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2833B1 - 의치용 세척살균기 - Google Patents

의치용 세척살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2833B1
KR100822833B1 KR1020070106758A KR20070106758A KR100822833B1 KR 100822833 B1 KR100822833 B1 KR 100822833B1 KR 1020070106758 A KR1020070106758 A KR 1020070106758A KR 20070106758 A KR20070106758 A KR 20070106758A KR 100822833 B1 KR100822833 B1 KR 100822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denture
container
container porti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호원
Original Assignee
박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호원 filed Critical 박호원
Priority to KR1020070106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28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36Cleaning devices for dental prostheses removed from the oral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3Electric current
    • A61L2/035Electro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수를 회전함으로써, 세척수 내의 세척핀이 회전되어, 의치를 세척할 뿐만 아니라, 전기분해를 이용하여 의치를 살균할 수 있는 의치용 세척살균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세척수 및 의치가 수용되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부를 지지하는 본체부와; 상기 용기부 내의 세척수가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발생하는 유체회전장치와; 상기 용기부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유체회전장치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의치의 치아 사이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핀과; 상기 용기부의 내측에 구비되며, 전기분해를 이용하여 상기 의치를 살균하는 살균장치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살균장치 및 유체회전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용기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세척 및 살균이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세척, 살균, 전기분해, 유체회전, 의치

Description

의치용 세척살균기{ Washing and sterilizing apparatus for artificial tooth}
본 발명은 세척수를 회전함으로써, 세척수 내의 세척핀이 회전되어, 의치를 세척할 뿐만 아니라, 전기분해를 이용하여 의치를 살균할 수 있는 의치용 세척살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세척살균기는 초음파를 이용한 세척살균기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초음파는 사람이 들을 수 없는 영역 즉, 20Hz~2만Hz 이외 영역의 주파수를 의미하는데, 임신을 했을 때 병원에서 초음파로 태아를 보기도 하고 몸 안에 종양이나 담석이 있는지 알아볼 때 초음파 검사를 받는다.
이때의 초음파는 물질의 특성에 따라 반사율, 흡수율, 투과율 등이 달라지는 특성을 이용한 것이고, 초음파 세척기는 파장이 짧아 강한 진동을 만드는 초음파의 특성을 살려 물을 매개체로 하여 미세기포를 만들어내고, 그것이 소멸하는 과정에서 큰 압력과 고온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오염물질이 분산, 분해되어 세척, 살균의 효과를 내는 것이다.
이러한 초음파 살균세척기는 의치(義齒), 안경, 보석, 시계 등을 세척하기 위해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살균세척기는 의치와 같이 치아의 틈새에 낀 이물질 제거에 있어, 이물질이 완전하게 제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세척물이 세척살균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부유하게 되면, 초음파의 전달이 원활하지 않아 세척살균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살균세척기는 부피가 커서 휴대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의치를 사용하는 사람이 장기간의 출장이나 여행을 갈 경우에는 이러한 살균세척기를 사용할 수 없어, 의치의 청결에 문제가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세척수를 회전시킴으로써, 세척수에 포함된 세척핀이 회전되도록 하여 이중의 세척효과를 가져오며, 전기분해를 이용하여 살균함로써, 살균효율이 뛰어난 의치용 세척살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기부와 본체부가 분리되도록 하여, 세척 및 살균이 완료된 세척수의 배출이 용이하며, 부피가 적은 의치용 세척살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세척수 및 의치가 수용되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부를 지지하는 본체부와; 상기 용기부 내의 세척수가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발생하는 유체회전장치와; 상기 용기부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유체회전장치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의치의 치아 사이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핀과; 상기 용기부의 내측에 구비되며, 전기분해를 이용하여 상기 의치를 살균하는 살균장치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살균장치 및 유체회전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용기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의치용 세척살균기에 의하면, 세척수의 회전과 작은 세척핀의 회전에 의해 세척이 실시되므로, 의치의 치아 사이와 같이 좁은 틈새에 이물질이 많이 끼는 세척물의 세척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살균장치는 전기분해의 원리가 적용되므로, 세포의 원형질 변 형에 의한 살균 효과와 물속에 포함된 염소 성분에 의한 가스 살균효과에 의해 살균되므로, 뛰어난 살균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용기부와 본체부가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세척살균이 완료된 세척수를 버리기 용이하며, 부피가 적어서 휴대가 간편하여,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의치용 세척살균기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의치용 세척살균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의치용 세척살균기(10)는 세척수(110) 및 의치(w)가 수용되는 용기부(100)와, 상기 용기부(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용기부(100)를 지지하는 본체부(200)에 의해 주요 외관이 형성되며, 상기 용기부(100)는 상기 본체부(200)와 분리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세척수(110)의 교환이 용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상기 용기부(100)와 본체부(200)는 일체로 형성되어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용기부(100)는 상면이 개구되고, 속이 빈 통형으로 형성되어, 내측에는 의치(w)와 상기 의치(w)를 세척하는 세척수(110)가 수용되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세척수(11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돗물 또는 정수물이 사용되며, 살균효과를 높이기 위해 촉매인 소량의 식염(NaCl)이 더 추가되기도 한다. 상기 세척수(110) 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유체회전장치(400)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의치(w)의 치간에 낀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핀(12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세척핀(120)은 소형의 원통형 막대로, 상세하게는 0.5mm ~ 1mm의 직경의 원통형 막대로 구성되어, 의치(w)의 치간에 낀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세척핀(120)은 상기 의치(w)의 치아 사이를 파고들 수 있는 0.5mm ~ 1mm의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의치(w)의 치간을 통과하거나 치간의 이물질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용기부(100)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세척수(110)의 양과 세척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용기부(100)의 상측에는 용기부뚜껑(102)이 더 구비되어, 상기 용기부(100) 내측의 세척수(110) 및 의치(w)가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용기부(100) 내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용기부(100)의 상단에는 배수구(104)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구(104)는 상기 의치(w)의 세척이 완료된 세척수(110)를 배수하는 통로로써, 상기 용기부(100)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배수구(104)에는 걸림망(105)이 더 구비되어, 용기부(100) 내의 세척핀(120)이 상기 세척수(110)와 함께 배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수구(104)의 상대측, 상기 용기부(100)의 외측에는 상기 용기부(100)의 이동을 용이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손잡이(107)가 더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107)는 사용자가 파지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부(100)의 외측에서 소정높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용기부(100)의 바닥면의 한쪽에는 상기 의치(w)를 살균하는 살균장치(300)가 구비된다. 상기 살균장치(300)는 전기분해를 이용하여 살균하는 장치로, 음극(-)과 양극(+)의 전원이 인가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전극(320)과, 상기 전극(320)에 양극과 음극의 전원이 인가되는 회로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전극핀(3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극핀(330)은 아래에서 설명할 제어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전극(320)은 티타늄(Ti) 그물판에 백금(Pt) 또는 이리듐(Ir)을 코팅하여 형성되며, 전해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상기 전극(320)의 간격은 약 1.5 mm ~ 3.0 mm 유지하여, 다수 개 설치된다. 상기 전극(320)의 주위에는 상기 전극(320)을 보호하는 가이드(350)가 더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350)는 상기 전극(320)을 내측에 수용하여, 상기 전극(320)에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전기분해시 발생되는 가스의 배출을 용이하도록 표면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전극(320)은 한 쌍의 전극핀(330)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제어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전극핀(330)은 상기 용기부(100)의 바닥면에서 상기 용기부(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한 쌍의 상측전극핀(332)과, 상기 본체부(20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노출되는 한 쌍의 하측전극핀(33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용기부(100)가 상기 본체부(200)로부터 분리되면 회로가 끊어지고, 상기 용기부(100)가 상기 본체부(200)에 결합되면, 회로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살균장치(300)의 좌측(도 2에서 볼 때)에는 상기 세척핀(120)이 상기 살균장치(300)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망(360)이 구비된다. 상기 보호망(360)은 상기 세척핀(120)보다 작은 구멍을 가지는 그물망으로 형성되어, 상기 세척핀(120)이 상기 살균장치(300)로 침투되어 상기 전극(320) 또는 전극핀(330)이 쇼트(short) 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보호망(360)의 좌측(도 2에서 볼 때)에는 상기 용기부(100)와 상기 본체부(200)의 결합시, 상기 용기부(100)의 정위치를 안내하는 위치센서(109)가 구비된다. 상기 위치센서(109)는 마그네트 센서로 구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본체부(200)의 위치센서(109)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용기부(100)가 올려지면, 상기 살균장치(300)로 제어부(500)의 전원을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위치센서(109)의 좌측(도 2에서 볼 때)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유체회전장치(400)의 일구성인 종동구동부(430)가 구비된다. 상기 종동구동부(430)는 아래에서 설명할 구동부(420)와 자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420)의 회전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용기부(100)의 바닥면에 구비된다.
상기 종동구동부(430)의 상면에는 회전에 의해 상기 세척수(110)를 회전하도록 바람개비와 같은 블레이드(432)가 다수개 형성되며, 하면에는 마그넷(Magnet, 434)이 부착된다.
한편, 상기 용기부(100)의 하측에는 본체부(200)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부(200)에는 상기 살균장치(300)와 유체회전장치(4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00)가 더 구비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본체부(200)의 상단에는, 상기 용기부(100)의 하면이 수용되는 안착홈(202)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202)은 상기 용기부(100)의 하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본체부(200)의 상측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202)의 상기 상측전극핀(332)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하측전극핀(334)이 구비된다. 상기 하측전극핀(334)의 일단은 상기 상측전극핀(33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측전극핀(332)과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살균장치(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살균장치(300)에 인가되는 전원의 극성을 일정시간을 주기로 변경하여 상기 전극(320)의 수명을 연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살균장치(300)의 전기분해 효율을 높여, 살균력을 강화한다.
상기 하측전극핀(334)의 좌측(도 2에서 볼 때)에는 상기 용기부(100)의 마그네트 센서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109)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센서(109)의 좌측에는 심미감을 주도록 빛을 발하는 조명램프(108)가 더 구비된다.
한편, 상기 종동구동부(430)의 하측 상기 본체부(200)의 내부에는 상기 종동구동부(430)를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발생하는 전동기(410)와, 상기 전동기(41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동기(410)는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입력 전원을 조절하여 속도 가변이 용이한 직류전동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전동기(410)가 정회전 및 역회전함으로써, 상기 세척수(110)를 회전하는 종동구동부(430)는 정회전 및 역회전되고, 이로 인해 상기 세척수(110) 및 세척핀(120) 또한 정회전 또는 역회전됨으로써, 상기 의치(w)의 세척효율을 높이게 된다.
상기 전동기(410)의 회전축에는 상기 종동구동부(43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420)가 결합된다. 상기 구동부(420)는 상기 종동구동부(43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는 상기 종동구동부(430)와 자기적으로 연결되는 마그넷(424)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전동기(4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부(420)가 회전되고, 상기 구동부(4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부(420)와 자기적으로 연결된 종동구동부(430)가 회전되어, 상기 용기부(100) 내의 세척수(110) 및 세척핀(120)이 회전됨으로써, 의치(w)를 세척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부(200)의 외측에는 상기 제어부(500)를 조작하여, 상기 유체회전장치(400) 내지 살균장치(300)의 동작을 설정하는 조작부(220)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부(220)에는 다수의 버튼이 구비되어, 상기 살균장치(300) 및 조명램프(108)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상기 유체회전장치(40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반복적으로 실시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용기부(100)에 담긴 세척수(110)에 세척하고자 하는 의치(w)를 넣어서, 상기 용기부(100)를 본체부(200)의 안착홈(202)에 올려놓는다. 이때, 상기 용기부(100)와 본체부(200)의 위치센서(109)가 정위치에 일치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후, 조작부(220)의 전원버튼을 누르게 되면, 살균장치(300)가 작동되어, 의치(w)가 살균된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전극핀(330)에는 음극 또는 양극의 전원이 인가되어, 음극의 전원이 인가되는 전극핀(330)에 결합된 전극(320)은 음극의 전위를 띄게 되 고, 양극의 전원이 인가되는 전극핀(330)에 결합된 전극(320)은 양극의 전위를 띄게 된다. 따라서, 음(-)과 양(+)의 단백질 덩어리로 형성된 세균은 양극의 전극(320)과 음극의 전극(320)에 흡착되어 세균은 죽게 된다. 또한, 전기분해에 의해 분리된 물속의 염소(Cl)성분이 수소와 결합되어(HCl) 가스 살균에 의해 세균은 죽게 된다.
상기 살균장치(300)에 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조명램프(108)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용기부(100)는 일정한 빛을 띠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220)에 구비된 유체회전장치(400) 동작버튼을 누르게 되면, 전동기(410)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전동기(410)의 회전에 의해 구동부(420)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구동부(420)와 자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종동구동부(430)는 상기 구동부(4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부(420)와 동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종동구동부(4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세척수(110)에는 상기 종동구동부(430)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소용돌이가 발생되어, 상기 세척수(110)는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세척수(110)내의 세척핀(120)이 회전되고, 이러한 세척수(110) 및 세척핀(120)의 회전에 의해 의치(w)는 세척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세척수(110) 및 세척핀(120)이 상기 의치(w)의 치간을 파고들어, 상기 의치(w)의 치간에 낀 이물질을 말끔하게 제거하게 된다.
의치(w)의 상태에 따라, 상기 유체회전장치(400)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를 상기 조작부(220)에 구비된 버튼을 이용하여 조작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세척 및 살균이 완료되면, 전원버튼을 눌러서 전원을 끈 다음, 손잡이(107)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부(100)를 위로 들게 되면, 상기 용기부(100)는 상기 본체부(200)로부터 이탈된다.
이후, 용기부뚜껑(102)을 연 상태에서, 배수구(104)를 통해 상기 용기부(100) 내의 세척수(110)를 버린다. 이때, 상기 세척수 내의 세척핀(120)은 걸림망(105)에 걸려서,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의치용 세척살균기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의치용 세척살균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의치용 세척살균기 100. 용기부
102. 용기부뚜껑 104. 배수구
105. 걸림망 107. 손잡이
108. 조명램프 109. 위치센서
110. 세척수 120. 세척핀
200. 본체부 202. 안착홈
220. 조작부 300. 살균장치
320. 전극 330. 전극핀
332. 상측전극핀 334. 하측전극핀
400. 유체회전장치 410. 전동기
420. 구동부 430. 종동구동부
424, 434. 마그넷 500. 제어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세척수 및 의치가 수용되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부를 지지하는 본체부와;
    상기 용기부 내의 세척수가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발생하는 유체회전장치와;
    상기 용기부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유체회전장치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의치의 치아 사이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핀과;
    상기 용기부의 내측에 구비되며, 전기분해를 이용하여 상기 의치를 살균하는 살균장치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살균장치 및 유체회전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용기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치용 세척살균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 및 본체부에는 상기 용기부의 정위치를 안내하는 위치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치용 세척살균기.
  5. 삭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회전장치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전동기와;
    상기 전동기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전동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부와;
    상기 용기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종동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구동부와 종동구동부는 자기적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치용 세척살균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및 종동구동부는 마그넷(Magmet)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치용 세척살균기.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장치의 일측에는, 상기 세척핀의 침입을 방지하는 보호망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치용 세척살균기.
KR1020070106758A 2007-10-23 2007-10-23 의치용 세척살균기 KR100822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758A KR100822833B1 (ko) 2007-10-23 2007-10-23 의치용 세척살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758A KR100822833B1 (ko) 2007-10-23 2007-10-23 의치용 세척살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2833B1 true KR100822833B1 (ko) 2008-04-16

Family

ID=39571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758A KR100822833B1 (ko) 2007-10-23 2007-10-23 의치용 세척살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2833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095B1 (ko) 2013-03-20 2014-04-11 백지원 가철식 치아교정장치 세척기
KR101605605B1 (ko) 2014-02-28 2016-03-22 김남주 분리형 소독기
WO2016047844A1 (ko) * 2014-09-25 2016-03-31 주식회사 그렌텍 수소수를 이용한 세척장치
KR101652474B1 (ko) 2015-10-01 2016-08-31 김영수 다수의 틀니 살균 및 세척장치
KR101719681B1 (ko) * 2016-04-24 2017-03-31 주식회사 이바이오테코 전기분해 중성 수소수를 이용한 의치 세정과 구강 청결 장치
KR101893971B1 (ko) 2017-03-31 2018-08-31 김건환 틀니 전용 초음파 세척기
US11000164B2 (en) 2018-01-30 2021-05-11 ionogen Inc. Wipe dispensing
US11000163B2 (en) 2018-01-30 2021-05-11 ionogen Inc. Wipe dispensing
KR102325992B1 (ko) 2021-02-16 2021-11-12 주식회사 하예 이동형 살균 모듈이 구비된 틀니 살균세척장치
KR20230020653A (ko) * 2021-08-04 2023-02-13 주식회사 뉴로서킷 두발 케어 용품 용기 거치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412A (ko) * 2001-09-06 2003-03-15 김준기 세탁기용 세탁볼
KR20030080905A (ko) * 2002-04-11 2003-10-1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무세제 세탁기의 세탁수 생성장치
KR20030080903A (ko) * 2002-04-11 2003-10-1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수 생성장치의 세탁용수 공급구조
KR20040090760A (ko) * 2003-04-18 2004-10-27 경원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무세제 세탁기에서의 세탁물 살균방법
KR20040092752A (ko) * 2003-04-29 2004-11-04 경원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무세제 세탁기의 촉매제 용해 행정 자동 제어 방법
KR20060101134A (ko) * 2005-03-18 2006-09-22 손경식 은나노가 함유된 세탁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412A (ko) * 2001-09-06 2003-03-15 김준기 세탁기용 세탁볼
KR20030080905A (ko) * 2002-04-11 2003-10-1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무세제 세탁기의 세탁수 생성장치
KR20030080903A (ko) * 2002-04-11 2003-10-1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수 생성장치의 세탁용수 공급구조
KR20040090760A (ko) * 2003-04-18 2004-10-27 경원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무세제 세탁기에서의 세탁물 살균방법
KR20040092752A (ko) * 2003-04-29 2004-11-04 경원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무세제 세탁기의 촉매제 용해 행정 자동 제어 방법
KR20060101134A (ko) * 2005-03-18 2006-09-22 손경식 은나노가 함유된 세탁볼의 제조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095B1 (ko) 2013-03-20 2014-04-11 백지원 가철식 치아교정장치 세척기
KR101605605B1 (ko) 2014-02-28 2016-03-22 김남주 분리형 소독기
WO2016047844A1 (ko) * 2014-09-25 2016-03-31 주식회사 그렌텍 수소수를 이용한 세척장치
KR101652474B1 (ko) 2015-10-01 2016-08-31 김영수 다수의 틀니 살균 및 세척장치
KR101719681B1 (ko) * 2016-04-24 2017-03-31 주식회사 이바이오테코 전기분해 중성 수소수를 이용한 의치 세정과 구강 청결 장치
WO2017188645A1 (ko) * 2016-04-24 2017-11-02 주식회사 이바이오테코 전기분해 중성 수소수를 이용한 의치 세정과 구강 청결 장치
KR101893971B1 (ko) 2017-03-31 2018-08-31 김건환 틀니 전용 초음파 세척기
US11000164B2 (en) 2018-01-30 2021-05-11 ionogen Inc. Wipe dispensing
US11000163B2 (en) 2018-01-30 2021-05-11 ionogen Inc. Wipe dispensing
KR102325992B1 (ko) 2021-02-16 2021-11-12 주식회사 하예 이동형 살균 모듈이 구비된 틀니 살균세척장치
KR20230020653A (ko) * 2021-08-04 2023-02-13 주식회사 뉴로서킷 두발 케어 용품 용기 거치 장치
KR102536539B1 (ko) * 2021-08-04 2023-05-26 주식회사 뉴로서킷 두발 케어 용품 용기 거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2833B1 (ko) 의치용 세척살균기
KR101017416B1 (ko) 초음파 세척기
US10743962B2 (en) All-in-one cleaner
JP2010029250A (ja) 肌用装置
CN211071066U (zh) 一种医疗卫生用消毒装置
CN204763205U (zh) 一种可分体的盆式果蔬残留农药快速净化仪
CN213157414U (zh) 一种口腔综合治疗牙椅
KR200419542Y1 (ko) 구강 세정용 가글액 제조장치
KR101561303B1 (ko) 전극살균모듈을 이용한 식기세척기
CN210903416U (zh) 一种肿瘤护理科消毒装置
CN209862586U (zh) 一种带旋转功能的隐形眼镜消毒盒
CN207950216U (zh) 一种医疗检测用的消毒柜
CN112931760A (zh) 一种消毒装置
KR101097047B1 (ko) 전기분해를 이용한 수산화이온 생성장치
CN218773777U (zh) 果蔬清洗机
CN216174775U (zh) 一种清洗装置
JPH1048579A (ja) コンタクトレンズメインテナンス方法及び装置
KR101243107B1 (ko) 전기분해 방식의 초음파 세척기
CN213852286U (zh) 一种外科手术工具
JP6905236B1 (ja) トイレ室内の脱臭除菌装置
CN212415534U (zh) 一种紫外线去味杀菌搅拌机
CN214511997U (zh) 一种容器
KR102325992B1 (ko) 이동형 살균 모듈이 구비된 틀니 살균세척장치
CN218773307U (zh) 果蔬清洗机系统
CN215938378U (zh) 一种用于牙科工具的消毒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