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027U - 무볼트 조립식 선반 - Google Patents

무볼트 조립식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027U
KR20170004027U KR2020160002738U KR20160002738U KR20170004027U KR 20170004027 U KR20170004027 U KR 20170004027U KR 2020160002738 U KR2020160002738 U KR 2020160002738U KR 20160002738 U KR20160002738 U KR 20160002738U KR 20170004027 U KR20170004027 U KR 2017000402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column
right ends
vertical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7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성계
Original Assignee
성원제이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원제이에스(주) filed Critical 성원제이에스(주)
Priority to KR20201600027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4027U/ko
Publication of KR201700040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02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91Modular arrangements of similar assemblies of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47B57/1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hooks coacting with open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3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grooved or notched ledges, uprights or side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4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hooks coacting with open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볼트나 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기둥과 가로 및 세로 연결대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되 선반의 전면(前面)에 상호 결합을 위한 구멍이나 홈 또는 돌기가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선반을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에 설치하여 사용하더라도 우수한 인테리어 효과를 갖도록 한 것으로, C형 단면형태를 이루어 전면(11)과 좌우 측면(12,13) 및 개방된 후면(14)을 가지며, 상기 좌우 측면(12,13)에는 상하 일정 간격으로 결합구멍(15)이 형성된 복수의 기둥(10)과; 좌,우로 이격 배치된 상기 기둥(10) 사이에 연결되도록 좌,우 양단의 외측에는 상기 기둥(10)의 좌,우 측면(12,13)에 형성된 결합구멍(15)에 결합되는 결합돌기(22)가 형성되고, 좌,우 양단의 내측에는 세로 연결대 결합구멍(24)이 형성된 가로 연결대(20)와; 상기 가로 연결대(20)의 결합구멍(24)에 결합되는 결합돌기(32)가 좌우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내측에는 상판 받침(34)이 형성된 세로 연결대(30)와; 상기 세로 연결대(30) 위에 안치되는 상판(4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무볼트 조립식 선반{A Fabricated rack without bolt and nut}
본 고안은 조립식 선반에 관한 것으로, 볼트나 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기둥과 가로 및 세로 연결대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되 선반의 전면(前面)에 상호 결합을 위한 구멍이나 홈 또는 돌기가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선반을 일반 가정의 실내에 설치하여 사용하더라도 우수한 인테리어 효과를 갖도록 하여 내구성이 우수하고 수납효율이 우수하면서도 가격이 저렴한 실용적인 가구를 찾는 이들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앵글 선반은 복수의 결합구멍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대략"ㄱ"형태를 갖는 앵글을 가로와 세로로 위치시킨 후 연결부분을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여 선반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선반은 가격이 저렴하고 해체가능하며, 수납효율이 우수하고 구조가 견고하다는 장점은 있지만 그 외관이 공장이나 창고 등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므로 이를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수납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디자인적으로 이질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가정이나 사무실의 인테리어와 조화를 이루지 못하여 사용 장소나 용도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1 내지 4에 개시된 바와 같은 무볼트 조립방식의 선반이 개발되어 사용되고는 있으나, 이 또한 여전히 미관이 수려하지 않고 거친 문제점이 있는데,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내지 4에는 공통으로 기둥 부분에 일정간격으로 천공된 구멍이 시각적으로 거슬리며, 특허문헌 1과 특허문헌 3 및 특허문헌 4는 기둥에 가로 및 세로 연결대가 결합된 부위가 단차가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결합구조가 정면으로 노출되어 미관을 저해하는 주된 요소이므로 디자인적으로 이 부분의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국등록실용 제20-0473792호(2014.07.23.등록) 무볼트 조립식 앵글 구조 한국등록특허 제10-1387645호(2014.04.15.등록) 조립식 앵글 및 그 제작방법 한국등록실용 제20-0473407호(2014.06.25.등록) 조립식 앵글 선반 한국등록특허 제10-1391455호(2014.04.25.등록) 무볼트 조립식 선반 및 이를 이용한 무볼트 조립식 선반의 조립방법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무볼트 조립식 앵글(선반)의 조립 구조와 외관을 개선하여 공장이나 창고는 물론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수납용으로 사용하더라도 실내 인테리어와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용성과 미관을 모두 갖춘 실속있는 수납 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C형 단면형태를 이루어 전면과 좌우 측면 및 개방된 후면을 가지며, 상기 좌우 측면에는 상하 일정 간격으로 결합구멍이 형성된 복수의 기둥과; 좌,우로 이격 배치된 상기 기둥 사이에 연결되도록 좌,우 양단의 외측에는 상기 기둥의 좌,우 측면에 형성된 결합구멍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좌,우 양단의 내측에는 세로 연결대 결합구멍이 형성된 가로 연결대와; 상기 가로 연결대의 결합구멍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좌우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내측에는 상판 받침이 형성된 세로 연결대와; 상기 세로 연결대 위에 안치되는 상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볼트 조립식 선반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하면 기둥의 전면(前面)에 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선반의 외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기둥 전면이 깔끔하고 매끄러운 상태를 이루게 되어 일반 공장이나 창고 등에서 사용되는 기존 선반의 거친 디자인과는 달리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수납가구로 사용하더라도 실내 인테리어와 조화를 이룰 수 있어 저렴하면서도 견고한 실속있는 수납가구로 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의한 무볼트 조립식 선반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볼트 조립식 선반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볼트 조립식 선반의 정면도,
도 4는 기둥과 가로 연결대의 결합 부위 확대도,
도 5는 가로 연결대와 세로 연결대의 결합부위 확대도,
도 6은 좌우로 연속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단 높이가 다르게 연장한 선반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조립식 선반이 도시되어 있고, 도 4 및 도 5에는 기둥과 가로 연결대 및 가로 연결대와 세로 연결대의 결합 부위가 확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무볼트 조립식 선반(1)은 C형 단면형태를 이루어 전면(11)과 좌우 측면(12,13) 및 개방된 후면(14)을 가지며, 상기 좌우 측면(12,13)에는 상하 일정 간격으로 결합구멍(15)이 형성된 복수의 기둥(10)과;
좌,우로 이격 배치된 상기 기둥(10) 사이에 연결되도록 좌,우 양단의 외측에는 상기 기둥(10)의 좌,우 측면(12,13)에 형성된 결합구멍(15)에 결합되는 결합돌기(22)가 형성되고, 좌,우 양단의 내측에는 세로 연결대 결합구멍(24)이 형성된 가로 연결대(20)와,
상기 가로 연결대(20)의 결합구멍(24)에 결합되는 결합돌기(32)가 좌우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내측에는 상판 받침(34)이 형성된 세로 연결대(30)와;
상기 세로 연결대(30) 위에 안치되는 상판(4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부수적으로 전,후의 기둥 사이에 연결되는 보조 세로 연결대(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조 세로 연결대(30')는 가로 연결대(20) 사이에 연결되지 않고, 전,후의 기둥(10) 사이에 직접 연결되어 중간의 상판(40)을 받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기둥(10)은 선반(1)의 하단에서부터 상단까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 기둥(10)이 다른 부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면 제품의 이의 포장이 과도하게 길어지거나 커지게 되어 곤란하므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짧은 기둥(10)을 연결구(50)를 사용하여 길게 연장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선반(1)의 높이는 기둥(10)을 몇개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가에 따라 정해지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기둥(10) 하단에는 회전식 높이조절구(16)가 나사결합되어 있어 선반을 설치하고자 하는 바닥이 평탄하지 않은 경우에도 수평이 되도록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기둥(10)은 그 전면(11)이 매끄럽다. 즉, 도 3의 정면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같이 전면(前面;11)이 매끄러워 선반(1)의 미관(외관)을 해치지 않으므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수납용으로 사용하더라도 실내 인테리어와 조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전방으로 노출되는 가로 연결대(20)도 전면이 매끄러운 상태여서 선반(1)의 외관이 깔끔하고, 기둥(10)과 가로 연결대(20) 및 세로 연결대(30)와 상판(40)을 모두 다양한 색상으로 분체 도장(塗裝)함으로써 고급스러운 느낌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선반(1)에서 기둥(10)은 타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구멍(15)이 좌,우 측면(12,13)에 형성되어 있고, 후면(14)은 중간 부분이 상하로 길게 개방되어 있는데, 상기 좌,우 측면(12,13)과 후면(14)은 시각적으로 외부로 크게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외부에서는 기둥(10)의 전면(11)이 두드러지게 노출되게 되므로 이 전면(11)의 형태가 선반의 외관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되는바, 기존의 L형 앵글이나 C자형 단면 형태로 이루어진 기둥을 이용한 선반에서는 전면과 측면에 모두 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선반의 외관이 제조업체의 공장이나 창고 등에서 사용되는 기능성 위주의 선반과 같아서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투박하고 거친 문제점이 있었던 반면, 본 고안은 선반의 외관을 결정하는 기둥의 전면(11)이 매끄러운 상태를 이룸으로써 간결하고 세련된 디자인을 갖추게 되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기둥(10)은 C형 단면 형태를 이루므로 휨이나 비틀림에 대한 강성이 크고, 그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경량화가 가능하다.
상기 기둥(10)의 좌,우 측면(12,13)에 형성된 결합구멍(15)은 대체로 상광하협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부는 넓은 폭을 갖고 하부는 상대적으로 좁은 2단형 즉, T자 형태의 구멍을 이루고 있으며, 폭이 넓은 상부의 구멍을 통해 가로 연결대(20)의 결합돌기(22)를 끼워서 폭이 좁은 하부로 눌러 내리게 되면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며, 분해시에는 가로 연결대(20)를 다시 상부측으로 밀어 올리면 결합구멍(15)의 하부 측에 밀착된 상태로 끼워져 있던 결합돌기(22)가 상부로 올라가 이탈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별도의 볼트나 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즉, 무볼트 방식으로 조립이 가능하게 되므로 고무망치 등을 사용하여 간편하게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기둥(10)의 상단에는 합성수지재 캡(17)을 씌워서 마감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가로 연결대(20)는 C형강의 좌,우측 양단에 장방형의 판체가 용접된 것으로, 좌,우 양단의 판체 외측에는 상기 기둥(10)의 좌,우 측면(12,13)에 형성된 결합구멍(15)에 결합되는 결합돌기(22)가 형성되고, 좌,우 양단의 내측에는 세로 연결대 결합구멍(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돌기(22)는 판체에서 프레스 성형되어 내측은 판체에 연결되고 외측은 판체로부터 부분적으로 절단되어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벤딩되어 좌우측으로 벌어진 상태를 이루게 됨으로써 기둥(10)의 좌,우 측면(12,13)에 형성된 결합구멍(15)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결합돌기(22)는 상,하에 일진선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되어 가로 연결대(20)가 기둥(10)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결합구멍(15)과 결합돌기(22)의 형태는 본 고안이 속한 분야에서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나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또, 상기 가로 연결대(20)의 측판 내측에는 세로 연결대(3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구멍(24)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결합구멍(24)은 기둥(10)의 좌,우 측면(12,13)에 형성된 결합구멍(15)과 동일한 형태를 이루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세로 연결대(30)는 전,후에 이격 배치된 기둥 사이에 연결되는 방식이 아니고, 전,후에 이격 배치된 기둥에 가로로 연결된 가로 연결대(20) 사이에 연결됨으로써 전,후에 이격 배치된 기둥의 외측면에 형성된 결합구멍(15)에 좌우로 연속 연결을 위한 또 다른 가로 연결대를 연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세로 연결대(30)의 좌,우 양측에 상기 가로 연결대(20)의 결합구멍(24)에 결합되는 결합돌기(32)가 형성되어 있고, 내측에는 상판 받침(34)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 중 부호 36은 세로 연결대(30)의 구조적인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측에 상기 상판 받침(34)과 반대방향으로 벤딩된 수평 절곡면으로, 이는 가로 연결대(20)의 측판에 양단이 거치되게 된다.
한편, 상판(40)은 테두리 부분이 하부 내측으로 직각 벤딩된 것으로, 상기 세로 연결대(30)의 상판 받침(34) 위에 걸쳐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조립식 선반(1)은 기둥(10)의 측면에 가로 연결대(20)가 결합되므로 종래의 무볼트 조립식 선반에서와 같이 기둥의 전면에 가로 연결대가 단차를 이루며 결합되는 것과는 전혀 다른 외관을 가지게 되는 것은 물론, 기둥의 전면(前面)에 아무런 결합구멍이나 결합돌기 등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선반의 전체적인 외관을 개선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의 선반은 앞뒤로 뒤집더라도 그 외형이 전혀 차이가 없어 앞뒤 구분없이 사용이 가능하므로 벽면에 밀착시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에 한하지 않고, 공간의 중간에 배치하여 양쪽에서 수납할 수도 있다.
또,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선반(1)은 4개의 기둥(10)을 사용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로 1열의 다층 선반으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2개의 기둥을 더 추가하는 것에 의해 2열의 다층 선반으로 확장하거나, 4개의 기둥을 더 추가하는 것에 의해 3열의 다층선반으로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며, 기둥의 높이를 달리하는 것에 의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형태의 선반으로 연출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좌우로 선반을 연속으로 연결하여 설치하는 경우 기둥의 측면은 조립식 선반의 좌,우측 양단에만 노출되므로 전혀 미관을 해칠 우려가 없다는 이점을 극대화할 수 있다.
1 : 조립식 선반
10 : 기둥
11 : 전면
12,13 : 측면
14 : 후면
15 : 결합구멍
16 : 높이조절구
17 : 캡
20 : 가로 연결대
22 : 결합돌기
24 : 결합구멍
30 : 세로 연결대
32 : 결합돌기
34 : 상판 받침
36 : 수평 절곡면
40 : 상판
50 : 연결구

Claims (5)

  1. C형 단면형태를 이루어 전면(11)과 좌우 측면(12,13) 및 개방된 후면(14)을 가지며, 상기 좌우 측면(12,13)에는 상하 일정 간격으로 결합구멍(15)이 형성된 복수의 기둥(10)과;
    좌,우로 이격 배치된 상기 기둥(10) 사이에 연결되도록 좌,우 양단의 외측에는 상기 기둥(10)의 좌,우 측면(12,13)에 형성된 결합구멍(15)에 결합되는 결합돌기(22)가 형성되고, 좌,우 양단의 내측에는 세로 연결대 결합구멍(24)이 형성된 가로 연결대(20)와;
    상기 가로 연결대(20)의 결합구멍(24)에 결합되는 결합돌기(32)가 좌우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내측에는 상판 받침(34)이 형성된 세로 연결대(30)와;
    상기 세로 연결대(30) 위에 안치되는 상판(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볼트 조립식 선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로 연결대(20)는 C형강의 좌,우측 양단에 장방형의 판체가 용접되며, 좌,우 양단의 판체 외측에는 상기 기둥(10)의 좌,우 측면(12,13)에 형성된 결합구멍(15)에 결합되는 결합돌기(22)가 형성되고, 좌,우 양단의 내측에는 세로 연결대 결합구멍(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볼트 조립식 선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22)는 상,하 일직선상으로 복수 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볼트 조립식 선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선반은 전,후의 기둥(10) 사이에 연결되는 보조 세로 연결대(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볼트 조립식 선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로 연결대(30)는 그 상측에 상기 상판 받침(34)과 반대방향으로 벤딩된 수평 절곡면(36)이 형성되어 가로 연결대(20)에 양단이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볼트 조립식 선반.
KR2020160002738U 2016-05-19 2016-05-19 무볼트 조립식 선반 KR2017000402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738U KR20170004027U (ko) 2016-05-19 2016-05-19 무볼트 조립식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738U KR20170004027U (ko) 2016-05-19 2016-05-19 무볼트 조립식 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027U true KR20170004027U (ko) 2017-11-29

Family

ID=60480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738U KR20170004027U (ko) 2016-05-19 2016-05-19 무볼트 조립식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4027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8430A (ko) * 2017-12-08 2019-06-18 박나연 조립식 랙 선반
KR102049175B1 (ko) * 2018-06-15 2020-01-08 문정희 다용도로 연출이 가능한 가변형 조립식 가구
KR20210115689A (ko) * 2020-03-16 2021-09-27 (주)스피드랙 조립식 앵글
KR102444002B1 (ko) * 2021-12-13 2022-09-16 (주)건우테크 무볼트 타입 조립식 앵글
KR20220162937A (ko) * 2021-06-02 2022-12-09 이재용 무볼트 앵글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3407A (ko) 2004-05-22 2004-08-19 박희삼 홍삼 제조 가공방법
KR20040073792A (ko) 2003-02-14 2004-08-21 오영선 제습통 수납홈을 갖는 가구용 도어
KR101387645B1 (ko) 2013-03-21 2014-04-23 (주)영진산업 조립식 앵글 및 그 제작방법
KR101391455B1 (ko) 2013-12-31 2014-05-07 유인구 무볼트 조립식 선반 및 이를 이용한 무볼트 조립식 선반의 조립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3792A (ko) 2003-02-14 2004-08-21 오영선 제습통 수납홈을 갖는 가구용 도어
KR20040073407A (ko) 2004-05-22 2004-08-19 박희삼 홍삼 제조 가공방법
KR101387645B1 (ko) 2013-03-21 2014-04-23 (주)영진산업 조립식 앵글 및 그 제작방법
KR101391455B1 (ko) 2013-12-31 2014-05-07 유인구 무볼트 조립식 선반 및 이를 이용한 무볼트 조립식 선반의 조립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8430A (ko) * 2017-12-08 2019-06-18 박나연 조립식 랙 선반
KR102049175B1 (ko) * 2018-06-15 2020-01-08 문정희 다용도로 연출이 가능한 가변형 조립식 가구
KR20210115689A (ko) * 2020-03-16 2021-09-27 (주)스피드랙 조립식 앵글
KR20220162937A (ko) * 2021-06-02 2022-12-09 이재용 무볼트 앵글 조립체
KR102444002B1 (ko) * 2021-12-13 2022-09-16 (주)건우테크 무볼트 타입 조립식 앵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4027U (ko) 무볼트 조립식 선반
JP3218606U (ja) フック体を有する組み立て式ラックフレーム構造
US5273258A (en) Corner/return construction for impact-resistant handrails
KR200494160Y1 (ko) 조립식가구용 선반조립체
KR20170057543A (ko) 모듈 결합에 의해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조립식 장식 모듈과 그 장식장
KR200492958Y1 (ko) 모듈형 정리함
KR101359491B1 (ko) 조립식 가구 시스템
KR20100021015A (ko) 선반의 기둥과 횡대의 연결구조
KR200344269Y1 (ko) 가구용 기둥체
KR101577781B1 (ko)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KR200385887Y1 (ko) 알루미늄 합금형재로 된 진열장
KR200430359Y1 (ko) 조립식가구
KR200371631Y1 (ko) 수납가구 제작용 조립체
KR200363225Y1 (ko) 조립식 침대
JP3068251U (ja) 収納棚
KR200223723Y1 (ko) 다용도 진열장 조립장치
JP3230003U (ja) 組立式ラック
KR200470612Y1 (ko) 조립식 테이블
KR102181520B1 (ko) 시스템 선반
JPH0122532Y2 (ko)
JP3162744U (ja) 組立式ラック
JPH0227796Y2 (ko)
KR101451228B1 (ko) 테이블용 지지프레임
JP3417477B2 (ja) 鋼管構造体及び陳列台
JP4170695B2 (ja) 商品陳列什器におけるフレーム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