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5656B1 - 무볼트 조립식 앵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무볼트 조립식 앵글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5656B1
KR101775656B1 KR1020160039035A KR20160039035A KR101775656B1 KR 101775656 B1 KR101775656 B1 KR 101775656B1 KR 1020160039035 A KR1020160039035 A KR 1020160039035A KR 20160039035 A KR20160039035 A KR 20160039035A KR 101775656 B1 KR101775656 B1 KR 101775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astener
angle
fastening hol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9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효기
Original Assignee
(주)영진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진산업 filed Critical (주)영진산업
Priority to KR1020160039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5656B1/ko
Priority to PCT/KR2016/007616 priority patent/WO201717114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28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metal furniture parts
    • F16B12/34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metal furniture parts using keyhole-shaped slots and pi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Abstract

본 발명은 선반, 테이블 등을 조립하는 경우 사용되는 앵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평앵글에 구비되는 체결구와, 수직앵글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구가 삽입되는 체결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체결구에는 수평앵글과 연결된 몸체와, 상기 몸체 상부와 하부에 각각 개방부를 형성하는 상부돌기와 하부돌기를 구성하여 체결공과 체결구의 접촉면적을 향상시켜 결속력을 강화시킴으로서 흔들림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볼트를 사용할 필요없어 사용자가 손쉽게 조립 할 수 있는 무볼트 조립식 앵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볼트 조립식 앵글 어셈블리{ANGLE ASSEMBLY}
본 발명은 선반, 테이블 등을 조립하는 경우 사용되는 앵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평앵글에 구비되는 체결구와, 수직앵글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구가 삽입되는 체결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체결구에는 수평앵글과 연결된 몸체와, 상기 몸체 상부와 하부에 각각 개방부를 형성하는 상부돌기와 하부돌기를 구성하여 체결공과 체결구의 접촉면적을 향상시켜 결속력을 강화시킴으로서 흔들림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볼트를 사용할 필요없어 사용자가 손쉽게 조립 할 수 있는 무볼트 조립식 앵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식장 또는 수납장, 진열장등의 제조를 위해 기존 목재등의 재료에 의한 생산보다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교적 저렴한 견고한 철제를 이용하여 수직앵글체와 선반체로 되는 각각의 부속품을 결합수단 등으로 상호 조립, 벽면체등에 입설 조립하여 조립의 간편화와 이동시 분해가 가능함과 사용상 편의성 등에 의해 공장내의 부품 진열장이나 대형마트등의 상품진열장등에 주로 조립/설치되어 사용되고 있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
이와같은 조립식 앵글은 적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의 지점으로부터 각각 입설되는 수직앵글과 상기 각각의 수직앵글을 횡간, 구획하여 상품이나 물품등을 적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평앵글이 구비된 선반체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앵글과 수평앵글 사이에 각각 천공된 통공 사이로 볼트와 너트등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체결 조립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228609호 『조립식 앵글 선반 결합구조』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사방으로 활개편이 일체로 절곡 성형되고 중앙으로 돌출되어 그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면으로 길게 결합공이 천공되는 조립구와, 상기 조립구의 공간부내에서 소정간격 유동가능하도록 삽치되며, 중앙으로 볼트공이 천공되는 사각면체의 너트구와, 얇은 헤드부를 갖고 그 하방으로 나사부가 형성되되, 헤드부와 나사부 내부로 천설되는 다각형상의 머리홈을 갖는 볼트에 의해, 상기 너트구가 조립구내에 삽치되고, 조립구 각각의 활개편이 선반체 홈의 내주면에 용착고정되어 선반체와 수직앵글체의 조립시, 상기 볼트와 너트구간을 고정결합하도록 하여 이루어지는 조립식 앵글 선반 결합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334180호 『하이퍼 조립식 앵글 진열대』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측면에 다수개의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기둥 및 다수개의 상기 기둥 사이에 수평빔 형태로 연결되며 측면에는 상기 삽입홈에 대응되어 연결되는 다수개의 후크가 일체로 형성되어 금형처리된 고정빔으로 구성되어 박스형상으로 조립되는 하이퍼 조립식 앵글 진열대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두 종래기술은 앵글을 조립함에 있어,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조립할 때 드라이버, 드릴 등의 작업공구를 이용하여야 함으로서, 공구의 사용이 미숙한 사용자는 쉽게 조립하기 어려우며 볼트가 분실되면 조립을 완성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볼트의 헤드부가 외부로 돌출됨에 따라 미관이 수려하지 못하고, 볼트가 외부 충격에 의해 풀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246071호 『조립식 앵글』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각각 동일한 걸림홈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가로부와 이에 직각하는 세로부로 구성된 4개의 포스트와, 상면 및 측면과, 상기 상면 및 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홈과, 양 측면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하부와, 상기 상면의 하부 중앙에 형성되는 겹침부로 구성된 지지보드와,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에 직각하는 수평부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부 및 수평부의 양 가장자리에는 리벳이 고정되며, 상기 수직부 및 수평부에 고정된 리벳의 내측에는 또 다른 리벳 또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지지대로 구성된 조립식 앵글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지는 않으나, 리벳이 걸림홈에 결합되어 고정하는 방식으로 접촉면적이 작아 결속력이 약해 쉽게 흔들려서 안정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아울러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04-0017590호 『조립식 앵글』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볼트, 너트 결합이 이루어지는 앵글홈의 중앙을 외측방향으로 크게 하여 볼트, 너트 체결상태에서 관통하도록 하여 앵글 조립을 신속, 간편하게 하는 조립식 앵글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볼트와 너트를 체결한 후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으로서,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는 종래의 기술과 유사하고, 이에 따라 별도의 작업공구가 필요하며, 볼트 또는 너트 또는 이들 모두가 분실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무볼트 조립식 앵글 어셈블리에 있어서,
수평앵글에는 체결구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구가 결합되도록 수직앵글에 체결공을 형성하되, 상기 체결구를 수평앵글에 연결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상부와 하부에 각각 개방부를 형성하는 상부돌기와 하부돌기로 구성하여 체결구가 체결공에 삽입될 때 몸체에 의해 체결구와 체결공 간의 접촉면적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무볼트 조립식 앵글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공에 체결구를 삽입하여 고정함에 따라 볼트와 같은 고정장치가 구비될 필요가 없는 무볼트 조립식 앵글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체결구에 형성되는 연결부를 사선부와 직선부로 구성하거나, 상기 체결공의 경계부를 직선경계부와 사선경계부로 구성하여 체결구를 체결공에 보다 손쉽게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무볼트 조립식 앵글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체결공에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고정공을 구성하여 체결공에 삽입된 체결구가 하강함에 따라 체결구가 구비된 수평앵글에 가해지는 하중 또는 외부 힘에 의해 체결구가 고정공에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구성한 무볼트 조립식 앵글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볼트 조립식 앵글 어셈블리는
수평앵글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수평앵글에 연결되어 돌출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수평앵글과 이격되도록 상부개방부 및 하부개방부를 각각 형성하는 상부돌기와 하부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체결구;
상기 수평앵글에 결합되는 수직앵글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가 삽입되는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돌기와 하부돌기가 각각 삽입되는 상부관통공과 하부관통공 및 상기 하부관통공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가 삽입고정되는 고정공을 포함하는 체결공;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체결구가 체결공에 삽입되어 하강하여 고정됨으로서, 수평앵글과 수직앵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볼트 조립식 앵글 어셈블리는 수평앵글에 구비되는 체결구와 수직앵글에 구비되는 체결공을 상호간에 연결하여 수평앵글과 수직앵글을 결합함으로서 볼트를 이용할 필요가 없어 볼트가 분실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드릴, 드라이버 등의 작업공구가 필요하지 않아 조립 및 분리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체결구를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체결공에 삽입될 때 몸체 전체가 체결공에 접촉함에 따라 접촉면적 증가로 결속력이 증가되고, 이에 따라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아 내구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속력 증가로 체결공 및 체결구를 하나만 사용하여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가공공정을 보다 간소화 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체결공에 사선경계부를 더 구성하여 체결구가 체결공 내에서 하강할 때 보다 자연스럽게 하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도록 하여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체결공에 구비되는 고정공이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게 구성됨에 하중 또는 외부 힘에 의해 체결구가 억지끼움될 수 있어 내구성 및 결합안정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앵글 어셈블리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구의 확대도 및 변형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공의 확대도 및 변형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앵글 어셈블리의 결합 과정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앵글 어셈블리의 변형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무볼트 조립식 앵글 어셈블리(A)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앵글(A1)에 구비되는 체결구(10) 및 수직앵글(A2)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구(10)가 삽입되는 체결공(20)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수직앵글(A2)과 수평앵글(A1)은 각각 복수개로 구비되어 조립됨에 따라 선반, 테이블 등의 가구를 조립식으로 만들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평앵글(A1)에는 지지판 등이 결합되어 하나의 앵글선반 등을 만들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본 발명은 이러한 수평앵글(A1)과 수직앵글(A2)을 상호간에 결합하는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체결구(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앵글(A1)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상부돌기(13)와 하부돌기(15)로 이루어지게 된다.
먼저 상기 체결구(10)는 상기 수평앵글(A1)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절개부(17)를 형성한 후에 체결구(10)의 후면에서 몸체(11)가 상기 수평앵글(A1)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프레스 가공하여 몸체(11)를 성형한다. 이 때 상기 몸체(11)는 상기 수평앵글(A1)과 수직된 방향으로 형성하게 되며, 다시 말해 상기 체결구(10)를 전면에서 보았을 때 가로 폭 보다 세로 폭이 더 길게 형성되어 수평앵글과의 연결면을 증가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몸체(11)가 수평앵글(A1)의 전면부로 돌출되면, 상기 몸체(11)와 수평앵글(A1)이 연결되는 연결부(111)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111)는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다시 상기 몸체(11)의 상부에는 상부돌기(13)가 형성되게 되는데, 상기 상부돌기(13)는 절개부(17)에 의해 상기 수평앵글(A1)과는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렇게 상부돌기(13)가 수평앵글(A1)과 이격됨에 따라 상부개방부(133)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돌기(13)는 상기 몸체(11)의 가로 직경보다 더 긴 가로직경을 같도록 상부지지돌기(131)를 양측에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상부지지돌기(131)는 후술하는 체결공(20)의 가장자리 전면부에 위치하여 체결구(10)가 체결공(20)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몸체(11)의 하부에는 상기 상부돌기(13)와 동일한 형상의 하부돌기(15)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하부돌기(15)로 인하여 하부개방부(153)가 형성되게 되고, 하부돌기(15)에는 상부돌기(13)와 마찬가지로 하부지지돌기(151)가 구비되어 있고, 이는 앞서 언급한 상부지지돌기(131)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 2의 일점쇄선은 상기 체결구(10)의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몸체(11)와 수평앵커가 연결되는 연결부(111)는 3가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첫 번째 일점쇄선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111)는 사선부(111A)와 직선부(111B)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결부(111)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상기 몸체(11)의 직경을 감소시키는 사선부(111A)와, 상기 사선부(111A) 하부에 구비되어 몸체(11)의 직경을 동일하게 유지시키는 직선부(11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상기 체결구(10)가 체결공(20)에 삽입되는 경우, 보다 용이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체결구(10)는 상기 체결공(20)에 삽입된 후 하강하게 되는데, 상기 직선부(111B)와 사선부(111A), 특히 상부로 갈수록 점차 몸체(11)의 직경이 커지도록 구비되는 사선부(111A)에 의해, 체결구(10)의 체결공(20) 내에서의 하강을 보다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몸체(11)의 직경이 커지는 몸체(11)의 상부에 의하여 체결공(20)의 가장자리에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이러한 연결부(111)는 나머지 두 개의 일점쇄선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선부(111A)로만 이루어지거나, 직선부(111B)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러나 사선부(111A)로만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몸체(11)의 하부 부분 직경이 너무 작아 결합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직선부(111B)로만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자연스럽게 하강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직선부(111B)와 사선부(111A)가 함께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이러한 체결구(10)는 수직앵글(A2)에 구비되는 체결공(20)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체결공(20)의 후면으로 삽입되어 체결공(20)에 전면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서, 도 1 및 도 3을 참고하여 상기 체결공(2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체결공(20)은 수직앵글(A2)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앵글(A2)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공(20)이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결합하고자 하는 체결공(20)을 선택하여 체결구(10)를 결합함에 따라 조립되는 선반 등의 높낮이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다시 상기 체결공(20)은 삽입공(21)과 상기 삽입공(21)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상부관통공(23)과 하부관통공(25)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상부관통공(23)과 하부관통공(25)은 상기 삽입공(21)과 연통되는 것으로서, 상기 체결구(10)의 형상과 유사하게 상기 상부관통공(23)과 하부관통공(25)은 상기 삽입공(21)의 가로방향 직경보다 더 크게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체결구(10)를 상기 체결공(20)에 삽입할 때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는 삽입공(21)을 관통하고, 상부돌기(13)는 상부관통공(23)을 관통하며 하부돌기(15)는 하부관통공(25)을 관통함으로서, 체결구(10)가 체결공(20) 전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삽입공(21)의 양측에는 상기 체결구(10)의 몸체(11)와 밀착될 수 있는 경계부(211)가 형성되어 있는데, 도 3의 일점쇄선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계부(211)는 상기 체결구(10)와 유사하게 3가지 형상의 실시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경계부(211)는 직선경계부(211A)와, 상기 직선경계부(211A) 하부에 형성되어 하부로 갈수록 점차 삽입공(21)의 직경을 감소시키는 사선경계부(21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구(10)가 체결공(20)을 관통하여 위치하고, 체결구(10)를 하강시키게 되면, 직경이 큰 직선경계부(211A)에 의해 체결구(10)가 체결공(20)에 관통이 용이하고, 하강함에 따라 사선경계부(211B)에 의해 몸체(11)의 연결부(111)가 상기 삽입공(21)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경계부(211)를 사선경계부(211B)로만 형성하거나 직선경계부(211A)로만 형성할 수 있는데, 사선경계부(211B)로만 형성하는 경우, 체결구(10) 상부부분과 틈새가 많이 벌어져 견고하게 결합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직선경계부(211A)로만 형성하는 경우에는 체결구(10)가 하강하는 것을 방해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함으로서, 사선경계부(211B)와 직선경계부(211A)가 함께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아울러 상기 체결공(20)에 관통된 체결구(10)가 하강하여 고정되는 고정공(27)이 상기 하부관통공(25) 하부에 구비되어 하강된 체결구(10)의 하부돌기(15)가 위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고정공(27)은 상기 하부관통공(25)과 연통되는 것으로서 체결구(10)가 하강 하는 지점으로, 상기 고정공(27)은 하부로 점차 직경이 감소하도록 이루어져 체결구(10), 특히 체결구(10)의 몸체(11)가 상기 고정공(27)에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된 결합과정을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체결구(10)는 상기 체결공(2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삽입되며, 이 때 상부돌기(13)는 상부관통공(23)에, 몸체(11)는 삽입공(21)에, 하부돌기(15)는 하부관통공(25)에 삽입된다.
이렇게 삽입된 체결구(10)는 체결공(20)과의 고정을 위하여 하부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상부돌기(13)의 상부지지돌기(131)는 상기 삽입공(21) 양측에 전면에 위치하고, 하부돌기(15)의 하부지지돌기(151)가 고정공(27) 양측 전면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져 체결구(10)가 체결공(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공(27)의 하부 직경이 고정공(27)의 상부 직경보다 감소함에 따라 상기 몸체(11)의 하단부가 상기 고정공(27)의 하단부에 밀착되지 않게 되는데, 이는 가조립을 위한 단계로서, 사용자가 임시적으로 조립해 본 후 구조 변경이 필요하면 쉽게 분리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만약 가조립 상태에서 변경 사항이 없을 경우에는 도 4[C]와 같이 본조립을 하게 된다.
즉, 본조립이랑 체결구(10)를 체결공(20)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조적으로는 상기 몸체(11)의 하단부가 상기 고정공(27)의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를 위해 상기 수평앵글(A1)의 상부에 외부힘을 가하거나, 수평앵글(A1)과 연결되는 지지판에 물건을 놓아 자연스럽게 하중에 의해 몸체(11)가 고정공(27)에 억지끼움 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억지끼움에 의하여 체결구(10)는 보다 견고하게 체결공(20)에 결합되게 되고, 내구성 및 결합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으며, 상기 몸체(11)가 고정공(27)에 억지끼움되기 위하여 고정공(27)의 하부 직경은 상기 몸체(11)와 동일하거나 조금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아울러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볼트 조립식 앵글 어셈블리(A)의 또 다른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체결구(10)가 체결공(20)을 관통되어 외부로 돌출됨에 따라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고자, 상기 수직앵글(A2)의 일측에는 커버부재(C)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체결구(10)가 삽입되면 상기 커버부재(C)에 의해 상기 체결구(10) 전면부를 덮어 숨김으로서, 조립된 선반 등의 미관이 수려해지고, 사용자가 지나가다가 옷 등이 체결구(10)에 걸려 찢어지거나 다치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무볼트 조립식 앵글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앵글 어셈블리 A1 : 수평앵글
A2 : 수직앵글 10 : 체결구
11 : 몸체 111 : 연결부
111A : 사선부 111B : 직선부
13 : 상부돌기 131 : 상부지지돌기
133 : 상부개방부 15 : 하부돌기
151 : 하부지지돌기 153 : 하부개방부
17 : 절개부 20 : 체결공
21 : 삽입공 211 : 경계부
211A : 직선경계부 211B : 사선경계부
23 : 상부관통공 25 : 하부관통공
27 : 고정공 C : 커버부재

Claims (4)

  1. 수평앵글(A1)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수평앵글(A1)에 연결되어 돌출 구비되는 몸체(11)와, 상기 몸체(11)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수평앵글(A1)과 이격되도록 상부개방부(133) 및 하부개방부(153)를 각각 형성하는 상부돌기(13)와 하부돌기(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체결구(10);
    상기 수평앵글(A1)에 결합되는 수직앵글(A2)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11)가 삽입되는 삽입공(21)과 상기 삽입공(21)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돌기(13)와 하부돌기(15)가 각각 삽입되는 상부관통공(23)과 하부관통공(25) 및 상기 하부관통공(25)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10)가 삽입고정되는 고정공(27)을 포함하는 체결공(2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돌기(13) 및 하부돌기(15)의 양측에는 상기 몸체(11)의 가로 직경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상부지지돌기(131)와 하부지지돌기(151)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10)가 체결공(20)에 삽입되어 하강하여 고정됨으로서, 수평앵글(A1)과 수직앵글(A2)이 결합되되,
    상기 체결구(10)가 상기 체결공(20)에 관통 결합되어 하강하면, 상기 상부지지돌기(131)와 하부지지돌기(15)가 각각 상기 삽입공(21) 및 고정공(27)의 양측 전면에 위치하여 체결공(20)으로부터 체결구(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볼트 조립식 앵글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10)에는
    상기 수평앵글(A1)과 몸체(11)를 연결하는 연결부(111)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111)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상기 몸체(11)의 직경을 감소시키는 사선부(111A)와, 상기 사선부(111A) 하부에 구비되는 직선부(111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볼트 조립식 앵글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20)에 형성되는 삽입공(21)에는 경계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경계부(211)는
    직선경계부(211A)와, 상기 직선경계부(211A) 하부에 형성되어 하부로 갈수록 점차 삽입공(21)의 직경을 감소시키는 사선경계부(211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볼트 조립식 앵글 어셈블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20)의 고정공(27)은
    상부에서 하부로 점차 직경이 감소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체결구(10)의 몸체(11)가 상기 고정공(27)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수직앵글(A2)의 일측에는 커버부재(C)가 더 구비되어, 상기 체결공(20)에 삽입된 체결구(10)의 전면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볼트 조립식 앵글 어셈블리.
KR1020160039035A 2016-03-31 2016-03-31 무볼트 조립식 앵글 어셈블리 KR101775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035A KR101775656B1 (ko) 2016-03-31 2016-03-31 무볼트 조립식 앵글 어셈블리
PCT/KR2016/007616 WO2017171145A1 (ko) 2016-03-31 2016-07-13 무볼트 조립식 앵글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035A KR101775656B1 (ko) 2016-03-31 2016-03-31 무볼트 조립식 앵글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5656B1 true KR101775656B1 (ko) 2017-09-06

Family

ID=59925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9035A KR101775656B1 (ko) 2016-03-31 2016-03-31 무볼트 조립식 앵글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75656B1 (ko)
WO (1) WO2017171145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7824A (ko) 2019-04-03 2020-10-14 공연호 골조공사용 가설발판 거치대
KR20210091913A (ko) * 2020-01-15 2021-07-23 (주)스피드랙 조립식 앵글 선반
KR20220162937A (ko) 2021-06-02 2022-12-09 이재용 무볼트 앵글 조립체
KR20230148571A (ko) 2022-04-18 2023-10-25 윤임식 물품 보관용 선반 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718Y1 (ko) * 2002-09-27 2003-01-08 주식회사 에몬스가구 가구의 프레임 조립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071Y1 (ko) * 1998-08-07 2001-11-16 송광열 조립식 앵글
KR20040017590A (ko) * 2002-08-22 2004-02-27 정용석 조립식 앵글
US20120193314A1 (en) * 2011-02-01 2012-08-02 Eiko (Pacific) Ltd. Shielding-Type Rack Upright Post
KR200473792Y1 (ko) * 2014-05-19 2014-08-13 고영자 무볼트 조립식 앵글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718Y1 (ko) * 2002-09-27 2003-01-08 주식회사 에몬스가구 가구의 프레임 조립 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7824A (ko) 2019-04-03 2020-10-14 공연호 골조공사용 가설발판 거치대
KR20210091913A (ko) * 2020-01-15 2021-07-23 (주)스피드랙 조립식 앵글 선반
KR102291943B1 (ko) 2020-01-15 2021-08-23 (주)스피드랙 조립식 앵글 선반
KR20220162937A (ko) 2021-06-02 2022-12-09 이재용 무볼트 앵글 조립체
KR20230148571A (ko) 2022-04-18 2023-10-25 윤임식 물품 보관용 선반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71145A1 (ko) 2017-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5656B1 (ko) 무볼트 조립식 앵글 어셈블리
US8974139B2 (en) Connector for furniture and method of frame manufacture and assembly
US6789859B1 (en) User assembled metallic cabinet
US6971528B2 (en) Connecting structure for sectional rack
KR101453493B1 (ko) 조립식 책상
WO2006115109A1 (ja) 組立て構造
KR20170000760U (ko) 무볼트 조립식 진열대
US8348210B1 (en) Positioning device for shelves
US20180080489A1 (en) Furniture assembly bracket, self-assembly furniture using same, and assembly method therefor
WO2007108601A1 (en) Under mount slide
IE922736A1 (en) Free-standing shelving system
JP3737507B1 (ja) 組立て構造
US20030075083A1 (en) Furniture product
KR101810743B1 (ko) 제작이 용이한 조립식 가구용 브라켓, 이를 이용한 가구, 및 이의 조립방법
KR101990044B1 (ko) 조립식 선반 어셈블리
JP3813976B1 (ja) クサビ式組立て構造
EP3281554B1 (en) Concealable joining system for panels of a piece of furniture or the like
KR200442669Y1 (ko) 조립식 선반의 고정구
JP4910097B2 (ja) 棚装置
KR101417479B1 (ko) 조립식 책상 구조체
CN213381456U (zh) 工具柜的组合结构
KR100597475B1 (ko) 가구 조립용 체결 장치
JP4205653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用設置台
KR100742355B1 (ko) 물품수납함
JP6539053B2 (ja) ワゴン式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