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2543B1 - 가전기기 - Google Patents

가전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2543B1
KR102542543B1 KR1020170128332A KR20170128332A KR102542543B1 KR 102542543 B1 KR102542543 B1 KR 102542543B1 KR 1020170128332 A KR1020170128332 A KR 1020170128332A KR 20170128332 A KR20170128332 A KR 20170128332A KR 102542543 B1 KR102542543 B1 KR 102542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door
main body
damping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8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8199A (ko
Inventor
박완기
김병학
임용빈
강정훈
손동현
조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주)디비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주)디비케이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8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543B1/ko
Priority to US16/127,805 priority patent/US10782029B2/en
Priority to EP18862841.6A priority patent/EP3688261A4/en
Priority to PCT/KR2018/010793 priority patent/WO2019066332A1/en
Priority to CN201880076411.5A priority patent/CN111406141B/zh
Publication of KR20190038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199A/ko
Priority to US16/992,364 priority patent/US20200370756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091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a gas sp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05F1/1246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 E05F1/1253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with a compression spring
    • E05F1/1261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with a compression spring for counterbalan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10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piston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3Mounting of doors, e.g. hinges, counterbalan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52Type of friction
    • E05Y2201/254Fluid or viscous friction
    • E05Y2201/256Fluid or viscous friction with pistons or v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62Type of motion, e.g. braking
    • E05Y2201/264Type of motion, e.g. braking line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74Compression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3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we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08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ov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도어의 반복 사용으로 인한 마모 및 충격, 그리고 소음을 완화 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도어 장치를 구비하는 가전기기를 개시한다.
가전기기는, 개구를 갖는 본체와, 개구를 개폐하도록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도어와, 도어에 의해 동작하는 댐핑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댐핑 어셈블리는, 본체에 설치되어, 도어의 가압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레버와, 제1 레버에 연결되는 제2 레버 및 제1 레버의 이동 경로와 평행하게 배치되되, 제2 레버에 연결되는 실린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전기기{HOUSEHOLD APPARATUS}
본 발명은 가전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도어의 반복 사용으로 인한 마모 및 충격, 그리고 소음을 완화 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댐핑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가전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댐핑 어셈블리는 개폐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도어가 마련되는 모든 가전기기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어의 개폐 동작은, 도어가 일 측을 기점으로 해서 좌, 우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과, 도어가 상단을 기점으로 해서 상, 하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 하 여닫이 방식의 도어 개폐 방식에서 도어 장치는 도어를 닫을 때, 반복 사용에 의한 마모 및 충격, 소음이 발생될 수 있어, 일정 각도에서 천천히 닫힐 수 있도록 마련되는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댐퍼는 회전 운동 또는 수평 또는 수직 병진 형태로 구성되어, 동작 전환이 번거롭고 구성이 단순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도어의 반복 사용으로 인한 마모 및 충격, 그리고 소음을 완화 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댐핑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가전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부품 수가 감소하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댐핑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가전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도어의 닫힘 시, 도어를 완충하여 충격 및 소음 등을 감소시킬 수 있는 도어 장치를 구비하는 가전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전기기는, 개구를 갖는 본체와,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의해 동작하는 댐핑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댐핑 어셈블리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가압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레버; 상기 제1 레버에 연결되는 제2 레버; 및 상기 제1 레버의 이동 경로와 직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2 레버에 연결되는 실린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댐핑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레버와 상기 실린더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댐핑 어셈블리는, 상기 본체 설치되어, 상기 제1 레버와 제2 레버, 그리고 상기 실린더가 설치되는 댐핑 브라켓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댐핑 브라켓은, 상기 제1 레버와 제2 레버, 그리고 상기 실린더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되는 제1레버 설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댐핑 브라켓은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레버는, 상기 가이드 돌기에 대응되며, 상기 제1 레버가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슬릿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레버는, 상기 도어에 의해 가압되도록 선단에 마련되는 접촉부와, 상기 제2 레버와 연결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레버 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레버는, 상기 제2레버 연결부에 연결되는 제1레버 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레버는, 상기 탄성부재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탄성부재 연결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댐핑 어셈블리는, 상기 댐핑 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실린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적어도 일측은 상기 실린더 하우징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는 상기 1 레버의 이동 경로와 평행 또는 수직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레버의 이동 방향이 상기 본체의 저면으로부터 경사지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가전기기는 개구를 갖는 본체와,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레버;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레버가 상기 도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 할 때, 상기 레버의 이동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저항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댐퍼; 상기 레버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면, 상기 레버가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레버를 탄성 바이어스 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댐퍼는 상기 레버의 이동 방향과 평행 또는 수직하게 저항력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레버를 상기 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하도록 가이드 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는,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와, 상기 가이드 돌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레버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댐퍼는, 상기 레버와 연결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 로드에 연결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를 수용하고,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실린더 하우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일측은 상기 실린더 하우징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레버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레버의 이동 방향은 상기 본체의 저면으로부터 경사지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이동 방향은 상기 레버의 이동 방향에 평행 또는 수직하게 마련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가전기기는 개구를 갖는 본체;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도어; 상기 본체의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닫힘 시 상기 도어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레버;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레버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의 이동 방향과 평행 또는 수직한 방향으로 저항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댐퍼; 상기 레버의 이동 방향은 상기 본체의 저면으로 부터 경사지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레버와 상기 댐퍼 사이를 탄성 지지하도록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의 반복 사용으로 인한 마모 및 충격, 그리고 소음을 완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 장치의 직접 구동을 할 수 있어, 부품 수가 감소하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의 닫힘 시, 도어를 완충하여 충격 및 소음 등을 감소시킬 수 있고, 그에 따른 사용자 편의 및 내구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댐핑 어셈블리가 설치된 가열 조리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본체와 도어 사이에 설치되는 힌지 장치와 댐핑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힌지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분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댐핑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댐핑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
도 6 내지 도 8 은 제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핑 어셈블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9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댐핑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 내지 도 11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댐핑 어셈블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3 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댐핑 어셈블리 및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5 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댐핑 어셈블리 및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7 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댐핑 어셈블리 및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19 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댐핑 어셈블리 및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1 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댐핑 어셈블리 및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 내지 도 23 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댐핑 어셈블리 및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 내지 도 25 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댐핑 어셈블리 및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댐핑 어셈블리 및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개폐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도어가 마련되는 모든 가전기기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도어의 개폐 동작은, 도어가 일 측을 기점으로 해서 좌, 우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과, 도어가 상단을 기점으로 해서 상, 하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가 상단을 기점으로 해서 상, 하 여닫이 방식의 도어는 가전 기기인 오븐 또는 전자레인지 등의 조리기기 또는 식기세척기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실이 마련된 본체와, 조리실을 개폐하도록 본체에 마련되는 도어를 포함하는 가열 조리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하에서는, 가열 조리기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어는 상, 하 여닫이 방식으로 회전되어 개폐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어는 본체의 전, 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조리기(1)는 본체(10)와, 본체(10) 내부에 음식물이 조리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캐비티(미도시)를 포함한다. 본체(10)의 외측에는 본체(10)를 커버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커버(14)가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의 상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21)를 구비하는 쿡탑(20)이 마련될 수 있다. 조리물의 가열을 위한 에너지 원으로 전기 또는 가스가 사용될 수 있다.
본체(10)의 전면에는 캐비티 내로 음식물을 투입하거나 꺼낼 수 있도록 개구(13)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0)의 개구(13)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하는 도어(11)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11)의 전면 상측에는 사용자가 도어(11)를 용이하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핸들(12)이 설치될 수 있다.
도어(11)는 본체(1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도어(11)는 본체(10)에 힌지 장치(3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어(11)는 본체(10)와의 사이에 마련되어 도어(11)에 의해 동작하는 댐핑 어셈블리(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와 도어 사이에 설치되는 힌지 장치와 댐핑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힌지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분해도이다.
도 2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1)와 본체(10)의 사이에는 힌지 장치(30)가 마련된다. 도어(11)와 본체(10) 사이에는 댐핑 어셈블리(100)가 마련된다. 힌지 장치(30) 및 댐핑 어셈블리(100)는 도어(11)의 양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도어(11)의 하단에는 힌지 장치(30)가 마련된다. 힌지 장치(30)는 힌지 브라켓(31)과, 힌지 브라켓(31)에 설치되며 도어(11)의 회전 중심이 되는 도어 힌지(32)를 포함한다.
힌지 브라켓(31)의 적어도 일부는 개구되어 도어 힌지(32)가 본체(10)에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어 힌지(32)의 일측은 도어의 힌지 브라켓(31)에 설치되고, 타측은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도어 힌지(32)의 상부는 적어도 일부가 함몰되어 곡면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면(33)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도어(11)의 회전 중심이 되는 힌지축(40)이 형성된다. 힌지축(40)은 힌지 브라켓(31)에 설치되는 도어 힌지(32)에 마련될 수 있다. 도어 힌지(32)의 일측은 도어(11)의 힌지 브라켓(31)에 설치되고 다른 일측은 본체(10)의 지지돌기(41)에 지지될 수 있다.
힌지 장치(30)는 힌지 브라켓(31)에 수용되고, 도어 힌지(32)의 가이드 면(33)에 구름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롤러(3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롤러(34)는 가이드(37)에 마련된다. 가이드(37)는 힌지 브라켓(31)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이드(37)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에는 가이드 롤러(34)가 마련되어 도어 힌지(32)의 가이드 면(33)에 접촉되고, 상부는 힌지 브라켓(31)에 마련된 지지대(36)에 지지될 수 있다. 지지대(36)는 힌지 브라켓(31)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며 가이드(37)가 관통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힌지 장치(30)는 스프링(35)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35)은 가이드(37)에 마련되어 도어 힌지(32)와 가이드(37) 사이에서 도어(11)의 움직임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힌지 장치(30)의 적어도 일부에는 가압부(38)가 마련될 수 있다. 가압부(38)는 가이드(37)에 마련될 수 있다. 가압부(38)는 범퍼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38)는 힌지 브라켓(31)의 개구를 통해 도어(11)의 외측에 노출될 수 있다. 가압부(38)는 후술하는 댐핑 어셈블리(100)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 힌지(32)는 지지 브라켓(3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브라켓(39)은 도어 힌지(32)에 마련될 수 있다. 지지 브라켓(39)은 도어 힌지(32)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지지 브라켓(39)은 도어 힌지(32)의 강성을 보강해 주고, 상측으로 연장된 지지 브라켓 가이드(39a)를 더 포함하여, 후술하는 댐핑 어셈블리(100)의 제1 레버(120)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한편, 도어(11)는 본체(10)와 힌지 장치(3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구(13)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11)의 반복 사용에 의한 마모 및 충격, 그리고 소음을 완화 시킬 수 있도록 도어(11)의 닫힘 시, 도어(11) 완충을 위해 본체(10)에는 댐핑 어셈블리(100)가 마련될 수 있다. 댐핑 어셈블리(100)는 본체(10)와 도어(11)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댐핑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댐핑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6 내지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핑 어셈블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핑 어셈블리(100)는 본체(10)에 설치된다. 댐핑 어셈블리(100)는 본체(10)의 양측 하단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댐핑 어셈블리(100)는 댐핑 브라켓(110)과, 댐핑 브라켓(110)에 마련되는 제1 레버(120)와, 제1 레버(120)에 연결되는 댐퍼(130)를 포함할 수 있다.
댐핑 브라켓(110)은 판 형상의 제1브라켓(110a)과, 제1브라켓(110a)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2브라켓(110b)과, 제1브라켓(110a)과 제2브라켓(110b)을 연결하여 전면을 형성하는 제3브라켓(110c)을 포함한다. 댐핑 브라켓(110)은 제1브라켓(110a)과 제2브라켓(110b) 그리고 제3브라켓(110c)에 의해 내부에 댐퍼(130)를 설치할 수 있는 수용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댐핑 브라켓(110)의 전면 하부에는 제1 레버(12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한 제1레버 설치부(111)가 형성된다. 제1레버 설치부(111)는 제3브라켓(110c)의 하부 중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댐핑 브라켓(110)의 제1레버 설치부(111)에는 제1 레버(12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레버(120)에 연결되는 댐퍼(130)는 제1 레버(120)의 이동 경로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댐퍼(130)는 제1 레버(120)에 연결되는 피스톤 로드(이하, 제2 레버(131))와, 제2 레버(131)에 연결되는 실린더(132)를 포함한다. 댐퍼(130)는 실린더(132)를 수용하고 댐핑 브라켓(110)에 실린더(132)를 설치하기 위한 실린더 하우징(1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레버(131)는 실린더(132)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레버(131)의 일측 단부에는 제1 레버(120)와 연결을 위한 제1레버 연결부(131a)가 마련될 수 있다. 제1레버 연결부(131a)는 일측이 제2 레버(131)에 연결된 중공의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레버 연결부(131a)의 상면과 하면은 제2 레버(131)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132)는 실린더 하우징(133)의 내에 수용되어 댐핑 브라켓(110)의 수용부(112)에 설치될 수 있다. 실린더 하우징(133)은 댐핑 브라켓(110)에 고정하기 위한 실린더 하우징 설치부(136)가 마련된다. 실린더 하우징 설치부(136)는 댐핑 브라켓(110)의 댐퍼 설치부(114)에 고정될 수 있다. 댐퍼 설치부(114)는 댐핑 브라켓(110)의 제1브라켓(110a)과 제2브라켓(110b)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 레버(120)는 댐핑 브라켓(110)의 수용부(112)에 수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레버(120)는 도어(11)에 의해 가압되도록 선단에 마련되는 접촉부(121)와, 제2 레버(131)와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제2레버 연결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레버 연결부(122)는 제1 레버(120)의 적어도 일부가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레버(120)는 댐핑 브라켓(110)에 가이드 부(140)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 부(140)는 댐핑 브라켓(110)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141)와, 제1 레버(120)에 가이드 돌기(141)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슬릿(142)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슬릿(142)은 장공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슬릿(142)은 제1 레버(120)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부(140)는 댐핑 브라켓(110)의 제1레버 설치부(111)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제1 레버(120)가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댐핑 어셈블리(100)는 제1 레버(120)와 댐퍼(130)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60)는 제1 레버(120)와 댐퍼(130)의 실린더 하우징(133)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레버(120)는 후단 상부에 탄성부재(160)가 연결될 수 있도록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탄성부재 연결부(123)를 포함한다.
실린더 하우징(133)은 선단 하부에 탄성부재(160)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측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탄성부재 연결부(134)를 포함한다.
탄성부재(160)는 도어(11)의 비 가압 시, 제1 레버(120)가 제1위치(P1)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1 레버(120)를 실린더 하우징(133) 측으로 압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탄성부재(160)는 제1 레버(120)의 제1탄성부재 연결부(123)와 실린더 하우징(133)의 제2탄성부재 연결부(134) 사이를 압축하도록 마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댐핑 어셈블리(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어(11)는 본체(10)의 하부에 마련된 도어 힌지(32)의 힌지축(40)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개방된다.
이때, 댐핑 어셈블리(100)의 제1 레버(120)는 탄성부재(160)에 의해 제1위치(P1)로 이동한다. 제1 레버(120)는 본체(10)에 마련된 댐핑 브라켓(110)의 제1레버 설치부(111)를 통해 제1위치(P1)로 이동한다.
사용자가 도어(11)를 닫기 위해 회전시키면, 도어(11)는 힌지 장치(30)에 의해 도어 힌지(32)의 힌지축(4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측으로 이동한다.
도어(11)가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면, 도어(11)에 설치된 가이드 롤러(34)는 도어 힌지(32)와 접촉하고 스프링(35)은 압축된다. 가이드 롤러(34)는 도어 힌지(32)의 가이드 면(33)측으로 이동한다.
도어(11)의 가이드(37)에 설치된 가압부(38)가 제1 레버(120)의 접촉부(121)를 가압하면, 제1 레버(120)는 이동하게 된다. 제1 레버(120)는 가이드 부(140)에 의해 가이드 될 수 있다. 제1 레버(120)는 도어(11)에 의해 제2위치(P2)로 이동한다.
제1 레버(120)에 연결된 댐퍼(130)는 제1 레버(120)가 제2위치(P2)로 이동 할 때, 제1 레버(120)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저항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탄성부재(160)는 제1 레버(120)와 실린더 하우징(133) 사이를 탄성 지지한다. 탄성부재(160)는 제1 레버(120)에 대한 도어(11)의 가압이 해제되면, 제1 레버(120)가 제2위치(P2)에서 제1위치(P1)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레버(120)를 탄성 바이어스 한다.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댐핑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 내지 도 11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댐핑 어셈블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8 을 참조한다.
도 9 내지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핑 어셈블리(100A)는 본체(10)에 설치된다.
댐핑 어셈블리(100A)는 댐핑 브라켓(110A)과, 댐핑 브라켓(110A)에 마련되는 제1 레버(120A)와, 제1 레버(120A)의 후방에 연결되는 댐퍼(130A)를 포함할 수 있다.
댐핑 브라켓(110A)은 판 형상의 제1브라켓(110Aa)과, 제1브라켓(110Aa)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2브라켓(110Ab)과, 제1브라켓(110Aa)과 제2브라켓(110Ab)을 연결하여 전면을 형성하는 제3브라켓(110Ac)을 포함한다. 댐핑 브라켓(110A)은 제1브라켓(110Aa)과 제2브라켓(110Ab) 그리고 제3브라켓(110Ac)에 의해 내부에 제1 레버(120A)와 댐퍼(130)를 설치할 수 있는 수용부(112A)를 포함할 수 있다.
댐핑 브라켓(110A)의 전면 하부에는 제1 레버(120A)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한 제1레버 설치부(111A)가 형성된다. 제1레버 설치부(111A)는 제3브라켓(110Ac)의 하부 중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댐핑 브라켓(110A)의 제1레버 설치부(111A)에는 제1 레버(12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레버(120A)에 연결되는 댐퍼(130A)는 제1 레버(120A)의 이동 경로와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제1 레버(120A)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댐퍼(130A)는 제1 레버(120A)에 연결되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 레버(131A)와, 제2 레버(131A)에 연결되는 실린더(132A), 실린더(132A)를 수용하여 댐핑 브라켓(110A)에 설치하기 위한 실린더 하우징(133A)을 포함한다.
이때, 제1 레버(120A)는 본체(10)의 저면(B)으로부터 제1각도(θ)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레버(120A)는 댐핑 브라켓(110A)의 수용부(112A)에 수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 레버(120A)는 도어(11)에 의해 가압되도록 선단에 마련되는 접촉부(12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버(120A)의 후단부는 제2 레버(131A)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레버(131A)는 제1 레버(120A)와 결합될 수 있도록 제1레버 연결부(131A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버(120A)는 댐핑 브라켓(110A)에 가이드 부(140A)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 부(140A)는 댐핑 브라켓(110A)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141A)들과, 제1 레버(120A)에 형성되어 댐핑 브라켓(110A)의 가이드 돌기(141A)에 의해 가이드 되는 가이드 슬릿(142A)을 포함한다. 가이드 슬릿(142A)은 장공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슬릿(142A)은 제1 레버(120A)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슬릿(142A)은 제1각도(θ)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 댐핑 브라켓(110A)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돌기(141A)는 제1 레버(120A)의 상측과 하측에서 제1 레버(120A)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2 레버(131A)는 실린더(132A)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실린더(132A)는 실린더 하우징(133A) 내에 수용되며, 댐핑 브라켓(110A)에 고정하기 위한 실린더 하우징 설치부(136A)가 마련될 수 있다. 실린더 하우징 설치부(136A)는 댐핑 브라켓(110A)의 댐퍼 설치부(114A)에 고정될 수 있다. 댐퍼 설치부(114A)는 댐핑 브라켓(110)의 제1브라켓(110Aa)과 제2브라켓(110Ab)의 하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댐핑 어셈블리(100A)는 댐핑 브라켓(110A)과 댐퍼(130)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부재(160A)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60A)는 댐핑 브라켓(110A)와 댐퍼(130A)의 제2레버(132A)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댐핑 브라켓(110A)은 그 하단부에 탄성부재(160A)가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탄성부재 연결부(110Ad)를 포함한다.
댐퍼(130A)의 제2 레버(131A)는 선단 하부에 탄성부재(160A)가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탄성부재 연결부(131Ab)를 포함한다. 제2탄성부재 연결부(131Ab)는 제2레버(131A)의 제1레버 연결부(131Aa)에 하단에 형성된다.
이때, 탄성부재(160A)는 도어(11)의 비 가압 시, 제1 레버(120A)가 제1위치(P1)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1 레버(120A)를 댐핑 브라켓(110A) 측으로 압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반대로, 도어(11)의 가압 시, 도어(11)의 가압부(34)가 제1 레버(120A)의 접촉부(121A)를 가압하면, 제1 레버(120A)는 이동하여 제2위치(P2)로 이동한다.
제1 레버(120A)의 후방에 연결된 댐퍼(130A)는 제1 레버(120A)가 제2위치(P2)로 이동 할 때, 제1 레버(120A)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저항력을 발생시킨다.
상기한 구성의 의한 댐핑 어셈블리(100A)의 구체적인 구조 및 동작은 위에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충분히 예측 가능하므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 내지 도 13 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댐핑 어셈블리 및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8 을 참조한다.
도 12 내지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핑 어셈블리(100B)는 본체(10)에 설치된다.
댐핑 어셈블리(100B)는 댐핑 브라켓(110B)과, 댐핑 브라켓(110B)에 마련되는 제1 레버(120B)와, 제1 레버(120B)의 후방에 연결되는 댐퍼(130B)를 포함할 수 있다.
댐핑 브라켓(110B)은 제1 레버(120B)와 댐퍼(130B)를 설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수용부(112B)를 포함할 수 있다.
댐핑 브라켓(110B)의 전면 하부에는 제1 레버(120B)가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한 제1레버 설치부(111B)가 형성된다.
제1 레버(120B)에 연결되는 댐퍼(130B)는 제1 레버(120B)의 이동 경로와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제1 레버(120B)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댐퍼(130B)는 제1 레버(120B)에 연결링크(170B)에 의해 연결되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 레버(131B)와, 제2 레버(131B)에 연결되는 실린더(132B), 실린더(132B)를 수용하여 댐핑 브라켓(110B)에 설치하기 위한 실린더 하우징(13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버(120B)는 댐핑 브라켓(110B)의 수용부(112B)에 수용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 레버(120B)는 도어(11)의 가압부(38)에 의해 가압되도록 선단에 마련되는 접촉부(1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버(120B)의 후단부에는 연결 링크(170B)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한 제1레버 연결부(131Ba)가 형성된다.
연결링크(170B)는 일단은 제1레버(120B)의 제1레버 연결부(131B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는 연결링크 가이드면(171B)이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링크 가이드면(171B)은 제2 레버(131B)에 연결되어 제1 레버(120B)의 이동에 제2레버(131B)가 연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연결링크(170B)에는 연결링크(170B)의 이동을 가이드 및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연결링크 가이드부(180B)가 마련된다. 연결링크 가이드부(180B)는 연결링크 가이드돌기(181B)와, 연결링크 가이드돌기(181B)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연결링크 가이드슬롯(182B)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링크 가이드슬롯(182B)은 장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링크 가이드슬롯(182B)은 연결링크 가이드돌기(181B)에 의해 지지되어 연결링크(170B)의 이동을 지지한다.
제2레버(131B)는 연결링크(170B)의 연결링크 가이드면(171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2 레버(131B)는 연결링크 가이드면(171B)에 지지되는 제2레버 가이드(13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레버 가이드(135B)는 연결링크 가이드면(171B)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제2레버(131B)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레버(120B)는 댐핑 브라켓(110B)에 가이드 부(140B)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 부(140B)는 댐핑 브라켓(110B)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141B)들과, 제1 레버(120B)에 형성되어 댐핑 브라켓(110B)의 가이드 돌기(141B)에 의해 가이드 되는 가이드 슬릿(142B)을 포함한다. 가이드 슬릿(142B)은 장공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슬릿(142B)은 제1 레버(120B)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레버(131B)는 실린더(132B)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실린더(132B)는 실린더 하우징(133B) 내에 수용된다.
도어(11)의 비 가압 시, 제1 레버(120B)는 제1위치(P1)에 위치된다.
반대로, 도어(11)의 가압 시, 도어(11)의 가압부(38)가 제1 레버(120B)의 접촉부(121B)를 가압하면, 제1 레버(120B)는 이동하여 제2위치(P2)로 이동한다.
제1 레버(120B)의 후방 상측에 연결된 댐퍼(130B)는 제1 레버(120B)가 제2위치(P2)로 이동 할 때, 제1 레버(120B)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저항력을 발생시킨다.
상기한 구성의 의한 댐핑 어셈블리(100B)의 구체적인 구조 및 동작은 위에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충분히 예측 가능하므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 내지 도 15 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댐핑 어셈블리 및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8 을 참조한다.
도 14 내지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핑 어셈블리(100C)는 본체(10)에 설치된다.
댐핑 어셈블리(100C)는 댐핑 브라켓(110C)과, 댐핑 브라켓(110C)에 마련되는 제1 레버(120C)와, 제1 레버(120C)의 후방 상측에 연결되는 댐퍼(130C)를 포함할 수 있다.
댐핑 브라켓(110C)은 제1 레버(120C)와 댐퍼(130C)를 설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수용부(112C)를 포함할 수 있다.
댐핑 브라켓(110C)의 전면 하부에는 제1 레버(120C)가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개구되어 형성되는 제1레버 설치부(111C)가 마련된다.
제1 레버(120C)에 연결되는 댐퍼(130C)는 제1 레버(120C)의 이동 경로와 직선이동 하도록 제1 레버(120B)의 후방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댐퍼(130C)는 제1 레버(120C)에 연결링크(170C)에 의해 연결되어, 수직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 레버(131C)와, 제2 레버(131C)에 연결되는 실린더(132C), 실린더(132C)를 수용하여 댐핑 브라켓(110C)에 설치하기 위한 실린더 하우징(133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버(120C)는 댐핑 브라켓(110C)의 수용부(112C)에 수용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 레버(120C)는 도어(11)의 가압부(38)에 의해 가압되도록 선단에 마련되는 접촉부(12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버(120C)의 후방에는 연결 링크(170C)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한 제1레버 연결돌기(127C)가 형성된다.
연결링크(170C)의 일단은 제1 레버(120C)의 제1레버 연결돌기(127C)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제1 레버(120C)의 이동에 의해 제2레버(131B)를 이동시키도록 형성되는 연결링크 가이드면(171C)이 형성된다. 연결링크 가이드면(171C)은 제2 레버(131C)에 연결되며, 제1 레버(120C)의 이동에 제2레버(131C)가 연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연결링크(170C)의 상단에는 연결링크(170C)가 제1 레버(120C)의 이동에 연동하여 회동될 수 있도록 연결링크 회전축(173C)이 마련될 수 있다. 연결링크(170C)는 연결링크 회전축(173C)을 중심으로 그 하부 부분의 일단부는 제1 레버(120C)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 레버(131C)에 연결되어, 제1 레버(120C)의 이동을 제2 레버(131C)로 전달한다.
한편, 연결링크(170C)에는 제1 레버(120C)의 이동에 연결링크(170C)가 연동되도록 연결링크 가이드 슬롯(174C)이 마련된다. 연결링크 가이드슬롯(174C)는 제1레버 연결돌기(127C)에 대응되게 마련된다. 연결링크 가이드슬롯(174C)은 장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링크 가이드슬롯(174C)은 제1레버 연결돌기(127C)에 의해 지지되어 연결링크(170C)의 이동을 지지한다.
제2레버(131C)는 연결링크(170C)의 연결링크 가이드면(171C)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2 레버(131C)는 연결링크 가이드면(171C)에 지지되는 제2레버 가이드(135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레버 가이드(135C)는 연결링크 가이드면(171C)에 의해 이동되어 상하 방향으로 제2레버(131C)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레버(120C)는 댐핑 브라켓(110C)에 가이드 부(140C)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 부(140C)는 댐핑 브라켓(110B)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141C)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41C)는 제1레버(120C)의 전단 상하부에 각각 마련되어, 제1레버(120C)의 이동을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제2 레버(131C)는 실린더(132C)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실린더 하우징(133B) 내에 수용된다.
한편, 도어(11)의 비 가압 시, 제1 레버(120C)는 제1위치(P1)에 위치되고, 도어(11)의 가압 시, 도어(11)의 가압부(38)가 제1 레버(120C)의 접촉부(121C)를 가압하면, 제1 레버(120C)는 이동하여 제2위치(P2)로 이동한다.
제1 레버(120C)의 후방 상측에 연결된 댐퍼(130C)는 제1 레버(120C)가 제2위치(P2)로 이동 할 때, 제2레버(131C)는 연결링크(170C)에 의해 제1 레버(120C)의 이동 방향과 직선(수직)방향으로 저항력을 발생시킨다.
상기한 구성의 의한 댐핑 어셈블리(100C)의 구체적인 구조 및 동작은 위에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충분히 예측 가능하므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 내지 도 17 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댐핑 어셈블리 및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8 을 참조한다.
도 16 내지 도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핑 어셈블리(100D)는 본체(10)에 설치된다.
댐핑 어셈블리(100D)는 댐핑 브라켓(110D)과, 댐핑 브라켓(110D)에 마련되는 제1 레버(120D)와, 제1 레버(120D)의 후방 상측에 연결되는 댐퍼(130D)를 포함할 수 있다.
댐핑 브라켓(110D)은 제1 레버(120D)와 댐퍼(130D)를 설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수용부(112D)를 포함할 수 있다.
댐핑 브라켓(110D)의 전면 하부에는 제1 레버(120D)가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개구되어 형성되는 제1레버 설치부(111D)가 마련된다.
제1 레버(120D)에 연결되는 댐퍼(130D)는 제1 레버(120C)의 이동 경로와 직선이동 하도록 제1 레버(120D)의 후방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댐퍼(130D)는 제1 레버(120D)에 연결되어, 수직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 레버(131D)와, 제2 레버(131D)에 연결되는 실린더(132D), 실린더(132D)를 수용하여 댐핑 브라켓(110D)에 설치하기 위한 실린더 하우징(133D)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버(120D)는 댐핑 브라켓(110D)의 수용부(112D)에 수용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 레버(120D)는 도어(11)의 가압부(38)에 의해 가압되도록 선단에 마련되는 접촉부(121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버(120D)의 상단에는 제1레버 회전축(125D)이 마련되어 제1레버(120D)가 회동될 수 있다. 제1 레버(120D)의 일측 단부에는 제1 레버(120D)의 이동에 연동해 제2레버(131D)를 수직 이동시키도록 가이드하는 제1레버 가이드면(127D)이 형성된다.
제1레버 가이드면(127D)은 제2 레버(131D)에 연결되며, 제1 레버(120D)의 회동에 제2레버(131D)가 연동하여 직선이동 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제1레버(120D)는 가이드 부(140D)에 의해 지지되어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 부(140D)는 댐핑 브라켓(110D)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141D)와, 가이드 돌기(141D)에 대응되도록 제1레버(120D)에 형성되는 가이드 슬롯(142D)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슬롯(142D)은 장공으로 형성되어 제1레버(120D)가 제1레버 회전축(125D)을 중심으로 회전이동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2 레버(131D)는 실린더(132D)에 의해 수직 이동 가능하도록 실린더 하우징(133D) 내에 수용된다.
한편, 도어(11)의 비 가압 시, 제1 레버(120D)는 제1위치(P1)에 위치되고, 도어(11)의 가압 시, 도어(11)의 가압부(38)가 제1 레버(120D)의 접촉부(121D)를 가압하면, 제1 레버(120D)는 이동하여 제2위치(P2)로 이동한다.
제1 레버(120C)의 후방 상측에 연결된 댐퍼(130D)는 제1 레버(120D)가 제2위치(P2)로 이동 할 때, 제2레버(131D)는 제1 레버(120D)의 이동 방향과 직선(수직)방향으로 저항력을 발생시킨다.
상기한 구성의 의한 댐핑 어셈블리(100D)의 구체적인 구조 및 동작은 위에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충분히 예측 가능하므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 내지 도 19 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댐핑 어셈블리 및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8 을 참조한다.
도 18 내지 도 1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핑 어셈블리(100E)는 본체(10)에 설치된다.
댐핑 어셈블리(100E)는 댐핑 브라켓(110E)과, 댐핑 브라켓(110E)에 마련되는 제1 레버(120E)와, 제1 레버(120E)의 후방 상측에 연결되는 댐퍼(130E)를 포함할 수 있다.
댐핑 브라켓(110E)의 전면 하부에는 제1 레버(120E)가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개구되어 형성되는 제1레버 설치부(111E)가 마련된다.
제1 레버(120E)에 연결되는 댐퍼(130E)는 제1 레버(120E)의 이동 경로와 직선이동 하도록 제1 레버(120E)의 후방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댐퍼(130E)는 제1 레버(120E)에 연결되어, 수직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 레버(131E)와, 제2 레버(131E)에 연결되는 실린더(132E)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레버(131E)는 그 하단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레버 가이드면(135E)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레버(131E)는 그 외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제2레버 가이드돌기(136E)에 의해 가이드되어 이동할 수 있다.
제1 레버(120E)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 레버(120E)는 도어(11)의 가압부(38)에 의해 가압되도록 선단에 마련되는 접촉부(121E)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버(120E)의 후단에는 제1 레버(120E)의 이동에 연동해 제2레버(131E)를 수직 이동시키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레버 가이드면(127E)이 마련된다. 제1 레버 가이드면(127E)은 제2레버 가이드면(136E)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레버 가이드면(127E)은 제2 레버(131E)에 연결되며, 제1 레버(120E)의 이동에 제2레버(131E)가 연동하여 상하 방향으로 직선이동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한편, 제1레버(120E)는 가이드 부(140E)에 의해 지지되어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 부(140E)는 댐핑 브라켓(110E)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141E)와, 가이드 돌기(141E)에 대응되도록 제1레버(120E)에 형성되는 가이드 슬롯(142E)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슬롯(142E)은 장공으로 형성되어 제1레버(120E)가 이동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가이드부(140E)는 제1레버(120E)의 하단을 지지하는 가이드 지지돌기(143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지지돌기(143E)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제1레버(120E)의 전후 이동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도어(11)의 비 가압 시, 제1 레버(120E)는 제1위치(P1)에 위치되고, 도어(11)의 가압 시, 도어(11)의 가압부(38)가 제1 레버(120E)의 접촉부(121E)를 가압하면, 제1 레버(120E)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제2위치(P2)로 이동한다.
제1 레버(120E)의 후방 상측에 연결된 댐퍼(130E)는 제1 레버(120E)가 제2위치(P2)로 이동 할 때, 제2레버(131E)는 제1 레버(120E)의 이동 방향과 직선(수직)방향으로 저항력을 발생시키도록 이동한다.
상기한 구성의 의한 댐핑 어셈블리(100E)의 구체적인 구조 및 동작은 위에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충분히 예측 가능하므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0 내지 도 21 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댐핑 어셈블리 및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8 을 참조한다.
도 20 내지 도 2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핑 어셈블리(100F)는 본체(10)에 설치된다.
댐핑 어셈블리(100F)는 댐핑 브라켓(110F)과, 댐핑 브라켓(110F)에 마련되는 제1 레버(120F)와, 제1 레버(120F)의 후방 상측에 연결되는 댐퍼(130F)를 포함할 수 있다.
댐핑 브라켓(110F)의 전면 하부에는 제1 레버(120F)가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개구되어 형성되는 제1레버 설치부(111F)가 마련된다.
제1 레버(120F)에 연결되는 댐퍼(130F)는 제1 레버(120F)의 이동 경로와 직선이동 하도록 제1 레버(120F)의 후방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댐퍼(130F)는 제1 레버(120F)에 연결되어, 수직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 레버(131F)와, 제2 레버(131F)에 연결되는 실린더(132F)와, 실린더(132F)를 수용하도록 설치되는 실린더 하우징(133F)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버(120F)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 레버(120F)는 도어(11)의 가압부(38)에 의해 가압되도록 선단에 마련되는 접촉부(121F)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버(120F)의 후단 상측에는 제1 레버(120F)의 이동에 연동해 제2레버(131F)를 수직 이동시키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레버 가이드면(127F)이 마련된다.
제1레버 가이드면(127F)은 제2 레버(131F)에 접촉되며, 제1 레버(120F)의 이동에 제2레버(131F)가 연동하여 상하 방향으로 직선이동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레버(120F)는 가이드 부(140F)에 의해 지지되어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 부(140F)는 댐핑 브라켓(110F)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141F)와, 가이드 돌기(141F)에 대응되도록 제1레버(120F)에 형성되는 가이드 슬롯(142F)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슬롯(142F)은 장공으로 형성되어 제1레버(120F)가 이동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한편, 댐핑 어셈블리(100F)는 댐핑 브라켓(110F)과 제1레버(120F)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부재(160F)를 포함할 수 있다. 댐핑 브라켓(110F)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탄성부재연결부(161F)를 포함한다. 제1레버(120F)는 적어도 일부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탄성부재연결부(162F)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60F)는 도어(11)의 비 가압시 제1레버(120F)가 제1위치(P1)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압축되어 마련된다.
도어(11)의 가압 시, 도어(11)의 가압부(38)가 제1 레버(120F)의 접촉부(121F)를 가압하면, 제1 레버(120F)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제2위치(P2)로 이동한다.
이때, 제1 레버(120F)의 후방 상측에 연결된 댐퍼(130F)는 제1 레버(120F)가 제2위치(P2)로 이동 할 때, 제2레버(131F)는 제1 레버(120F)의 이동 방향과 직선(수직)방향으로 저항력을 발생시키도록 이동한다.
상기한 구성의 의한 댐핑 어셈블리(100F)의 구체적인 구조 및 동작은 위에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충분히 예측 가능하므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2 내지 도 23 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댐핑 어셈블리 및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8 을 참조한다.
도 22 내지 도 2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핑 어셈블리(100G)는 본체(10)에 설치된다.
댐핑 어셈블리(100G)는 댐핑 브라켓(110G)과, 댐핑 브라켓(110G)에 마련되는 제1 레버(120G)와, 제1 레버(120G)에 연결되는 댐퍼(130G)를 포함할 수 있다.
댐핑 브라켓(110G)은 제1 레버(120G)와 댐퍼(130G)를 설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수용부(112G)를 포함할 수 있다.
댐핑 브라켓(110G)의 전면 하부에는 제1 레버(120G)가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한 제1레버 설치부(111G)가 형성된다.
제1 레버(120G)에 연결되는 댐퍼(130G)는 제1 레버(120G)의 이동 경로와 직선(수직)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도록 제1 레버(120G)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댐퍼(130G)는 제1 레버(120G)에 연결링크(170G)에 의해 연결되어, 수직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 레버(131G)와, 제2 레버(131G)에 연결되어 상하 이동하는 실린더(132G), 실린더(132G)를 수용하여 댐핑 브라켓(110G)에 설치하기 위한 실린더 하우징(133G)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버(120G)는 댐핑 브라켓(110G)의 수용부(112G)에 수용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 레버(120G)는 도어(11)의 가압부(38)에 의해 가압되도록 선단에 마련되는 접촉부(121G)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버(120G)의 선단부에는 연결 링크(170G)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한 제1레버 연결부(131Ga)가 형성된다.
연결링크(170G)는 일단은 제1레버(120G)의 제1레버 연결부(131G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는 후술하는 제2레버(131G)의 제2레버 가이스슬롯(135G)에 대응되는 연결링크 가이드돌기(181G)가 마련된다.
이때, 연결링크(170G)의 일측 단부는 제1레버(120G)의 상측 선단에 배치되고, 연결링크(170G)의 타단은 제2레버(131G)의 하단 일측에 배치되어, 연결링크(170)는 제1레버 연결부(131Ga)는 회전하는 동시에 후방으로 이동하고, 연결링크 돌기(181G)는 제2레버 가이드슬롯(135G)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한다.
연결링크 가이드돌기(181G)는 제2 레버(131G)에 연결되어 제1 레버(120G)의 이동에 제2레버(131G)가 연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2레버(131G)는 연결링크(170G)의 연결링크 가이드돌기(181G)에 대응되는 제2레버 가이드슬롯(135G)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레버 가이드슬롯(135G)은 연결링크 가이드돌기(135G)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제2레버(131G)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레버(120G)는 댐핑 브라켓(110G)에 가이드 부(140G)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 부(140G)는 댐핑 브라켓(110G)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141G)와, 제1 레버(120G)에 형성되어 댐핑 브라켓(110G)의 가이드 돌기(141G)에 의해 가이드 되는 가이드 슬릿(142G)을 포함한다. 가이드 슬릿(142G)은 장공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슬릿(142G)은 제1 레버(120G)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레버(131G)는 실린더(132G)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실린더(132G)는 실린더 하우징(133G) 내에 수용된다.
도어(11)의 비 가압 시, 제1 레버(120G)는 제1위치(P1)에 위치된다.
반대로, 도어(11)의 가압 시, 도어(11)의 가압부(38)가 제1 레버(120G)의 접촉부(121G)를 가압하면, 제1 레버(120G)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제2위치(P2)로 이동한다.
제1 레버(120G)의 후방 상측에 연결된 댐퍼(130G)는 제1 레버(120G)가 제2위치(P2)로 이동 할 때, 제1 레버(120G)의 이동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저항력을 발생시킨다.
상기한 구성의 의한 댐핑 어셈블리(100G)의 구체적인 구조 및 동작은 위에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충분히 예측 가능하므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4 내지 도 25 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댐핑 어셈블리 및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8 을 참조한다.
도 24 내지 도 2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핑 어셈블리(100H)는 본체(10)에 설치된다.
댐핑 어셈블리(100H)는 댐핑 브라켓(110H)과, 댐핑 브라켓(110H)에 마련되는 제1 레버(120H)와, 제1 레버(120H)에 연결되는 댐퍼(130H)를 포함할 수 있다.
댐핑 브라켓(110H)은 제1 레버(120H)와 댐퍼(130H)를 설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수용부(112H)를 포함할 수 있다.
댐핑 브라켓(110H)의 전면 하부에는 제1 레버(120H)가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한 제1레버 설치부(111H)가 형성된다.
제1 레버(120H)에 연결되는 댐퍼(130H)는 제1 레버(120H)의 이동 경로와 직선(수직)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도록 제1 레버(120H)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댐퍼(130H)는 제1 레버(120H)에 연결링크(170H)에 의해 연결되어, 수직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 레버(131H)와, 제2 레버(131H)에 연결되어 상하 이동하는 실린더(132H), 실린더(132H)를 수용하여 댐핑 브라켓(110H)에 설치하기 위한 실린더 하우징(133H)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버(120H)는 댐핑 브라켓(110H)의 수용부(112H)에 수용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 레버(120H)는 도어(11)의 가압부(38)에 의해 가압되도록 선단에 마련되는 접촉부(121H)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버(120H)에는 연결 링크(170H)와 연결되기 위한 제1레버 가이드 슬롯(142H)이 형성된다. 제1레버 가이드슬롯(142H)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링크(170H)는 일단은 제1레버(120H)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레버(131H)에 연결된다. 연결링크(170H)는 제1연결링크 돌기(171H)와 제2연결링크 돌기(172H)가 마련된다. 제1연결링크 돌기(171H)와 제2연결링크 돌기(172H)는 각각 연결링크(170H)의 양측 단부에 마련된다.
제1연결링크 돌기(171H)는 제1레버(120H)의 제1레버 가이드 슬롯(142H)에 연결되고, 제2연결링크 돌기(172H)는 제2레버(131H)에 연결된다.
제1연결링크 돌기(171H)는 댐핑 브라켓(110H)에 형성된 제1댐핑브라켓 가이드슬롯(143H)에 연결되어, 제1레버(120H)가 댐핑 브라켓(110H)의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또, 제2연결링크 돌기(172H)는 댐핑 브라켓(110H)에 형성된 제2댐핑브라켓 가이드슬롯(144H)에 연결되어, 제2레버(131H)가 댐핑 브라켓(110H)의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제2연결링크 돌기(172H)는 댐핑 브라켓(110H)과 제1레버(120H)에 동시에 연결되어 제1레버(120H)와 연결링크(170H)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댐핑브라켓 가이드슬롯(143H)은 전방보다 후방이 올라가는 경사를 갖는 사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댐핑브라켓 가이드슬롯(144H)은 상하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레버(120H)의 제1레버 가이드슬롯(142H)에 연결되어 제1레버(120H)가 제1댐핑브라켓 가이드슬롯(143H)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면 동시에, 연결링크(170H)의 제1연결링크 돌기(171H)는 제1레버(120H)의 제1레버 가이드슬롯(142H)에의해 상측으로 이동한다.
제2연결링크 가이드돌기(182H)는 제2 레버(131H)에 연결되어, 제2댐핑브라켓 가이드슬롯(144H)을 따라 제2레버(131H)가 연동할 수 있도록 한다.
연결링크(170H)의 제2연결링크 가이드돌기(172H)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제2레버(131H)를 이동시킬 수 있다.
레버(131H)는 실린더(132H)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실린더(132H)는 실린더 하우징(133H) 내에 수용된다.
도어(11)의 비 가압 시, 제1 레버(120H)는 제1위치(P1)에 위치된다.
반대로, 도어(11)의 가압 시, 도어(11)의 가압부(38)가 제1 레버(120H)의 접촉부(121H)를 가압하면, 제1 레버(120H)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제2위치(P2)로 이동한다.
이때, 제1 레버(120H)의 상측에 연결된 댐퍼(130H)는 제1 레버(120H)가 제2위치(P2)로 이동 할 때, 제1 레버(120H)의 이동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저항력을 발생시킨다.
상기한 구성의 의한 댐핑 어셈블리(100H)의 구체적인 구조 및 동작은 위에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충분히 예측 가능하므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6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댐핑 어셈블리 및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8 을 참조한다.
도 26 내지 도 2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핑 어셈블리(100I)는 본체(10)에 설치된다.
댐핑 어셈블리(100I)는 댐핑 브라켓(110I)과, 댐핑 브라켓(110I)에 마련되는 제1 레버(120I)와, 제1 레버(120I)의 후단 상측에 연결되는 댐퍼(130I)를 포함할 수 있다.
댐핑 브라켓(110I)은 제1 레버(120I)와 댐퍼(130I)를 설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수용부(112I)를 포함할 수 있다.
댐핑 브라켓(110I)의 전면 하부에는 제1 레버(120I)가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개구되어 형성되는 제1레버 설치부(111I)가 마련된다.
제1 레버(120I)에 연결되는 댐퍼(130I)는 제1 레버(120C)의 이동 경로와 직선이동 하도록 제1 레버(120I)의 후방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댐퍼(130I)는 제1 레버(120I)에 연결되어, 수직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 레버(131I)와, 제2 레버(131I)에 연결되는 실린더(132I), 실린더(132I)를 수용하여 댐핑 브라켓(110I)에 설치하기 위한 실린더 하우징(133I)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버(120I)는 댐핑 브라켓(110I)의 수용부(112I)에 수용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 레버(120I)는 도어(11)의 가압부(38)에 의해 가압되도록 선단에 마련되는 접촉부(121I)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버(120I)는 댐핑 브라켓(110I)에 설치되는 제1링크(126I)와 제2링크(125I)에 연결될 수 있다. 제1링크(126I)와 제2링크(125I)는 상단에 제1링크회전축(126Ia)과 제2링크회전축(125Ia)이 마련된다. 제1링크(126I)은 일단이 제1링크회전축(126Ia)에 고정되고, 타단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2링트(125I)의 일단이 제2링크회전축(125Ia)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제1링크(126I)는 제2링크(125I)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레버(120I)에는 제1레버 제1회전축(131I)과 제1레버 제2회전축(132I)이 마련된다. 제1레버(120I)의 제1레버 제1회전축(131I)은 제1링크(126I)에 연결된다. 제1레버(120I)의 제1레버제2회전축(132I)은 제2링크(125I)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레버(120I)는 도어(11)에 의해 접촉부(121I)가 가압되면, 제1링크(126I)와 제2링크(127I)에 의해 제1레버 제1회전축(131I)과 제1레버 제2회전축(132I)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제1 레버(120I)의 후방에는 제1 레버(120I)의 이동에 연동해 제2레버(131I)를 수직 이동시키도록 가이드하는 제1레버 가이드면(127I)이 형성된다.
제1레버 가이드면(127I)은 제2 레버(131I)에 연결되며, 제1 레버(120I)의 이동에 제2레버(131I)가 연동하여 수직방향으로 직선이동 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2 레버(131I)는 실린더(132I)에 의해 수직 이동 가능하도록 실린더 하우징(133I) 내에 수용된다.
한편, 도어(11)의 비 가압 시, 제1 레버(120I)는 제1위치(P1)에 위치되고, 도어(11)의 가압 시, 도어(11)의 가압부(38)가 제1 레버(120I)의 접촉부(121I)를 가압하면, 제1 레버(120I)는 이동하여 제2위치(P2)로 이동한다.
제1 레버(120C)의 후방 상측에 연결된 댐퍼(130I)는 제1 레버(120I)가 제2위치(P2)로 이동 할 때, 제2레버(131I)는 제1 레버(120I)의 이동 방향과 직선(수직)방향으로 저항력을 발생시킨다.
상기한 구성의 의한 댐핑 어셈블리(100I)의 구체적인 구조 및 동작은 위에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충분히 예측 가능하므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가열 조리기 10 : 본체
11 : 도어 30 : 힌지 장치
31 : 힌지 브라켓 32 : 도어 힌지
33 : 가이드 면 34 : 가이드 롤러
35 : 스프링 38 : 가압부
40 : 힌지축 100 : 댐핑 어셈블리
110 : 댐핑 브라켓 111 : 제1레버 설치부
112 : 수용부 120 : 제1 레버
121 : 접촉부 122 : 제2레버 연결부
123 : 제1탄성부재 연결부 130 : 댐퍼
131 : 제2 레버 132 : 실린더
133 : 실린더 하우징 134 : 제2탄성부재 연결부
140 : 가이드 부 160 : 탄성부재

Claims (20)

  1. 개구를 갖는 본체와,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의해 동작하는 댐핑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댐핑 어셈블리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가압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레버와,
    상기 제1 레버에 연결되는 제2 레버와,
    상기 제2레버와 연결되는 실린더, 그리고 상기 실린더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실린더 하우징을 포함하여, 상기 제1 레버의 이동 경로와 직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댐퍼와,
    상기 제1레버와 상기 실린더 하우징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레버는 적어도 일부가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레버에 연결되는 제2레버 연결부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 어셈블리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레버와 제2 레버, 그리고 상기 실린더가 설치되는 댐핑 브라켓을 포함하는 가전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 브라켓은,
    상기 제1 레버와 제2 레버, 그리고 상기 실린더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되는 제1레버 설치부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 브라켓은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레버는, 상기 가이드 돌기에 대응되며, 상기 제1 레버가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슬릿을 포함하는 가전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버는,
    상기 도어에 의해 가압되도록 선단에 마련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버는,
    상기 제2레버 연결부에 연결되는 제1레버 연결부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버는,
    상기 탄성부재와 연결되도록, 후단에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탄성부재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하우징은 선단 하측에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탄성부재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적어도 일측은 상기 제2탄성부재 연결부에 연결되는 가전기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상기 1 레버의 이동 경로와 평행 또는 수직하게 배치되는 가전기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버의 이동 방향이 상기 본체의 저면으로부터 경사지게 배치되는 가전기기.
  12. 개구를 갖는 본체와,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레버;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레버가 상기 도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 할 때, 상기 레버의 이동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저항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댐퍼;
    상기 레버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면, 상기 레버가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레버를 탄성 바이어스 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레버와 연결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 로드에 연결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를 수용하고,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실린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레버는 후단 상부에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이 연결될 수 있도록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탄성부재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 하우징은 선단 하부에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측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탄성부재 연결부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레버의 이동 방향과 평행 또는 수직하게 저항력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되는 가전기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를 상기 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하도록 가이드 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는,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와,
    상기 가이드 돌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레버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포함하는 가전기기.
  15. 삭제
  16. 삭제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이동 방향은 상기 본체의 저면으로부터 경사지게 배치되는 가전기기.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이동 방향은 상기 레버의 이동 방향에 평행 또는 수직하게 마련되는 가전기기.
  19. 개구를 갖는 본체;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도어;
    상기 본체의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닫힘 시 상기 도어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레버;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레버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의 이동 방향과 평행 또는 수직한 방향으로 저항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댐퍼;
    상기 레버와 상기 댐퍼 사이를 탄성 지지하도록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의 이동 방향은 상기 본체의 저면으로 부터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레버, 상기 댐퍼,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댐핑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
  20. 삭제
KR1020170128332A 2017-09-29 2017-09-29 가전기기 KR102542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8332A KR102542543B1 (ko) 2017-09-29 2017-09-29 가전기기
US16/127,805 US10782029B2 (en) 2017-09-29 2018-09-11 Home appliance
EP18862841.6A EP3688261A4 (en) 2017-09-29 2018-09-13 WASHING MACHINE
PCT/KR2018/010793 WO2019066332A1 (en) 2017-09-29 2018-09-13 WASHING MACHINE
CN201880076411.5A CN111406141B (zh) 2017-09-29 2018-09-13 洗衣机
US16/992,364 US20200370756A1 (en) 2017-09-29 2020-08-13 Home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8332A KR102542543B1 (ko) 2017-09-29 2017-09-29 가전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199A KR20190038199A (ko) 2019-04-08
KR102542543B1 true KR102542543B1 (ko) 2023-06-14

Family

ID=65897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8332A KR102542543B1 (ko) 2017-09-29 2017-09-29 가전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782029B2 (ko)
EP (1) EP3688261A4 (ko)
KR (1) KR102542543B1 (ko)
CN (1) CN111406141B (ko)
WO (1) WO20190663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45157B2 (en) * 2013-01-31 2018-12-04 Mansfield Engineered Components, Inc. Breakaway hinge receptacle
IT201600088717A1 (it) * 2016-08-31 2018-03-03 C M I Cerniere Mecc Industriali Srl Dispositivo a cerniera con smorzamento del tratto terminale della corsa di chiusura
IT202000002605A1 (it) * 2020-02-10 2021-08-10 C M I Cerniere Mecc Industriali Srl Dispositivo a cerniera con chiusura smorzata
IT202100002864A1 (it) 2021-02-10 2022-08-10 C M I Cerniere Mecc Industriali Srl Dispositivo a cerniera con ammortizzatore azionato da un elemento oscillante
KR20230016420A (ko) * 2021-07-26 2023-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래치 및 이를 포함한 조리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75125A (ja) * 2009-09-29 2011-04-14 Panasonic Corp マイクロ波加熱調理器
KR101729058B1 (ko) * 2016-06-10 2017-04-21 서원코리아 주식회사 도어 힌지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77537A (en) * 1955-10-06 1961-03-28 Varo Mfg Co Inc Frequency meter
US3073038A (en) * 1959-11-05 1963-01-15 Woodrow C Lodding Drying drum
DE20306043U1 (de) * 2003-04-15 2004-08-26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Kühl- und/oder Gefriergerät
TWM254942U (en) * 2004-04-23 2005-01-11 Guang-Tai Ge Structure of cabinet hinge with continuous slow movement functions
KR200410197Y1 (ko) 2005-12-09 2006-03-07 (주)삼우교역 댐퍼가 구비된 도어힌지
DE202006013360U1 (de) 2006-08-31 2008-01-03 Hettich-Oni Gmbh & Co. Kg Möbelscharnier
ITBO20070369A1 (it) 2007-05-23 2008-11-24 Nuova Star Spa Cerniera per ante o sportelli
KR100955447B1 (ko) 2007-09-21 2010-05-04 (주)삼우 도어힌지
US8141181B2 (en) * 2007-12-04 2012-03-27 Aquatic Co. Neck jet pillow for whirlpool tub or spa
DE102008018867A1 (de) * 2008-04-15 2009-10-2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gerätvorrichtung
KR101104640B1 (ko) 2008-11-17 2012-01-12 풍원공업 주식회사 도어 힌지
US8925542B2 (en) * 2009-07-21 2015-01-06 Mansfield Assemblies Co. Slow open and/or slow close hinge assembly and hinge system
ITBO20090059U1 (it) 2009-07-30 2011-01-31 Nuova Star Spa Cerniera perfezionata per ante o sportelli.
JP5364162B2 (ja) * 2010-04-16 2013-12-11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扉開閉装置
CA2838555A1 (en) * 2011-06-08 2012-12-13 Faringosi Hinges S.R.L. Hinges provided with elastic means and dampener
EP2562341B1 (en) * 2011-08-26 2015-10-21 Atasan Metal Sanayi Ticaret Limited Sirketi Damper hinge counter support system for a home appliance
US8911036B2 (en) * 2012-05-16 2014-12-16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Domestic appliance hinge assembly with hinge keeper
ITBO20130663A1 (it) * 2013-11-29 2015-05-30 Nuova Star Spa Cerniera per sportelli di elettrodomestici.
KR102169955B1 (ko) * 2014-02-18 2020-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6103875B (zh) * 2014-03-31 2019-03-15 伊莱克斯家用电器股份公司 具有门阻尼器的家用器具
DE102014113970B4 (de) * 2014-09-26 2016-08-18 Samet Kalip Ve Maden Esya San. Ve Tic. A.S. Möbelscharnier
JP6481825B2 (ja) 2015-05-28 2019-03-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熱調理器
KR101870020B1 (ko) 2016-03-18 2018-06-21 서원코리아 주식회사 도어 힌지
US11013827B2 (en) * 2016-04-30 2021-05-25 Bvw Holding Ag Microstructured haptotaxic implant
US10890334B2 (en) * 2017-02-02 2021-01-12 Mansfield Engineered Components, Inc. Hinge assembly with slow close and/or slow open characteristics
KR102013042B1 (ko) * 2017-12-22 2019-08-21 서원코리아 주식회사 도어 힌지
CN108644830A (zh) * 2018-06-20 2018-10-12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开关门装置和家用电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75125A (ja) * 2009-09-29 2011-04-14 Panasonic Corp マイクロ波加熱調理器
KR101729058B1 (ko) * 2016-06-10 2017-04-21 서원코리아 주식회사 도어 힌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01295A1 (en) 2019-04-04
US20200370756A1 (en) 2020-11-26
EP3688261A1 (en) 2020-08-05
CN111406141B (zh) 2022-01-18
KR20190038199A (ko) 2019-04-08
US10782029B2 (en) 2020-09-22
CN111406141A (zh) 2020-07-10
WO2019066332A1 (en) 2019-04-04
EP3688261A4 (en) 202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2543B1 (ko) 가전기기
EP2407723B1 (en) Sliding hinge for a domestic appliance
US7934290B2 (en) Door hinge device with fulcrum at variable position
CN101845740B (zh) 洗衣机盖体开闭用铰链装置
KR101652591B1 (ko) 냉장고
CN111373112B (zh) 门铰链
US8985717B2 (en) Hinge assembly for household appliances having an horizontally-pivoted front door
US10794102B2 (en) Hinge for doors of domestic appliances
KR20080087163A (ko) 도어를 갖는 장치
KR20080029202A (ko) 가열조리기
US7255101B2 (en) Apparatus with a door, in particular, a cooking appliance door
KR20160133168A (ko) 이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가전제품
JP2009139020A (ja) 高周波調理器
CA2779919C (en) Domestic appliance hinge assembly with hinge keeper
US8833877B2 (en) Hinge assembly for domestic appliance
KR101204349B1 (ko) 오븐기용 도어 힌지 장치
KR20150060292A (ko) 가전 제품
CN210685670U (zh) 阻尼铰链及门体开合结构
WO2018147322A1 (ja) 加熱調理器
KR102613455B1 (ko) 멀티링크 힌지
CN110259308A (zh) 阻尼铰链及门体开合结构
KR100751854B1 (ko) 도어힌지용 댐퍼어셈블리
RU2788713C2 (ru) Фурнитура створки для предмета мебели, боковая стенка корпуса предмета мебели и предмет мебели, имеющий боковую стенку
CN118087993A (zh) 用于装置、尤其用于家用器具或家具的铰链以及装置、尤其是家用器具或家具
KR20110106000A (ko) 쇼바 기능을 갖는 도어 경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