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1457B1 - 3d 올가미 형태의 혈전 제거용 기구 - Google Patents

3d 올가미 형태의 혈전 제거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1457B1
KR102541457B1 KR1020210039211A KR20210039211A KR102541457B1 KR 102541457 B1 KR102541457 B1 KR 102541457B1 KR 1020210039211 A KR1020210039211 A KR 1020210039211A KR 20210039211 A KR20210039211 A KR 20210039211A KR 102541457 B1 KR102541457 B1 KR 102541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are
catheter
bent
thrombus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9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4064A (ko
Inventor
서정화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39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457B1/ko
Publication of KR20220134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4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1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61B17/32056Surgical snare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1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 A61B2017/2212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having a closed distal end, e.g. a loo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중공을 형성한 카테터와, 상기 카테터의 중공에 구비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중공을 따라 이동하는 조정와이어와, 상기 조정와이어의 선단에 어느 한 부분이 연결되고, 상기 조정와이어의 이동으로 상기 카테터의 선단 외부로 출현할 시, 혈관 벽면을 향해 굽혀지면서 고리형태로 전개되는 제1올가미 및 상기 제1올가미의 폭 방향 양측에 연결되고, 상기 조정와이어의 이동으로 상기 카테터의 선단 외부로 출현할 시, 상기 제1올가미의 굽혀진 방향과 대향진 방향으로 굽혀지면서 호상으로 전개되는 제2올가미를 포함하고, 상기 제2올가미는 상기 제1올가미의 굽혀진 방향과 대향진 방향으로 굽혀져, 상기 제2올가미의 타측이 혈관의 내벽면에 지지되어, 혈전을 포획하는 올가미의 폭이 축소됨에 따라 카테터의 중공내부에 수용하기 용이하고, 카테터의 직경을 종래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어, 종래의 혈전 제거 장치가 진입하기 힘든 혈관에도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고, 상기 올가미가 카테터의 선단으로 출현함과 동시에 혈관 벽면을 향해 굽혀지면서 전개되는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혈전을 더욱 용이하게 포획,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올가미가 카테터의 선단을 출입하는 것으로, 상기 올가미의 폭이 선택적으로 축소 및 확장되므로, 혈전 제거 중 혈전을 놓치거나, 혈전이 조각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3D 올가미 형태의 혈전 제거용 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3D 올가미 형태의 혈전 제거용 기구{Device for removing blood clots in the form of a 3D noose}
본 발명은 3D 올가미 형태의 혈전 제거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정와이어 선단에 카테터의 선단을 출입할 시, 자체탄성으로 폭이 축소되거나, 확장되면서 혈관의 벽면을 향해 굽혀지는 올가미를 구비한 3D 올가미 형태의 혈전 제거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혈전제거술(thrombectomy)은 혈관을 막고 있는 혈전을 제거하는 치료 방법으로, 주로 혈전 제거 장치를 혈관 내에 삽입하여 혈관 내벽에 형성된 혈전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치료하고 있다.
혈전 제거 장치는 형태와 매커니즘에 따라 스텐트형과 흡인형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이들 모두 공통적으로 미세관 형태의 카테터(catheter)를 폐색된 혈관에 접근시켜 폐색된 부위를 통과시킨 후 카테터의 후단에 구비된 확장 부재나 흡인형 카테터를 목표 위치에 위치시켜 혈전을 긁어내거나 흡인하는 시술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혈전 제거 장치는 관형의 카테타를 삽입하여, 이를 통해 스텐트나 혹은 흡인형 혈전 제거 장치가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카테타의 접근이 어려운 원위부 혈관이나, 스텐트나 흡인형 혈전제거 기구보다 직경이 작은 혈관, 그리고, 위의 기구들의 접근이 어려운 해부학적 구조에서는 혈전 제거 치료에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20-0024431호(2020.03.09)를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혈전을 포획하는 올가미의 폭을 축소 시켜, 카테터의 중공내부에 수용하기 용이하고, 카테터의 직경을 종래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어, 종래의 혈전 제거 장치가 진입하기 힘든 혈관에도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고, 상기 올가미가 카테터의 선단으로 출현함과 동시에 혈관 벽면을 향해 굽혀지면서 전개되는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혈전을 더욱 용이하게 포획,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올가미가 카테터의 선단을 출입하는 것으로, 상기 올가미의 폭이 선택적으로 축소 및 확장되므로, 혈전 제거 중 혈전을 놓치거나, 혈전이 조각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3D 올가미 형태의 혈전 제거용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3D 올가미 형태의 혈전 제거용 기구는 내부에 중공을 형성한 카테터; 상기 카테터의 중공에 구비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중공을 따라 이동하는 조정와이어; 상기 조정와이어의 선단에 어느 한 부분이 연결되고, 상기 조정와이어의 이동으로 상기 카테터의 선단 외부로 출현할 시, 혈관 벽면을 향해 굽혀지면서 고리형태로 전개되는 제1올가미; 및 상기 제1올가미의 폭 방향 양측에 연결되고, 상기 조정와이어의 이동으로 상기 카테터의 선단 외부로 출현할 시, 상기 제1올가미의 굽혀진 방향과 대향진 방향으로 굽혀지면서 호상으로 전개되는 제2올가미를 포함하고, 상기 제2올가미는 상기 제1올가미의 굽혀진 방향과 대향진 방향으로 굽혀져, 상기 제2올가미의 타측이 혈관의 내벽면에 지지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올가미와, 제2올가미 각각의 선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올가미와 제2올가미가 상기 카테터의 선단 외부로 출현할 시, 상기 제1올가미와 제2올가미의 전방에서 '<'형으로 전개되어, 상기 제1올가미 및 제2올가미 사이로 포획된 혈전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3올가미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3올가미는 상기 제1올가미와 제2올가미의 선단에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D 올가미 형태의 혈전 제거용 기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혈전을 포획하는 올가미의 폭을 축소 시켜, 카테터의 중공내부에 수용하기 용이하고, 카테터의 직경을 종래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어, 종래의 혈전 제거 장치가 진입하기 힘든 혈관에도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다.
상기 올가미가 카테터의 선단으로 출현함과 동시에 혈관 벽면을 향해 굽혀지면서 전개되는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혈전을 더욱 용이하게 포획,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올가미가 카테터의 선단을 출입하는 것으로, 폭이 선택적으로 축소 및 확장되므로, 혈전 제거 중 혈전을 놓치거나, 혈전이 조각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D 올가미 형태의 혈전 제거용 기구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D 올가미 형태의 혈전 제거용 기구의 사용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D 올가미 형태의 혈전 제거용 기구에 제3올가미를 구비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3올가미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혈관 내부로 진입하는 카테터의 길이를 따라 이동하는 하나의 조정와이어 선단에 탄성을 가진 올가미를 구비하고, 상기 올가미가 상기 카테터의 선단 외부로 출현하면, 자체탄성으로 혈관 벽면을 향해 굽혀지면서 환상의 고리형태로 전개되어, 혈관 내부에 존재하는 혈전을 포획하여 제거되도록 한 3D 올가미 형태의 혈전 제거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D 올가미 형태의 혈전 제거용 기구는 카테터(10)와, 조정와이어(20), 제1올가미(31) 및 제2올가미(32)를 포함하는데, 먼저 상기 카테터(10)는 혈관을 따라 진입되도록 통상의 카테터와 같이 길이를 갖고 내부에 중공을 형성한 관체로, 그 직경은 수 um ~ mm를 이룬다.
이때 상기 카테터(10)는 인체에 무해하면서 내구성을 갖으며, 굽힘이 자유롭도록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혈관을 진입할 시, 혈관의 내벽 중 일측 벽면에 근접 밀착되게 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카테터(10)의 중공(11)에는 조정와이어(20)가 내장 구비된다.
상기 조정와이어(2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카테터(10)의 중공(11)을 따라 전, 후로 이동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카테터(10)의 중공(11)을 따라 전진하게 되면, 상기 카테터(10)의 선단 외부로 상기 조정와이어(20)의 선단부가 출현한다.
여기서 역으로 상기 조정와이어(20)를 기준으로 상기 카테터(10)의 전, 후로 이동하여 상기 조정와이어(20)의 선단을 상기 카테터(10)의 선단 외부로 돌출시킬 수도 있다.
상기 조정와이어(20)의 선단부에는 혈전을 포획하는 제1올가미(31) 및 제2올가미(32)를 구비하는데, 먼저 상기 제1올가미(31)는 그 일측이 상기 조정와이어(20)의 선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조정와이어(20)의 이동으로 상기 카테터(10)의 선단 외부로 출현할 시, 해당 각도로 굽혀지면서 환상의 고리형태로 전개된다.
따라서 상기 제1올가미(31)는 탄성을 갖는 와이어로 구비되거나, 일명 스네이크 케이블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올가미(31)가 카테터(10)에 내장될 시, 상기 카테터(10)의 내경에 대응하는 폭으로 올가미의 폭이 축소되어 길이방향으로 길게 내장되고, 상기 조정와이어(20) 및 상기 카테터(10)의 이동으로 상기 카테터(10)의 선단 외부로 상기 올가미(30)가 출현하면, 상기 제1올가미(31)는 자체탄성으로 원래의 제1올가미(31) 형태로 폭이 확장되어, 혈전을 포획할 수 있는 환상의 고리형태로 전개된다.
여기서 상기 제1올가미(31)는 상기 조정와이어(20)의 선단부에 자체탄성에 의해 굽혀지도록 연결되어, 상기 제1올가미(31)의 타측은 혈관 벽(혈관 내벽 중 상기 카테터(10)가 근접하는 벽면과 대향진 혈관의 타측 벽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카테터(10)의 선단 외부로 상기 제1올가미(31)가 출현하면, 상기 제1올가미(31)는 상기 조정와이어(20)의 선단에서 혈관벽을 향해 해당 각도로 굽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올가미(31)는 자체탄성에 의해 혈관 벽을 향해 해당 경사각으로 굽혀지면서 환상의 고리형태로 전개되어, 상기 제1올가미(31)의 전개로 형성된 원형의 올가미 공간으로 혈전을 포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올가미(31)의 폭 방향 양측에는 제2올가미(32)가 연결되는데, 상기 제2올가미(32)는 상기 조정와이어(20)의 이동으로 상기 카테터(10)의 선단 외부로 출현할 시, 상기 제1올가미(31)의 굽혀진 방향과 대향진 방향으로 굽혀지면서 호상으로 전개된다.
이때 상기 제2올가미(32)는 상기 제1올가미(31)의 굽혀진 방향과 대향진 방향으로 굽혀짐에 따라 혈관의 내벽면에 지지되어, 상기 제1올가미(31)가 해당 경사각(굽힘각)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1올가미(31)를 지지하여, 상기 제1올가미(31) 및 제2올가미(32)가 혈전을 용이하게 포획할 수 있도록 공간을 입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어, 혈전을 포획할 시 상기 제1올가미(31) 및 제2올가미(32)가 혈전의 다방면에서 동시에 조임력을 가해 혈전의 파손 없이 포획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올가미(31) 및 제2올가미(32)는 상기 카테터(10)의 중공을 선택적으로 전, 후진하는 상기 조정와이어(20)의 선단과 상기 제1올가미(31)에 구비되어, 상기 카테너(10)의 중공에 내장될 시에는 제1올가미(31) 및 제2올가미(32)의 폭이 상기 카테터(10)의 내경과 대응하는 폭으로 축소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조정와이어(20)의 전진 또는 상기 카테터(10)의 후진으로 상기 카테터(10)의 선단 외부로 상기 제1올가미(31) 및 제2올가미(32)가 출현하면, 상기 제1올가미(31)는 자체탄성으로 혈관 벽(혈관 내벽 중 상기 카테터(10)가 근접하는 벽면과 대향진 혈관의 타측 벽면)을 향해 굽혀지면서 환상의 고리형태로 전개하게 되고, 상기 제2올가미(32)는 상기 제1올가미(31)의 굽혀진 방향과 대향진 방향으로 굽혀짐에 따라 혈관의 내벽면에 지지되어, 상기 제1올가미(31)가 해당 경사각(굽힘각)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1올가미(31)를 지지하여, 입체적인 포획공간이 형성되므로, 혈전을 포획할 시 상기 제1올가미(31) 및 제2올가미(32)가 혈전의 다방면에서 동시에 조임력을 가해 혈전의 파손 없이 포획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조정와이어(20)의 전, 후진 조작으로, 전개된 제1올가미(31) 및 제2올가미(32)의 공간 내부에 혈전이 위치하면, 상기 조정와이어(20)를 카테터(10)의 후방으로 이동시키는데, 이때 상기 제1올가미(31) 및 제2올가미(32)는 상기 카테터(10)의 중공(11)으로 다시 진입하면서 전개된 폭보다 폭이 축소되면서 혈전을 조여, 혈전의 포획이 완료된다.
따라서 상기한 3D 올가미 형태의 혈전 제거용 기구에 의해 일련의 과정으로 혈관에서 혈전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1올가미(31)와, 제2올가미(32) 각각의 선단에는 제3올가미(40)를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제3올가미(40)는 상기 제1올가미(31)와 제2올가미(32)가 상기 카테터(10)의 선단 외부로 출현할 시, 상기 제1올가미(31)와 제2올가미(32)의 전방에서 '<'형으로 전개되어, 혈전을 포획하는 포획공간이 입체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올가미(31)와, 제2올가미(32), 및 제3올가미(40) 사이로 포획된 혈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혈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올가미(40)는 상기 제1올가미(31)와, 제2올가미(32)의 전방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올가미(31)와, 제2올가미(32)의 공간으로 혈전을 포획하면, 상기 제1올가미(31) 및 제2올가미(32)는 상기 카테터(10)의 중공(11)으로 다시 진입할 시, 상기 제1올가미(31)와, 제2올가미(32), 및 제3올가미(40)의 공간에 위치하는 혈전이 포획된 공간에서 이탈하지 못하도록 단속함과 동시에, 혈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올가미(40)는 상기 제1올가미(31)와 제2올가미(32)의 선단에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제3올가미(40)는 서로 직교하게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카테터
11: 중공
20: 조정와이어
31: 제1올가미
32: 제2올가미
40: 제3올가미

Claims (4)

  1. 내부에 중공을 형성한 카테터;
    상기 카테터의 중공에 구비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중공을 따라 이동하는 조정와이어;
    상기 조정와이어의 선단에 어느 한 부분이 연결되고, 상기 조정와이어의 이동으로 상기 카테터의 선단 외부로 출현할 시, 혈관 벽면을 향해 굽혀지면서 고리형태로 전개되는 제1올가미; 및
    상기 제1올가미의 폭 방향 양측에 연결되고, 상기 조정와이어의 이동으로 상기 카테터의 선단 외부로 출현할 시, 상기 제1올가미의 굽혀진 방향과 대향진 방향으로 굽혀지면서 호상으로 전개되는 제2올가미를 포함하고,
    상기 제2올가미는
    상기 제1올가미의 굽혀진 방향과 대향진 방향으로 굽혀져, 상기 제2올가미의 타측이 혈관의 내벽면에 지지되는 3D 올가미 형태의 혈전 제거용 기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올가미와, 제2올가미 각각의 선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올가미와 제2올가미가 상기 카테터의 선단 외부로 출현할 시, 상기 제1올가미와 제2올가미의 전방에서 '<'형으로 전개되어, 상기 제1올가미 및 제2올가미 사이로 포획된 혈전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3올가미를 포함하는 3D 올가미 형태의 혈전 제거용 기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3올가미는
    상기 제1올가미와 제2올가미의 선단에 복수 개로 구비되는 3D 올가미 형태의 혈전 제거용 기구.
KR1020210039211A 2021-03-26 2021-03-26 3d 올가미 형태의 혈전 제거용 기구 KR102541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211A KR102541457B1 (ko) 2021-03-26 2021-03-26 3d 올가미 형태의 혈전 제거용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211A KR102541457B1 (ko) 2021-03-26 2021-03-26 3d 올가미 형태의 혈전 제거용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064A KR20220134064A (ko) 2022-10-05
KR102541457B1 true KR102541457B1 (ko) 2023-06-12

Family

ID=83596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211A KR102541457B1 (ko) 2021-03-26 2021-03-26 3d 올가미 형태의 혈전 제거용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145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6668A (ja) * 2002-06-19 2004-01-22 Terumo Corp 血管内異物除去用ワイヤおよび医療器具
JP2007000365A (ja) * 2005-06-23 2007-01-11 Terumo Corp 血管内異物除去用ワイヤおよび医療器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6668A (ja) * 2002-06-19 2004-01-22 Terumo Corp 血管内異物除去用ワイヤおよび医療器具
JP2007000365A (ja) * 2005-06-23 2007-01-11 Terumo Corp 血管内異物除去用ワイヤおよび医療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064A (ko) 202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2555B2 (en) Retrieval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JP4295264B2 (ja) レーザー耐性医療用回収用具
EP1071375B1 (en) Medical retrieval device with loop basket
JP2001252282A (ja) 内視鏡用異物回収具
US20070255263A1 (en) Lacrimal passage treatment instrument
KR102541457B1 (ko) 3d 올가미 형태의 혈전 제거용 기구
KR102541456B1 (ko) 올가미 형태의 혈전 제거용 기구
KR102125615B1 (ko) 스텐트 시술장치
EP3417817B1 (en) Treatment tool for endoscope
JP2005087398A (ja) バスケット型把持鉗子
KR102188957B1 (ko) 내시경용 바스켓 장치
EP3701887B1 (en) Surgical basket
KR20220095138A (ko) 피브린 풍부 / 무른 혈전 기계식 혈전절제 장치
KR20230082725A (ko) 풍선 가이드 카테터
KR20190012946A (ko) 타석 제거용 카테터
KR102090392B1 (ko)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
JP6829563B2 (ja) バスケット鉗子
JP6197149B1 (ja) 内視鏡用処置具
RU2501529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захвата и удержания камня в литотрипторе со спиралевидными удерживающими элементами
JP2000083964A (ja) 内視鏡用ワイヤループ型処置具
JP3147935B2 (ja) プロステーセス抜去装置
JPH11309217A (ja) 管腔内拡張留置具
JP2005130965A (ja) 内視鏡用スネア
US9370377B2 (en) Extraction device
JP2021527483A (ja) レゼクトスコープに電極を固定するためのアセンブリ支援ツ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