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3493B1 - Mounting apparatus for supporting bar for streetlight - Google Patents

Mounting apparatus for supporting bar for streetligh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3493B1
KR101703493B1 KR1020160069440A KR20160069440A KR101703493B1 KR 101703493 B1 KR101703493 B1 KR 101703493B1 KR 1020160069440 A KR1020160069440 A KR 1020160069440A KR 20160069440 A KR20160069440 A KR 20160069440A KR 101703493 B1 KR101703493 B1 KR 101703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verse member
lateral beam
reinforcement
transvers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94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기권
Original Assignee
(주)한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한길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60069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349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4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ttachment frame for a pillar of a traffic light, comprising: a pillar vertically installed on a roadside; a connection pipe vertically combined with the top of the pillar; a tubular lateral beam combined with one end of the connection pipe to be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ipe, and having a traffic light combined and installed on one side; and a connection support combining one end with the pillar, and connecting and combining the other end with the lateral beam when being installed in an upper part of the lateral beam in parallel, so as to support the lateral beam. The lateral beam comprises: a reinforcement rod having a plurality of welding holes formed along an axis on an upper surface, installed directly downwards the plurality of welding holes inside the lateral beam, and combined with the lateral beam by welding through the welding holes; and a tubular reinforcement pipe having a cut part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cluding the reinforcement rod inside the cut part, and installed insides the lateral beam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ateral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ement pipe and the reinforcement rod are embedded inside the lateral beam supporting the traffic light, so the lateral beam can be prevented from sagging and bending. Thus, occurrence of short circuit and current leakage accidents thereby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도심형 교통신호등주 부착대{Mounting apparatus for supporting bar for streetlight}{Mounting apparatus for supporting bar for streetlight}

본 발명은 도심형 교통신호등주 부착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차로나 건널목의 도로변 상에 설치된 교통 신호등을 지지하는 도심형 교통신호등주 부착대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rban traffic light main attaching stan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rban traffic light main attaching stand supporting a traffic light installed on a road side of an intersection or a crossing.

일반적으로 신호등은 통상 교차로나 건널목의 도로변 상에 신호등 지주장치를 통해 설치된다.Typically, traffic lights are typically installed on roadsides of intersections or crossings through traffic lights.

도 1은 일반적인 교통신호등주 부착대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general traffic signal light main attachment.

도 1을 참조하면, 신호등 지주장치는 교차로나 건널목의 도로변 상에 직립 설치되는 지주기둥(1)과, 지주기둥(1) 상부로부터 도로 방향의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신호등이 배치되는 가로보(2)로 구성된다. 이때, 가로보(2)는 지주기둥(1)의 상단으로부터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와이어(3)를 통해 지지되어 상하로의 흔들림이 방지된다.1, the signal lamp holding device includes a column 1 installed upright on a road surface of an intersection or a crossing, a cross beam 2 installed horizontally in the direction of the road from the upper part of the column 1, . At this time, the beam 2 is supported by a plurality of support wires 3 connec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column 1, so that the beam 2 is prevented from shaking up and down.

그러나, 지주기둥(1)의 상단으로부터 가로보(2)의 끝단부를 복수의 지지와이어(3)로 연결할 경우, 태풍 등과 같이 바람이 상대적으로 강하게 부는 경우 가로보(2)가 휘거나 부러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로보(2)의 손상이 발생할 경우 8m 이하로 가설된 도심지역의 저압선과 접촉되면서 감전사고 및 누전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However, when the end portion of the cross beam 2 is connected by the plurality of support wires 3 from the upper end of the column 1, if the wind is relatively strong like a typhoon, the cross beam 2 is bent or broken . In addition, when the crossbeam 2 is damaged, an electric shock accident and a short circuit may occur due to contact with a low-voltage line of an urban area under 8 m.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10-1219199호가 개시되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Patent Document 10-1219199 is disclosed.

상기한 선행기술은 신호등주에 연결되는 가로보와 철주에 소정의 지지봉을 연결하여, 가로보의 상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connect a predetermined support bar to a cross beam connected to a signal light beam and to prevent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beam.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가로보의 상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으나, 가로보의 보강을 위해 연결되는 지지봉이 도심지역의 전압선과 접촉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Although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can prevent the upward and downward flows of the cross beam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pport rods connected to the cross beams are in contact with the voltage lines in the urban area.

본 발명은, 교통 신호등을 지지하는 교통신호등주의 가로보의 내측으로 보강로드와 보강관을 밀착 배치하여 가로보의 처짐과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한 감전과 누선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도심형 교통신호등주 부착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ffic light which can prevent sag and warping of a cross beam by closely arranging a reinforcing rod and a reinforcement pipe inside a cross beam of a traffic signal lamp supporting a traffic signal, It is aimed to provide a signal light main attachment.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의하면, 도로변 상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지주, 상기 지주의 상단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연결관의 일단에 결합되며, 일측에 신호등이 결합 설치되는 관 형상의 가로보, 상기 가로보의 상부에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로 일단은 상기 지주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가로보에 연결 결합되어 상기 가로보를 지지하는 연결지지대를 포함하는 교통신호등주 부착대로서, 상기 가로보는, 상부면을 따라 복수의 용접공이 중심축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가로보의 내측에서 상기 복수의 용접공의 직하방으로 배치되고, 상기 용접공을 통한 용접에 의해 상기 가로보에 결합되는 보강로드와, 관 형상으로서 길이 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의 내측으로는 상기 보강로드가 배치되며, 외주면이 상기 가로보의 내주면에 밀착되며 상기 가로보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보강관을 포함하는 교통신호등주 부착대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nector, comprising: a support vertically installed on a road; a connection pipe vertically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support;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beam a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upport to support the beam, and the signal beam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beam, Wherein a plurality of welders are formed along a central axis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verse mirror, and are disposed inwardly of the plurality of welders at an inner side of the crossbar, and welded through the welder And a reinforcing rod coupled to the cross beam by a cross-sectional shape, the cross-section being formed in a tubular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reinforcing pipe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cross beam and hav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close contact with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oss beam.

상기 절개부는, 상기 가로보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cut-out portion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center axis of the beam.

상기 절개부의 양측단은 상기 보강로드의 양측과 각각 5 내지 10mm의 이격거리를 가질 수 있다.Both ends of the cutout may have a distance of 5 to 10 mm from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rod.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의하면, 도로변 상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지주, 상기 지주의 상단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연결관의 일단에 결합되고, 일측에 신호등이 결합 설치되도록 동축상에 서로 연결되어 배치되되 상기 지주에서 이격될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제1, 제2 가로부재를 포함하는 가로보, 상기 가로보의 상부에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로 일단은 상기 지주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가로보에 연결 결합되어 상기 가로보를 지지하는 연결지지대를 포함하는 도심형 교통신호등주 부착대로서, 상기 제1, 제2 가로부재는, 상부면을 따라 복수의 용접공이 중심축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 제2 가로부재의 내측에서 상기 복수의 용접공의 직하방으로 배치되고, 상기 용접공을 통한 용접에 의해 상기 제1, 제2 가로부재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 보강로드와, 관 형상으로서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보강로드가 배치되는 일정폭의 제1 절개부가 형성되고, 외주면이 상기 제1 가로부재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 가로부재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제1 보강관과, 관 형상으로서 길이 방향으로 제2 보강로드가 배치되는 일정폭의 제2 절개부가 형성되고, 외주면이 상기 제2 가로부재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 가로부재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제2 보강관을 포함하는 도심형 교통신호등주 부착대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necting pipe, including a support vertically installed on a road surface, a connection pipe vertically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support, A cross bar including first and second cross members which are coupled to one end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on a coaxial basis so that a signal lamp is coupled to the first cross member and whose diameter decreases as the first and second cross members are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And a connecting support member connected to the supporting posts at one end and connected to the at least one supporting beam to support the at least one supporting beam,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members include a plurality of Is disposed along the central axis and is disposed directly below the plurality of welders at the inn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verse members,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rods joined to the first and second transverse members by welding through the first reinforcing rods and a first incision portion of a constant width in which the first reinforcing rods are arranged in a tubular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reinforcing pipe disposed inside the first transverse member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transverse member, and a second incision portion having a constant width in which a second reinforcing rod is dispos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reinforcement pipe disposed inside the first transverse member such that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in close contact with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transverse member.

상기 제1 보강로드의 길이는 상기 제1 가로부재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고, 상기 제2 보강로드의 길이는 상기 제1 가로부재의 길이와 상기 제2 가로부재의 길이의 합에 대응할 수 있다.Wherein the length of the first reinforcing rod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first transverse member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reinforcing rod corresponds to the sum of the length of the first transverse member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transverse member have.

상기 제2 보강로드의 일단은 상기 제1 보강로드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보강로드의 타단은 상기 제2 가로부재의 용접공의 직하방으로 배치될 수 있다.One end of the second reinforcing rod may be disposed below the first reinforcing rod,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einforcing rod may be disposed directly below the welder of the second transverse member.

상기 제1 및 제2 절개부는, 상기 가로보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incisions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center axis of the beam.

상기 제1 및 제2 절개부의 양측단은, 상기 가로보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incisions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center axis of the beam.

상기 제1 및 제2 절개부 각각의 양측단은 상기 제1 및 제2 보강로드 각각의 양측과 각각 5 내지 10mm의 이격 거리를 가질 수 있다. Both ends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incisions may have a separation distance of 5 to 10 mm from both sides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rods.

상기 용접공의 직경은 12mm이다.The diameter of the welder is 12 mm.

상기 용접공의 형성 간격은 80~120mm일 수 있다.The spacing of the welders may be 80-120 mm.

본 발명에 따른 교통신호등주 부착대는, 교통 신호등을 지지하는 교통신호등주의 가로보의 내측으로 보강관과 보강 로드를 밀착 배치하여 교통 신호등이 설치된 가로보의 처짐과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한 감전과 누선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sagging and warping of a traffic signal provided by a traffic signal by closely arranging a reinforcement pipe and a reinforcement rod inside a traffic signal lamp supporting a traffic signal such as a traffic signal, It is possible to prevent a lenticular accident from occurring.

도 1은 일반적인 교통신호등주 부착대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등주 부착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로보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 가로부재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1 가로부재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A1-A1선의 선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A2-A2선의 선단면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general traffic signal light main attachment.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traffic signal light main attach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rossbar shown i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transverse member shown i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transverse member shown i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1-A1 i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2-A2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등주 부착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traffic signal light main attach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교통신호등주 부착대는, 지주(100), 연결관(200), 가로보(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main traffic light attachment unit includes a support 100, a connection pipe 200, and a beam 300.

지주(100)는 도로의 인접한 지면에 수직하게 결합 설치되는 기둥부재이다. 이러한, 지주(100)는 이후 설명될 연결관(200), 가로보(300), 연결지지대(400)를 지면으로부터 상방에 이격 배치되도록 하여, 가로보(300) 상에 설치되는 신호등(10)을 도로로부터 일정높이 상방에 배치되도록 지지하게 된다. The column 100 is a column member vertically coupled to an adjacent ground surface of the road. The support 100 includes a connection lamp 200, a beam 300 and a connection support 400 spaced upward from the ground so that the signal lamp 10 installed on the beam 300 is installed on the road As shown in FIG.

여기서, 지주(100)는 내측으로 신호등이나 각종 장치와 연결되는 전선이나 각종 기자재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중공의 타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관 형상 부재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Here, the support 100 is formed as a tubular member having a hollow elliptical or polygonal cross-section so that a signal lamp, an electric wire connected to various devices, various kinds of equipment, and the like can be installed on the inside.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그리고, 지주(100)의 하단에는 지주(100)를 상기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 결합할 수 있게 베이스판(110)을 결합 구비할 수 있다. 즉, 베이스판(110)은 상기 지면에 수평상태로 상기 지면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게 한다. 이러한, 베이스판(110)은 상기 지면에 매설되는 기초블럭(도면미도시)으로 볼트와 같은 체결기재를 통해 고정 상태로 결합되게 체결기재가 관통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공(도면미도시)이 관통 형성된다. 더불어, 지주(100)의 하단에는 베이스판(110)에 연결 결합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베이스리브(12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베이스리브(120)는 지주(100)와 베이스판(110)의 결합력을 증대시켜, 지주(100)가 베이스판(110)을 통해 상기 지면에 안정적인 고정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지주(100) 하단의 강도를 증대시킨다.The base plate 11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100 so that the support 100 can be stably fixed to the ground. That is, the base plate 110 increases the contact area with the ground in a horizontal state on the ground. The base plate 110 has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not shown) through which fastening base members are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in a fixed state through a fastening base such as a bolt in a base block (not shown) . In addition, a plurality of base ribs 120 may be radially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strut 100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be coupled to the base plate 110. That is, the base ribs 120 increas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struts 100 and the base plate 110, so that the struts 100 can be stably held on the ground through the base plate 110 )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bottom.

연결관(200)은 이후 설명될 가로보(300)를 지주(100)에 연결 상태로 결합 설치하기 위한 연결부이다. 이러한, 연결관(200)은 지주(100)의 상단 일측에 지주(100)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관통 결합된다. 그리고, 연결관(200)의 일단에는 이후 설명될 가로보(300)의 길이방향 일단을 볼트와 너트 같은 체결기재로 결합할 수 있도록 플랜지부(201)가 형성된다. 여기서, 연결관(200)은 지주(100) 상에 용접을 통해 고정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면부호 210은 지주(100)에 결합되도록 연결관(200)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연결관(200)과 지주(100)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보강날개이다.The connector 200 is a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cross beam 300 to be connected to the support 100 in a connected state. The connection pipe 20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trut 10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ut 100. A flange portion 201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oupling pipe 200 so that one longitudinal end of the cross bar 30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coupled with a fastening base such as a bolt and a nut. Here, the coupling tube 200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strut 100 through welding,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Reference numeral 210 denotes a reinforcement blade formed radially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ipe 200 to be coupled to the strut 100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coupling pipe 200 and the strut 100.

가로보(300)는 소정의 길이와 직경을 갖는 관 형상으로서, 신호등(미도시)을 도로의 상방에 배치할 수 있도록 연결관(2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결합된다. 이러한, 가로보(300)의 길이방향 일단은 연결관(200)의 일단에 연결 상태로 결합 설치된다. 이때, 가로보(300)의 길이방향 일단에는 연결관(200)의 플랜지부(201)와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기재로 결합할 수 있도록 플랜지부(310)가 형성된다. 그리고, 가로보(300)의 일측에는 신호등(미도시)을 결합 설치하게 된다.The side beam 300 has a tub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diameter and is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pipe 200 so that a signal lamp (not shown) can be disposed above the road.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am 30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upling pipe 200 in a connected state. At this time, a flange portion 310 is formed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am 300 so as to be coupled to the flange portion 201 of the coupling pipe 200 with a fastening base such as a bolt and a nut. A signal lamp (not shown)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side beam 300.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로보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면이다. 3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rossbar shown in Fig.

가로보(300)는 동축상에 중심축이 서로 일치하도록 배치되되 서로 직경을 달리하는 제1 가로부재(320A), 제2 가로부재(320B) 및 연결링(32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로보(300)는 2개의 가로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가로부재의 개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The beam 300 may include a first transverse member 320A, a second transverse member 320B, and a connecting ring 322, which are disposed on the same axis so that their central axes coincide with each other. Although the cross bar 300 is described as including two horizontal member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umber of horizontal members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제1 가로부재(320A)가 직경이 가장 크고, 그 다음으로 제2 가로부재(320B)가 제1 가로부재(320A)의 일단에 삽입 결합되는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같이, 가로보(300)는 지주(100)로부터 멀어질 수 있도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지주(100)로부터 멀어질 수 있도록 하중이 작아지면서 가로보(300)의 휨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first transverse member 320A is formed to have the largest diameter and then the second transverse member 320B has a diameter to be inserted and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transverse member 320A. Thus, the cross beam 300 is formed to have a smaller diameter so as to be farther from the strut 100, and the load is reduced so as to be distant from the strut 100, thereby preventing the cross beam 300 from being bent or damaged .

제1 가로부재(320A)와 제2 가로부재(320B)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1 가로부재(320A)와 제2 가로부재(320B) 사이에는 연결링(322)이 배치된다. A connecting ring 322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transverse member 320A and the second transverse member 320B to facilitat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transverse member 320A and the second transverse member 320B.

연결링(322)은 일단의 직경은 제1 가로부재(320A)의 직경에 대응하고, 타단의 직경은 제2 가로부재(320B)의 직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연결링(322)의 일단으로는 제1 가로부재(320A)가 연결되고, 타단으로는 제2 가로부재(320B)가 연결된다. The diameter of one end of the connecting ring 322 corresponds to the diameter of the first transverse member 320A and the diameter of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ing 322 corresponds to the diameter of the second transverse member 320B. A first transverse member 320A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ion ring 322, and a second transverse member 320B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 가로부재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1 가로부재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transverse member shown in Fig. 2,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transverse member shown in Fig.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제1 가로부재(320A)의 내측으로는 제1 보강로드(410A)와 제1 보강관(420A)이 배치된다. 4 and 5, a first reinforcing rod 410A and a first reinforcing pipe 420A are disposed inside the first transverse member 320A.

우선, 제1 가로부재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First, the first horizontal member will be described.

제1 가로부재(320A)의 상부 일측을 따라서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복수의 용접공(312)이 일정 간격으로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용접공(312)의 직경은 12mm 이고, 용접공(312)의 형성 간격은 100mm 이지만, 직경과 간격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welders 312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transverse member 320A. Here, the diameter of the weld hole 312 is 12 mm and the interval of the weld hole 312 is 100 mm, but the diameter and the gap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여기서, 복수의 용접공(312)은 제1 가로부재(320A)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제1 가로부재(320A)의 중심축에 평행한 직선상에 형성된다. Here, the plurality of welds 312 are formed on a straight line parallel to the center axis of the first transverse member 320A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transverse member 320A.

제1 보강로드(410A)는 소정의 길이와 직경을 갖는 금속 소재를 포함하는 로드 형태로서, 단면 형태가 원형으로 이루어지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타원 또는 사각형의 단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reinforcing rod 410A is a rod shape including a metal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diameter, and has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However, the first reinforcing rod 410A may have an elliptical or quadrangular cross-sectional shape depending on the needs of the user.

제1 보강로드(410A)는 제1 가로부재(320A)의 내측에 배치되되, 용접공(312)의 직하방의 위치에 배치된다. 이후, 제1 보강로드(410A)는 용접공(312)을 통한 용접에 의해 제1 가로부재(320A)에 결합되어, 제1 가로부재(320A)를 지지한다. 제1 보강로드(410A)의 길이는 제1 가로부재(320A)의 길이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reinforcing rod 410A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transverse member 320A and is disposed at a position directly below the welder 312. [ The first reinforcing rod 410A is then coupled to the first transverse member 320A by welding through the weld hole 312 to support the first transverse member 320A. The length of the first reinforcing rod 410A preferably corresponds to the length of the first transverse member 320A.

제1 보강관(420A)은 소정의 길이와 직경을 관 형상으로서, 제1 가로부재(320A)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제1 보강관(420A)의 길이와 직경은 제1 가로부재(320A)의 길이와 직경에 대응한다. 따라서, 제1 보강관(420A)의 외주면은 제1 가로부재(320A)의 내주면에 밀착하여 제1 가로부재(320A)를 보강한다. The first reinforcement pipe 420A is inserted into the first transverse member 320A in a tubular shape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nd diameter. The length and diameter of the first reinforcing tube 420A correspond to the length and diameter of the first transverse member 320A. Therefor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einforcing pipe 420A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transverse member 320A to reinforce the first transverse member 320A.

제1 보강관(420A)은 일측면상에 일단에서 타단으로 중심축과 평행하게 소정의 폭을 갖는 제1 절개부(422)가 형성된다. The first reinforcing pipe 420A has a first cutout 422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which is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제1 절개부(422) 상에는 제1 보강로드(410A)가 배치된다. 제1 절개부(422)의 양측은 제1 보강로드(410A)와 평행하게 형성되고, 제1 보강로드(410A)의 측단과는 소정 거리 이격된다. 여기서, 제1 절개부(422)의 측단과 제1 보강로드(410A)의 측단은 5 내지 10mm의 이격 거리를 갖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이격 거리는 증감될 수 있다. 제1 절개부(422)의 측단과 제1 보강로드(410A)의 측단의 이격 거리는 후술하는 제2 절개부와 제2 보강로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가로보가 단일의 가로부재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A first reinforcement rod 410A is disposed on the first incision 422. [ Both sides of the first incision portion 422 are formed parallel to the first reinforcing rod 410A and are spaced apart from the side end of the first reinforcing rod 410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Here, the side end of the first incision portion 422 and the side end of the first reinforcing rod 410A have a separation distance of 5 to 10 mm, but the separation distance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as needed by the user. The distance between the side end of the first incision portion 422 and the side end of the first reinforcement rod 410A can be similarly applied to the second incision portion and the second reinforcement rod described later. The same can be applied to the case where the beam is formed of a single horizontal member.

제1 보강로드(410A)와 제1 보강관(420A)의 단부는 연결링(322)에 결합되어 제1 및 제2 가로부재(320A, 320B)를 포함하는 가로보(300)의 지지를 강화할 수 있다. The ends of the first reinforcing rod 410A and the first reinforcing tube 420A are joined to the connecting ring 322 to reinforce the support of the beam 300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lateral members 320A and 320B have.

도면에서, 제1 보강로드(410A)와 제1 보강관(420A)의 단부가 노출되어 있다. 노출된 단부는 연결링에 연결될 수 있다. In the drawing, the ends of the first reinforcing rod 410A and the first reinforcing pipe 420A are exposed. The exposed end can b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ing.

도 6은 도 2의 A1-A1선의 선단면도이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1-A1 in Fig.

도 6을 참조하면, 제1 가로부재(320A)의 용접공(312) 직하부에 제1 보강로드(410A)가 배치되어 있어 제1 가로부재(320A)를 지지하고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제1 가로부재(320A)의 내주면에 제1 보강관(420A)의 외주면이 밀착되어 있어 제1 가로부재(320A)를 지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a first reinforcement rod 410A is disposed under the welder 312 of the first transverse member 320A to support the first transverse member 320A. It is also understood th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reinforcing pipe 420A is closely attach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transverse member 320A to support the first transverse member 320A.

또한, 제1 보강로드(410A)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제2 보강로드(410B)가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It is also understood that a second reinforcing rod 410B,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disposed under the first reinforcing rod 410A.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여기서, 가로보(300)가 포함하는 제1 가로부재(320A)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제2 가로부재(320B)의 내측으로 제2 보강로드(410B)와 제2 보강관(420B)이 배치된다. 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제1 가로부재(320A) 내측으로의 보강로드와 보강관의 배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Although the first transverse member 320A included in the beam 300 is described as an example, the second reinforcing rod 410B and the second reinforcing pipe 420B are disposed inside the second transverse member 320B .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Howeve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parts as those of the reinforcement rods and reinforcement pipes in the first transverse member 320A will be omitted, and only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제2 보강로드(410B)의 길이는 제1 가로부재(320A)와 제2 가로부재(320B)의 길이의 합에 대응한다. The length of the second reinforcing rod 410B corresponds to the sum of the lengths of the first transverse member 320A and the second transverse member 320B.

제2 보강로드(410B)의 일단은 제1 가로부재(320A) 내측으로 배치된 제1 보강로드(410A)의 하부에 배치되지만, 제2 보강로드(410B)의 타단은 제2 가로부재(320B)의 용접공 직하방에 배치된 후, 용접공을 통한 용접에 의해 제2 가로부재(320B)와 결합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second reinforcing rod 410B is disposed below the first reinforcing rod 410A disposed inside the first transverse member 320A while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einforcing rod 410B is connected to the second transverse member 320B , And then can be coupled with the second transverse member 320B by welding through a welder.

여기서, 제2 보강로드(410B)는 제1 보강로드(410A)와 결합된 후, 가로부재 내측으로 배치될 수 있지만, 가로부재 내측으로 배치된 후 제1 보강로드(410A)와 결합될 수 있다. Here, the second reinforcing rod 410B may be disposed inside the transverse member after being combined with the first reinforcing rod 410A, but may be disposed inside the transverse member and then combined with the first reinforcing rod 410A .

도 7은 도 2의 A2-A2선의 선단면도이다.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2-A2 in Fig.

도 7을 참조하면, 제2 보강로드(410B)는 제2 가로부재(320B)의 용접공 직하방에 결합되어 있고, 제2 보강관(420B)의 제2 절개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2 보강관(420B)의 외주면은 제2 가로부재(320B)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second reinforcing rod 410B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transverse member 320B directly below the welder, and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incisions of the second reinforcing tube 420B,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inforcing pipe 420B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ross member 320B.

한편, 연결지지대(302)가 더 배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connection support 302 can be further disposed.

연결지지대(302)는 가로보(300)와 지주(100)의 연결을 보강하여, 지주(100)의 휨이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연결지지대(302)는 가로보(300)의 상부에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 즉 지주(100)에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로 길이방향 일단은 지주(100) 일측에 고정상태로 결합된다. 그리고, 연결지지대(302)의 길이방향 타단은 하방으로 절곡 연장된 상태로 가로보(300) 일측에 연결 결합된다.The connection support 302 reinforc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beam 300 and the support 100 to prevent the support 100 from being bent or broken. The connection supports 302 are fixed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100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supports 302 are arranged in parallel to the upper side of the beam 300,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support base 302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beam 300 in a state of being bent downward.

이러한, 연결지지대(302)는 중공을 가지는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때 연결지지대(302)의 내측에는 연결지지대(302)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보강연결대(도면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보강연결대는 연결지지대(302)의 상하 전단응력을 보강하여, 가로보(30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한다.The connection support 302 may be formed in a tubular shape having a hollow. At this time, a reinforcing link (not shown) may be provided inside the connection support 30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support 302. The reinforcing connecting rod reinforces the vertical shearing stress of the connecting support 302, so that the beam 300 can be more stably supported.

본 발명은, 교통 신호등을 지지하는 가로보의 내측으로 보강용 파이프와 보강용 로드를 내장하여 가로보의 처짐과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한 감전과 누선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deflection and bending of a cross beam by incorporating a reinforcing pipe and a reinforcing rod inside a cross beam supporting a traffic signal light,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electric shock and laceration accident from occurring.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지주 110: 베이스판
120: 베이스리브
200: 연결관 300: 가로보
320A: 제1 가로부재 320B: 제2 가로부재
410A: 제1 보강로드 410B: 제2 보강로드
420A: 제1 보강관 420B: 제2 보강관
100: column 110: base plate
120: bass rib
200: connector 300:
320A: first lateral member 320B: second lateral member
410A: first reinforcing rod 410B: second reinforcing rod
420A: first reinforcement pipe 420B: second reinforcement pipe

Claims (1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도로변 상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지주, 상기 지주의 상단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연결관의 일단에 결합되고, 일측에 신호등이 결합 설치되도록 동축상에 서로 연결되어 배치되되 상기 지주에서 이격될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제1, 제2 가로부재를 포함하는 가로보, 상기 가로보의 상부에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로 일단은 상기 지주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가로보에 연결 결합되어 상기 가로보를 지지하는 연결지지대를 포함하는 도심형 교통신호등주 부착대로서,
상기 제1, 제2 가로부재는,
상부면을 따라 복수의 용접공이 중심축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 제2 가로부재의 내측에서 상기 복수의 용접공의 직하방으로 배치되고, 상기 용접공을 통한 용접에 의해 상기 제1, 제2 가로부재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 보강로드와,
관 형상으로서 길이 방향으로 일정폭의 제1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절개부의 내측으로는 상기 제1 보강로드가 배치되되 상기 제1 절개부의 양측단은 상기 제1 보강로드의 양측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외주면이 상기 제1 가로부재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 가로부재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제1 보강관과,
관 형상으로서 길이 방향으로 일정폭의 제2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절개부의 내측으로는 상기 제2 보강로드가 배치되되 상기 제2 절개부의 양측단은 상기 제2 보강로드의 양측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외주면이 상기 제2 가로부재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2 가로부재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제2 보강관을 포함하는 도심형 교통신호등주 부착대.
A connecting pipe vertically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strut, a stru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ing pipe so as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ipe, and a signal lamp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trut, And the first and second transverse members are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upper side of the transverse beam, one end is coupled to the strut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transverse beam, And a connecting support for supporting the cross beam,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transverse members are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A plurality of welders are formed along the central axis along the top surfac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rods disposed inside the first and second transverse members directly below the plurality of welders and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transverse members by welding through the welder,
Wherein a first incision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as a tubular shape and the first reinforcement rod is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incision portion and both side ends of the first incision portion are spaced apart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reinforcement rod A first reinforcement pipe disposed inside the first transverse member so that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in close contact with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transverse member;
A second incision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in the tubular shape and the second reinforcement rod is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incision portion and both side ends of the second incision portion are spaced apart from both sides of the second reinforcement rod And a second reinforcement pipe disposed inside the second transverse member such that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in close contact with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transverse memb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로드의 길이는 상기 제1 가로부재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고,
상기 제2 보강로드의 길이는 상기 제1 가로부재의 길이와 상기 제2 가로부재의 길이의 합에 대응하는 도심형 교통신호등주 부착대.
5. The method of claim 4,
The length of the first reinforcing rod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first transverse member,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reinforcing rod corresponds to the sum of the length of the first transverse member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transverse memb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강로드의 일단은 상기 제1 보강로드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보강로드의 타단은 상기 제2 가로부재의 용접공의 직하방으로 배치되는 도심형 교통신호등주 부착대.
6. The method of claim 5,
One end of the second reinforcing rod is disposed under the first reinforcing rod,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einforcing rod is disposed directly below the welder of the second transverse memb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절개부는,
상기 가로보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도심형 교통신호등주 부착대.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incisions comprise:
A main traffic light signal main attachment portion formed in parallel with the center axis of the crossba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절개부 각각의 양측단과 상기 제1 및 제2 보강로드 각각의 양측과의 이격 거리는 5 내지 10mm인 도심형 교통신호등주 부착대.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spacing distance between both side ends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incisions and both sides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rods is 5 to 10 m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공의 직경은 12mm인 도심형 교통신호등주 부착대.
5. The method of claim 4,
The welder has a diameter of 12 mm and is mounted on an urban traffic light main attaching bas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공의 형성 간격은 80~120mm인 도심형 교통신호등주 부착대.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pacing of welders is 80 to 120 mm.
KR1020160069440A 2016-06-03 2016-06-03 Mounting apparatus for supporting bar for streetlight KR1017034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440A KR101703493B1 (en) 2016-06-03 2016-06-03 Mounting apparatus for supporting bar for streetligh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440A KR101703493B1 (en) 2016-06-03 2016-06-03 Mounting apparatus for supporting bar for streetligh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3493B1 true KR101703493B1 (en) 2017-02-22

Family

ID=58314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9440A KR101703493B1 (en) 2016-06-03 2016-06-03 Mounting apparatus for supporting bar for streetligh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349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0128A (en) 2019-09-09 2021-03-17 주식회사 엠앤씨코리아 Road Traffic Signal Equipment
KR102315929B1 (en) * 2021-04-29 2021-10-21 주식회사 성동테크 Easy post structure absorving vivration and preventing sagging
KR20220040283A (en) 2020-09-23 2022-03-30 주식회사 엠앤씨코리아 Road Traffic Signal Equip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261B1 (en) * 2012-09-24 2013-03-18 황민선 Beam unit and the road traffic facilities support unit with it
KR101542950B1 (en) * 2014-08-12 2015-08-13 황민선 Cross beam reinforcement structure
KR101567029B1 (en) * 2015-03-02 2015-11-06 황민선 Cross beam for traffic ligh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261B1 (en) * 2012-09-24 2013-03-18 황민선 Beam unit and the road traffic facilities support unit with it
KR101542950B1 (en) * 2014-08-12 2015-08-13 황민선 Cross beam reinforcement structure
KR101567029B1 (en) * 2015-03-02 2015-11-06 황민선 Cross beam for traffic light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0128A (en) 2019-09-09 2021-03-17 주식회사 엠앤씨코리아 Road Traffic Signal Equipment
KR20220040283A (en) 2020-09-23 2022-03-30 주식회사 엠앤씨코리아 Road Traffic Signal Equipment
KR102315929B1 (en) * 2021-04-29 2021-10-21 주식회사 성동테크 Easy post structure absorving vivration and preventing sagg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3493B1 (en) Mounting apparatus for supporting bar for streetlight
KR101244261B1 (en) Beam unit and the road traffic facilities support unit with it
KR101085031B1 (en) Install mount for street facility
KR101567029B1 (en) Cross beam for traffic lights
KR102009620B1 (en) An antideflection structure for a horizontal arm of a traffic lamp pole
KR101251124B1 (en) Support structure
KR101103563B1 (en) Traffic lights bolt holding device
KR200386251Y1 (en) post for a signal lamp
KR101453863B1 (en) Supporting apparatus for installation of road traffic facilities
KR102297253B1 (en) Smart traffic lights supporting appratus having strength reinfforce section
KR101106074B1 (en) Mount and support device for establishing traffic facility
KR101254484B1 (en) Arm for signal lamp with improved beautiful sight
KR101343504B1 (en) Supporting device for establishing road facility
KR20220162024A (en) Smart traffic lights supporting appratus
KR101934541B1 (en) Multifunctional pole apparatus for establishing road facility
KR102167170B1 (en) Wireless multifunctional pole for road facility
KR101326157B1 (en) Supporting equipment of road signal panel
KR101544122B1 (en) Supporting equipment for establishing road facility
KR102622595B1 (en) A Supporting bar for Traffic light
KR101766266B1 (en) Connecting rod for wireless traffic light
KR101113137B1 (en) Cantilever type octagon for traffic lights
KR101320528B1 (en) Supporting device for streetlight
KR101679392B1 (en) Led emitting diode assembled traffic light
KR101354084B1 (en) Light of the holding device structure without ribs
KR20150085596A (en) Mounting apparatus for establishing road fac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