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1706B1 - 세척 및 살균기능을 지닌 틀니세척기 - Google Patents

세척 및 살균기능을 지닌 틀니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1706B1
KR102541706B1 KR1020210049315A KR20210049315A KR102541706B1 KR 102541706 B1 KR102541706 B1 KR 102541706B1 KR 1020210049315 A KR1020210049315 A KR 1020210049315A KR 20210049315 A KR20210049315 A KR 20210049315A KR 102541706 B1 KR102541706 B1 KR 102541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shing
denture
cap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9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2816A (ko
Inventor
손인수
김혜진
송영욱
김윤수
박준범
김경민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49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706B1/ko
Publication of KR20220142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36Cleaning devices for dental prostheses removed from the oral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1In-situ dentures; Trial or temporary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5Total denture im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by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distortion, beating, or vibra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 B08B7/026Using sound waves
    • B08B7/028Using ultras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 및 살균기능을 지닌 틀니세척기로 세척수가 저장되는 저장부가 형성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어 상기 세척수를 공급받되, 내부에 틀니가 위치하도록 상부가 개방되는 중공부를 포함하는 세척부,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 결합되되, 초음파를 발생하는 초음파부 상기 프레임부에 틸팅되도록 결합되되 상기 세척부의 상부를 개폐하는 캡부 및 상기 캡부의 내측면에 결합되되, UV-C의 파장을 조사하는 UV부를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부와 상기 UV부는 상기 캡부의 개폐 유무에 의해 상기 틀니를 초음파 세척 및 자외선 살균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세척 및 살균기능을 지닌 틀니세척기{A DENTURE WASHER WITH CLEANING AND STERILIZATION FUNCTIONS}
본 발명은 세척 및 살균기능을 지닌 틀니세척기로 세척수가 저장되는 저장부가 형성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어 상기 세척수를 공급받되, 내부에 틀니가 위치하도록 상부가 개방되는 중공부를 포함하는 세척부,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 결합되되, 초음파를 발생하는 초음파부 상기 프레임부에 틸팅되도록 결합되되 상기 세척부의 상부를 개폐하는 캡부 및 상기 캡부의 내측면에 결합되되, UV-C의 파장을 조사하는 UV부를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부와 상기 UV부는 상기 캡부의 개폐 유무에 의해 상기 틀니를 초음파 세척 및 자외선 살균하는 발명이다.
인구 고령화에 의해 노인의 기본건강이 주목받고 있으며, 노화로 인한 신체기능 저하 문제에 따른 약물 복용 증가 및 활동성 저하로 노인의 건강문제는 복합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특히, 저작운동을 기반으로 음식을 섭취하는 구강의 문제는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우식, 충치, 잇몸의 내려 앉음으로 인해 치아가 탈락하게 되면 보조적 수단으로 틀니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틀니의 잘못된 관리법으로 인해 구취, 의치성 구내염, 구강칸디다 등 다양한 구강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가 많다.
틀니는 음식을 씹는 특징으로 인해 음식물 찌꺼기에 의한 곰팡이, 세균이 번식하기 쉬운 환경이 조성된다.
전술한 틀니의 문제점은 입안의 감염을 유발해 일상 생활에 불편함을 야기하게 된다.
이는 삶의 질과 연관되어 삶의 질을 저하하는 문제점이 생기며 음식 섭취에도 문제가 생겨 영양의 불균형을 초래하게 된다.
틀니를 세척하기 위해 종래에는 가루 및 정제 형태의 세정제를 물에 녹여 틀니를 소독하는 세정제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세정제는 적정한 농도 조절이 어려우며 단순히 세정제에 담궈놓는 형태로 플라그와 같은 찌꺼기를 해결하는 것이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초음파 세척기와 같은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지만 초음파 세척 또한 확실한 세척이 어려우며 초음파 세척기의 경우 살균의 기능이 부재하거나 효과적인 살균을 하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척과 살균이 동시에 이루어져 틀니를 간편하게 세척하고 틀니 사용자의 구강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한 세척과 살균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틀니세척기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448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06382호
본 발명은 틀니와 같은 위생용품의 오염을 방지하고 재사용을 위해 효과적으로 세척 및 살균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도모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척 및 살균기능을 지닌 틀니세척기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저장부가 형성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어 상기 세척수를 공급받되, 내부에 틀니가 위치하도록 상부가 개방되는 중공부를 포함하는 세척부,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 결합되되, 초음파를 발생하는 초음파부, 상기 세척부에 틸팅되도록 결합되되 상기 세척부의 상부를 개폐하는 캡부 및 상기 캡부의 내측면에 결합되되, UV-C의 파장을 조사하는 UV부를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부와 상기 UV부는 상기 캡부의 개폐 유무에 의해 상기 틀니를 초음파 세척 및 자외선 살균한다.
상기 세척부의 내부에 삽입되되, 상기 틀니를 지지하는 메쉬망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캡부와 상기 메쉬망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캡부의 개폐에 의해 상기 메쉬망부를 상기 세척부 내부에서 승강 및 하강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세척부와 상기 저장부를 연통하는 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관을 통해 상기 세척수가 이동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 내부에서 상기 공급관을 개폐하는 마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개부는 상기 세척수의 유량을 조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마개부는 상기 저장부의 내외측을 관통하되, 일단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초음파부 및 상기 UV부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세척 및 살균기능을 지닌 틀니세척기는 잦은 세척이 필요한 틀니의 세척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세척 및 살균이 동시에 진행되어 틀니의 보존성이 증대되며 사용성 및 청결성이 향상되어 사용자의 구강건강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틀니세척기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틀니세척기의 각 구성에 따른 결합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프레임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프레임부에 프레임캡부가 결합되어 틸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세척부 및 세척부에 삽입되는 메쉬방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메쉬망부와 캡부의 결합방법 및 동작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UV-C광을 조사하는 UV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이 마개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틀니세척기의 중앙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조사'란 UV 자외선의 형태로 빛이나 광선 따위를 쬐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살균'이란 사전적 의미인 미생물에 물리적 화학적 자극을 가하여 이를 단시간 내에 멸살시키는 수단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구강 내부에 발생할 수 있는 감염인자, 곰팡이, 세균, 바이러스 및 오염물질을 전반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의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세척 및 살균기능을 지닌 틀니세척기(100)는 잦은 세척이 필요한 틀니의 세척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세척 및 살균이 동시에 진행되어 틀니의 보존성이 증대되며 사용성 및 청결성이 향상되어 사용자의 구강건강을 도모하는 발명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틀니세척기(100)에는 틀니(T)가 수용될 수 있으며 간단히 틀니(T)를 틀니세척기(100) 내부에 넣기만 하면 세척 및 살균이 편리하게 실시될 수 있다.
도 2 및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틀니세척기(100)는 프레임부(110), 프레임캡부(120), 세척부(130), 메쉬망부(140), 캡부(150), UV부(160), 연결부(170), 초음파부(190) 및 배터리부(200)를 포함한다.
도 3을 참고하면 프레임부(110)는 저장부(111), 체결부(112), 돌출부(113), 홀부(114) 및 배출부(115)를 포함한다.
프레임부(110)는 틀니세척기(100)의 전체적인 프레임 역할을 하며 틀니세척기(100)를 구성하는 구성들이 결합되는 뼈대 역할을 한다.
저장부(111)는 내부에 세척수를 수용하기 위한 빈 공간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부가 개방되어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부(112)는 프레임부(110)의 일단에서 후술할 세척부(130)의 형태에 따라 절삭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3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저장부(111)에 수용되어 있는 세척수를 세척부(130)에 공급하기 위해 체결부(112)의 일지점은 후술할 공급관(1111)과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돌출부(113)는 저장부(111)의 상부를 밀폐하는 프레임캡부(120)가 결합되기 위한 단부이며 도 4를 참고하면 돌출부(113)에 프레임캡부(120)가 결합되어 프레임캡부(120)를 저장부(111)의 상부에서 틸팅되며 밀폐할 수 있도록 한다.
덧붙여, 돌출부(113)는 원형의 형상으로 돌출되어 프레임캡부(120)가 상하운동 즉, 저장부(111)를 개폐하기 위해 운동할 때, 마찰되는 단부를 최소화하여 용이하게 틸팅될 수 있다.
홀부(114)는 후술할 마개부(18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홀 형태의 단부이며, 마개부(180)의 조절을 통해 세척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하도록 한다.
배출부(115)는 체결부(112)의 일지점에서 세척부(130)와 연통되어 틀니를 세척하기 위해 사용된 세척수가 배수될 수 있다.
배출부(115)는 도시되지 콕(cock)와 같은 플러그가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플러그를 제거하여 세척수의 배수를 유도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세척부(130)는 프레임부(110)와 결합되어 내부에 틀니를 수용하여 세척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세척부(130)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부가 형성되어 세척수가 수용될 수 있다.
세척부(130)는 저장부(111)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채워질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체적인 형상은 반원을 형상을 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 도면에 도시된 형상에 국한되지 않고 내부에 중공부를 마련하며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척부(130)의 내부에는 메쉬망부(140)가 삽입되어 틀니를 지지하여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메쉬망부(140)는 복수 개의 타공을 통해 세척수가 유동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메쉬망부(140)에 올려진 틀니를 세척수를 통해 세척을 수행하게 된다.
세척부(130)의 설명에 앞서 메쉬망부(140)를 설명하면, 메쉬망부(140)는 세척수 내부에 수용되어 틀니를 거치하며 세척이 이루어지는 동안 틀니를 세척부(130) 내부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메쉬망부(140)는 타공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메쉬망부(140)가 세척부(130) 내부에서 틀니를 거치하여 하강하게 되는 경우 세척수가 타공을 통해 유동되어 메쉬망부(140)에 거치되는 틀니를 효율적으로 세척하기 위함이다.
만일, 메쉬망부(140)의 타공이 없는 구조로 이루어진다면 세척수가 틀니의 미세한 틈까지 용이하게 세척을 이루지 못하며 후술할 초음파부(190)에 의해 물이 진동하는 경우 틀니에 진동하는 세척수로 인해 틀니가 세척수의 유동에 따라 흔들리게 되어 세척의 효율이 저하되게 된다.
또한, 세척수의 압력에 의해 틀니가 세척부(130) 내부에서 불필요한 움직임을 지녀 세척부(130)의 측면에 부딪혀 파손의 위험이 발생하게 된다.
메쉬망부(140)는 양측 일지점에는 후술할 캡부(150)의 개폐 여부에 따라 메쉬망부(140)를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하기 위해 연결되는 연결부(170)와 고정하기 위한 메쉬홀더(141)가 한 쌍으로 형성된다.
메쉬홀더(141)는 연결부(170)와 볼트, 클램프 등 다양한 연결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설계 의도에 따라 상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메쉬망부(140)의 모서리 일단부에는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1 가이드홈부(142), 제2 가이드홈부(143) 및 제3 가이드홈부(144)가 형성된다.
제1 가이드홈부(142), 제2 가이드홈부(143) 및 제3 가이드홈부(144)는 각각 메쉬망부(140)의 중심을 향해 함몰되는 호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다시 도 6을 참고하여 세척부(130)를 설명하며, 제1 가이드홈부(142), 제2 가이드홈부(143) 및 제3 가이드홈부(144)의 사용 예시를 설명한다.
세척부(130)의 내부에는 제1 가이드홈부(142), 제2 가이드홈부(143) 및 제3 가이드홈부(144)의 형상에 대응되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가이드부(132), 제2 가이드부(133) 및 제3 가이드부(134)가 형성된다.
제1 가이드부(132), 제2 가이드부(133) 및 제3 가이드부(134)는 각각 제1 가이드홈부(142), 제2 가이홈부 및 제3 가이드홈부(144)에 상호 상보적으로 위치하여 메쉬망부(140)가 세척부(130)에서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132), 제2 가이드부(133) 및 제3 가이드부(134)는 형성되는 위치 및 돌출되는 직경의 차이만 있을 뿐 동일한 기능을 가지므로 제1 가이드부(132)와 이에 상보적으로 맞닿아 수직운동할 수 있는 제1 가이드홈부(142)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6을 참고하면, 제1 가이드홈부(142)는 제1 가이드부(132)의 외측면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하게 된다.
제1 가이드홈부(142) 및 제1 가이드부(132)의 구조는 메쉬망부(140)가 세척부(130) 내부에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세히, 제1 가이드홈부(142)를 통해 메쉬망부(140)는 세척부(130)의 제1 가이드부(132)를 따라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는, 틀니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메쉬망부(140)를 세척부(130) 내부에 위치해야만 하는 위치에 정확히 메쉬망부(140)를 위치시킬 수 있어 메쉬망부(140)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만일, 메쉬망부(140)를 임의로 위치시키게 된다면 세척수의 유동에 따른 떨림으로 인해 메쉬망부(140)가 세척부(130)의 내측면에 부딪혀 세척부(130)가 파손되는 단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메쉬망부(140)가 정확하게 위치되지 않고 흔들리거나 세척부(130) 내부에서 위치해야만 하는 위치에서 이탈하게 된다면 메쉬망부(140)에 거치된 틀니 역시 세척부(130) 내부에서 세척부(130)의 내측면에 부딪혀 파손되는 위험이 발생된다.
또한, 제1 가이드홈부(142) 내지 제3 가이드홈부(144)와 제1 가이드부(132) 내지 제3 가이드부(134)의 결합구조로 인해 세척수가 일정 진동을 지녀 진동하면서 틀니를 세척하더라도 상호 맞닿아 고정되어 메쉬망부(140)가 흔들리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메쉬망부(140)의 제1 가이드홈부(142) 내지 제3 가이드홈부(144)를 세척부(130)의 제1 가이드부(132) 내지 제3 가이드부(134)에 대응되도록 위치시키기만 하면 별도의 고정부재가 필요없이 고정력이 증대되며 잘못된 메쉬망부(140)의 삽입으로 인해 세척부(130) 및 메쉬망부(140)가 파손되는 것을 현저하게 줄여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가시적이고 직관적으로 손쉽게 세척부(130)와 메쉬망부(140)의 결합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2 및 도 7을 참고하여 캡부(150)를 설명한다.
캡부(150)는 세척부(130)의 상측 선단에 결합된다.
상세히, 도면부호는 기재하기 않았지만 도 6을 참고하면 제2 가이드부(133) 및 제3 가이드부(134) 사이에는 캡부(15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된다.
이를 통해 캡부(15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캡부(150)는 세척부(130)의 상부를 밀폐할 수 있게 된다.
캡부(150)는 세척부(130)의 상부에서 밀폐를 위해 개폐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이를 위해 틸팅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캡부(150)는 세척부(130)의 형상에 대응되어 세척부(130)의 상단부를 빈틈없이 밀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세척부(130)에서 틀니를 세척하는 동안 세척수가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7을 참고하면 캡부(150)는 연결부(170)와 연결되어 메쉬망부(140)를 승하강 시킬 수 있도록 캡홀더(151)가 한 쌍으로 형성된다.
한 쌍의 캡홀더(151)는 전술한 한 쌍의 메쉬홀더(141)와 상호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캡부(150)의 내측면에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캡홀더(151)는 연결부(170)와 볼트, 용접, 클램프, 바이스 등과 같은 다양한 결합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캡부(150)와 메쉬망부(140)를 연결하는 연결부(170)는 캡부(150)와 메쉬망부(14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되는 연결홀이 형성된다.
연결홀을 통해 볼트, 고정부재를 통해 메쉬홀더(141) 및 캡홀더(151)와 결합할 수 있다.
연결부(170)는 캡부(150)와 메쉬망부(140)를 연결하여 캡부(150)의 운동 즉, 캡부(150)의 세척부(130)의 상단을 개폐하는 동작에 따라 메쉬망부(140)를 세척부(130) 내부에서 승하강 운동시킬 수 있다.
상세히, 캡부(150)를 개방하게 되면 메쉬망부(140)는 연결부(170)를 통해 승강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틀니를 메쉬망부(140)에 올려놓게 되고, 다시 캡부(150)를 닫게되면 연결부(170)에 연결된 메쉬망부(140)는 하강하게 된다.
이는, 사용자가 틀니를 거치하기 위해 메쉬망부(140)를 손이나 부재를 사용하여 승강할 필요없이 캡부(150)의 이동만으로도 메쉬망부(140)를 승하강 시킬 수 있어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척이 완료된 틀니를 꺼내는 상황에서도 세척수에 손을 담글 필요없이 간단히 캡부(150)만 상측방향으로 올리게 되면 메쉬망부(140)에 틀니가 거치된 상태로 세척수에서 꺼내져 손쉽게 틀니를 꺼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성 및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캡부(150)의 내측면에는 UV-C광을 조사하는 UV부(160)가 결합된다.
UV부(160)는 UV-C광을 조사하는 UV-C부(161),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부(162) 및 선택적으로 전원을 on off 할 수 있는 전원부(163)를 포함한다.
UV-C부(161)는 LED 형식으로 형성되며, UV-C광을 발생한다. UV-C(Ultraviolet-C)광은 UV-C(Ultraviolet-C)의 파장을 지닌 자외선을 발광하는 소자이며, 자외선의 종류는 UV-A(장파), UV-B(중파), UV-C(단파)로 나뉘어 진다. 여기서 살균에 관여하는 파장은 UV-C로 짧은 파장이며, UV-C의 파장의 범위는 약 100nm 내지 280nm이며 박테리아 같은 세균을 살균하는 효과가 뛰어나다.
하지만, 인체에 직접 조사되는 경우 피부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자이로센서(미도시)를 UV부(160)에 내장하여 캡부(150)가 닫히는 경우에만 UV-C광이 틀니에 조사되도록 한다.
상세히, 자이로 센서는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및 지자기의 방향을 측정하는 지자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은 관성 측정 장치 (IMU : Inertial Measurement Unit)로 제공될 수 있다.
관성 측정 장치는 이동 관성을 측정할 수 있는 가속도계와, 회전 관성을 측정할 수 있는 자이로계, 방위각을 측정할 수 있는 자계의 총 세 가지 센서로 이루어진 하나의 통합 유닛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가속도계와 자이로계 및 자계에 대한 측정값을 이용하여 6축, 즉 피치(pitch), 롤(roll), 요(yaw), 가속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을 바탕으로, 자계의 대한 측정값은 포함시키지 않을 수 있다.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로 캡부(150)의 롤 운동, 요 운동 및 피치 운동의 데이터 값에 따라 X축, Y축, Z축의 좌표 값을 생성하게 되며 이를 제어부를 통해 제어하여 캡부(150)의 개폐 유무에 따른 센싱을 통해 수평을 유지하는 경우에만 UV부(160)를 작동하게 된다.
다시 말해, 자이로센서는 캡부(150)의 개폐 유무 즉, 캡부(150)가 세척부(130)의 상단을 덮게 되어 수평이 유지되는 경우에만 작동한게 된다.
이러한 이유는 UV-C광이 외부로 유출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에 UV-C광이 조사되어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고 틀니에 UV-C광을 통해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어 살균성이 증대되고 더불어 틀니의 청결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충전부(162)는 UV부(160)를 구동하기 위한 충전단자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할 배터리부(200)와 전기적인 결합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전원부(163)는 좌우측으로 눌러지는 토글 스위치(toggle switch)구조이며, 토글되는 방향에 따라 UV부(160)를 on off 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저장부(111)와 세척부(130)를 연통하는 공급관(1111)이 도시된다.
공급관(1111)은, 저장부(111)와 세척부(130)를 연통하여 형성되며 저장부(111)에 저장된 세척수는 공급관(1111)을 따라 세척부(130)로 이동되어 공급된다.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공급관(1111)에서 이동하는 세척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마개부(180)가 도시된다.
마개부(180)는 손잡이부(181) 및 실링부(182)를 포함하며, 손잡이부(181)는 저장부(111)의 홀부(114)를 관통하는 형태로 삽입되며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어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형태로 위치한다.
실링부(182)는 저장부(111)와 연통되는 공급관(1111)의 일단을 개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세척수의 흐름을 멈추거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부(181)를 저장부(111)의 내외측으로 운동하여 실링부(182)가 공급관(1111)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간단하게 손잡이부(181)만으로 공급관(1111)을 개폐할 수 있어 손쉽게 세척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틀니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의 양을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어 과도한 세척수의 사용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200) 및 세척수에 초음파를 발생시켜 틀니를 세척하는 초음파부(190)가 도시된다.
배터리부(200)는 프레임부(110)의 하단에 형성되며,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UV부(160) 및 초음파부(19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일괄적으로 살균과 세척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배터리부(200)의 전원공급을 통해 살균 및 세척을 진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들이 작동되는 것이다.
초음파부(190)는 프레임부(110)의 하단에 부착되어 세척부(130) 내부에 초음파를 가할 수 있다.
상세히, 초음파부(190)는 세척부(130) 내부의 세척수에 초음파을 가해 세척수의 물 분자의 진동으로 틀니에 부착된 먼지 및 체액과 같은 다양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초음파부(190)는 주파수가 높은 초음파를 통해 틀니에 보이지 않거나 세척솔과 같은 세척부(130)재가 닿지 않는 미세한 틈 사이까지 세척이 가능하여 틀니의 청결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틀니세척과정을 설명하면, 저장부(111)에 세척수를 투입하여 저장한 상태에서 캡부(150)를 개방하게 된다.
캡부(150)를 따라 상승한 메쉬망부(140)에 틀니를 거치하고, 캡부(150)를 닫게되면 메쉬망부(140) 또한 하강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저장부(111)에 설치된 마개부(180)를 개방하여 세척수가 세척부(130)로 이동하여 틀니가 잠길 정도로 세척수가 공급되면 마개부(180)를 닫아 공급관(1111)을 밀폐하게 된다.
다음으로, 캡부(150)를 닫아 세척부(130)의 상부를 밀폐하게 되며, 배터리부(200)를 작동하여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UV부(160) 및 초음파부(190)를 통해 틀니의 살균 및 세척이 이루어지게 된다.
정리하면, 본 발명은 UV-C광 및 초음파를 통해 틀니를 세척과 살균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틀니를 청결하게 유지하고 나아가 사용자의 구강 건강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T : 틀니,
100 : 틀니세척기,
110 : 프레임부,
120 : 프레임캡부,
130 : 세척부,
140 : 메쉬망부,
150 : 캡부,
160 : UV부,
170 : 연결부,
180 : 마개부,
190 : 초음파부,
200 : 배터리부.

Claims (7)

  1. 세척수가 저장되는 저장부가 형성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어 상기 세척수를 공급받되, 내부에 틀니가 위치하도록 상부가 개방되는 중공부를 포함하는 세척부;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 결합되되, 초음파를 발생하는 초음파부;
    상기 세척부에 틸팅되도록 결합되되 상기 세척부의 상부를 개폐하는 캡부; 및
    상기 캡부의 내측면에 결합되되, UV-C의 파장을 조사하는 UV부;를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부와 상기 UV부는 상기 캡부의 개폐 유무에 의해 상기 틀니를 초음파 세척 및 자외선 살균하고,
    상기 세척부의 내부에 삽입되되, 상기 틀니를 지지하는 메쉬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캡부와 상기 메쉬망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캡부의 개폐에 의해 상기 메쉬망부를 상기 세척부 내부에서 승강 및 하강시키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세척부와 상기 저장부를 연통하는 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관을 통해 상기 세척수가 이동하고,
    상기 저장부 내부에서 상기 공급관을 개폐하는 마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개부는 상기 세척수의 유량을 조절하고,
    상기 마개부는 상기 저장부의 내외측을 관통하되, 일단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인
    세척 및 살균기능을 지닌 틀니세척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부 및 상기 UV부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세척 및 살균기능을 지닌 틀니세척기.
KR1020210049315A 2021-04-15 2021-04-15 세척 및 살균기능을 지닌 틀니세척기 KR102541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315A KR102541706B1 (ko) 2021-04-15 2021-04-15 세척 및 살균기능을 지닌 틀니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315A KR102541706B1 (ko) 2021-04-15 2021-04-15 세척 및 살균기능을 지닌 틀니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816A KR20220142816A (ko) 2022-10-24
KR102541706B1 true KR102541706B1 (ko) 2023-06-12

Family

ID=83805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315A KR102541706B1 (ko) 2021-04-15 2021-04-15 세척 및 살균기능을 지닌 틀니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170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971B1 (ko) * 2017-03-31 2018-08-31 김건환 틀니 전용 초음파 세척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1256A (ja) * 1997-11-25 1999-06-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義歯洗浄装置
KR200254481Y1 (ko) 2001-08-09 2001-11-24 정 희 구 가정용 초음파 세척기
KR20110067592A (ko) * 2009-12-14 2011-06-22 주식회사 거화 휴대 가능한 의치용 세척 살균장치
KR101506382B1 (ko) 2013-01-18 2015-03-30 주식회사 한국코러스제약 구강세척용 발포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971B1 (ko) * 2017-03-31 2018-08-31 김건환 틀니 전용 초음파 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816A (ko) 202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2592A (en) Apparatus for the cleaning of contact lenses
TWI565485B (zh) 用於容納儲存一個或多個眼用鏡片之眼用鏡片儲存盒的基座
CA1160015A (en) Device for use with single solution contact lens sterilization
KR101893971B1 (ko) 틀니 전용 초음파 세척기
KR20130028135A (ko) 콘택트 렌즈 보관 케이스 표면 소독
KR100822833B1 (ko) 의치용 세척살균기
KR102048575B1 (ko) 의치살균세척기
KR102541706B1 (ko) 세척 및 살균기능을 지닌 틀니세척기
KR20110067592A (ko) 휴대 가능한 의치용 세척 살균장치
US20210235861A1 (en) Multifunctional dental appliance and toothbrush cleaner
JP2021518798A (ja) 再利用可能な医療器具を再処理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TWI597219B (zh) 用於容納供儲存一或多個眼用鏡片之一眼用鏡片儲存盒且用於消毒眼用鏡片的基座
JP3100828U (ja) コンタクトレンズのメインテナンス装置
KR200265198Y1 (ko) 틀니 등의 자동 초음파 세척 및 자외선 소독 보관장치
KR102057152B1 (ko) 구강 세정기
KR100831098B1 (ko) 치과의자용 멀티 케이스
CN212382984U (zh) 一种体温针消毒盒
ATE175903T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inigen und desinfizieren von medizinischen behältern
KR102541724B1 (ko) 살균성이 향상된 틀니세척기
KR102325992B1 (ko) 이동형 살균 모듈이 구비된 틀니 살균세척장치
KR200431574Y1 (ko) 휴대용 멸균기
KR20190093002A (ko) 살균 장치
KR102332265B1 (ko)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 및 그의 자동 필터 세척 방법
CN213311934U (zh) 一种用于电动牙刷的消毒装置
KR20070067044A (ko) 치과병원용 핸드피스 초음파살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