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9551B1 - 전해기능을 갖는 펌프가 구비된 차아염소산수 생성기 - Google Patents

전해기능을 갖는 펌프가 구비된 차아염소산수 생성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551B1
KR101919551B1 KR1020160060850A KR20160060850A KR101919551B1 KR 101919551 B1 KR101919551 B1 KR 101919551B1 KR 1020160060850 A KR1020160060850 A KR 1020160060850A KR 20160060850 A KR20160060850 A KR 20160060850A KR 101919551 B1 KR101919551 B1 KR 101919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mp
hole
container body
hypochlorous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0155A (ko
Inventor
박시춘
Original Assignee
(주)미라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라클인 filed Critical (주)미라클인
Priority to KR1020160060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551B1/ko
Publication of KR20170130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02F1/46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with halogen or compound of halogens, e.g. chlorine, bro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24Halogens or compounds thereof
    • C25B1/26Chlorine; Compounds thereof
    • C25B1/265Chlor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19Cleaning the 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 C02F2201/46165Special power supply, e.g. solar energy or batte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4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itcher or ju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해기능을 가지는 펌프가 구비되어 살균력이 우수한 차아염소산수를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전해기능을 갖는 펌프가 구비된 차아염소산수 생성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가 개방되어 묽은 염산이 함유된 물이 저장되며, 바닥면에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체크밸브(117)가 구비된 배출공(116)과 상기 배출공(116)을 통해 배출된 물이 재유입되도록 체크밸브(118)가 구비된 재유입공(118)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손잡이(112)가 구비된 용기본체(110)와, 상기 용기본체(110)의 상부를 커버하는 뚜껑(120)으로 이루어지는 용기(100);
상기 배출공(116) 및 재유입공(118)에 각각 정렬되는 제1, 2관통공(134,136)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110)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거치대(130); 및
상기 거치대(130)의 제1관통공(134)과 정렬되어 상기 용기본체(110)의 배출공(116)을 통해 배출되는 물이 유입되는 입수구(212)와 상기 거치대(130)의 제2관통공(136)과 정렬되어 상기 용기본체(110)의 재유입공(118)으로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구(214)가 형성된 내부공간(211)을 가지는 펌프바디(210)와, 상기 내부공간(211)과 연통되도록 상기 펌프바디(210)에 형성된 전극장착공(216)과, 상기 전극장착공(216)에 장착되어 상기 내부공간(211)에 위치되는 전극(230)과, 상기 펌프바디(210)에 장착되어 용기본체(110)의 물이 상기 배출공(116)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재유입공(116)을 통해 유입되도록 물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펌핑수단(220)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거치대(130)에 내장되는 펌프(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기능을 갖는 펌프가 구비된 차아염소산수 생성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전해기능을 갖는 펌프가 구비된 차아염소산수 생성기{Apparatus for hypochlorous acid water}
본 발명은 전해기능을 갖는 펌프가 구비된 차아염소산수 생성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해기능을 가지는 펌프가 구비되어 살균력이 우수한 차아염소산수를 효율적으로 간편하게 생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전해기능을 갖는 펌프가 구비된 차아염소산수 생성기에 관한 것이다.
병원에서 살균수를 이용하여 의료기기 등을 소독할 뿐만 아니라 축사에서 사육하는 가축이나 기타 축사용품 등을 소독하기 위해 살균수를 사용하기도 하며, 식품공장에서 식재료를 비롯하여 작업자의 손이나 작업복 등을 소독하기 위해 살균수를 사용한다. 또한, 가정에서도 좀 더 위생적인 생활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세탁용수, 청소용수 등으로 살균수를 사용하기도 한다.
한편, 살균수로 가장 대표적인 것이 차아염소산수(hydrochlorous acid water)인데, 차아염소산수는 인체에 무해하면서 뛰어난 살균력을 갖는다. 이러한 차아염소산수는 일반적으로는 2~6%농도를 갖는 묽은 염산을 무격막 전해장치로 전기분해하여 제조된다.
차아염소산수가 생성되는 메카니즘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수중에 함유된 염산이 전기분해되어 염소가스가 발생되고, 염소가스가 물에 용해되어 차아염소산이 생성되어 차아염소산수가 만들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과정에서 일부 염소가스가 염산으로 재 생성되기 때문에 제조되는 차아염소산수의 pH가 저하된다.
그런데 공지된 바와 같이, 차아염소산수는 pH 5~6.5의 미산성 수준에서 가장 우수한 살균력을 갖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차아염소산수 생성과정에서 염산이 재생성됨에 따라 차아염소산수의 pH가 낮아져서 차아염소산수가 미산성 수준의 pH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어 차아염소산수의 살균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종래의 차아염소산수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들은 피처리수가 저장되는 수조와, 수조에 피처리수를 공급하는 펌프와, 수조에 장착되는 전극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종래의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역시 차아염소산수의 제조과정에서 재 생성되는 염산에 의해 살균력이 우수한 미산성 수준의 차아염소산수를 제조하기 곤란한 단점을 가진다.
또한, 전기분해는 +, - 두 전극 사이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피처리수의 성분들이 산화, 환원되는 것으로서, 전극에 인접되는 부위에서는 피처리수에 강한 전류가 인가되어 전기분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만 전극에서 멀어질수록 피처리수에 전류가 약하게 인가되어 전기분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즉, 피처리수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전기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전기분해효율이 떨어진다. 그런데 전술한 종래의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도 전기분해과정에서 수조의 물이 교반되지 않아 수조의 물이 고르게 전기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전기분해효율이 낮고, 차아염소산수의 생성효율이 낮은 단점을 가진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1983호(2008. 09. 19.)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해기능을 가지는 펌프가 구비되어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살균력이 우수한 차아염소산수를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전해기능을 갖는 펌프가 구비된 차아염소산수 생성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부가 개방되어 묽은 염산이 함유된 물이 저장되며, 바닥면에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체크밸브(117)가 구비된 배출공(116)과 상기 배출공(116)을 통해 배출된 물이 재유입되도록 체크밸브(118)가 구비된 재유입공(118)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손잡이(112)가 구비된 용기본체(110)와, 상기 용기본체(110)의 상부를 커버하는 뚜껑(120)으로 이루어지는 용기(100);
상기 배출공(116) 및 재유입공(118)에 각각 정렬되는 제1, 2관통공(134,136)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110)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거치대(130); 및
상기 거치대(130)의 제1관통공(134)과 정렬되어 상기 용기본체(110)의 배출공(116)을 통해 배출되는 물이 유입되는 입수구(212)와 상기 거치대(130)의 제2관통공(136)과 정렬되어 상기 용기본체(110)의 재유입공(118)으로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구(214)가 형성된 내부공간(211)을 가지는 펌프바디(210)와, 상기 내부공간(211)과 연통되도록 상기 펌프바디(210)에 형성된 전극장착공(216)과, 상기 전극장착공(216)에 장착되어 상기 내부공간(211)에 위치되는 전극(230)과, 상기 펌프바디(210)에 장착되어 용기본체(110)의 물이 상기 배출공(116)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재유입공(116)을 통해 유입되도록 물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펌핑수단(220)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거치대(130)에 내장되는 펌프(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기능을 갖는 펌프가 구비된 차아염소산수 생성기가 제공된다.
삭제
삭제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용기와 용기가 거치되는 거치대와, 전극이 구비되어 거치대에 내장되는 펌프로 이루어져서, 용기 내부의 물이 펌프에 의해 순환되면서 전기분해가 이루어지므로 물을 간편하게 전기분해시켜서 차아염소산수를 효율적으로 생성시킬 수 있다.
특히, 펌프에 전극이 구비되어 펌프가 전해장치로서의 기능을 하기 때문에 별도의 전해장치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차아염소산수를 제조할 수 있으며, 콤팩트하면서도 코스트도 저렴한 장점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펌프에 의해 물이 순환되어 물이 반복적으로 전기분해되기 때문에 물에 포함된 염산이 전기분해되어 차아염소산수가 생성되는 과정에서 재생산되는 염산이 재차 전기분해되므로 미산성 영역의 살균력이 우수한 차아염소산수를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가정이나 사무실 등을 비롯하여 병원, 공장, 축사 등 각종 장소에서 살균수가 필요한 경우에 본 발명을 이용하면 즉석에서 간편하게 살균력이 우수한 살균수를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측단면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사시와 측단면도로서, 본 발명이 포터블타입으로 구성된 것을 보인 것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을 담을 수 있도록 된 용기(100)와, 용기(100)가 거치되는 거치대(130)와, 거치대(130)에 수납되는 펌프(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100)는 상단이 개구된 용기본체(110)와 용기본체(110)의 상단을 커버하는 뚜껑(1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본체(110)는 일측에 손잡이(112)가 구비되며, 상단의 상기 손잡이(112)에 대향되는 위치에는 용기본체(110)에 저장된 물을 주변에 흘리지 않고 깔끔하게 따를 수 있도록 주둥이(114)가 형성되어, 마치 주전자와 같은 형상을 갖는다.
한편, 용기본체(110)의 저면에는 용기본체(110)에 담긴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공(116)과 배출된 물이 용기본체(110)로 재유입되는 재유입공(118)이 형성된다. 미 설명부호 117, 119는 상기 배출공(116)과 재유입공(118)에 구비된 체크밸브이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130)는 용기(100)가 거치되는 것으로서, 상면에는 용기본체(110)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오목부(132)가 형성되며, 오목부(132)에는 상기 배출공 및 재유입공과 정렬되는 제1, 2관통공(134,136)이 형성된다.
이러한 거치대(130) 내부에는 상기 용기(100)에 담긴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200)가 내장된다.
상기 펌프(200)는 물이 유입되고 배출되는 내부공간(211)이 형성된 펌프바디(210)와, 내부공간(211)과 연통되도록 펌프바디(210)에 형성되는 전극장착공(216)과, 전극장착공(216)에 장착되는 전극(230)과, 펌프바디(210)의 내부공간(211)으로 물이 유입되어 배출되는 흐름을 발생시키는 펌핑수단(220)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펌프바디(210)의 내부공간(211)에는 상기 거치대(130)의 제1관통공(134)과 정렬되어 용기본체(110)의 배출공(116)과 연통되는 입수구(212)와, 상기 제2관통공(136)과 정렬되어 용기본체(110)의 재유입공(118)과 연통되는 배수구(214)가 형성된다. 따라서 펌프(200)가 작동되면 용기본체(100)의 배출공(116)을 통해 물이 배출되어 펌프바디(210)의 입수구(212)를 통해 펌프바디(210)의 내부공간(211)으로 유입되고, 펌프바디(210)의 내부공간(211)으로 유입되는 물은 펌프바디(210)의 배수구(214)를 통해 배출되어 용기본체(110)의 재유입구(118)를 통해 용기본체(110)로 재유입되는 흐름이 발생된다.
삭제
본 실시예에서는 펌프(200)가 임펠러타입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펌핑수단(220)이 임펠러(222)와 임펠러(222)를 작동시키는 모터(224)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펌핑수단(220)은 물이 펌프바디(210)의 내부유로(211)로 유입되어 배출되는 흐름을 발생시키는 것이므로 펌프의 타입에 따라 구성이 달라짐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전극(230)은 +, -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데, 바람직하게는 +, - 한 쌍의 전극(230)이 기판에 연결되어 전극유니트를 형성하며, 전극장착공(216)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전극유니트를 전극장착공(216)에 결합시키면, 전극(230)이 펌프바디(210)의 내부공간(211) 상에 위치된다. 이와 같이 전극(230)이 내부공간(211) 상에 위치됨에 따라 전극(230)에 전류가 인가되면, 용기본체(110)에서 배출되어 펌프바디(210)로 유입되는 물이 전기분해되고, 전기분해된 물이 용기본체(110)로 재 유입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펌프바디(210)의 내부공간(211)에서 물이 전기분해되므로 펌프바디(210)의 내부공간(211)이 전해공간으로서의 기능을 하며, 펌프(200)가 물을 펌핌하는 기능과 더불어 물을 전기분해하는 전기분해장치로서의 기능도 하는 것이다.
삭제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펌프(200)는 입수구(212) 및 배수구(214)가 거치대(130)의 제1, 2관통공(134,136)에 정렬되도록 거치대(130) 내부에 장착되는데, 펌프(200)가 거치대(130)에 내장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보기에도 좋다. 또한, 용기(100)를 세척하고자 하는 경우에 용기(100)를 거치대(130)에 분리하면 용기(100)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특히, 용기에(100)에는 전기적인 장치가 연결되지 않으므로 세척이 수월한 장점을 가진다.
상기 펌프(200)는 배터리 또는 외부전원에 의해 작동되며, 펌프(200)로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전극(230)에도 전류가 인가된다. 미 설명부호 132는 전원을 인가시키는 작동버튼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용기(100)에 물을 담고 묽은 염산을 용기(100)에 투입한다. 이때 용기(100)에 담긴 물의 양에 따라 투입되는 묽은 염산의 양을 조절하여 투입한다. 그리고 전원을 공급하여 펌프(200)를 작동시키면 용기(100)의 물이 펌프(200)로 유입되고 다시 용기(100)로 공급되는 순환이 발생된다. 즉, 용기(100)의 물이 배출공(116)을 통해 배출되어 펌프바디(210)의 내부공간(211)으로 유입된 후 재유입공(118)을 통해 용기(100)로 다시 유입되는데, 펌프(200)에 전원이 공급되면 전극(230)에도 전류가 공급되기 때문에 펌프바디(210)의 내부공간(211)으로 유입된 물은 전극(230)에 의해 전기분해된다. 물에 묽은 염산이 혼합되어 있으므로 물이 전기분해되면, 염소가스가 발생되고, 이때 발생되는 염소가스가 물에 용해됨에 따라 차아염소산수가 생성된다.
삭제
특히, 본 발명은 펌프(200)에 의해 물이 순환되기 때문에 물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전극(230)과 접촉되고, 이에 따라 전기분해효율이 상승되어 차아염소산수의 생성효율이 높아진다.
한편, 일반적으로 묽은 염산이 전기분해되어 차아염소산수가 생성되는 과정에서 염산이 재 생성되는데, 재 생성되는 염산에 의해 차아염소산수의 pH가 낮아짐에 따라 차아염소산수의 살균력이 저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물이 순환되면서 반복적인 전기분해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차아염소산생성과정에서 재 생성되는 염산이 전극(230)에 의해 재차 전기분해됨에 따라 차아염소산수의 농도도 상승되고 차아염소산수가 pH 5~6.5 정도의 미산성 수준를 유지하게 되므로 살균력이 우수한 차아염소산수가 제조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전기분해과정에서 전극(230)에 형성되는 스케일이 제거되어 전극(230)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고, 펌프바디(210) 내부공간(211)의 이물질도 제거되어 펌프바디 내부가 청소된다. 사용자는 소정시간 동안 본 발명을 펌프(200)를 작동시켜서 차아염소산수를 만든 다음, 펌프(200)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용기(100)의 물을 사용한다.
삭제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는 본 발명은 가정이나 사무실 등을 비롯하여 병원, 공장, 축사 등 각종 장소에서 물건이나 손, 동물 등을 소독하기 위해 살균수가 필요한 경우에 본 발명을 이용하면 즉석에서 간편하게 살균수를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펌프에 의해 물이 순환되기 때문에 물의 전기분해효율이 상승되고 따라서 차아염소산수의 생성효율도 증가되므로 살균력이 우수한 차아염소산수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차아염소산수 생성기가 포터블타입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차아염소산수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사용자가 용기(100)에 물과 함께 염산을 투입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정량펌프가 구비된 묽은염산저장통을 펌프(200)의 내부공간(211)에 연결하여, 묽은염산저장통에서 자동으로 묽은 염산이 펌프(200)의 내부공간(211)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거치대(130)에 정량펌프조작버튼을 설치하여 해당 조작버튼을 작동시키면 묽은염산저장통에 저장된 묽은 염산이 정량펌프에 의해 펌프(200)의 내부공간(211)으로 주입되도록 설계한다. 또한, 묽은염산소저장통의 묽은 염산이 소진되면 묽은 염산을 채울 수 있도록 구성됨은 당연하다.
삭제
100. 용기 110. 용기본체
112. 손잡이 114. 주둥이
116. 배출공 118. 재유입공
120. 뚜껑 130. 거치대
200. 펌프 210. 펌프바디
211. 내부공간 212. 입수구
214. 배수구 216. 전극장착공
220. 펌핑수단 222. 임펠러
224. 모터 230. 전극

Claims (3)

  1. 상부가 개방되어 묽은 염산이 함유된 물이 저장되며, 바닥면에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체크밸브(117)가 구비된 배출공(116)과 상기 배출공(116)을 통해 배출된 물이 재유입되도록 체크밸브(119)가 구비된 재유입공(118)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손잡이(112)가 구비된 용기본체(110)와, 상기 용기본체(110)의 상부를 커버하는 뚜껑(120)으로 이루어지는 용기(100);
    상기 배출공(116) 및 재유입공(118)에 각각 정렬되는 제1, 2관통공(134,136)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110)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거치대(130); 및
    상기 거치대(130)의 제1관통공(134)과 정렬되어 상기 용기본체(110)의 배출공(116)을 통해 배출되는 물이 유입되는 입수구(212)와 상기 거치대(130)의 제2관통공(136)과 정렬되어 상기 용기본체(110)의 재유입공(118)으로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구(214)가 형성된 내부공간(211)을 가지는 펌프바디(210)와, 상기 내부공간(211)과 연통되도록 상기 펌프바디(210)에 형성된 전극장착공(216)과, 상기 전극장착공(216)에 장착되어 상기 내부공간(211)에 위치되는 전극(230)과, 상기 펌프바디(210)에 장착되어 용기본체(110)의 물이 상기 배출공(116)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재유입공(118)을 통해 유입되도록 물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펌핑수단(220)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거치대(130)에 내장되는 펌프(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기능을 갖는 펌프가 구비된 차아염소산수 생성기.
  2. 삭제
  3. 삭제
KR1020160060850A 2016-05-18 2016-05-18 전해기능을 갖는 펌프가 구비된 차아염소산수 생성기 KR101919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850A KR101919551B1 (ko) 2016-05-18 2016-05-18 전해기능을 갖는 펌프가 구비된 차아염소산수 생성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850A KR101919551B1 (ko) 2016-05-18 2016-05-18 전해기능을 갖는 펌프가 구비된 차아염소산수 생성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155A KR20170130155A (ko) 2017-11-28
KR101919551B1 true KR101919551B1 (ko) 2019-02-08

Family

ID=60811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850A KR101919551B1 (ko) 2016-05-18 2016-05-18 전해기능을 갖는 펌프가 구비된 차아염소산수 생성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5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1454B1 (ko) 2019-07-15 2019-12-31 데솔 주식회사 체크 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생성용 전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93504B (zh) * 2020-08-14 2021-10-15 林国尊 沉水式产制次氯酸水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5665A (ja) * 2005-09-09 2007-03-29 Satoyuki Den 浴用水用の電解還元水生成装置
KR101562229B1 (ko) * 2015-06-26 2015-11-10 주식회사 멀티바이오 전기포트 방식의 전해수 생성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5665A (ja) * 2005-09-09 2007-03-29 Satoyuki Den 浴用水用の電解還元水生成装置
KR101562229B1 (ko) * 2015-06-26 2015-11-10 주식회사 멀티바이오 전기포트 방식의 전해수 생성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1454B1 (ko) 2019-07-15 2019-12-31 데솔 주식회사 체크 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생성용 전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155A (ko) 201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2704B2 (ja) 表面殺菌及び現場殺菌用の電解槽
JPH09108307A (ja) 医療器具用消毒装置及び消毒方法
KR101919551B1 (ko) 전해기능을 갖는 펌프가 구비된 차아염소산수 생성기
US20060196767A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olysis water
KR101915717B1 (ko) 전해기능을 갖는 순환펌프가 구비된 변기
KR20100121592A (ko) 세정장치 및 세정수의 소취방법
KR100730612B1 (ko) 물청소용 살균소독수 생성 및 분사 장치
KR20190041113A (ko) 젖병 소독기
KR101829010B1 (ko) 전기분해부와 소독부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
JPH11151256A (ja) 義歯洗浄装置
CN207002347U (zh) 一种消毒洁净水机
JP4467354B2 (ja) 洗浄装置及び除菌装置
KR20160012732A (ko) 살균수를 이용하여 피부 각질 필링을 수행할 수 있는 복합 케어 장치
CN210582268U (zh) 清洗组件和果蔬清洗机
KR101097047B1 (ko) 전기분해를 이용한 수산화이온 생성장치
JP2005313096A (ja) 携帯用電解水生成器
JPH1119648A (ja) 殺菌装置
CN209778399U (zh) 水处理装置和水槽
JP3227580U (ja) 次亜塩素酸水生成装置
KR20090118295A (ko) 휴대용 살균장치
KR20140103414A (ko) 고농도 차아염소산수 생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석션 소독 장치
CN216456510U (zh) 消毒机
KR102381864B1 (ko) 치과용 전해 살균수 공급 장치
KR20110108565A (ko) 다기능 살균수 생성장치
CN211834091U (zh) 一种易于操作的水洗净化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