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8316B1 - 비계용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비계용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8316B1
KR102538316B1 KR1020220065006A KR20220065006A KR102538316B1 KR 102538316 B1 KR102538316 B1 KR 102538316B1 KR 1020220065006 A KR1020220065006 A KR 1020220065006A KR 20220065006 A KR20220065006 A KR 20220065006A KR 102538316 B1 KR102538316 B1 KR 102538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shaft
elevating
scaffolding
vertical frames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5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석
Original Assignee
박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희석 filed Critical 박희석
Priority to KR1020220065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83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계의 발판을 작업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오르고 내릴 수 있는 비계용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네 모서리에 각각 직립하는 네 개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을 수평으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복수의 수평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연결된 승강플레이트, 상기 승강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승강부재는 네 개의 수직프레임에 전후로 마주하도록 각각 구비된 랙, 상기 전방 및 후방의 좌우 랙에 각각 맞물려서 회전하는 피니언, 상기 전방 및 후방의 좌우 피니언을 연결하여 상기 승강플레이트를 승강시키도록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전동샤프트, 상기 전후 전동샤프트를 회전 작동시키도록 연결된 구동샤프트, 상기 구동샤프트를 구동시키도록 연결된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모터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승강플레이트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므로 작업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비계의 발판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미 설치되거나 설치하려는 비계의 발판에 근접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장소의 제한이 없고 부품이 단순하여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계용 승강장치{GETTING ON AND OFF APPARATUS FOR SCAFFOLD}
본 발명은 비계용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계의 발판을 작업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오르고 내릴 수 있는 비계용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비계는 건축공사에서 높은 곳에서 일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임시 가설물의 일종으로서, 재료운반이나 작업자의 통로 및 작업을 위한 여러 층의 발판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비계의 발판은 170㎝의 높이를 두고 다층을 이루는데, 종래에는 다층의 발판을 오르고 내리기 위해 비계의 바깥을 이용하였으나, 이는 작업자의 낙상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1107호(등록일자 2016년07월14일) ‘승강식 비계장치’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62254호(등록일자 2021년06월02일) ‘화물운반 설비를 갖춘 다층 비계장치’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은 설치 장소의 제한이 많고 구성 부품이 많이 소요되어 설치 비용이 증대되며 작동 방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1107호(등록일자 2016년07월14일)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62254호(등록일자 2021년06월02일)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장소의 제한이 없고 부품의 단순화로 설치 비용을 절감하며 작동의 편의성을 통해 작업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비계의 발판을 오르고 내릴 수 있는 비계용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네 모서리에 각각 직립하는 네 개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을 수평으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복수의 수평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연결된 승강플레이트, 상기 승강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승강부재는 네 개의 수직프레임에 전후로 마주하도록 각각 구비된 랙, 상기 전방 및 후방의 좌우 랙에 각각 맞물려서 회전하는 피니언, 상기 전방 및 후방의 좌우 피니언을 연결하여 상기 승강플레이트를 승강시키도록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전동샤프트, 상기 전후 전동샤프트를 회전 작동시키도록 연결된 구동샤프트, 상기 구동샤프트를 구동시키도록 연결된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구동샤프트의 전후 단부에 설치된 구동 스크류기어, 상기 구동 스크류기어에 직각으로 맞물리도록 전동샤프트에 설치된 종동 스크류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 개의 수직프레임은 사각 판재 모양으로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의 네 모서리에 각각 수직으로 직립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네 모서리에는 상기 수직프레임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가이드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승강플레이트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므로 작업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비계의 발판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미 설치되거나 설치하려는 비계의 발판에 근접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장소의 제한이 없고 부품이 단순하여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면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우측면을 나타낸 우측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도 3의 ‘C’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6은 도 3의 ‘D’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작동 상태를 정면에서 나타낸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작동 상태를 우측면에서 나타낸 작동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할 수 있으며,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계용 승강장치는, 사각형의 네 모서리에 각각 직립하는 네 개의 수직프레임(110)과 이 수직프레임(110)을 수평으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복수의 수평프레임(130)을 포함하는 프레임(100), 수직프레임(110)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연결된 승강플레이트(200), 승강플레이트(200)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재(300)를 포함한다.
프레임은 본 발명의 골조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복수의 수직프레임(110) 및 수평프레임(130)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프레임(100)은 사각형의 네 모서리에 각각 직립하는 네 개의 수직프레임(110), 네 개의 수직프레임(110)을 수평으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복수의 수평프레임(130)을 포함한다.
네 개의 수직프레임(110)은 사각 판재 모양으로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네 모서리에 각각 수직으로 직립한다. 좌측 전후방의 수직프레임(110) 및 우측 전후방의 수직프레임(110)에는 서로 마주하도록 랙(310)이 구비된다.
수평프레임(130)은 네 개의 수직프레임(110)의 외면을 따라 연결되게 볼트(131)로 체결되어 수직프레임(110)을 고정한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120)에는 아우트리거(140)가 구비되어 프레임(100)의 전도를 방지한다.
여기서, 아우트리거(140)는 전후 방향으로 신축하는 두 개의 수평빔(141)이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각각의 수평빔(141) 선단에는 나사결합에 의해 높낮이 조절 가능한 서포트(142)가 구비되어 4점 지지로 프레임(100)의 균형을 유지하게 된다.
선택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20)에는 프레임(100)을 사방으로 이동하도록 복수의 캐스터(150)가 구비될 수 있다.
승강플레이트(200)는 네 개의 수직프레임(110)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승강플레이트(200)는 전후 및 좌우측면에서 대략 ‘┏┓’한 단면으로 형성된 납작한 판재 모양으로 이루어져 네 개의 수직프레임(110)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승강플레이트(200)의 네 모서리에는 수직프레임(11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가이드슬릿(210)이 형성된다.
승강부재(300)는 모터(350)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플레이트(20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승강부재(300)는 네 수직프레임(110)에 전후로 마주하도록 각각 구비된 랙(310), 전방 및 후방의 좌우 랙(310)에 각각 맞물려서 회전하는 피니언(320), 전방 및 후방의 좌우 피니언(320)을 연결하여 승강플레이트(200)를 승강시키도록 피니언(320)을 회전시키는 전동샤프트(330), 전후 전동샤프트(330)를 회전 작동시키도록 연결된 구동샤프트(340), 구동샤프트(340)를 구동시키도록 연결된 모터(350)를 포함한다.
랙(310)은 좌측 전후방의 수직프레임(110) 및 우측 전후방의 수직프레임(110)에 서로 마주하도록 각각 구비된다.
피니언(320)은 전방 및 후방의 좌우 수직프레임(110)에 구비된 랙(310)에 각각 맞물리도록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전동샤프트(330)는 전방 및 후방의 좌우 피니언(320)을 연결하는데, 이러한 전동샤프트(330)는 랙(310)에 맞물린 피니언(320)이 회전하도록 구동샤프트(34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전동샤프트(330)의 양측 단부는 승강플레이트(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동샤프트(340)는 전후 전동샤프트(330)의 중앙에 직각으로 연결되어 모터(350)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으로 전후 전동샤프트(330)를 회전 작동시키게 된다. 선택적으로, 구동샤프트(340)는 승강플레이트(200)의 저면에 설치된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샤프트(340)의 전후 단부에는 구동 스크류기어(341)가 설치되고, 전동샤프트(330)의 중심에는 구동 스크류기어(341)에 직각으로 맞물리도록 종동 스크류기어(331)가 설치된다.
모터(350)는 승강플레이트(200)의 저면에 설치되어 동력을 가하여서 구동샤프트(340)를 구동시킨다.
선택적으로, 모터(350)와 구동샤프트(340) 사이에는 감속기(351)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승강플레이트(200)의 상부에는 모터(3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위치가 구비된다.
즉, 모터(350)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샤프트(340)의 구동력이 구동 스크류기어(341)와 종동 스크류기어(331)로 연결된 전동샤프트(330)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회전하는 전동샤프트(330)에 의해 피니언(320)이 랙(310)에 맞물린 상태로 회전하면서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계용 승강장치는 비계의 발판에 근접된 일측에 도 1 및 도 2와 같이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아우트리거(140)를 이용하여 프레임(100)의 수평 균형을 조절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 및 도 2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근접되게 하강한 승강플레이트(200)에 작업자가 올라간다.
다음, 작업자의 스위치 조작으로 모터(350)를 구동시키면 구동샤프트(340)가 회전하고, 구동샤프트(340)의 회전력은 구동 스크류기어(341)와 종동 스크류기어(331)를 통해 직각으로 연결된 전동샤프트(330)로 전달된다.
계속해서, 전동샤프트(330)은 구동샤프트(340)에서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고, 이와 함께 피니언(320)도 회전한다.
이때, 피니언(320)은 랙(310)에 맞물린 상태로 회전하므로 도 7 및 도 8과 같이 승강플레이트(200)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와 반대 방향으로 모터(350)를 구동시키면 승강플레이트(200)는 프레임(100)의 하부로 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350)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승강플레이트(20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므로 작업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비계의 발판으로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 설치되거나 설치하려는 비계의 발판에 근접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장소의 제한이 없고 부품이 단순하여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프레임 110 : 수직프레임
120 : 베이스 플레이트 130 : 수평프레임
140 : 아우트리거 150 : 캐스터
200 : 승강플레이트 210 : 가이드슬릿
300 : 승강부재 310 : 랙
320 : 피니언 330 : 전동샤프트
340 : 구동샤프트 350 : 모터

Claims (4)

  1. 네 모서리에 각각 직립하는 네 개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을 수평으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복수의 수평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연결된 승강플레이트, 상기 승강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승강부재는 네 개의 수직프레임에 전후로 마주하도록 각각 구비된 랙과, 상기 전방 및 후방의 좌우 랙에 각각 맞물려서 회전하는 피니언과, 상기 전방 및 후방의 좌우 피니언을 연결하여 상기 승강플레이트를 승강시키도록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전동샤프트와, 상기 전동샤프트를 회전 작동시키도록 연결된 구동샤프트와, 상기 구동샤프트를 구동시키도록 연결된 모터와, 상기 구동샤프트의 전후 단부에 설치된 구동 스크류기어와, 상기 구동 스크류기어에 직각으로 맞물리도록 전동샤프트에 설치된 종동 스크류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구동샤프트의 구동력이 상기 구동 스크류기어와 상기 종동 스크류기어로 연결된 상기 전동샤프트로 전달되어 상기 전동샤프트가 회전될 때 상기 회전하는 전동샤프트에 의해 상기 피니언이 상기 랙에 맞물린 상태로 회전하면서 상승하거나 하강하고,
    상기 네 개의 수직프레임은 사각 판재 모양으로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의 네 모서리에 각각 수직으로 직립될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프레임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한 아우트리거와 상기 프레임을 사방으로 이동 가능 하도록 복수의 캐스터를 구비하고,
    상기 아우트리거는 전후 방향으로 신축하는 두 개의 수평빔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수평빔의 선단에는 나사 결합에 의해 높낮이 조절 가능한 서포트가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의 균형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용 승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20065006A 2022-05-26 2022-05-26 비계용 승강장치 KR102538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006A KR102538316B1 (ko) 2022-05-26 2022-05-26 비계용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006A KR102538316B1 (ko) 2022-05-26 2022-05-26 비계용 승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8316B1 true KR102538316B1 (ko) 2023-05-31

Family

ID=86542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5006A KR102538316B1 (ko) 2022-05-26 2022-05-26 비계용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83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460B1 (ko) * 2023-08-07 2024-02-28 장영균 신축형 사다리의 구동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9678A (ja) * 1991-08-07 1993-02-19 M Ii C Eng Service Kk タワー式構造物の建設用ジヤツキアツプ装置
JPH0812220A (ja) * 1994-06-30 1996-01-16 Ryozo Ota エレベーター
KR101641107B1 (ko) 2009-05-29 2016-07-20 가부시키가이샤 마루사 승강식 비계장치
KR20200117144A (ko) * 2019-04-03 2020-10-14 양태호 고소작업용 조립식 안전 비계
KR102180064B1 (ko) * 2019-05-20 2020-11-17 원종심 작업대로 조립 가능한 접이식 사다리
KR102262254B1 (ko) 2019-08-22 2021-06-07 장윤근 화물운반 설비를 갖춘 다층 비계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9678A (ja) * 1991-08-07 1993-02-19 M Ii C Eng Service Kk タワー式構造物の建設用ジヤツキアツプ装置
JPH0812220A (ja) * 1994-06-30 1996-01-16 Ryozo Ota エレベーター
KR101641107B1 (ko) 2009-05-29 2016-07-20 가부시키가이샤 마루사 승강식 비계장치
KR20200117144A (ko) * 2019-04-03 2020-10-14 양태호 고소작업용 조립식 안전 비계
KR102180064B1 (ko) * 2019-05-20 2020-11-17 원종심 작업대로 조립 가능한 접이식 사다리
KR102262254B1 (ko) 2019-08-22 2021-06-07 장윤근 화물운반 설비를 갖춘 다층 비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460B1 (ko) * 2023-08-07 2024-02-28 장영균 신축형 사다리의 구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46631B1 (en) Apparatus for use in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ES2796333T3 (es) Sistema que comprende una plataforma de trabajo giratoria
KR102538316B1 (ko) 비계용 승강장치
JP5874999B2 (ja) 昇降式足場装置
KR101711883B1 (ko) 작업용 리프트
KR20040104223A (ko) 수직 이동식 작업대를 갖는 비계
WO2023184882A1 (zh) 物料提升装置
JP2597947B2 (ja) 足場装置
CN214834617U (zh) 一种可升降移动的脚手架
JP2863359B2 (ja) 高所作業装置
CN212085656U (zh) 一种具有安全结构的检修架
KR101965238B1 (ko)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 설비의 크린룸용 이동식 크레인
US20240067503A1 (en) Lifting device for building steel structure hoistway and method for building steel structure hoistway
JP7278863B2 (ja) 昇降式足場の設置方法
JP2574063Y2 (ja) 舞台の昇降装置
WO2021171904A1 (ja) パレット式のリフト装置
CN114412160B (zh) 一种便于组装的施工用可移动装饰装修操作平台
CN107419889A (zh) 室内屋顶施工用操作平台
CN212475999U (zh) 一种古建园林建筑用石碑安装提升机构
CN219689277U (zh) 高空作业车及其控制系统
KR20100057569A (ko) 고소 작업용 리프트
JP2785859B2 (ja) 建物躯体のプッシュアップ装置
JP2922839B2 (ja) 溶接用作業台
CN218025336U (zh) 粮仓大门高空作业平台
JP2597946B2 (ja) 足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