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9010B1 - 전기분해부와 소독부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 - Google Patents

전기분해부와 소독부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9010B1
KR101829010B1 KR1020160047922A KR20160047922A KR101829010B1 KR 101829010 B1 KR101829010 B1 KR 101829010B1 KR 1020160047922 A KR1020160047922 A KR 1020160047922A KR 20160047922 A KR20160047922 A KR 20160047922A KR 101829010 B1 KR101829010 B1 KR 101829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ypochlorite
sterilizing
water
suppl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7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9811A (ko
Inventor
김동섭
Original Assignee
(주)디엠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엠바이오 filed Critical (주)디엠바이오
Priority to KR1020160047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9010B1/ko
Publication of KR20170119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9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9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24Halogens or compounds thereof
    • C25B1/26Chlorine; Compounds thereof
    • C25B1/265Chlor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분해부와 소독부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상면에 설치되며 내시경이 소독되는 소독공간이 형성되는 소독부;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차아염소산염을 생성하는 전기분해부; 및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전기분해부로부터 차아염소산염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차아염소산염을 상기 소독부에 공급하는 수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기분해부는, 혼합액체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상기 혼합액체를 공급받아 전기분해함으로써 차아염소산염을 생성하는 분해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해부는, 4개로 마련되어 상기 혼합액체가 경유하도록 상호 연결되되, 상기 내부공간의 점유가 최소화 되도록 평면 격자형태로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분해부는, 평판형으로 마련되며 한쌍으로 마련되되 외면에 복수개의 홈이 형성되는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에 대응되는 면적의 평판형으로 마련되며 외부전류를 인가받아 상기 혼합액체가 전기분해되도록 전도성 재질로 마련되며 복수개로 마련되어 한쌍의 상기 덮개판 사이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전극판과, 상기 덮개판에 대응되는 면적의 평판형으로 마련되어 복수개의 상기 전극판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도록 복수개의 상기 전극판 사이에 설치되는 간극판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판은, 백금 또는 이리듐으로 코팅되되, 0.4um 내지 0.6um 두께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독부와 전기분해부가 케이스부에 함께 설치되기 때문에, 차아염소산염이 외부로 유출될 수 없어, 사용자의 안전이 담보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분해부와 소독부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ENDOSCOPE DISINFECTING APPARATUS HAVING ELETROYSIS PART AND STERILIZATION PART}
본 발명은 소독부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아염소산염을 전기 분해를 통해 생성하는 전기분해부와 내시경을 소독하는 소독부가 케이스부에 함께 설치되는 전기분해부와 소독부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이란, 인체의 내장 장기 또는 체강 내부를 직접 볼 수 있게 만든 의료기구를 말한다. 내시경은 환자를 직접 개복수술 하지 않고도 환자의 장기 내부의 상태를 알 수 있어서 널리 이용된다.
한편, 이러한 내시경을 소독제로 충분히 소독하지 않고 재사용하면, 2차 감염의 원인이 된다. 그러나, 내시경을 소독하는데 사용되는 소독제는 단가가 높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수회 재사용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독제는 고가이기 때문에 근래에 병원에서는 전기분해장치를 이용하여 소독제를 직접 생산, 이용하고 있다.
전기분해장치는 물과 소금물을 전기분해하여 소독제, 즉, 차아염소산염을 생성하는 장치이다. 전기분해장치에 의해서, 생성된 소독제는 내시경을 소독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소독부로 공급되어 내시경 세척에 사용된다. 이러한 전기분해장치와 소독부는 종래에 별도로 마련되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술한 전기분해장치에서 생성된 소독제를 사용자가 직접 소독부로 이동시켜야 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소독제의 이동과정에서 부주의로 인해 소독제가 외부로 유출되어 사용자의 위험이 초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기분해장치는 소독부와 별개의 공간에 설치되었기 때문에, 전체 장치를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 장치별로 분해, 해체 작업을 실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편, 일반적인 내시경 소독장치에 대한 종래의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78528호,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1983호 등에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아염소산염을 전기 분해를 통해 생성하는 전기분해부와 내시경을 소독하는 소독부가 케이스부에 함께 설치되는 전기분해부와 소독부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상면에 설치되며 내시경이 소독되는 소독공간이 형성되는 소독부;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차아염소산염을 생성하는 전기분해부; 및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전기분해부로부터 차아염소산염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차아염소산염을 상기 소독부에 공급하는 수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기분해부는, 혼합액체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상기 혼합액체를 공급받아 전기분해함으로써 차아염소산염을 생성하는 분해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해부는, 4개로 마련되어 상기 혼합액체가 경유하도록 상호 연결되되, 상기 내부공간의 점유가 최소화 되도록 평면 격자형태로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분해부는, 평판형으로 마련되며 한쌍으로 마련되되 외면에 복수개의 홈이 형성되는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에 대응되는 면적의 평판형으로 마련되며 외부전류를 인가받아 상기 혼합액체가 전기분해되도록 전도성 재질로 마련되며 복수개로 마련되어 한쌍의 상기 덮개판 사이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전극판과, 상기 덮개판에 대응되는 면적의 평판형으로 마련되어 복수개의 상기 전극판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도록 복수개의 상기 전극판 사이에 설치되는 간극판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판은, 백금 또는 이리듐으로 코팅되되, 0.4um 내지 0.6um 두께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분해부와 소독부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소독부는, 상기 소독공간이 형성되며, 바닥면에 홀이 형성되는 본체와, 외부에서 공급받는 물을 상기 소독공간으로 공급하는 제1코크와, 상기 수조부에 연결되어 차아염소산염을 상기 소독공간으로 공급하는 제2코크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생성부는, 물을 공급하는 제1공급부와, 소금물을 공급하는 제2공급부와, 상기 제1공급부에서 공급하는 물 및 상기 제2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소금물을 혼합하여 상기 혼합액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혼합액체를 분해부로 공급하는 혼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공급부는, 상기 혼합부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에서 공급되는 물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공급부는, 소금물을 저장하는 소금물 수조와, 상기 소금물 수조에 저장된 소금물을 상기 혼합부로 공급하는 정량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수조부는, 상기 전기분해부에서 생성되어 공급된 차아염소산염을 저장하는 저장 수조와, 상기 저장 수조에 저장되어 있는 차아염소산염을 상기 소독부로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조부에 저장되는 차아염소산염의 수위를 감지하여, 설정된 수위 이상일 때, 상기 생성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수조부에 저장되는 차아염소산염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 이상인 경우,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수위 센서와, 상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는 경우, 상기 전기분해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전원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독부와 전기분해부가 케이스부에 함께 설치되기 때문에, 차아염소산염이 외부로 유출될 수 없어, 사용자의 안전이 담보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독부와 전기분해부가 케이스부에 함께 설치되기 때문에, 전체 장치의 이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스부에 차아염소산염을 저장할 수 있는 수조부가 내장되기 때문에, 차아염소산염의 필요시, 즉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조부에 설치되는 센서부에 의해서, 저장된 차아염소산염의 양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센서부에 의해, 수조부에 설정된 수위만큼만 차아염소산염이 저장될 수 있어 수조부에 차아염소산염이 넘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부와 소독부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의 정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부와 소독부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의 배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부와 소독부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부와 소독부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부와 소독부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의 구성 간의 연결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부와 소독부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의 분해부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부와 소독부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의 분해부의 분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부와 소독부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부와 소독부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부와 소독부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의 정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부와 소독부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의 배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부와 소독부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부와 소독부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부와 소독부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의 구성 간의 연결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부와 소독부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의 분해부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부와 소독부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의 분해부의 분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독부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100)는 케이스부(110)와 소독부(120)와 전기분해부(130)와 수조부(140)와 센서부(150)를 포함한다.
내시경은 준 위험 기구에 속하는 기구로써, 점막이나 손상이 있는 피부에 접하는 기구이며 인체의 내장 장기 또는 체강 내부를 직접 볼 수 있게 만든 의료기구를 말한다. 이러한 준 위험 기구는 보건복지부에 고시(2010-61호)된 유효염소(675ppm 이상) 이상인 소독제를 사용하여 소독해야 한다.
케이스부(110)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써, 상면에는 내시경이 소독되는 소독공간을 형성하는 소독부(120)가 설치된다. 내부공간에는 차아염소산염(Hypochlorite: NaOCl)을 생성하는 전기분해부(130)와 전기분해부(130)로부터 차아염소산염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차아염소산염을 소독부(120)에 공급하는 수조부(140)가 설치된다. 또한, 수조부(140)에 저장되는 차아염소산염의 수위를 감지하여, 설정된 수위 이상일 때, 전기분해부(13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센서부(150)가 설치된다.
케이스부(110)의 배면에는 도어(d)가 설치된다. 도어(d)가 개방되면, 케이스부(110)의 내부공간이 육안으로 확인된다. 이러한, 도어(d)로 인해, 생성된 차아염소산염에서 발생하는 증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사용자의 안전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d)에 의해서, 전기분해부(130), 수조부(140), 센서부(15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전기분해부(130), 수조부(140), 센서부(150)가 보호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부(110)에는 소독부(120)와 전기분해부(130)와 수조부(140)와 센서부(150)가 함께 설치되며, 전기분해부(130)에서 생성되는 차아염소산염이 수조부(140)를 통해 소독부(120)로 자동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별도로 차아염소산염을 직접 옮기지 않아도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소독부(120)는 케이스부(110)의 상면에 설치되며 내시경이 소독되는 소독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써, 소독공간의 바닥면에는 홀(h)이 형성된다. 이러한 소독부(120)는 본체(121)와 제1코크(122)와 제2코크(123)를 포함한다.
본체(121)는 소독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써, 제1코크(122)와 제2코크(123)가 설치된다. 소독공간에서 사용되는 물과 차아염소산염은 소독공간의 바닥면에 형성된 홀(h)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제1코크(122)는 외부에서 공급받는 물(w)을 소독공간으로 공급하는 것으로써, 본체(121)에 설치된다. 제1코크(122)에는 사용자에 의해 물의 양이 조절될 수 있도록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제2코크(123)는 수조부(140)에 연결되어 차아염소산염을 소독공간으로 공급하는 것으로써, 본체(121)에 설치된다. 제2코크(123)에는 사용자에 의해 차아염소산염의 양이 조절될 수 있도록,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전기분해부(130)는 케이스부(1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소독제인 차아염소산염을 생성한다. 이러한 전기분해부(130)는 생성부(131)와 분해부(132)를 포함한다.
생성부(131)는 혼합액체를 생성하여 분해부(132)로 혼합액체를 공급하는 것으로써, 제1공급부(131a)와 제2공급부(131b)와 혼합부(131c)를 포함한다.
제1공급부(131a)는 외부에서 물(w)을 전달받아 물(w)을 혼합부(131c)로 공급한다. 이러한 제1공급부(131a)는 물(w)의 양을 조절하는 스토퍼(131a1)와 스토퍼(131a1)를 거쳐 공급되는 물(w)속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131a2)를 포함한다.
제2공급부(131b)는 소금물(s)을 혼합부(131c)로 공급한다. 이러한 제2공급부(131b)는 소금물(s)을 저장하는 소금물 수조(131b1)와 소금물 수조(131b1)에 저장된 소금물(s)을 혼합부(131c)로 공급하는 정량 펌프(131b2)를 포함한다.
혼합부(131c)는 물(w)과 소금물(s)이 혼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써, 제1공급부(131a)와 제2공급부(131b)와 연결되어 혼합액체를 생성하고, 분해부(132)에 연결되어, 생성된 혼합액체를 공급한다.
분해부(132)는 생성부(131)와 연결되어 생성부(131)에서 생성되는 혼합액체를 공급받아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염을 생성하는 것으로써, 혼합부(134)와 수조부(140)에 연결된다. 이러한 분해부(132)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직렬 연결될 수 있다.
분해부(132)는 도 3과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과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해부(132)는 4개로 마련되며, N 형식으로 상호 연결된다. 이러한 형태의 연결에 의하면, 최소의 공간에 복수 개의 분해부(132)가 설치될 수 있어, 공간의 활용성이 크게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분해부(132)는 덮개판(132a)과 전극판(132b)과 간극판(132c)을 포함한다.
덮개판(132a)은 후술하는 전극판(132b)과 간극판(132c)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써, 외면에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홈에 의해서, 덮개판(132a)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경우, 마찰력이 증대되어 파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전극판(132b)은 분해부(132)에 투입되는 혼합액체를 전기분해하기 위해 전류가 흐르는 표면적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극판(132b)들은 하나의 분해부(132) 내부에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전극판(132b)에 의해서, 전기분해가 실시되는 표면적이 증대될 수 있다. 표면적이 높아지면 분해부(132)의 전체 부피는 종래의 부피보다 작아지는 효과가 있고, 낮은 전압으로도 전기분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낮은 전압으로 전기분해가 실시되면 안정된 전류가 흐를 수 있어, 전기분해의 효율 및 안정성이 크게 증대된다. 여기서 낮은 전압의 수치는 약 11V이며, 안정된 전류의 수치는 약 12mA인 것으로 알려져있다.
상술한 전압과 전류의 수치로 전기분해가 실시되게 하기 위해서는 전극판(132b)을 둘러싸는 코팅 물질의 종류 및 두께가 적절하게 선택되어야 한다. 이러한 코팅 물질은 전기 전도가 높은 백금 또는 이리듐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코팅 두께는 0.4um 내지 0.6um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극판(132c)은 전극판(132b)과 전극판(132b)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전극판(132b)에 흐르는 전류가 전극판(132b)과 전극판(132b) 사이에서 마찰이 일어나지 않도록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간극판(132c)에 의하면, 전극판(132b)과 전극판(132b) 간의 일정한 거리가 유지되어 전기분해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분해부(132)에 의해, 혼합액체가 완전히 전기분해되어 보건복지부에 고시된 유효염소(675ppm 이상) 이상의 차아염소산염이 생성될 수 있다.
수조부(140)는 케이스부(1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전기분해부(130)로부터 차아염소산염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것으로써, 저장된 차아염소산염을 소독부(120)에 공급한다. 이러한 수조부(140)는 저장 수조(141)와 펌프(142)를 포함한다.
저장 수조(141)는 전기분해부(130)에서 생성되어 공급된 차아염소산염을 저장하는 것으로써, 센서부(150)가 설치된다. 센서부(150)에 의해, 저장 수조(141)에 저장되는 차아염소산염의 수위가 감지됨으로 일정한 양의 차아염소산염이 생성될 수 있다.
펌프(142)는 저장 수조(141)에 저장되어 있는 차아염소산염을 소독부(120)로 공급하는 것으로써, 케이스부(110) 내부공간에 설치된다. 이러한 펌프(142)는 저장 수조(141)와 소독부(120)에 연결되어 저장 수조(141)에 저장되어 있는 차아염소산염을 소독부(120)로 공급한다.
센서부(150)는 수조부(140)에 저장되는 차아염소산염의 수위를 감지하는 것으로써, 설정된 수위 이상일 때, 전기분해부(13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이러한 센서부(150)는 수위 센서(151)와 전원 센서(152)를 포함한다.
수위 센서(151)는 수조부(140)에 구비되어 차아염소산염의 수위를 감지하는 것으로써, 전원 센서(1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수위 센서(151)는 수조부(140)에 설정된 수위만큼 차아염소산염이 생성되면 전원 센서(152)가 생성부(130)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전원 센서(152)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한다.
전원 센서(152)는 전기분해부(130)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것으로써, 수위 센서(1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원 센서(152)는 수위 센서(151)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는 경우, 전기분해부(13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따라서, 센서부(150)에 의하면, 설정된 수위만큼의 차아염소산염만을 생산하게 함으로써, 차아염소산염이 수조부(140)에서 넘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수조부(140)의 수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전원 센서(152)는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케이스부(110)와 소독부(120)와 전기분해부(130)와 수조부(140)와 센서부(15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부와 소독부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100)에 의하면, 케이스부(110)에 소독부(120)와 전기분해부(130)와 수조부(140)가 함께 설치되기 때문에 별도로 사용자가 차아염소산염을 직접 옮길 필요가 없어, 안전사고가 방지되며, 내시경 소독의 과정이 용이하며 편리하게 실시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독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의 작동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부와 소독부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부와 소독부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100)의 작동 방법은 물 공급 단계와 소금물 공급 단계와 물 및 소금물 혼합 단계와 전기분해 단계와 차아염소산염 저장 단계와 차아염소산염 공급 단계를 포함한다.
물 공급 단계는 제1공급부(131a)에서 혼합부(131c)로 물(w)이 공급되는 단계이다. 이때, 물(w)속에 포함된 이물질은 필터(131a2)에 의해서 제거된다.
소금물 공급 단계는 제2공급부(131b)에 저장된 소금물(s)이 혼합부(131c)로 공급되는 단계이다. 이때, 소금물 수조(131b1)에 저장된 소금물(s)은 정량 펌프(131b2)에 의해 공급된다.
물 및 소금물 혼합 단계는 물(w)과 소금물(s)이 혼합부(131c)에서 혼합되는 단계이다. 혼합부(131c)에서 혼합된 혼합액체는 분해부(132)에 공급된다.
전기분해 단계는 분해부(132)에 의해 혼합액체가 전기분해되어 차아염소산염이 생성되는 단계이다. 이러한 전기분해 단계에 의해, 보건복지부에 고시된 준 위험 기구를 소독하는데 필요한 유효염소(675ppm 이상) 이상인 고농도의 차아염소산염을 생성될 수 있다.
차아염소산염 저장 단계는 분해부(132)에서 생성된 차아염소산염을 저장 수조(141)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이때, 저장 수조(141)에 설치된 센서부(150)에 의해 차아염소산염의 수위가 감지되며,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에 도달되는 경우, 분해부(132)의 작동이 정지된다. 이러한 저장 단계에 의해, 설정된 수위만큼의 차아염소산염이 생성될 수 있다.
차아염소산염 공급 단계는 저장 수조(141)에 저장되어 있는 차아염소산염을 소독부(120)에 공급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공급 단계에 의해, 소독부(120)에 설치된 제2코크(123)에서 소독공간으로 차아염소산염이 공급될 수 있다.
상술한 물 공급 단계와 소금물 공급 단계와 물 및 소금물 혼합 단계와 전기분해 단계와 차아염소산염 저장 단계와 차아염소산염 공급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부와 소독부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100)의 작동 방법에 의하면, 내시경을 소독하기 위한 고농도의 차아염소산염을 안전하게 생성되며, 소독공간으로 차아염소산염이 효과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일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일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독부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
110 : 케이스부 120 : 소독부
121 : 본체 122 : 제1코크
123 : 제2코크 130 : 전기분해부
131 : 생성부 131a : 제1공급부
131b : 제2공급부 131c : 혼합부
131a1 : 스토퍼 131b2 : 필터
131b1 : 소금물 수조 131b2 : 정량 펌프
132 : 분해부 132a : 덮개판
132b : 전극판 132c : 간극판
140 : 수조부 141 : 저장 수조
142 : 펌프 150 : 센서부
151 : 수위 센서 152 : 전원 센서
d : 도어 h : 홀
s : 소금물 w : 물

Claims (10)

  1.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상면에 설치되며 내시경이 소독되는 소독공간이 형성되는 소독부;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차아염소산염을 생성하는 전기분해부; 및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전기분해부로부터 차아염소산염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차아염소산염을 상기 소독부에 공급하는 수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기분해부는,
    혼합액체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상기 혼합액체를 공급받아 전기분해함으로써 차아염소산염을 생성하는 분해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해부는,
    4개로 마련되어 상기 혼합액체가 경유하도록 상호 연결되되, 상기 내부공간의 점유가 최소화 되도록 평면 격자형태로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분해부는,
    평판형으로 마련되며 한쌍으로 마련되되 외면에 복수개의 홈이 형성되는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에 대응되는 면적의 평판형으로 마련되며 외부전류를 인가받아 상기 혼합액체가 전기분해되도록 전도성 재질로 마련되며 복수개로 마련되어 한쌍의 상기 덮개판 사이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전극판과, 상기 덮개판에 대응되는 면적의 평판형으로 마련되어 복수개의 상기 전극판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도록 복수개의 상기 전극판 사이에 설치되는 간극판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판은,
    백금 또는 이리듐으로 코팅되되, 0.4um 내지 0.6um 두께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분해부와 소독부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독부는,
    상기 소독공간이 형성되며, 바닥면에 홀이 형성되는 본체와, 외부에서 공급받는 물을 상기 소독공간으로 공급하는 제1코크와, 상기 수조부에 연결되어 차아염소산염을 상기 소독공간으로 공급하는 제2코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분해부와 소독부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물을 공급하는 제1공급부와, 소금물을 공급하는 제2공급부와, 상기 제1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물 및 상기 제2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소금물을 혼합하여 상기 혼합액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혼합액체를 분해부로 공급하는 혼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분해부와 소독부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부는,
    상기 혼합부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에서 공급되는 물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분해부와 소독부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급부는,
    소금물을 저장하는 소금물 수조와, 상기 소금물 수조에 저장된 소금물을 상기 혼합부로 공급하는 정량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분해부와 소독부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조부는,
    상기 전기분해부에서 생성되어 공급된 차아염소산염을 저장하는 저장 수조와, 상기 저장 수조에 저장되어 있는 차아염소산염을 상기 소독부로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분해부와 소독부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조부에 저장되는 차아염소산염의 수위를 감지하여, 설정된 수위 이상일 때, 상기 전기분해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분해부와 소독부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수조부에 저장되는 차아염소산염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 이상인 경우,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수위 센서와,
    상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는 경우, 상기 전기분해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전원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분해부와 소독부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







KR1020160047922A 2016-04-20 2016-04-20 전기분해부와 소독부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 KR101829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922A KR101829010B1 (ko) 2016-04-20 2016-04-20 전기분해부와 소독부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922A KR101829010B1 (ko) 2016-04-20 2016-04-20 전기분해부와 소독부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811A KR20170119811A (ko) 2017-10-30
KR101829010B1 true KR101829010B1 (ko) 2018-02-13

Family

ID=60301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7922A KR101829010B1 (ko) 2016-04-20 2016-04-20 전기분해부와 소독부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90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2246B1 (ko) 2022-08-08 2023-08-01 (주)메디피아 의료용 내시경 소독액 공급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220B1 (ko) 2017-09-18 2020-10-1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제조방법
KR102559900B1 (ko) * 2022-03-17 2023-07-26 에스아이오티 주식회사 변기용 살균 세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변기용 살균 세정 공정 및 변기용 살균 세정 관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1795B2 (ja) * 1994-08-25 2004-12-15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次亜塩素酸系処理用液の製造方法
KR200441983Y1 (ko) * 2007-07-09 2008-09-25 주식회사 엠테크놀러지 의료기기 소독용 차아염소산나트륨 생성장치
JP4580039B1 (ja) * 2010-04-28 2010-11-10 学校法人 大阪電気通信大学 電解水生成装置及び電解水生成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1795B2 (ja) * 1994-08-25 2004-12-15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次亜塩素酸系処理用液の製造方法
KR200441983Y1 (ko) * 2007-07-09 2008-09-25 주식회사 엠테크놀러지 의료기기 소독용 차아염소산나트륨 생성장치
JP4580039B1 (ja) * 2010-04-28 2010-11-10 学校法人 大阪電気通信大学 電解水生成装置及び電解水生成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2246B1 (ko) 2022-08-08 2023-08-01 (주)메디피아 의료용 내시경 소독액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811A (ko) 2017-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4189B1 (ko) 의료 기구용 소독장치 및 소독방법
EA012222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учения обеззараженной воды и перенос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учения обеззараженного солевого раствора
US20040037737A1 (en) Method of and equipment for washing, disinfecting and/or sterilizing health care devices
KR101829010B1 (ko) 전기분해부와 소독부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
JP2006518666A (ja) 表面殺菌及び現場殺菌用の電解槽
US8518233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medical sterilized isotonic solution having low-concentratedly controlled free chlorine including hypochlorous acid therein
KR20110072445A (ko) 하이 레벨 살균 기준에 부합하면서 짧은 시간 내에 행할 수 있는 의료 기기의 살균 소독 방법 및 그 장치
WO2004103168A1 (ja) 内視鏡カメラ機器等の洗浄殺菌方法及び装置
KR101206227B1 (ko) 야채 및 과일 세척소독용 버블발생기
KR100745633B1 (ko) 전해 살균장치를 구비하는 가습기
KR101652671B1 (ko) 살균 소독액 포트
KR20130000043A (ko) 하이 레벨 살균 기준에 부합하면서 짧은 시간 내에 행할 수 있는 의료 기기의 살균 소독 방법 및 그 장치
KR101735506B1 (ko) 바이오필름 검출부를 구비한 수직구조 치과용 전기분해 살균수 생성 및 수관소독 세척을 위한 장치.
KR100945188B1 (ko) 저농도의 잔류 염소를 함유한 의료용 살균 생리식염수의제조 방법
KR20100128239A (ko) 실시간 살균 소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살균 소독 방법
KR20140086498A (ko) Tds를 이용하는 살균수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00064U (ko) 살균세정 족욕기
JP2004277755A (ja) オゾン生成装置
KR102313539B1 (ko) 살균 전극 및 그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축사 살균 장치
KR101919551B1 (ko) 전해기능을 갖는 펌프가 구비된 차아염소산수 생성기
KR100979808B1 (ko) 손 소독기
KR102057093B1 (ko) 전기분해를 통한 살균수 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76174A (ko) 전기분해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살균수기
KR101826102B1 (ko) 전해살균제 생성부의 자동 청소 및 약산성 전해살균제가 생성되는 전해살균 시스템 및 전해살균제 생성 방법
JP2017127378A (ja) 洗面化粧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