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9648B1 - 독립 이동형 문비로 이루어진 다단 수문 - Google Patents
독립 이동형 문비로 이루어진 다단 수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39648B1 KR102539648B1 KR1020220131915A KR20220131915A KR102539648B1 KR 102539648 B1 KR102539648 B1 KR 102539648B1 KR 1020220131915 A KR1020220131915 A KR 1020220131915A KR 20220131915 A KR20220131915 A KR 20220131915A KR 102539648 B1 KR102539648 B1 KR 1025396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gate
- waterway
- water
- water stop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6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1363 water suppression through gradient tailored exc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4—Sealings for gat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4—Vertical mo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1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slu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립 이동형 문비로 이루어진 다단 수문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수문의 개방 구간을 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한 독립 이동형 문비로 이루어진 다단 수문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상하로 이동하면서 수로의 일부를 개폐하는 상단 문비; 상기 상단 문비의 앞쪽 또는 뒤쪽에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일부 또는 전부가 상단 문비와 겹쳐지도록 이루어진 하단 문비; 상기 상단 문비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1승강기구; 및 상기 하단 문비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2승강기구;로 구성되며, 상기 상단 문비와 하단 문비는 수로를 완전히 폐쇄하도록 펼쳐졌을 때 하단 문비와 상단 문비가 외수에서 내수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높아지는 계단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단 문비의 정면 하단부에 설치된 지수 브라켓; 상기 하단 문비의 배면 상단부에 설치되어 지수 브라켓에 밀착되면서 상단 문비와 하단 문비의 사이에 지수구조를 형성하는 지수 부재; 및 상기 지수부재를 하단 문비에 고정하는 지지 브라켓;을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 브라켓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판재로써, 일부분이 하단 문비의 상면에 고정되고, 나머지 부분이 하단 문비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지수부재와 결합되며, 하단 문비의 후방으로 돌출된 부분이 외수의 수압에 의해 아래쪽 방향으로 굽어지는 형태로 변형되면서 지수부재를 지수 브라켓에 더 밀착시키도록 탄성변형이 가능한 판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이동형 문비로 이루어진 다단 수문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단 수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단 이상의 다단 구조로 이루어지되, 각 단의 문비가 독립적으로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다단 수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문이라 함은 유량 조절이나 수심 유지를 위하여 수로에 설치되는 문을 일컫는 것으로, 수자원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하여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문비가 회전하면서 기립되거나 전도되면서 수로를 개폐하는 전도식 수문과, 문비가 권양기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수로를 개폐하는 인양식 수문이 주로 시공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인양식 수문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하나의 문비가 문틀에 상하 이동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고, 문비가 권양기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수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인양식 수문은 문비가 하강한 경우 수로가 완전히 폐쇄되므로, 상층수의 부분적인 배출이나 유입이 불가능하고, 수로의 부분적인 개방이 필요한 경우에도 문비 전체를 상승시켜야 하므로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특허문헌1에는 수문을 다단으로 구성하고, 각 단 중에서 선택된 단의 수문만 개폐하거나 모든 수문을 개폐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배수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 다단형 수문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1의 다단형 수문은 수문 가이드에 안내되어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문이 수직방향으로 2개 이상으로 분할되어 적층되게 이루어지고, 권양기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수문개폐부재에 상단부가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 개폐용 회전축이 각각의 수문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되 개폐용 회전축에 형성된 선택적 결합부가 각 수문에 설치된 결합부재 중 어느 한 결합부재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특허문헌1의 다단형 수문은 개폐용 회전축이 각 수문 중에서 선택된 수문과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수문의 개방구간을 상황에 따라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담수의 배수관리를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다단형 수문의 경우, 개폐용 회전축의 선택적 결합부는 수나사로 구성되고, 각 수문에 설치된 결합부재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선택적 결합부와 결합부재가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되거나 분리되게 구성되므로, 개폐용 회전축을 어느 한 수문에 결합시키고자 할 경우 또는 개폐용 회전축을 수문으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 또는 개폐용 회전축의 선택적 결합부재가 수문에 형성된 관통공을 지나가도록 개폐용 회전축을 이동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 수문 양측에 결합된 두 개폐용 회전축을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회전시키되 개폐용 회전축의 회전 시 수문개폐부재는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해야만 하므로, 작동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제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못하고 제조 및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부재와 부재가 결합되는 부분에 유격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 작동이 불안정하고 장기간 사용 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서로 적층되게 분할된 수문과 수문의 사이에 이물질이 유입되어 고착될 가능성이 높고, 수문의 상면이나 저면에 이물질이 고착된 경우 수문과 수문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면서 유체의 누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문의 개방 구간을 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한 독립 이동형 문비로 이루어진 다단 수문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독립 이동형 문비로 이루어진 다단 수문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문비와 문비의 사이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독립 이동형 문비로 이루어진 다단 수문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로의 부분적인 개방 시 필요한 에너지를 줄일 수 있는 독립 이동형 문비로 이루어진 다단 수문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수로에 구성된 문틀에 좌우 양단이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하면서 수로의 일부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진 상단 문비; 상기 상단 문비의 앞쪽 또는 뒤쪽에 위치하되, 수로에 구성된 문틀에 좌우 양단이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하면서 일부 또는 전부가 상단 문비와 겹쳐지도록 이루어진 하단 문비; 상기 수로를 형성하는 구조물에 설치되고, 상기 상단 문비와 연결되어 상단 문비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1승강기구; 및 상기 수로를 형성하는 구조물에 설치되고, 상기 하단 문비와 연결되어 하단 문비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2승강기구;로 구성되며, 상기 상단 문비와 하단 문비는 외수에서 내수 방향으로 하단 문비와 상단 문비가 순차적으로 위치하며, 상단 문비와 하단 문비가 수로를 완전히 폐쇄하도록 펼쳐졌을 때 하단 문비와 상단 문비가 외수에서 내수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높아지는 계단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단 문비의 정면 하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단 문비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상단 문비에 설치된 지수 브라켓; 상기 하단 문비의 배면 상단부에 위치하며, 상단 문비와 하단 문비가 수로를 폐쇄하도록 완전히 펼쳐진 경우 상기 지수 브라켓의 상면에 밀착되면서 상단 문비와 하단 문비의 사이에 지수구조를 형성하는 지수 부재; 및 상기 지수부재를 하단 문비에 고정하도록 하단 문비에 설치되는 지지 브라켓;을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 브라켓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판재로써, 일부분이 하단 문비의 상면에 고정되고, 나머지 부분이 하단 문비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지수부재와 결합되며, 하단 문비의 후방으로 돌출된 부분이 외수의 수압에 의해 아래쪽 방향으로 굽어지는 형태로 변형되면서 지수부재를 지수 브라켓에 더 밀착시키도록 탄성변형이 가능한 판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이동형 문비로 이루어진 다단 수문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독립 이동형 문비로 이루어진 다단 수문에 있어서, 상기 상단 문비와 하단 문비의 사이에 위치하되, 수로에 구성된 문틀에 좌우 양단이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하면서 일부 또는 전부가 상단 문비 및 하단 문비와 겹쳐지도록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중단 문비; 및 상기 수로를 형성하는 구조물에 설치되고, 상기 중단 문비와 연결되어 중단 문비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하나 이상의 제3승강기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삭제
한편 상기 독립 이동형 문비로 이루어진 다단 수문에 있어서, 상기 상단 문비와 하단 문비가 모두 하강하여 수로 바닥에서 포개진 경우, 외수의 상층수가 수로의 내부로 유입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다단 수문을 구성하는 각각의 문비를 독립적으로 상하로 이동시켜 개방구간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수자원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단 수문을 구성하는 문비들이 계단 형태를 이루면서 수로를 폐쇄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문비와 문비의 사이에 이물질이 쌓이면서 문비와 문비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단 수문을 구성하는 문비들이 수로의 바닥에서 포개지도록 하강한 경우, 상대적으로 깨끗한 외수의 상층수를 수로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으므로 내수의 수질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수의 수압을 이용하여 지수 부재를 지수 브라켓에 긴밀하게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문비와 문비의 사이에 보다 안정된 지수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하단 문비만을 상승시키는 방식으로 수로를 부분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으므로 수로의 부분적인 개방 시 소모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단 수문의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단 수문의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단 수문의 평면도,
도 4 는 'A'부 상세도,
도 5 는 'B'부 상세도,
도 6 은 3단 구조로 이루어진 다단 수문의 측면도,
도 7 은 3단 구조로 이루어진 다단 수문의 평면도,
도 8 은 'C'부 상세도,
도 9 는 'D'부 상세도,
도 10 은 3단으로 이루어진 다단 수문의 하단 문비가 상승하여 수로의 일부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1 은 3단으로 이루어진 다단 수문의 모든 문비가 상승하여 수로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2 는 3단으로 이루어진 다단 수문의 모든 문비가 하강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단 수문의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단 수문의 평면도,
도 4 는 'A'부 상세도,
도 5 는 'B'부 상세도,
도 6 은 3단 구조로 이루어진 다단 수문의 측면도,
도 7 은 3단 구조로 이루어진 다단 수문의 평면도,
도 8 은 'C'부 상세도,
도 9 는 'D'부 상세도,
도 10 은 3단으로 이루어진 다단 수문의 하단 문비가 상승하여 수로의 일부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1 은 3단으로 이루어진 다단 수문의 모든 문비가 상승하여 수로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2 는 3단으로 이루어진 다단 수문의 모든 문비가 하강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단 수문의 정면도를,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단 수문의 측면도를,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단 수문의 평면도를, 도 4는 'A'부 상세도를, 도 5는 'B'부 상세도를, 도 6은 3단 구조로 이루어진 다단 수문의 측면도를, 도 7은 3단 구조로 이루어진 다단 수문의 평면도를, 도 8은 'C'부 상세도를, 도 9는 'D'부 상세도를, 도 10은 3단으로 이루어진 다단 수문의 하단 문비가 상승하여 수로의 일부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를, 도 11은 3단으로 이루어진 다단 수문의 모든 문비가 상승하여 수로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를, 도 12는 3단으로 이루어진 다단 수문의 모든 문비가 하강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수문은 상단 문비(110), 하단 문비(120), 제1승강기구(130) 및 제2승강기구(140)로 구성되어 2개의 문비가 2단 구조로 이루어진 수문을 기본으로 하며, 상단 문비(110)와 하단 문비(120)의 사이에 하나 이상의 중단 문비(150)가 더 설치되고, 중단 문비(150)를 독립적으로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3승강기구(160)를 더 포함하여 3단 이상의 다단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2개 이상의 문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수문은 각각의 문비가 수로에 구성된 문틀(100)에 결합된 채로 상하로 이동하여 서로 포개지거나 펼쳐지면서 수로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지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2개의 문비를 포함하는 2단 수문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문틀(100)에는 상단 문비(110)와 하단 문비(120)가 각기 결합되는 제1가이드 홈(101)과 제2가이드 홈(102)이 형성되며, 상기 제1,2가이드 홈(101,102)은 수직한 자세를 가지며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문틀(100)의 좌우 측벽에 형성된다.
상기 상단 문비(110)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직사각형 형태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며, 수로에 구성된 문틀(100)에 좌우 양단이 결합되어 문틀(100)에 결합된 채로 상하로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단 문비(110)의 좌우 양측에는 문틀(100)에 수직한 자세로 형성된 제1가이드 홈(101)에 삽입된 채로 제1가이드 홈(10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다수의 제1가이드 롤러(111)가 분산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1가이드 롤러(111)는 상단 문비(110)의 원활한 승강이 이루어지게 하되, 상단 문비(11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가이드 홈(101)의 전후내벽과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제1롤러(111a)와, 제1가이드 홈(101)의 측벽과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제2롤러(111b)를 포함한다.
상기 하단 문비(120)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직사각형 형태의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상단 문비(110) 보다 더 외수(O)에 근접하도록 상단 문비(110)의 앞쪽에 위치하며, 수로에 구성된 문틀(100)에 좌우 양단이 결합되어 문틀(100)에 결합된 채로 상하로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하단 문비(120)의 좌우 양측에는 문틀(100)에 수직한 자세로 형성된 제2가이드 홈(102)에 삽입된 채로 제2가이드 홈(102)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다수의 제2가이드 롤러(121)가 분산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2가이드 롤러(121)는 제2가이드 홈(102)의 전후내벽과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제3롤러(121a)와, 제2가이드 홈(102)의 측벽과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제4롤러(121b)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하단 문비(120)는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단 일부가 상단 문비(110)에 겹쳐지거나, 전부가 상단 문비(110)에 겹쳐지도록 이루어지며, 하단 문비(120)의 전부가 상단 문비(110)에 겹쳐진 경우 상단 문비(110)와 하단 문비(120)는 전후방향으로 포개진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단 문비(110)와 하단 문비(120)에 의하면, 상단 문비(110)와 하단 문비(120)는 외수(O)에서 내수(I) 방향으로 하단 문비(120)와 상단 문비(110)가 순차적으로 위치하며, 상단 문비(110)와 하단 문비(120)가 수로를 완전히 폐쇄하도록 펼쳐졌을 때 하단 문비(120)와 상단 문비(110)가 외수에서 내수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높아지는 계단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단 문비(110)와 하단 문비(120)는 모두가 하강하여 수로 바닥에서 포개진 경우, 외수의 상층수가 상단 문비(110)와 하단 문비(120)를 넘어 수로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외수의 평상시 수위를 고려하여 적절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승강기구(130)는 상단 문비(11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수로를 형성하는 구조물에 설치되며, 상단 문비(110)와 연결되어 상단 문비(110)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1승강기구(130)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되거나, 권양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 2에는 드럼에 권취된 로프가 상단 문비(110)에 연결되고, 모터의 작동에 의해 드럼이 회전하면서 로프를 감거나 풀어주어 상단 문비(11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권양기로 이루어진 제1승강기구(13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승강기구(140)는 하단 문비(12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수로를 형성하는 구조물에 설치되며, 하단 문비(120)와 연결되어 중단 문비(150)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2승강기구(140)도 유압실린더 또는 권양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2단 구조의 다단 수문에 있어서, 상단 문비(110)와 하단 문비(120)에는 문비와 문비의 사이 그리고 문비와 수로 구조물 사이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수구조를 형성하는 지수부재가 분산되게 설치된다.
즉, 하단 문비(120)의 정면 좌우 양측에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수로의 양측벽에 밀착되면서 지수구조를 형성하는 지수부재(171)가 설치되고, 하단 문비(120)의 하단부에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수로의 바닥에 밀착되면서 지수구조를 형성하는 지수부재(172)가 설치되며, 상단 문비(110)의 배면 좌우 양측에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수로의 양측벽에 밀착되면서 지수구조를 형성하는 지수부재(173)가 설치되고, 상단 문비(110)의 정면 좌우 양측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단 문비(120)의 배면에 밀착되면서 지수구조를 형성하는 지수부재(174)가 설치되며, 하단 문비(120)의 배면 상단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단 문비(110)에 밀착되면서 지수구조를 형성하는 지수부재(175)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하단 문비(120)의 배면 상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지수부재(175)는 지지 브라켓(181)에 의해 하단 문비(120)에 설치되고, 상단 문비(110)에 설치된 지수 브라켓(182)에 밀착되면서 지수구조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수 브라켓(182)은 상단 문비(110)의 정면 하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단 문비(110)의 전방으로 돌출되되, 하단 문비(120)의 배면 상단부에 설치된 지수부재(175)의 하부에서 지수부재(175)와 밀착되면서 지수구조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수부재(175)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형성된 지수고무로 이루어지되, 일자형 몸체의 끝단이 동그란 머리가 형성된 모양의 P형 지수고무로 이루어지며, 하단 문비(120)의 하강 시 동그란 머리 부분이 지수 브라켓(182)에 안착되어 밀착되면서 지수구조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 브라켓(181)은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형성된 판재로 이루어지며, 일부분은 하단 문비(120)의 상면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나머지 부문이 하단 문비(120)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지수부재(175)와 결합되면서 지수부재(175)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지지 브라켓(181)은 하단 문비(120)의 후방으로 돌출된 부분이 외수의 수압에 의해 아래쪽 방향으로 굽어지는 형태로 변형되면서 지수부재(175)를 지수 브라켓(182)에 보다 긴밀하게 밀착시키도록 탄성변형이 가능한 판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2단 구조의 다단 수문에 있어서, 상단 문비(110)와 하단 문비(120)의 사이에 하나 이상의 중단 문비(150)가 더 설치되어 3단 이상의 구조를 갖는 다단 수문이 구성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단 문비(110)와 하단 문비(120)의 사이에 하나의 중단 문비(150)가 더 설치되어 3단 구조로 이루어진 다단 수문의 구조를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중단 문비(150)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직사각형 형태의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상단 문비(110)와 하단 문비(120)의 사이에 위치하되, 수로에 구성된 문틀(100)에 좌우 양단이 결합되어 문틀(100)에 결합된 채로 상하로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중단 문비(150)의 좌우 양측에는 문틀(100)에 수직한 자세로 형성된 제3가이드 홈(103)에 삽입된 채로 제3가이드 홈(103)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다수의 제3가이드 롤러(151)가 분산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3가이드 롤러(151)는 제3가이드 홈(103)의 전후내벽과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제5롤러(151a)와, 제3가이드 홈(103)의 측벽과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제6롤러(151b)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중단 문비(150)는 상하로 이동하면서 일부가 상단 문비(110) 또는 하단 문비(120)에 겹쳐지거나, 전부가 상단 문비(110) 또는 하단 문비(120)에 겹쳐지도록 이루어지며, 중단 문비(150)의 전부가 상단 문비(110)나 하단 문비(120)에 겹쳐진 경우 상단 문비(110)나 하단 문비(120)와 완전히 포개진 구조를 갖도록 중단 문비(150)의 높이는 상단 문비(110) 및 하단 문비(120)의 높이와 같거나 비슷한 크기로 형성된다.
한편 중단 문비(150)가 더 포함된 경우, 상단 문비(110)와 중단 문비(150) 및 하단 문비(120)는 외수에서 내수 방향으로 하단 문비(120)와 중단 문비(150) 및 상단 문비(110)가 순차적으로 위치하며, 상단 문비(110)와 중단 문비(150) 및 하단 문비(120)가 수로를 완전히 폐쇄하도록 펼쳐졌을 때 하단 문비(120)와 중단 문비(150) 및 상단 문비(110)가 외수에서 내수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높아지는 계단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또한 단 문비(110)와 중단 문비(150)와 사이 그리고 중단 문비(150)와 하단 문비(120)의 사이에는 앞서 상단 문비(110)와 하단 문비(120)의 사이에 설치된 것과 동일한 지수부재(174,175)가 설치된다.
즉, 중단 문비(150)의 정면 좌우 양측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형성되어 하단 문비(120)의 배면에 밀착되는 지수부재(174)가 설치되고, 중단 문비(150)의 배면 상단부와 정면 하단부에는 지지 브라켓(181)과 지수부재(175) 및 지수 브라켓(182)이 분산되게 설치되어 상단 문비(110)와 중단 문비(150)의 사이 그리고 중단 문비(150)와 하단 문비(120)의 사이에 상단 문비(110)와 하단 문비(120)의 사이에 형성되는 지수구조와 동일한 구조의 지수구조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중단 문비(150)의 배면 상단부에는 상단 문비(110)의 정면 하단부에 설치된 지수 브라켓(182)과 함께 지수구조를 형성하는 지지 브라켓(181)과 지수 부재(175)가 설치되고, 중단 문비(150)의 정면 하단부에는 하단 문비(120)의 배면 상단부에 설치된 지지 브라켓(181) 및 지수 부재(175)와 함께 지수구조를 형성하는 지수 브라켓(182)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상단 문비(110)와 중단 문비(150)의 사이 그리고 중단 문비(150)와 하단 문비(120)의 사이에 지수구조를 형성하도록 중단 문비(150)에 설치되는 지지 브라켓(181)과 지수부재(175) 및 지수 브라켓(182)은 앞서 상단 문비(110)와 하단 문비(120)의 사이에 지수구조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지지 브라켓(181)과 지수부재(175) 및 지수 브라켓(182)과 설치 위치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실질적인 구조는 동일하므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제3승강기구(160)는 중단 문비(15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수로를 형성하는 구조물에 설치되며, 중단 문비(150)와 연결되어 하단 문비(120)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3승강기구(160)도 제1,2승강기구(130,140)와 마찬가지로 유압실린더 또는 권양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3개의 문비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수문이 수자원의 관리를 위하여 동작하는 과정을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수문은 상단 문비(110)와 중단 문비(150) 및 하단 문비(120)가 독립적으로 상하로 이동하면서 수로를 개폐하는 방식 즉, 상단 문비(110)가 제1승강기구(130)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고, 중단 문비(150)가 제3승강기구(160)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며, 하단 문비(120)가 제2승강기구(140)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수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내수 및 외수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수로를 개방할 수 있다.
예컨대, 수로의 안쪽에 위치한 내수의 탁도 저감 등 수질 관리를 위하여 외수의 유입이 필요한 경우, 상단 문비(110)와 중단 문비(150) 및 하단 문비(120) 모두를 수로 바닥에 근접하도록 하강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깨끗한 외수의 상층수만이 수로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므로, 내수의 수질 관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수로의 부분적인 개방이 요구될 경우, 상단 문비(110)와 중단 문비(150) 및 하단 문비(120) 모두를 이동시키지 않고, 제2승강기구(140)의 작동을 통해 하단 문비(120)만을 상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수로를 부분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으므로, 수로의 부분적인 개방을 위해 사용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수로를 폐쇄하도록 상단 문비(110)와 중단 문비(150) 및 하단 문비(120)가 펼쳐져 전개된 경우, 하단 문비(120)의 뒤쪽 상부에 중단 문비(150)가 위치하고, 중단 문비(150)의 뒤쪽 상부에 상단 문비(110)가 위치하여 3개의 문비가 계단형태를 이루면서 수로를 폐쇄하게 되며, 이때 상단 문비(110)의 정면 하단부와 중단 문비(150)의 배면 상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지수부재(175) 그리고 중단 문비(150)의 정면 하단부와 하단 문비(120)의 배면 상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지수부재(175)는 지지 브라켓(181)을 통해 외수의 압력의 압력을 전달받아 지수 브라켓(182)에 보다 견고히 밀착되므로, 보다 안정된 지수구조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수문은 각 문비의 독립적인 승강을 통해 개방구간을 더욱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수자원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문비와 문비의 사이에 물이 누설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문틀 110: 상단 문비
120: 하단 문비 130: 제1승강기구
140: 제2승강기구 150: 중단 문비
160: 제3승강기구 175: 지수 부재
181: 지지 브라켓 182: 지수 브라켓
100: 문틀 110: 상단 문비
120: 하단 문비 130: 제1승강기구
140: 제2승강기구 150: 중단 문비
160: 제3승강기구 175: 지수 부재
181: 지지 브라켓 182: 지수 브라켓
Claims (5)
- 수로에 구성된 문틀(100)에 좌우 양단이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하면서 수로의 일부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진 상단 문비(110);
상기 상단 문비(110)의 앞쪽 또는 뒤쪽에 위치하되, 수로에 구성된 문틀(100)에 좌우 양단이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하면서 일부 또는 전부가 상단 문비(110)와 겹쳐지도록 이루어진 하단 문비(120);
상기 수로를 형성하는 구조물에 설치되고, 상기 상단 문비(110)와 연결되어 상단 문비(11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1승강기구(130); 및
상기 수로를 형성하는 구조물에 설치되고, 상기 하단 문비(120)와 연결되어 하단 문비(12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2승강기구(140);로 구성되며,
상기 상단 문비(110)와 하단 문비(120)는 외수에서 내수 방향으로 하단 문비(120)와 상단 문비(110)가 순차적으로 위치하며, 상단 문비(110)와 하단 문비(120)가 수로를 완전히 폐쇄하도록 펼쳐졌을 때 하단 문비(120)와 상단 문비(110)가 외수에서 내수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높아지는 계단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단 문비(110)의 정면 하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단 문비(11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상단 문비(110)에 설치된 지수 브라켓(182); 상기 하단 문비(120)의 배면 상단부에 위치하며, 상단 문비(110)와 하단 문비(120)가 수로를 폐쇄하도록 완전히 펼쳐진 경우 상기 지수 브라켓(182)의 상면에 밀착되면서 상단 문비(110)와 하단 문비(120)의 사이에 지수구조를 형성하는 지수 부재(175); 및 상기 지수부재(175)를 하단 문비(120)에 고정하도록 하단 문비(120)에 설치되는 지지 브라켓(181);을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 브라켓(181)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판재로써, 일부분이 하단 문비(120)의 상면에 고정되고, 나머지 부분이 하단 문비(120)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지수부재와 결합되며, 하단 문비(120)의 후방으로 돌출된 부분이 외수의 수압에 의해 아래쪽 방향으로 굽어지는 형태로 변형되면서 지수부재(175)를 지수 브라켓(182)에 더 밀착시키도록 탄성변형이 가능한 판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이동형 문비로 이루어진 다단 수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단 문비(110)와 하단 문비(120)의 사이에 위치하되, 수로에 구성된 문틀(100)에 좌우 양단이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하면서 일부 또는 전부가 상단 문비(110) 및 하단 문비(120)와 겹쳐지도록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중단 문비(150); 및
상기 수로를 형성하는 구조물에 설치되고, 상기 중단 문비(150)와 연결되어 중단 문비(15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하나 이상의 제3승강기구(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이동형 문비로 이루어진 다단 수문.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단 문비(110)와 하단 문비(120)가 모두 하강하여 수로 바닥에서 포개진 경우, 외수의 상층수가 수로의 내부로 유입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이동형 문비로 이루어진 다단 수문.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1915A KR102539648B1 (ko) | 2022-10-14 | 2022-10-14 | 독립 이동형 문비로 이루어진 다단 수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1915A KR102539648B1 (ko) | 2022-10-14 | 2022-10-14 | 독립 이동형 문비로 이루어진 다단 수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39648B1 true KR102539648B1 (ko) | 2023-06-08 |
Family
ID=86765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31915A KR102539648B1 (ko) | 2022-10-14 | 2022-10-14 | 독립 이동형 문비로 이루어진 다단 수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39648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89523U (ja) * | 1992-05-12 | 1993-12-07 | 日立造船株式会社 | 多段式シリンダーゲート |
KR20120021348A (ko) * | 2010-07-28 | 2012-03-09 | 홍문표 | 다단계 수문 |
KR20150070538A (ko) * | 2013-12-17 | 2015-06-25 | 홍문표 | 다단계 수문구조물 |
KR101587983B1 (ko) | 2014-11-14 | 2016-01-25 | 주식회사 제일기공 | 선택적 개폐가 가능한 다단형 수문 |
KR101977546B1 (ko) * | 2018-11-27 | 2019-05-13 | (유)신일 | 이중수밀구조를 갖는 라이징 섹터게이트 구조 |
-
2022
- 2022-10-14 KR KR1020220131915A patent/KR10253964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89523U (ja) * | 1992-05-12 | 1993-12-07 | 日立造船株式会社 | 多段式シリンダーゲート |
KR20120021348A (ko) * | 2010-07-28 | 2012-03-09 | 홍문표 | 다단계 수문 |
KR20150070538A (ko) * | 2013-12-17 | 2015-06-25 | 홍문표 | 다단계 수문구조물 |
KR101587983B1 (ko) | 2014-11-14 | 2016-01-25 | 주식회사 제일기공 | 선택적 개폐가 가능한 다단형 수문 |
KR101977546B1 (ko) * | 2018-11-27 | 2019-05-13 | (유)신일 | 이중수밀구조를 갖는 라이징 섹터게이트 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64944Y1 (ko) | 승강식 가동보 | |
KR102539648B1 (ko) | 독립 이동형 문비로 이루어진 다단 수문 | |
KR20110116100A (ko) | 보의 상류 측 수중에 위치하여 수위 변동시에도 어류의 이동이 연중 가능한 어도 | |
KR100592975B1 (ko) | 어도블록 | |
KR102539655B1 (ko) | 팽창식 지수기구를 포함하는 다단 수문 | |
JP7103856B2 (ja) | 止水板付きシャッター装置 | |
KR20110085337A (ko) | 슬랫의 완전차광 및 현수시 쏠림방지 기능을 갖는 베니션 블라인드 | |
KR101121740B1 (ko) | 어도형 전도각도의 조절 가능한 전도 수문 | |
KR101244324B1 (ko) | 마찰감소장치를 갖는 수문 | |
CN204238720U (zh) | 滑轮机构 | |
KR100432521B1 (ko) | 안전 스크린이 구비된 하단 배출 겸용 전도식 자동수문 | |
KR200433102Y1 (ko) | 인양수문 | |
KR100573812B1 (ko) | 롤러 위치 변경형 수문 | |
AU2016208367B2 (en) | Light Shielding Structure for Vertical Blind | |
KR101121743B1 (ko) | 어도겸 협잡물 제거용 전도 수문 | |
KR100800564B1 (ko) | 어도형 전도 수문 | |
KR20080074060A (ko) | 토사 이동 적재용 버킷 구동장치 | |
KR200325075Y1 (ko) | 수문장치의 도어 안내구조 | |
KR20150066730A (ko) | 다단 개폐형 자동비 | |
CN113622788B (zh) | 一种自排水门槛挡水板 | |
CN214005616U (zh) | 一种双扉弧形闸门 | |
KR20100096450A (ko) | 이중수문 | |
CN221567062U (zh) | 一种适用于闸门的过鱼设施 | |
KR102372239B1 (ko) | 수문 변형 방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문장치 | |
CN211523127U (zh) | 一种双螺杆高密封水渠闸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