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5992B1 - 이동형 살균 모듈이 구비된 틀니 살균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형 살균 모듈이 구비된 틀니 살균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5992B1
KR102325992B1 KR1020210020317A KR20210020317A KR102325992B1 KR 102325992 B1 KR102325992 B1 KR 102325992B1 KR 1020210020317 A KR1020210020317 A KR 1020210020317A KR 20210020317 A KR20210020317 A KR 20210020317A KR 102325992 B1 KR102325992 B1 KR 102325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ation
washing
unit
denture
wash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김방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예
Priority to KR1020210020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59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02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dental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07Control devices or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B01F3/0424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1F2003/04858
    • B01F2215/004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형 살균 모듈이 구비된 틀니 살균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용기가 하우징에 안착되면, 제어부가 공급노즐을 하강시킨 뒤, 세척용기의 내부로 마이크로 버블을 공급함과 동시에 살균광원을 조사하여 틀니의 살균 및 세척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살균 모듈이 구비된 틀니 살균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형 살균 모듈이 구비된 틀니 살균세척장치{Denture sterilization unit equipped with mobile sterilization module}
본 발명은 이동형 살균 모듈이 구비된 틀니 살균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용기가 하우징에 안착되면, 제어부가 공급노즐을 하강시킨 뒤, 세척용기의 내부로 마이크로 버블을 공급함과 동시에 살균 광원을 조사하여 틀니의 살균 및 세척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살균 모듈이 구비된 틀니 살균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료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의료 기구가 개발되고 있으며, 치과 의료기술 중에는 인공치아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인공치아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틀니(Artificial tooth)가 있으며, 틀니는 자연치아가 결손되었을 경우 대체물로서 인공적으로 제조한 금속과 플라스틱 재질의 의치(義齒)이다.
이러한 틀니는 자연치아와 마찬가지로 수시로 세척하여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관리하여야 하고, 통상의 틀니 관리 방법은 식후 또는 취침 전에 분리하여 칫솔질하여 세정액이나 깨끗한 물에 담가 보관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보관 방법은 세척된 틀니를 보관하는 보관 용기가 개방되어 있어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부주의로 세정액 또는 정수가 쏟아질 염려가 있으며, 특히 오래된 틀니는 눈에 안 보이는 세균이 번식하고 악취가 발생함으로 위생상 수시로 소독을 하여야 한다. 가장 효율적인 소독방법은 열을 가하는 열탕 소독을 하는 것이나, 열탕에 소독을 할 경우, 열에 의해 의치가 변형될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소독제를 물에 타고 거품을 내서 일정시간 담가두는 방법이 있으나 번거롭고 소독제를 구입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노약자의 경우 이러한 소독방법을 실행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특히, 요양원이나 노인 요양 병원의 노약자는 스스로 틀니를 세척 살균하기가 어려워, 제3자의 도움을 받아야 세척하나 깨끗하게 살균 및 세척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여 보다 쉽게 틀니를 소독 및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예로는 특허문헌 1내지 3이 있다.
특허문헌 1은 본체와 세척통으로 분리 구성되어, 세척통 하판의 중심에 센터단자와 링단자가 구성된 분리형 초음파세척기에 있어서, 세척통의 하판에 구성된 링단자의 외측은 동심원의 내측 원호형의 절개선과 외측 원호형의 절개선으로 형성하되 내측 절개선의 일측과 외측 절개선의 일측을 다시 절개선으로 연결하여 하판의 중심부가 상하로 탄성 이동 가능한 판스프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초음파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한편, 특허문헌 2는 본체의 상면에 몸체를 체결하고 몸체의 상면에 뚜껑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설치하되 본체의 상부 한쪽에 칫솔 삽입공을 형성하여서 된 것과, 본체의 내부에 체결공을 형성하되 이 체결공에 몸체의 내부 중앙부에 다단식으로 삽입공을 형성되고, 이 삽입홈에 전극을 놓되 전극과 전극 사이에 차단판이 삽입되며, 각각의 전극에는 접지용볼트를 패킹이 함께 체결하여 본체의 하단부에 돌출되게 체결되고, 전극의 상부에는 전극고정용 고정구와 필터를 놓고, 필터의 상부에는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뚜껑을 본체에 나사로 고정 설치되며, 본체의 저면으로 돌출된 접지볼트에는 누수 방지 패킹을 체결한 다음 접지너트를 체결하여 고정하여서 된 저온 플라즈마 발생장치를 설치하여서 된 것과, 본체의 내부에 틀니수납용기가 내장되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플라즈마 발생장치를 구비한 틀니 세척 및 살균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3은 세척수 및 의치가 수용되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용기부를 지지하는 본체부와; 용기부 내의 세척수가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발생하는 유체회전장치와; 용기부의 내측에 구비되며, 유체회전장치에 의해 회전되어 의치의 치아 사이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핀과; 용기부의 내측에 구비되며, 전기분해를 이용하여 의치를 살균하는 살균장치와;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살균장치 및 유체회전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용기부는 본체부로부터 분리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틀니 세척 및 보관 장치들은 세척 및 살균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틀니의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틀니의 살균에는 오존이 사용되기 때문에 안정성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초음파나 단순히 세척수의 유동을 이용하여 틀니의 세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틀니 전체가 깨끗하게 세척되기는 어려운 한계가 있는 바, 새로운 세척 및 살균 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0870775호 2008.11.20. 등록특허공보 제10-0770628호 2007.10.22. 등록특허공보 제10-0822833호 2008.04.10.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세척용기가 하우징에 안착되면, 제어부가 공급노즐을 하강시킨 뒤, 세척용기의 내부로 마이크로 버블을 공급함과 동시에 살균 광원을 조사하여 틀니의 살균 및 세척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살균 모듈이 구비된 틀니 살균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세척용기(200)가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100);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틀니 및 물의 수용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100)에 안착되는 세척용기(200); 상기 세척용기(200)로 마이크로 버블을 공급하되, 상기 세척용기(200)에 수용된 틀니로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이루어진 살균 세척부(300); 및 상기 살균 세척부(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C);를 포함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은, 상부면에 안착홈(121)이 형성된 하부몸체(120); 및 상기 하부몸체(120)와의 사이에 상기 세척용기(200)가 장착되는 장착공간(130)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하부몸체(12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몸체(110);를 포함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안착홈(121)과 세척용기(200)의 사이에는 접촉단자(400)가 구성되며, 상기 접촉단자(400)는, 상기 세척용기(200)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제 1단자(410); 및 상기 제 1단자(410)와 맞물리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C)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안착홈(121)에 구비되는 제 2단자(420);를 포함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살균 세척부(300)는, 상기 세척용기(200)에 수용된 물에 마이크로 버블을 분사하여 상기 세척용기(200)에 수용된 틀니를 세척하는 마이크로 버블 생성부(310); 및 상기 세척용기(200) 내에 수용된 틀니에 살균효과를 갖는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구성되는 살균 램프부(320);를 포함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버블 생성부(310)는, 승하강 가능하게 이루어져, 상기 상부몸체(110)의 상부 내측면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공급노즐(311); 상기 공급노즐(311)을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시키는 노즐 구동부(312); 및 상기 공급노즐(311)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313);를 포함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공급노즐(311)에는, 내부에 복수 개의 공기 공급라인(311a)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방사상으로 배치되도록 하며, 상기 공기 공급라인(311a)은, 하부 끝단이 폭방향 일측 휘어진 형태로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살균 램프부(320)는, 상기 공급노즐(311)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하방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이루어지는 상부 살균부(321); 및 상기 안착홈(121)에 구비되어 상방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이루어지는 하부 살균부(322);를 포함하도록 한다.
한편, 최초 동작시 상기 공급노즐(311)은 최상부로 이동된 상태로 배치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세척용기(200)가 상기 안착홈(121)에 안착된 상태가 되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노즐 구동부(312)를 동작하여 상기 공급노즐(311)이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되, 상기 살균 램프부(320)가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공기 공급부(313)는, 공기의 분사세기가 주기적으로 변경되도록 제어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공급노즐(311)은,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되, 하부 끝단이 폭방향 일측으로 휘어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세척용기(20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라인(31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착홈에 세척용기가 안착되면, 공급노즐이 하강함과 동시에 살균 램프부가 자동으로 동작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틀니의 세척 및 살균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오존을 이용한 틀니의 살균방법에서 벗어나 마이크로 버블과 살균 광원을 이용하여 틀니의 살균 및 세척이 이루어지게 함에 따라 종래의 기술보다 세척 및 살균 효율을 향상함과 동시에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살균세척장치를 배열하고, 이를 동시에 제어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다량의 틀니를 한꺼번에 살균 세척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살균 모듈이 구비된 틀니 살균세척장치의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하우징의 실시 예의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하우징의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하우징과 세척용기의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틀니 살균 세척장치의 제어부와 다른 구성들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공급노즐의 끝단측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틀니 살균 세척장치의 사용 실시예의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시간 경과에 따른 공기 공급부의 분사 세기의 조절 실시예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공급노즐의 다른 실시예의 끝단측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틀니 살균 세척장치를 복수 개 나열하여 복수 개의 틀니를 한 번에 세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동형 살균 모듈이 구비된 틀니 살균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용기가 하우징에 안착되면, 제어부가 공급노즐을 하강시킨 뒤, 세척용기의 내부로 마이크로 버블을 공급함과 동시에 살균 광원을 조사하여 틀니의 살균 및 세척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살균 모듈이 구비된 틀니 살균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은 하우징(100), 세척용기(200), 살균 세척부(300) 및 제어부(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은 틀니의 살균 세척에 필요한 각종 장비가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세척용기(200)가 안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술하면, 상기 하우징(100)은 상부면에 안착홈(121)이 형성된 하부몸체(120) 및 상기 하부몸체(120)와의 사이에 상기 세척용기(200)가 장착되는 장착공간(130)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하부몸체(12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몸체(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몸체(110)에는 상기 세척용기(200)의 안착을 보조하는 용기홀더(111)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
상술하면, 상기 용기홀더(111)는 상기 상부몸체(110)의 내측면에서 상기 장착공간(130)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기로 이루어지되, 돌출된 끝단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휘어지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세척용기(200)가 상기 장착공간(130)에 장착되면, 상기 세척용기(200)의 하단부는 상기 안착홈(121)에 안착된 상태가 되고, 상기 세척용기(200)의 측면은 상기 용기홀더(111)의 사이공간에 억지 끼움된 상태가 되면서 상기 하우징(100)에 안정적으로 구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이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상기 세척용기(200)의 내부에는 마이크로 버블이 공급되는데, 상기 마이크로 버블의 공급시 진동이 발생되면서 상기 세척용기(200)가 안착홈(121) 내에서 진동되면서 소음을 발생시키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착홈(121)의 내부에는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세척용기(200)의 하단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진 고무패킹(123)이 더 구비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안착홈(121)의 하부면에는 하중센서(122)가 구비되고, 상기 하중센서(122)에서 측정된 감지값을 상기 제어부(C)로 전달되도록 하여, 상기 세척용기(200)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게 한다.
도 3에 따르면, 상기 세척용기(200)는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틀니 및 물의 수용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100)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세척용기(200)의 내측면부는 구리 코팅이 이루어져 살균효과를 더욱 향상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세척용기(200)의 하부면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이후 후술할 살균 램프부(320)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이 세척용기(2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안착홈(121)과 세척용기(200)의 사이에는 접촉단자(400)가 구성되어 상기 세척용기(200)가 안착홈(121)에 안착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C)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상기 접촉단자(400)는 상기 세척용기(200)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제 1단자(410) 및 상기 제 1단자(410)와 맞물리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C)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안착홈(121)에 구비되는 제 2단자(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세척용기(200)가 상기 안착홈(121)에 안착되면서 상기 제 1단자(410)와 제 2단자(4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되면, 상기 제어부(C)에서는 상기 세척용기(200)가 장착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세척용기(200)의 내측벽면에는 수용된 물의 수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C)로 전송하는 수위센서(210)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
상술하면, 상기 수위센서(210)는 상기 제 2단자(4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접촉단자(400)가 접촉된 상태가 되면, 상기 제어부(C)로 감지결과를 전송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도 4에 따르면, 상기 살균 세척부(300)는 틀니를 살균 세척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세척용기(200)로 마이크로 버블을 공급하되, 상기 세척용기(200)에 수용된 틀니로 살균 성능을 갖는 광원(이하, 살균 광원이라 함)을 조사하도록 이루어지는데, 이를 위해 마이크로 버블 생성부(310)와 살균 램프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이크로 버블 생성부(310)는 상기 세척용기(200)에 수용된 물에 마이크로 버블을 분사하여 상기 세척용기(200)에 수용된 틀니를 세척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마이크로 버블 생성부(310)는 승하강 가능하게 이루어져, 상기 상부몸체(110)의 상부 내측면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공급노즐(311), 상기 공급노즐(311)을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시키는 노즐 구동부(312) 및 상기 공급노즐(311)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3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하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노즐(311)은 내부에 하나 이상의 공기 공급라인(311a)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방사상으로 배치되도록 하는데, 이때, 상기 공기 공급라인(311a)은 하부 끝단이 폭방향 일측 휘어진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노즐 구동부(312)는 상기 공급노즐(311)을 상하방향으로 운동시키는 다양한 구동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상부몸체(110)의 내부에 내장되도록 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공기 공급부(313)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기하고, 흡기한 공기를 소정의 압력으로 상기 공기 공급라인(311a)에 공급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상부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 버블 생성부(310)는 상기 세척용기(200)에 물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안착홈(121)에 안착된 상태가 되면, 상기 공급노즐(311)이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세척용기(200)의 수중으로 잠수한 상태가 되도록 하며, 이 상태에서 소정의 압력을 갖는 상태로 공기가 상기 공기 공급라인(311a)으로 공급되면, 상기 공기 공급라인(311a)의 배출구를 통해 수중으로 공기가 분사되면서 마이크로 버블이 생성되게 한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공급라인(311a)은 하부 끝단이 폭방향으로 휘어진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생성된 마이크로 버블은 상기 세척용기(200) 내에서 나선방향으로 유동하게 되며, 마이크로 버블이 유동하는 과정에서 세척용기(200)의 내부에 수용된 틀니의 표면과 충돌하면서 틀니의 세척이 이루어지게 한다.
한편, 상기 살균 램프부(320)는 상기 세척용기(200) 내에 수용된 틀니에 살균 광원을 조사하여 상기 틀니의 살균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살균 램프부(320)는 상기 공급노즐(311)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하방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이루어지는 상부 살균부(321) 및 상기 안착홈(121)에 구비되어 상방으로 살균 광원을 조사하도록 이루어지는 하부 살균부(3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 살균부(321) 및 하부 살균부(322)는 살균 성능을 갖는 광원을 조사할 수 있는 램프, LE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상부 살균부(321)는 상기 공급노즐(311)의 중심부에 구비되고, 상기 공기 공급라인(311a)의 배출구는 상기 상부 살균부(321)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상기 살균 램프부(320)는 상기 세척용기(200)의 상부 및 하부에서 살균 관원을 조사하여 세척용기(200)의 내부에 수용된 틀니의 표면 전체에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바, 틀니 전체의 살균이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살균 세척부(3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세척용기(200)가 하우징(100) 내에 안착된 상태가 되면 본원발명의 틀니 살균 세척장치에 전원이 켜지도록 하되, 상기 공급노즐(311)의 하단이 상기 세척용기(200)의 수중으로 잠수되도록 하고, 이후, 상기 공기 공급부(313) 및 살균 램프부(320)가 동작되도록 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최초 동작시 상기 공급노즐(311)은 최상부로 이동된 상태로 배치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세척용기(200)가 상기 안착홈(121)에 안착된 상태가 되면, 상기 접촉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되면서 상기 제어부(C)에서는 상기 세척용기(200)가 장착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게 되며, 이후, 상기 노즐 구동부(312)를 동작하여 상기 공급노즐(311)이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살균 램프부(320)가 동작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노즐 구동부(312) 및 살균 램프부(320)의 동작 이전에 세척용 상기 세척용기(200)의 수위와 무게를 측정하여 틀니의 세척을 위한 전처리가 모두 이루어진 상태인지 판단하도록 한다.
상술하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세척용기(200)가 상기 안착홈(121)에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수위센서(210)로부터 상기 세척용기(200) 내의 수위를 검출하게 되며, 검출된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신호를 송출하도록 한다.
이때, 기설정된 수위는 세척용기(200)의 내부에 틀니가 충분히 잠길 수 있는 수준의 수위로서 관리자가 직접 입력 설정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경고신호는 LED 램프 등의 시각신호 또는 경고음 등의 청각신호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C)는 검출된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하중센서(122)로부터 전달된 세척용기(200)의 하중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세척용기(200)의 무게를 도출하도록 이루어지며, 도출된 무게가 기설정된 무게보다 작은 경우, 틀니가 세척용기(200)에 수용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경고신호를 송출하도록 한다.
이때, 기설정된 무게는 상기 세척용기(200)에 틀니가 수용된 상태일 때, 수위 별 세척용기(200)의 무게로서, 관리자가 미리 제어부(C)에 저장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C)는 검출된 무게가 설정된 무게에 대응하는 경우, 틀니의 세척을 위한 전처리가 모두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공급노즐(311)이 하강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C)는 상기 공급노즐(311)의 하강이 완료된 이후, 상기 공기 공급부(313)와 살균 램프부(320)가 동작되도록 제어하여 틀니의 세척 및 살균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공기 공급부(313)는 공기의 분사세기가 주기적으로 변경되도록 제어된다.
상술하면,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C)는 T1의 시간 동안 P1의 강도로 공기가 분사되도록 하고, 이후, T2의 시간 동안 상기 P1보다 강한 강도인 P2로 공기가 분사되도록 하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틀니의 세척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때, 공기의 분사 강도는 도 7a와 같이, P1에서 P2로, P2에서 P1으로 한 번에 변경되거나, 또는 도 7b와 같이, P1에서 P2까지, P2에서 P1까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서서히 변경되는 등 다양한 패턴에 의해 세기가 변경될 수 있게 한다.
부연하면, 상기 공기 공급부(313)의 동작 세기에 따라 상기 세척용기(200)로 공급되는 마이크로 버블의 유동 세기가 달라지게 되는데, 본 발명은 마이크로 버블이 틀니의 표면과 충돌하는 과정에서 틀니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바, 틀니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의 제거시, 일정한 세기를 유지하는 경우 세척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마이크로 버블의 공급 세기, 즉, 상기 마이크로 버블의 유동속도가 주기적으로 변경되도록 조절함으로써, 세척효율을 향상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원발명에서는 세척용기(200)의 상부와 하부에서 살균 광원을 조사하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살균 광원이 일정한 위치에만 조사되는 한계가 있으나, 상기 마이크로 버블의 공급 세기를 주기적으로 조절함에 따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하면, 상기 세척용기(200)의 내부로 조사된 살균 광원은 마이크로 버블에 의해 난반사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마이크로 버블의 유동세기가 변경됨에 따라 마이크로 버블에 의해 살균 광원이 난반사되는 위치가 달라지게 되고, 이로 인해 틀니의 전체에 살균 광원의 조사가 가능하게 되어 틀니의 살균 효과가 더욱 향상되게 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노즐(311)은 물 공급라인(311b)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하면, 상기 물 공급라인(311b)는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되, 하부 끝단이 폭방향 일측으로 휘어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세척용기(20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물 공급라인(311b)은 하나 이상이 구비되도록 하며, 배출구측이 상기 공기 공급라인(311a)와 동일한 방향으로 휘어지게 형성되도록 하여 공급되는 물과 공기가 일정한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에는 상기 세척용기(200) 및 하부몸체(120)의 하부를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세척용기(200)에 수용된 물을 배출하는 물 배출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세척용기(200)의 내부 수위가 항상 일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세척용기(200)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고, 이에 따라 적절한 수위를 유지하기 위해 물을 배출하는 제어기술은 이미 동일 분야에서 사용하고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틀니 살균세척장치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전후좌우 방향으로 배열되어 복수 개의 틀니를 한꺼번에 세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틀니 살균세척장치는 개별로 동작될 수 있고, 필요시 전체가 동시에 동작되면서 틀니의 살균 및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0 : 하우징 110 : 상부몸체
111 : 용기홀더 120 : 하부몸체
121 : 안착홈 122 : 하중센서
123 : 고무패킹
200 : 세척용기 210 : 수위센서
300 : 살균 세척부 310 : 마이크로 버블 생성부
311 : 공급노즐 311a : 공기 공급라인
311b : 물 공급라인
312 : 노즐 구동부 313 : 공기 공급부
320 : 살균 램프부 321 : 상부 살균부
322 : 하부 살균부
400 : 접촉단자 410 : 제 1단자
420 : 제 2단자
C : 제어부

Claims (10)

  1. 내부에 세척용기(200)가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100);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틀니 및 물의 수용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100)에 안착되는 세척용기(200);
    상기 세척용기(200)로 마이크로 버블을 공급하되, 상기 세척용기(200)에 수용된 틀니로 살균 성능을 갖는 광원을 조사하도록 이루어진 살균 세척부(300); 및
    상기 살균 세척부(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C);
    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100)은,
    상부면에 안착홈(121)이 형성된 하부몸체(120); 및
    상기 하부몸체(120)와의 사이에 상기 세척용기(200)가 장착되는 장착공간(130)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하부몸체(12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몸체(110);
    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홈(121)과 세척용기(200)의 사이에는 접촉단자(400)가 구성되며,
    상기 접촉단자(400)는,
    상기 세척용기(200)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제 1단자(410); 및
    상기 제 1단자(410)와 맞물리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C)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안착홈(121)에 구비되는 제 2단자(420);
    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 세척부(300)는,
    상기 세척용기(200)에 수용된 물에 마이크로 버블을 분사하여 상기 세척용기(200)에 수용된 틀니를 세척하는 마이크로 버블 생성부(310); 및
    상기 세척용기(200) 내에 수용된 틀니에 살균 성능을 갖는 광원을 조사하도록 구성되는 살균 램프부(320);
    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 버블 생성부(310)는,
    승하강 가능하게 이루어져, 상기 상부몸체(110)의 상부 내측면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공급노즐(311);
    상기 공급노즐(311)을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시키는 노즐 구동부(312); 및
    상기 공급노즐(311)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313);
    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노즐(311)에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공기 공급라인(311a)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방사상으로 배치되도록 하며,
    상기 공기 공급라인(311a)은,
    하부 끝단이 폭방향 일측 휘어진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공기 공급부(313)는,
    공기의 분사세기가 주기적으로 변경되도록 제어되도록 하며,
    상기 안착홈(121)의 하부면에는 하중센서(122)가 구비되고, 상기 하중센서(122)에서 측정된 감지값을 상기 제어부(C)로 전달되고,
    상기 세척용기(200)의 내측벽면에는 수용된 물의 수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C)로 전송하는 수위센서(21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C)는 검출된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하중센서(122)로부터 전달된 세척용기(200)의 하중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세척용기(200)의 무게를 도출하도록 이루어지며, 도출된 무게가 기설정된 무게보다 작은 경우, 틀니가 세척용기(200)에 수용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신호를 송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살균 모듈이 구비된 틀니 살균세척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살균 램프부(320)는,
    상기 공급노즐(311)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하방으로 살균 광원을 조사하도록 이루어지는 상부 살균부(321); 및
    상기 안착홈(121)에 구비되어 상방으로 살균 광원을 조사하도록 이루어지는 하부 살균부(32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살균 모듈이 구비된 틀니 살균세척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최초 동작시 상기 공급노즐(311)은 최상부로 이동된 상태로 배치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세척용기(200)가 상기 안착홈(121)에 안착된 상태가 되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노즐 구동부(312)를 동작하여 상기 공급노즐(311)이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되, 상기 살균 램프부(320)가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살균 모듈이 구비된 틀니 살균세척장치.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노즐(311)은,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되, 하부 끝단이 폭방향 일측으로 휘어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세척용기(20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라인(311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살균 모듈이 구비된 틀니 살균세척장치.
KR1020210020317A 2021-02-16 2021-02-16 이동형 살균 모듈이 구비된 틀니 살균세척장치 KR102325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317A KR102325992B1 (ko) 2021-02-16 2021-02-16 이동형 살균 모듈이 구비된 틀니 살균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317A KR102325992B1 (ko) 2021-02-16 2021-02-16 이동형 살균 모듈이 구비된 틀니 살균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5992B1 true KR102325992B1 (ko) 2021-11-12

Family

ID=78497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317A KR102325992B1 (ko) 2021-02-16 2021-02-16 이동형 살균 모듈이 구비된 틀니 살균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599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9246A (ja) * 1999-11-25 2001-06-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浴槽清掃装置
JP2004318725A (ja) * 2003-04-18 2004-11-11 Kankyo Kogaku:Kk 水自動販売機の容器洗浄装置及びその方法
KR100770628B1 (ko) 2007-04-25 2007-10-26 주식회사 에코프롬 저온 플라즈마 발생장치를 구비한 틀니 세척 및 살균기
KR100822833B1 (ko) 2007-10-23 2008-04-16 박호원 의치용 세척살균기
KR100870775B1 (ko) 2007-03-02 2008-11-26 임성묵 분리형 초음파세척기
KR101652474B1 (ko) * 2015-10-01 2016-08-31 김영수 다수의 틀니 살균 및 세척장치
KR102025432B1 (ko) * 2018-05-16 2019-09-25 (주)큐라움 소형 세척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9246A (ja) * 1999-11-25 2001-06-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浴槽清掃装置
JP2004318725A (ja) * 2003-04-18 2004-11-11 Kankyo Kogaku:Kk 水自動販売機の容器洗浄装置及びその方法
KR100870775B1 (ko) 2007-03-02 2008-11-26 임성묵 분리형 초음파세척기
KR100770628B1 (ko) 2007-04-25 2007-10-26 주식회사 에코프롬 저온 플라즈마 발생장치를 구비한 틀니 세척 및 살균기
KR100822833B1 (ko) 2007-10-23 2008-04-16 박호원 의치용 세척살균기
KR101652474B1 (ko) * 2015-10-01 2016-08-31 김영수 다수의 틀니 살균 및 세척장치
KR102025432B1 (ko) * 2018-05-16 2019-09-25 (주)큐라움 소형 세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2474B1 (ko) 다수의 틀니 살균 및 세척장치
US7798159B2 (en) At-home integrated cleaning and disinfection system and method for dental hardware
EP1762307A1 (en) Ultrasonic clean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770628B1 (ko) 저온 플라즈마 발생장치를 구비한 틀니 세척 및 살균기
KR20170015583A (ko) 자외선을 이용한 기자재 살균장치
KR102048575B1 (ko) 의치살균세척기
KR20110067592A (ko) 휴대 가능한 의치용 세척 살균장치
KR102325992B1 (ko) 이동형 살균 모듈이 구비된 틀니 살균세척장치
US20210235861A1 (en) Multifunctional dental appliance and toothbrush cleaner
KR100467980B1 (ko) 유아용 젖병 및 유아용품 자외선 소독기
KR101829010B1 (ko) 전기분해부와 소독부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
KR101602702B1 (ko) 소독기
KR20150112079A (ko) 컵 소독장치
CN113117114A (zh) 消毒装置
KR102057152B1 (ko) 구강 세정기
KR102381864B1 (ko) 치과용 전해 살균수 공급 장치
KR20070067044A (ko) 치과병원용 핸드피스 초음파살균기
CN216535596U (zh) 一种杀菌型便携式冲牙器
KR102541706B1 (ko) 세척 및 살균기능을 지닌 틀니세척기
KR102273434B1 (ko) 구강 세정용 가글액을 지원하는 칫솔 소독 장치
KR20110108565A (ko) 다기능 살균수 생성장치
JP4263135B2 (ja) 除菌装置
KR102342466B1 (ko) 이중살균 틀니세척기
WO2023146493A1 (en) A medical device structure
KR20240069986A (ko) 세척과 건조 및 살균 기능을 갖는 틀니 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