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171B1 -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 - Google Patents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6171B1
KR101656171B1 KR1020150008141A KR20150008141A KR101656171B1 KR 101656171 B1 KR101656171 B1 KR 101656171B1 KR 1020150008141 A KR1020150008141 A KR 1020150008141A KR 20150008141 A KR20150008141 A KR 20150008141A KR 101656171 B1 KR101656171 B1 KR 101656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panel
passage
absorbing
perfo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8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8715A (ko
Inventor
이진우
박영효
배재혁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08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171B1/ko
Publication of KR20160088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8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227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screens ; Arrangements of sound-absorbing elements, e.g. baff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47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open cavities, e.g. for covering sunken roads
    • E01F8/0064Perforated plate or mesh, e.g. as wall fa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은: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개의 제1통공부가 형성되는 제1다공패널부와, 제1다공패널부와 대향되게 배치되고, 제1통공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제2통공부가 형성되는 제2다공패널부와, 제1다공패널부와 제2다공패널부의 사이에 결합되고, 제1통공부와 제2통공부를 중심으로 방사형의 공기 통로를 이루는 흡음관부가 형성되는 소음감쇄패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POROUS PANEL FOR REDUCING NOISE}
본 발명은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가 통하는 통기(通氣) 기능과 소음을 감쇄시키는 흡음(吸音)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음(sound insulation)은 공기를 매질로 하는 전파음의 전파를 차단하는 것을 의미하고, 흡음(sound absorption)은 전파음의 반사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방음(sound proof)은 이를 통칭하여 의미한다. 통상 차음재는 실내의 음이 실외로 전달되는 것을 막거나, 실외로부터 소리를 막기 위해 설치되고, 흡음재는 실내 반사음, 내부울림을 개선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러한 흡음, 방음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는, 스펀지, 유리섬유, 암면 등의 다공질 흡음재를 적용하여 음파의 산란, 공기의 점성 저항, 미세 섬유의 진동에 의해 소리 에너지를 소모시키거나, 판진동이 용이한 박막, 필름 등의 판 진동형 흡음재를 설치하고 배후에 공기층을 형성하거나, 구멍을 뚫은 공명형 흡음재의 배후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일종의 헬름홀츠 공명기를 구성하여 공명에 의해 소리 에너지를 소모시키고 있다.
건물, 도로시설 등의 구조물을 구축함에 있어서 보다 다양한 디자인, 기능, 사용자의 요구 등이 제시되고 있으나, 종래의 흡음재, 방음재에 의하면 흡음재, 방음재를 경계로 하여 공기의 원활한 통과가 저해된다는 한계가 있어 그 적용이 한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흡음재, 방음재에 의해 공간부를 상호 독립되게 구획하면서도, 구획된 공간부간의 공기 유동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환기 성능을 확보하고자 경우, 소리의 매질인 공기의 통과는 가능하면서도 소음은 감쇄시키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흡음재, 방음재가 개시되어 않아 그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52719호(2011.07.25. 등록, 발명의 명칭: 탄성력을 갖는 투명 흡음 및 방음체)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의 통과가 가능하면서도 특정 주파수대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는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은: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개의 제1통공부가 형성되는 제1다공패널부; 상기 제1다공패널부와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통공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제2통공부가 형성되는 제2다공패널부; 및 상기 제1다공패널부와 상기 제2다공패널부의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제1통공부와 상기 제2통공부를 중심으로 방사형의 공기 통로를 이루는 흡음관부가 형성되는 소음감쇄패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음관부는, 상기 제1통공부와 상기 제2통공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중앙홀부; 및 상기 중앙홀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중앙홀부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연장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장홀부는, 상기 중앙홀부를 중심으로 복수개가 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음관부는, 상기 제1통공부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1흡음관부; 및 상기 제1통공부와 이웃한 다른 상기 제1통공부에 대응되게 위치되고, 상기 제1흡음관부와 엇갈리게 배치되는 제2흡음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다공패널부와 상기 제2다공패널부 중 적어도 일측은, 상기 소음감쇄패널부와 접하는 일측부상에 상기 흡음관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흡음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음감쇄패널부는, 상기 제1흡음관부가 형성되는 제1소음감쇄패널부; 및 상기 제1흡음관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흡음관부와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사형의 제2흡음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소음감쇄패널부와 함께 상기 제1다공패널부와 상기 제2다공패널부의 사이에 결합되는 제2소음감쇄패널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의 제조방법은: 외부패널부에 통공부를 관통되게 형성하여 다공패널부를 제작하는 단계; 내부패널부에 방사형의 흡음관부를 관통되게 형성하여 소음감쇄패널부를 제작하는 단계; 및 한 쌍의 상기 통공부 사이에 상기 흡음관부가 연통되도록 한 쌍의 상기 다공패널부 사이에 상기 소음감쇄패널부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제1통공부가 형성된 제1다공패널부와 제2통공부가 형성된 제2다공패널부의 사이에 방사형의 흡음관부가 형성된 소음감쇄패널부를 결합하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공기의 통과는 가능하면서도 특정 가청 주파수대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의 소음감쇄패널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 및 그 제조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의 소음감쇄패널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1)은 제1다공패널부(10a), 소음감쇄패널부(20), 제2다공패널부(10b)가 연속하여 겹쳐진 형상을 가진다.
제1다공패널부(10a)는 복수개의 제1통공부(12a)가 규칙적으로 형성된 평판 형상을 가진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다공패널부(10a)는 외부패널부(11)상에 복수개의 제1통공부(12a)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외부패널부(11)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1)의 전면부를 이루는 패널부재이다.
제1통공부(12a)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이루는 부분으로, 외부패널부(11)상에 복수개가 관통되게 형성된다. 복수개의 제1통공부(12a)는 설정 간격을 두고 규칙적으로 배열된다. 예를 들어, 외부패널부(11)는 도 1,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사각 형상을 가지고, 제1통공부(12a)는 외부패널부(11)상 9개가 정간격을 두고 3행3열로 배열될 수 있다.
제2다공패널부(10b)는 제1통공부(12a)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제2통공부(12b)를 구비하여 제1다공패널부(10a)와 대향되게 배치된다. 제2다공패널부(10b)는 제1다공패널부(10a)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소음감쇄패널부(20)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며, 이에 따라 제2다공패널부(10b)의 외부패널부(11)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1)의 배면부를 이룬다.
소음감쇄패널부(20)는 복수개의 흡음관부(22)가 규칙적으로 형성된 평판 형상을 가지고, 제1다공패널부(10a)와 제2다공패널부(10b)의 사이에 밀착되게 결합된다. 도 1,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감쇄패널부(20)는 내부패널부(21)상에 복수개의 흡음관부(22)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내부패널부(21)는 본 발명의 제1실시에에 따른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1)의 중간부를 이루는 패널부재이다. 내부패널부(21)의 일측부는 제1다공패널부(10a)와 접하고, 타측부는 제2다공패널부(10b)와 접한다.
흡음관부(22)는 제1통공부(12a)와 제2통공부(12b)를 중심으로 방사형의 공기 통로를 이루는 부분으로, 내부패널부(21)상에 복수개가 관통되게 형성된다. 복수개의 흡음관부(22)는 복수개의 제1통공부(12a)와 제2통공부(12b)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흡음관부(22)는 중앙홀부(23)와 연장홀부(24)를 포함한다.
중앙홀부(23)는 제1통공부(12a)와 제2통공부(12b)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중앙홀부(23)는 제1통공부(12a), 제2통공부(12b)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1)을 가로지르는 수평 방향으로 연속하여 공기 통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1) 전방의 공기는, 제1통공부(12a), 중앙홀부(23), 제2통공부(12b)를 순차적으로 거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1)의 후방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1) 후방의 공기는 제2통공부(12b), 중앙홀부(23), 제1통공부(12a)를 순차적으로 거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1)의 전방으로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다.
연장홀부(24)는 중앙홀부(23)상의 공기가 중앙홀부(23)로부터 이격되는 반경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통로를 이루는 부분으로, 중앙홀부(23)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장홀부(24)는 설정 길이의 직선 형상을 가지고, 복수개가 중앙홀부(23)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된 구조를 가진다. 연장홀부(24)는 제1통공부(12a), 중앙홀부(23), 제2통공부(12b)가 수평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하는 공기 통로와 수직되는 방향으로의 공기 통로를 연통되게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연장홀부(24)가 중앙홀부(23)의 둘레에 방사형으로 배치됨에 따라, 제1통공부(12a), 중앙홀부(23), 제2통공부(12b)상의 공기를 매질로 하는 음파 중 중앙홀부(23)의 둘레에 도달된 일부는 복수개의 연장홀부(24) 중 일측으로 자연히 유입되고, 연장홀부(24)를 따라 이동되면서 그 에너지가 점차 소모된다.
내부패널부(21)의 두께, 연장홀부(24)의 너비, 길이, 연장 형태, 제1통공부(12a) 및 제2통공부(12b)의 배열 등을 다양하게 적용하는 실험을 거쳐, 가청 주파수 영역 중 특정한 주파수대의 음파를 상기와 같이 연장홀부(24)로 유입시킬 수 있고,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소음의 감쇄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요소를 다르게 조절하여 적용하는 것에 의해 다른 주파수대의 음파 에너지를 타겟으로 하여 소음을 감쇄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장홀부(24)는 중앙홀부(23)를 중심으로 복수개가 정간격을 두고 배치된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상호 이웃한 복수개의 흡음관부(22)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하면, 일측의 흡음관부(22)의 연장홀부(24) 사이로 이웃한 다른 흡음관부(22)의 연장홀부(24)가 연장되는 배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선 형상을 가지는 6개의 연장홀부(24)가 중앙홀부(23)를 중심으로 60°의 상대 각도로 배치된 경우, 상호 이웃한 흡음관부(22)가 상호 30°의 상대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하면, 일측의 흡음관부(22)의 연장홀부(24) 사이로 이웃한 다른 흡음관부(22)의 연장홀부(24)가 연장되는 배치 구조를 규칙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제1흡음관부(22a)와 제2흡음관부(22b)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와 같이 그 방향만 서로 다른 흡음관부(22)를 의미한다. 즉, 제1흡음관부(22a)와 제2흡음관부(22b)는 상호 이웃한 제1통공부(12a)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되, 상호 엇갈리게 배치된다. 이하에서 제1흡음관부(22a)와 제2흡음관부(22b)를 언급함에 있어서는, 제1흡음관부(22a)의 연장홀부(24) 사이로 제2흡음관부(22b)의 연장홀부(24)가 연장되는 상대 각도를 가지는 것을 전제로 하여 설명한다.
제1흡음관부(22a)와 제2흡음관부(22b)를 행방향 및 열방향으로 교대로 배치하면, 제1흡음관부(22a)와 제2흡음관부(22b) 각각을 더 연장된 길이로 형성할 수 있고, 한정된 면적을 가지는 내부패널부(21)상에 흡음관부(22)를 더 조밀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장홀부(24)로 유입된 음파를 보다 원거리까지 이동시키면서 그 에너지를 보다 많이 소모시킬 수 있고, 소음 감쇄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1)은 외부패널부(11)에 통공부(12)를 관통되게 형성하여 다공패널부(10)를 제작하고, 내부패널부(21)에 방사형의 흡음관부(22)를 관통되게 형성하여 소음감쇄패널부(20)를 제작한 후, 한 쌍의 다공패널부(10) 사이에 소음감쇄패널부(20)를 밀착되게 결합하는 간단한 과정을 거쳐 그 제조가 완료될 수 있다.
즉, 패널부재상에 통공부(12)와 흡음관부(22)에 해당되는 서로 다른 형상의 홀을 관통되게 형성하고 상호 접합시키는 간단한 공정을 거쳐 용이하게 그 제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다공패널부(10)의 제1다공패널부(10a)와 제2다공패널부(10b)는 동일한 형상을 가짐에 따라, 대량 생산에 적용함에 있어서 그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1)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1)과 비교해 제1다공패널부(10a)와 제2다공패널부(10b)상에 흡음돌기부(13)가 추가로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흡음돌기부(13)는 제1다공패널부(10a)와 제2다공패널부(10b) 중 소음감쇄패널부(20)와 접하는 일측부상에, 즉 제1다공패널부(10a)의 배면부, 제2다공패널부(10b)의 전면부상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흡음돌기부(13)는 연장홀부(24)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연장홀부(24)로 유입된 음파의 진행을 간섭한다.
이에 따라, 연장홀부(24)로 유입된 음파의 에너지가 동일한 거리만큼 진행됨에 있어서 보다 신속하게 그 에너지가 소모될 수 있고, 소음 감쇄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C-C'선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1)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1)과 비교해 소음감쇄패널부(20)가 제1소음감쇄패널부(20a)와 제2소음감쇄패널부(20b)를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진다.
즉,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소음감쇄패널부(20)는, 제1소음감쇄패널부(20a)와 제2소음감쇄패널부(20b)를 포함한 복수개의 패널부재가 다중으로 겹쳐진 구조를 가진다.
제1소음감쇄패널부(20a)의 일측부상에는 제1흡음관부(22a)가 형성된다. 제2소음감쇄패널부(20b)의 일측부상에는, 즉 제1소음감쇄패널부(20a)의 제1흡음관부(22a)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1흡음관부(22a)와 엇갈리는 상대 각도를 가지는 제2흡음관부(22b)가 형성된다.
소음감쇄패널부(20)의 두께를 증가시킴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상호 엇갈리는 상대 각도를 가지는 제1흡음관부(22a)와 제2흡음관부(22b)를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시키면, 제1흡음관부(22a)가 전 두께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되는 경우와 비교해, 소음감쇄패널부(20)의 강성을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소음감쇄패널부(20)의 일측부에 형성된 중앙홀부(23)를 통과 중인 설정 주파수대의 음파는 제1소음감쇄패널부(20a)에 형성된 제1흡음관부(22a)의 연장홀부(24) 또는 제2소음감쇄패널부(20b)에 형성된 제2흡음관부(22b)의 연장홀부(24) 중 일측으로 유입, 진행되면서 그 에너지가 점차 소모된다.
특히, 제1흡음관부(22a)의 연장홀부(24) 사이로 제2흡음관부(22b)의 연장홀부(24)가 연장되는 상대 각도를 가지는 경우, 보다 구체적으로는 6개의 연장홀부(24)가 중앙홀부(23)를 중심으로 60°의 상대 각도로 배치되고, 제1흡음관부(22a)와 제2흡음관부(22b)가 상호 30°의 상대 각도를 가지고 행방향 및 열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는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소음감쇄패널부(20a)와 제2소음감쇄패널부(20b) 각각에 형성된 제1흡음관부(22a)끼리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고, 제1소음감쇄패널부(20a)와 제2소음감쇄패널부(20b) 각각에 형성된 제2흡음관부(22b)끼리 상호 연통되게 연결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제1소음감쇄패널부(20a)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1흡음관부(22a)와 제2흡음관부(22b), 제2소음감쇄패널부(20b)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1흡음관부(22a)와 제2흡음관부(22b) 전부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음파의 진행 거리가 무한대로 연장되므로 소음 감쇄를 보다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1)은 외부패널부(11)에 통공부(12)를 관통되게 형성하여 다공패널부(10)를 제작하고, 내부패널부(21)에 방사형의 흡음관부(22)를 관통되게 형성하여 소음감쇄패널부(20)를 제작한 후, 한 쌍의 다공패널부(10) 사이에 복수개의 소음감쇄패널부(20)를 밀착되게 결합하는 간단한 과정을 거쳐 그 제조가 완료될 수 있다.
즉, 패널부재상에 통공부(12)와 흡음관부(22)에 해당되는 서로 다른 형상의 홀을 관통되게 형성하고 상호 접합시키는 간단한 공정을 거쳐 용이하게 그 제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다공패널부(10)의 제1다공패널부(10a)와 제2다공패널부(10b)는 동일한 형상을 가짐에 따라, 대량 생산에 적용함에 있어서 그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소음감쇄패널부(20)의 제1소음감쇄패널부(20a)와 제2소음감쇄패널부(20b)는 별도로 제작할 필요 없이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상호 직각되게 적용하는 것에 의해 구분할 수 있어, 대량 생산에 적용함에 있어서 그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1)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제1통공부(12a)가 형성된 제1다공패널부(10a)와 제2통공부(12b)가 형성된 제2다공패널부(10b)의 사이에 방사형의 흡음관부(22)가 형성된 소음감쇄패널부(20)를 결합하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공기의 통과는 가능하면서도 특정 가청 주파수대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 10 : 다공패널부
10a : 제1다공패널부 10b : 제2다공패널부
11 : 외부패널부 12 : 통공부
12a : 제1통공부 12b : 제2통공부
13 : 흡음돌기부 20 : 소음감쇄패널부
20a : 제1소음감쇄패널부 20b : 제2소음감쇄패널부
21 : 내부패널부 22 : 흡음관부
22a : 제1흡음관부 22b : 제2흡음관부
23 : 중앙홀부 24 : 연장홀부

Claims (7)

  1.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개의 제1통공부가 형성되는 제1다공패널부;
    상기 제1다공패널부와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통공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제2통공부가 형성되는 제2다공패널부; 및
    상기 제1다공패널부와 상기 제2다공패널부의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제1통공부와 상기 제2통공부를 중심으로 방사형의 공기 통로를 이루는 흡음관부가 형성되는 소음감쇄패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음관부는,
    상기 제1통공부와 상기 제2통공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중앙홀부; 및
    상기 중앙홀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중앙홀부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연장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홀부는, 상기 중앙홀부를 중심으로 복수개가 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관부는,
    상기 제1통공부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1흡음관부; 및
    상기 제1통공부와 이웃한 다른 상기 제1통공부에 대응되게 위치되고, 상기 제1흡음관부와 엇갈리게 배치되는 제2흡음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다공패널부와 상기 제2다공패널부 중 적어도 일측은,
    상기 소음감쇄패널부와 접하는 일측부상에 상기 흡음관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흡음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감쇄패널부는,
    제1흡음관부가 형성되는 제1소음감쇄패널부; 및
    상기 제1흡음관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흡음관부와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사형의 제2흡음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소음감쇄패널부와 함께 상기 제1다공패널부와 상기 제2다공패널부의 사이에 결합되는 제2소음감쇄패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
  7. 삭제
KR1020150008141A 2015-01-16 2015-01-16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 KR101656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141A KR101656171B1 (ko) 2015-01-16 2015-01-16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141A KR101656171B1 (ko) 2015-01-16 2015-01-16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8715A KR20160088715A (ko) 2016-07-26
KR101656171B1 true KR101656171B1 (ko) 2016-09-08

Family

ID=56680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8141A KR101656171B1 (ko) 2015-01-16 2015-01-16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1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03296A (zh) * 2020-06-16 2021-12-17 中国航发商用航空发动机有限责任公司 航空发动机、声衬、声衬孔板及声衬孔板的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5263A (ja) * 1996-12-18 1998-06-30 Nikki Kogyo Kk 吸音体
JPH10333686A (ja) * 1997-05-28 1998-12-18 Sharp Corp 消音器
KR20110001650A (ko) * 2009-06-30 2011-01-06 이창용 건축용 이중 샌드위치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8715A (ko) 2016-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009014A (ja) 多孔質防音構造体
JP5531343B2 (ja) 間仕切りパネル
US6167985B1 (en) λ/4 absorber with an adjustable band width
JP6478471B2 (ja) 吸音材
CN204303339U (zh) 一种复合吸声结构
CN104464711B (zh) 以吸声材料单元弱弹性级联为周期结构设计层的低频宽带吸声装置
US9818393B2 (en) Acoustically absorbent cell for acoustic panel
KR20180021605A (ko) 파동 전파 속도 조절을 이용한 흡차음 구조물 및 흡차음 구조물의 설계 방법
JP2010007278A (ja) 広帯域吸音構造及び吸音材
CN105788587A (zh) 一种多孔复合吸声结构
KR20180095245A (ko) 무향실용 흡음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무향실
JP2018053708A (ja) 遮音ルーバー
RU171794U1 (ru) Звукопоглощающая панель для шумозащит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KR101656171B1 (ko) 소음 감쇄용 다공성 패널
CN105810186A (zh) 一种复合吸声结构
JP2018537604A (ja) 防音乾式壁パネル
CN208488970U (zh) 局部穿孔板消声单元、组合穿孔板消声单元、复合消声片、复合消声装置和管道系统
KR100555375B1 (ko) 공명형 덕트 소음기
JP2020166122A (ja) 騒音低減構造
JP6663659B2 (ja) 吸音構造を構成する有孔吸音ボードの貫通孔の寸法設定方法
KR20200110950A (ko) 가설 방음판
KR101979378B1 (ko) 스플리터 및 이를 포함하는 소음기
JP6635837B2 (ja) 立坑構造
JP6752654B2 (ja) 消音部材およびこの消音部材を用いた消音構造体
JP6929532B2 (ja) 防音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