 러그(250)에 의해 상면부가 가압될 수 있고, 러그(250)와 제2 커버링(221)이 접하는 영역도 용접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t one end of the second crossbeam 220 , that is, in the second crossbeam 220 in the area where the second crossbeam 220 and the third crossbeam 230 come in contact, as shown in FIG. 4 , the second crossbeam A covering 221 may be provided. In this embodiment, one side of the second covering 221 may be welded to the second crossbeam 220 and the other side may be welded to the third crossbeam 230 .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ing 221 may be pressed by the lug 250 , and a region where the lug 250 and the second covering 221 contact may be welded.

가로보부(200)의 제3 가로보(2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로보(220)보다 직경이 작게 마련되어 제2 커버링(221)에 의해 제2 가로보(220)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third crossbeam 230 of the crossbeam part 200 is provided with a smaller diameter than the second crossbeam 220 and is welded to the second crossbeam 220 by the second covering 221 . can be

본 실시 예에서 제3 가로보(230)의 일단부 즉 제2 가로보(220)와 근접되는 제3 가로보(230)의 영역은 제2 가로보(220)의 내부에 배치되는 보강부(400)의 제1 연결판(441)에 의해 지지되어 스토핑 될 수 있다. 즉 제3 가로보(230)의 단부는 제1 연결판(441)에 지지되어 제2 가로보(220)의 내부로 더 이상 들어갈 수 없다.In this embodiment, one end of the third crossbeam 230 , that is, the region of the third crossbeam 230 close to the second crossbeam 220 is the second crossbeam of the reinforcing part 400 disposed inside the second crossbeam 220 . 1 It may be supported by the connecting plate 441 and stopped. That is, the end of the third crossbeam 230 is supported by the first connecting plate 441 and cannot enter the interior of the second crossbeam 220 anymore.

가로보부(200)의 커버 부재(2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가로보(230)의 단부에 결합되어 제2 가로보(220)의 개방된 영역을 막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cover member 240 of the crossbeam part 200 may be coupled to the end of the third crossbeam 230 to block the open area of the second crossbeam 220 .

본 실시 예에서 커버 부재(240)는 제3 가로보(230)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ver member 240 may be welded to the third cross beam 230 .

가로보부(200)의 러그(2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로보(210)와 제2 가로보(220)가 접하는 영역과 제2 가로보(220)와 제3 가로보(230)가 접하는 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lug 250 of the crossbeam part 200 includes an area where the first crossbeam 210 and the second crossbeam 220 come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crossbeam 220 and the third crossbeam 230 . may be coupled to an area in contact with

본 실시 예에서 러그(250)의 저면부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이 마련되고 이 단턱을 통해 러그(250)의 저면 일측부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영역의 가로보에 접촉되고 그 저면 타측부는 직경이 작은 영역의 가로보에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그(250)의 저면 일측부는 제1 가로보(210)의 외벽에 접촉되고 저면 타측부는 제2 가로보(220)의 외벽에 접촉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0, a step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lug 250, and one side of the bottom of the lug 250 is in contact with the crossbeam in the area with a relatively large diameter through this step, and the bottom surface The other side may be in contact with the crossbeam of the area having a small diamete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lug 250 may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wall of the first crossbeam 210 , and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may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wall of the second crossbeam 220 .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제1 가로보(210)와 제2 가로보(220)와 제3 가로보(230)에는 복수의 용접홀(H)이 마련되어 보강부(400)를 제1 가로보(210)와 제2 가로보(220)와 제3 가로보(230)의 외부에서 용접할 수 있다. 이 용접홀(H)은 연결부(300)의 커넥터 바디(321)에도 마련될 수 있다.And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welding holes (H) are provided in the first crossbeam 210, the second crossbeam 220, and the third crossbeam 230 to connect the reinforcing part 400 to the first crossbeam 210 and the second crossbeam. It can be welded from the outside of the crossbeam 220 and the third crossbeam 230 . The welding hole H may also be provided in the connector body 321 of the connection part 300 .

연결부(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는 지주대(10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 가로보(210)에 결합되어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로보부(200)의 무게 중심을 지주대(100)의 전후 방향으로 분산시킴으로써 가로보의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300 is, as shown in FIG. 7, one side is coupled to the post 100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first crossbeam 210, an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rossbeam part 200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dispers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post 100, it is possible to prevent sagging of the crossbeam.

본 실시 예에서 연결부(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대(100)에 결합되는 베이스부(310)와, 베이스부(310)에 결합되어 베이스부(310)와 같이 제1 가로보(210)를 지지하는 커넥터부(320)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on part 300 is coupled to the base part 310 and the base part 310 to be coupled to the base part 100, as shown in FIG. 6 , the first as shown in FIG. It includes a connector part 320 for supporting the crossbeam 210 .

연결부(300)의 베이스부(3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지주대(100)에 마련된 결합홀(120)을 관통하며 제1 가로부의 단부가 내부에 배치되는 베이스 바디(311)와, 베이스 바디(311)에 마련되어 커넥터부(320)의 커넥터 플레이트(322)에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12)와, 일측부가 지주대(100)에 결합되고 타측부가 베이스 플레이트(312)에 결합되는 복수의 보강 플랜지(313)와, 일측부는 베이스 바디(311)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복수의 보강 플랜지(313) 중 선택된 보강 플랜지(313)에 결합되는 베이스 보강부재(314)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7 , the base part 310 of the connection part 300 has one end passing through the coupling hole 120 provided in the post 100 and the end of the first horizontal part is disposed inside the base body ( 311), a base plate 312 provided on the base body 311 and coupled to the connector plate 322 of the connector part 320, one side is coupled to the post 100, and the other side is the base plate 312 A plurality of reinforcing flanges 313 coupled to, one side is coupled to the base body 311 and the other side includes a base reinforcing member 314 coupled to a reinforcing flange 313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flanges 313 do.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바디(31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관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결합홀(120)에 삽입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대(100)의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바디(311)는 지주대(100)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base body 311, as shown in FIG. 5, may have a circular tube shape, and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20 shown in FIG. 100) may protrude to the rear. In this embodiment, the base body 311 may be welded to the post 100 .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31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311)에 용접 결합될 수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312)의 중앙부에는 제1 가로보(210)가 관통되는 홀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312)에는 복수의 볼트 결합홀(120)이 마련되어 커넥터부(320)의 커넥터 플레이트(322)와 탈착 가능하게 볼트 결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base plate 312, as shown in FIG. 7, may be welded to the base body 311, an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se plate 312 there is a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crossbeam 210 passes. can be provided.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bolt coupling holes 120 are provided in the base plate 312 to be detachably bolted to the connector plate 322 of the connector unit 320 .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보강 플랜지(31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대(100)의 외벽과 베이스 플레이트(312)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보강 플랜지(31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가 등 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보강 플랜지(313)의 중앙부에는 지주대(100)가 관통하는 플랜지홀(313a)이 마련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flanges 313 may be welded to the outer wall of the post 100 and the base plate 312 as shown in FIG. 7 . In this embodiment, three reinforcing flanges 313 may be provided at equal intervals, as shown in FIG. 6 .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inforcing flange 313 may be provided with a flange hole 313a through which the support 100 passes.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보강부재(31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는 베이스 바디(311)의 외벽에 용접 결합되고 타측부는 보강 플랜지(313)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base reinforcing member 314 may be welded to the outer wall of the base body 311 at one side and welded to the reinforcing flange 313 at one side, as shown in FIG. 5 .

연결부(300)의 커넥터부(3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로부의 단부가 내부를 통과하며 베이스부(310)의 전방에 배치되는 커넥터 바디(321)와, 일측부는 커넥터 바디(321)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베이스 플레이트(312)에 결합되는 커넥터 플레이트(322)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7 , the connector part 320 of the connection part 300 includes a connector body 321 having an end of the first horizontal part passing through the inside and disposed in front of the base part 310 , and one side of the connector It is coupled to the body 321 and the other side includes a connector plate 322 coupled to the base plate 312 .

본 실시 예에서 커넥터 바디(321)는 베이스 바디(311)보다 큰 직경으로 마련되고 커넥터 플레이트(322)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커넥터 바디(321)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용접홀(H)이 마련되고, 이 용접홀(H)을 통해 커넥터 바디(321)의 외부에서 가로보 보강부(400)재(212)를 커넥터 바디(321)에 편리하고 정확하게 용접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or body 321 may be provided with a larger diameter than the base body 311 and be welded to the connector plate 322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or body 321, as shown in FIG. 6,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elding holes (H), through the welding holes (H) from the outside of the connector body 321 through the reinforcing part ( 400) the material 212 can be conveniently and accurately welded to the connector body 321 .

본 실시 예에서 커넥터 플레이트(322)는 베이스 플레이트(312)와 같은 사이즈로 마련될 수 있고, 복수의 볼트와 너트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312)에 볼트 결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or plate 322 may be provided in the same size as the base plate 312 , and may be bolted to the base plate 312 through a plurality of bolts and nuts.

보강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보부(200)와 연결부(300)의 내부에 마련되어 미관을 해치지 않고 가로보부(20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reinforcing part 400 may be provided inside the cross-beam part 200 and the connecting part 300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cross-beam part 200 without impairing the aesthetics.

본 실시 예에서 보강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로보(210)의 내부에 마련되어 제1 가로보(210)를 보강하는 제1 보강판(410)과, 제2 가로보(220)의 내부에 마련되어 제2 가로보(220)를 보강하는 제2 보강판(420)과, 제3 가로보(230)의 내부에 마련되어 제3 가로보(230)를 보강하는 제3 보강판(430)과, 제1 가로보(210)의 내부에 마련되어 제1 보강판(410)과 제2 보강판(420)을 연결시킴과 아울러 제2 가로보(220)의 내부에 마련되어 제2 보강판(420)과 제3 보강판(430)을 연결시키는 보강판 연결부(440)와, 제1 가로보(210)의 단부에 마련되어 제1 보강판(410)의 단부에 결합되며 연결부(300)의 내부에 배치되는 단부 보강판(450)을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reinforcing part 400 is, as shown in FIG. 2 , a first reinforcing plate 410 provided inside the first crossbeam 210 to reinforce the first crossbeam 210 , and a second crossbeam. A second reinforcing plate 420 provided inside the 220 to reinforce the second crossbeam 220 , and a third reinforcing plate 430 provided inside the third crossbeam 230 to reinforce the third crossbeam 230 . ) and provided inside the first crossbeam 210 to connect the first reinforcing plate 410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420 and provided inside the second crossbeam 220 to provide a second reinforcing plate 420 and a reinforcing plate connecting portion 440 connecting the third reinforcing plate 430 and provided at the end of the first crossbeam 210 and coupled to the end of the first reinforcing plate 410 and disposed inside the connecting portion 300 End reinforcing plate 450 is included.

본 실시 예에서 제1 보강판(410), 제2 보강판(420) 및 제3 보강판(430)은 제1 가로보(210), 제2 가로보(220) 및 제3 가로보(230)에 마련된 복수의 용접홀(H)을 통해 외부에서 제1 가로보(210), 제2 가로보(220) 및 제3 가로보(230)에 각각 용접 결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reinforcing plate 410 ,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420 and the third reinforcing plate 430 are provided in the first crossbeam 210 , the second crossbeam 220 and the third crossbeam 230 . The first crossbeam 210 , the second crossbeam 220 , and the third crossbeam 230 may be welded to each other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plurality of welding holes H.

보강판 연결부(4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로보(210)에 배치되어 제1 보강판(410)과 제2 보강판(420)을 연결시킴과 아울러 제2 가로보(220)에 배치되어 제2 보강판(420)과 제3 보강판(430)을 연결시키는 제1 연결판(441) 및 제1 보강판(410)과 제1 연결판(441)에 수직되게 결합됨과 아울러 제2 보강판(420)과 제1 연결판(441)에 수직되게 결합되는 제2 연결판(442)을 포함한다.Reinforcing plate connecting portion 440, as shown in FIG. 2, is disposed on the first crossbeam 210 to connect the first reinforcing plate 410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420 and the second crossbeam 220 ) and vertical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ng plate 441 and the first reinforcing plate 410 and the first connecting plate 441 connecting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420 and the third reinforcing plate 430 and In addition,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420 and a second connecting plate 442 vertical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ng plate 441 are included.

본 실시 예에서 제1 연결판(441)과 제2 연결판(442)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홀(443)이 마련되어 제1 연결판(441)과 제2 연결판(442)의 결합을 가이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개홀(44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강판(410)의 단부에도 마련되어 절개홀(443)이 마련된 제2 연결판(442)의 영역은 절개홀(443)이 마련된 제1 보강판(410)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고, 절개홀(443)이 마련되지 않은 제2 연결판(442)의 영역은 절개홀(443)이 마련된 제1 연결판(441)의 영역에 끼워 맞춰서 결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in the first connecting plate 441 and the second connecting plate 442 in this embodiment, a cut-out hole 443 is provided to provide the first connecting plate 441 and the second connecting plate 442 . ) can guide the binding of Specifically, the cut-out hole 443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first reinforcing plate 410 as shown in FIG. 4 , and the area of the second connecting plate 442 provided with the cut-out hole 443 is the cut-out hole 443 . It may be coupled to the end of the provided first reinforcing plate 410 , and the region of the second connecting plate 442 in which the cut-out hole 443 is not provided is the first connecting plate 441 provided with the cut-out hole 443 . It can be combined by fitting into the area of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1 보강판(410), 제2 보강판(420), 제3 보강판(430), 제1 연결판(441) 및 단부 보강판(450)은 가로보부(200)의 높이 방향으로 수직되게 배치되고, 제2 연결판(442)은 제1 연결판(441)과 수직되게 제1 연결판(441)에 일부가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reinforcing plate 410 ,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420 , the third reinforcing plate 430 , the first connecting plate 441 , and the end reinforcing plate 450 are of the transverse beam 200 . It is disposed vertically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late 442 may be partial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ng plate 441 to be perpendicular to the first connecting plate 441 .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제1 보강판(410)에는 절개홈(411)이 마련되고 단부 보강판(450)에는 절개홈(411)에 결합되는 돌출부(451)가 마련될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cut-out groove 411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reinforcing plate 410 , and a protrusion 451 coupled to the cut-out groove 411 may be provided in the end reinforcing plate 450 .

그리고 제2 보강판(420)에는 제1 결합돌기(421)가 마련되고, 제3 보강판(430)에는 제2 결합돌기(431)가 마련되며, 제1 보강판(410)과 제2 보강판(420)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연결판(441)에는 제1 결합돌기(421)가 삽입되는 결합홈(441a)이 마련되고, 제2 보강판(420)과 제3 보강판(430)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연결판(441)에는 제2 결합돌기(431)가 삽입되는 결합홈(441a)이 마련되어 본 실시 예의 제1 보강판(410) 내지 제3 보강판(430)과 단부 보강판(450)은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420 is provided with a first coupling protrusion 421, the third reinforcing plate 430 is provided with a second coupling protrusion 431, the first reinforcing plate 410 and the second reinforcement A coupling groove 441a into which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421 is inserted is provided in the first connecting plate 441 disposed between the plates 420 ,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420 and the third reinforcing plate 430 are provided. ), a coupling groove 441a into which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431 is inserted is provided in the first connecting plate 441 disposed between the first reinforcing plate 410 to the third reinforcing plate 430 of this embodiment and The end reinforcing plate 450 may stably maintain a coupled state.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 예는 가로부의 내부에 보강부가 마련되고 각각의 보강판이 보강판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가로보의 내부에서 미관을 해치지 않고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보강부가 가로보부와 지주대를 연결하는 부분에까지 마련됨으로써 강도를 효과적으로 증가시켜 상하 및 전후방향 유동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강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나아가 가로보부에 마련된 복수의 용접홀을 통해 가로보부의 외부에서 보강부를 가로보부에 용접할 수 있어 용접 작업의 정밀도와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reinforcing part is provided inside the transverse part, and each reinforcing plate is connected by a reinforcing plate connection part, so that the strength can be reinforced without impairing the aesthetics inside the transverse beam. In addition, since the reinforcing part is provided to the part connecting the crossbeam part and the post, the strength can be effectively increased, thereby minimizing the vertical and front-back direction flow, and maximizing the strength. Furthermore, the reinforcing part can be welded to the cross-beam part from the outside of the cross-beam part through a plurality of welding holes provided in the cross-beam part, so that the precision and work efficiency of the welding operation can be improv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it should be said that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clud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스마트 신호등 지주장치
100 : 지주대 110 : 체결부
120 : 결합홀 200 : 가로보부
210 : 제1 가로보 211 : 가로보 커버부재
212 : 가로보 보강부재 213 : 유격 방지 부재
214 : 제1 커버링 220 : 제2 가로보
221 : 제2 커버링 230 : 제3 가로보
240 : 커버 부재 250 : 러그
300 : 연결부 310 : 베이스부
311 : 베이스 바디 312 : 베이스 플레이트
313 : 보강 플랜지 313a : 플랜지홀
314 : 베이스 보강부재 320 : 커넥터부
321 : 커넥터 바디 322 : 커넥터 플레이트
400 : 보강부 410 : 제1 보강판
411 : 절개홈 420 : 제2 보강판
421 : 제1 결합돌기 430 : 제3 보강판
431 : 제2 결합돌기 440 : 보강판 연결부
441 : 제1 연결판 441a : 결합홈
442 : 제2 연결판 443 : 절개홀
450 : 단부 보강판 451 : 돌출부
10 : 신호등 H : 용접홀
1: Smart traffic light holding device
100: support 110: fastening part
120: coupling hole 200: transverse beam
210: first crossbeam 211: crossbeam cover member
212: cross beam reinforcement member 213: gap prevention member
214: first covering 220: second cross beam
221: second covering 230: third cross beam
240: cover member 250: lug
300: connection part 310: base part
311: base body 312: base plate
313: reinforcement flange 313a: flange hole
314: base reinforcement member 320: connector part
321: connector body 322: connector plate
400: reinforcing part 410: first reinforcing plate
411: cut-out groove 420: second reinforcing plate
421: first coupling protrusion 430: third reinforcing plate
431: second coupling protrusion 440: reinforcing plate connection part
441: first connecting plate 441a: coupling groove
442: second connection plate 443: cut-out hole
450: end reinforcement plate 451: protrusion
10: traffic light H: welding hole

Claims (3)

지주대;
상기 지주대에 연결되며 신호등을 포함하는 대상물이 결합되는 가로보부; 및
상기 가로보부를 상기 지주대에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주대에 결합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어 상기 가로보부의 제1 가로보를 지지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일단부가 상기 지주대에 마련된 결합홀을 관통하며 상기 제1 가로보의 단부가 내부에 배치되는 베이스 바디;
상기 베이스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커넥터부에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일측부가 상기 지주대에 결합되고 타측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복수의 보강 플랜지; 및
일측부는 상기 베이스 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복수의 보강 플랜지 중 선택된 보강 플랜지에 결합되는 베이스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제1 가로보의 단부가 내부를 통과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커넥터 바디; 및
일측부는 커넥터 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커넥터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보부는,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지주대에 연결되는 제1 가로보; 상기 제1 가로보에 결합되며 상기 제1 가로보보다 직경이 작게 마련되는 제2 가로보; 상기 제2 가로보에 결합되며 상기 제2 가로보보다 직경이 작게 마련되는 제3 가로보; 상기 제3 가로보의 단부에 결합되는 커버 부재; 및 상기 제1 가로보와 제2 가로보가 접하는 영역 및 상기 제2 가로보와 상기 제3 가로보가 접하는 영역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제1 가로보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 가로보를 보강하는 제1 보강판; 상기 제2 가로보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2 가로보를 보강하는 제2 보강판; 상기 제3 가로보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3 가로보를 보강하는 제3 보강판; 상기 제1 가로보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보강판과 상기 제2 보강판을 연결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2 가로보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2 보강판과 상기 제3 보강판을 연결시키는 보강판 연결부; 및 상기 제1 가로보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보강판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단부 보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강판, 상기 제2 보강판 및 상기 제3 보강판은 상기 제1 가로보, 상기 제2 가로보 및 상기 제3 가로보에 마련된 복수의 용접홀을 통해 외부에서 상기 제1 가로보, 상기 제2 가로보 및 상기 제3 가로보에 각각 용접 결합되고,
상기 보강판 연결부는 상기 제1 가로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보강판과 상기 제2 보강판을 연결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2 가로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보강판과 상기 제3 보강판을 연결시키는 제1 연결판 및 상기 제1 보강판과 상기 제1 연결판에 수직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제2 보강판과 상기 제1 연결판에 수직되게 결합되는 제2 연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판과 상기 제2 연결판에는 절개홀이 마련되어 상기 제1 연결판과 상기 제2 연결판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스마트 신호등 지주장치.
props;
a cross beam connected to the post and to which an object including a traffic light is coupled; and
and a connecting part for connecting the cross beam to the post;
The connection part,
a base portion coupled to the support; and
and a connector part coupled to the base part to support the first crossbeam part of the crossbeam part,
The base part,
a base body having one end passing through a coupling hole provided in the post and having an end of the first crossbeam disposed therein;
a base plate provided on the base body and coupled to the connector part;
a plurality of reinforcing flanges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post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base plate; and
One side is coupled to the base body and the other side includes a base reinforcing member coupled to a reinforcing flange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flanges,
The connector part,
a connector body having an end of the first crossbeam passing through and disposed in front of the base part; and
a connector plate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connector body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base plate;
The crossbeam portion, a first crossbeam connected to the support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a second crossbeam coupled to the first crossbeam and provided with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crossbeam; a third crossbeam coupled to the second crossbeam and provided with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crossbeam; a cover member coupled to an end of the third crossbeam; and a plurality of lugs each coupled to an area in which the first crossbeam and the second crossbeam are in contact and an area in which the second crossbeam and the third crossbeam are in contact,
The reinforcing unit may include: a first reinforcing plate provided inside the first crossbeam to reinforce the first crossbeam; a second reinforcing plate provided inside the second crossbeam to reinforce the second crossbeam; a third reinforcing plate provided inside the third crossbeam to reinforce the third crossbeam; a reinforcing plate connecting portion provided inside the first crossbeam to connect the first reinforcing plate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and provided in the second crossbeam to connect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and the third reinforcing plate; and an end reinforcing plate provided at the end of the first crossbeam and coupled to the end of the first reinforcing plate and disposed inside the connecting portion,
The first reinforcing plate,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and the third reinforcing plate are the first crossbeam, the second crossbeam from the outside through a plurality of welding holes provided in the first crossbeam, the second crossbeam, and the third crossbeam are welded to each of the crossbeam and the third crossbeam,
The reinforcing plate connecting portion is disposed on the first crossbeam to connect the first reinforcing plate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and is disposed on the second crossbeam to connect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and the third reinforcing plate a first connecting plate and a second connecting plate vertical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ng plate and the first connecting plate and vertically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ng plate and the first connecting plate,
A smart traffic light holding device for guiding the coupling of the first connecting plate and the second connecting plate by providing a cut-out hole in the first connecting plate and the second connecting pla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바디의 내부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제1 가로보의 외벽에는 유격 방지 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 바디의 내벽에 지지되고,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부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제1 가로보의 외벽에는 가로부 보강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가로부 보강부재는 상기 커넥터 바디에 마련된 복수의 용접홀을 통해 상기 커넥터 바디에 용접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 바디의 일단부와 대응되는 영역의 상기 제1 가로보의 외벽에는 가로보 커버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커넥터 바디를 밀폐하는 스마트 신호등 지주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ay preventing member is provided on the outer wall of the first crossbeam disposed in the inner region of the base body and supported on the inner wall of the base body,
A transverse reinforcement member is provided on the outer wall of the first crossbeam disposed in the inner region of the connector body,
The horizontal reinforcing member is welded to the connector body through a plurality of welding holes provided in the connector body,
A crossbeam cover member is provided on an outer wall of the first crossbeam in an area corresponding to one end of the connector body to seal the connector body.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커넥터 플레이트는 탈착 가능하게 볼트 결합되는 스마트 신호등 지주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 smart traffic light holding device in which the base plate and the connector plate are detachably bolted together.
KR1020210070353A 2021-05-31 2021-05-31 Smart traffic lights supporting appratus KR1023280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353A KR102328091B1 (en) 2021-05-31 2021-05-31 Smart traffic lights supporting appratus
KR1020210152544A KR20220162024A (en) 2021-05-31 2021-11-08 Smart traffic lights supporting app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353A KR102328091B1 (en) 2021-05-31 2021-05-31 Smart traffic lights supporting appratu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2544A Division KR20220162024A (en) 2021-05-31 2021-11-08 Smart traffic lights supporting app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8091B1 true KR102328091B1 (en) 2021-11-18

Family

ID=7871723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353A KR102328091B1 (en) 2021-05-31 2021-05-31 Smart traffic lights supporting appratus
KR1020210152544A KR20220162024A (en) 2021-05-31 2021-11-08 Smart traffic lights supporting appratus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2544A KR20220162024A (en) 2021-05-31 2021-11-08 Smart traffic lights supporting app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2809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2765B1 (en) * 2023-01-13 2023-06-14 렉스젠(주) Mounting apparatus comprising a support apparatus with a reinforcing member
KR102576360B1 (en) * 2023-05-19 2023-09-11 주식회사 와이에이치에스앤티 a reinforcing structure of a horizontal beam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3625A (en) * 2004-08-26 2006-03-09 Asahi Sansho Kk Steel pipe joint member
KR20110024039A (en) * 2009-09-01 2011-03-09 노용해 Coupler for a streetlight
KR20120064350A (en) * 2010-12-09 2012-06-19 주식회사 렘넌트 Signal lamp device
KR101405825B1 (en) * 2013-01-04 2014-06-11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Cross beam reinforcement structure and cross beam reinforcement method
KR101542950B1 (en) * 2014-08-12 2015-08-13 황민선 Cross beam reinforcement structure
KR101567029B1 (en) * 2015-03-02 2015-11-06 황민선 Cross beam for traffic lights
KR101638885B1 (en) * 2016-04-30 2016-07-12 이덕관 Connecting rod for install support of traffic light and road observation camera
KR101999194B1 (en) 2019-04-12 2019-07-11 (주)지용금속 Mast Structure for Supporting Multi-Purpose Traffic Lights of Two-Stage Cross Beam
KR102009620B1 (en) * 2019-02-07 2019-10-23 허진숙 An antideflection structure for a horizontal arm of a traffic lamp pole
KR20200122829A (en) * 2019-04-19 2020-10-28 조태흥 Assemblies Structure of Landing and Street Beams for Traffic Lighting
KR102190352B1 (en) * 2020-10-14 2020-12-11 안규영 Traffic lamp pole structure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3625A (en) * 2004-08-26 2006-03-09 Asahi Sansho Kk Steel pipe joint member
KR20110024039A (en) * 2009-09-01 2011-03-09 노용해 Coupler for a streetlight
KR20120064350A (en) * 2010-12-09 2012-06-19 주식회사 렘넌트 Signal lamp device
KR101405825B1 (en) * 2013-01-04 2014-06-11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Cross beam reinforcement structure and cross beam reinforcement method
KR101542950B1 (en) * 2014-08-12 2015-08-13 황민선 Cross beam reinforcement structure
KR101567029B1 (en) * 2015-03-02 2015-11-06 황민선 Cross beam for traffic lights
KR101638885B1 (en) * 2016-04-30 2016-07-12 이덕관 Connecting rod for install support of traffic light and road observation camera
KR102009620B1 (en) * 2019-02-07 2019-10-23 허진숙 An antideflection structure for a horizontal arm of a traffic lamp pole
KR101999194B1 (en) 2019-04-12 2019-07-11 (주)지용금속 Mast Structure for Supporting Multi-Purpose Traffic Lights of Two-Stage Cross Beam
KR20200122829A (en) * 2019-04-19 2020-10-28 조태흥 Assemblies Structure of Landing and Street Beams for Traffic Lighting
KR102190352B1 (en) * 2020-10-14 2020-12-11 안규영 Traffic lamp pole struc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2765B1 (en) * 2023-01-13 2023-06-14 렉스젠(주) Mounting apparatus comprising a support apparatus with a reinforcing member
KR102576360B1 (en) * 2023-05-19 2023-09-11 주식회사 와이에이치에스앤티 a reinforcing structure of a horizontal be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024A (en) 2022-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7253B1 (en) Smart traffic lights supporting appratus having strength reinfforce section
KR102328091B1 (en) Smart traffic lights supporting appratus
KR101453863B1 (en) Supporting apparatus for installation of road traffic facilities
JP6202113B2 (en) Protective fence
KR101703493B1 (en) Mounting apparatus for supporting bar for streetlight
KR101311034B1 (en) Column with reinforcing material
CN209429500U (en) It is a kind of for installing the integral type standard knot platform of attached wall
CN214462401U (en) Double-layer protection frame with novel structure
CN214460395U (en) A fender device for construction of stake machine
CN212033733U (en) Ground wire cross arm increased hanging point connecting piece
KR101893418B1 (en) Combination structure of beam and pillar
CN209779882U (en) pre-buried device of steel pipe concrete and roof beam or floor connected node
US20040159027A1 (en) Electronic display board supporting structure
CN210828264U (en) High altitude suspension supporting structure
KR101188694B1 (en) Under bracing apparatus of steel pole for telecommunication
CN206503284U (en) A kind of semicircle vertex of a cone combines paulin room with curved surface top
CN111706060A (en) Steel wire rope inclined-pulling type hanging basket device
CN212191885U (en) Large-scale rivet welding spare steel pipe centre frame
CN211169609U (en) Portable hoisting support
KR101276164B1 (en) A falling rock prevention pence with open type
CN210151554U (en) Bailey frame structure of quick installation
CN110654991A (en) Portable hoisting support
KR101320528B1 (en) Supporting device for streetlight
CN211114943U (en) A high outer wall protector of security for construction
CN212897484U (en) High-altitude operation platform for constructional enginee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