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0257B1 - 조립식 앵글 - Google Patents

조립식 앵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0257B1
KR101840257B1 KR1020160148776A KR20160148776A KR101840257B1 KR 101840257 B1 KR101840257 B1 KR 101840257B1 KR 1020160148776 A KR1020160148776 A KR 1020160148776A KR 20160148776 A KR20160148776 A KR 20160148776A KR 101840257 B1 KR101840257 B1 KR 101840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vertical frame
extension
contact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8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태
Original Assignee
김선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태 filed Critical 김선태
Priority to KR1020160148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02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A47B47/005Combination of corners and b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16Node corner connectors, e.g. cub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08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regularly perforated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선형 철골 구조물을 조립하여 입체적인 구조체를 형성하는 조립식 앵글과 관련되며, 실시예로 기둥으로 사용되는 수직프레임과, 기둥을 연결하는 수평프레임을 구비하는 조립식 앵글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은 수직으로 만나는 외판과, 상기 외판의 가장자리에서 'ㄷ' 형상으로 연결되며, 상기 외판의 길이 방향에 따라 복수의 장홀이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있는 결합편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프레임은 중앙판, 상기 중앙판의 상단과 하단에서 상기 중앙판과 수직되게 연장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의 단부에 접촉하는 연장판 및 상기 중앙판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하 한 쌍의 상기 장홀에 걸리는 한 쌍의 걸림고리를 포함하는 조립식 앵글을 제시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앵글{ASSEMBLY ANGLE}
본 발명은 직선형 철골 구조물을 조립하여 입체적인 구조체를 형성하는 조립식 앵글과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앵글은 직선형 철골 구조물로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다양한 사이즈와 형태로 선반 등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비교적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튼튼한 선반을 제작할 수 있으므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조립식 앵글은 격자형 단면을 가지며, 길이 방향에 따라 일정 간격마다 체결홀이 형성된 단일 프레임을 제공한다. 이 프레임을 필요한 만큼 잘라 사용하게 되며, 프레임과 프레임의 체결은 체결홀을 맞댄 상태에서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조립식 앵글은 외형 사이즈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내부의 선반 높이를 임의로 설계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이 있지만, 노출된 프레임마다 복수의 체결홀이 그대로 드러나므로 외관미가 매우 나빠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프레임들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홀은 공차 등을 고려하여 장홀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로 인해 볼트 체결에 의한 프레임들의 결합에 유격이 발생될 수 있으며, 조립된 앵글의 사용에 따라 하중이 가해짐에 따라 조립된 앵글이 한 쪽으로 쏠리거나 삐걱거리는 문제가 발생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3792호 (2014.07.23)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여러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 완성된 조립식 앵글의 외관미를 좋게 하고, 체결력을 개선하여 사용함에 따라 더욱 견고해지는 조립식 앵글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기둥으로 사용되는 수직프레임과, 기둥을 연결하는 수평프레임을 구비하는 조립식 앵글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은 수직으로 만나는 외판과, 상기 외판의 가장자리에서 'ㄷ' 형상으로 연결되며, 상기 외판의 길이 방향에 따라 복수의 장홀이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있는 결합편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프레임은 중앙판, 상기 중앙판의 상단과 하단에서 상기 중앙판과 수직되게 연장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의 단부에 접촉하는 연장판 및 상기 중앙판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하 한 쌍의 상기 장홀에 걸리는 한 쌍의 걸림고리를 포함하는 조립식 앵글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중앙판의 상단에서 연장된 연장판의 단부에는, 상기 연장판 위에 오르는 판부재의 단부를 가리는 가림판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홀은 하부가 상기 외판의 접선에 가깝고, 상부가 상기 접선에 멀어지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수평프레임이 하중을 받음에 따라 상기 걸림고리가 상기 장홀의 비스듬한 내면을 타고 미끄러지면서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조립 유격이 사라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완성된 조립식 앵글을 외부에서 바라볼 때에 결합을 위한 장홀이 보이지 아니하여 고급스런 연출이 가능하다.
선반으로 사용되는 판부재의 단부가 가려지므로, 판부재의 단부를 마감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설치 비용을 줄이고 편리함을 상향시킨다.
비스듬히 형성된 장홀을 채택함으로써 조립식 앵글이 가지는 유격 발생의 문제점이 해소된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앵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수직프레임과 가로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일부 분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주요부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앵글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도면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앵글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앵글(100)은 기둥으로 사용되는 수직프레임(10)과, 수평면 상에서 양 수직프레임(10)을 연결하는 수평프레임(20)을 포함한다.
도 1은 기본적인 조립식 앵글의 형태로, 4개의 수직프레임(10)과 이들을 연결하는 4개의 수평프레임(20) 및 수평프레임(20) 위에 안치되는 판부재(200)를 도시하고 있다. 판부재(200)는 수직프레임(10)과 간섭되지 않도록 모따기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수직프레임은 "T" 자형 단면을 가지는 것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이러한 "T" 자형 수직프레임을 사용함으로써, 하나의 조립식 앵글에서 5개 이상의 수직프레임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수평프레임(20)으로 형성하는 칸 수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복수가 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각 수직프레임의 하단과 상단에는 드러난 하단부에 결합되는 지지부재나 덮개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부재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볼트 지지다리를 구비할 수 있으며, 덮개부재는 수직프레임의 단면의 굴곡에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채용된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의 형상 및 결합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수직프레임(10)은 외판(11)과 결합편(12)을 포함한다.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외판(11)은 수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 드러나는 부분이다. 외판(11)에는 별도의 홀이 형성되어 있지 아니함으로써, 조립된 앵글(100)을 외부에서 볼 때에 홀 등이 드러나지 않는다.
결합편(12)은 각 외판의 가장자리에서 'ㄷ' 자 형상으로 연결되어, 양 외판(11)이 만나는 접선(111)을 향하여 안으로 말린 형태가 된다. 구체적으로 결합편이 'ㄷ' 자 형태로 접혀 형성되면서, 외판(11)과 수직인 접촉판(121)과, 외판(11)과 평행을 이루는 내측판(122)이 형성된다.
결합편(12)에는 복수의 장홀(123)이 형성되어 있다. 즉 내측판(122)에 복수의 장홀(123)이 형성되는데, 이 장홀(123)은 외판(11)의 길이 방향에 따라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다.
이러한 수직프레임(10)은 길게 제작되며, 필요에 따라 적정한 길이로 잘라 사용하게 된다.
한편 수평프레임(20)은 중앙판(21), 연장판(22) 및 걸림고리(23)를 포함한다. 나아가 연장판(22)에서 이어지는 가림판(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중앙판(21)은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양단부 각각에는 한 쌍의 걸림고리(23)가 형성된다. 중앙판(21)은 내측판(122)과 접하여 연장되고, 걸림고리(23)는 중앙판(21)에서 일측으로 꺾이면서 연장되어, 중앙판(21)과 수직을 이루게 된다.
걸림고리(23)는 상하 한 쌍이 구비되며, 이들의 간격은 결합편(12)에 형성한 장홀(123)의 이격 간격과 대응된다.
걸림고리(23)의 고리 부분은 곡면(231)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걸림고리(23)가 장홀(123)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연장판(22)은 중앙판(21)의 상단과 하단에서 중앙판(21)과 수직되게 연장된다. 연장판(22)의 방향은 걸림고리(23)의 돌출 방향과 동일하다. 이 상하의 연장판(22)은 중앙판(21)과 "ㄷ" 형상의 단면을 이루는 것으로, ㄷ자 형상의 함몰되는 부분이 외측으로 향하도록 배치되며, 수평프레임(20)의 강성을 크게 증대시킨다.
나아가 연장판(22)의 길이는 중앙판(21)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는데, 연장판(22)의 단부는 수직프레임(10)의 단부(정확히는 접촉판(121))와 접하여, 앵글(100)의 조립성을 개선 시키며 외관미를 좋게 한다.
추가적인 구성으로 가림판(24)은, 중앙판(21)의 상단에서 연장된 연장판(22)의 단부와 이어진다. 상부의 연장판(22)과 가림판(24)은 수직 관계를 이루며, 이 연장판(22)과 가림판(24)이 형성하는 격자 구조에 선반을 이루는 판부재(200)가 오르게 된다. 이로써 가림판(24)은 판부재(200)의 단부를 가려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하고, 사용자는 다소 거칠게 마감된 판부재(200)를 추가적인 표면 처리 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림판(24)은 수평프레임(20)에 추가적인 굴곡을 형성하게 되므로, 수평프레임(20)의 강성이 더욱 증가된다. 가림판(24)의 길이는 연장판(22)과 동일함으로써, 앵글(100)의 조립 시에 연장판(22)과 마찬가지로 수직프레임(10)의 단부에 접촉하게 된다.
나아가 앵글(100)을 조립하였을 때에, 가림판(24)이 수직프레임(10)의 외판(11)과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함으로써, 완성된 앵글의 외관을 더욱 좋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수평프레임(20)은 다양한 길이로 미리 제작하였다가 사용자의 요구에 맞추어 제공된다.
도 5는 장홀의 형상에 따른 앵글이 결합 구조와 관련된다.
수직프레임(10)에 형성된 각 장홀(123)은 비스듬히 기울어진 상태로 형성된다.
외판들(11)이 수직으로 연결되는 접선(도 2의 111)을 기준으로 하여, 장홀(123)의 하부는 접선(111)에 가깝고, 장홀(123)의 상부는 접선(111)과 멀어지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이때 기울어진 각도(A)는 2° 내지 5°로 할 수 있다.
장홀(123)에 걸쳐진 걸림고리(23)는, 수평프레임(20)의 하중이나 수평프레임 위에 설치되는 판부재나 보관물의 하중에 의하여, 아래를 향하여 눌리게 된다. 이때 장홀(123)을 통과하는 걸림고리(23)가 경사진 장홀(123)의 비스듬한 내면(123a)을 타고 미끄러지게 되며,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도 5의 확대도 중 블록 화살표 참고).
이로써 수평프레임(20)은 양쪽으로 잡아당기는 힘을 받게 되며, 걸림고리(23)는 장홀(123)의 바닥을 향하여 견고히 눌려지면서, 수평프레임(20)의 연장판(22)과 가림판(24)이 수직프레임(10)의 단부를 더욱 견고하게 밀어주게 된다. 이와 같이, 장홀(123)과 걸림고리(23)의 결합 및 수직프레임(10)의 접촉판(121)과 수평프레임(20)의 단부와의 접촉에서 빈틈이 없어지므로, 조립식 앵글(100)의 조립 유격이 사라지게 된다.
이러한 작용은 완성된 앵글(100)에 무거운 보관물을 올려놓으면, 수평프레임(20)에 가해지는 하중의 증가에 따라 가중되는 것이어서, 오랜 사용에도 불구하고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 간의 유격에 따른 흔들림이나, 그에 따른 마모의 염려가 해소된다.
100 : 앵글
10 : 수직프레임
11 : 외판 111 : 접선
12 : 결합편 121 : 접촉판 122 : 내측판
123 : 장홀 123a : 내면 A : 각도
20 : 수평프레임
21 : 중앙판 22 : 연장판 23 : 걸림고리 231 : 곡면 24 : 가림판
200 : 판부재

Claims (3)

  1. 기둥으로 사용되는 수직프레임과, 기둥을 연결하는 수평프레임을 구비하는 조립식 앵글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은
    수직으로 만나는 외판과,
    상기 외판의 가장자리에서 'ㄷ' 형상으로 연결되며, 상기 외판의 길이 방향에 따라 복수의 장홀이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있는 결합편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프레임은
    중앙판,
    상기 중앙판의 상단과 하단에서 상기 중앙판과 수직되게 연장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의 단부에 접촉하는 연장판 및
    상기 중앙판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하 한 쌍의 상기 장홀에 걸리는 한 쌍의 걸림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프레임의 결합편은 상기 외판과 수직인 접촉판 및 상기 외판과 평행을 이루는 내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판과 상기 상하의 연장판은, 'ㄷ'자 형상의 단면을 이루고,
    ㄷ자 형상의 함몰되는 부분이 외측으로 향하도록 배치되면서 상기 연장판의 길이 방향의 단부는 상기 접촉판과 접하고,
    상기 중앙판은 상기 내측판과 접하여 연장되고 상기 걸림고리는 상기 중앙판에서 수직으로 꺾이면서 상기 결합편의 상기 장홀에 걸리며,
    상기 중앙판의 상단에서 연장된 연장판의 단부에는, 상기 연장판 위에 오르는 판부재의 단부를 가리는 가림판이 연결되고,
    상기 가림판은 상기 연장판의 단부와 이어져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림판의 길이 방향의 단부는 상기 접촉판과 접하며,
    상기 중앙판의 상단에서 연장된 연장판에는 상기 수직프레임과 간섭되지 않도록 모따기된 판부재가 오르는
    조립식 앵글.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장홀은 하부가 상기 외판의 접선에 가깝고, 상부가 상기 접선에 멀어지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수평프레임이 하중을 받음에 따라 상기 걸림고리가 상기 장홀의 비스듬한 내면을 타고 미끄러지면서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조립 유격이 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앵글.
KR1020160148776A 2016-11-09 2016-11-09 조립식 앵글 KR101840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776A KR101840257B1 (ko) 2016-11-09 2016-11-09 조립식 앵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776A KR101840257B1 (ko) 2016-11-09 2016-11-09 조립식 앵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0257B1 true KR101840257B1 (ko) 2018-03-20

Family

ID=61910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8776A KR101840257B1 (ko) 2016-11-09 2016-11-09 조립식 앵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025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9786A (ko) 2019-07-08 2019-07-31 김영철 조립식 선반
KR20210024939A (ko) 2019-08-26 2021-03-08 (주)세민 장식 커버를 갖는 조립식 선반용 세로 앵글
KR20220162937A (ko) 2021-06-02 2022-12-09 이재용 무볼트 앵글 조립체
KR102565691B1 (ko) * 2023-02-14 2023-08-11 (주)건우테크 무볼트 타입 조립식 앵글
KR20230148571A (ko) 2022-04-18 2023-10-25 윤임식 물품 보관용 선반 조립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1081B1 (ko) * 1992-04-01 2000-11-01 스페이스메이커리미티드 선반 유니트용 골조(framework for shelving unit)
KR200337033Y1 (ko) * 2003-09-06 2004-01-03 주식회사 매직캔 조립선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1081B1 (ko) * 1992-04-01 2000-11-01 스페이스메이커리미티드 선반 유니트용 골조(framework for shelving unit)
KR200337033Y1 (ko) * 2003-09-06 2004-01-03 주식회사 매직캔 조립선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9786A (ko) 2019-07-08 2019-07-31 김영철 조립식 선반
KR102250877B1 (ko) 2019-07-08 2021-05-10 김영철 조립식 선반
KR20210024939A (ko) 2019-08-26 2021-03-08 (주)세민 장식 커버를 갖는 조립식 선반용 세로 앵글
KR20220162937A (ko) 2021-06-02 2022-12-09 이재용 무볼트 앵글 조립체
KR20230148571A (ko) 2022-04-18 2023-10-25 윤임식 물품 보관용 선반 조립체
KR102565691B1 (ko) * 2023-02-14 2023-08-11 (주)건우테크 무볼트 타입 조립식 앵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0257B1 (ko) 조립식 앵글
US20070034584A1 (en) Assembling type sectional shelf structure
RU2521628C1 (ru) Кронштейн для крепления профилей
US2990921A (en) Suspended ceiling grid construction
RU164060U1 (ru) Сборно-разборная секция ограждающей конструкции
CN210008687U (zh) 组合架体及其层板结合钩
US20160015133A1 (en) Zipper with stamped metal zipper teeth
JP5934223B2 (ja) 金属天井基礎構造
KR101805132B1 (ko) 트러스 거더 설치용 지지대
RU154117U1 (ru) Клиновой узел для крепления строитель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RU173708U9 (ru) Крепежный узел для строитель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KR101926476B1 (ko) 건축물의 수직 패널
JP6327965B2 (ja) 接合金具
CN206144920U (zh) 一种连接件及应用该连接件的置物架
JP3189263U (ja) 床排水用水切板
US20130181590A1 (en) Combination Drawer
EP3167758A1 (en) Drawer sidewall assembly
US8919055B2 (en) Pool liner retainer
JP5719894B2 (ja) 溝ブロックへのグレーチングの固定方法及びグレーチング
JP6137926B2 (ja) グレーチング用のメインバー及びこれを用いたグレーチング、グレーチングの製造方法
EP2826402B1 (en) Vertical column configured to equip a lateral panel of a shelving device, lateral panel comprising such vertical columns and shelving device comprising such lateral panels
KR101785905B1 (ko) 프레임 결합 구조
KR101257315B1 (ko) 천장판 설치구조
KR100575597B1 (ko) 조립식 선반틀
JP2007224553A (ja) デッ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