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0831B1 - 흡음 천장 패널 - Google Patents

흡음 천장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0831B1
KR101830831B1 KR1020170107877A KR20170107877A KR101830831B1 KR 101830831 B1 KR101830831 B1 KR 101830831B1 KR 1020170107877 A KR1020170107877 A KR 1020170107877A KR 20170107877 A KR20170107877 A KR 20170107877A KR 101830831 B1 KR101830831 B1 KR 101830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base plate
fixing clip
ceiling panel
reso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선
Original Assignee
(주)유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창 filed Critical (주)유창
Priority to KR1020170107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8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6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irregularities on the faces, e.g. holes, groo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1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78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of the tray type
    • E04B9/0485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of the tray type containing a filling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E04B9/26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by means of snap action of elastically deformable elements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Abstract

본 발명은 흡음 천장 패널(10)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플레이트(20)를 구비한 흡음 천장 패널(10)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의 가장자리 단부로부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와 교차하는 일 측 방향으로 연장된 스커트부(30); 상기 스커트부(30)의 연장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일정한 패턴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를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의 관통부(35); 및 상기 복수의 관통부(35)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내부에 흡음을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볼록하게 돌출된 복수의 공명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흡음 천장 패널{Ceiling pannel for reducing sound}
본 발명은 흡음 천장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명 구조를 적용하여 흡음 기능을 가지는 흡음 천장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마감재로는 목재 합판, 석고 보드, 및 합성 수지재, 금속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마감용 패널은 주로 합성 수지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가벼운 금속으로 주로 제작되며, 판상의 기저부와, 기저부의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연장된 측벽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을 갖는 종래의 천장 패널은, 건물의 천장에 설치된 패널 지지부재에 장착된 클립내에 측벽부가 삽입 고정됨으로써 패널 지지부재에 장착된다. 상술한 천장 마감용 패널로 천장을 마감하면, 습기가 천장 마감용 패널에 의해 패널과 천장 사이의 공간내로 침투하지 못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천장 패널은 패널이 설치된 실내에서 발생하는 음성 및 다른 여러 소음을 흡수하지 못하고 대부분 반사시킴으로써 실내의 소음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흡음공이 형성된 천정마감용 패널(특허문헌 1 참조)와 타공을 갖는 흡음 천장 패널(특허문헌 2 참조)이 게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패널은 실내에서 발생하는 음성 등 여러 소음을 흡음패널 본체 또는 패널본체를 통과되게 함으로써 패널과 천장 사이의 공간에서 소음이 분산되도록 하였으나, 패널과 천장 사이의 공간에서 패널로 되돌아오는 소음이 패널의 관통공을 다시 통과하면서 실내공간으로 전달되므로 그다지 만족할 만한 흡음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흡음 천장 패널의 관통부와 공명부 및 스커트부에서 공명에 의하여 흡음구멍을 통과한 소음이 패널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흡음 성능을 높일 수 있는흡음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음 천장 패널은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가장자리 단부로부터 상기 베이스플레이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흡음 천장 패널은 베이스플레이트를 구비한 흡음 천장 패널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가장자리 단부로부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교차하는 일 측 방향으로 연장된 스커트부; 상기 스커트부의 연장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일정한 패턴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의 관통부; 및 상기 복수의 관통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내부에 흡음을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볼록하게 돌출된 복수의 공명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의 상기 관통부(35)와 상기 공명부(40)는 하나의 공명군을 형성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 상에는 상기 복수의 관통부(35)와 상기 복수의 공명부(40)가 설정된 패턴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커트부(30)는 10도 내지 45도의 각도를 이루고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명부(40)는 소음 유입부(42) 및 공명홀(44)을 포함하고,
상기 소음 유입부(42)는 제1 금형을 기반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에 열을 가하여 형성되고, 상기 공명홀(44)은 제2 금형을 기반으로 상기 소음 유입부의 말단에 열을 가하여 형성되되, 상기 제1 금형은 원통형 홀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 구조이고, 상기 제2 금형은 원통형 홀의 말단에 구형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커트부(30)는 걸림부(60) 및 보조 걸림부(65)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60)는 상기 스커트부(30)의 내주면 방향으로 제1 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홈은 고정클립(74)과 2차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흡음 천장 패널(10)의 이탈을 방지하고,상기 보조 걸림부(65)는 상기 스커트부(30)의 내주면 방향으로 제2 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홈은 상기 고정클립(74)과 1차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흡음 천장 패널(10)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제2 홈은 상기 고정클립(74)과 결합시 상기 고정 클립(74)과 우선적으로 접촉되는 상부의 둥글림 구조 및 상기 고정클립(74)과 결합 후 상기 고정 클립과 만나서 상기 흡음 천장패널(10)의 이탈을 방지하는 하부 사각형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커트부(30)는 걸림부(60) 및 보조 걸림부(65)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60)는 상기 스커트부(30)의 내주면 방향으로 제1 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홈은 고정클립(74)과 2차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흡음 천장 패널(10)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제1 홈은 2개의 사면체 형상의 하부 면이 마주보는 형상으로 구현되고, 상기 2개의 사면체 형상의 하부 면이 마주보는 형상의 모서리가 상기 고정클립(74)과 접촉하여 상기 흡음 천장 패널(10)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보조 걸림부(65)는 상기 스커트부(30)의 내주면 방향으로 제2 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홈은 상기 고정클립(74)과 1차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흡음 천장 패널(10)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제2 홈은 상기 고정클립(74)과 결합시 상기 고정 클립(74)과 우선적으로 접촉되는 상부의 둥글림 구조 및 상기 고정클립(74)과 결합 후 상기 고정 클립과 만나서 상기 흡음 천장패널(10)의 이탈을 방지하는 하부 사각형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커트부(30)는 걸림부(60) 및 결합부(85, 87)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60)는 상기 스커트부(30)의 내주면 방향으로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은 고정클립(74)과 2차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흡음 천장 패널(10)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결합부는 볼록 구조 결합부 또는 오목 구조 결합부이고, 상기 볼록 구조 결합부는 다른 흡음 천장 패널의 오목 구조 결합부와 상기 고정 클립 내부에서 결합되고, 상기 오목 구조 결합부는 다른 흡음 천장 패널의 볼록 구조 결합부와 상기 고정 클립 내부에서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흡음 천장 패널은 관통부 및 공명부를 통해 넓은 주파수 영역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특히, 공명부를 구비함으로써 중 주파수 영역 대의 소음이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공명부에 형성된 흡음슬릿을 통과한 소음이 재차 통과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흡음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공명부가 베이스플레이트의 표면에 불규칙적인 형상의 요철구조를 형성하므로 공명부와 함께 베이스플레이트의 내주면 측의 공간에서 전달되는 소음을 표면상에서 난반사되게 하여 베이스플레이트의 외측면 측에 위치하는 공간으로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음 천장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음 천장 패널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음 천장 패널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음 천장 패널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음 천장 패널의 걸림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음 천장 패널의 걸림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음 천장 패널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가 결합핀을 기반으로 결합되는 흡음 천장 패널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흡음 천장 패널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래의 설명에서, 동일한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함으로써 설명상의 번잡함을 피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음 천장 패널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음 천장 패널(10)은 베이스 플레이트(20), 스커트부(30)로 형성되고, 베이스 플레이트(20)에는 복수의 관통부(35) 및 복수의 공명부(40)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스커트부(30)에는 고정클립과 결합되는 복수의 걸림부(60)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플레이트(20)를 구비한 흡음 천장 패널(10)은 베이스플레이트(20)의 가장자리 단부로부터 베이스플레이트(20)와 교차하는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스커트부(30), 스커트부(30)의 연장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일정한 패턴으로 베이스플레이트(20)를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의 관통부(35), 복수의 관통부(35)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내부에 흡음을 위한 오목홈 형태의 공간부를 가지면서 볼록하게 돌출된 복수의 공명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베이스플레이트(20)에는 베이스플레이트(20)의 일면(이하, 외주면이라 함)으로부터 이와 대응되는 타면(이하, 내주면이라 함)을 향해 즉, 스커트부(30)의 연장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부(35)와 오목홈이 형성된 복수의 공명부(40)들이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플레이트(20)는 다양한 형상(정사각형 또는 정육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되, 베이스플레이트(20)가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되더라도 본 발명에서 개시된 관통부(35)와 공명부(40)의 개수에 대한 최적 비율은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음 천장 패널에서는 관통부(35)와 공명부(40)이 다양한 패턴으로 위치할 수 있되, 특히,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관통부(35)와 공명부(40)의 개수의 비율이 1:1일 수 있다. 1:1 비율로 관통부(35)와 공명부(40)가 형성되는 경우, 소음 신호의 전 주파수 영역에서 가장 좋은 흡음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통부(35)는 높은 주파수 영역 1k~10kHz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소음에 대한 흡음율이 뛰어나고, 공명부(40)는 상대적으로 낮은 100~1kHz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소음에 대한 흡음율이 뛰어나다. 따라서, 관통부(35)와 공명부(40)는 1:1의 비율로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되어 100~10kHz 주파수 영역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음 천장 패널은 기존의 관통부(350)만을 포함하는 흡음 천장보다 넓은 주파수 영역의 소음에 대해 보다 높은 흡음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스커트부(30)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부(60)은 고정클립과 결합되어 흡음 천장 패널이 천장에서 이탈하지 않고 위치하기 위한 구조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음 천장 패널의 걸림부(60)은 고정클립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걸림부(60)의 구조 및 고정 클립과의 결합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음 천장 패널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베이스플레이트(20)는 인접하는 두 변의 길이가 서로 다른 직사각형 형상의 평판으로, 경량성을 갖는 금속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20)의 내주면에는 흡음을 위한 부직포와 같이 다공성을 갖는 직물이나 시트 형태의 추가적인 흡음을 위한 흡음 부재가 더 부착될 수 있다. 흡음부재는 관통부(35)와 공명부(40)가 위치한 영역을 제외하고, 베이스 플레이트(20)의 내주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흡음부재는 관통부(35)가 위치한 홀 영역만을 제외하고, 베이스 플레이트(20)의 내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흡음 부재는 공명부(40)가 위치한 영역 상에서 공명부(40)의 형상을 고려하여 공명부(40)의 외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흡음 부재는 공명부(40)의 형상을 고려하여 돌출된 형태로 구현되어 베이스플레이트(20)의 내주면에 부착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20)의 내주면을 참조하면, 관통부(35)는 스커트부(30)의 연장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베이스플레이트(20)에 관통되어 단면이 원형인 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공명부(40)는 내부에는 하부에서 상부로 연장될수록 홈의 단면적이 축소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공명부(40)의 내부는 원형인 오목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오목한 공간 상에서 소음의 공명이 발생되고, 기존의 흡음 천장 패널보다 100~1kHz의 주파수 영역의 소음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공명부(4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는 다른 형상으로 구현된 공명부(40)가 개시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음 천장 패널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공명부(40) 상의 상단 부분에 공명을 위한 공명 홀이 구현될 수 있다.
공명부(40)는 소음 유입부(42) 및 공명홀(44)을 포함할 수 있다. 소음 유입부(42)는 소음이 유입되는 통로 구조로서 베이스플레이트(20)의 내주면과 연결되어 생성될 수 있다. 소음 유입부(42)는 하부에서 상부로 연장될수록 홈의 단면적의 크기 변화가 임계 범위 내로 변경되는 원통 형상의 구조일 수 있다. 공명홀(44)는 소음 유입부(42)와 연결되어 구현되되, 내부가 원형 또는 타원형 구조의 공간을 가지면서 소음의 공명이 공명홀(44) 내에서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명홀(44)은 하부에서 상부로 연장될수록 홈의 단면적이 확장되었다가 축소되어 내부가 타원형(또는 원형)인 구형 형상일 수 있다.
공명부(40)는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구현될 수 있다.
공명부(40)의 소음 유입부(42) 및 공명홀(44)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열을 가한 베이스플레이트(20)에 소음 유입부(42)를 형성하기 위한 금형을 통해 압력을 가하는 정도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20)에 외주면과 내주면의 공간의 소음이 이동되는 소음 유입부(42)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후, 소음 유입부(42)의 형성 이후, 공명홀(40)의 형성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 형상의 금형을 이용하여 소음 유입부(42)의 상단에 공간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소음 유입부(42)의 상단에 공명홀(44)이 구현될 수 있다. 또는 공명홀(44)의 구현을 위해 소음 유입부의 말단에 열을 가하면서 구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이러한 열팽창 효과를 기반으로 공명홀(44)의 공간을 형성하는 동시에 공명홀(44)의 하단은 냉각하는 방식으로 하단부의 열팽창은 막아서 구형 공간이 공명홀(44)로서 생성될 수 있다.
소음 유입부(42)는 제1 금형을 기반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에 열을 가하여 형성되고, 공명홀(44)은 제2 금형을 기반으로 상기 소음 유입부의 말단에 열을 가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금형은 원통형 홀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 구조이고, 제2 금형은 원통형 홀의 말단에 구형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 구조일 수 있다.
공명부(40)는 베이스플레이트(20)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을 향하여 돔 형상으로 인입되어 있으므로, 베이스플레이트(20)의 외주면 측의 공간으로부터 베이스플레이트(20)를 향해 전달되는 소음을 공명의 원리에 의하여 상쇄되게 할 수 있어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서 개시된 공명부(40)는 베이스플레이트(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고, 베이스플레이트(20)의 폭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공명부(40)는 베이스플레이트(20)의 하나의 라인에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부(35)와, 복수의 관통부(35)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이격되어 위치한 복수의 공명부(40)가 하나의 공명군을 형성하며, 베이스플레이트(20) 상에는 복수의 공명군들이 패턴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공명부(40)는 베이스플레이트(20)의 길이 방향이나 폭 방향을 따라 관통부(35)와 공명부(40)가 교호적으로 나타나도록 배치되어 있다. 관통부(35)와 공명부(40)는 방사상에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공명부(40)는 돌출방향과 대응하는 내주면 방향으로 융기될 수 있고, 베이스플레이트(20)의 표면에 불규칙적인 형상의 요철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공명부(40)는 베이스플레이트(20)의 표면에 불규칙적인 형상의 요철구조를 형성하므로 공명부(40)와 함께 베이스플레이트(20)의 내주면 측의 공간에서 전달되는 소음을 표면상에서 난반사되게 하여 베이스플레이트(20)의 외측면 측에 위치하는 공간으로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음 천장 패널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에서는 경사진 스커트부(30‘)와 고정클립의 결합을 기반으로 흡음 천장 패널에 형성된 추가적인 소음 방지 구조가 개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흡음 천장 패널(10)은 스커트부(30) 대신 경사진 스커트부(30')로 구현될 수 있다. 경사진 스커트부(30‘)는 스커트부(30)와 베이스플레이트(20)가 접하는 부분에 경사를 주어서 추가적인 소음 방지를 위한 소음 흡수 홈 구조(55)가 형성될 수 있다. 경사진 스커트부(30‘)는 베이스플레이트(20)를 기준으로 10도 내지 45도의 각도를 이루고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개의 흡음 천장 패널이 고정클립(74)에 결합되는 경우, 2개의 흡음 천장 패널 각각의 경사진 스커트부(30‘)가 추가적인 소음 방지를 위한 소음 흡수 홈 구조(55)를 형성할 수 있다. 소음 흡수 홈 구조(55)는 홈으로 유입되는 소음에 대한 난반사를 통해 소음이 반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음 천장 패널은 베이스플레이트(20) 상에 형성된 관통부(35), 공명부(40) 및 경사진 스커트부(30‘)에 형성된 추가 소음 방지구조(55)를 기반으로 흡음 천장 패널 상의 3개 영역 상에서 소음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흡음 천장 패널(10)의 시공시, 흡음 천장 패널(10)의 걸림부(60)가 앵커(80)에 연결된 고정클립(74)에 걸리게 된다. 흡음 천장 패널(10)의 스커트부(30) 또는 경사진 스커트부(30‘)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부(60)는 고정클립(74)과 결합되어 흡음 천장 패널이 천장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이다. 흡음 천장 패널(10)은 걸림부(60)를 통해 고정클립(74)에 걸려서 천장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흡음 천장 패널의 걸림부(60)는 다양한 구조 및 형상으로 구현되어 고정 클립(74)과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고, 고정 클립(74)과의 결합력의 향상으로 인해 지진과 같은 외부 충격이 발생한 경우, 흡음 천장 패널이 천장에서 지면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음 천장 패널의 걸림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의 상단은 스커트부의 내주면(즉, 안쪽)에서 바라본 걸림부(60) 및 보조 걸림부(65)의 구조이고, 도 7의 하단은 스커트부의 외주면(즉, 바깥쪽)에서 바라본 걸림부(60) 및 보조 걸림부(65)의 구조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걸림부(60)와 보조 걸림부(65)는 스커트부의 내주면 방향으로 파인 홈의 형태로 구현되고 걸림부(60)와 보조 걸림부(65)를 기반으로 흡음 천장 패널(10)과 고정클립(74)과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걸림부(60)는 스커트부(30)의 내주면 방향으로 제1 홈을 형성하고, 제1 홈은 고정클립(74)과 2차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흡음 천장 패널(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보조 걸림부(65)는 스커트부(30)의 내주면 방향으로 제2 홈을 형성하고, 제2 홈은 상기 고정클립(74)과 1차적으로 결합되어 흡음 천장 패널(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보조 걸림부(65)는 원통형 구조를 윗면에서 1/4로 자른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고정클립(74)과 흡음 천장 패널(10)의 결합을 위해 압력을 가하는 경우, 고정클립(74)과 보조 걸림부(65)의 둥근 구조가 먼저 접촉되어 걸림 없이 용이하게 고정클립(74) 내부로 흡음 천장 패널이 삽입될 수 있다. 반면, 흡음 천장 패널(10)이 고정클립(74)으로 삽입된 이후에는 보조 걸림부(65)의 하부에 형성된 사각형 단면이 고정클립(74)의 내부 공간에 걸리게 된다. 즉, 보조 걸림부(60)에 형성된 하부의 사각형 단면이 1차적으로 흡음 천장 패널(10)의 고정클립(74)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보조 걸림부(65)의 하단의 사각형의 각을 가지는 넓은 단면 구조를 기반으로 보다 강건하게 흡음 천장 패널(10)이 고정클립(74)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각형 단면이 고정클립(74)의 내부 공간에 걸리는 경우, 흡음 천장 패널(10)의 이탈을 위해서는 고정클립(74)이 사각형 단면만큼 벌어져야 하므로 보다 강건하게 고정클립(74)을 기반으로 흡음 천장 패널(10)이 고정될 수 있다.
걸림부(60)는 스커트부(30)의 내주면으로 홈 구조를 형성하고, 2차적으로 흡음 천장 패널(10)이 고정클립(7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고정클립(74)에 걸림부(60)와 보조 걸림부(65)가 결합된 단면 구조가 개시된다.
도 8을 참조하면, 1차적으로 보조 걸림부(65)의 하단에 형성된 사각형의 단면 구조가 고정클립(74)의 내부에 위치하여 1차적으로 흡음 천장 패널의 이탈을 방지하고, 2차적으로 걸림부(60)가 흡음 천장 패널의 고정클립(74)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부(60)를 기반으로 한 1차 이탈 방지 구조 및 보조 걸림부(65)를 기반으로 한 2차 이탈 방지 구조를 기반으로 흡음 천장 패널의 고정클립(74)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음 천장 패널의 걸림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의 상단은 스커트부(30)의 내주면(즉, 안쪽)에서 바라본 걸림부(60) 및 보조 걸림부(65)의 구조이고, 도 9의 하단은 스커트부(30)의 외주면(즉, 바깥쪽)에서 바라본 걸림부(60) 및 보조 걸림부(65)의 구조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걸림부(60)와 보조 걸림부(65)는 스커트부(30)의 내주면 방향으로 파인 홈의 형태로 구현되고 걸림부(60)와 보조 걸림부(65)를 기반으로 흡음 천장 패널(10)과 고정클립(74)과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보조 걸림부(65)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보조 걸림부(65)는 원통형 구조를 윗면에서 1/4로 자른 형상으로서 고정클립(74)과 결합을 위해 압력을 가하는 경우, 고정클립(74)과 보조 걸림부(65)의 둥근 구조가 먼저 접촉되어 걸림 없이 용이하게 고정 클립 내부로 흡음 천장 패널(10)이 삽입될 수 있다. 반면, 흡음 천장 패널(10)이 고정클립(74)으로 삽입된 이후에는 보조 걸림부(65)의 하부에 형성된 사각형 단면이 고정클립(74)의 내부 공간에 걸림으로써 보다 강건하게 흡음 천장 패널(10)이 고정클립(74)를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걸림부(60)는 각을 가진 2개의 사면체의 결합 구조로 형성되어 흡음 천장 패널(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걸림부(60)는 2개의 사면체 형상의 하부 면이 마주보는 형상으로 구현되고, 2개의 사면체 형상의 하부 면이 마주보는 형상의 모서리가 고정클립(74)과 접촉하여 흡음 천장 패널(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구제적으로 걸림부(60)는 2개의 사면체 구조(60-1, 60-2)가 연결된 구조일 수 있다. 제1 사면체 구조(60-1) 및 제2 사면체 구조(60-2)가 걸림부를 형성하는 경우, 제1 사면체 구조(60-1) 및 제2 사면체 구조(60-1)을 구성하는 각 면의 모서리 또는 면 중 스커트부(30)의 내주면으로 가장 높이 솟아있는 부분이 각을 형성하면서 고정클립(74)과 걸릴 수 있다. 또한, 스커트부(30)의 내주면으로 가장 높이 솟아있는 부분을 기준으로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아지되, 사면체 구조의 모서리 부분을 기반으로 형성된 추가적인 걸림 구조가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됨으로써 각이 존재하는 홈의 형상으로 고정 클립(74)과 걸립부(60)가 더욱 강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걸림부(60)는 스커트부의 내주면으로 홈 구조를 형성하고, 2차적으로 흡음 천장 패널이 고정클립(7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고정클립(74)에 걸림부(60)와 보조 걸림부(65)가 결합된 단면 구조가 개시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1차적으로 보조 걸림부(65)의 하단에 형성된 사각형의 단면 구조가 고정클립(74)의 내부에 위치하여 1차적으로 흡음 천장 패널의 이탈을 방지하고, 2차적으로 걸림부(60)가 흡음 천장 패널의 고정클립(74)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걸림부(60)는 두 개의 사면체 구조로 형성되어 높이 형성된 면 또는 모서리가 고정클립(74)에 각을 형성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4면체의 높이가 변하면서 추가적인 걸림 구조가 스커트부(30)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구현되어 사면체의 모서리부와 고정 클립(74)과 걸립부(60)가 더욱 강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부(60)를 기반으로 한 1차 이탈 방지 구조 및 보조 걸림부(65)를 기반으로 한 2차 이탈 방지 구조를 기반으로 흡음 천장 패널의 고정클립(74)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음 천장 패널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에서는 흡음 천장 패널에 형성된 걸림부 및 암수 구조를 기반으로 흡음 천장 패널을 고정클립(74)에 결합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스커트부(30)에 걸림부(60)뿐만 아니라 결합부(85, 87)가 구현되어 고정클립(74)과 흡음 천장 패널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결합부는 암수 구조로 형성되어 고정클립(74) 내부 또는 외부에서 결합되어 흡음 천장 패널이 천장에 보다 강건하게 결합되도록 도와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흡음 천장 패널(10)에는 볼록 구조 결합부(87)가 형성되고, 제2 흡음 천장 패널(10)에는 오목 구조 결합부(85)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흡음 천장 패널(10)에는 볼록 구조 결합부(87)와 제2 흡음 천장 패널(10)의 오목 구조 결합부(85)는 고정 클립에 결합시 함께 결합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흡음 천장 패널의 고정클립(74)으로부터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가 결합핀을 기반으로 결합되는 흡음 천장 패널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2에서는 패널 고정 원형핀(90)을 기반으로 한 흡음 천장 패널의 결합 구조가 개시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흡음 천장 패널과 제2 흡음 천장 패널의 스커트부에는 별도의 걸림부가 구현되지 않을 수 있고, 패널 고정 원형핀이 사용되어 복수개의 흡음 천장 패널이 고정클립(74)과 결합될 수 있다.
패널 고정 원형핀(90)은 지지부와 원형밀착부(94)와 압착부(92)로 구성될 수 있다. 압착부(92)는 양측에 두 개의 압착날개를 구비한다. 고정클립(74) 내부에 압착부(92)가 끼워지면 압착부(92)의 양측에 구비된 압착 날개가 고정클립(74)에 형성된 클립굴절부의 안쪽 벽에 걸리게 된다.
패널 고정 원형 핀(90)이 두 개의 흡음 천장 패널(10) 사이에 삽입되면 원형밀착부(94)가 경사진 스커트부(30‘)를 밀어서 접촉하게 되고, 압착부(92)의 압착날개가 고정클립(74)과 체결될 수 있다.
패널 고정 원형 핀(90)이 사용되는 경우, 흡음 천장 패널(10)이 고정클립(74)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아 흡음 천장 패널(10)이 천장에 고정되었을 때 진동으로 인하여 고정클립(74)이 빠져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실시예의 도시와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흡음 천장 패널
20 : 베이스플레이트
30: 스커트부
30' : 경사진 스커트부
35 : 관통부
40 : 공명부
60 : 걸림부
65 : 보조 걸림부
70 : 패널 고정 원형핀
71 : 지지부
74 : 고정클립
80 : 앵커

Claims (7)

  1. 베이스플레이트(20)를 구비한 흡음 천장 패널(10)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의 가장자리 단부로부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와 교차하는 일 측 방향으로 연장된 스커트부(30);
    상기 스커트부(30)의 연장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일정한 패턴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를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의 관통부(35); 및
    상기 복수의 관통부(35)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내부에 흡음을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볼록하게 돌출된 복수의 공명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스커트부(30)는 걸림부(60) 및 보조 걸림부(65)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60)는 상기 스커트부(30)의 내주면 방향으로 제1 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홈은 고정클립(74)과 2차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흡음 천장 패널(10)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보조 걸림부(65)는 상기 스커트부(30)의 내주면 방향으로 제2 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홈은 상기 고정클립(74)과 1차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흡음 천장 패널(10)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제2 홈은 상기 고정클립(74)과 결합시 상기 고정 클립(74)과 우선적으로 접촉되는 상부의 둥글림 구조 및 상기 고정클립(74)과 결합 후 상기 고정 클립과 만나서 상기 흡음 천장패널(10)의 이탈을 방지하는 하부 사각형 단면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천장 패널(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의 상기 관통부(35)와 상기 공명부(40)는 하나의 공명군을 형성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 상에는 상기 복수의 관통부(35)와 상기 복수의 공명부(40)가 설정된 패턴을 갖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천장 패널(1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30)는 10도 내지 45도의 각도를 이루고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천장 패널(1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부(40)는 소음 유입부(42) 및 공명홀(44)을 포함하고,
    상기 소음 유입부(42)는 제1 금형을 기반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에 열을 가하여 형성되고,
    상기 공명홀(44)은 제2 금형을 기반으로 상기 소음 유입부의 말단에 열을 가하여 형성되되,
    상기 제1 금형은 원통형 홀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 구조이고,
    상기 제2 금형은 원통형 홀의 말단에 구형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천장 패널(10).
  5. 삭제
  6. 베이스플레이트(20)를 구비한 흡음 천장 패널(10)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의 가장자리 단부로부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와 교차하는 일 측 방향으로 연장된 스커트부(30);
    상기 스커트부(30)의 연장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일정한 패턴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를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의 관통부(35); 및
    상기 복수의 관통부(35)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내부에 흡음을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볼록하게 돌출된 복수의 공명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스커트부(30)는 걸림부(60) 및 보조 걸림부(65)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60)는 상기 스커트부(30)의 내주면 방향으로 제1 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홈은 고정클립(74)과 2차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흡음 천장 패널(10)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제1 홈은 2개의 사면체 형상의 하부 면이 마주보는 형상으로 구현되고, 상기 2개의 사면체 형상의 하부 면이 마주보는 형상의 모서리가 상기 고정클립(74)과 접촉하여 상기 흡음 천장 패널(10)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보조 걸림부(65)는 상기 스커트부(30)의 내주면 방향으로 제2 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홈은 상기 고정클립(74)과 1차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흡음 천장 패널(10)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제2 홈은 상기 고정클립(74)과 결합시 상기 고정 클립(74)과 우선적으로 접촉되는 상부의 둥글림 구조 및 상기 고정클립(74)과 결합 후 상기 고정 클립과 만나서 상기 흡음 천장패널(10)의 이탈을 방지하는 하부 사각형 단면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천장 패널(10).
  7. 삭제
KR1020170107877A 2017-08-25 2017-08-25 흡음 천장 패널 KR101830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877A KR101830831B1 (ko) 2017-08-25 2017-08-25 흡음 천장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877A KR101830831B1 (ko) 2017-08-25 2017-08-25 흡음 천장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0831B1 true KR101830831B1 (ko) 2018-02-21

Family

ID=61525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877A KR101830831B1 (ko) 2017-08-25 2017-08-25 흡음 천장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0831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5349A (ko) 2019-03-27 2020-10-07 박현용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
KR102215722B1 (ko) 2019-12-26 2021-02-18 주식회사 젠픽스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
KR102234536B1 (ko) 2020-07-23 2021-03-31 주식회사 뉴엠텍 천정 흡음 패널 고정체를 고정시키는 고정 장치
KR102244542B1 (ko) 2020-11-16 2021-04-27 제이앤티 주식회사 내진, 내화성과 흡음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킨 천장구조 시스템
KR20230000197A (ko) 2021-06-24 2023-01-02 엠케이이엔지 주식회사 기능성 흡음패널
KR102519669B1 (ko) * 2022-02-17 2023-04-10 주식회사 에스시스텍 천정 마감 구조
KR102540296B1 (ko) 2023-03-16 2023-06-08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건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
KR102562000B1 (ko) 2023-02-08 2023-08-01 주식회사 엠디에이건축사사무소 건축용 흡음 적층패널
KR102567779B1 (ko) * 2022-08-25 2023-08-17 제이엔티 주식회사 천장 구조물
KR20240052116A (ko) 2022-10-13 2024-04-23 주식회사 젠픽스 흡음용 불연 천장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흡음용 불연 천장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2269B1 (ko) * 2005-02-19 2006-10-12 서울메트로 건축 마감용 패널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2269B1 (ko) * 2005-02-19 2006-10-12 서울메트로 건축 마감용 패널 조립체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5349A (ko) 2019-03-27 2020-10-07 박현용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
KR102215722B1 (ko) 2019-12-26 2021-02-18 주식회사 젠픽스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
KR102234536B1 (ko) 2020-07-23 2021-03-31 주식회사 뉴엠텍 천정 흡음 패널 고정체를 고정시키는 고정 장치
KR102244542B1 (ko) 2020-11-16 2021-04-27 제이앤티 주식회사 내진, 내화성과 흡음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킨 천장구조 시스템
KR20230000197A (ko) 2021-06-24 2023-01-02 엠케이이엔지 주식회사 기능성 흡음패널
KR102519669B1 (ko) * 2022-02-17 2023-04-10 주식회사 에스시스텍 천정 마감 구조
KR102567779B1 (ko) * 2022-08-25 2023-08-17 제이엔티 주식회사 천장 구조물
KR20240052116A (ko) 2022-10-13 2024-04-23 주식회사 젠픽스 흡음용 불연 천장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흡음용 불연 천장재
KR102562000B1 (ko) 2023-02-08 2023-08-01 주식회사 엠디에이건축사사무소 건축용 흡음 적층패널
KR102540296B1 (ko) 2023-03-16 2023-06-08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건 건축용 공명소실형 흡음 적층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0831B1 (ko) 흡음 천장 패널
US11199002B2 (en) Acoustic panel
US7788872B2 (en) Seismic main beam connection
US20050263346A1 (en) Sound-absorbing structure and sound-absorbing unit
US9938725B2 (en) Building panel
US20140262603A1 (en) Fire resistant acoustic panel
US7503428B1 (en) Acoustic panel
CA2837614C (en) Anchor device and method of using an anchor assembly comprising the anchor device
KR20080027719A (ko) 건축용 천정판 고정구조
KR101751666B1 (ko) 건식 벽체용 차음 스터드 구조
KR102284791B1 (ko)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
KR20190007939A (ko) 내외장재용 흡음판넬의 고정장치
US2929473A (en) Structural framework
KR101448295B1 (ko) 흡음 기능을 갖는 마감패널
KR101973022B1 (ko) 흡음 셀 및 이를 포함하는 흡음 구조체
US10526782B1 (en) Mobile carriage for acoustic panels
KR101972902B1 (ko) 건축내장용 조립식 금속 천장재의 조립방법
KR101715241B1 (ko) 향음 기능을 갖는 흡음장치
KR200189328Y1 (ko) 도로용 방음벽의 음향 흡수장치
KR102659326B1 (ko) 내진 및 내풍압용 금속 천장재 시스템
KR102234536B1 (ko) 천정 흡음 패널 고정체를 고정시키는 고정 장치
US11499319B2 (en) Universal Z-Z channel for mounting wall panels to existing wall
KR102025689B1 (ko) 상쇄간섭홀이 구비된 흡음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방음패널
JP7188908B2 (ja) 吸音構造体
JP7162863B2 (ja) 吸音構造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