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0296B1 -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 - Google Patents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0296B1
KR102540296B1 KR1020230034556A KR20230034556A KR102540296B1 KR 102540296 B1 KR102540296 B1 KR 102540296B1 KR 1020230034556 A KR1020230034556 A KR 1020230034556A KR 20230034556 A KR20230034556 A KR 20230034556A KR 102540296 B1 KR102540296 B1 KR 102540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layer
perforated
absorbing
perforated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4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정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건
Priority to KR1020230034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2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23Tray or frame type panels or block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 E04B2001/8433Tray or frame type panels or block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with holes in their 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57Solid slabs or blocks
    • E04B2001/8461Solid slabs or blocks layer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에 관한 것으로,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은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지는 판재 흡음층, 상기 판재 흡음층의 상면의 일부를 노출하도록 상기 판재 흡음층의 상면 상에 배치되고, 온도 변화에 따라 수축 및 팽창하는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제1 관통홀이 형성된 제1 타공 흡음층, 상기 제1 타공 흡음층의 상면의 일부를 노출하도록 상기 제1 타공 흡음층의 상면 상에 배치되고, 상면으로부터 리세스된 복수의 공명홈, 및 상기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제2 관통홀이 형성된 제2 타공 흡음층, 상기 제1 타공 흡음층의 상면 상에 배치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제2 타공 흡음층의 하면 상에 배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타공 흡음층은 상기 제2 타공 흡음층의 하면의 일부를 노출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2 타공 흡음층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2 타공 흡음층과 상기 두께 방향으로 비중첩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1 타공 흡음층의 제2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타공 흡음층이 노출하는 상기 제2 타공 흡음층의 하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타공 흡음층의 팽창 길이를 제한한다.

Description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RESONANCE-DISSIPATING SOUND ABSORBING PANEL FOR ARCHITECTURE}
본 발명은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에 관한 것으로, 공명식 흡음 방식과 소실형 흡음 방식을 모두 이용하여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소음(음향)을 흡음 및 저감시킴과 동시에, 사용 환경에 따라 흡음하고자 하는 소음(음향)의 주파수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복수의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의 연결 조립 시 연결부에서 빈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흡음 성능 저감을 방지하는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흡음 적층패널은 아파트, 다층주택, 종합복합상가 등의 건축물의 천장면, 바닥면 또는 벽면 등에 설치되어 인접하는 공간으로부터의 소음을 차단 및 흡수함으로써 보다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근래까지 다양한 종류의 흡음 적층패널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흡음 적층패널은 공명식 흡음 방식과 소실형 흡음 방식 중 하나의 흡음 방식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흡음하거나 저감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공명식 흡음 방식과 소실형 흡음 방식을 모두 채택하는 경우에도 소실형 흡음 방식에서 흡음공의 크기가 고정되어 사용 환경에 따라 흡음하고자 하는 소음의 주파수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축물의 큰 면적에 흡음 적층패널을 설치하기 위하여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흡음 적층패널을 제조하고, 복수의 흡음 적층패널을 연결 조립하여 건축물의 내벽에 흡음 적층패널을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흡음 적층패널을 연결 조립하면 결합부(또는 연결부)에서 빈 공간 또는 틈이 발생되어 흡음 성능이 저감되거나 빈 공간에 수분 등이 침투하여 오염이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30831호 등록특허공보 제10-171524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 환경에 따라 공명식 흡음 방식과 소실형 흡음 방식을 모두 이용하여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소음(음향)을 흡음 및 저감시킴과 동시에, 사용 환경에 따라 흡음하고자 하는 소음(음향)의 주파수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복수의 흡음 적층패널의 연결 조립 시 연결부에 빈 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흡음 적층패널을 설계함으로써 복수의 흡음 적층패널의 연결부에서 발생하는 흡음 성능 저감이 방지된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은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지는 판재 흡음층, 상기 판재 흡음층의 상면의 일부를 노출하도록 상기 판재 흡음층의 상면 상에 배치되고, 온도 변화에 따라 수축 및 팽창하는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제1 관통홀이 형성된 제1 타공 흡음층, 상기 제1 타공 흡음층의 상면의 일부를 노출하도록 상기 제1 타공 흡음층의 상면 상에 배치되고, 상면으로부터 리세스된 복수의 공명홈, 및 상기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제2 관통홀이 형성된 제2 타공 흡음층, 상기 제1 타공 흡음층의 상면 상에 배치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제2 타공 흡음층의 하면 상에 배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타공 흡음층은 상기 제2 타공 흡음층의 하면의 일부를 노출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2 타공 흡음층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2 타공 흡음층과 상기 두께 방향으로 비중첩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1 타공 흡음층의 제2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타공 흡음층이 노출하는 상기 제2 타공 흡음층의 하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타공 흡음층의 팽창 길이를 제한한다.
상기 제1 타공 흡음층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타공 흡음층은 온도 변화에 따라 단면상 상기 제1 타공 흡음층의 길이가 변화되어 상기 제1 관통홀과 상기 제2 관통홀의 상기 두께 방향으로의 중첩 정도가 조절되어 흡음하는 음향의 주파수 대역이 변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타공 흡음층의 제1 영역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타공 흡음층의 제2 영역은 상기 제1 타공 흡음층의 제1 영역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타공 흡음층은 상기 스토퍼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타공 흡음층과 적어도 일부 중첩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2 타공 흡음층과 비중첩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단면상 상기 제2 타공 흡음층의 제2 영역의 길이는 상기 제1 타공 흡음층의 제2 영역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판재 흡음층은 상기 제2 타공 흡음층과 상기 두께 방향으로 완전히 중첩되고,
상기 제2 타공 흡음층의 제2 영역, 상기 스토퍼 및 상기 판재 흡음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의 일 측에 결합 설치되는 다른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의 제1 타공 흡음층의 제2 영역이 끼움 결합되는 결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의 타 측에 결합 설치되는 또 다른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의 제2 타공 흡음층의 제2 영역의 하면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1 타공 흡음층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단면이 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이 다공성 구조인 판재 흡음층, 제1 관통홀과 공명홈이 형성된 제1 타공 흡음층, 및 판재 흡음층과 제1 타공 흡음층 사이에 다수의 제2 관통홀을 포함하는 제2 타공 흡음층이 배치된 적층 구조를 가짐으로써, 공명식 흡음 방식과 소실형 흡음 방식을 모두 이용하여 소음을 저감시켜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음향(소음)을 흡음하거나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타공 흡음층이 온도 변화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하는 물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제2 타공 흡음층의 온도를 조절하여 제1 타공 흡음층과 제2 타공 흡음층에 형성된 제1 관통홀과 제2 관통홀의 중첩 정도(예컨대, 두께 방향으로 완전히 중첩, 일부 중첩 또는 비중첩)를 조절하여 외부로부터 판재 흡음층으로 통하는 흡음공의 단면적을 조절하여 판재 흡음층으로 통해 흡음하고자 하는 음향의 주파수를 사용 환경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흡음 적층패널을 연결 조립시 제1 타공 흡음층, 판재 흡음층 및 스토퍼로 구성되는 연결홈에 제1 타공 흡음층의 돌출부(제1 타공 흡음층의 제2 영역)가 완전히 끼움 결합되어 빈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연결부에서의 빈 공간에 의해 흡음 성능이 저감되거나 수분 침투 등으로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흡음 적층패널을 연결 조립시, 제1 흡음 적층패널의 제1 타공 흡음층의 돌출부의 상면 상에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제2 흡음 적층패널의 제2 타공 흡음층과 제1 흡음 적층패널의 제1 타공 흡음층이 상호 연결 및 고정되어 제1 타공 흡음층의 길이가 변하는 경우에도 제1 타공 흡음층의 길이가 일 방향으로만 증감되어 제1 및 제2 관통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조절하기 용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의 적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의 적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2개의 인접한 건축용 흡음 적층페널들이 상호 결합된 모습은 예시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의 적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의 적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은 판재 흡음층(100), 제1 타공 흡음층(200), 제2 타공 흡음층(300), 스토퍼(400), 고정 부재(500), 및 온도조절부재(600)를 포함한다.
판재 흡음층(100)은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지는 층으로서, 외부로부터 후술하는 흡음공을 통해 판재 흡음층(100)으로 입사하는 음향(소음)을 흡음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판재 흡음층(100)은 내부에 공기가 머금어질 수 있는 다공질 형태로 소리를 흡음하는 방식을 통해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재료라면, 부직포와 같은 다공성을 갖는 직물, 유리 섬유, 암면, 펠트, 코르크, 연질 섬유판, 세라믹스 등의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타공 흡음층(200)은 판재 흡음층(100)의 일면(도면에서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타공 흡음층(200)은 판재 흡음층(100)의 상면의 일부를 노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타공 흡음층(200)은 단면상 판재 흡음층(100)의 일 측벽(도면에서 우측벽)과 인접한 상면의 일부는 노출하되, 판재 흡음층(100)의 일 측벽의 반대 측벽인 타 측벽(도면에서 좌측벽)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타공 흡음층(200)의 좌측벽은 판재 흡음층(100)의 좌측벽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정렬되고, 제1 타공 흡음층(200)의 우측벽은 판재 흡음층(100)의 우측벽으로부터 내측에 위치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제1 타공 흡음층(200)은 후술하는 제2 타공 흡음층(300)과 두께 방향(DR3)으로 중첩하는 제1 영역(200A) 및 제2 타공 흡음층(300)과 두께 방향(DR3)으로 비중첩하는 제2 영역(20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타공 흡음층(200)의 제1 영역(200A)은 판재 흡음층(100) 및 제2 타공 흡음층(300)과 두께 방향(DR3)으로 중첩하는 중첩부(200A)로 지칭되고, 제1 타공 흡음층(200)의 제2 영역(200B)은 판재 흡음층(100) 및 제2 타공 흡음층(300)으로부터 타측(도면에서 좌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00B)로 지칭될 수도 있다.
제1 타공 흡음층(200)에는 제1 타공 흡음층(200)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제1 관통홀(HA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타공 흡음층(200)은 온도 변화에 따라 수축 및 팽창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타공 흡음층(200)은 온도 변화에 따라 단면상 길이가 변화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단면상 제1 타공 흡음층(200)은 가열되면 길이가 길어지고 냉각되면 길이가 짧아지는 고체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온도 변화에 따라 제1 타공 흡음층(200)의 길이가 변화되어, 제1 타공 흡음층(200)에 형성된 복수의 제1 관통홀(HA1)의 단면상 위치는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타공 흡음층(200)의 길이가 변화하면 제1 관통홀(HA1)은 제2 타공 흡음층(300)에 형성된 복수의 제2 관통홀(HA2)과 두께 방향으로의 중첩 정도가 변화될 수 있다. 즉, 제1 타공 흡음층(200)은 온도 변화에 따라 길이가 변화되면서 제1 관통홀(HA1)과 제2 관통홀(HA2)의 상대적 배치 관계를 가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 관통홀(HA1)과 제2 관통홀(HA2)은 소음이 판재 흡음층(100)으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는 흡음공을 구성하며, 상기 제1 관통홀(HA1)과 제2 관통홀(HA2)의 중첩 정도에 따라 흡음공의 단면적이 증감되어 판재 흡음층(100)이 흡음하는 소음(음향)의 주파수 대역은 가변될 수 있다.
제2 타공 흡음층(300)은 제1 타공 흡음층(200)의 일면(도면에서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타공 흡음층(300)은 제1 타공 흡음층(200)의 상면의 일부를 노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타공 흡음층(300)은 제1 타공 흡음층(200)의 제2 영역(200B, 또는 돌출부)을 노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타공 흡음층(300)은 판재 흡음층(100)과 두께 방향(DR3)으로 완전히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타공 흡음층(300)이 제1 타공 흡음층(200)의 상면의 일부(즉, 제1 타공 흡음층(200)의 제1 영역)를 노출하되 판재 흡음층(100)과 두께 방향(DR3)으로 완전히 중첩되도록 배치됨에 따라, 제1 타공 흡음층(200)은 제2 타공 흡음층(300)의 하면의 일부를 노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타공 흡음층(200)은 단면상 제2 타공 흡음층(300)의 일 측벽(도면에서 우측벽)과 인접한 하면의 일부는 노출하되, 제2 타공 흡음층(300)의 일 측벽의 반대 측벽인 타 측벽(도면에서 좌측벽)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타공 흡음층(200)의 좌측벽은 제2 타공 흡음층(300)의 좌측벽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정렬되고, 제1 타공 흡음층(200)의 우측벽은 제2 타공 흡음층(300)의 우측벽으로부터 내측에 위치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제2 타공 흡음층(300)은 제2 타공 흡음층(300)의 일면(도면에서 상면)으로부터 리세스된 복수의 공명홈(HM), 및 제2 타공 흡음층(300)의 일면 및 타면(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제2 관통홀(HA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타공 흡음층(300)은 복수의 공명홈(HM)과 복수의 제2 관통홀(HA2)을 통해 소음을 공명 방식으로 흡음 또는 저감하거나 판재 흡음층(100)으로 소음을 유입하여 흡음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타공 흡음층(300)에 형성된 복수의 공명홈(HM)은 소음 중 상기 복수의 공명홈(HM)으로 입사하는 특정 주파수 영역의 소음을 공명시켜 소음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공명홈(HM)은 유입부 및 공명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입부는 소음이 유입되는 통로 구조로서 제2 타공 흡음층(300)의 상면과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유입부는 원통 형상으로 두께 방향(DR3)으로의 양단이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공명홈은 유입부의 개방된 부분과 연결될 수 있다. 공명홈은 내부가 원형 또는 타원형의 구조의 공간을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두께 방향으로 홈의 단면적이 확장되었다가 축소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타공 흡음층(300)의 외부로부터 발생한 소음은 상기 유입부를 통해 공명홈으로 유입되어 공명홈 내에서 공명 효과에 의해 상쇄될 수 있다.
제2 타공 흡음층(300)에 형성된 복수의 제2 관통홀(HA2)은 제1 타공 흡음층(200)의 제1 관통홀(HA1)과의 중첩 정도에 따라 판재 흡음층(100)으로 진행하는 흡음공을 구성하여 소음이 판재 흡음층(100)으로 진행하도록(유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관통홀(HA1)과 제2 관통홀(HA2)의 중첩 정도에 따라 판재 흡음층(100)으로 통하는 흡음공의 단면적은 조절될 수 있고, 흡음공의 단면적에 따라 흡음공을 통해 판재 흡음층(100)으로 유입되는 소음 중 흡음되는 소음의 주파수 영역은 가변될 수 있다.
복수의 공명홈(HM)과 복수의 제1 관통홀(HA1)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공명홈(HM)과 복수의 제1 관통홀(HA1)은 제1 방향(DR1)인 폭 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스토퍼(400)는 제1 타공 흡음층(200)이 노출하는 제2 타공 흡음층(300)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스토퍼(400)는 제2 타공 흡음층(300)의 우측단에 인접한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타공 흡음층(200)은 제2 타공 흡음층(300)의 일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정렬되되, 제2 타공 흡음층(300의 타측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정렬될 수 있고, 스토퍼(400)는 제1 타공 흡음층(200)이 돌출된 측의 반대측인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토퍼(400)는 단면상 제1 타공 흡음층(200)의 제1 영역(200A)의 일측(도면에서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스토퍼(400)는 단면상 제1 타공 흡음층(200)의 제1 영역(200A)의 우측에 배치되어 제1 타공 흡음층(200)의 팽창 길이를 제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고정 부재(500)는 제1 타공 흡음층(200)의 일면(도면에서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 부재(500)는 제1 타공 흡음층(200)의 제2 영역(200B, 즉 돌출부)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고정 부재(500)는 제1 타공 흡음층(200)의 상면 상에서 제1 타공 흡음층(200)의 제1 영역(200A)을 기준으로 단면상 스토퍼(400)가 배치된 일측(도면에서 우측)의 반대측인 타측(도면에서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 부재(500)는 제1 타공 흡음층(200)의 제2 영역(200B)의 상면 상에 배치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 도 4에서 10_2 참조)의 좌측에 결합 설치되는 다른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 도 4에서 10_1 참조)의 제2 타공 흡음층(300)의 하면에 고정 결합되도록 상기 제1 타공 흡음층(200)의 상면으로부터 두께 방향(DR3)으로 돌출되고, 단면이 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고정 부재(500)는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 도 4에서 10_2 참조)과 다른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 도 4에서 10_1 참조)의 연결 조립 시 이들이 상호 연결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나아가, 고정 부재(500)는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 도 4에서 10_2 참조)의 제1 타공 흡음층(200)의 타 단부(도면에서 좌측 단부)와 조립 연결된 다른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 도 4에서 10_1 참조)의 제2 타공 흡음층(300)의 일 단부(도면에서 우측 단부)에 상호 고정시킴으로써, 제1 타공 흡음층(200)이 가열 또는 냉각됨에 따라 길이가 변하는 경우에도, 제1 타공 흡음층(200)이 길이가 도면에서 우측으로만 증감되어 제1 관통홀(HA1)과 제2 관통홀(HA2)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중첩 정도)를 조절하기 용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온도조절부재(600)는 제1 타공 흡음층(20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온도조절부재(600)는 제1 타공 흡음층(200)의 온도를 조절하여 제1 타공 흡음층(200)의 길이를 변화시켜, 흡음시키고자 하는 소음의 주파수 영역에 대응하도록 제1 관통홀(HA1)과 제2 관통홀(HA2) 사이의 상대적인 배치 관계, 즉 두께 방향(DR3)으로의 중첩 정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온도조절부재(600)는 온도 조절을 통해 제1 타공 흡음층(200)의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흡음시키고자 하는 소음의 주파수 영역에 대응하도록 흡음공의 단면적을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 환경에 대응하여 흡음하고자 하는 소음(음향)의 주파수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1 타공 흡음층(200)이 온도조절부재(600)에 의해 온도가 변화함에 따라 제1 타공 흡음층(200)과 접하는 제2 타공 흡음층(300)이 제1 타공 흡음층(200)의 열에너지가 전도되어 함께 길이가 팽창 및 수축되는 경우 제1 관통홀(HA1)과 제2 관통홀(HA2)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조절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제1 타공 흡음층(200)의 열팽창계수는 제2 타공 흡음층(300)의 열팽창계수보다 클 수 있다. 즉, 제2 타공 흡음층(300)의 열팽창계수가 제1 타공 흡음층(200)의 열팽창계수 보다 작은 물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온도가 변화함에도 불구하고 제2 타공 흡음층(300)의 제2 관통홀(HA2)은 고정되고 제1 타공 흡음층(200)의 제1 관통홀(HA1)만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관통홀(HA1)과 제2 관통홀(HA2)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조절하기 용이할 수 있다.
한편, 제1 타공 흡음층(200)은 실내 환경에서 유지되는 15℃ 내지 25℃ 범위에서, 적어도 제2 관통홀(HA2)의 직경의 100% 내지 150%으로 길이가 변화되는 물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1 타공 흡음층(200)이 실내에서 유지되는 온도 범위 이외에서 길이가 변하는 경우, 제1 타공 흡음층(200)의 길이를 증감하기 위해 지나치게 높은 온도로 가열하거나 지나치게 낮은 온도로 냉각시켜 실내 온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제1 타공 흡음층(200)은 실내 환경에서 유지되는 15℃ 내지 25℃ 범위에서, 적어도 제2 관통홀(HA2)의 직경의 100% 내지 150%으로 길이가 변화되는 물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실내 온도 내에서 제1 관통홀(HA1)과 제2 관통홀(HA2)이 서로 중첩되거나, 일부 중첩되거나, 비중첩되도록 위치 관계를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다.
이하, 복수의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을 상호 조립하여 연결 시, 인접하여 상호 연결되는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 사이에 빈 공간에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1 타공 흡음층(200)의 제1 관통홀(HA1)과 제2 타공 흡음층(300)의 제2 관통홀(HA2)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흡음 적층패널의 판재 흡음층(100), 제1 타공 흡음층(200), 제2 타공 흡음층(300), 고정 부재(500) 및 스토퍼(400)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판재 흡음층(100) 및 제2 타공 흡음층(300)은 두께 방향(DR3)으로 완전히 중첩하고, 제1 타공 흡음층(200)은 단면상 판재 흡음층(100) 및 제2 타공 흡음층(300)으로부터 일부 돌출(도면에서 좌측)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타공 흡음층(200)은 중첩부(200A) 및 돌출부(20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타공 흡음층(300)은 일 측벽(도면에서 우측벽)을 따라 형성된 끼움홈(320) 및 타 측벽(도면에서 좌측벽)을 따라 형성된 끼움돌기(3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타공 흡음층(300)의 끼움홈(320) 및 끼움돌기(310)는 복수의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의 상호 조립 시, 인접하여 배치되는 다른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의 제2 타공 흡음층(300)과 끼움 결합됨으로써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 사이의 단차 발생을 방지하고 패널 사이의 결합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제2 타공 흡음층(300)은 단면상 스토퍼(400)를 사이에 두고 제1 타공 흡음층(200)과 적어도 일부 중첩되는 제1 영역(300A) 및 제1 타공 흡음층(200)과 비중첩되는 제2 영역(300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타공 흡음층(300)의 제2 영역(300B)은 스토퍼(400)를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는 영역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타공 흡음층(300)의 제2 영역(300B)은 제2 타공 흡음층(300)의 우측단과 스토퍼(400) 사이의 영역일 수 있다.
판재 흡음층(100)과 제2 타공 흡음층(300)이 두께 방향(DR3)으로 완전히 중첩되고, 제1 타공 흡음층(200)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스토퍼(400)가 제2 타공 흡음층(300)의 제2 영역(300B)이 형성되도록 배치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은 제2 타공 흡음층(300)의 제2 영역(300B), 스토퍼(400), 및 판재 흡음층(100)으로 구성되는 결합홈(D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DA)은 상기 제1 타공 흡음층(200)의 돌출부(200B)가 형성되는 측의 반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DA)은 복수의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의 결합 설치 시 일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의 우측에 결합 설치되는 다른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의 제1 타공 흡음층(200)의 돌출부(200B)가 끼워짐에 따라 상호 체결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단면상 제1 타공 흡음층(200)의 돌출부(200B, 또는 제2 영역)의 길이(d1)는 제2 타공 흡음층(300)의 제2 영역(300B)의 길이(d2)와 동일할 수 있다. 제1 타공 흡음층(200)의 돌출부(200B, 또는 제2 영역)와 제2 타공 흡음층(300)의 제2 영역(300B)의 길이(d1, d2)가 동일하도록 설계됨에 따라, 복수의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의 조립 시 결합홈(DA)에 빈 공간이 없이 제1 타공 흡음층(200)의 돌출부(200B)가 끼워질 수 있다.
한편, 제1 타공 흡음층(200)의 돌출부(200B)에는 제1 관통홀(HA1)에 형성되지 않고, 제2 타공 흡음층(300)의 제2 영역(300B)에는 공명홈(HM)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타공 흡음층(300)의 제2 영역(300B)에 제2 관통홀(HA2)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의 조립 시, 제1 타공 흡음층(200)의 돌출부(200B) 상에 형성된 고정 부재(500)가 상호 조립 연결되는 다른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의 제2 관통홀(HA2)과 중첩되는 경우, 제1 및 제2 타공 흡음층(200, 300)이 상호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타공 흡음층(300)의 제2 영역(300B)에 제2 관통홀(HA2)이 형성되지 않도록 설계함으로써,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의 제조 공정 중 제1 타공 흡음층(200)의 돌출부(200B) 상에서 고정 부재(500)를 배치하는 공정에서, 고정 부재(500)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의 제조 공정 중 상기 고정 부재(500)의 위치를 정밀하게 설계하는 단계가 최소화되어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의 제조 공정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 타공 흡음층(300)의 제2 영역(300B)에 제2 관통홀(HA2)이 형성되지 않도록 설계함으로써, 제1 타공 흡음층(200)의 돌출부(200B)에도 제1 관통홀(HA1)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을 연결 조립 시, 제1 타공 흡음층(200)의 돌출부(200B)와 제2 타공 흡음층(300)의 제2 영역(300B)이 중첩된 영역에서 상호 고정 및 결합만 이루어질 뿐, 복수의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의 연결부에서 제1 및 제2 관통홀(HA1, HA2)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가변 조절이 불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을 조립하여 이용하는 경우에도 흡음하는 소음의 주파수를 가변하기 용이할 수 있다.
이하, 제1 관통홀(HA1)과 제2 관통홀(HA2)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이 흡음하는 소음의 주파수를 가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제1 타공 흡음층(200)이 온도조절부재(600)에 의해 가열되어 최대 길이로 팽창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타공 흡음층(200)이 온도조절부재(600)에 의해 가열되면, 제1 타공 흡음층(200)은 고정 부재(500)가 배치된 좌측의 반대측인 우측으로 길이가 팽창될 수 있다. 제1 타공 흡음층(200)은 스토퍼(400)에 의해 최대 길이가 제한될 수 있고, 제1 타공 흡음층(200)이 최대 길이로 팽창되며 복수의 제1 관통홀(HA1)과 복수의 제2 관통홀(HA2)은 두께 방향(DR3)으로 완전히 중첩할 수 있다.
제1 관통홀(HA1)과 제2 관통홀(HA2)은 소음이 판재 흡음층(100)으로 통할 수 있는 흡음공을 구성할 수 있다. 제1 관통홀(HA1)과 제2 관통홀(HA2)이 완전히 중첩되는 경우, 상기 흡음공의 단면적(유효 면적)은 최대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관통홀(HA1)과 제2 관통홀(HA2)로 구성된 흡음공을 통해 판재 흡음층(100)으로 유입되어 흡음되는 소음의 주파수는 제1 관통홀(HA1) 및 제2 관통홀(HA2)로 구성된 흡음공의 단면적(유효 면적)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음공의 단면적이 증가할수록 저주파수 대역의 소음이 흡음되고, 흡음공의 단면적이 감소할수록 고주파수 대역의 소음이 흡음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타공 흡음층(200)이 최대 길이로 팽창되어 제1 관통홀(HA1)과 제2 관통홀(HA2)이 완전히 중첩되는 경우, 상기 제1 관통홀(HA1)과 제2 관통홀(HA2)로 구성된 흡음공을 통해 판재 흡음층(100)으로 유입되어 흡음되는 소음은 저주파수 대역의 소음일 수 있다.
도 3은 제1 타공 흡음층(200)이 온도조절부재(600)에 의해 냉각되어 수축 또는 팽창되어 제1 관통홀(HA1)과 제2 관통홀(HA2)이 일부 중첩하도록 배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타공 흡음층(200)이 온도조절부재(600)에 의해 수축 또는 팽창되면, 복수의 제1 관통홀(HA1)과 복수의 제2 관통홀(HA2)은 두께 방향(DR3)으로 일부 중첩할 수 있다.
제1 관통홀(HA1)과 제2 관통홀(HA2)이 일부 중첩되는 경우, 상기 제1 관통홀(HA1)과 제2 관통홀(HA2)로 구성된 흡음공의 단면적(유효 단면)은 감소하여 상기 흡음공을 통해 판재 흡음층(100)으로 유입되어 흡음되는 소음은 완전히 중첩되는 경우 대비 고주파수 대역의 소음일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타공 흡음층(200)이 수축되어 복수의 제1 관통홀(HA1)과 복수의 제2 관통홀(HA2)은 두께 방향(DR3)으로 완전히 비중첩할 수 있다. (즉, 어긋날 수 있다.)
제1 관통홀(HA1)과 제2 관통홀(HA2)이 두께 방향으로 비중첩하는 경우, 대체로 제2 타공 흡음층(300)에 의해서 흡음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타공 흡음층(300)으로 진행하는 소음 중 일부 특정 주파수 영역의 소음은 제2 타공 흡음층(300)에 형성된 복수의 공명홈(HM)에 의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제2 타공 흡음층(300)으로 진행하는 소음 중 제2 타공 흡음층(300)에 형성된 제2 관통홀(HA3)의 두께가 A/4(A: 음파의 파장)의 홀수배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갖는 소음은 제2 관통홀(HA2)에 의해 저감될 수 있다. 한편, 제2 관통홀(HA2)은 제1 타공 흡음층(200)의 일면에 의해 커버되어 제2 관통홀(HA2)로 유입된 소음은 판재 흡음층(100)으로 대체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2개의 인접한 건축용 흡음 적층페널들이 상호 결합된 모습은 예시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술한 2개의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_1, 10_2)은 상호 결합되도록 조립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 상, 좌측에 위치한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_1)은 제1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_1), 우측에 위치한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_2)은 제2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_2)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제1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_1)과 제2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_2)은 조립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흡음 적층패널(10_1, 10_2)의 조립 시, 제1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_1)의 결합홈(DA)에 제2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_2)의 제1 타공 흡음층(200_2)의 돌출부(200B_2)가 끼워질 수 있다.
제1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_1)의 결합홈(DA)에 제2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_2)의 제1 타공 흡음층(200_2)의 돌출부(200B_2)가 끼움 결합되는 경우, 제2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_2)의 고정 부재(500_2)는 돌출된 삼각형 단면 형상에 의해, 제1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_1)의 제2 타공 흡음층(300_1)의 제2 영역(300B_1)의 하면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2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_2)의 고정 부재(500_2)에 의해 제1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_1)의 제2 타공 흡음층(300_1)에 제2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_2)의 제1 타공 흡음층(200_2)은 고정될 수 있다. 제1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_1)과 제2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_2)이 조립되는 경우, 제1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_1)의 제2 타공 흡음층(300_1)의 제2 영역(300B_1)과 제2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_2)의 제1 타공 흡음층(200_2)의 돌출부(200B_2)는 두께 방향(DR3)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제1 타공 흡음층(200_2)의 돌출부(200B_2)의 길이(d1, 도 2)는 제2 타공 흡음층(300_2)의 제2 영역(300B_2)의 길이(d2)와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제2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_2)의 제1 타공 흡음층(200_2)의 돌출부(200B_2)는 제1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_1)의 스토퍼(400_1)에 맞닿을 수 있다.
제2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_2)의 제1 타공 흡음층(200_2)의 돌출부(200B_2)는 제1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_1)의 스토퍼(400_1)에 맞닿게 조립되고, 제2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_2)의 고정 부재(500_2)에 의해, 제2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_2)의 제1 타공 흡음층(200_2)이 온도 변화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하는 경우, 일 방향(도면에서 DR2 방향)으로만 증감되어 제2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_2)의 제1 및 제2 관통홀(HA1, HA2) 사이의 위치 관계를 조절하기 용이할 수 있다.
제1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_1)과 제2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_2)이 조립되는 경우, 제1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_1)의 제2 타공 흡음층(300_1)의 제2 영역(300B_1)에 형성된 공명홈(HM)은 제2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_2)의 제1 타공 흡음층(200_2)의 돌출부(200B_2)는 두께 방향(DR3)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1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_1)의 제2 타공 흡음층(300_1)의 제2 영역(300B_1)에 제2 관통홀(HA2)이 아닌 공명홈(HM)이 형성되어 있어, 제2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_2)의 제1 타공 흡음층(200_2)의 돌출부(200B_2) 상에 배치된 고정 부재(500_2)의 위치 설계가 용이하여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10_1, 10_2)의 제조 공정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
100: 판재 흡음층
200: 제1 타공 흡음층
300: 제2 타공 흡음층(300)
400: 스토퍼
500: 고정 부재
600: 온도조절부재
200A: 제1 타공 흡음층의 제1 영역(제1 타공 흡음층의 중첩부)
200B: 제1 타공 흡음층의 제2 영역(제1 타공 흡음층의 돌출부)
300A: 제2 타공 흡음층의 제1 영역
300B: 제2 타공 흡음층의 제2 영역
HA1: 제1 관통홀
HA2: 제2 관통홀
HM: 공명홈
DA: 결합홈

Claims (5)

  1.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지는 판재 흡음층;
    상기 판재 흡음층의 상면의 일부를 노출하도록 상기 판재 흡음층의 상면 상에 배치되고, 온도 변화에 따라 수축 및 팽창하는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제1 관통홀이 형성된 제1 타공 흡음층;
    상기 제1 타공 흡음층의 상면의 일부를 노출하도록 상기 제1 타공 흡음층의 상면 상에 배치되고, 상면으로부터 리세스된 복수의 공명홈, 및 상기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제2 관통홀이 형성된 제2 타공 흡음층;
    상기 제1 타공 흡음층의 상면 상에 배치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제2 타공 흡음층의 하면 상에 배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타공 흡음층은 상기 제2 타공 흡음층의 하면의 일부를 노출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2 타공 흡음층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2 타공 흡음층과 상기 두께 방향으로 비중첩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1 타공 흡음층의 제2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타공 흡음층이 노출하는 상기 제2 타공 흡음층의 하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타공 흡음층의 팽창 길이를 제한하고,
    상기 제1 타공 흡음층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타공 흡음층은 온도 변화에 따라 단면상 상기 제1 타공 흡음층의 길이가 변화되어 상기 제1 관통홀과 상기 제2 관통홀의 상기 두께 방향으로의 중첩 정도가 조절되어 흡음하는 음향의 주파수 대역이 변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타공 흡음층의 제1 영역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타공 흡음층의 제2 영역은 상기 제1 타공 흡음층의 제1 영역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 타공 흡음층은 상기 스토퍼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타공 흡음층과 적어도 일부 중첩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타공 흡음층과 비중첩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단면상 상기 제2 타공 흡음층의 제2 영역의 길이는 상기 제1 타공 흡음층의 제2 영역의 길이와 동일하고,
    상기 판재 흡음층은 상기 제2 타공 흡음층과 상기 두께 방향으로 완전히 중첩되고,
    상기 제2 타공 흡음층의 제2 영역, 상기 스토퍼 및 상기 판재 흡음층으로 구성되며,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의 일 측에 결합 설치되는 다른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의 제1 타공 흡음층의 제2 영역이 끼움 결합되는 결합홈을 더 포함하는,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의 타 측에 결합 설치되는 또 다른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의 제2 타공 흡음층의 제2 영역의 하면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1 타공 흡음층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단면이 삼각형 형상인,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
KR1020230034556A 2023-03-16 2023-03-16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 KR102540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4556A KR102540296B1 (ko) 2023-03-16 2023-03-16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4556A KR102540296B1 (ko) 2023-03-16 2023-03-16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0296B1 true KR102540296B1 (ko) 2023-06-08

Family

ID=86765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4556A KR102540296B1 (ko) 2023-03-16 2023-03-16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29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389B1 (ko) * 2013-11-15 2015-03-05 김재평 능동형 흡음장치
KR101715241B1 (ko) 2015-06-22 2017-03-13 주식회사 레고리스 향음 기능을 갖는 흡음장치
KR101830831B1 (ko) 2017-08-25 2018-02-21 (주)유창 흡음 천장 패널
KR102386430B1 (ko) * 2022-01-17 2022-04-14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건 건축용 단열흡음 적층패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389B1 (ko) * 2013-11-15 2015-03-05 김재평 능동형 흡음장치
KR101715241B1 (ko) 2015-06-22 2017-03-13 주식회사 레고리스 향음 기능을 갖는 흡음장치
KR101830831B1 (ko) 2017-08-25 2018-02-21 (주)유창 흡음 천장 패널
KR102386430B1 (ko) * 2022-01-17 2022-04-14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건 건축용 단열흡음 적층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00945B2 (ja) 帯域幅抑圧を増加した音響構造
US3215225A (en) Laminated acoustic panels with outer metal layers, fibrous core and viscoelastic damping layer
RU2450367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звукопоглощающей панели,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гондолы авиадвигателя
US20190206380A1 (en) Soundproof structure and soundproof system
WO2005106840A1 (ja) 多孔質吸音構造体
JP2008009014A (ja) 多孔質防音構造体
WO2016208507A1 (ja) 防音構造、ルーバーおよびパーティション
KR102540296B1 (ko)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
EP0536078A1 (en) Sound-insulating and heat insulating panel
KR20180056036A (ko) 건축물 층간소음 저감용 방음 패널
KR102562000B1 (ko) 건축용 흡음 적층패널
JP2606534B2 (ja) 低音吸音部材および音響室構造
KR102195355B1 (ko) 가설 방음판
KR100530363B1 (ko) 공조 덕트용 소음기
JPH09228506A (ja) 吸音体
KR101085325B1 (ko) 흡음형 복층 유리
JP6663659B2 (ja) 吸音構造を構成する有孔吸音ボードの貫通孔の寸法設定方法
KR100768520B1 (ko) 방음패널의 시공구조
KR20050105562A (ko) 공명형 덕트 소음기
JPH0740002Y2 (ja) レゾネータ型防音パネル
JP7162863B2 (ja) 吸音構造ユニット
JP3501337B2 (ja) 防音壁
KR101656171B1 (ko)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
JP3690439B2 (ja) 電磁遮蔽ビル
JP2003063844A (ja) 複層ガラ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