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8365B1 - 무볼트 앵글 조립체 - Google Patents

무볼트 앵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8365B1
KR102538365B1 KR1020210071191A KR20210071191A KR102538365B1 KR 102538365 B1 KR102538365 B1 KR 102538365B1 KR 1020210071191 A KR1020210071191 A KR 1020210071191A KR 20210071191 A KR20210071191 A KR 20210071191A KR 102538365 B1 KR102538365 B1 KR 102538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vertical
horizontal
groove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1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2937A (ko
Inventor
이재용
Original Assignee
이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용 filed Critical 이재용
Priority to KR1020210071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8365B1/ko
Publication of KR20220162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2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83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with four vertical uprigh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91Modular arrangements of similar assemblies of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07Linkable independent elements with the same or similar cross-s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물품을 진열하거나 적재하기 위한 조립식 선반에 관련된 기술로서, 금속제 수직 앵글에 장착되는 수평 앵글을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도 견고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무볼트 앵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ㄱ자형으로 절곡되어 사방 모서리 부분에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슬롯이 형성되는 수직 앵글과, 이들 수직 앵글의 슬롯에 끼워져 결속되는 돌출편이 타발 형성된 수평 앵글과, 이 수평 앵글 상에 탑재되는 선반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 앵글에 형성되는 슬롯은 폭이 넓은 가로홈과 폭이 좁은 세로홈이 서로 연이어져 형성됨과 동시에 세로홈을 구성하는 양측 수직면으로부터 원호면을 개재하여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평 앵글의 돌출부는 타공부분의 측면에서 일체형으로 돌출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연결편 및 이 연결편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지지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 앵글의 슬롯 내로 수평 앵글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원호면에 수평방향으로의 횡력이 작용하여 좌,우를 잡아주고 세로홈 내로 연결편이 진입하는 과정에서 좌,우로 벌어짐과 동시에 지지편에 의해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무볼트 앵글 조립체 {Boltless angle assembly}
본 발명은 다양한 물품을 진열하거나 적재하기 위한 조립식 선반에 관련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제 수직 앵글에 장착되는 수평 앵글을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도 견고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무볼트 앵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일반 진열장이나 수납장 등에는 원목(原木)과 같은 고가의 재료보다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강성이 뛰어난 금속제 앵글을 이용하는 예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 앵글을 이용한 조립식 선반은 수직 및 수평 앵글 사이에 선반을 다단으로 배열함으로써 간편하게 여러 종의 물품을 진열하거나 적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대부분의 조립식 금속제 앵글은 각각의 프레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천공된 통공들 사이로 볼트나 너트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조립하는 보편적인 방식이기 때문에 견고성은 우수하지만 조립이나 분해를 위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별도의 공구를 이용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앵글의 결속력이 이완되거나 선반의 평편도가 맞지 않을 경우에는 무게 중심의 이상으로 인해 구조물 자체가 불안정하게 됨은 물론 무너질 염려도 상존하게 된다.
근래 들어, 수직 및 수평 앵글을 타공하거나 절곡하여 서로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체결요소를 필요로 하지 않고 빠르고 간편하게 조립을 행할 수 있도록 무볼트식 체결구조에 관련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앵글 체결방식과 관련하여 국내 공개특허 제2002-0089286호나 등록특허 제1092143호에 개시된 기술은 수직 앵글의 길이방향으로 슬롯을 형성하고 수평 앵글에 끼움편을 형성하여 볼트를 이용하지 않고 결속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나 각 프레임들의 복잡한 구조로 인해 제조가 용이하지 못하고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며, 조립 및 해제 작업에 숙련을 요하게 됨은 물론 유동성으로 인해 선반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없게 된다.
또한, 국내 등록특허 제1387645호, 제1845802호 등을 포함하여 등록실용신안 제0228609호, 제0473792호 등에도 다양한 무볼트 체결방식이 나타나 있으나 수직 및 수평 앵글 간의 결속력이 구조적으로 취약하여 밀착되지 못하고 유격이 발생하여 조립식 선반을 장기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공개특허 제2021-0021433호(2021.02.26 공개) - 조립식 선반용 가로 앵글. 등록특허 제1775656호(2017.08.31 등록) - 무볼트 조립식 앵글 어셈블리. 등록특허 제1840257호(2018.03.14 등록) - 조립식 앵글. 등록특허 제2075150호(2020.02.03 등록) - 무볼트 조립식 앵글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앵글 조립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선반의 각 모서리에 위치하는 수직 앵글의 슬롯에 수평 앵글의 돌출부를 결속시키는 과정에서 수평방향으로의 횡력 및 경사각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전후 및 좌우로의 유동성을 억제할 수 있는 무볼트 앵글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은 수직 및 수평 앵글의 구성요소를 간단히 하여 조립이나 분해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생산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무볼트 앵글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ㄱ자형으로 절곡되어 사방 모서리 부분에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슬롯이 형성되는 수직 앵글과, 이들 수직 앵글의 슬롯에 끼워져 결속되는 돌출편이 타발 형성된 수평 앵글과, 이 수평 앵글 상에 탑재되는 선반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 앵글에 형성되는 슬롯은 폭이 넓은 가로홈과 폭이 좁은 세로홈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이 가로홈과 세로홈이 이어지는 부분에는 원호면과 경사면으로 연이어서 형성되고 세로홈의 수직면 상하측에는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수평 앵글의 돌출부는 타공부분의 측면에서 일체형으로 돌출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연결편 및 이 연결편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지지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 앵글의 슬롯 내로 수평 앵글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호 대칭으로 배치된 세로홈 내로 연결편이 진입하면서 경사면에 의해 좌,우로 벌어짐과 동시에 지지편에 의해 유지되고, 가로홈과 세로홈이 이어지는 원호면에 수평방향으로의 횡력이 작용하여 좌,우를 잡아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수직 앵글에 형성되는 슬롯은 각 앵글의 면에 대하여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복수로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도록 수평 앵글에 형성된 돌출부는 4개를 1조로 하여 수직 앵글의 슬롯에 탈,부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상기 수직 앵글의 슬롯을 구성하는 원호면의 반경 r= 3.0, 모서리면의 반경 r= 0.2, r= 0.4이며, 수직면에 대한 경사면의 각도는 9∼10°이고, 경사면의 각도는 2∼3°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들에 의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직 앵글에 형성된 4개의 슬롯 내로 수평 앵글의 돌출부가 각각 삽입되는 과정에서 슬롯에 형성된 경사면을 통해 돌출부가 좌,우로 점차 벌어지면서 조립됨과 동시에 원호면에 의해 수평방향에서 잡아주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결속력을 더욱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직 앵글의 슬롯 및 수평 앵글의 돌출부를 위,아래 구분없이 양 방향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4개의 원호면 구간에서 좌,우를 잡아주고 경사면을 갖는 4개의 세로홈 구간에서 좌,우로 벌려주면서 돌출부의 지지편에 의해 유지되도록 함에 따라 조립시의 간섭을 최소로 하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수직 및 수평 앵글에 대한 성형이 간편하여 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임은 물론 종전에 비해 사용자에게 싼 값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잇점을 가지게 된다.
도 1은 등록특허 제1724106호에 개시되어 있는 조립식 앵글 진열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볼트 앵글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평면 구성도,
도 7은 수직 및 수평 앵글의 분리상태 사시도,
도 8은 수직 및 수평 앵글의 결속상태 부분 사시도,
도 9는 수직 및 수평 앵글의 결속상태 정면도,
도 10은 슬롯 및 돌출부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11은 슬롯 및 돌출부의 결속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들이 갖는 특정 구조 및 기능은 하나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바람직한 예로서, 선 등록특허 제1724106호에 개시되어 있는 핵심기술을 발췌하여 설명하고, 또한 이에 따른 문제점을 도출한 후에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후술하고자 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앵글 포스트(10)는 철판을 대략 ㄱ자 형태로 절곡한 형태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각각의 면에는 다수의 삽입홈(11)이 앵글 포스트(10)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장공 형태를 이루고 있다.
또, 연결대(20)는 기둥역할을 행하는 앵글 포스트(10)를 수평방향으로 서로 연결하게 되며, 앵글 포스트(10)의 삽입홈(11)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후크(23)가 형성된다. 이 후크(23)는 연결대(20) 중 앵글 포스트(10)와 맞닿는 결합면(21)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앵글 포스트(10) 사이에 연결대(20)를 결합하게 되며, 결합면(21)에서 프레스 금형을 통해 일부 블랭킹 작업이 이루어진 후에 절곡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후크(23)는 결합면(21)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되는 수직 걸침면(23a)이 형성되고, 이 수직 걸침면(23a)에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결합면(21)과 대략 평행한 형태로 형성되는 수평 걸침면(23b)으로 구성된다. 필요에 따라서 수평 걸침면(23b)에서 일정 각도로 절곡되는 안내면(23c)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강부(30)는 연결대(20)의 후크(23) 및 이 후크(23)가 형성되어 있는 결합면(21)의 일부에 걸쳐 형성되어 후크(23)를 보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보강부(30)는 최초 후크(23)를 형성하기 위해 프레스 금형을 통해 동시에 가공되며, 보강부(30)의 표면에 돌출면(31)이 형성됨과 동시에 그 이면에 홈면(32)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에 있어서는 연결대에 형성된 후크에 보강부를 가공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별도의 작업공정이나 시간을 요하게 됨은 물론 작업자가 수평부재의 끼움편을 수직부재의 슬롯에 삽입하여 결합한 후 수평부재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끼움편을 가압하여 수직부재에 밀착되도록 억지 결합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매우 좋지 않다는 문제를 유발시키게 된다.
더구나, 끼움편을 확실하기 가압하지 못하는 경우에 억지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아 수평부재가 움직이게 되므로 고정력이 떨어지게 되고, 또 끼움편을 수직부재에 밀착되도록 억지 결합하게 되면 수평부재를 수직부재에서 다시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 매우 어려움을 겪어야 하는 불합리한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본 출원인은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제반 문제를 고려하여 각 앵글에 대한 조립이나 해체작업이 간편하도록 함은 물론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무볼트 앵글 조립체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를 첨부된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방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여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슬롯(51)이 형성되는 수직 앵글(50)과, 이들 수직 앵글(50)의 슬롯(51)에 끼워져 결속되는 돌출부(61)가 타발 형성된 수평 앵글(60)과, 이 수평 앵글(60) 상에 탑재되는 선반(70)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 앵글(50)은 ㄱ자형 단면을 갖는 동시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슬롯(51) 내로 수평 앵글(60)의 돌출부(61)들이 끼워짐으로써 수직 앵글(50)과 수평 앵글(60)이 일체형으로 조립되는 것이며, 선반(70)의 설치 위치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직 앵글(50)에 형성된 슬롯(51)은 비교적 폭이 넓은 가로홈(52a)과 폭이 좁은 세로홈(52b)이 수평방향에서 서로 연이어져 형성됨과 동시에 각 수직 앵글(50)의 면에 대하여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복수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롯(51)을 이루고 있는 홈들의 경우 가로홈(52a)을 구성하는 수평부분에서 세로홈(52b) 측으로 원호면(a)과 경사면(b1)이 연이어지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세로홈(52b)을 이루는 수직면(c) 및 이 수직면(c)의 상하측에 형성되는 경사면(b2)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원호면(a)은 반경 r= 3.0㎜로 형성됨과 동시에 각각의 모서리면(d1,d2)의 반경 r= 0.2㎜, r= 0.4㎜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원호면(a)을 이어주는 일측 경사면(b1)은 수직면에 대해 각도(p1)를 9°∼10°로 하고, 타측 경사면(b2)은 수직면에 대해 각도(p2)를 2°∼3°로 구성하는 것이 각 앵글들의 조립 용이성 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평 앵글(60)은 평판형 몸체의 상측 테두리에 절곡부(62)가 형성되어 선반(70)을 지지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양 가장자리의 일측 전면부에 돌출부(61)들이 타발 성형된다.
이 돌출부(61)는 타공부의 측면에서 일체형으로 돌출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연결편(63a) 및 이 연결편(63a)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지지편(63b)으로 이루어지며, 수평 앵글(60)의 양단에 각각 4개를 1조로 형성되어 수직 앵글(50)의 슬롯(51)에 탈,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수평 앵글(60)에 형성된 4개의 돌출부(61)들이 수직 앵글(50)의 슬롯(51) 내로 조립되었을 때 각 원호면(a)의 구간에서 수평방향으로의 횡력이 작용하면서 좌,우를 잡아주게 되고, 또 연결편(63a)이 경사면(b1,b2) 측으로 진입하면서 자연스럽게 좌,우로 벌어지는 작용을 행하게 됨과 동시에 돌출부(61)의 지지편(63b)에 의해 유지된다.
상기 수직 앵글(50)에 있어서의 슬롯(51)을 구성하는 원호면(a)이나 경사면(b1,b2)이 설정된 값을 벗어나는 경우, 수평 앵글(60)의 돌출부(61)가 수직 앵글(50)의 슬롯(51) 내로 결속되는 과정에서 모서리 부분에 의해 세로홈(52b) 내로 유연하게 진입하지 못하게 되고, 또 돌출부(61)의 연결편(63a)이 세로홈(52b)의 하측 끝단부까지 위치하지 못하게 되어 결속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수직 앵글(50)과 수평 앵글(60) 간의 조립시에 4개의 돌출부(61)들이 상,하 한쌍으로 이루어진 슬롯(51) 내로 동시에 삽입되면서 가로홈(52a) 및 세로홈(52b)을 통해 결속된다.
즉, 각각의 돌출부(61) 들이 슬롯(51) 내로 끼워 넣어짐과 동시에 하측으로 밀어내림에 따라 돌출부(61)의 연결편(63a)이 세로홈(52b) 내로 밀려 들어가게 된다.
이 때, 수평 앵글(60)에 형성된 4개의 연결편(63a)이 세로홈(52b)으로 끼워지는 과정에서 연결편(63a)이 경사면(b1,b2) 쪽으로 진입함과 동시에 세로홈(52b)에 형성된 수직면(c)과 경사면(b1,b2) 및 모서리면(d1,d2)의 상호 작용에 의해 좌우로 벌어지게 되고, 또 슬롯(51)의 원호면(a)들에 의해 연결편(63a)의 상단부 측에 수평방향으로의 횡력이 작용함에 따라 좌,우측을 잡아줌에 따라 견고하게 고정된다.
즉, 수직 앵글(50)과 수평 앵글(60)의 조립시 양측 8개의 돌출부(61)에 각각의 횡력이 가해져 연결부(63a)를 압착시키게 됨은 물론 슬롯(51)의 경사면(b1,b2)에 의한 쐐기작용 및 돌출부(61)의 지지편(63b)에 의한 상호 연동으로 인해 수직 앵글(50)에 조립된 수평 앵글(60)의 유동성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선반(70)에 탑재되는 각종 물품의 자중(自重)으로 인해 소정 하중을 받게 되면 수평 앵글(60)의 돌출부(61)들이 점점 더 벌어지려는 힘을 받게 되므로 더욱 안정적인 결속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수직 앵글(50)의 슬롯(51) 내에 수평 앵글(60)의 돌출부(61)가 수용되어 결속되는 구조, 즉 슬롯(51)을 구성하는 세로홈(52b) 내로 돌출부(61)를 구성하는 연결편(63a)이 끼워지면서 경사면(b1,b2)을 타고 안착되어 돌출부(61)의 지지편(63b)에 의해 유지됨과 동시에 원호면(a)에 의한 횡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된 것이므로 수직 앵글(50)과 수평 앵글(60)은 서로 결속된 상태에서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의 유동이 발생하지 않고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앵글(50)의 슬롯(51) 내로 수평 앵글(60)의 돌출부(61)가 삽입됨과 동시에 아래쪽으로 밀어내리기만 하면 자연스럽게 연결편(63a)이 세로홈(52b) 내에 걸림 고정되는 것이므로, 수직 앵글(50)과 수평 앵글(60) 간의 결합작업을 손쉽게 할 수 있어 조립식 앵글의 전반적인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네 모퉁이에 각각 세워지는 각 수직 앵글(50)에 사각틀 형태로 수평 앵글(60)을 모두 결속시킴에 따라 수직 앵글(50)과 수평 앵글(60) 간의 무볼트 앵글 조립체를 완성할 수 있는 것이며, 해체시에는 수직 앵글(50)으로부터 수평 앵글(60)을 위로 들어올려 슬롯(51)으로부터 돌출부(61)를 쉽게 분리해 낼 수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볼트 앵글 조립체에 의하면, 수직 앵글에 형성된 4개의 슬롯 내로 수평 앵글의 돌출부가 각각 삽입되는 과정에서 좌,우측에서 벌려서 잡아주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횡력이나 하중에 대한 대응이 가능하며, 슬롯에 형성된 경사면을 통해 돌출부가 좌,우로 점차 벌어지면서 조립됨에 따라 결속력을 더욱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직 앵글의 슬롯 및 수평 앵글의 돌출부를 위,아래 구분없이 양 방향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4개의 원호면 구간에서 좌,우를 잡아주고 경사면을 갖는 4개의 세로홈 구간에서 좌,우로 벌려주면서 돌출부의 지지편에 의해 유지되는 방식을 채택함에 따라 조립시의 간섭을 최소로 하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수직 및 수평 앵글에 대한 성형이 간편하여 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임은 물론 종전에 비해 사용자에게 싼 값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잇점을 가지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되었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50: 수직 앵글 51: 슬롯
52a: 가로홈 52b: 세로홈
60: 수평 앵글 61: 돌출부
62: 절곡부 63a: 연결편
63b: 지지편 70: 선반
a: 원호면 b1,b2: 경사면
c: 수직면 d1,d2: 모서리면

Claims (3)

  1. ㄱ자형으로 절곡되어 사방 모서리 부분에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슬롯이 형성되는 수직 앵글(50)과, 이들 수직 앵글의 슬롯에 끼워져 결속되는 돌출편이 타발 형성된 수평 앵글(60)과, 이 수평 앵글 상에 탑재되는 선반(70)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 앵글(50)에 형성되는 슬롯(51)은 폭이 넓은 가로홈(52a)과 폭이 좁은 세로홈(52b)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이 가로홈과 세로홈이 이어지는 부분에는 원호면(a) 및 경사면(b1)이 연이어서 형성되고 세로홈의 수직면 상하측에는 경사면(b2)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수평 앵글(60)의 돌출부(61)는 타공부분의 측면에서 일체형으로 돌출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연결편(63a) 및 이 연결편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지지편(63b)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 앵글(50)의 슬롯 내로 수평 앵글(60)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호 대칭으로 배치된 세로홈(52b) 내로 연결편(63a)이 진입하여 경사면에 의해 좌,우로 벌어짐과 동시에 지지편(63b)에 의해 유지되고, 가로홈(52a)과 세로홈(52b)이 이어지는 원호면에 수평방향으로의 횡력이 작용하여 좌,우를 잡아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볼트 앵글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 앵글(50)에 형성되는 슬롯(51)은 각 앵글의 면에 대하여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복수로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도록 수평 앵글(60)에 형성된 돌출부(61)는 4개를 1조로 하여 수직 앵글의 슬롯에 탈,부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볼트 앵글 조립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직 앵글(50)의 슬롯(51)을 구성하는 원호면(a)의 반경 r= 3.0, 모서리면(d1,d2)의 반경 r= 0.2, r= 0.4이며, 수직면에 대한 경사면(b1)의 각도(p1)는 9∼10°이고, 경사면(b2)의 각도(p2)는 2∼3°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볼트 앵글 조립체.
KR1020210071191A 2021-06-02 2021-06-02 무볼트 앵글 조립체 KR102538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191A KR102538365B1 (ko) 2021-06-02 2021-06-02 무볼트 앵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191A KR102538365B1 (ko) 2021-06-02 2021-06-02 무볼트 앵글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937A KR20220162937A (ko) 2022-12-09
KR102538365B1 true KR102538365B1 (ko) 2023-05-30

Family

ID=84440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1191A KR102538365B1 (ko) 2021-06-02 2021-06-02 무볼트 앵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836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5414A (ja) 2001-09-25 2003-04-03 Sanshin Kinzoku Kogyo Kk 収納用ラック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407Y1 (ko) * 2012-09-26 2014-07-02 임서용 조립식 앵글 선반
KR101775656B1 (ko) 2016-03-31 2017-09-06 (주)영진산업 무볼트 조립식 앵글 어셈블리
KR20170003860U (ko) * 2016-05-03 2017-11-14 이영욱 집기의 부재 결합구조
KR20170004027U (ko) * 2016-05-19 2017-11-29 성원제이에스(주) 무볼트 조립식 선반
KR101840257B1 (ko) 2016-11-09 2018-03-20 김선태 조립식 앵글
KR102075150B1 (ko) 2019-05-17 2020-02-10 (주)태보산업 무볼트 조립식 앵글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앵글 조립체
KR102319236B1 (ko) * 2019-06-11 2021-11-04 주식회사 수나비 조립이 간편하고 견고한 가구용 프레임
KR20210021433A (ko) 2019-08-18 2021-02-26 (주)세민 조립식 선반용 가로 앵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5414A (ja) 2001-09-25 2003-04-03 Sanshin Kinzoku Kogyo Kk 収納用ラ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937A (ko) 2022-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1528B2 (en) Connecting structure for sectional rack
KR102538365B1 (ko) 무볼트 앵글 조립체
KR102444002B1 (ko) 무볼트 타입 조립식 앵글
KR100951363B1 (ko) 파티션의 하부서포트
KR101448604B1 (ko) 모듈러 건축물용 모듈 유닛
KR100926148B1 (ko) 벽체 거푸집과 슬라브 거푸집 연결구
CN110720764B (zh) 一种多功能组装式货架
JP3813976B1 (ja) クサビ式組立て構造
KR102167031B1 (ko) 농산업용 조립식 테이블
KR101990044B1 (ko) 조립식 선반 어셈블리
JP2017008484A (ja) 腰壁パネル固定構造
KR101926476B1 (ko) 건축물의 수직 패널
KR20230148571A (ko) 물품 보관용 선반 조립체
KR100575597B1 (ko) 조립식 선반틀
CN215671856U (zh) 一种面板支撑内骨架及门
CN216949279U (zh) 一种便于拼接的龙骨
KR200301876Y1 (ko) 조립식 수납장
KR200474075Y1 (ko) 가구용 프레임 결합구조
CN218437653U (zh) 一种幕墙立柱和横梁的连接结构
CN213508876U (zh) 双层装配式室外门厅
CN214575956U (zh) 一种预制的多面体房屋建筑构件
CN211007792U (zh) 一种装配式综合展厅
CN209892573U (zh) 一种货架的立柱连接结构
KR200356493Y1 (ko) 안치단의 구조
JPS631835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