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3095B1 - 가철식 치아교정장치 세척기 - Google Patents

가철식 치아교정장치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3095B1
KR101383095B1 KR1020130029555A KR20130029555A KR101383095B1 KR 101383095 B1 KR101383095 B1 KR 101383095B1 KR 1020130029555 A KR1020130029555 A KR 1020130029555A KR 20130029555 A KR20130029555 A KR 20130029555A KR 101383095 B1 KR101383095 B1 KR 101383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case
coupled
rod
re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9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지원
Original Assignee
백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지원 filed Critical 백지원
Priority to KR1020130029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30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02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dental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36Cleaning devices for dental prostheses removed from the oral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2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부재가 가철식 치아교정장치를 안정적으로 인괘하고 가철식 치아교정장치가 배치되는 회전부재의 봉이 회전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어 세척이 용이한 가철식 치아교정장치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철식 치아교정장치 세척기{ Washer for orthodontic appliance }
본 발명은 가철식 치아교정장치를 회전부재가 안정적으로 인괘하고 물에서 회전시켜 세척하는 가철식 치아교정장치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치아보정물에는 외부 충격, 치주질환 등에 의해 상실된 치아를 대체하기 위해 구강 내에 장착된 의치와, 치아의 불균일한 치열상태 또는 부정교합을 교정하는 치아교정장치가 있다. 의치는 자연 치아와 같이 청결을 유지해야 하며, 매 식사 후와 잠자리에 들기 전 씻어내야 한다. 또한, 치아교정장치는 고정성 치아교정장치와 가철식 치아교정장치가 있는데, 가철식 교정장치는 사용자가 직접 꼈다 뺐다 하는 철사가 지나가는 교정장치로서 음식의 섭취 시마다 장치를 제거하고 식사가 끝난 후 가철식 치아교정장치를 세척해서 다시 착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종래의 치아보정물 세척기로는 특허문헌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치아보정물 세척기는 그릇 내측에 나선상으로 브러시(2)를 붙일 수 있는 용기(3)와 인괘심봉(引掛心棒)(4)을 결합할 수 있는 뚜껑 박스(5)로 구성되고 뚜껑 박스(5) 내부에는 모터(6), 전지(7), 기판(8) 등을 설치하고 뚜껑 박스(5) 상부에 스위치(9)를 붙인다. 용기(3)에 물, 세척제를 넣고 뚜껑 박스(5)의 인괘심봉(4)에 의치를 걸고 스위치(9)를 켜면 인괘심봉(4)이 회전하면서 의치가 세척되는 의치 세척기이다.
그러나 가철식 치아교정장치는 의치의 형상과 달리 치아를 가지런하게 유지하면서 위, 아래 치아들이 조금 더 자연스럽게 맞아갈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해주는 철사가 지나가는 유지장치로서 종래의 의치가 걸리는 인괘심봉(4)으로 인괘 안정성과 세척력을 확보하기가 어렵고, 형상의 변형이나 파손의 우려가 있다.
일본공개특허 2002-045377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회전부재가 가철식 치아교정장치를 안정적으로 인괘하고 가철식 치아교정장치가 배치되는 회전부재의 봉이 회전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어 세척이 용이한 가철식 치아교정장치 세척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가철식 치아교정장치 세척기는, 가철식 치아교정장치가 배치되어 회전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가 내장되고 상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의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 되고 상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의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측을 덮는 원판 형상의 뚜껑; 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케이스는 하면 중심에 홀이 형성되고, 모터가 내장되어 상기 홀에 상기 모터 회전축이 삽입되고, 측벽에 상기 모터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흔들림방지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뚜껑에는 전지가 설치되어 상기 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모터 회전축에 결합 되는 판 형상의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 하측면에서 편심된 일측에 결합되어 하부 방향으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봉과, 상기 봉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가철식 치아교정장치가 배치되어 걸리는 인괘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가철식 치아교정장치 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흔들림방지부재는 상기 상부 케이스 측벽에 형성되는 개구와, 상기 개구에 끼워지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와 상기 모터를 연결하는 탄성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가철식 치아교정장치 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인괘부의 양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탄성줄이 연결되는 돌출바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회전부재에 인괘된 가철식 치아교정장치는 봉과 탄성줄에 의해 전후방 움직임이 제한되고 인괘부에 의해 상하 방향 움직임이 제한되기 때문에, 인괘 안정성이 향상되어 파손의 위험 없이 가철식 치아교정장치를 모터로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다.
또한, 회전부재의 봉은 회전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고 가철식 치아교정장치는 하부 케이스의 측벽 방향으로 봉에 배치되기 때문에, 하부 케이스의 회전중심부보다 물의 원심력이 더 크고 유동이 활발한 하부 케이스의 측벽과 중심부 사이에 가철식 치아교정장치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모터를 잡아주는 흔들림방지부재가 설치되어 모터가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은 종래의 치아보정물 세척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철식 치아교정장치 세척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회전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도 1에 가철식 치아교정장치와 태양광 전지가 설치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치아보정물 세척기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철식 치아교정장치 세척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회전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가철식 치아교정장치와 태양광 전지가 설치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철식 치아교정장치 세척기(5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케이스 몸체(100)와, 케이스 몸체(100) 상부에 내장되고 모터(210) 및 전지(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장치(200)와, 동력장치(200) 하부에 결합 되고 가철식 치아교정장치(400)가 배치되어 회전하는 회전부재(300)로 이루어진다.
케이스 몸체(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이룬다. 케이스 몸체(100)는 케이스 몸체(100)의 하단부를 이루고 상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의 하부 케이스(130)와, 하부 케이스(130)의 상부에 나사식으로 결합 되고 상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의 상부 케이스(110)와, 상부 케이스(110)의 상측을 덮는 원판 형상의 뚜껑(140)으로 이루어진다.
상부 케이스(1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면 중심에 원형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홀(112)과, 측벽에 형성되고 모터(210)와 연결되어 모터(210)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흔들림방지부재(1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동력장치(200)는 회전부재(300)를 회전시키는 장치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10)에 내장되고 회전축이 홀(112)에 삽입되어 회전부재(300)와 결합 되는 모터(210)와, 모터(210)와 연결되어 뚜껑(140)에 설치되는 전원부(220)로 구성된다. 전원부(220)는 전지(미도시)와 스위치(2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회전부재(3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30)에 내장되고 가철식 치아교정장치(400)가 배치되어 회전한다. 회전부재(300)는 홀(112)에 삽입되어 하부 케이스(130) 내측으로 돌출된 모터(210) 회전축에 결합 되는 원판 형상의 회전판(310)과, 회전판(310) 하측면에서 편심된 일측에 결합 되어 하부 방향으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봉(320)과, 봉(320) 하부에 결합 되어 가철식 치아교정장치(400)가 배치되어 걸리는 인괘부로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ㄴ형상을 가지고 봉(320) 하부에 결합 되는 하부 인괘부(331)와, 하부 인괘부(331) 상부에 수평 하게 결합 되어 ㄷ형상을 가지는 상부 인괘부(333)와, 상부 인괘부(333) 양측에서 외측으로 원통 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바(335)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가철식 치아교정장치(400)라 함은 탈부착 가능한 치아교정장치와, 치아교정 후 사용되는 탈부착 가능한 치아교정유지장치를 총칭하여 이른다. 가철식 치아교정장치(400)의 형상은 일반적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가 일측으로 절곡되고 치아를 가이드 하는 철사로 이루어져, 인괘부(330)를 가철식 치아교정장치(400)의 철사구멍(401)에 끼워 인괘할 수 있도록 형성되므로, 이를 본 발명의 가철식 치아교정장치(400)의 형상으로 정한다.
이하에는 케이스 몸체(100)에 대해 상술한다.
케이스 몸체(100)는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이룬다. 케이스 몸체(100)는 케이스 몸체(100)의 하단부를 이루고 상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의 하부 케이스(130)와, 하부 케이스(130)의 상부에 나사식으로 결합되고 상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의 상부 케이스(110)와, 상부 케이스(110)의 상측을 덮는 원판 형상의 뚜껑(140)으로 이루어진다.
하부 케이스(130)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하측은 폐쇄되어 있고 상측은 개방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130) 내측에는 가철식 치아교정장치(400)를 세척할 수 있는 물이 투입된다. 그리고 모터(210) 회전축에 결합된 회전부재(3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내장된다. 하부 케이스(130)는 내장된 물이 새지 않는 재질을 선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볍고 제작이 쉬운 아크릴로 제작하였다. 하부 케이스(130)는 물이 새지 않고 무게가 가벼워 휴대하기 편한 재질 중에서 본 발명의 실시자가 변경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30)의 상단 내측벽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선형의 결합홈b(131)가 형성된다. 결합홈b(131)는 상부 케이스(110) 하단 외측벽의 결합홈a(111)와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하부 케이스(130) 상부에 상부 케이스(110)가 결합되도록 한다. 그래서 하부 케이스(130)의 개방된 상측은 상부 케이스(110)의 하면에 의해 폐쇄된다. 회전부재(300)에 대해서는 추후에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부 케이스(110)는 하부 케이스(130) 상부에 나사식으로 결합되고, 하측이 폐쇄되고 상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이룬다. 상부 케이스(110)는 하단 외측벽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결합홈a(111)와, 하면 중심에 원형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홀(112)과, 측벽에 형성되고 모터(210)와 연결되어 모터(210)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흔들림방지부재(1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모터(210)가 상부 케이스(110) 하면 상측에 배치되어 모터(210) 회전축이 홀(112)에 삽입되고, 상부 케이스(110)의 개방된 상측은 뚜껑(140)으로 덮인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볍고 제작이 쉬운 아크릴로 제작하였다. 상부 케이스(110)의 재질은 무게가 가벼워 휴대하기 편한 재질 중에서 본 발명의 실시자가 변경할 수 있다.
결합홈a(11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10) 하단 외측벽에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하부 케이스(130) 상단 내측벽의 결합홈b(131)와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하부 케이스(130) 상부에 상부 케이스(110) 하부가 결합되도록 한다. 하부 케이스(130)의 개방된 상측은 상부 케이스(110)의 하면에 의해 폐쇄된다.
홀(112)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10) 하면 중심에 배치되고, 원형 형상을 가지며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홀(112)에는 모터(210) 회전축이 삽입된다. 홀(112)의 크기는 삽입된 모터(210) 회전축이 회전할 수 있도록 모터(210) 회전축보다 약간 더 크게 형성된다. 삽입된 모터(210) 회전축은 회전부재(3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 케이스(130) 내측으로 돌출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홀(112)의 길이를 결정한다. 홀(112)의 길이는 상부 케이스(110) 하면의 두께와 동일해야 하므로, 홀(112)의 길이를 고려하여 상부 케이스(110) 하면 두께를 결정한다.
흔들림방지부재(113)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10) 측벽에 형성되고 모터(210)와 연결되어 모터(210)의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흔들림방지부재(113)는 상부 케이스(110) 측벽에 원형으로 형성되는 개구(114)와, 개구(114)에 끼워지는 고정대(115)와, 고정대(115)와 모터(210)를 연결하는 탄성줄a(119)로 이루어진다.
개구(114)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10) 측벽에 원형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개구(114)가 상부 케이스(110) 측벽 중단을 둘러서 형성된다. 즉, 90도 간격으로 원형의 측벽을 두르며 형성된다. 개구(114)의 위치, 개수 및 크기는 모터(210)의 흔들림 방지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실시자가 변경할 수 있다.
고정대(11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개구(114)에 삽입되고 탄성줄a(119)을 통해 모터(210)와 연결된다. 고정대(115)는 원통 형상의 고정대 몸체(116)와, 고정대 몸체(116) 일측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탄성줄a(119)가 걸리는 핀(117)과, 타측에 결합되어 고정대 몸체(116)가 개구(114)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원판 형상의 걸림편(118)으로 이루어진다. 고정대 몸체(116)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을 가진다. 고정대 몸체(116)의 일측에는 가늘고 긴 핀(117)이 관통하여 결합된다. 핀(117)이 결합된 고정대 몸체(116)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10)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개구(114)에 삽입된다. 그 후에 고정대 몸체(116)가 개구(114)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개구(114)를 관통하여 상부 케이스(110)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대 몸체(116) 끝단에 원판 형상의 걸림편(118)을 결합한다. 걸림편(118)은 탄성줄a(119)에 의해 고정대 몸체(116)가 상부 케이스(110) 내측으로 당겨질 때, 상부 케이스(110) 측벽 외측면에 걸릴 수 있도록 개구(114)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진다. 그래서 탄성줄a(119)를 통해 고정대(115)와 모터(210)가 연결되어, 모터(210)가 동작할 때 발생하는 흔들림을 방지한다.
탄성줄a(119)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은 고정대(115)의 핀(117)에 걸리고 타측은 모터(210)의 몸체를 감싸서 연결된다. 탄성줄a(119)는 4개를 사용하여 일측은 4개의 고정대(115)에 각각 걸고 타측은 모터(210)의 몸체를 감싼다. 그래서 모터(210)에 전원이 인가되어 작동할 때, 모터(210)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모터(210)가 안정적으로 회전부재(3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해준다. 그 결과 회전부재(300)에 인괘된 가철식 치아교정장치(400)가 효과적으로 세척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줄a(119)로 고무줄을 사용하였다. 탄성줄a(119)는 고정대(115)와 모터(210)를 연결하여 모터(21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부재로 본 발명의 실시자가 변경하여 선정할 수 있다.
뚜껑(14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10)의 개방된 상측을 덮는다. 뚜껑(140)은 상부 케이스(110) 측벽의 외측 지름과 동일한 지름을 갖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뚜껑(140)은 하측면에 원형 고리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부(141)와, 일측에 관통 형성되어 스위치(223)가 배치되는 스위치구(1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볍고 제작이 쉬운 아크릴로 제작하였다. 뚜껑(140)의 재질은 무게가 가벼워 휴대하기 편한 재질 중에서 본 발명의 실시자가 변경할 수 있다.
결합부(14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140) 하측면에서 중공의 원형 고리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래서 뚜껑(140)이 상부 케이스(110)를 덮었을 때, 상부 케이스(110) 상부에 삽입되어 상부 케이스(110) 측벽의 내측면에 접한다. 그래서 상부 케이스(110) 상부에 덮인 뚜껑(140)이 헐겁지 않도록 해준다. 결합부(141)의 지름은 상부 케이스(110) 측벽의 내측 지름에 근접한 크기를 갖도록, 즉 상부 케이스(110) 측벽의 내측면과 적절히 마찰이 되도록 결정된다. 결합부(141) 내측의 뚜껑(140) 하측면에는 전지(미도시)와 스위치(223)를 포함하는 전원부(220)가 설치된다. 또한, 뚜껑(140) 상측면에는 태양광 전지(225)가 더 설치되어 전력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스위치구(142)는 뚜껑(140)의 일측에 사각 형상으로 관통 형성된다. 그래서 뚜껑(140) 하측면에 설치된 전원부(220)의 스위치(223)가 돌출되도록 해준다. 뚜껑(140)으로 상부 케이스(110)를 덮은 후에 스위치구(142)를 통해 돌출된 스위치(223)를 손으로 조작하여 모터(21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스위치(223)가 돌출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손가락을 삽입하여 스위치(223)를 조작할 수 있도록 스위치구(142)의 크기나 형상을 본 발명의 실시자가 변경할 수 있다.
이하에는 동력장치(200)에 대해 상술한다.
동력장치(200)는 회전부재(300)를 회전시키는 장치로서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10) 하면 상측에 배치되고 회전축이 홀(112)에 삽입되어 회전부재(300)와 결합 되는 모터(210)와, 모터(210)와 연결되어 뚜껑(140)에 설치되는 전원부(220)로 구성된다. 전원부(220)는 전지(미도시)와 스위치(2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뚜껑(140) 상측면에는 태양광 전지(225)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모터(2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10)에 내장되어 상부 케이스(110) 하면에 고정되고(미도시), 회전축은 회전 가능하게 홀(112)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210)를 상부 케이스(110) 하면에 고정하기 위해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홀(112)에 삽입된 모터(210) 회전축은 하부 케이스(130) 내측으로 돌출되어 회전부재(300)의 회전판(310)과 결합된다. 그리고 모터(210) 작동시 발생하는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줄a(119)를 통해 원통 형상의 모터(210) 몸체와 고정대(115)를 연결한다.
전원부(220)는 모터(210)와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하는 장치로서, 사각 박스 형상의 전원부 케이스(221)에 전지(미도시)가 내장되어 있고, 전원부 케이스(221) 상면에 사각형의 스위치(223)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전원부(220)는 뚜껑(140) 하측면에 위치되어, 스위치(223)가 스위치구(142)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그래서 뚜껑(140)으로 상부 케이스(110) 상측을 덮은 후에 뚜껑(140) 상측에 돌출된 스위치(223)를 조작하여 모터(2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뚜껑(140) 상측면에는 태양광 전지(225)를 더 설치하여 모터(210)를 작동시키는 전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래서 햇빛이 비치는 야외에서 전지(미도시)가 방전되거나 더 큰 전력이 필요할 때 추가 전력을 공급하여 가철식 치아교정장치(400)를 세척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고 경제적이다.
이하에는 회전부재(300)에 대해 상술한다.
회전부재(3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30)에 내장되고 가철식 치아교정장치(400)가 인괘되고 모터(210)에 의해 회전된다. 회전부재(300)는 홀(112)에 삽입되어 하부 케이스(130) 내측으로 돌출된 모터(210) 회전축에 결합 되는 원판 형상의 회전판(310)과, 회전판(310) 하측면에서 편심된 일측에 결합되어 하부 방향으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봉(320)과, 봉(320) 하부에 결합 되어 가철식 치아교정장치(400)가 배치되어 걸리는 인괘부(330)로 이루어진다.
회전판(31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얇은 원판 형상을 가지며 회전부재(300)의 상부를 이룬다. 회전판(310)의 중심에는 원형의 결합구(311)가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110)의 하면 하측에 배치된다. 그래서 홀(112)에 삽입 관통되어 하부 케이스(130) 내측으로 돌출된 모터(210) 회전축이, 결합구(311)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그래서 모터(210)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판(310)이, 즉 회전부재(300)가 회전하게 된다.
봉(32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판(310) 하측면에서 편심된 일측에 결합되어, 하부 방향으로 막대 형상으로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면적이 육각형인 육각 기둥 형상을 가지지만 본 발명의 실시자가 변경할 수 있다. 그래서 봉(320)의 상측 끝단은 회전판(310)에 결합되고, 하측 끝단은 하부 인괘부(331)에 결합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철식 치아교정장치(400) 양측 상부의 철사구멍(401)이 인괘부(330)에 인괘되면, 가철식 치아교정장치(400)의 절곡된 중앙부가 수직한 봉(320)에 접하게 된다. 즉, 봉(320)은 가철식 치아교정장치(400)가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후방을 지지해주어 인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봉(320)은 회전부재(300)의 회전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가철식 치아교정장치(400)는 하부 케이스(130)의 측벽 방향으로 봉(320)에 배치되기 때문에, 하부 케이스(130)의 중심부보다 물의 원심력이 더 크고 유동이 활발한, 하부 케이스(130)의 측벽과 중심부 사이에 가철식 치아교정장치(400)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인괘부(33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ㄴ형상을 가지고 봉(320)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인괘부(331)와, 하부 인괘부(331) 상부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ㄷ형상을 가지는 상부 인괘부(333)와, 상부 인괘부(333) 양측에서 외측으로 원통 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바(335)로 이루어진다.
하부 인괘부(33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막대 형상에서 중앙단이 수직으로 절곡된 ㄴ형상을 이룬다. 그래서 하부 인괘부(331)의 하부 수평면 끝단 상측면이 봉(320)의 하부에 볼트 결합된다. 그래서 하부 인괘부(331)의 하부 수평면에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수직면은 봉(320)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하부 인괘부(331)의 상부, 즉 수직면 상부에는 ㄷ형상의 상부 인괘부(333)가 수평하게 결합된다.
상부 인괘부(333)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ㄷ형상을 가지며 하부 인괘부(331)의 수직면 상부에 수평하게 볼트 결합된다. 즉, 사각 막대 형상에서 양끝단이 전방의 봉(320)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전방으로 절곡 연장된 양측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탄성줄b(340)가 연결되는 돌출바(335)가 형성된다. 그래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철식 치아교정장치(400)의 양측 상부에 형성된 철사구멍(401)에, 상부 인괘부(333)의 절곡된 양측단이 끼워져 가철식 치아교정장치(400)가 인괘된다. 상부 인괘부(333)의 전방으로 절곡 연장된 양측단의 크기는, 가철식 치아교정장치(400) 양측 상부의 철사구멍(401)에 끼워질 수 있도록 결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부 인괘부(333) 양측단 사이의 거리도 가철식 치아교정장치(400)의 양측 상부 철사구멍(401) 거리를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그래서 가철식 치아교정장치(400)는 철사구멍(401)에 끼워진 상부 인괘부(333)의 양측단에 의해 상하 방향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인괘 안정성이 향상된다.
돌출바(335)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인괘부(333)의 양측단에서 외측으로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가철식 치아교정장치(400)의 양측 철사구멍(401)에 양측 돌출부를 통과시켜 상부 인괘부(333)의 양측단에 인괘한 후, 양측의 돌출바(335)에 탄성줄b(340)을 연결하여 가철식 치아교정장치(400)의 전방을 가로 막는다. 그래서 가철식 치아교정장치(400)의 전방 방향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인괘 안정성이 향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철식 치아교정장치(400)는 봉(320)에 의해 후방 움직임이, 돌출바(335)에 걸린 탄성줄b(340)에 의해 전방 움직임이, 상부 인괘부(333)의 양측단에 인괘되어 상하 방향 움직임이 제한된다. 이와 같이 회전부재(300)에 인괘된 가철식 치아교정장치(400)는 인괘 안정성이 향상되어 파손의 위험 없이 모터(210)로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다.
그래서 식사 전에 가철식 치아교정장치(400)를 입에서 빼서 회전부재(300)의 상부 인괘부(333)에 인괘하고 식사 후 다시 착용하기 전에 세척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특히, 몸이 불편한 분들에게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가볍고 휴대성이 좋아, 휴대용 가방에 수납하여 소지하면 야외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는 가철식 치아교정장치(400) 세척단계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2의 가철식 치아교정장치 세척기(50)에서 결합된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30)를 나사식으로 열어 분리한다. 그 후 하부 케이스(130)에 깨끗한 물을 투입한다. 그리고 모터(210) 회전축에 결합된 회전부재(300)에 가철식 치아교정장치(400)를 인괘하고 돌출바(335)에 탄성줄b(340)를 연결한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30)를 나사식으로 다시 결합한다. 뚜껑(140) 상부에 돌출된 스위치(223)를 조작하여 가철식 치아교정장치(400)를 물에서 회전시켜 세척한다. 세척이 끝나면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30)를 분리한 후 하부 케이스(130)에 담긴 물을 버린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30)를 다시 결합한 후 가철식 치아교정장치(400)를 다시 회전시킨다. 그래서 원심력에 의해 가철식 치아교정장치(400) 표면의 물을 제거하면 세척과 건조가 완료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을 부언한다.
50 : 가철식 치아교정장치 세척기 100 : 케이스 몸체
110 : 상부 케이스 111 : 결합홈a
112 : 홀 113 : 흔들림방지부재
114 : 개구 115 : 고정대
116 : 고정대 몸체 117 : 핀
118 : 걸림편 119 : 탄성줄a
130 : 하부 케이스 131 : 결합홈b
140 : 뚜껑 141 : 결합부
142 : 스위치구 200 : 동력장치
210 : 모터 220 : 전원부
221 : 전원부 스위치 223 : 스위치
225 : 태양광 전지 300 : 회전부재
310 : 회전판 311 : 결합구
320 : 봉 330 : 인괘부
331 : 하부 인괘부 333 : 상부 인괘부
335 : 돌출바 340 : 탄성줄b
400 : 가철식 치아교정장치 401 : 철사구멍

Claims (3)

  1. 가철식 치아교정장치가 배치되어 회전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가 내장되고 상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의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 되고 상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의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측을 덮는 원판 형상의 뚜껑; 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케이스는 하면 중심에 홀이 형성되고, 모터가 내장되어 상기 홀에 상기 모터 회전축이 삽입되고, 측벽에 상기 모터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흔들림방지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뚜껑에는 전지가 설치되어 상기 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모터 회전축에 결합 되는 판 형상의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 하측면에서 편심된 일측에 결합되어 하부 방향으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봉과, 상기 봉 하부에 결합 되어 상기 가철식 치아교정장치가 배치되어 걸리는 인괘부로 이루어지는 가철식 치아교정장치 세척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흔들림방지부재는 상기 상부 케이스 측벽에 형성되는 개구와, 상기 개구에 끼워지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와 상기 모터를 연결하는 탄성줄로 이루어지는 가철식 치아교정장치 세척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괘부의 양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탄성줄이 연결되는 돌출바가 형성된 가철식 치아교정장치 세척기.
KR1020130029555A 2013-03-20 2013-03-20 가철식 치아교정장치 세척기 KR101383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555A KR101383095B1 (ko) 2013-03-20 2013-03-20 가철식 치아교정장치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555A KR101383095B1 (ko) 2013-03-20 2013-03-20 가철식 치아교정장치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3095B1 true KR101383095B1 (ko) 2014-04-11

Family

ID=50657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9555A KR101383095B1 (ko) 2013-03-20 2013-03-20 가철식 치아교정장치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30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1944A (ko) 2022-06-28 2024-01-04 박성제 세정액과 자외선 살균을 통한 가철식 치아교정기 세척/살균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1257A (ja) * 1997-11-22 1999-06-08 Dairyu Seiki Kk ブラシを使用した洗浄装置
JPH11197163A (ja) * 1998-01-09 1999-07-27 Tiger Vacuum Bottle Co Ltd 入れ歯洗浄器
JP2003030575A (ja) 2001-07-13 2003-01-31 Nec Soft Ltd データ集計・帳票編集システム、データ集計・帳票編集方法、および、データ集計・帳票編集プログラム
KR100822833B1 (ko) 2007-10-23 2008-04-16 박호원 의치용 세척살균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1257A (ja) * 1997-11-22 1999-06-08 Dairyu Seiki Kk ブラシを使用した洗浄装置
JPH11197163A (ja) * 1998-01-09 1999-07-27 Tiger Vacuum Bottle Co Ltd 入れ歯洗浄器
JP2003030575A (ja) 2001-07-13 2003-01-31 Nec Soft Ltd データ集計・帳票編集システム、データ集計・帳票編集方法、および、データ集計・帳票編集プログラム
KR100822833B1 (ko) 2007-10-23 2008-04-16 박호원 의치용 세척살균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1944A (ko) 2022-06-28 2024-01-04 박성제 세정액과 자외선 살균을 통한 가철식 치아교정기 세척/살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7415A (en) Multi-purpose dental applicator
US5010906A (en) Multi-purpose dental applicator
US9198505B1 (en) Oscillating toothbrush
TWI609677B (zh) 一種牙線裝置
KR101925245B1 (ko) 마우스피스 타입 칫솔
WO2018218602A1 (zh) 口腔清洁套装
JP6511579B1 (ja) 自動歯磨き装置
KR101383095B1 (ko) 가철식 치아교정장치 세척기
WO2008051067A2 (es) Aplicador giratorio de mascara de pestañas
KR101535796B1 (ko) 휴대용 치실장치
CN208301248U (zh) 一种便于存放刷头的环保用牙刷
US10750912B2 (en) Dental hygiene storage device with salt and water dispensers
KR101370479B1 (ko) 원기둥형 칫솔모와 보호캡을 포함하는 전동 칫솔
JP2002153325A (ja) 歯間ブラシ
CN213607086U (zh) 一种牙刷充电座
CN207949718U (zh) 一种干燥牙刷座
KR102286827B1 (ko) 수동식 회전 칫솔
CN212089353U (zh) 一种洗漱杯
CN219021660U (zh) 可移除牙科用具的清洁装置
US20150096587A1 (en) Teeth cleaning device
JP3152894U (ja) 切替式一定方向回転式電動歯ブラシ
JP2007130418A (ja) 歯間ブラシ機能付きフロス糸ブラシ
KR20090022740A (ko) 회동이 가능한 칫솔
TW445141B (en) Dental floss device and dental floss used by the same
CN108402651A (zh) 一种便于存放刷头的环保用牙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