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6074B1 - Attachment and strut device for installation of traffic facilities - Google Patents

Attachment and strut device for installation of traffic faciliti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6074B1
KR101106074B1 KR1020110050467A KR20110050467A KR101106074B1 KR 101106074 B1 KR101106074 B1 KR 101106074B1 KR 1020110050467 A KR1020110050467 A KR 1020110050467A KR 20110050467 A KR20110050467 A KR 20110050467A KR 101106074 B1 KR101106074 B1 KR 101106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
mounting
traffic
installation
reinforc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04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선미
Original Assignee
김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미 filed Critical 김선미
Priority to KR1020110050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607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07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교통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는, 도로에 직립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교통시설물이 설치되는 중공의 부착대와, 상기 부착대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부착대의 쳐짐을 방지하는 보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교통 시설물 설치용 부착대 및 지주장치에 의하면, 지주에 고정되는 외팔보 형태의 부착대가 와이어에 의해 지지되지 않더라도 자체 하중이나 설치된 교통시설물의 무게에 의해 쳐지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가져서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strut device for installing a traffic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that is installed upright on a road, a hollow mount that is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support to install a traffic facility, and is provided inside the mount to prevent sagging of the mount. It includes a reinforcement part.
According to the mounting device and the support devic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traffic facilities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cantilever-shaped mounting bracket fixed to the support is not supported by the wire, it can be sufficiently supported by the structure to prevent it from being struck by its own load or the weight of the installed traffic facility. It has an effect.

Description

교통 시설물 설치용 부착대 및 지주장치{Mount and support device for establishing traffic facility}Mount and support device for establishing traffic facility

본 발명은 교통 시설물 설치용 부착대 및 지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에 의해 지지되지 않더라도 그 단부로 갈수록 쳐지지 않도록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진 부착대 및 이를 포함하는 지주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unt and a support device for installing a traffic facil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unt and a support device having a structure having a sufficient strength so as not to fall to the end even if not supported by a wire. .

교통 통제를 위한 시설물로는 신호등, 각종 표지판 및 교통정보 수집을 위한 카메라 등이 있다. 이러한 교통 시설물들은 교차로나 건널목의 도로변 또는 도로 중앙에 교통 시설물 지지용 지주장치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Facilities for traffic control include traffic lights, signs and cameras for collecting traffic information. These traffic facilities are generally installed in a support system for supporting traffic facilities at the side of the road or at the center of the intersection or crossing.

지주장치는 보통 도로변 일측에 직립 설치되는 지주와 지주 상부로부터 도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외팔보 형태의 부착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strut device usually includes a strut installed upright on one side of the roadside and a cantilever-shaped attachment stand installed in the direction of the road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strut.

상기 부착대는 외팔보 형태이기 때문에 부착대의 자중에 의해 그 단부로 갈수록 아래로 쳐지게 된다. 게다가, 신호등 또는 카메라 등이 부착되는 경우 그 무게가 더해지기 때문에 부착대가 더 많이 쳐질 수 있다.Since the mount is cantilevered, it is struck down toward its end by the weight of the mount. In addition, when a traffic light or a camera or the like is attached, the weight may be added, so that the mount may be hit more.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의 부착대는 지주의 상단부에 연결된 와이어에 의해 지지되었다.To prevent this, the conventional mounting table was supported by a wir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post.

도 1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지주장치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1 shows an example of a ho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지주장치는 도로 일측에 직립형태로 설치되는 지주(10)와, 상기 지주(10)의 상부에서 도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신호등(5)과 같은 교통시설물이 장착되는 외팔보 형태의 부착대(20)와, 상기 지주(10)의 상단부와 부착대(20)의 상부 지점에 연결되어 부착대를 지지하는 와이어(30)를 포함한다.As shown, the conventional strut device is a cantilever form in which a strut 10 is installed in an upright form on one side of the road and a traffic facility such as a traffic light 5 is installed in the direction of the roa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trut 10. It is attached to the mounting table 20,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10 and the wire 30 is connected to the upper point of the mounting table 20 to support the mounting table.

상기 부착대(20)의 일측 단부에는 플랜지부(25)가 형성되어 있어서 지주(10)의 측면에 고정된 플랜지부(15)와 나사로 결합된다. 각 플랜지부(15, 25)에는 보강 리브(14, 24)가 형성되어 있어서 굽힘 강도를 보강한다.A flange portion 25 is formed at one end of the mount 20 to be coupled to the flange portion 15 fixed to the side of the support 10 with a screw. Reinforcing ribs 14 and 24 are formed in each of the flange portions 15 and 25 to reinforce the bending strength.

또한, 상기 부착대(20)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지주(10)의 플랜지부(15) 아래에는 플레이트 형태의 보강지지편(40)이 더 구비되어 상기 부착대(20)를 아래에서 지지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support the mount 20 more firmly, a plate-shaped reinforcement support piece 40 is further provided below the flange portion 15 of the support 10 to mount the mount 20 below. I support it.

상기 부착대(20)는 강판으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부착대의 크기와 길이에 따라 부착대 자체의 하중도 상당하다. 게다가, 상기 부착대(20)에 신호등, 각종 표지판 및 교통정보 수집을 위한 카메라 등이 장착되는 경우, 그 무게와 부착대의 자중에 의해 부착대의 단부로 갈수록 아래로 쳐지는 것이 심해지게 된다.Since the mount 20 is generally made of a steel sheet, the load of the mount itself is also significant, depending on the size and length of the mount. In addition, when the traffic light, various signs and a camera for collecting traffic information are mounted on the mount 20, the weight and the weight of the mount are severely lowered toward the end of the mount.

이와 같은 종래의 지주장치는 부착대(20)가 아래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의 와이어(31, 32, 33)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지주장치의 구조가 복잡하여 도시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Such a conventional holding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the structure of the holding device is complicated to damage the aesthetics of the device because a plurality of wires 31, 32, and 33 must be installed in order to prevent the mounting table 20 from falling down. .

또한, 부착대(20) 상부에 와이어가 연결되므로 와이어와의 간섭에 의해 상기 부착대에 설치되는 카메라 또는 표지판 등의 설치시 어려움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wire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 20, there was a difficulty in installing a camera or a sign installed on the mount by interference with the wire.

그리고, 와이어가 복수개 연결되는 경우에, 와이어 또는 그 고정부의 피로도가 증가하여 풀림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이에 따라 특정 와이어에 하중이 집중되는 문제점도 있었다.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wires are connect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loosening may occur due to an increase in the degree of fatigue of the wire or its fixing part,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load is concentrated on a specific wire.

게다가, 지주장치에서 도로 폭이 넓어서 지주에서 연장되는 부착대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와이어를 더 많이 설치할 필요가 있어서, 미관을 해치는 문제는 더 심각해지고, 다른 방법으로 지지력을 보강하는 것이 더욱 절실하다.In addition, the wider the road in the strut device, the longer the length of the mount extending from the strut needs to install more wires, so that the problem of aesthetics becomes more serious, and it is more urgent to reinforce the bearing capacity in other way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공보 제10-0838710호에 개시된 신호등 지지용 지주장치는, 지주와 부착대를 그 외부에서 연결하여 지지하는 와이어 대신, 부착대 내부로 연결되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배치된 와이어로 가로보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holding device for supporting traffic light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838710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mounting stand so as to be invisible from the outside instead of the wire for supporting the supporting post and the mounting stand from the outside thereof. It is proposed to reinforce the bearing capacity of cross beams with wires.

도 2에는 등록특허공보 제10-0838710호에 개시된 신호등 지지용 지주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olding device for supporting traffic light 100 disclosed in the Patent Publication No. 10-0838710.

도 2의 신호등 지지용 지주장치(100)는, 교차로나 건널목의 도로변 상에 직립 설치되는 지주기둥(110), 지주기둥으로부터 도로 방향으로 설치되어지되 그 하단을 통해 신호등을 지지하는 중공의 가로보(120) 및 가로보를 지주기둥에 결합 고정시켜 외팔보 형태로 지지되도록 하는 가로보 고정수단(130)으로 이루어진 신호등 지지용 지주장치에 있어서, 가로보의 끝단으로부터 중공의 내부를 통해 지주기둥에 지지되어 가로보를 지지하는 다수의 가로보 지지와이어(140); 및 지주기둥에 관통 설치된 상태로 가로보 지지와이어의 지주기둥측 끝단에 연결되어 가로보 지지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와이어 장력조절수단(150, 152)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traffic light support holding device 100 of FIG. 2 is a pillar pillar 110 that is installed upright on the roadside of an intersection or a crosswalk, and is provided in the direction of the road from the pillar column, but has a hollow cross beam that supports the traffic light through its lower end ( 120) and the holding device for supporting traffic lights comprising a horizontal beam fixing means 130 for coupling and fixing the cross beams to the column pillar to be supported in the form of a cantilever beam. A plurality of cross beam support wire 140; And wire tension adjusting means (150, 152) connected to the end of the post pillar side of the cross beam support wire in a state installed through the post pillar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cross beam support wire.

하지만, 도 2의 지주장치(100)는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 및 설치가 어렵고, 상기 다수의 가로보 지지와이어(140)에 의한 쳐짐 방지의 효과도 그리 크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strut device 100 of FIG. 2 has a problem in that its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difficult to manufacture and install, and the effect of preventing sagging by the plurality of cross beam support wires 140 is not so great.

다시 말해서, 상기 지지와이어(140)를 가로보(120) 내부를 통해 연결해야 하고, 상기 지주기둥(110)에도 와이어 관통공을 뚫어야 하는 등 가로보의 제작 및 설치가 어렵다.In other words, the support wire 140 must be connected through the cross beams 120, and the production and installation of cross beams is difficult, such as the need to drill a wire through hole in the pillar pillar 110.

또한, 상기 가로보(120)는 그 쳐짐 방지를 위해 그 지름이 약 200mm로 제작되어야 하는데, 이는 종래 와이어를 설치하는 가로보가 80~100mm인 것에 비해 2배 이상으로 큰 치수이다. 따라서, 가로보의 제작에 필요한 재료 비용이 그만큼 늘어나게 된다.In addition, the cross beam 120 should be manufactured to a diameter of about 200mm to prevent sagging, which is more than twice as large as a cross beam for installing a conventional wire is 80 to 100mm. Therefore, the material cost required for the production of cross beams increases accordingly.

그리고, 도 3 및 도 4에는 등록특허공보 제10-0946212호에 개시된 교통시설물 설치용 가로보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 cross beam for installing traffic facilitie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946212.

도 3 및 도 4의 교통시설물 설치용 가로보의 설치구조는, 지주(3)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공(미도시)에 외주면에 복수의 보강리브(111)가 형성된 플랜지부(110)에 의해 고정되는 제 1가로보(10)와, 상기 제 1가로보(10)의 상측에 고정브라켓(50)에 의해 고정되는 제 2가로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교통시설물 설치용 가로보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 2가로보(30)는 선단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의 대각선 길이(L)가 점차 짧아지는 다각형 파이프(310)와; 상기 다각형 파이프(310)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수직형성되는 보강판(330)과; 상기 다각형 파이프(310)의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브라켓(50)은 상기 제 2가로보(30)의 플랜지부(350)에 체결부재(5)에 의해 고정되는 플랜지부(511)가 구비되고, 상기 제 1가로보(10)의 플랜지부(110)의 보강리브(111)가 삽입되는 삽입홈(513)이 하부에 형성된 일측 브라켓(510)과; 상기 지주(3)를 감싼 상태로 상기 일측 브라켓(510)에 체결부재(7)에 의해 결합되고, 하부에 상기 제 1가로보(10)의 플랜지부(110)의 보강리브(111)가 삽입되는 삽입홈(533)이 형성된 타측 브라켓(5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3 and 4,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cross beam for installing traffic facilities is fixed by a flange part 110 hav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111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n a through hole (not shown)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3. In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crossbeam for the installation of traffic facilities comprising a first crossbeam 10, and the second crossbeam (30)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rossbeam 10 by a fixing bracket (50), The two-beams 30 may include a polygonal pipe 310 in which the diagonal length L of the cross section is gradually shortened toward the tip direction; A reinforcement plate 330 vertically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polygonal pipe 310; And a flange portion 350 formed at an end of the polygonal pipe 310, wherein the fixing bracket 50 is fastened by a fastening member 5 to the flange portion 350 of the second crossbeam 30. A side bracket 510 having a flange portion 511 fixed thereto, and an insertion groove 513 into which a reinforcing rib 111 of the flange portion 110 of the first crossbeam 10 is inserted; Is coupled to the one side bracket 510 by the fastening member (7) in the state wrapped around the support (3), the reinforcing rib 111 of the flange portion 110 of the first crossbeam 10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It comprises a; the other side bracket 530, the insertion groove 533 is formed.

하지만, 도 3 및 도 4의 교통시설물 설치용 가로보의 설치구조는 다각형 파이프(310)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보강판(330)이 수직형성되는 바, 교통시설물을 설치할 때 상기 보강판(330)과 간섭되지 않도록 부착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However,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horizontal beam for installation of traffic facilities of Figures 3 and 4 is a bar that is vertically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top of the polygonal pipe 310, the reinforcement plate 330 and when installing the traffic facilities There is a difficulty to attach so as not to interfere.

또한, 상기 보강판(330)이 파이프(310)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서, 외관상으로도 복잡하고, 가로보를 제작 및 설치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einforcing plate 33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ipe 310, there is a problem in appearance is complicated,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and install the cross beam.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주에 고정되는 외팔보 형태의 부착대가 와이어에 의해 지지되지 않더라도 충분한 지지력을 가져서 자체 하중이나 설치된 교통시설물의 무게에 의해 쳐지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 부착대 및 지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even if the cantilever-shaped mounting table fixed to the support is not supported by the wire has a sufficient support force so as not to be struck by its own load or the weight of the installed traffic facilitie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olding mount and a holding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교통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는, 도로에 직립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교통시설물이 설치되는 중공의 부착대와, 상기 부착대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부착대의 쳐짐을 방지하는 보강부를 포함한다.The strut device for transportation facility instal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illar that is installed upright on the road, a hollow mounting table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support column, the traffic facility is installed, and provided inside the mount And a reinforcing portion to prevent sagging of the mount.

상기 보강부는 수직의 판 형태로 상기 부착대 내부에 일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inforcing portion is preferably provided integrally inside the mounting table in the form of a vertical plate.

상기 보강부는 그 무게를 줄이기 위해 복수의 구멍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reinforcing part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les to reduce the weight.

상기 보강부는 부착대의 지주측 연결부에서부터 보강판의 단부 측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점 줄어드는 모양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reinforcing portion is preferably in the shape of the height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end side of the reinforcing plate from the support side connection portion of the mounting table.

상기 부착대는 그 단부로 갈수록 그 수직 단면 크기가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mount is formed such that its vertical cross-sectional size becomes smaller toward its end.

상기 보강부는 부착대의 수직 단면에서 볼 때 지그재그로 절곡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reinforcing portion is bent in a zigzag form when viewed from the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mount.

그리고, 본 발명의 교통시설물 설치용 부착대는, 도로에 직립 설치되는 지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외팔보 형태로 설치되어 교통시설물이 설치되는 부착대에 있어서, 상기 부착대는 중공의 파이프부와, 상기 파이프부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부착대의 쳐짐을 방지하는 보강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ounting stand for the installation of traffic faciliti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cantilever form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a support post installed upright on a road, and the mounting stand is provided with a traffic pipe. And a reinforcing portion provided to prevent sagging of the mount.

상기 보강부는 수직의 판 형태로 상기 부착대 내부에 일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inforcing portion is preferably provided integrally inside the mounting table in the form of a vertical plate.

상기 보강부는 그 무게를 줄이기 위해 형성된 복수의 구멍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inforcement preferably includes a plurality of holes formed to reduce its weight.

상기 보강부는 부착대의 지주측 연결부에서부터 보강부의 단부 측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점 줄어드는 모양인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reinforcing portion has a shape in which the height thereof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strut side connection portion of the mount to the end side of the reinforcing portion.

상기 부착대는 그 단부로 갈수록 그 수직 단면 크기가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mount is formed such that its vertical cross-sectional size becomes smaller toward its end.

상기 보강부는 상기 부착대의 수직 단면에서 볼 때 지그재그로 절곡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reinforcing part is bent in a zigzag form when viewed in a vertical section of the mount.

상기한 본 발명의 교통 시설물 설치용 부착대 및 지주장치에 의하면, 지주에 고정되는 외팔보 형태의 부착대가 와이어에 의해 지지되지 않더라도 자체 하중이나 설치된 교통시설물의 무게에 의해 쳐지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가져서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ounting device and the support device for the installation of traffic facilities, even if the cantilever-shaped mounting bracket fixed to the support is not supported by the wire, it has a structure such that it does not fall by its own load or the weight of the installed traffic facility. It can work.

또한, 상기 부착대의 쳐짐 방지를 위한 보강부가 부착대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부착대에 교통 시설물을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와 간섭될 우려가 없고 미관상으로도 우수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einforcing part for preventing sagging of the mounting stand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unting stand, there is no fear of interfering with the reinforcing part in installing the traffic facilities on the mounting stand, and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in appearance.

또한, 상기 부착대의 생산성 및 조립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종래기술에 비해 부착대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작게 하더라도 부착대의 쳐짐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not only the productivity and assemblability of the mounting stand is excellent but also the size of the mounting stand is relatively small a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and there is an effect of sufficiently preventing the sagging of the mounting stan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지주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지주장치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지주장치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고정브라켓 부분을 중심으로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제1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보강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제2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제3 실시예의 단면도(a)와 보강부를 나타내는 측면도(b)이다.
도 10은 도 5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제4 실시예의 단면도(a)와 보강부를 나타내는 측면도(b)이다.
도 11는 도 6 또는 도 8에 도시된 보강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6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보강부가 지그재그로 형성된, 제5 실시예에 따른 부착대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8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보강부가 지그재그로 형성된, 제6 실시예에 따른 부착대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보강부가 십(十)자 모양으로 형성된, 제7 실시예에 따른 부착대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6 또는 도 8에 도시된 파이프부를 이루게 되는 사다리꼴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1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ho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trut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ho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xing bracket portion of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ho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FIG. 5.
FIG. 7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reinforcement unit illustrated in FIG. 6.
FIG. 8 is a sectional view of a second embodiment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a) of the third embodiment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FIG. 5 and a side view (b) showing the reinforcement part.
10 is a sectional view (a) and a side view (b) of a reinforcing portion of a fourth embodiment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FIG.
11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reinforcement unit shown in FIG. 6 or 8.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ross section of the mounting tabl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in which the reinforcing portion is zigzag in a view corresponding to FIG. 6.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ross section of the mounting tabl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in which the reinforcing portion is zigzag as a diagram corresponding to FIG. 8.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mounting table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wherein the reinforcing portion is formed in a cross shape.
FIG. 1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trapezoidal plate forming a pipe part illustrated in FIG. 6 or 8.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지주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에 직립 설치되는 지주(100)와, 상기 지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교통시설물이 설치되는 중공의 부착대(2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5, the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100 installed upright on a road, and a hollow mounting table 200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support, on which traffic facilities are installed.

상기 지주(100)는 도로변 또는 도로의 중앙이나 일측에 직립하여 설치된다. 이 지주(100)의 하단부에는 나사(미도시)가 통과되는 구멍이 형성된 플랜지부(120)가 형성되어 있어서, 도로 일측면에 마련된 고정용 플랜지부(미도시)와 나사 결합된다.The support 100 is installed upright on the roadside or the center or one side of the road.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100 is formed with a flange portion 120 formed with a hole through which a screw (not shown) passes, and is screwed with a fixing flange portion (not show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oad.

상기 플랜지부(12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플랜지부(120)와 지주의 하단부 외면 사이에는 다수의 보강리브(11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flange 120,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110 may be integrally formed between the flange 12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상기 지주(100)의 상부에는 도로 방향으로 부착대(200)가 설치된다. 지주(100)의 상부 측면에는 상기 부착대(200)를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부(150)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The mounting table 200 is install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pillar 100. A flange portion 150 for fixing the mounting table 200 is integrally provided at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100.

상기 부착대(200)의 일측 단부에도 플랜지부(250)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어서, 두 플랜지부(150, 250)가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Since the flange part 250 is integrally provided at one end of the mounting table 200, the two flange parts 150 and 250 may be coupled by a bolt and a nut.

상기 각 플랜지부(150. 250)에는 상기 지주(100)와 부착대(200)의 연결부 강도 보강을 위해 보강리브(140, 240)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Reinforcing ribs 140 and 240 are integrally formed at each of the flange parts 150 and 250 to reinforce the connection part of the support 100 and the mounting table 200.

도 5에는 부착대(200)의 하부에 교통시설물의 일례로서 신호등(5)이 설치되어 있다. 이 부착대(200)에는 신호등(5)뿐만 아니라 과속 또는 주정차 단속이나 교통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고, 또한 속도 제한이나 교통 안내 등의 각종 표지판도 설치될 수 있다.In FIG. 5, a traffic light 5 is installed below the mounting table 200 as an example of a traffic facility. In addition to the traffic light 5, the mounting table 200 may be provided with a camera for checking the speed or stop or traffic conditions, and may also be installed various signs such as speed limit and traffic guidance.

상기 지주(100)는 설치되는 곳의 상황과 필요한 교통시설물의 종류에 따라 그 길이가 5~15m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지주(100)의 상단부에는 교통시설물 뿐만 아니라 가로등(미도시)도 설치될 수 있다.The prop 100 may be manufactured to have a length of 5 to 15 m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the place where it is installed and the type of transportation facilities required. 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100 may be a street lamp (not shown) as well as traffic facilities.

상기 부착대(200)도 도로의 차로 폭이나 설치되는 교통시설물의 종류에 따라 그 길이가 4~14m로 제작될 수 있다. 부착대(200)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부착대의 단부로 갈수록 쳐지게 만드는 원인이 되는 모멘트 하중이 커지기 때문에, 본 발명과 같이 부착대의 쳐짐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더욱 절실하다.The attachment 200 may also be produced in the length of 4 ~ 14m depending on the road width of the road or the type of traffic facilities installed. As the length of the mounting table 200 increases, the moment load that causes the mounting table to fall toward the end of the mounting table increases, so that a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the mounting table from sagging is more urgent as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부착대의 구조를 설명한다.6 and 7, the structure of the mounting tab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상기 부착대(200)는 중공의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파이프부 내부에는 상기 부착대의 쳐짐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보강부(2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unt 2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hollow pipe, the pipe portion preferably includes a reinforcing portion 220 provided to prevent sagging of the mount.

도 6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착대(200)는 원형 파이프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래서, 이 부착대(200)는 원형 파이프를 이루는 파이프부(210)와 이 파이프부(210)에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 플레이트 형태의 보강부(2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6, the mounting table 200 may be made in the form of a circular pipe. Thus, the mounting table 200 includes a pipe portion 210 forming a circular pipe and a reinforcing portion 220 in the form of a vertical plate integrally formed on the pipe portion 210.

도 7에는 상기 부착대(200)의 보강부(220)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7 is a side view of the reinforcement part 220 of the mounting table 200.

이 보강부(22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세로 길이가 파이프부(210)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그 가로 길이는 부착대(200)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inforcing portion 22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the longitudinal length thereof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portion 210, the horizontal length is preferably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length of the mounting table (200). .

도 7에 도시된 보강부(220)는 편의상 그 길이가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게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보강부(220)의 길이는 상기 부착대(200)의 길이와 동일하고, 보강부(220)의 높이는 상기 파이프부(210)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된다.The reinforcement part 220 shown in FIG. 7 is shown to have a relatively short length compared to the height for convenience. That is, the length of the reinforcing portion 220 is the same as the length of the mounting table 200, the height of the reinforcing portion 220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portion (210).

또한, 이 보강부(220)의 내부에는 보강부 자체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 다수의 구멍(H)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다수의 구멍(H)은 보강부 자체의 무게를 줄여서 부착대(200)를 쳐지게 하는 자중을 줄이면서도 부착대(200)가 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는 거의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holes H are formed in the reinforcement part 220 to reduce the weight of the reinforcement part itself. The plurality of holes (H) to reduce the weight of the reinforcement itself to reduce the weight of the hitting the mounting 200, while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mounting 200 is struck so that it can be maintained almost intact.

도 8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부착대(201)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unting table 20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8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착대(201)는 다각형 파이프 형태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도 8에서는 다각형의 일례로 팔각형을 이루는 파이프부(211)와, 이 파이프부(211)에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 플레이트 형태의 보강부(220)를 포함하는 부착대(201)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 8, the mount 201 may be made in the form of a polygonal pipe. In FIG. 8, a cross section of a mounting table 201 including an octagonal pipe part 211 and a vertical plate reinforcement part 220 formed integrally with the pipe part 211 is illustrated in FIG. 8. have.

상기 파이프부(211)는 팔각형이 아니라 사각형, 육각형 또는 십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다각형으로 형성하는 경우 디자인의 미관과 모멘트 하중에 견디는 강도를 함께 고려할 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각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ipe portion 211 may be formed in a square, hexagon, or decagon, not octagonal. However, when forming a polygon, considering the aesthetics of the design and strength to withstand the moment load together, it is preferable to form in an octagon as shown in FIG.

상기 부착대(200)는 사각형 플레이트를 절곡하여 그 수직 단면 모양이 원호 또는 다각형 파이프부의 절반부를 이루도록 만들고, 만들어진 두 절반부를 상기 보강부(220)와 용접하여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unting table 200 may be formed by bending a rectangular plate so that its vertical cross-sectional shape forms a half portion of an arc or polygonal pipe portion, and welding two half portions formed by welding the reinforcement portion 220.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부(210)는 직사각형 모양의 플레이트 2개를 그 수직 단면이 반원 형태를 이루도록 절곡하여 제작한다. 그런 다음 절곡된 반원형 파이프부(210) 2개를 상기 사각형 모양의 보강부(220)와 함께 용접함으로써 상기 부착대(200)를 제작한다.As shown in FIG. 6, the pipe part 210 is manufactured by bending two rectangular plates so that their vertical cross sections form a semicircle. Then, the mounting table 200 is manufactured by welding two bent semi-circular pipe parts 210 together with the rectangular reinforcement part 220.

도 8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부(211)는 직사각형 모양의 플레이트 2개를 그 수직 단면이 팔각형의 절반부를 이루도록 절곡하여 제작한다. 그런 다음 절곡된 팔각형의 절반부를 이루는 파이프부(211) 2개를 상기 사각형 모양의 보강부(220)와 함께 용접함으로써 상기 부착대(201)를 제작한다.The pipe part 21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FIG. 8 is manufactured by bending two rectangular plates so that their vertical cross-section forms half of the octagon. Then, the mounting table 201 is manufactured by welding two pipe parts 211 constituting the bent octagon together with the rectangular reinforcement part 220.

도 6 및 도 8에서, 상기 파이프부(210)와 보강부(220) 사이의 용접부는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용접부의 위치 및 파이프부와 보강부의 반제품 형상은 부착대의 전체 단면 형상만 동일하다면 도시된 것과 달리 형성될 수도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6 and 8, the welded portion between the pipe portion 210 and the reinforcement portion 220 is shown in dashed line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location of these welds and the semifinished shape of the pipe and reinforcement may be formed differently from the one shown as long as the overall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ount is the same.

도 9에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부착대의 단면도(a)와 보강부(220)의 측면도(b)가 도시되어 있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a) of the mounting table and side view (b) of the reinforcing portion 22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제3 실시예에 따른 부착대가 상기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부착대와 다른 점은, 보강부(220)의 높이가 파이프부(210)의 두께만큼 더 작다는 것이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mounting tab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nd the mounting tab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that the height of the reinforcement part 220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ipe part 210.

이렇게 상기 파이프부(210)의 외경보다 그 두께만큼 작은 높이를 가진 사각 플레이트 형태의 보강부(220)를 제작하고, 별도의 사각 플레이트로 상기 파이프부(210)를 형성한 다음 파이프부(210)와 보강부(220)를 상부에서 용접함으로써 부착대를 제작할 수 있다.Thus, the reinforcement part 220 of the square plate shape having a height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part 210 is manufactured, and the pipe part 210 is formed by a separate square plate, and then the pipe part 210 is formed. And by attaching the reinforcing portion 220 from the top it can be produced a mounting table.

도 10에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부착대의 단면도(a)와 보강부(220)의 측면도(b)가 도시되어 있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a) of the mounting table and side view (b) of the reinforcing portion 22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제4실시예에 따른 부착대가 상기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부착대와 다른 점은, 상기 보강부(220)의 하면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돌출부(225)가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부(210)의 하부에 상기 복수의 돌출부(225)가 삽입되는 복수의 구멍(215)이 형성된다는 것이다.The mounting stan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mounting stan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herein a plurality of protrusions 225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part 220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pipe part 210 is provided. A plurality of holes 215 through which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25 are inserted ar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ottom.

이렇게 제작된 상기 보강부(220)를 그 돌출부(225)가 구멍(215)에 삽입되도록 결합한 다음 용접하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부착대를 제작할 수 있다.When the reinforcing part 220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is combined and welded so that the protruding part 225 is inserted into the hole 215, the mounting table as shown in FIG. 10 (a) may be manufactured.

도 11에는 도 7의 보강부(220)와 다른 형태의 보강부(221)가 도시되어 있다.11 illustrates a reinforcement part 221 which is different from the reinforcement part 220 of FIG. 7.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부(221)는 상기 부착대(200)의 지주측 연결부에서 보강부의 단부 측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점 줄어드는 모양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the reinforcement part 221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height thereof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support side connection part of the mount 200 toward the end side of the reinforcement part.

즉, 상기 보강부(221)의 상하 길이가 그 단부로부터 상기 플랜지부(250) 쪽으로 갈수록 점점 커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upper and lower lengths of the reinforcing parts 221 are preferably formed to increase gradually from the end toward the flange part 250.

특히,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부(221)의 상면은 직선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하면은 보강부의 높이가 점점 커지도록 아래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부드러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ure 11, the upper surface of the reinforcement portion 221 is made of a straight shape, the lower surface is most preferably formed to be formed convex downward so as to increase the height of the reinforcement portion to form a smooth curved surface. Do.

상기 보강부(221)에서 모멘트 하중에 의해 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 11의 우측으로 갈수록 보강부(221)의 상하 길이가 길수록 유리하다. 이에 반해, 보강부(221)의 높이가 일정할 경우 좌측 단부로 갈수록 지지력이 커지는 효과에 비해 그 자중에 의해 단부가 쳐지는 효과가 더 커질 수 있으므로, 자중을 줄이기 위해 좌측 단부로 갈수록 높이가 줄어들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In order to prevent being hit by the moment load in the reinforcement part 221, the longer the vertical length of the reinforcement part 221 is advantageous toward the right side of FIG. 11. On the contrary, when the height of the reinforcing part 221 is constant, the effect of the end being struck by its own weight may be greater than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bearing capacity toward the left end, so that the height is reduced toward the left end to reduce the weight. It is good to form.

이러한 보강부(221)의 형태에 의해 모멘트 하중에 견디는 지지력은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그 자체의 무게를 줄임으로써, 상기 부착대(200)가 쳐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By the shape of the reinforcing portion 221, while maintaining a sufficient bearing capacity to withstand the moment load while reducing the weight of itself,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unting table 200 from hitting as much as possible.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진 보강부(221)를 도 6 또는 도 8의 파이프부(210 또는 211)와 용접하는 경우에는, 상기 보강부(221)의 상부측은 모두 파이프부(210 또는 211)의 상단부 측면과 용접되지만, 상기 보강부(221)의 하부측은 상기 상하 길이가 짧은 단부측으로부터 절반 정도가 상기 파이프부(210 또는 211)의 하단부 측면과 용접되지 않고 용접된 상부측에 의해 매달리는 형태로 제작된다.In addition, when welding the reinforcement part 221 having the shape as shown in FIG. 11 with the pipe part 210 or 211 of FIG. 6 or 8, the upper side of the reinforcement part 221 is a pipe part ( The upper side of the upper end side of the 210 or 211 is welded, but the lower side of the reinforcing part 221 is about half of the upper end of the upper and lower lengths of the upper side welded without welding with the lower end side of the pipe 210 or 211. It is produced in the form of hanging by.

그러나, 도 11의 보강부(221)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보강부(221)의 상부측은 길이 방향으로 모두 상기 파이프부(210 또는 211)와 용접되고 보강부(221)의 플랜지부(250)측의 상하 길이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와 동일하므로, 충분한 모멘트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However, even when the reinforcement part 221 of FIG. 11 is used, the upper side of the reinforcement part 221 is welded to the pipe part 210 or 2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lange part 250 side of the reinforcement part 221 is provided. Since the upper and lower lengths of are the same as in the case of forming a rectangle, it is possible to secure a supporting force against a sufficient moment load.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부착대(202)의 단면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12 is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ounting table 202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에 따른 부착대(202)의 보강부(222)는 그 수직 단면에서 볼 때 지그재그로 절곡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As shown, the reinforcing portion 222 of the mounting table 202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may be manufactured in a zigzag bent form when viewed in the vertical section.

이러한 보강부(222)는 사각형의 플레이트를 절곡함으로써 그 높이가 파이프부(210)의 지름과 동일하도록 만들 수 있다. 그런 다음, 절곡된 보강부(222)는 반원형으로 절곡된 파이프부(210) 2개와 함께 용접됨으로써 제작된다.The reinforcement part 222 may be bent so that the height thereof is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pipe part 210 by bending a rectangular plate. Then, the bent reinforcement part 222 is manufactured by welding together with the two pipe parts 210 bent in a semicircle.

이와 같이, 상기 보강부(222)를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시킴으로써 수직의 모멘트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00As such, by bending the reinforcement part 222 in a zigzag shape,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bearing capacity for the vertical moment load.

도 13에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부착대(203)의 단면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unting table 203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6 실시예에 따른 부착대(203)는 제5 실시예와 비교할 때, 파이프부(211)가 팔각형의 단면 절반부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다르다.The mounting table 203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fth embodiment in that the pipe portion 211 is formed to form an octagonal half of the cross section.

나머지 보강부(222)의 제작과 상기 파이프부(211)와 용접함으로써 부착대(203)를 제작하는 것은 제5 실시예와 동일하다.Fabrication of the remaining reinforcement part 222 and fabrication of the mounting table 203 by welding with the pipe part 211 are the same as in the fifth embodiment.

도 14에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부착대(200)의 단면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14 is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ounting table 200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7 실시예에 따른 부착대는 도 6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부착대와 비교할 때, 직사각형 모양의 보강부(220)가 파이프부(210) 내에 수직으로 고정되도록 상하부에서 용접될 뿐만 아니라, 상기 보강부(220)의 중단부에 좌우방향으로 수평 보강부(230)가 일체로 더 구비된다.The mounting table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is not only welded from the upper and lower parts so that the rectangular reinforcing portion 220 is vertically fixed in the pipe portion 210 as compared with the mounting tab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6.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part 230 is further provided integrall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t a stop portion of the reinforcement part 220.

상기 보강부(220)는 상기 파이프부(210) 내에 용접되기 전에 먼저 상기 수평 보강부(230)가 먼저 용접되고, 그 후에 십(十)자 모양의 보강부(220, 230)가 상기 파이프부(210) 내에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Before the reinforcement part 220 is welded into the pipe part 210,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part 230 is first welded, and then the cross-shaped reinforcement parts 220 and 230 are connected to the pipe part. It is preferred to be welded within 210.

상기 십(十)자 모양의 보강부는 상기 수직 방향의 보강부(210)가 중력 방향으로 작용하는 쳐짐을 방지하는 것 이외에, 지주(100)에 설치되는 부착대(200)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상기 수평 보강부(220)가 더욱 방지할 수 있다.The cross-shaped reinforcement part prevents the reinforcement part 210 of the vertical direction from sagging in the gravity direction, and the mounting table 200 installed on the support 100 is shaken from side to side. Horizontal reinforcement 220 may be further prevented.

한편, 상기 부착대(200)는 그 단부로 갈수록 그 수직 단면 크기가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mounting table 200 is preferably formed such that the vertical cross-sectional size is gradually smaller toward the end.

이 경우, 상기 부착대(200)의 자체 하중은 그 단부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기 때문에, 부착대의 지지력에는 큰 변화가 없으면서 부착대 단부의 쳐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self load of the mounting table 200 becomes smaller toward its en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agging of the end of the mounting table without a great change in the bearing capacity of the mounting table.

이를 위해, 상기 부착대(20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에 비해 장변이 0~5도의 각도로 기울어진 사다리꼴 플레이트(214)를 절곡하여 원호 또는 다각형의 파이프부의 절반부를 이루도록 만들고, 만들어진 두 절반부를 상기 보강부(220)와 용접하여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the mounting table 200, as shown in Figure 15, the long side is bent to the trapezoidal plate 214 inclined at an angle of 0 to 5 degrees compared to the rectangle to make a half of the pipe portion of the arc or polygon,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two halves made by welding the reinforcement part 220.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부(210)를 형성하는 플레이트는 절곡되어 원형 또는 다각형 파이프의 절반부를 이루도록 적절한 치수 및 형상을 갖도록 만들어진다.As shown in FIG. 15, the plate forming the pipe portion 210 is bent and made to have an appropriate dimension and shape to form a half of a circular or polygonal pipe.

즉 상기 사다리꼴 플레이트(214)는 가로 방향의 점선으로 나타낸 장변과 실선으로 나타낸 단변으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에 비해, 도 15에 도시된 각도 α만큼 상하로 기울어진 사다리꼴 형태로 제작된다. 이 각도 α는 상기 보강부(210)와의 용접에 의해 제작되는 부착대(200)의 전체 길이와 상기 파이프부(210)의 외면 경사도를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That is, the trapezoidal plate 214 is manufactured in a trapezoidal shape that is inclined up and down by an angle α shown in FIG. 15 as compared with a rectangle composed of a long side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short side indicated by a solid line. The angle α may be appropriately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total length of the mounting table 200 manufactured by welding with the reinforcement part 210 and the inclina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part 210.

그리고, 본 발명의 교통시설물 설치용 부착대(200)는, 도로에 직립 설치되는 지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외팔보 형태로 설치되어 교통시설물이 설치되는 부착대(200)에 있어서, 상기 부착대(200)는 중공의 파이프부(210 또는 211)와, 상기 파이프부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부착대의 쳐짐을 방지하는 보강부(220, 221 또는 222)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ounting table 200 for the installation of traffic faciliti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cantilever form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a prop installed upright on the road, and the mounting table 200 in which the traffic facilities are installed. A hollow pipe portion 210 or 211 and a reinforcement portion 220, 221 or 222 provided inside the pipe portion to prevent sagging of the mount.

본 발명의 부착대(200)는 상술한 지주장치의 구성요소로서 설명한 부착대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실시예의 것들이 적용될 수 있다.The moun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ose of various embodiments, similar to the mount described as a component of the above-described strut device.

본 발명의 부착대(20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종래기술에 의한 지주(10)에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기존에 도로에 설치된 지주(10)에 설치되어 있던 부착대(20)를 본 발명의 부착대(200)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다만, 이 경우 상기 지주(100)의 플랜지부(150)와 상기 부착대(200)의 플랜지부(250)의 치수가 일치하여 결합가능해야 할 것이다.Mounting tabl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support 10 according to the prior ar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 1, the mounting table 20 that was previously installed on the support 10 installed on the road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t may be used in place of the mounting tabl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this case, the dimensions of the flange part 150 of the support 100 and the flange part 250 of the mounting table 200 should be matched with each other.

한편, 본 발명의 부착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 둘레에 고정브라켓(50)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기존의 부착대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부착대를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부착대가 상기한 고정브라켓에 의해 설치된 경우라면 고정브라켓까지 교체함으로써 부착대를 용이하게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ounting tabl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of course can be installed using a fixing bracket 50 around the support. In this case, in addition to the mounting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addition to the existing mounting bracket, if the existing mounting bracket is installed by the above-described fixing bracket will be able to easily install the replacement by replacing the mounting bracket.

또한, 이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부착대(200)는 모멘트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우수하여, 상기 와이어(30) 등으로 지지하지 않더라도 교통시설물을 설치하여 사용할 때 모멘트 하중에 의해 부착대가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관상으로도 우수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even in this case, the mounting tabl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the bearing capacity for the moment load, even if not supported by the wire 30 or the like when the installation is used by installing the traffic facilities that the load hit by the moment load It can prevent and it is excellent in appearanc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is specific embodiment,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appropriately within the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will be possible.

100: 지주
140: 보강리브
150: 플랜지부
200, 201, 202, 203: 부착대
210, 211: 파이프부
214: 플레이트
220, 221, 222: 보강부
240: 보강리브
250: 플랜지부
100: prop
140: reinforcing rib
150: flange portion
200, 201, 202, 203: Mounting table
210, 211: pipe portion
214: plate
220, 221, 222: reinforcement
240: reinforcement rib
250: flange portion

Claims (14)

도로에 직립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교통시설물이 설치되는 중공의 부착대와,
상기 부착대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부착대의 쳐짐을 방지하는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는 부착대의 지주측 연결부에서부터 보강부의 단부 측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점 줄어드는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Prop and upright installed on the road,
A hollow attachment stage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support column, on which a traffic facility is installed;
A reinforcing part provided inside the mount to prevent sagging of the mount;
The reinforcing part is a support device for installation of a traffic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of the reinforcement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end side of the reinforcing portion from the support side connection portion of the mou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수직의 판 형태로 상기 부착대 내부에 일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einforcing part is a holding device for installing a traffic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integrally inside the mounting table in the form of a vertical plat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그 무게를 줄이기 위해 복수의 구멍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reinforcing part holding device for installing a traffic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holes are provided to reduce the weigh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대는 그 단부로 갈수록 그 수직 단면 크기가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ounting apparatu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cross-sectional size is gradually reduced toward the end of the installation apparatus for installation of traffic facilities.
도로에 직립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교통시설물이 설치되는 중공의 부착대와,
상기 부착대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부착대의 쳐짐을 방지하는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부착대의 수직 단면에서 볼 때 지그재그로 절곡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Prop and upright installed on the road,
A hollow attachment stage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support column, on which a traffic facility is installed;
A reinforcing part provided inside the mount to prevent sagging of the mount;
The reinforcing part is a holding device for installing a traffic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bent in a zigzag form when viewed from the vertical section of the mounting.
도로에 직립 설치되는 지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외팔보 형태로 설치되어 교통시설물이 설치되는 부착대에 있어서,
상기 부착대는 중공의 파이프부와,
상기 부착대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부착대의 쳐짐을 방지하는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는 부착대의 지주측 연결부에서부터 보강부의 단부 측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점 줄어드는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시설물 설치용 부착대.
In the mounting stand which is installed in the form of cantilev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props installed upright on the road, the traffic facilities are installed,
The mount is a hollow pipe portion,
A reinforcing part provided inside the mount to prevent sagging of the mount;
The reinforcing portion mounting portion for the installation of traffic facilitie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of the reinforcement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end side of the reinforcing portion from the support side connection portion of the attachmen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수직의 판 형태로 상기 부착대 내부에 일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시설물 설치용 부착대.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reinforcing portion is a mounting plate for installing a traffic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form of a vertical plate integrally inside the mounting.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그 무게를 줄이기 위해 형성된 복수의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시설물 설치용 부착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The reinforcement unit is attached to the installation for traffic facilitie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holes formed to reduce the weight.
삭제dele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대는 그 단부로 갈수록 그 수직 단면 크기가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시설물 설치용 부착대.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ounting rod is attached to the install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cross-sectional size is formed to become smaller gradually.
도로에 직립 설치되는 지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외팔보 형태로 설치되어 교통시설물이 설치되는 부착대에 있어서,
상기 부착대는 중공의 파이프부와,
상기 부착대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부착대의 쳐짐을 방지하는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부착대의 수직 단면에서 볼 때 지그재그로 절곡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시설물 설치용 부착대.
In the mounting stand which is installed in the form of cantilev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props installed upright on the road, the traffic facilities are installed,
The mount is a hollow pipe portion,
A reinforcing part provided inside the mount to prevent sagging of the mount;
The reinforcing part is a mounting fixture for installation of traffic facilities, characterized in that bent in a zigzag form when viewed in the vertical section of the mounting.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부착대의 지주측 연결부에서부터 보강부의 단부 측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점 줄어드는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시설물 설치용 부착대.
The method of claim 12,
The reinforcing portion mounting portion for the installation of traffic facilitie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of the reinforcement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end side of the reinforcing portion from the support side connection portion of the attachmen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부착대의 지주측 연결부에서부터 보강부의 단부 측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점 줄어드는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reinforcing part is a support device for installation of a traffic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of the reinforcement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end side of the reinforcing portion from the support side connection portion of the mount.
KR1020110050467A 2011-05-27 2011-05-27 Attachment and strut device for installation of traffic facilities Active KR1011060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467A KR101106074B1 (en) 2011-05-27 2011-05-27 Attachment and strut device for installation of traffic faciliti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467A KR101106074B1 (en) 2011-05-27 2011-05-27 Attachment and strut device for installation of traffic faciliti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6074B1 true KR101106074B1 (en) 2012-01-18

Family

ID=45614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0467A Active KR101106074B1 (en) 2011-05-27 2011-05-27 Attachment and strut device for installation of traffic faciliti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6074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058B1 (en) * 2013-06-13 2013-10-01 이효성 Steel pole for traffic facility with excellent structural stability
KR101766266B1 (en) * 2015-11-27 2017-08-08 이덕관 Connecting rod for wireless traffic light
KR102386274B1 (en) * 2020-12-06 2022-04-13 (주)아림 Structural safety has excellent traffic light supporting device
KR20230035017A (en) * 2021-04-07 2023-03-10 가현실 A road facility frame to increase horizontal and vertical resistance
KR20230035554A (en) * 2021-04-07 2023-03-14 가현실 Frame with reinforcement structure
KR102542765B1 (en) * 2023-01-13 2023-06-14 렉스젠(주) Mounting apparatus comprising a support apparatus with a reinforcing member
KR102666295B1 (en) * 2023-06-08 2024-05-16 (주)케이에스엠 traffic light pilla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71598A1 (en) * 2003-02-20 2004-09-02 Bingaman David P. Use of steroids to treat persons suffering from ocular disorders
WO2006020745A1 (en) 2004-08-11 2006-02-23 Syracuse Castings Sales Corporation Weld-free connectors for structural elements
KR101012050B1 (en) * 2010-09-08 2011-01-31 박인규 Traffic facility hold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71598A1 (en) * 2003-02-20 2004-09-02 Bingaman David P. Use of steroids to treat persons suffering from ocular disorders
WO2006020745A1 (en) 2004-08-11 2006-02-23 Syracuse Castings Sales Corporation Weld-free connectors for structural elements
KR101012050B1 (en) * 2010-09-08 2011-01-31 박인규 Traffic facility holding devic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058B1 (en) * 2013-06-13 2013-10-01 이효성 Steel pole for traffic facility with excellent structural stability
KR101766266B1 (en) * 2015-11-27 2017-08-08 이덕관 Connecting rod for wireless traffic light
KR102386274B1 (en) * 2020-12-06 2022-04-13 (주)아림 Structural safety has excellent traffic light supporting device
KR20230035017A (en) * 2021-04-07 2023-03-10 가현실 A road facility frame to increase horizontal and vertical resistance
KR20230035554A (en) * 2021-04-07 2023-03-14 가현실 Frame with reinforcement structure
KR102550003B1 (en) * 2021-04-07 2023-06-29 가현실 Frame with reinforcement structure
KR102549997B1 (en) * 2021-04-07 2023-06-29 가현실 A road facility frame to increase horizontal and vertical resistance
KR102542765B1 (en) * 2023-01-13 2023-06-14 렉스젠(주) Mounting apparatus comprising a support apparatus with a reinforcing member
KR102666295B1 (en) * 2023-06-08 2024-05-16 (주)케이에스엠 traffic light pill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593B1 (en) Mounting apparatus comprising penetrating rib for establishing road facility
KR101106074B1 (en) Attachment and strut device for installation of traffic facilities
KR101271450B1 (en) Safety fence for easy control angle
CN101343894A (en) Moment frame connector
KR101324966B1 (en) Device for assembling of street facility and install mount
KR101343504B1 (en) Supporting device for establishing road facility
KR100946212B1 (en) Establishment structure of traffic facility establishment transversal step
KR101326157B1 (en) Supporting equipment of road signal panel
KR101254484B1 (en) Arm for signal lamp with improved beautiful sight
KR101453863B1 (en) Supporting apparatus for installation of road traffic facilities
KR101176940B1 (en) Steel pole for multifunctional traffic facility
KR101544122B1 (en) Supporting equipment for establishing road facility
KR200386251Y1 (en) post for a signal lamp
KR101934541B1 (en) Multifunctional pole apparatus for establishing road facility
KR101216104B1 (en) Mount and support device for establishing load facility
JP6735184B2 (en) Fall prevention structure, its construction method, and anchor
KR101703493B1 (en) Mounting apparatus for supporting bar for streetlight
KR102167170B1 (en) Wireless multifunctional pole for road facility
KR102504725B1 (en) Assembly type wireless traffic light pole
KR20150085596A (en) Mounting apparatus for establishing road facility
JP2005351047A (en) Reinforcing structure of guard fence
KR101766266B1 (en) Connecting rod for wireless traffic light
KR102305795B1 (en) Horizontal support for effectively supporting the vertical load, and installation structure thereof
JP2014105460A (en) Snowslide energy dissipator
KR101043727B1 (en) Road sign mount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0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1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0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0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