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2018A - Smart traffic lights supporting appratus having strength reinfforce section - Google Patents

Smart traffic lights supporting appratus having strength reinfforce s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2018A
KR20220162018A KR1020210109724A KR20210109724A KR20220162018A KR 20220162018 A KR20220162018 A KR 20220162018A KR 1020210109724 A KR1020210109724 A KR 1020210109724A KR 20210109724 A KR20210109724 A KR 20210109724A KR 20220162018 A KR20220162018 A KR 20220162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beam
cross beam
plate
reinforcing
reinforc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97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석재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석광아이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석광아이티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석광아이티에스
Priority to KR1020210109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2018A/en
Publication of KR20220162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201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traffic light post device having a reinforcing part for reinforcing the strength of a floor beam, which comprises: a post; a floor beam part connected to the post; a connecting part for connecting the floor beam part to the post; and a reinforcing part for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floor beam part.

Description

가로보의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부가 구비된 스마트 신호등 지주장치{SMART TRAFFIC LIGHTS SUPPORTING APPRATUS HAVING STRENGTH REINFFORCE SECTION}Smart traffic light holding device equipped with a reinforcement part for strengthening the strength of the crossbeam {SMART TRAFFIC LIGHTS SUPPORTING APPRATUS HAVING STRENGTH REINFFORCE SECTION}

본 발명은, 신호등 지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로보의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부가 구비된 스마트 신호등 지주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ffic light hold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traffic light holding device equipped with a reinforcement part for reinforcing the strength of a crossbeam.

일반적으로, 지주대(또는 다목적폴)는 도로에 설치되는 지주형 시설물로, 이러한 지주대에는 가로등이나 신호등, 각종 표지판 및 교통정보 수집을 위해 카메라 등이 부착되는 아암이 가로방향으로 결합된다.In general, a support pole (or multi-purpose pole) is a support-type facility installed on a road, and an arm to which a camera or the like is attached for collecting street lights, traffic lights, various signs, and traffic information is coupled to the support po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즉, 지주대는 도로변 상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지주대의 상단에는 가로방향으로 가로대인 아암이 결합되며, 아암의 하방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시설물들로서 가로등, 신호등, 각종 표지판, 교통정보 수집을 위한 카메라 등이 결합될 수 있다.That is, the prop is installed vertically on the roadside, the upper end of the prop is coupled with a crossbar arm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one or a plurality of facilities are installed below the arm, such as street lights, traffic lights, various signs, cameras for collecting traffic information, etc. can be combined.

이때, 아암은 통상 지주대의 상단에서 직교된 상태로 플랜지 결합이 이루어지며, 이는 아암과 지주대가 일체로 형성될 경우 운반이 곤란하기 때문이고, 이에 지주대와 아암은 현장에서 조립하는 것이 일반적이다.At this time, the arm is usually flang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bar in a orthogonal state.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transport when the arm and the support bar are integrally formed, so it is common to assemble the support bar and the arm on site.

한편, 지주대의 상단에 플랜지 결합되는 아암의 처짐을 방지하거나 추락 전도 위험으로부터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종래에는 지주대의 상단과 아암 사이에 철선 와이어를 연결하거나, 또는 상호 연결되는 복수의 아암을 설치하여둔 상태에서, 아암을 현수하는 형태로 붙잡아 매도록 하였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event sagging of the arm flanged to the top of the support or to secure safety from the risk of falling and falling, conventionally, a wire wire is connected between the top of the support and the arm, or a plurality of arms that are interconnected are installed In the placed state, the arm was caught and tied in a suspended form.

그러나, 아암을 지지하기 위해 철선 와이어 또는 복수의 아암을 사용하는 방식은, 도시 미관을 크게 해치게 문제가 있고, 다수의 철선 와이어 또는 복수의 아암을 설치하는 과정은 번거로운 공수가 다수 요구되어 작업성 저하를 야기함은 물론, 시공상의 불편함이 계속될 수 밖에 없었다.However, the method of using wire wires or a plurality of arms to support the arm has a problem that significantly spoils the aesthetics of the city, and the process of installing a plurality of wire wires or a plurality of arms requires a lot of cumbersome man-hours, which reduces workability. of course, and the inconvenience in construction was inevitable.

즉, 철선 와이어 또는 복수의 아암 설치 구조는 아암의 규격이나 중량에 따라 사용되는 갯수가 늘어나게 되고, 특히 철선 와이어는 그 자체로 변형 또는 풀림 현상이 발생되면 아암의 처짐 현상을 회복할 수 있는 방안이 현재 전무한 상태이다.That is, the number of iron wire or multiple arm installation structures used increases according to the size or weight of the arm, and in particular, when the iron wire itself is deformed or loosened, there is a way to recover the deflection of the arm. currently nonexistent.

이에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철선 와이어 또는 복수의 아암 설치를 없애도록 지주대의 상단에서 보조 아암을 관통시켜 고정시킨 상태에서, 보조 아암에 메인 아암을 플랜지 결합시키거나, 또는 메인 아암과 지주대를 경사부재로 연결시켜 지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Therefore, in the prior art, in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arm is passed through and fixed at the top of the support bar to eliminate the installation of the wire wire or the plurality of arms as described above, the main arm is flanged to the auxiliary arm, or the main arm and the support bar are attached to the inclined member. connected to it so that it could be supported.

그러나, 이 방식 또한 연결봉과 아암이 플랜지 결합 구조를 이루는 관계로, 가로보의 하중이 제대로 분산되지 못하며, 이에 따라 가로보의 연장된 하중으로 인해 그 결합상태가 불안정해질 수 밖에 없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However, since this method also has a flang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connecting rod and the arm, the load of the crossbeam is not properly distributed, and accordingly, the coupled state is inevitably unstable due to the extended load of the crossbeam. .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e foregoing technical configuration is a background technology for help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mean the prior art widely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10-1999194호(지용금속) 2019. 07. 05.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0-1999194 (metal for paper) 2019. 07. 05.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로보의 내부에서 미관을 해치지 않고 강도를 보강하는 것이 가능하고, 가로보와 기둥이 연결되는 부분의 강도를 효과적으로 증가시켜 상하 및 전후방향 유동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강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가로보의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부가 구비된 스마트 신호등 지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is possible to reinforce the strength without compromising the aesthetics inside the crossbeam, and to effectively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part where the crossbeam and the column are connected to minimize vertical and longitudinal flow, as well as strength It is to provide a smart traffic light holding device equipped with a reinforcement part for reinforcing the strength of a crossbeam that can maximiz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주대; 상기 지주대에 연결되며 신호등을 포함하는 대상물이 결합되는 가로보부; 상기 가로보부를 상기 지주대에 연결시키는 연결부; 및 상기 가로보부에 마련되어 상기 가로보부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보부는,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지주대에 연결되는 제1 가로보; 상기 제1 가로보에 결합되며 상기 제1 가로보보다 직경이 작게 마련되는 제2 가로보; 상기 제2 가로보에 결합되며 상기 제2 가로보보다 직경이 작게 마련되는 제3 가로보; 상기 제3 가로보의 단부에 결합되는 커버 부재; 및 상기 제1 가로보와 제2 가로보가 접하는 영역 및 상기 제2 가로보와 상기 제3 가로보가 접하는 영역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제1 가로보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 가로보를 보강하는 제1 보강판; 상기 제2 가로보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2 가로보를 보강하는 제2 보강판; 상기 제3 가로보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3 가로보를 보강하는 제3 보강판; 상기 제1 가로보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보강판과 상기 제2 보강판을 연결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2 가로보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2 보강판과 상기 제3 보강판을 연결시키는 보강판 연결부; 및 상기 제1 가로보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보강판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단부 보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강판, 상기 제2 보강판 및 상기 제3 보강판은 상기 제1 가로보, 상기 제2 가로보 및 상기 제3 가로보에 마련된 복수의 용접홀을 통해 외부에서 상기 제1 가로보, 상기 제2 가로보 및 상기 제3 가로보에 각각 용접 결합되고, 상기 보강판 연결부는 상기 제1 가로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보강판과 상기 제2 보강판을 연결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2 가로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보강판과 상기 제3 보강판을 연결시키는 제1 연결판 및 상기 제1 보강판과 상기 제1 연결판에 수직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제2 보강판과 상기 세로 연결대에 수직되게 결합되는 제2 연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판과 상기 제2 연결판에는 절개홀이 마련되어 상기 제1 연결판과 상기 제2 연결판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스마트 신호등 지주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ing table; A cross beam connected to the support and coupled to an object including a traffic light;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cross beam to the holding unit; And a reinforcing portion provided on the cross beam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cross beam, wherein the cross beam includes: a first cross beam connected to the holding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A second crossbeam coupled to the first crossbeam and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crossbeam; A third cross beam coupled to the second cross beam and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second cross beam; a cover member coupled to an end of the third crossbeam; and a plurality of lugs each coupled to an area where the first crossbeam and the second crossbeam contact each other and an area where the second crossbeam and the third crossbeam contact each other, wherein the reinforcing part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crossbeam and the first crossbeam is provided. 1 first reinforcing plate reinforcing the crossbeam; A second reinforcing plate provided inside the second cross beam to reinforce the second cross beam; A third reinforcing plate provided inside the third cross beam to reinforce the third cross beam; A reinforcing plate connecting portion provided inside the first crossbeam to connect the first reinforcing plate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and also provided inside the second crossbeam to connect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and the third reinforcing plate; And an end reinforcement plate provided at an end of the first crossbeam and coupled to an end of the first reinforcing plate and disposed inside the connection part, wherein the first reinforcing plate,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and the third reinforcing plate is welded to the first crossbeam, the second crossbeam, and the third crossbeam from the outside through a plurality of welding holes provided in the first crossbeam, the second crossbeam, and the third crossbeam, respectively, and the reinforcing plate connection part A first connecting plate disposed on the first crossbeam to connect the first reinforcing plate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and also disposed on the second crossbeam to connect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and the third reinforcing plate; and A first reinforcing plate and a second connecting plate coupled perpendicularly to the first connecting plate and perpendicularly coupled to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and the vertical connecting rod, wherein the first connecting plate and the second connecting plate A smart traffic light holding device may be provided with a cutout hole to guide coupling of the first connecting plate and the second connecting plate.

상기 제1 보강판, 상기 제2 보강판, 상기 제3 보강판, 상기 제1 연결판 및 상기 단부 보강판은 상기 가로보부의 높이 방향으로 수직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연결판은 상기 제1 연결판과 수직되게 상기 제1 연결판에 일부가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reinforcing plate,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the third reinforcing plate, the first connecting plate and the end reinforcing plate are disposed vertically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rossbeam, and the second connecting plate is the first A portion may be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plate perpendicularly to the connection plate.

상기 제1 보강판에는 절개홈이 마련되고 상기 단부 보강판에는 상기 절개홈에 결합되는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 보강판에는 제1 결합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제3 보강판에는 제2 결합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제1 보강판과 상기 제2 보강판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연결판에는 상기 제1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마련되고, 상기 제2 보강판과 상기 제3 보강판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연결판에는 상기 제2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마련될 수 있다.A cutout groove is provided on the first reinforcement plate, a protrusion coupled to the cutout groove is provided on the end reinforcement plate, a first coupling protrusion is provided on the second reinforcement plate, and a second coupling protrusion is provided on the third reinforcement plate. A protrusion is provided, and a coupling groove into which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is provided in the first connecting plate disposed between the first reinforcing plate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and the third reinforcing plate are provided. A coupling groove into which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coupling plate disposed between the reinforcing plate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가로부의 내부에 보강부가 마련되고 각각의 보강판이 보강판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가로보의 내부에서 미관을 해치지 않고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cross section and each reinforcing plate is connected by a reinforcing plate connecting portion to reinforce strength without compromising the aesthetics inside the cross beam.

또한 보강부가 가로보부와 지주대를 연결하는 부분에까지 마련됨으로써 강도를 효과적으로 증가시켜 상하 및 전후방향 유동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강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einforcing part is provided even at the part connecting the crossbeam and the support, the strength can be effectively increased to minimize vertical and longitudinal flow and maximize strength.

나아가 가로보부에 마련된 복수의 용접홀을 통해 가로보부의 외부에서 보강부를 가로보부에 용접할 수 있어 용접 작업의 정밀도와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weld the reinforcing part to the cross beam from the outside of the cross beam through a plurality of welding holes provided in the cross beam, thereby improving the precision and work efficiency of the welding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신호등 지주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연결부의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연결부의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a) 영역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커버 부재의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제1 보강판과 제2 보강판의 연결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제1 가로보와 제2 가로보에 마련된 러그의 영역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mart traffic light hol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part of this embodiment.
Figure 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3;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n area of the connecting portion shown in FIG. 3 .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reg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shown in FIG. 1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region (a) of FIG. 6 .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an area of the cover member shown in FIG. 2 .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a connection region between a first reinforcing plate and a second reinforcing plate shown in FIG. 2 .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regions of lugs provided on the first crossbeam and the second crossbeam shown in FIG. 1;
11 is a use state diagram of this embodiment.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dvantages in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escrib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figure indica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신호등 지주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연결부의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mart traffic light hol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ain part of this embodiment, FIG. 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3 , and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n area of the connecting portion shown in FIG. 3 .

또한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연결부의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a) 영역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커버 부재의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제1 보강판과 제2 보강판의 연결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제1 가로보와 제2 가로보에 마련된 러그의 영역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도이다.In addition,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area of the connection unit shown in FIG. 1,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rea (a) of FIG. 6, and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the area of the cover member shown in FIG. 2. One drawing, Figure 9 is an enlarged view of the connection area of the first reinforcement plate and the second reinforcement plate shown in Figure 2, Figure 10 is a lug provided on the first crossbeam and the second crossbeam shown in Figure 1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gion, and FIG. 11 is a use state diagram of this embodiment.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신호등 지주장치(1)는, 지주대(100)와, 지주대(100)에 연결되며 신호등(10)을 포함하는 대상물이 결합되는 가로보부(200)와, 가로보부(200)를 지주대(100)에 연결시키는 연결부(300)와, 가로보부(200)에 마련되어 가로보부(200)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부(400)를 구비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smart traffic light hold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holding stand 100 and the crossbeam to which the object including the traffic light 10 is coupled. 200, a connection part 300 connecting the cross beam part 200 to the holding bar 100, and a reinforcing part 400 provided on the cross beam part 200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cross beam part 200. .

지주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하단부에 마련되는 체결부(110)에 의해 지면에 마련된 연결 포스트에 볼트 또는 용접 결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support stand 100 may have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may be bolted or welded to a connection post provided on the ground by a fastening part 110 provided at a lower end. .

본 실시 예에서 지주대(100)의 상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홀(120)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결합홀(120)의 내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로보(210)의 하단부와 베이스 바디(311)의 일단부가 관통하여 지주대(1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결합홀(120)은 지주대(100)의 전후 방에 한 쌍이 이격 마련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 a coupling hole 120 may be provided on the top of the support 100 .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7, the lower end of the first crossbeam 210 and one end of the base body 311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coupling hole 120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lding bar 100. can In this embodiment, a pair of coupling holes 12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holding stand 100 .

가로보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연결부(300)의 내부에 지지되며 내부에 마련되는 보강부(400)에 의해 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crossbeam 200 has one end supported inside the connecting portion 300 and strength may be reinforced by the reinforcing portion 400 provided therein.

본 실시 가로보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300)를 통해 지주대(100)에 연결되는 제1 가로보(210)와, 제1 가로보(210)에 결합되며 제1 가로보(210)보다 직경이 작게 마련되는 제2 가로보(220)와, 제2 가로보(220)에 결합되며 제2 가로보(220)보다 직경이 작게 마련되는 제3 가로보(230)와, 제3 가로보(230)의 단부에 결합되는 커버 부재(240)와, 제1 가로보(210)와 제2 가로보(220)가 접하는 영역 및 제2 가로보(220)와 제3 가로보(230)가 접하는 영역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러그(25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the crossbeam part 200 of this embodiment is coupled to the first crossbeam 210 connected to the holding bar 100 through the connection part 300 and the first crossbeam 210, and the first A second crossbeam 220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crossbeam 210, a third crossbeam 230 coupled to the second crossbeam 220 and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second crossbeam 220, and a third crossbeam The cover member 240 coupled to the end of the 230 and the area where the first cross beam 210 and the second cross beam 220 contact each other and the area where the second cross beam 220 and the third cross beam 230 contact each other It includes a plurality of lugs 250 coupled to each other.

가로보부(200)의 제1 가로보(2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연결부(300)의 내부와 지주대(100)를 관통하여 지주대(1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관 형상을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7 , one end of the first crossbeam 210 of the crossbeam 200 penetrates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300 and the support 100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100. and may have a tubular shape.

본 실시 예에서 제1 가로보(210)의 외벽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보 커버부재(211)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가로보 커버부재(21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311)의 단부에 결합되어 개방된 베이스 바디(311)를 막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가로보 커버부재(211)는 베이스 바디(311)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outer wall of the first cross beam 210, as shown in Figure 3, the cross beam cover member 211 may be provided. In this embodiment, the crossbeam cover member 211, as shown in Figure 7, can be coupled to the end of the base body 311 to block the open base body (311). In this embodiment, the crossbeam cover member 211 may be welded to the base body 311.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1 가로보(210)의 외벽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보 보강부(400)재(212)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가로보 보강부(400)재(21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보 커버부재(211)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일측부가 제1 가로보(210)의 외벽에 결합되며 타측부는 커넥터 바디(321)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가로보 보강부(400)재(212)는 제1 가로보(210)와 커넥터 바디(321)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커넥터 바디(321)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용접홀(H)을 마련하고, 이 용접홀(H)을 통해 가로보 보강부(400)재(212)를 커넥터 바디(321)의 외부에서 편리하고 정확하게 용접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outer wall of the first cross beam 210, as shown in Figure 3, the cross beam reinforcement 400 material 212 may be provided.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7, the crossbeam reinforcement part 400 material 212 is coupled to the outer wall of the first crossbeam 210 so that one side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crossbeam cover member 211, and the other side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or body 321. In this embodiment, the cross beam reinforcement part 400 material 212 may be welded to the first cross beam 210 and the connector body 321.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the connector body 32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elding holes (H), and through the welding holes (H), the cross beam reinforcing part 400 material 212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It can be conveniently and accurately welded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321.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제1 가로보(210)의 외벽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유격 방지 부재(213)가 이격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유격 방지 부재(213) 중 하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대(1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고 나머지 하나는 지주대(100)의 외부로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유격 방지 부재(213)는 최외측 영역이 베이스 바디(311)의 내벽에 지지되어 제1 가로보(210)가 상하나 좌우로 유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유격 방지 부재(213)와 가로보 커버부재(211)와 가로보 보강부(400)재(21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Furthermore, as shown in FIG. 5, a pair of gap prevention members 213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outer wall of the first crossbeam 210 in this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7 , one of the pair of gap prevention members 213 may be disposed inside the holding stand 100 and the other may be disposed outside the holding stand 100. can be provided. In this embodiment, the pair of gap prevention members 213 are supported on the inner wall of the base body 311 in the outermost region to prevent the first crossbeam 210 from vertically or left-right gap. In this embodiment, the pair of gap prevention members 213, the cross-beam cover member 211, and the cross-beam reinforcing part 400 member 212, as shown in FIG. 5, may have a ring shape.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제2 가로보(220)와 근접한 제1 가로보(210)의 단부에는, 도 4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버링(214)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커버링(214)의 일측부는 제1 가로보(210)에 용접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 가로보(220)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1 커버링(214)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그(250)에 의해 상면부가 가압될 수 있고, 러그(250)와 제1 커버링(214)이 접하는 영역도 용접될 수 있다.And, in this embodiment, at the end of the first crossbeam 210 close to the second crossbeam 220, as shown in FIGS. 4 and 10, a first covering 214 may be provided. In this embodiment, one side of the first covering 214 may be welded to the first cross beam 210 and the other side may be welded to the second cross beam 220.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0,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vering 214 may be pressed by the lug 250, and the area where the lug 250 and the first covering 214 come into contact is also welded. It can be.

가로보부(200)의 제2 가로보(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로보(210)보다 직경이 작게 마련되어 제1 커버링(214)에 의해 제1 가로보(210)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second crossbeam 220 of the crossbeam part 200 is provided with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crossbeam 210 and welded to the first crossbeam 210 by the first covering 214. It can be.

본 실시 예에서 제2 가로보(220)의 일단부 즉 제1 가로보(210)와 근접되는 제2 가로보(220)의 영역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로보(2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보강부(400)의 제1 연결판(441)에 의해 지지되어 스토핑 될 수 있다. 즉 제2 가로보(220)의 단부는 제1 연결판(441)에 지지되어 제1 가로보(210)의 내부로 더 이상 들어갈 수 없다.In this embodiment, one end of the second crossbeam 220, that is, the area of the second crossbeam 220 that is close to the first crossbeam 210, as shown in FIG. 10, is inside the first crossbeam 210. It may be supported and stopped by the first connection plate 441 of the reinforcement part 400 to be disposed. That is, the end of the second crossbeam 220 is supported by the first connecting plate 441 and cannot enter the inside of the first crossbeam 210 any more.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2 가로보(220)의 일단부 즉 제2 가로보(220)와 제3 가로보(230)가 접하는 영역의 제2 가로보(22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커버링(221)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커버링(221)의 일측부는 제2 가로보(220)에 용접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3 가로보(230)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2 커버링(221)은 러그(250)에 의해 상면부가 가압될 수 있고, 러그(250)와 제2 커버링(221)이 접하는 영역도 용접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A covering 221 may be provided. In this embodiment, one side of the second covering 221 may be welded to the second crossbeam 220 and the other side may be welded to the third crossbeam 230.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ing 221 may be pressed by the lug 250, and a region where the lug 250 and the second covering 221 come into contact may also be welded.

가로보부(200)의 제3 가로보(2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로보(220)보다 직경이 작게 마련되어 제2 커버링(221)에 의해 제2 가로보(220)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third cross beam 230 of the cross beam 200 is provided with a smaller diameter than the second cross beam 220 and welded to the second cross beam 220 by the second covering 221. It can be.

본 실시 예에서 제3 가로보(230)의 일단부 즉 제2 가로보(220)와 근접되는 제3 가로보(230)의 영역은 제2 가로보(220)의 내부에 배치되는 보강부(400)의 제1 연결판(441)에 의해 지지되어 스토핑 될 수 있다. 즉 제3 가로보(230)의 단부는 제1 연결판(441)에 지지되어 제2 가로보(220)의 내부로 더 이상 들어갈 수 없다.In this embodiment, one end of the third crossbeam 230, that is, the area of the third crossbeam 230 that is close to the second crossbeam 220 is the first part of the reinforcing part 400 disposed inside the second crossbeam 220. 1 can be supported and stopped by the connecting plate 441. That is, the end of the third crossbeam 230 is supported by the first connecting plate 441 and cannot enter the inside of the second crossbeam 220 anymore.

가로보부(200)의 커버 부재(2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가로보(230)의 단부에 결합되어 제2 가로보(220)의 개방된 영역을 막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cover member 240 of the cross beam 200 may be coupled to the end of the third cross beam 230 to block the open area of the second cross beam 220 .

본 실시 예에서 커버 부재(240)는 제3 가로보(230)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ver member 240 may be welded to the third crossbeam 230.

가로보부(200)의 러그(2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로보(210)와 제2 가로보(220)가 접하는 영역과 제2 가로보(220)와 제3 가로보(230)가 접하는 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lug 250 of the crossbeam part 200 has a contact area between the first crossbeam 210 and the second crossbeam 220, the second crossbeam 220 and the third crossbeam 230 can be bonded to the region in contact with

본 실시 예에서 러그(250)의 저면부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이 마련되고 이 단턱을 통해 러그(250)의 저면 일측부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영역의 가로보에 접촉되고 그 저면 타측부는 직경이 작은 영역의 가로보에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그(250)의 저면 일측부는 제1 가로보(210)의 외벽에 접촉되고 저면 타측부는 제2 가로보(220)의 외벽에 접촉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0, the bottom of the lug 250 is provided with a step, and through this step, one side of the bottom of the lug 250 is in contact with a crossbeam of a relatively large diameter area, and the bottom The other side may be in contact with the crossbeam of the small diameter area.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lug 250 may contact the outer wall of the first cross beam 210 and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may contact the outer wall of the second cross beam 220 .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제1 가로보(210)와 제2 가로보(220)와 제3 가로보(230)에는 복수의 용접홀(H)이 마련되어 보강부(400)를 제1 가로보(210)와 제2 가로보(220)와 제3 가로보(230)의 외부에서 용접할 수 있다. 이 용접홀(H)은 연결부(300)의 커넥터 바디(321)에도 마련될 수 있다.And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welding holes (H) are provided in the first cross beam 210, the second cross beam 220, and the third cross beam 230, and the reinforcing part 400 is formed on the first cross beam 210 and the second cross beam 210. It can be welded from the outside of the crossbeam 220 and the third crossbeam 230. This welding hole H may also be provided in the connector body 321 of the connection part 300 .

연결부(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는 지주대(10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 가로보(210)에 결합되어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로보부(200)의 무게 중심을 지주대(100)의 전후 방향으로 분산시킴으로써 가로보의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connecting portion 300 has one side coupled to the holding bar 100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first cross beam 210 to determin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ross beam 200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sagging of the crossbeams by distributing them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support 100.

본 실시 예에서 연결부(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대(100)에 결합되는 베이스부(310)와, 베이스부(310)에 결합되어 베이스부(310)와 같이 제1 가로보(210)를 지지하는 커넥터부(320)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on part 300, as shown in FIG. 6, the base part 310 coupled to the holding bar 100 and coupled to the base part 310, like the base part 310, the first It includes a connector part 320 for supporting the crossbeam 210.

연결부(300)의 베이스부(3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지주대(100)에 마련된 결합홀(120)을 관통하며 제1 가로부의 단부가 내부에 배치되는 베이스 바디(311)와, 베이스 바디(311)에 마련되어 커넥터부(320)의 커넥터 플레이트(322)에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12)와, 일측부가 지주대(100)에 결합되고 타측부가 베이스 플레이트(312)에 결합되는 복수의 보강 플랜지(313)와, 일측부는 베이스 바디(311)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복수의 보강 플랜지(313) 중 선택된 보강 플랜지(313)에 결합되는 베이스 보강부재(314)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7, the base part 310 of the connection part 300 has one end passing through the coupling hole 120 provided in the holding bar 100 and the base body in which the end of the first horizontal part is disposed inside ( 311), a base plate 312 provided on the base body 311 and coupled to the connector plate 322 of the connector unit 320, one side coupled to the support 100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base plate 312 A plurality of reinforcing flanges 313 coupled to, one side coupled to the base body 311 and the other side including a base reinforcing member 314 coupled to a selected reinforcing flange 313 of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flanges 313 do.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바디(31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관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결합홀(120)에 삽입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대(100)의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바디(311)는 지주대(100)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base body 311, as shown in FIG. 5, may have a circular tubular shap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20 shown in FIG. 5, as shown in FIG. 7, the support ( 100) may protrude to the rear. In this embodiment, the base body 311 may be welded to the holding stand 100 .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31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311)에 용접 결합될 수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312)의 중앙부에는 제1 가로보(210)가 관통되는 홀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312)에는 복수의 볼트 결합홀(120)이 마련되어 커넥터부(320)의 커넥터 플레이트(322)와 탈착 가능하게 볼트 결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base plate 312, as shown in Figure 7, can be welded to the base body 311,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se plate 312 has a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crossbeam 210 passes. can be provided.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bolt coupling holes 120 are provided in the base plate 312 to be detachably bolted to the connector plate 322 of the connector unit 320 .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보강 플랜지(31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대(100)의 외벽과 베이스 플레이트(312)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보강 플랜지(31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가 등 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보강 플랜지(313)의 중앙부에는 지주대(100)가 관통하는 플랜지홀(313a)이 마련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flanges 313 may be welded to the outer wall of the support 100 and the base plate 312 as shown in FIG. 7 .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6, three reinforcing flanges 313 may be provided at equal intervals. Also, in the present embodiment, a flange hole 313a through which the support 100 passes may b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reinforcing flange 313 .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보강부재(31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는 베이스 바디(311)의 외벽에 용접 결합되고 타측부는 보강 플랜지(313)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 the base reinforcing member 314 in this embodiment may have one side welded to the outer wall of the base body 311 and the other side welded to the reinforcing flange 313 .

연결부(300)의 커넥터부(3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로부의 단부가 내부를 통과하며 베이스부(310)의 전방에 배치되는 커넥터 바디(321)와, 일측부는 커넥터 바디(321)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베이스 플레이트(312)에 결합되는 커넥터 플레이트(322)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7 , the connector portion 320 of the connection portion 300 includes a connector body 321 disposed in front of the base portion 310 with an end portion of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passing through the inside, and one side of the connector portion. A connector plate 322 is coupled to the body 321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base plate 312 .

본 실시 예에서 커넥터 바디(321)는 베이스 바디(311)보다 큰 직경으로 마련되고 커넥터 플레이트(322)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커넥터 바디(321)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용접홀(H)이 마련되고, 이 용접홀(H)을 통해 커넥터 바디(321)의 외부에서 가로보 보강부(400)재(212)를 커넥터 바디(321)에 편리하고 정확하게 용접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or body 321 may be provided with a larger diameter than the base body 311 and welded to the connector plate 322 .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6, the connector body 32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elding holes H, and through the welding holes H, the cross beam reinforcement part from the outside of the connector body 321 ( 400) The material 212 can be conveniently and accurately welded to the connector body 321.

본 실시 예에서 커넥터 플레이트(322)는 베이스 플레이트(312)와 같은 사이즈로 마련될 수 있고, 복수의 볼트와 너트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312)에 볼트 결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or plate 322 may be provided in the same size as the base plate 312 and may be bolted to the base plate 312 through a plurality of bolts and nuts.

보강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보부(200)와 연결부(300)의 내부에 마련되어 미관을 해치지 않고 가로보부(20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Reinforcing part 400, as shown in Figure 2,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cross beam 200 and the connecting portion 300 can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cross beam 200 without compromising the aesthetics.

본 실시 예에서 보강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로보(210)의 내부에 마련되어 제1 가로보(210)를 보강하는 제1 보강판(410)과, 제2 가로보(220)의 내부에 마련되어 제2 가로보(220)를 보강하는 제2 보강판(420)과, 제3 가로보(230)의 내부에 마련되어 제3 가로보(230)를 보강하는 제3 보강판(430)과, 제1 가로보(210)의 내부에 마련되어 제1 보강판(410)과 제2 보강판(420)을 연결시킴과 아울러 제2 가로보(220)의 내부에 마련되어 제2 보강판(420)과 제3 보강판(430)을 연결시키는 보강판 연결부(440)와, 제1 가로보(210)의 단부에 마련되어 제1 보강판(410)의 단부에 결합되며 연결부(300)의 내부에 배치되는 단부 보강판(450)을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reinforcing part 400, as shown in FIG. 2,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cross beam 210, the first reinforcing plate 410 for reinforcing the first cross beam 210, and the second cross beam A second reinforcing plate 420 provided inside the 220 to reinforce the second cross beam 220 and a third reinforcing plate 430 provided inside the third cross beam 230 to reinforce the third cross beam 230 ) And, provided inside the first cross beam 210 to connect the first reinforcing plate 410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420, and provided inside the second cross beam 220,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420 and a reinforcing plate connecting portion 440 connecting the third reinforcing plate 430, provided at the end of the first crossbeam 210, coupled to the end of the first reinforcing plate 410, and disposed inside the connecting portion 300 It includes an end reinforcement plate 450.

본 실시 예에서 제1 보강판(410), 제2 보강판(420) 및 제3 보강판(430)은 제1 가로보(210), 제2 가로보(220) 및 제3 가로보(230)에 마련된 복수의 용접홀(H)을 통해 외부에서 제1 가로보(210), 제2 가로보(220) 및 제3 가로보(230)에 각각 용접 결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reinforcement plate 410, the second reinforcement plate 420 and the third reinforcement plate 430 are provided on the first cross beam 210, the second cross beam 220 and the third cross beam 230 It may be welded to the first crossbeam 210, the second crossbeam 220 and the third crossbeam 230 from the outside through a plurality of welding holes H, respectively.

보강판 연결부(4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로보(210)에 배치되어 제1 보강판(410)과 제2 보강판(420)을 연결시킴과 아울러 제2 가로보(220)에 배치되어 제2 보강판(420)과 제3 보강판(430)을 연결시키는 제1 연결판(441) 및 제1 보강판(410)과 제1 연결판(441)에 수직되게 결합됨과 아울러 제2 보강판(420)과 세로 연결대에 수직되게 결합되는 제2 연결판(442)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reinforcing plate connecting portion 440 is disposed on the first cross beam 210 to connect the first reinforcing plate 410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420, as well as the second cross beam 220. ) is disposed on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420 and the third reinforcing plate 430 and is coupled vertically to the first connecting plate 441 and the first reinforcing plate 410 and the first connecting plate 441 and In addition, a second connecting plate 442 vertically coupled to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420 and the vertical connecting rod is included.

본 실시 예에서 제1 연결판(441)과 제2 연결판(442)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홀(443)이 마련되어 제1 연결판(441)과 제2 연결판(442)의 결합을 가이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개홀(44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강판(410)의 단부에도 마련되어 절개홀(443)이 마련된 제2 연결판(442)의 영역은 절개홀(443)이 마련된 제1 보강판(410)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고, 절개홀(443)이 마련되지 않은 제2 연결판(442)의 영역은 절개홀(443)이 마련된 제1 연결판(441)의 영역에 끼워 맞춰서 결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the first connection plate 441 and the second connection plate 442 are provided with a cutout hole 443 and the first connection plate 441 and the second connection plate 442 ) can guide the binding of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the cutout hole 443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first reinforcing plate 410, and the area of the second connection plate 442 in which the cutout hole 443 is provided is the cutout hole 443 The area of the second connection plate 442 that can be coupled to the end of the prepared first reinforcing plate 410 and is not provided with the cutout hole 443 is the first connection plate 441 provided with the cutout hole 443. It can be combined by fitting into the area of .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1 보강판(410), 제2 보강판(420), 제3 보강판(430), 제1 연결판(441) 및 단부 보강판(450)은 가로보부(200)의 높이 방향으로 수직되게 배치되고, 제2 연결판(442)은 제1 연결판(441)과 수직되게 제1 연결판(441)에 일부가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reinforcing plate 410,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420, the third reinforcing plate 430, the first connecting plate 441 and the end reinforcing plate 450 of the crossbeam 200 It is disposed vertically in the height direction, and a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plate 442 may be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plate 441 perpendicularly to the first connection plate 441 .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제1 보강판(410)에는 절개홈(411)이 마련되고 단부 보강판(450)에는 절개홈(411)에 결합되는 돌출부(451)가 마련될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reinforcing plate 410 may be provided with a cutout groove 411 and the end reinforcing plate 450 may be provided with a protrusion 451 coupled to the cutout groove 411 .

그리고 제2 보강판(420)에는 제1 결합돌기(421)가 마련되고, 제3 보강판(430)에는 제2 결합돌기(431)가 마련되며, 제1 보강판(410)과 제2 보강판(420)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연결판(441)에는 제1 결합돌기(421)가 삽입되는 결합홈(441a)이 마련되고, 제2 보강판(420)과 제3 보강판(430)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연결판(441)에는 제2 결합돌기(431)가 삽입되는 결합홈(441a)이 마련되어 본 실시 예의 제1 보강판(410) 내지 제3 보강판(430)과 단부 보강판(450)은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421 is provided on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420,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431 is provided on the third reinforcing plate 430, and the first reinforcing plate 410 and the second reinforcement The first connection plate 441 disposed between the plates 42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groove 441a into which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421 is inserted,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420 and the third reinforcing plate 430 ) The first coupling plate 441 disposed between the coupling grooves 441a into which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s 431 are inserted are provided, and the first reinforcing plates 410 to the third reinforcing plates 430 and The end reinforcing plate 450 may stably maintain a coupled state.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 예는 가로부의 내부에 보강부가 마련되고 각각의 보강판이 보강판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가로보의 내부에서 미관을 해치지 않고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보강부가 가로보부와 지주대를 연결하는 부분에까지 마련됨으로써 강도를 효과적으로 증가시켜 상하 및 전후방향 유동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강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나아가 가로보부에 마련된 복수의 용접홀을 통해 가로보부의 외부에서 보강부를 가로보부에 용접할 수 있어 용접 작업의 정밀도와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reinforcing part is provided inside the cross section, and each reinforcing plate is connected by the reinforcing plate connection part, so that the strength can be reinforced without compromising the aesthetics inside the cross beam. In addition, since the reinforcing part is provided even at the part connecting the crossbeam and the support, the strength can be effectively increased to minimize vertical and longitudinal flow and maximize strength.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weld the reinforcing part to the cross beam from the outside of the cross beam through a plurality of welding holes provided in the cross beam, thereby improving the precision and work efficiency of the welding opera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said that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스마트 신호등 지주장치
100 : 지주대 110 : 체결부
120 : 결합홀 200 : 가로보부
210 : 제1 가로보 211 : 가로보 커버부재
212 : 가로보 보강부재 213 : 유격 방지 부재
214 : 제1 커버링 220 : 제2 가로보
221 : 제2 커버링 230 : 제3 가로보
240 : 커버 부재 250 : 러그
300 : 연결부 310 : 베이스부
311 : 베이스 바디 312 : 베이스 플레이트
313 : 보강 플랜지 313a : 플랜지홀
314 : 베이스 보강부재 320 : 커넥터부
321 : 커넥터 바디 322 : 커넥터 플레이트
400 : 보강부 410 : 제1 보강판
411 : 절개홈 420 : 제2 보강판
421 : 제1 결합돌기 430 : 제3 보강판
431 : 제2 결합돌기 440 : 보강판 연결부
441 : 제1 연결판 441a : 결합홈
442 : 제2 연결판 443 : 절개홀
450 : 단부 보강판 451 : 돌출부
10 : 신호등 H : 용접홀
1: Smart traffic light holding device
100: support 110: fastening part
120: coupling hole 200: crossbeam
210: first cross beam 211: cross beam cover member
212: cross beam reinforcing member 213: gap prevention member
214: first covering 220: second crossbeam
221: second covering 230: third crossbeam
240: cover member 250: lug
300: connection part 310: base part
311: base body 312: base plate
313: reinforcement flange 313a: flange hole
314: base reinforcing member 320: connector part
321: connector body 322: connector plate
400: reinforcement part 410: first reinforcement plate
411: cutting groove 420: second reinforcing plate
421: first coupling protrusion 430: third reinforcing plate
431: second coupling protrusion 440: reinforcing plate connection
441: first connecting plate 441a: coupling groove
442: second connecting plate 443: cutting hole
450: end reinforcement plate 451: protrusion
10: traffic light H: welding hole

Claims (1)

지주대;
상기 지주대에 연결되며 신호등을 포함하는 대상물이 결합되는 가로보부;
상기 가로보부를 상기 지주대에 연결시키는 연결부; 및
상기 가로보부에 마련되어 상기 가로보부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신호등 지주장치.
prop;
A cross beam connected to the support and coupled to an object including a traffic light;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cross beam to the holding unit; and
Smart traffic light holding device including a reinforcing portion provided on the cross beam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cross beam.
KR1020210109724A 2021-05-31 2021-08-19 Smart traffic lights supporting appratus having strength reinfforce section KR2022016201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724A KR20220162018A (en) 2021-05-31 2021-08-19 Smart traffic lights supporting appratus having strength reinfforce s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350A KR102297253B1 (en) 2021-05-31 2021-05-31 Smart traffic lights supporting appratus having strength reinfforce section
KR1020210109724A KR20220162018A (en) 2021-05-31 2021-08-19 Smart traffic lights supporting appratus having strength reinfforce sectio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350A Division KR102297253B1 (en) 2021-05-31 2021-05-31 Smart traffic lights supporting appratus having strength reinfforce se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018A true KR20220162018A (en) 2022-12-07

Family

ID=777852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350A KR102297253B1 (en) 2021-05-31 2021-05-31 Smart traffic lights supporting appratus having strength reinfforce section
KR1020210109724A KR20220162018A (en) 2021-05-31 2021-08-19 Smart traffic lights supporting appratus having strength reinfforce section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350A KR102297253B1 (en) 2021-05-31 2021-05-31 Smart traffic lights supporting appratus having strength reinfforce se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9725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732B1 (en) * 2021-09-02 2023-02-06 (주)토페스 A pillar arm connecting structure us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blades
KR102504725B1 (en) * 2021-09-03 2023-02-28 주식회사현진테크 Assembly type wireless traffic light pole
KR102423261B1 (en) * 2021-12-21 2022-07-21 주식회사 와이에이치에스앤티 Cantilever For Traffic Lights
KR102630738B1 (en) * 2023-06-22 2024-01-29 박로건 Traffic light support installed on road traffic ligh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194B1 (en) 2019-04-12 2019-07-11 (주)지용금속 Mast Structure for Supporting Multi-Purpose Traffic Lights of Two-Stage Cross Bea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3625A (en) * 2004-08-26 2006-03-09 Asahi Sansho Kk Steel pipe joint member
KR20110024039A (en) * 2009-09-01 2011-03-09 노용해 Coupler for a streetlight
KR101230498B1 (en) * 2010-12-09 2013-02-06 주식회사 렘넌트 Signal Lamp Device
KR101405825B1 (en) * 2013-01-04 2014-06-11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Cross beam reinforcement structure and cross beam reinforcement method
KR101567029B1 (en) * 2015-03-02 2015-11-06 황민선 Cross beam for traffic lights
KR101638885B1 (en) * 2016-04-30 2016-07-12 이덕관 Connecting rod for install support of traffic light and road observation camera
KR102009620B1 (en) * 2019-02-07 2019-10-23 허진숙 An antideflection structure for a horizontal arm of a traffic lamp pole
KR20200122829A (en) * 2019-04-19 2020-10-28 조태흥 Assemblies Structure of Landing and Street Beams for Traffic Light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194B1 (en) 2019-04-12 2019-07-11 (주)지용금속 Mast Structure for Supporting Multi-Purpose Traffic Lights of Two-Stage Cross Be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7253B1 (en) 2021-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62018A (en) Smart traffic lights supporting appratus having strength reinfforce section
KR20220162024A (en) Smart traffic lights supporting appratus
KR102009620B1 (en) An antideflection structure for a horizontal arm of a traffic lamp pole
KR101453863B1 (en) Supporting apparatus for installation of road traffic facilities
CN110985044B (en) Segment splicing support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ree-round shield tunnel construction
KR101934541B1 (en) Multifunctional pole apparatus for establishing road facility
CN210659407U (en) Tool type protective shed for machining of reinforcing steel bars
KR101703493B1 (en) Mounting apparatus for supporting bar for streetlight
CN209401981U (en) High-intensitive power distribution cabinet frame
JP5492293B2 (en) Scaffolding system having structural units and its assembly method
CN210508494U (en) Combined fairway
CN211421793U (en) Design steel operation platform
JP2017089128A (en) Overhang platform of temporary scaffold
CN113071973B (en) Construction elevator wall-attached device attached to steel pipe column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CN106012714A (en) Aerial cableway garage
JP6652462B2 (en) Bridge fence
CN214352375U (en) Reinforcing bar storage rack
CN216515138U (en) Box girder assembling support
CN210151554U (en) Bailey frame structure of quick installation
CN212191885U (en) Large-scale rivet welding spare steel pipe centre frame
CN215368709U (en) Aluminum alloy template list top is supported and is buckled connection structure with dish
CN210757588U (en) Assembled reinforcing bar processing operation platform frame
CN104234189A (en) Four-pipe truss structure of prefabricated house
CN216197118U (en) Fence bracket
CN215626085U (en) Construction elevator that adheres to steel-pipe column attaches wall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