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0418B1 - 차량의 차양용 롤스크린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차양용 롤스크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0418B1
KR102540418B1 KR1020210078038A KR20210078038A KR102540418B1 KR 102540418 B1 KR102540418 B1 KR 102540418B1 KR 1020210078038 A KR1020210078038 A KR 1020210078038A KR 20210078038 A KR20210078038 A KR 20210078038A KR 102540418 B1 KR102540418 B1 KR 102540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r
roll screen
lower drum
supporting por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8382A (ko
Inventor
김원기
Original Assignee
김원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기 filed Critical 김원기
Priority to KR1020210078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418B1/ko
Publication of KR20220168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8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44Draw bars, including elements attached to it, e.g. sliding shoes, gripping elements or pull co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 B60J3/005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for sid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6Windows, e.g. windscre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7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magne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차양용 롤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창문에 설치되는 차양용 롤스크린의 위치를 하부드럼에 구비된 스토퍼하우징을 이용해 간편하게 고정하도록 구성하여 보다 간편하게 롤스크린을 승,하강 이동 및 고정하면서, 상기 스토퍼하우징의 오동작 및 고장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차량의 창틀프레임에 설치되며, 스크린바(11)에 감겨진 롤스크린(12)을 하부드럼(13)을 당겨 펼치거나, 권취수단에 의해 스크린바(11)가 복귀 회전하며 롤스크린(12)이 감겨지게 구성한 차양용 롤스크린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창틀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되는 측면지지바(15)를 따라서 승,하강 이동하며, 하부드럼(13)의 측면에 조립되는 스토퍼하우징(100)에 자석부재를 수납하여 상기 측면지지바(15)에 고정되게 구성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차양용 롤스크린 장치 {Roll screen device for vehicle awning}
본 발명은 차량의 차양용 롤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창문에 설치되는 차양용 롤스크린의 위치를 하부드럼에 구비된 스토퍼하우징을 이용해 간편하게 고정하도록 구성하여 보다 간편하게 롤스크린을 승,하강 이동 및 고정하면서, 상기 스토퍼하우징의 오동작 및 고장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측면 도어창 및 후면창에 설치되어 햇볕을 가려주도록 설치된 롤 블라인드는 창틀프레임의 상단에 설치하여 봉 형상의 스크린바에 감겨진 스크린을 풀어서 커튼처럼 창문을 차양(遮陽; 햇볕을 가림)하도록 하고, 상기 스크린바는 스프링 등이 포함된 권취수단의 잠금을 해제하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을 이용해 역회전하면서 스크린이 자동으로 감겨지면서 올라가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롤 블라인드의 대략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창틀프레임에 설치되는 채널부재의 양단에 브래킷이 장착되되, 일측으로는 주동브래킷을 장착하고 타측으로는 종동브래킷을 장착하여 상기 브래킷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는 스크린바에 스크린이 감겨진 형태로 구성된 주동브래킷의 회전에 따라 스크린바에 감겨진 스크린이 풀어지거나 권취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스크린이 풀어져 도어창을 가린 상태에서는 스크린 하단에 구비된 중량드럼을 창틀프레임의 하단에 더 구비된 고정부재에 부착시키거나 걸어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이 감겨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며 사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선행된 차량의 차양구조는 롤 블라인드의 스크린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부재가 창문틀 하단에 더 구비되어야 하는 불편과 함께 미관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롤 블라인드의 권취수단에 연결된 줄을 당기는 등의 조작으로 잠금장치를 해제하는 구성에서는 상기 줄이 차실내에 노출되어 탑승자에거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05125호 차량용 롤 스크린 장치 (등록일자 2005년 12월 28일)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롤스크린의 측면지지바를 따라서 하부드럼이 가이드 이동되며, 하부드럼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자석부재를 이용해 측면지지바에 간편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측면프레임의 양측에 자석부재가 위치되어 하부드럼을 당기지 않은 상태에서는 롤스크린이 고정되고, 롤스크린을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하부드럼을 밀거나 당겨서 측면지지바와 자석부재를 이격시켜 간편하게 롤스크린을 감거나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창틀프레임에 설치되며, 스크린바(11)에 감겨진 롤스크린(12)을 하부드럼(13)을 당겨 펼치거나, 권취수단에 의해 스크린바(11)가 복귀 회전하며 롤스크린(12)이 감겨지게 구성한 차양용 롤스크린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창틀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되는 측면지지바(15)를 따라서 승,하강 이동하며, 하부드럼(13)의 측면에 조립되는 스토퍼하우징(100)에 자석부재를 수납하여 상기 측면지지바(15)에 고정되게 구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토퍼하우징(100)은, 중앙에 지지바가이드공간(111)을 형성하고, 양측에 격벽(112)으로 구분된 부재끼움홈(113)이 형성된 하우징몸체(110)와; 내부에 자석부재(121)가 수용되는 헤드부(122)가 상기 지지바가이드공간(111)에 위치하고, 상기 헤드부(122)의 일측에 "T" 형상의 레일홈(123)과 분리방지판(124)이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부재끼움홈(113)에 레일홈(123)과 분리방지판(124)이 조립되는 부착부재(120)와;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개구된 측면에 조립되어 부착부재(120)를 고정하는 하우징커버(130)를 포함해 구성된다.
또, 상기 스토퍼하우징(100)은, 중앙에 지지바가이드공간(211)을 형성하고, 양측에 격벽(212)으로 구분된 부재끼움홈(213)이 형성된 하우징몸체(210)와; 상기 하우징몸체(210)의 부재끼움홈(213)에 삽입되는 자석부재(221)와; 상기 하우징몸체(210)의 측면 일측에 일체 형성되어 개구된 지지바가이드공간(211)을 덮으며 타측면에 돌출 형성된 잠김턱(216a)에 잠김홈(216b)이 끼워져 고정되는 하우징덮개(215)를 포함해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스토퍼하우징(100)은, 일측이 개구되어 양측에 받침부(312)가 형성되고 중앙에 지지바가이드공간(311)이 형성된 하우징몸체(310)와; 어느 하나의 받침부(312)에 구비되는 자석부재(321)와; 다른 하나의 받침부(312)에서 지지바가이드공간(311) 방향으로 형성된 가압부재조립홈(313)에 탄성부재(325)를 포함해 삽입되어, 상기 지지바가이드공간(311)에 삽입되는 측면지지바(15)를 자석부재(321) 방향으로 가압하는 밀착부재(326)와; 상기 하우징몸체(310)의 개구된 측면에 조립되어 지지바가이드공간(311)을 차폐하는 하우징커버(330)를 포함해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하우징(100)은, 중앙에 지지바가이드공간(411)이 형성되고, 양측에 받침부(412)가 형성된 하우징몸체(410)와; 어느 하나의 받침부(412)에 구비되는 자석부재(421)와; 다른 하나의 받침부(412)에서 지지바가이드공간(411) 방향으로 형성된 가압부재조립홈(413)에 탄력을 갖게 만곡진 받침다리(426)가 끼워져 조립되고, 만곡진 탄력가압면(425)이 지지바가이드공간(411)내에 위치하는 판스프링(424)을 포함해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스토퍼하우징(100)은, 측면지지바(15)가 전,후 이동 가능한 여유공간(514)을 갖게 지지바가이드공간(511)이 형성되고, , 양측에 제1받침부(512a)와 제2받침부(512b)가 형성된 하우징몸체(510)와; 제1받침부(512a)에 구비되는 자석부재(521)와; 제2받침부(512b)에서 지지바가이드공간(511) 방향으로 형성된 가압부재조립홈(513)에 분리방지판(524)이 조립되며, 상기 분리방지판(524)의 일측에는 지지바가이드공간(511) 내에 위치하여 측면지지바(15)의 외경면을 자석부재(521) 방향으로 고정하는 지지바가이드판(525)이 더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스토퍼하우징(100)은, 측면지지바(15)가 전,후 이동 가능한 여유공간(614)을 갖게 지지바가이드공간(611)이 형성되고, 양측에 제1받침부(612a)와 제2받침부(612b)가 형성된 하우징몸체(610)와; 제1받침부(612a)에 구비되는 자석부재(621)와; 제2받침부(612b)에 형성된 축끼움홈(613)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 하우징몸체(610)의 당김이동으로 여유공간(614)에 위치한 측면지지바(15)가 지지바가이드공간(611) 내에 위치되게 회전하며, 측면지지바(15)의 외경면을 자석부재(621) 방향으로 고정하는 지지바회전판(625)이 더 포함되어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창틀프레임의 양측에 구비된 측면지지바를 따라서 롤스크린의 하부드럼이 안정적으로 가이드 이동되며, 하부드럼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자석부재를 이용해 측면지지바에 하부드럼이 간편하게 고정될 수 있어 조작이 용이하다.
또, 측면지지바의 양측에 위치한 자석부재가 하부드럼을 당기지 않은 상태에서는 측면지지바에 부착되어 롤스크린이 고정되고, 하부드럼을 밀거나 당겨서 롤스크린을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측면지지바와 자석부재가 이격되어 간편하게 롤스크린을 감거나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하부드럼의 양측에 구비되는 스토퍼하우징이 비교적 단순한 부품의 구성으로 제작되어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고, 하부드럼의 조작만으로 롤스크린을 이동시키거나 고정하는 과정에서의 오동작 및 고장발생을 방지해 어린이 및 노약자도 손쉽게 하부드럼을 이동하며 롤스크린을 고정시켜 제품의 편의성과 조작 안전성을 증대시켜 제품 경쟁력을 갖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차량의 차양용 롤스크린 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개략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인 스토퍼하우징의 제 1실시예 내부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인 스토퍼하우징의 제 1실시예 결합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인 스토퍼하우징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인 스토퍼하우징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성인 스토퍼하우징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구성인 스토퍼하우징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구성인 스토퍼하우징의 제 4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구성인 스토퍼하우징의 제 4실시예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구성인 스토퍼하우징의 제 5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구성인 스토퍼하우징의 제 6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구성인 스토퍼하우징의 제7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본 발명인 차량의 차양용 롤스크린 장치는, 차량의 창문에 설치되는 차양용 롤스크린의 위치를 하부드럼에 구비된 스토퍼하우징을 이용해 간편하게 고정하도록 구성하여 보다 간편하게 롤스크린을 승,하강 이동 및 고정하면서, 상기 스토퍼하우징의 오동작 및 고장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차양용 롤스크린 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본 발명은 도 1에서와 같이 자동차, 화물트럭 등의 차량에서 도어 창문프레임이나 후방 창문프레임에 설치되어, 햇볕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차양용 롤스크린 장치(10) 이며, 상기 롤스크린 장치의 구성은 크게 원통형상의 스크린바(11)에 감겨진 롤스크린(12)이 하부드럼(13)에 의해 당겨져 펼쳐지거나, 텐션스프링 등이 포함된 권취수단에 의해 스크린바(11)가 복귀 회전하며 롤스크린(12)이 감겨지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권취수단은 이미 일반적인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내부구성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하며, 상기 하부드럼(13)에 의해 당겨지는 롤스크린에 의해 스크린바(11)가 회전됨에 따라 내부 텐션스프링에 복원탄성력을 갖게 하여 필요에 따라서 스크린바(11)를 역회전시켜 롤스크린(12)을 감겨지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스크린바(11)에는 직물 또는 망사 형태를 갖는 롤스크린(12)이 적용되는데, 상기 롤스크린(12)의 상단이 스크린바(11)에 고정되어 감겨지고, 하단에는 하부드럼(13)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드럼(13)의 전면에 더 구비된 손잡이를 사용자가 파지해 용이하게 스크린바(11)에 감겨진 롤스크린(12)을 펼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롤스크린 장치(10)는, 차량의 도어 창틀프레임 또는 후방 창틀프레임의 양측에 측면지지바(15)가 설치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하부드럼(13)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스토퍼하우징(100)에 상기 측면지지바(15)가 관통되게 조립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측면지지바(15)를 따라서 하부드럼(13)을 포함한 스토퍼하우징(100)이 승,하강 이동하며, 스토퍼하우징(100)의 내부에 수납된 자석부재를 측면지지바(15)에 부착시켜 하부드럼(13)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로서, 상기 스토퍼하우징(100)은 크게 하부드럼(13)의 양측면에 각각 요철조립되며, 측면지지바(15)가 관통삽입되는 하우징몸체(110)와, 상기 하우징몸체(110)에 구비되어 측면지지바(15)에 고정되는 부착부재(120)와, 하우징커버(130)를 포함해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몸체(110)는, 중앙에 지지바가이드공간(111)을 형성하고, 양측에 돌출된 격벽(112)에서 부재끼움홈(113)이 오목한 "T" 형상을 갖고 형성되어, 상기 부재끼움홈(113)에 부착부재(120)가 조립되게 한다.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격벽(112)은, 지지바가이드공간(111)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데, 상호 동일선상에서 격벽(112)이 형성되거나, 도 3에서와 같이 서로 어긋나게 격벽(112)이 돌출 형성시켜, 일측에 여유공간(114)을 각각 구비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그리고, 부착부재(120)는, 내부에 자석부재(121)가 수용되는 헤드부(122)의 일측에 부재끼움홈(113)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T" 형상의 레일홈(123)과 분리방지판(124)이 일체 구비되게 형성시켜, 상기 부재끼움홈(113)에 조립하면서 헤드부(122)는 지지바가이드공간(111)에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부착부재(120)는 연질의 합성수지재, 고무재, 실리콘재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측면지지바(15)의 훼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형성되며, 내부에 자석부재(121)를 인서트 사출하거나 억지끼워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하우징몸체(110)의 개구된 측면에는 평판형상의 하우징커버(130)를 나사 및 고정핀을 이용해 하우징몸체(110)에 조립시켜 지지바가이드공간(111)에 위치한 측면지지바(15)가 수평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토퍼하우징(100)은, 지지바가이드공간(111)에 위치한 측면지지바(15)의 양측에 자석부재(121)가 포함된 헤드부(122)가 부착되어, 사용자가 하부드럼(13)을 잡아 당기는 외력을 가하지 않는다면 부착된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드럼(13)을 자석부재(121)의 자력보다 더 큰 힘으로 당기게 되면 측면지지바(15)를 따라 승강 또는 하강 이동이 가능하여 보다 간편하게 롤스크린(12)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도 3에서와 같이 하우징몸체(110)에서 부착부재(120)가 서로 어긋나게 조립된 상태에서는, 상기 하우징몸체(110)를 회전시켜 측면지지바(15)가 격벽(112)의 일측에 형성된 여유공간(114) 방향으로 위치되게 함으로써, 헤드부(122)와 측면지지바(15)의 부착부위를 최소화한 상태에서 하부드럼(13)을 당기거나 권취수단에 의해 롤스크린(12)이 감겨지도록 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로는,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스토퍼하우징(100)은 중앙에 지지바가이드공간(211)을 형성하고, 양측에 격벽(212)으로 구분된 부재끼움홈(213)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몸체(210)의 부재끼움홈(213)에 자석부재(221)가 직접 삽입된다.
또, 상기 하우징몸체(210)의 측면 일측에는 하우징덮개(215)가 일체 형성되어 개구된 지지바가이드공간(211)을 덮으며 타측면에 돌출 형성된 잠김턱(216a)에 잠김홈(216b)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하우징몸체(210)는, 지지바가이드공간(211)을 마주하는 양측의 격벽(212)에서 부재끼움홈(213)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면서 그 길이방향으로 개구된 바끼움홈(214)이 "T" 형상을 갖게 형성하여, 상기 부재끼움홈(213)에 삽입되는 자석부재(221)의 자력에 측면지지바(15)가 부착되도록 한다.
즉, 상기 부재끼움홈(213)의 마주하는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한 바끼움홈(214)을 통해 부재끼움홈(213) 내에 삽입된 자석부재(221)의 자력이 측면지지바(15)에 전달되어 상기 측면지지바(15)에 스토퍼하우징(100)이 간편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하우징몸체(210)의 일측에서 연장 성형된 하우징덮개(215)를 타측 방향으로 덮어 지지바가이드공간(211)에 위치한 측면지지바(15)가 수평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부재끼움홈(213)의 마주하는 방향으로 바끼움홈(214)을 수직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하여, 측면지지바(15)의 외경면이 상기 바끼움홈(214)에 각각 지지되게 조립함으로써, 측면지지바(15)의 길이방향으로 스토퍼하우징(100)이 안정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게 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로는,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하우징몸체(310)는 중앙에 지지바가이드공간(311)을 형성하고, 양측에 받침부(312)가 형성된 "ㄷ" 형상을 갖으며, 일측에 하우징커버(330)를 조립하여 상기 하우징몸체(210)의 개구된 측면을 차폐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하우징몸체(310)는 어느 하나의 받침부(312)에 자석부재(321)가 인서트 사출성형되며, 다른 하나의 받침부(312)에는 지지바가이드공간(311) 방향으로 형성된 가압부재조립홈(313)에 탄성부재(325)가 포함된 밀착부재(326)를 삽입시켜, 상기 지지바가이드공간(311)에 삽입되는 측면지지바(15)를 밀착부재(326)가 자석부재(321)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측면지지바(15)에 접하는 밀착부재(326)에는 연질의 합성수지재, 고무재, 실리콘재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측면지지바(15)의 훼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헤드부(327)가 더 구비되게 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자석부재(321)가 포함된 받침부(312)에는 바끼움면(315)이 만곡지게 형성되어 측면지지바(15)의 외경면이 상기 바끼움면(315)에 지지되게 조립함으로써, 측면지지바(15)의 길이방향으로 스토퍼하우징(100)이 안정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게 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그리고, 하우징몸체(310)의 개구된 측면에는 평판형상의 하우징커버(330)를 나사 및 고정핀을 이용해 하우징몸체(310)에 조립시켜 지지바가이드공간(311)에 위치한 측면지지바(15)가 수평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로는,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하우징몸체(410)는 중앙에 지지바가이드공간(411)을 형성하고, 양측에 받침부(412)가 형성된 "ㅁ" 형상을 갖는 일체 형상으로 구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하우징몸체(410)는 어느 하나의 받침부(412)에 자석부재(421)가 인서트 사출성형되며, 다른 하나의 받침부(412)에는 지지바가이드공간(411) 방향으로 형성된 가압부재조립홈(413)에 판스프링(424)을 삽입시켜, 상기 지지바가이드공간(411)에 삽입되는 측면지지바(15)를 판스프링(424)이 자석부재(421)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한다.
상기 판스프링(424)은, 도 9에서와 같이 측면지지바(15)의 외경면에 지지되도록 탄력을 갖게 만곡진 탄력가압면(425)이 지지바가이드공간(311) 내에 위치되게 하며, 가압부재조립홈(413)의 내측에 만곡진 받침다리(426)가 끼워져 조립됨으로써, 상기 지지바가이드공간(411)에 위치한 측면지지바(15)를 자석부재(421)가 내장된 타측 받침부(412)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면지지바(15)에 접하는 판스프링(424)에는 연질의 합성수지재, 고무재, 실리콘재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측면지지바(15)의 훼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헤드부(427)가 더 구비되게 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자석부재(421)가 포함된 받침부(412)에는 바끼움면(415)이 만곡지게 형성되어 측면지지바(15)의 외경면이 상기 바끼움면(415)에 지지되게 조립함으로써, 측면지지바(15)의 길이방향으로 스토퍼하우징(100)이 안정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게 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 5실시예로는, 도 10에서와 같이 하우징몸체(510)는 중앙에 지지바가이드공간(511)을 형성하고, 하부드럼(13)과 마주하는 측면방향으로 제1받침부(512a)와 제2받침부(512b)가 배치된 "ㅁ" 형상을 갖는 일체 형상으로 구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하우징몸체(510)는 제1받침부(512a)에 자석부재(521)가 인서트 사출성형되며, 제2받침부(512b)에는 지지바가이드공간(511) 방향으로 형성된 가압부재조립홈(513)에 지지바가이드판(525)을 조립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몸체(510)는, 지지바가이드공간(511)의 일측에 여유공간(514)을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지지바가이드판(525)은, 제2받침부(512b)의 오목한 "T" 형상을 갖고 형성된 가압부재조립홈(513)에 대응하도록 "T" 형상의 레일홈(523)과 분리방지판(524)이 일체 성형되며, 상기 여유공간(514)에 위치하는 가이드곡면판(526)을 더 연장 형성한다.
따라서, 하우징몸체(510)에 지지바가이드판(525)이 조립되는 경우에는 자석부재(521)가 포함된 제1받침부(512a)와 지지바가이드판(525)의 간격이 측면지지바(15)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1mm 이내의 간격을 갖고 있어, 측면지지바(15)를 가압하여 하우징몸체(510)가 이동되어 자석부재(521)가 부착되게 함으로써 스토퍼하우징(100)을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하우징(100)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하우징몸체(510)를 밀어 여유공간(514)내에 측면지지바(15)가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자력 및 지지바가이드판에 의한 외력에 의한 고정이 해제되도록 하여 하부드럼을 간편하게 승,하강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스토퍼하우징(100)을 다시 고정하기 위해서는 하우징몸체(510)를 당겨 여유공간(514)에 위치한 측면지지바(15)가 가이드곡면판(526)에 안내되며 제1받침부(512a)와 지지바가이드판(525) 사이에 위치해 자력 및 외력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자석부재(521)가 포함된 제1받침부(512a)에는 바끼움면(515)이 만곡지게 형성되어 측면지지바(15)의 외경면이 상기 바끼움면(515)에 지지되게 조립함으로써, 스토퍼하우징(100)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 6실시예로는, 도 11에서와 같이 지지바가이드판(525)과 분리방지판(524) 사이에 승하강 가능한 실린더부재(529)를 구비시켜, 상기 지지바가이드판(525)을 지지바가이드공간(511)으로 밀어내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하우징몸체(510)의 여유공간(514)에 위치한 측면지지바(15)는 지지바가이드판(525)의 가이드곡면판(526)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하부드럼을 잡고 용이하게 승,하강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스토퍼하우징(100)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하우징몸체(510)를 당겨 측면지지바(15)가 가이드곡면판(526)을 따라 안내되면서 지지바가이드판(525)을 누르게 되어 실린더부재(529)가 압축되면서 상기 측면지지바(15)에 자력과 상기 실린더부재(529)의 복원력에 의한 외력으로 고정된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바가이드판(525)과 분리방지판(524) 사이에 구비되는 실린더부재(529)의 외측에 스프링을 더 부가하여 지지바가이드판(525)이 측면지지바(15)에 더 고정되게 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 7실시예로는, 도 12 내지 도 13에서와 같이 하우징몸체(610)는 중앙에 지지바가이드공간(611)을 형성하고, 하부드럼(13)과 마주하는 측면방향으로 제1받침부(612a)와 제2받침부(612b)가 배치된 "ㅁ" 형상을 갖는 일체 형상으로 구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하우징몸체(610)는 제1받침부(612a)에 자석부재(621)가 인서트 사출성형되며, 제2받침부(612b)에는 지지바가이드공간(611) 방향으로 축끼움홈(613)이 형성되어, 측면지지바(15)를 고정하는 지지바회전판(625)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지지바회전판(625)은, 지지바가이드공간(611)의 일측에 치우쳐 형성된 축끼움홈(613)에 회전축(624)이 조립되어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이동하며, 일측에 여유공간(614)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곡면판(626)이 다 형성된다.
따라서, 하우징몸체(610)에 지지바회전판(625)이 조립된 상태에서, 여유공간(614)에 위치한 측면지지바(15)는 가이드곡면판(626)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하부드럼을 잡고 용이하게 승,하강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하우징(100)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도 13에서와 같이 하우징몸체(610)를 당겨 측면지지바(15)가 가이드곡면판(626)을 따라 안내되면서 지지바회전판(625)이 회전축(624)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가이드곡면판(626)이 측면지지바(15)의 하부를 받쳐주면서 자석부재(621)의 자력으로 고정된다.
여기에서, 자석부재(621)가 포함된 제1받침부(612a)에는 바끼움면(615)이 만곡지게 형성되어 측면지지바(15)의 외경면이 상기 바끼움면(615)에 지지되게 조립함으로써, 스토퍼하우징(100)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 롤스크린 장치 11. 스크린바
12. 롤스크린 13. 하부드럼
15. 측면지지바 100. 스토퍼하우징
110,210,310,410,510,610. 하우징몸체
111,211,311,411,511,611. 지지바가이드공간
120. 부착부재 121. 자석부재
122. 헤드부 221,321,421,421,621. 자석부재 130,330. 하우징커버 326. 밀착부재
424. 판스프링 525. 지지바가이드판
625. 지지바회전판

Claims (7)

  1. 차량의 창틀프레임에 설치되며, 스크린바(11)에 감겨진 롤스크린(12)을 하부드럼(13)을 당겨 펼치거나, 권취수단에 의해 스크린바(11)가 복귀 회전하며 롤스크린(12)이 감겨지게 구성한 차양용 롤스크린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창틀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되는 측면지지바(15)를 따라서 승,하강 이동하며, 하부드럼(13)의 측면에 조립되는 스토퍼하우징(100)에 자석부재를 수납하여 상기 측면지지바(15)에 고정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스토퍼하우징(100)은,
    중앙에 지지바가이드공간(111)을 형성하고, 양측에 격벽(112)으로 구분된 부재끼움홈(113)이 형성된 하우징몸체(110)와;
    내부에 자석부재(121)가 수용되는 헤드부(122)가 상기 지지바가이드공간(111)에 위치하고, 상기 헤드부(122)의 일측에 "T" 형상의 레일홈(123)과 분리방지판(124)이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부재끼움홈(113)에 레일홈(123)과 분리방지판(124)이 조립되는 부착부재(120)와;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개구된 측면에 조립되어 부착부재(120)를 고정하는 하우징커버(130)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부재(120)는, 연질의 합성수지재, 고무재, 실리콘재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내부에 자석부재(121)를 인서트 사출 또는 억지끼워 구성하고,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격벽(112)은, 지지바가이드공간(111)을 향해 일측 상부 또는 일측 하부에서 서로 어긋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격벽(112)의 하부 또는 상부에 구비된 여유공간(114) 방향으로 하우징몸체(110)를 회전시켜 측면지지바(15)와 헤드부(122)의 부착부위를 최소화해 하부드럼(13)을 당기거나 권취수단에 의해 롤스크린(12)이 감겨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차양용 롤스크린 장치.
  2. 차량의 창틀프레임에 설치되며, 스크린바(11)에 감겨진 롤스크린(12)을 하부드럼(13)을 당겨 펼치거나, 권취수단에 의해 스크린바(11)가 복귀 회전하며 롤스크린(12)이 감겨지게 구성한 차양용 롤스크린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창틀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되는 측면지지바(15)를 따라서 승,하강 이동하며, 하부드럼(13)의 측면에 조립되는 스토퍼하우징(100)에 자석부재를 수납하여 상기 측면지지바(15)에 고정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스토퍼하우징(100)은,
    하부드럼(13)과 마주하는 측면방향으로 제1받침부(512a)와 제2받침부(512b)가 배치된 "ㅁ" 형상을 갖고 형성되어, 내부에 지지바가이드공간(511) 및 상기 지지바가이드공간(511) 보다 더 큰 여유공간(514)이 연통되게 구비된 하우징몸체(510)와;
    상기 하부드럼(13)과 마주하는 제1받침부(512a)의 내측에 인서트 사출되는 자석부재(521)와;
    상기 제2받침부(512b)에서 지지바가이드공간(511) 방향으로 형성된 "T"자 형상의 가압부재조립홈(513)에 분리방지판(524)이 조립되며, 상기 분리방지판(524)의 일측에는 지지바가이드공간(511) 내에 위치하여 측면지지바(15)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1mm 더 넓은 간격을 갖고 제1받침부(512a)에 마주하게 배치된 지지바가이드판(525)이 더 포함되며,
    상기 지지바가이드판(525)과 분리방지판(524) 사이에 승하강 가능한 실린더부재(529))가 더 구비되어 상기 지지바가이드판(525)을 제1받침부(512a) 방향으로 밀어내도록 구성하고,
    상기 지지바가이드판(525)의 일단에는 여유공간(514) 방향으로 연장성형된 가이드곡면판(526)이 상기 지지바가이드판(525) 보다 제2받침부(512b)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하부드럼(13)의 측면에 조립되는 스토퍼하우징(100)의 이동으로 여유공간(514)에 위치한 측면지지바(15)가 가이드곡면판(526)에 안내되며 제1받침부(512a)와 지지바가이드판(525) 사이에 끼워져 외력 및 자력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차양용 롤스크린 장치.
  3. 차량의 창틀프레임에 설치되며, 스크린바(11)에 감겨진 롤스크린(12)을 하부드럼(13)을 당겨 펼치거나, 권취수단에 의해 스크린바(11)가 복귀 회전하며 롤스크린(12)이 감겨지게 구성한 차양용 롤스크린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창틀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되는 측면지지바(15)를 따라서 승,하강 이동하며, 하부드럼(13)의 측면에 조립되는 스토퍼하우징(100)에 자석부재를 수납하여 상기 측면지지바(15)에 고정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스토퍼하우징(100)은,
    하부드럼(13)과 마주하는 측면방향으로 제1받침부(612a)와 제2받침부(612b)가 배치된 "ㅁ" 형상을 갖고 형성되어, 내부에 지지바가이드공간(611) 및 상기 지지바가이드공간(611) 보다 더 큰 여유공간(614)이 연통되게 구비된 하우징몸체(610)와;
    상기 하부드럼(13)과 마주하는 제1받침부(612a)의 내측에 인서트 사출되는 자석부재(621)와;
    상기 제2받침부(612b)에 형성된 축끼움홈(613)에 회전축(624)이 조립되며, 일측에는 지지바가이드공간(611) 내에 위치하여 측면지지바(15)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1mm 더 넓은 간격을 갖고 제1받침부(512a)에 마주하게 배치된 지지바회전판(625)이 더 포함되며,
    상기 지지바회전판(625)의 일단에는 여유공간(614) 방향으로 연장성형된 가이드곡면판(626)이 상기 지지바회전판(625) 보다 제2받침부(612b)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하부드럼(13)의 측면에 조립되는 스토퍼하우징(100)의 이동으로 여유공간(614)에 위치한 측면지지바(15)가 가이드곡면판(626)을 따라 안내되면서 지지바회전판(625)이 회전축(624)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받침부(612a)와 지지바회전판(625) 사이에 측면지지바(15)가 끼워지고, 가이드곡면판(626)이 측면지지바(15)의 하부를 지지하며 자석부재(621)의 자력으로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차양용 롤스크린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078038A 2021-06-16 2021-06-16 차량의 차양용 롤스크린 장치 KR102540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038A KR102540418B1 (ko) 2021-06-16 2021-06-16 차량의 차양용 롤스크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038A KR102540418B1 (ko) 2021-06-16 2021-06-16 차량의 차양용 롤스크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382A KR20220168382A (ko) 2022-12-23
KR102540418B1 true KR102540418B1 (ko) 2023-06-07

Family

ID=84536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038A KR102540418B1 (ko) 2021-06-16 2021-06-16 차량의 차양용 롤스크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41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127Y1 (ko) * 2015-07-30 2016-04-15 우팔용 차량용 차광막
JP2018131874A (ja) * 2017-02-17 2018-08-23 株式会社ニチベイ 遮蔽材の開閉停止機構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9455U (ko) * 1995-12-26 1997-07-24 버스 차량의 선 바이저
KR200405125Y1 (ko) 2005-10-04 2006-01-10 곽재석 차량용 롤 스크린 장치
KR100828600B1 (ko) * 2006-08-21 2008-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선바이저의 시야 확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127Y1 (ko) * 2015-07-30 2016-04-15 우팔용 차량용 차광막
JP2018131874A (ja) * 2017-02-17 2018-08-23 株式会社ニチベイ 遮蔽材の開閉停止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382A (ko) 2022-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7158B2 (en) Side window roll-up shade with cable drive
US7360573B2 (en) Securement insert for a head rail
US4458739A (en) Insulative roll-up shade system
US7918490B2 (en) Drive device for moving a covering element, door modul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drive device
KR101605841B1 (ko) 롤러 블라인드 잠금장치를 구비한 차양 롤러 블라인드
US6047762A (en) Shade control for a vehicle window
JP2008044605A (ja) 窓昇降装置により駆動されるウィンドウシェード
JP4981728B2 (ja) ヒンジ式引張り棒および矩形支持棒付の側面窓ローラブラインド
US20080034667A1 (en) Manual window blind with automatic retraction
JP2016509145A (ja) 多機能収納式窓スクリーン
KR101263895B1 (ko) 스토퍼를 구비한 롤 스크린
EP2236731A2 (en) Covering arrangement for architectural openings
EP0489450B1 (en) A closure for a door or window opening
US4807684A (en) Roll up closet door
JP2020504256A (ja) 窓シェード
KR200389392Y1 (ko) 개폐식 방충망의 핸들 잠금장치
KR102540418B1 (ko) 차량의 차양용 롤스크린 장치
CN220365503U (zh) 一种新型伸缩防护门栏
JPH04140279A (ja) シート状物巻取装置
KR100961741B1 (ko) 롤러 블라인드의 샤프트 록킹 장치
KR20080001437U (ko) 승용차용 차양장치
CN219096458U (zh) 车用双向遮阳帘
KR102477901B1 (ko) 창문용 롤 방충망 장치
JP2504409Y2 (ja) ロ―ルスクリ―ン装置
CN220365502U (zh) 一种新型伸缩门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