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8142B1 - 음원 특정 장치, 음원 특정 방법 및 음원 특정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음원 특정 장치, 음원 특정 방법 및 음원 특정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8142B1
KR102538142B1 KR1020227031976A KR20227031976A KR102538142B1 KR 102538142 B1 KR102538142 B1 KR 102538142B1 KR 1020227031976 A KR1020227031976 A KR 1020227031976A KR 20227031976 A KR20227031976 A KR 20227031976A KR 102538142 B1 KR102538142 B1 KR 102538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information
specifying
car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1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0265A (ko
Inventor
히데키 테라시마
마사야 아베
타케시 후지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30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0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10L25/5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3/00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 G01S3/80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S3/802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deviation from predetermined direction
    • G01S3/808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deviation from predetermined direction using transducers spaced apart and measuring phase or time difference between signals therefrom, i.e. path-difference systems
    • G01S3/8083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deviation from predetermined direction using transducers spaced apart and measuring phase or time difference between signals therefrom, i.e. path-difference systems determining direction of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5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mbining the signals of two or more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음원 특정 장치(100)는, 엘리베이터의 카(503)가 이동하는 승강로 내의 소리를 나타내는 소리 데이터, 카(503)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 마이크 어레이(200)의 위치와 방향을 나타내는 마이크 어레이 정보(112) 및 음원 특정 정보(113)를 취득하는 취득부(120)와, 소리 데이터와 미리 결정된 방법에 의거해서, 복수의 확률밀도를 산출하고, 복수의 확률밀도 중 최대값의 역수 또는 복수의 확률밀도에 의거하는 분산값의 역수인 제1 역수를 산출하는 산출부(10)와, 카(503)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에 의거해서, 카(503)의 위치를 특정하는 카 위치 특정부(160)와, 제1 역치와 제1 역수와의 관계, 마이크 어레이 정보(112), 카(503)의 위치 및 음원 특정 정보(113)에 의거해서, 음원을 특정하는 음원 특정부(17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원 특정 장치, 음원 특정 방법 및 음원 특정 프로그램
본 개시내용은 음원 특정 장치, 음원 특정 방법 및 음원 특정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로폰이 알려져 있다. 마이크로폰에는 소리가 입력된다. 여기서, 소리의 도래 방향을 추정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의 음원 위치 추정 장치는 소리의 도래 방향을 추정한다.
JP 2010-213091 A
그런데,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에서는, 소리가 많이 반사된다. 소리가 많이 반사되는 환경에서는, 음원을 특정하는 것이 어렵다.
본 개시내용의 목적은 음원을 용이하게 특정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상에 따른 음원 특정 장치가 제공된다. 음원 특정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카(car)가 이동하는 승강로 내의 소리를 나타내는 소리 데이터, 상기 카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 상기 소리가 입력되는 마이크 어레이의 위치와 상기 마이크 어레이의 방향을 나타내는 마이크 어레이 정보 및 상기 소리의 음원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인 음원 특정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소리 데이터와 미리 결정된 방법에 의거해서, 복수의 음원 방향 후보의 확률밀도를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확률밀도를 산출하고, 상기 복수의 확률밀도 중 최대값의 역수 또는 상기 복수의 확률밀도에 의거하는 분산값의 역수인 제1 역수를 산출하는 산출부와, 상기 카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카의 위치를 특정하는 카 위치 특정부와, 미리 설정된 제1 역치와 상기 제1 역수의 관계, 상기 마이크 어레이 정보, 상기 카의 위치 및 상기 음원 특정 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음원을 특정하는 음원 특정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음원을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의 음원 특정 시스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의 마이크 어레이가 카 위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의 구체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의 음원 특정 장치가 구비하는 기능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의 음원 특정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형태 1의 소리의 수록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flow chart)이다.
도 6은 실시형태 1의 음원 특정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7은 실시형태 2의 음원 특정 장치가 구비하는 기능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형태 2의 음원 특정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형태 2의 승강로의 수평단면도의 예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2의 각 방향의 스코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 (B)는 실시형태 2의 복수의 패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형태 3의 음원 특정 장치가 구비하는 기능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형태 3의 음원 특정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형태는, 예에 지나지 않고,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실시형태 1.
도 1은 실시형태 1의 음원 특정 시스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음원 특정 시스템은, 음원 특정 장치(100)와 마이크 어레이(200)와 출력 장치(300)와 구동장치(400)를 포함한다.
음원 특정 장치(100)는, 음원 특정 방법을 실행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면, 음원 특정 장치(100)는 엘리베이터에 구비되어 있는 장치이다.
마이크 어레이(200)는 복수의 마이크로폰을 포함한다. 마이크 어레이(200)에서는, 복수의 마이크로폰의 각각으로부터 출력된 소리 데이터가 완전히 동기된 상태로 출력된다. 또, 마이크 어레이(200)는, 진동 센서, 이미지 센서, 가속도 센서, 각가속도 센서 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등을 탑재해도 된다. 또, 이들 센서는 마이크 어레이(200)의 부근에 설치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출력 장치(300)는 디스플레이이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이다. 또한, 출력 장치(300)는 스피커이어도 된다.
구동장치(400)는 음원 특정 장치(100)를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면, 구동장치(400)는 모터 및 롤러이다. 또한, 사용자가 음원 특정 장치(100)를 엘리베이터에 설치할 경우, 음원 특정 시스템은 구동장치(400)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 다음에, 음원 특정 장치(100)가 구비하는 하드웨어를 설명한다.
음원 특정 장치(100)는 프로세서(101), 휘발성 기억장치(102), 불휘발성 기억장치(103) 및 통신 장치(104)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01)는 음원 특정 장치(100) 전체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s Processing Un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이다. 프로세서(101)는, 멀티프로세서이어도 된다. 음원 특정 장치(100)는 프로세서(101) 대신에 처리 회로를 포함해도 된다. 처리 회로는 단일회로 또는 복합 회로이어도 된다.
휘발성 기억장치(102)는 음원 특정 장치(100)의 주기억장치이다. 예를 들면, 휘발성 기억장치(102)는, RAM(Random Access Memory)이다. 불휘발성 기억장치(103)는 음원 특정 장치(100)의 보조 기억장치이다. 예를 들면, 불휘발성 기억장치(103)는 ROM(Read Only Memory), HDD(Hard Disk Drive) 또는 SSD(Solid State Drive)이다. 휘발성 기억장치(102)와 불휘발성 기억장치(103)는 다양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예를 들면, 통신 장치(104)는, 유선 LAN(Local Area Network) 어댑터, 무선 LAN 어댑터 또는 Bluetooth(등록상표) 어댑터이다. 또, 통신 장치(104)는 통신 인터페이스라고 불러도 된다. 통신 장치(104)는 외부장치와 통신한다.
마이크 어레이(200)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마이크 어레이(200)는, 카의 위, 카의 아래, 카운터 웨이트(counterweight)의 위 또는 카운터 웨이트의 밑에 설치된다. 또, 마이크 어레이(200)가 카의 위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마이크 어레이(200)는 카와 연동한다. 여기서, 카는 엘리베이터의 카라고 불러도 된다. 승강로는 엘리베이터 승강로라고 불러도 된다.
또, 마이크 어레이(200)는, 피트 부분, 권상기 부근, 또는 엘리베이터의 승강 운전에 의해서 위치가 바뀌지 않는 장소에 설치되어도 된다. 마이크 어레이(200)는 승강로에 고정되어도 된다. 또한, 사용자가 지참한 마이크 어레이(200)가, 사용자에 의해, 승강로에 설치되어도 된다. 여기서, 마이크 어레이(200)가 카의 위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도 2는 실시형태 1의 마이크 어레이가 카의 위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의 구체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벽면(501), 카 가이드 레일(502), 카(503), 카 상측 가이드 슈(504), 카 하측 가이드 슈(505), 카운터 웨이트 가이드 레일(506), 카운터 웨이트(507), 카운터 웨이트 상측 가이드 슈(508) 및 카운터 웨이트 하측 가이드 슈(509)를 나타내고 있다.
벽면(501)은 콘크리트의 벽면이다. 카 가이드 레일(502)은 카(503)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레일이다. 카 상측 가이드 슈(504) 및 카 하측 가이드 슈(505)는 카 가이드 레일(502)과 카(503)의 접합부이다.
카운터 웨이트 가이드 레일(506)은, 카운터 웨이트(507)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레일이다. 카운터 웨이트 상측 가이드 슈(508)와 카운터 웨이트 하측 가이드 슈(509)는 카운터 웨이트 가이드 레일(506)과 카운터 웨이트(507)의 접합부이다.
그 다음에, 음원 특정 장치(100)가 구비하는 기능을 설명한다.
도 3은 실시형태 1의 음원 특정 장치가 구비하는 기능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음원 특정 장치(100)는, 기억부(110), 취득부(120), 스코어 산출부(130), 정밀도 산출부(140), 장해물 판정부(150), 카 위치 특정부(160), 음원 특정부(170) 및 출력부(180)를 포함한다. 또, 취득부(120) 및 스코어 산출부(130)는 산출부(10)에 포함된다.
기억부(110)는, 휘발성 기억장치(102) 또는 불휘발성 기억장치(103)에 확보한 기억 영역으로서 실현해도 된다.
취득부(120), 스코어 산출부(130), 정밀도 산출부(140), 장해물 판정부(150), 카 위치 특정부(160), 음원 특정부(170), 및 출력부(180)의 일부 또는 전부는, 프로세서(101) 또는 처리 회로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또한, 취득부(120), 스코어 산출부(130), 정밀도 산출부(140), 장해물 판정부(150), 카 위치 특정부(160), 음원 특정부(170), 및 출력부(180)의 일부 또는 전부는, 프로세서(1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모듈로서 실현해도 된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음원 특정 프로그램이라고도 지칭된다. 예를 들면, 음원 특정 프로그램은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다.
기억부(110)는 승강로 레이아웃(111), 마이크 어레이 정보(112) 및 음원 특정 정보(113)를 기억한다.
승강로 레이아웃(111)은 승강로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예를 들면, 승강로 레이아웃(111)은, 벽면(501), 카 가이드 레일(502), 카(503), 카운터 웨이트 가이드 레일(506), 카운터 웨이트(507), 권상기, 활차 및 각 층의 승강장 측의 도어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이들 정보는 좌표로 표시된다.
마이크 어레이 정보(112)는 마이크 어레이(200)가 설치된 위치와 마이크 어레이(200)의 방향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마이크 어레이 정보(112)는, 마이크 어레이(200)가 카(503)의 위에 설치되어 있는 것, 및 마이크 어레이(200)의 정면이 승강장 측의 방향과 동일한 것을 나타낸다. 또, 승강장 측의 방향이란, 도어가 열리는 방향이다.
마이크 어레이 정보(112)는, 사용자가 음원 특정 장치(100)를 조작함으로써, 작성되어도 된다. 마이크 어레이 정보(112)는, 마이크 어레이(200)에 탑재되어 있는 이미지 센서 또는 GPS센서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해서, 작성되어도 된다. 마이크 어레이(200)가 비콘(beacon)을 탑재하고 있는 경우, 마이크 어레이 정보(112)는, 비콘을 이용함으로써 얻어진 정보에 의거해서, 작성되어도 된다. 또한, 마이크 어레이 정보(112)는 다음과 같이 작성되어도 된다. 마이크 어레이(200)는 기압 센서를 탑재한다. 다른 기압 센서가 승강로의 최하부에 설치된다. 마이크 어레이 정보(112)는 2개의 기압 센서의 값의 비교 결과에 의거해서 작성된다.
음원 특정 정보(113)는 소리의 음원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이다. 여기서, 음원 특정 정보(113)를 예시한다.
도 4는 실시형태 1의 음원 특정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음원 특정 정보(113)는 기억부(110)에 격납된다. 음원 특정 정보(113)는 미리 작성된다. 음원 특정 정보(113)는, No., 관계, 마이크 어레이 위치, 마이크 어레이의 방향, 카 위치, 장해물 및 음원의 항목을 갖는다. 예를 들면, No.의 항목에는 식별자가 등록된다. 또한, 예를 들어, 장해물의 항목에는, 장해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등록된다.
음원 특정 정보(113)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한다. 또, 음원 특정 정보(113)에 등록되는 정보는, 승강로 레이아웃(111)이 변경된 경우, 변경된다.
도 3으로 되돌아가, 취득부(120)를 설명한다.
취득부(120)는 소리 데이터를 취득한다. 예를 들면, 취득부(120)는 소리 데이터를 마이크 어레이(200)로부터 취득한다. 또, 예를 들어, 취득부(120)는 해당 소리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로부터 해당 소리 데이터를 취득한다. 취득부(120)가 기록 매체로부터 해당 소리 데이터를 취득할 경우, 음원 특정 장치(100)는 PC(Personal Computer)라고 생각해도 된다.
또, 소리 데이터란, 엘리베이터의 카(503)가 이동하는 승강로 내의 소리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또한, 소리 데이터는 복수 채널의 소리 데이터이다.
취득부(120)는 승강로 레이아웃(111), 마이크 어레이 정보(112) 및 음원 특정 정보(113)를 취득한다. 예를 들면, 취득부(120)는, 승강로 레이아웃(111), 마이크 어레이 정보(112) 및 음원 특정 정보(113)를 기억부(110)로부터 취득한다. 여기서, 승강로 레이아웃(111), 마이크 어레이 정보(112) 및 음원 특정 정보(113)는, 음원 특정 장치(100)에 접속가능한 외부장치에 격납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외부장치는 서버이다. 승강로 레이아웃(111), 마이크 어레이 정보(112) 및 음원 특정 정보(113)가 외부장치에 격납되어 있는 경우, 취득부(120)는, 승강로 레이아웃(111), 마이크 어레이 정보(112) 및 음원 특정 정보(113)를 외부장치로부터 취득한다.
취득부(120)는, 카(503)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취득한다. 또, 카(503)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는, 사용자가 음원 특정 장치(100)에 입력한 정보, 또는 마이크 어레이(200) 등의 기기로부터 음원 특정 장치(100)가 수신한 정보이다. 카(503)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한다.
산출부(10)의 기능은 스코어 산출부(130)와 정밀도 산출부(140)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스코어 산출부(130)는, 소리 데이터와 미리 결정된 방법에 의거해서, 복수의 음원 방향 후보의 스코어를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스코어를 산출한다. 예를 들면, 미리 결정된 방법이란, 빔 포밍, 지연합법(Delay-and-Sum Beamformer), 최대우도(Maximum Likelihood)법, 최소분산(Minimum Variance)법, MUSIC(MUltiple SIgnal Classification)법, root-MUSIC법, 최소 노름(minimum-norm)법, 또는 학습필 모델(Learned model)이다. 또한, 미리 결정된 방법이란, 이하에 나타내는 스코어의 산출 처리이다. 여기서, 음원 방향 후보는, 단순히, 방향이라고 표현할 경우가 있다.
상세히 스코어의 산출 처리를 설명한다. 스코어 산출부(130)는, 미리 설정된 수평방향의 분해능으로, 수평각마다의 스코어를 산출한다. 예를 들면, 수평방향의 분해능이 10도이며, 360도가 대상의 범위일 경우, 스코어 산출부(130)는 36방향의 스코어를 산출한다. 이와 같이, 스코어 산출부(130)는 복수의 방향의 각각의 스코어를 산출한다. 여기서, 스코어는 확률밀도로 표시된다. 그리고, 각 방향의 스코어가 합계된 값인 합계값이 1.0이 되도록, 각 방향의 스코어가 소수로 표시된다. 또한, 스코어는, 스코어에 대응하는 방향에 음원이 존재하는 확률을 나타내고 있다.
또, 스코어 산출부(130)는, 빔 포밍, 지연합법, 최대우도법, 최소분산법, MUSIC법, root-MUSIC법, 최소 노름법, 또는 학습필 모델을 이용해서, 각 방향의 신호 수준을 산출할 수 있다. 스코어 산출부(130)는, 각 방향의 신호 수준이 산출된 경우, 식 (1) 또는 식 (2)를 이용해서, 각 방향의 스코어를 산출한다. 또, xi는 각 방향의 신호 수준을 나타낸다. yi는 각 방향의 스코어를 나타낸다. N은 방향수를 나타낸다. 또한, yi는 1(=Σyi)이 된다.
[식 (1)]
Figure 112022096797264-pct00001
[식 (2)]
Figure 112022096797264-pct00002
정밀도 산출부(140)는 음원 방향의 분산값(Var)을 산출한다. 분산값(Var)은 각 방향의 스코어 중의 최대값이어도 된다. 또한, 정밀도 산출부(140)는, 각 방향의 스코어에 의거해서, 분산값(Var)을 산출해도 된다. 상세하게는, 정밀도 산출부(140)는, 스코어가 가장 높은 방향의 yi를 기준으로 해서, 분산값(Var)을 산출한다. 정밀도 산출부(140)는, 분산값(Var)을 산출할 경우, 식 (3)을 이용해서, 분산값(Var)을 산출한다. 또, di는 수평각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d0은 0도를 나타낸다. 또한, 예를 들어, d35는 350도를 나타낸다. 함수 Diff(di, dj)는, 수평각 di와 수평각 dj의 차이를 나타낸다. 또한, yi가 가장 큰 값일 때의 방향은 dMAX라 한다.
[식 (3)]
Figure 112022096797264-pct00003
또, 예를 들어, 함수 Diff(d10, d20)는 10이다. 함수 Diff(d10, d350)는 20이다. 수평각은 0도 또는 360도이다. 그 때문에, 정밀도 산출부(140)는, 주회를 고려하여, 각도의 차이를 산출한다.
그 다음에, 정밀도 산출부(140)는, 분산값(Var)의 역수를, 정밀도(Acc)로서 산출한다. 상세하게는, 정밀도 산출부(140)는, 식 (4)를 이용해서, 정밀도(Acc)를 산출한다.
[식 (4)]
Figure 112022096797264-pct00004
이와 같이, 산출된 정밀도(Acc)는, 각 방향의 스코어 중 최대값의 역수, 또는 각 방향의 스코어에 의거하는 분산값(Var)의 역수이다. 또, 정밀도(Acc)는 제1 역수라고도 한다.
또한, 정밀도(Acc)는 다음과 같이 표현해도 된다. 정밀도(Acc)는, 각 방향의 스코어 중에서, 최대 스코어의 방향의 표준편차의 역수이다.
장해물 판정부(150)는, 정밀도(Acc)와 2개의 역치를 이용해서, 음원과 마이크 어레이(200) 사이에 장해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2개의 역치란 Acc1과 Acc2이다. Acc1과 Acc2는 미리 설정된 값이다. Acc1과 Acc2는 기억부(110)에 격납되어 있다. 또, Acc2는 Acc1보다도 크다(즉, Acc1<Acc2). 또한, 예를 들어, 해당 장해물이란, 카(503) 또는 카운터 웨이트(507)이다.
"Acc<Acc1"인 경우, 장해물 판정부(150)는, 정밀도가 낮은 상태라고 판정한다. 정밀도가 낮은 상태란, 음원으로부터 발생한 소리가 벽면(501) 등에서 반사 및 확산됨으로써, 음원 방향을 특정할 수 없는 상태이다. 장해물 판정부(150)는, 음원이 마이크 어레이(200)보다도 먼 곳에 존재한다고 판정한다. 이것은, 먼 곳에서부터 발생한 소리가 벽면(501)을 반사하고, 해당 소리가 마이크 어레이(200)의 전체 방향으로 거의 같은 정도의 신호 수준으로 도달하고, 그리고 해당 소리가 랜덤한 위상차로 마이크 어레이(200)에 도달하기 때문이다.
"Acc<Acc1"인 경우, 장해물 판정부(150)는, 음원과 마이크 어레이(200) 사이에 장해물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 또한, "Acc<Acc1"인 경우, 장해물 판정부(150)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장해물이 존재한다고 판정해도 된다.
"Acc1≤Acc<Acc2"인 경우, 장해물 판정부(150)는, 정밀도가 어느 정도 높은 상태라고 판정한다. 정밀도가 어느 정도 높은 상태란, 음원으로부터 발생한 소리가 장해물에 의해서, 어느 정도 제한된 상태로 마이크 어레이(200)에 입력되는 상태이다. 예를 들면, 장해물 판정부(150)는, 후술하는 카 위치 특정부(160)에 의해서 특정된, 카(503)의 위치와 카운터 웨이트(507)의 위치, 승강로 레이아웃(111) 및 마이크 어레이 정보(112)를 취득한다. 장해물 판정부(150)는, 카(503)의 위치가 승강로의 상부인 경우, 음원과 마이크 어레이(200) 사이에, 카(503)가 장해물로서 존재한다고 판정한다.
"Acc1≤Acc<Acc2"인 경우, 장해물 판정부(150)는 음원과 마이크 어레이(200) 사이에 장해물이 존재한다고 판정한다.
"Acc2≤Acc"인 경우, 장해물 판정부(150)는 정밀도가 높은 상태라고 판정한다. 정밀도가 높은 상태란, 음원과 마이크 어레이(200) 사이의 거리가 짧은 상태이다. "Acc2≤Acc"인 경우, 장해물 판정부(150)는 음원과 마이크 어레이(200) 사이에 장해물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
카 위치 특정부(160)는, 카(503)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에 의거해서, 카(503)의 수직방향의 위치를 특정한다. 여기서, 예를 들어, 카(503)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는, 카(503)의 속도 및 카(503)의 이동 시간을 나타낸다. 여기서, 예를 들어, 카(503)의 초기 위치가 미리 설정된다. 카 위치 특정부(160)는, 초기 위치로부터, 카(503)가 이동한 시간(즉, 카(503)의 이동 시간)과, 카(503)의 속도에 의거해서, 카(503)의 위치를 특정한다. 또한, 예를 들어, 카(503)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는, 가속도 센서로부터 얻어진 정보 및 카(503)의 이동 시간을 나타낸다. 카 위치 특정부(160)는, 가속도 센서로부터 얻어진 정보와 해당 시간에 의거해서, 카(503)의 위치를 특정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카(503)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는, WiFi(등록상표)의 액세스 포인트의 전파강도, Bluetooth의 비콘의 전파강도, 또는 이미지 센서로부터 얻어진 정보이다. 카 위치 특정부(160)는, WiFi의 액세스 포인트의 전파강도, Bluetooth의 비콘의 전파강도, 또는 이미지 센서로부터 얻어진 정보에 의거해서, 카(503)의 위치를 특정해도 된다. 카 위치 특정부(160)는, 종래 기술을 이용해서, 카(503)의 위치를 특정해도 된다.
또한, 카 위치 특정부(160)는 카운터 웨이트(507)의 위치를 특정한다. 여기서, 카(503)와 카운터 웨이트(507)는 로프로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카(503)의 위치가 특정된 경우, 카운터 웨이트(507)의 대략의 위치가 특정된다. 그러나, 카(503)와 카운터 웨이트(507)의 위치 관계는 카의 개체에 따라서 다르다. 그래서, 승강로 레이아웃(111)이 이용된다. 따라서, 카 위치 특정부(160)는, 카운터 웨이트(507)의 위치를 특정할 경우, 카(503)의 위치와 승강로 레이아웃(111)에 의거해서, 카운터 웨이트(507)의 위치를 특정한다.
음원 특정부(170)는, 음원 특정 정보(113)를 이용해서, 음원을 특정한다. 여기서, 음원 특정 정보(113)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음원 특정부(170)는, 정밀도 산출부(140)가 산출한 정밀도(Acc)와 역치(Acc1)와 역치(Acc2)의 관계, 마이크 어레이 정보(112)가 나타내는 마이크 어레이(200)의 위치와 방향, 카 위치 특정부(160)에 의해 특정된, 카(503)의 위치, 및 장해물 판정부(150)에 의한 판정의 결과에, 일치하는 레코드를 음원 특정 정보(113) 중에서 검색한다. 검색된 레코드의 음원의 항목에 등록되어 있는 정보가 음원이다. 예를 들면, 검색된 레코드가 No. 1의 레코드인 경우, 음원 특정부(170)는, 카(503)보다도 위에 존재하는 기기가 음원인 것을 특정한다. 또, 예를 들어, 해당 기기는, 카운터 웨이트(507), 가이드 슈, 권상기 등이다. 이와 같이, 음원 특정 정보(113)는, 정밀도(Acc)와 역치(Acc1)와 역치(Acc2)의 관계, 마이크 어레이(200)의 위치와 방향, 카(503)의 위치, 및 장해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음원 특정부(170)는, 음원 특정 정보(113)를 이용해서, 음원을 특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음원 특정 정보(113)는, 장해물의 항목을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음원 특정 정보(113)가 장해물의 항목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 음원 특정부(170)는, 정밀도 산출부(140)가 산출한 정밀도(Acc)와 역치(Acc1)와 역치(Acc2)의 관계, 마이크 어레이 정보(112)가 나타내는 마이크 어레이(200)의 위치와 방향, 및 카 위치 특정부(160)에 의해 특정된, 카(503)의 위치와 일치하는 레코드를 음원 특정 정보(113) 중에서 검색한다.
또한, 음원 특정 정보(113)의 No. 1, No. 4 및 No. 5의 관계의 항목이 나타내는 역치(Acc1) 또는 역치(Acc2)는 제1 역치라고 불러도 된다. 음원 특정 정보(113)의 No. 2 및 No. 3의 관계의 항목이 나타내는 역치(Acc1)는 제1 역치라고 불러도 된다. 음원 특정 정보(113)의 No. 2 및 No. 3의 관계의 항목이 나타내는 역치(Acc2)는 제2 역치라고 불러도 된다. 음원 특정 정보(113)의 No. 4 및 No. 5의 관계의 항목이 나타내는 역치(Acc2)는 제2 역치라고 불러도 된다.
또한, 음원 특정 정보(113)는, 정밀도(Acc)와 역치(Acc1)의 관계 및 정밀도(Acc)와 역치(Acc2)의 관계를 나타내도 된다. 즉, 음원 특정 정보(113)는 No. 2와 No. 3의 레코드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 검색된 레코드가 No. 4 또는 No. 5의 레코드인 경우, 음원 특정부(170)는, 음원 방향에 존재하는 기기가 음원인 것을 특정한다. 이 경우, 음원 특정부(170)는, 스코어 산출부(130)가 산출한 각 방향의 스코어 중의 최대값에 대응하는 방향을 음원 방향으로 한다. 음원 특정부(170)는, 마이크 어레이 정보(112)가 나타내는 마이크 어레이(200)의 위치와 음원 방향과 승강로 레이아웃(111)에 의거해서, 승강로 레이아웃(111) 중에서 음원을 특정한다.
출력부(180)는, 음원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 장치(300)에 출력한다. 예를 들면, 출력 장치(300)가 디스플레이인 경우, 출력부(180)는 음원을 나타내는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디스플레이는 음원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예를 들어, 출력 장치(300)가 스피커일 경우, 출력부(180)는, 음원을 나타내는 정보를 스피커에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스피커는 음원을 나타내는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한다.
다음에, 일련의 흐름을, 플로차트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우선, 예를 들어, 사용자는, 마이크 어레이(200)를 승강로에 설치한다. 사용자는, 마이크 어레이(200)가 설치된 위치와 마이크 어레이(200)의 방향을 음원 특정 장치(100)에 입력한다. 이것에 의해, 음원 특정 장치(100)는, 마이크 어레이 정보(112)를 작성한다. 그리고, 소리의 수록 준비가 완료된다. 소리의 수록을, 플로차트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실시형태 1의 소리의 수록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단계 S11) 마이크 어레이(200)는 수록을 개시한다.
(단계 S12) 카(503)는 승강로를 이동한다. 상세하게는, 카(503)는 상승 또는 강하한다.
마이크 어레이(200)에는, 승강로 내의 소리가 입력된다.
(단계 S13) 마이크 어레이(200)는 수록을 종료한다.
다음에, 음원 특정 장치(100)가 실행하는 처리를, 플로차트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실시형태 1의 음원 특정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단계 S21) 취득부(120)는 마이크 어레이(200)가 수록한 소리의 소리 데이터등을 취득한다.
(단계 S22) 스코어 산출부(130)는 음원 데이터를 이용해서, 복수의 방향의 각각의 스코어를 산출한다.
(단계 S23) 정밀도 산출부(140)는 복수의 음원 방향 후보의 각각의 스코어를 이용해서, 분산값(Var)을 산출한다.
(단계 S24) 정밀도 산출부(140)는 분산값(Var)을 이용해서, 정밀도(Acc)를 산출한다.
(단계 S25) 카 위치 특정부(160)는 카(503)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이용해서, 카(503)의 위치를 특정한다.
(단계 S26) 장해물 판정부(150)는 정밀도(Acc)와 역치(Acc1)와 역치(Acc2)를 이용해서, 장해물의 존재를 판정한다.
(단계 S27) 음원 특정부(170)는 음원 특정 정보(113)를 이용해서, 음원을 특정한다.
(단계 S28) 출력부(180)는 음원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 장치(300)에 출력한다.
실시형태 1에 따르면, 음원 특정 장치(100)는, 승강로 내의 소리를 나타내는 소리 데이터를 이용해서 음원을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음원 특정 장치(100)는, 복잡한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음원 특정 정보(113)를 이용해서, 음원을 특정한다. 따라서, 음원 특정 장치(100)는 음원을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그 다음에, 실시형태 2를 설명한다.
실시형태 2에서는, 실시형태 1과 상위한 사항을 주로 설명한다. 그리고, 실시형태 2에서는, 실시형태 1과 공통되는 사항의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2의 설명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다. 실시형태 1에서는, 2개의 역치(즉, 역치(Acc1)와 역치(Acc2))를 이용해서, 장해물의 존재가 판정되었다. 실시형태 2에서는, 1개의 역치(즉, 역치(Acc2))를 이용해서, 장해물의 존재가 판정될 경우를 설명한다.
도 7은 실시형태 2의 음원 특정 장치가 구비하는 기능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구성과 같은 도 7의 구성은, 도 3에 나타낸 부호와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음원 특정 장치(100a)는, 기억부(110a), 취득부(120a), 정밀도 산출부(140a), 장해물 판정부(150a), 음원 특정부(170a) 및 패턴 특정부(191)를 포함한다. 스코어 산출부(130)와 정밀도 산출부(140a)는 산출부(10a)에 포함된다.
기억부(110a)는 음원 특정 정보(113a)를 기억한다. 여기서, 음원 특정 정보(113a)를 예시한다.
도 8은 실시형태 2의 음원 특정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음원 특정 정보(113a)는 음원 특정 정보(113)에 패턴의 항목이 추가된 정보이다. 패턴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한다.
또, 음원 특정 정보(113a)의 관계의 항목에 등록되어 있는 정보와 음원 특정 정보(113)의 관계의 항목에 등록되어 있는 정보가, 다르다. 여기서, 음원 특정 정보(113a)의 관계의 항목에 등록되어 있는 역치(Acc2)는 제1 역치라고도 한다.
도 7로 되돌아가, 음원 특정 장치(100a)를 설명한다.
스코어 산출부(130)는, 각 방향의 스코어를 산출한다. 정밀도 산출부(140a)는, 각 방향의 스코어의 평균보다도 높은 스코어가 일정 구간 존재하고 있는 방향이 복수의 방향 중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해당 판정을, 도 9 및 도 10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9는 실시형태 2의 승강로의 수평단면도의 예이다. 도 9는 마이크 어레이(200), 카 가이드 레일(502), 카운터 웨이트 가이드 레일(506) 및 카운터 웨이트(507)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9는 마이크 어레이(200)의 정면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실시형태 2의 각 방향의 스코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상태로 수록된 소리를 나타내는 소리 데이터에 의거해서 산출된 각 방향의 스코어를 나타내고 있다. 실선은 각 방향의 스코어를 나타내고 있다. 파선은 각 방향의 스코어의 평균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도 10에서는, 각 방향의 스코어의 평균보다도 높은 스코어가 일정 구간 존재하고 있는 방향은, 배면이다. 각 방향의 스코어의 평균보다도 높은 스코어가 일정 구간 존재하고 있는 방향이 복수의 방향 중에 존재할 경우, 정밀도 산출부(140a)는, 각 방향의 스코어를 장해물 판정부(150a)에 송신한다.
"Acc<Acc2"인 경우, 장해물 판정부(150a)는, 음원과 마이크 어레이(200) 사이에 장해물이 존재한다고 판정한다. 또한, 패턴 특정부(191)는, 스코어 산출부(130)가 산출한 각 방향의 스코어와, 복수의 스코어의 복수의 패턴과 비교한다. 해당 복수의 스코어는, 복수의 제1 확률밀도라고도 한다. 여기서, 복수의 패턴을 예시한다.
도 11(A), (B)는 실시형태 2의 복수의 패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는 패턴1로 한다. 도 11(B)는 패턴2로 한다. 도 11에서는, 2개의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패턴의 수는 3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 예를 들어, 복수의 패턴은 기억부(110)에 격납되어 있다.
취득부(120a)는 복수의 패턴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한다.
패턴 특정부(191)는, 복수의 패턴 중에서, 스코어 산출부(130)가 산출한 각 방향의 스코어에 적합한 패턴을 특정한다. 예를 들면, 패턴 특정부(191)는, 패턴 1, 2 중, 스코어 산출부(130)가 산출한 각 방향의 스코어가 어느 패턴에 적합한 것인지를 판정한다. 또, 패턴 특정부(191)는, 평균 제곱 오차를 이용해서, 스코어 산출부(130)가 산출한 각 방향의 스코어가 어느 패턴에 적합한 것인지를 판정해도 된다.
"Acc2≤Acc"인 경우, 장해물 판정부(150a)는 음원과 마이크 어레이(200) 사이에 장해물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 또한, "Acc2≤Acc"인 경우, 패턴 특정부(191)는 상기 복수의 패턴의 적합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다.
음원 특정부(170a)는, 정밀도 산출부(140)가 산출한 정밀도(Acc)와 역치(Acc2)의 관계, 패턴 특정부(191)가 특정한 패턴, 마이크 어레이 정보(112)가 나타내는 마이크 어레이(200)의 위치와 방향, 카 위치 특정부(160)에 의해 특정된, 카(503)의 위치, 및 장해물 판정부(150a)에 의한 장해물의 판정 결과와 일치하는 레코드를 음원 특정 정보(113a) 중에서 검색한다. 검색된 레코드의 음원의 항목에 등록되어 있는 정보가 음원이다. 이와 같이, 음원 특정부(170a)는, 음원 특정 정보(113a)를 이용해서, 음원을 특정할 수 있다.
실시형태 2에서는, Acc1이 이용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Acc1을 설정하는 작업을 하지 않고 끝낸다. 따라서, 실시형태 2에 따르면, 사용자의 부담이 경감된다.
실시형태 3.
다음에, 실시형태 3을 설명한다. 실시형태 3에서는, 실시형태 1과 상위한 사항을 주로 설명한다. 그리고, 실시형태 3에서는, 실시형태 1과 공통되는 사항의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3의 설명에서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한다.
실시형태 1, 2에서는, 1개의 마이크 어레이가 사용될 경우를 설명하였다. 실시형태 3에서는, 복수의 마이크 어레이가 사용될 경우를 설명한다.
도 12는 실시형태 3의 음원 특정 장치가 구비하는 기능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음원 특정 장치(100b)는 마이크 어레이(200, 201)와 접속한다. 예를 들면, 마이크 어레이(200)는 카(503) 위에 설치된다. 마이크 어레이(201)는 카운터 웨이트(507) 위에 설치된다. 도 12에서는, 2개의 마이크 어레이가 예시되어 있다. 마이크 어레이의 수는, 3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소리를 수록할 때, 마이크 어레이(200, 201)에는, 동기 신호가 입력된다. 즉, 단계 S11일 때, 마이크 어레이(200, 201)에는, 동기 신호가 입력된다.
음원 특정 장치(100b)는, 기억부(110b), 취득부(120b) 및 동기 처리부(192)를 포함한다. 도 3에 나타낸 구성과 같은 도 12의 구성은, 도 3에 나타낸 부호와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 기억부(110b)는 마이크 어레이 정보(112b)와 음원 특정 정보(113b)를 기억한다.
마이크 어레이 정보(112b)는, 마이크 어레이(200, 201)의 위치와 마이크 어레이(200, 201)의 방향을 나타낸다. 다음에, 음원 특정 정보(113b)를 예시한다.
도 13은 실시형태 3의 음원 특정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음원 특정 정보(113b)에는, 마이크 어레이의 수만큼, 관계, 마이크 어레이 위치, 마이크 어레이의 방향, 카 위치, 장해물의 항목이 추가된다.
도 13은 마이크 어레이1에 대응하는 관계 등의 항목을 나타내고 있다. 또, 마이크 어레이1은 마이크 어레이(200)이다. 또한, 도 13은 마이크 어레이2에 대응하는 관계 등의 항목을 나타내고 있다. 또, 마이크 어레이2는 마이크 어레이(201)이다.
음원 특정 정보(113b)의 사용 방법을 간단히 설명한다. 음원 특정 장치(100b)는, 마이크 어레이(200)에 입력된 소리를 나타내는 소리 데이터에 의거해서, 대응하는 행을 마이크 어레이1의 난 중에서 검색한다. 음원 특정 장치(100b)는, 마이크 어레이(201)에 입력된 소리를 나타내는 소리 데이터에 의거해서, 대응하는 행을 마이크 어레이2의 난 중에서 검색한다. 2개의 행이 일치하는 레코드의 음원의 항목에 등록되어 있는 정보가 음원이다. 이와 같이, 음원 특정 장치(100b)는 음원을 특정한다.
취득부(120b)는, 마이크 어레이(200)에 입력된 소리를 나타내는 소리 데이터와 마이크 어레이(201)에 입력된 소리를 나타내는 소리 데이터를 취득한다.
또, 취득부(120b)는, 카(503)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 마이크 어레이 정보(112b) 및 음원 특정 정보(113b)를 취득한다.
동기 처리부(192)는, 해당 동기 신호를 기준으로 해서, 마이크 어레이(200)에 입력된 소리를 나타내는 소리 데이터와 마이크 어레이(201)에 입력된 소리를 나타내는 소리 데이터를 동기시킨다.
산출부(10), 장해물 판정부(150) 및 카 위치 특정부(160)는, 복수의 소리 데이터의 각각에 대해서, 실시형태 1과 같은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산출부(10)는, 마이크 어레이(200)에 입력된 소리를 나타내는 소리 데이터와 마이크 어레이(201)에 입력된 소리를 나타내는 소리 데이터에 의거해서, 2개의 소리 데이터의 각각에 대응하는 정밀도(Acc)를 산출한다.
음원 특정부(170b)는, 2개의 소리 데이터의 각각에 대응하는 정밀도(Acc)와 역치(Acc1)와 역치(Acc2)의 관계, 마이크 어레이 정보(112b), 카 위치 특정부(160)에 의해 특정된, 카(503)의 위치, 장해물 판정부(150)에 의한 판정의 결과, 및 음원 특정 정보(113b)에 의거해서, 음원을 특정한다.
또한, 음원 특정 정보(113b)는 장해물의 항목을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음원 특정 정보(113b)가, 장해물의 항목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 음원 특정부(170b)는, 장해물 판정부(150)에 의한 판정의 결과를 이용하지 않고, 음원을 특정한다.
실시형태 3에 따르면, 음원 특정 장치(100b)는, 복수의 마이크 어레이로부터 출력된 소리 데이터를 이용해서 음원을 특정하므로, 보다 정확한 음원을 특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특징은, 서로 적당히 조합시킬 수 있다.
10, 10a: 산출부, 100, 100a, 100b: 음원 특정 장치, 101: 프로세서, 102: 휘발성 기억장치, 103: 불휘발성 기억장치, 104: 통신 장치, 110, 110a, 110b: 기억부, 111: 승강로 레이아웃, 112, 112b: 마이크 어레이 정보, 113, 113a, 113b: 음원 특정 정보, 120, 120a, 120b: 취득부, 130: 스코어 산출부, 140, 140a: 정밀도 산출부, 150, 150a: 장해물 판정부, 160: 카 위치 특정부, 170, 170a, 170b: 음원 특정부, 180: 출력부, 191: 패턴 특정부, 192: 동기 처리부, 200, 201: 마이크 어레이, 300: 출력 장치, 400: 구동장치, 501: 벽면, 502: 카 가이드 레일, 503: 카, 504: 상측 가이드 슈, 505: 하측 가이드 슈, 506: 카운터 웨이트 가이드 레일, 507: 카운터 웨이트, 508: 카운터 웨이트 상측 가이드 슈, 509: 카운터 웨이트 하측 가이드 슈.

Claims (11)

  1. 음원 특정 장치로서,
    엘리베이터의 카가 이동하는 승강로 내의 소리를 나타내는 소리 데이터, 상기 카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 상기 소리가 입력되는 마이크 어레이의 위치와 상기 마이크 어레이의 방향을 나타내는 마이크 어레이 정보 및 상기 소리의 음원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인 음원 특정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
    상기 소리 데이터와 미리 결정된 방법에 의거해서, 복수의 음원 방향 후보의 확률밀도를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확률밀도를 산출하고, 상기 복수의 확률밀도 중 최대값의 역수 또는 상기 복수의 확률밀도에 의거하는 분산값의 역수인 제1 역수를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카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카의 위치를 특정하는 카 위치 특정부; 및
    미리 설정된 제1 역치와 상기 제1 역수의 관계, 상기 마이크 어레이 정보, 상기 카의 위치 및 상기 음원 특정 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음원을 특정하는 음원 특정부
    를 포함하는, 음원 특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역치와 상기 제1 역수의 관계에 의거해서, 상기 음원과 상기 마이크 어레이 사이에 장해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장해물 판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음원 특정부는, 상기 제1 역치와 상기 제1 역수의 관계, 상기 마이크 어레이 정보, 상기 카의 위치, 상기 판정의 결과 및 상기 음원 특정 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음원을 특정하는, 음원 특정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패턴 특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취득부는 복수의 제1 확률밀도의 복수의 패턴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패턴 특정부는, 상기 복수의 확률밀도의 평균보다도 높은 확률밀도가 일정 구간 존재하고 있는 음원 방향 후보가 상기 복수의 음원 방향 후보 중에 존재하고, 그리고 상기 제1 역수가 상기 제1 역치보다도 작을 경우, 상기 복수의 패턴 중에서 상기 복수의 확률밀도에 적합한 패턴을 특정하고,
    상기 음원 특정부는, 상기 제1 역치와 상기 제1 역수의 관계, 특정된 패턴, 상기 마이크 어레이 정보, 상기 카의 위치 및 상기 음원 특정 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음원을 특정하는, 음원 특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특정부는, 상기 제1 역치와 미리 설정된 제2 역치와 상기 제1 역수의 관계, 상기 마이크 어레이 정보, 상기 카의 위치 및 상기 음원 특정 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음원을 특정하고,
    상기 제2 역치는 상기 제1 역치보다도 큰, 음원 특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역치와 상기 제2 역치와 상기 제1 역수의 관계에 의거해서, 상기 음원과 상기 마이크 어레이 사이에 장해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장해물 판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음원 특정부는, 상기 제1 역치와 상기 제2 역치와 상기 제1 역수의 관계, 상기 마이크 어레이 정보, 상기 카의 위치, 상기 판정의 결과 및 상기 음원 특정 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음원을 특정하는, 음원 특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동기 처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취득부는, 상기 소리가 입력되는 복수의 마이크 어레이로부터 출력된 복수의 소리 데이터, 상기 카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 상기 복수의 마이크 어레이의 위치와 상기 복수의 마이크 어레이의 방향을 나타내는 상기 마이크 어레이 정보 및 상기 음원 특정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동기 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소리 데이터를 동기시키고,
    상기 산출부는, 상기 복수의 소리 데이터에 의거해서, 상기 복수의 소리 데이터의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역수를 산출하고,
    상기 음원 특정부는, 상기 복수의 소리 데이터의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역수와 상기 제1 역치의 관계, 상기 마이크 어레이 정보, 상기 카의 위치 및 상기 음원 특정 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음원을 특정하는, 음원 특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특정부는, 상기 복수의 소리 데이터의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역수와 상기 제1 역치와 미리 설정된 제2 역치의 관계, 상기 마이크 어레이 정보, 상기 카의 위치 및 상기 음원 특정 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음원을 특정하고,
    상기 제2 역치는 상기 제1 역치보다도 큰, 음원 특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는, 상기 카의 속도 및 상기 카의 이동 시간을 나타내고,
    상기 카 위치 특정부는, 상기 카의 속도 및 상기 카의 이동 시간에 의거해서, 상기 카의 위치를 특정하는, 음원 특정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음원 특정 장치.
  10. 음원 특정 방법으로서,
    음원 특정 장치가,
    엘리베이터의 카가 이동하는 승강로 내의 소리를 나타내는 소리 데이터, 상기 카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 상기 소리가 입력되는 마이크 어레이의 위치와 상기 마이크 어레이의 방향을 나타내는 마이크 어레이 정보 및 상기 소리의 음원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인 음원 특정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소리 데이터와 미리 결정된 방법에 의거해서, 복수의 음원 방향 후보의 확률밀도를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확률밀도를 산출하고,
    상기 복수의 확률밀도 중 최대값의 역수 또는 상기 복수의 확률밀도에 의거하는 분산값의 역수인 제1 역수를 산출하고,
    상기 카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카의 위치를 특정하고,
    미리 설정된 제1 역치와 상기 제1 역수의 관계, 상기 마이크 어레이 정보, 상기 카의 위치 및 상기 음원 특정 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음원을 특정하는, 음원 특정 방법.
  11.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엘리베이터의 카가 이동하는 승강로 내의 소리를 나타내는 소리 데이터, 상기 카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 상기 소리가 입력되는 마이크 어레이의 위치와 상기 마이크 어레이의 방향을 나타내는 마이크 어레이 정보 및 상기 소리의 음원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인 음원 특정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소리 데이터와 미리 결정된 방법에 의거해서, 복수의 음원 방향 후보의 확률밀도를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확률밀도를 산출하고,
    상기 복수의 확률밀도 중 최대값의 역수 또는 상기 복수의 확률밀도에 의거하는 분산값의 역수인 제1 역수를 산출하고,
    상기 카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카의 위치를 특정하고,
    미리 설정된 제1 역치와 상기 제1 역수의 관계, 상기 마이크 어레이 정보, 상기 카의 위치 및 상기 음원 특정 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음원을 특정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7031976A 2020-05-11 2020-05-11 음원 특정 장치, 음원 특정 방법 및 음원 특정 프로그램 KR1025381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0/018774 WO2021229628A1 (ja) 2020-05-11 2020-05-11 音源特定装置、音源特定方法、及び音源特定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0265A KR20220130265A (ko) 2022-09-26
KR102538142B1 true KR102538142B1 (ko) 2023-05-30

Family

ID=78525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1976A KR102538142B1 (ko) 2020-05-11 2020-05-11 음원 특정 장치, 음원 특정 방법 및 음원 특정 프로그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204998B2 (ko)
KR (1) KR102538142B1 (ko)
CN (1) CN115552519A (ko)
WO (1) WO2021229628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8562A (ja) * 2000-03-31 2001-10-10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異常音検出装置及び方法
JP2014137226A (ja) * 2013-01-15 2014-07-28 Advanced Telecommunication Research Institute International 移動体、音響源マップ作成システムおよび音響源マップ作成方法
US20180090138A1 (en) * 2016-09-28 2018-03-29 Otis Eleva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localization and acoustic voice interface
US20180257908A1 (en) * 2015-09-28 2018-09-13 Inventio Ag Elevator arrangement adapted for determining positions of fixtures at various floors based on sound measurement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87986A (ja) * 1989-12-18 1991-08-15 Mitsubishi Materials Corp コンクリートパイプの補修方法
JP2010213091A (ja) 2009-03-11 2010-09-24 Ikegami Tsushinki Co Ltd 音源位置推定装置
JP6569853B2 (ja) * 2015-07-09 2019-09-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指向性制御システム及び音声出力制御方法
JP2017032488A (ja) * 2015-08-05 2017-02-09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診断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7396244B (zh) * 2017-08-15 2019-12-24 浙江新再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麦克风阵列的声源定位系统及方法
JP7020283B2 (ja) * 2017-09-14 2022-02-16 富士通株式会社 音源方向判定装置、音源方向判定方法、及び音源方向判定プログラム
CN110782911A (zh) * 2018-07-30 2020-02-1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音频信号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0875060A (zh) * 2018-08-31 2020-03-10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语音信号处理方法、装置、系统、设备和存储介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8562A (ja) * 2000-03-31 2001-10-10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異常音検出装置及び方法
JP2014137226A (ja) * 2013-01-15 2014-07-28 Advanced Telecommunication Research Institute International 移動体、音響源マップ作成システムおよび音響源マップ作成方法
US20180257908A1 (en) * 2015-09-28 2018-09-13 Inventio Ag Elevator arrangement adapted for determining positions of fixtures at various floors based on sound measurements
US20180090138A1 (en) * 2016-09-28 2018-03-29 Otis Eleva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localization and acoustic voice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143218A (zh) 2021-11-16
JPWO2021229628A1 (ko) 2021-11-18
KR20220130265A (ko) 2022-09-26
JP7204998B2 (ja) 2023-01-16
WO2021229628A1 (ja) 2021-11-18
CN115552519A (zh) 2022-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5627B1 (ko) 구조의 수직 층 메커니즘을 가진 컴퓨팅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WO2021253430A1 (zh) 绝对位姿确定方法、电子设备及可移动平台
US112169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esenting environmental elements, system, and vehicle/robot
US11372408B1 (en) Dynamic trajectory-based orientation of autonomous mobile device component
WO2015175414A1 (en) Adaptive position determination
JP2015152991A (ja) 自己位置推定装置及び自己位置推定方法
US10254123B2 (en) Navigation system with vision augmentat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WO2018221454A1 (ja) 地図作成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20200264005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580696B2 (en) Surveying data processing device, surveying data processing method, and surveying data processing program
KR102538142B1 (ko) 음원 특정 장치, 음원 특정 방법 및 음원 특정 프로그램
EP3979156A1 (en) Work analysis system, work analysis device, and work analysis program
CN103229022B (zh) 导航服务器、导航装置及导航系统
US20210364280A1 (en) Road surface area detection device, road surface area detection system, vehicle, and road surface area detection method
TWI838587B (zh) 音源定位裝置、音源定位方法及記錄媒體
JP5720292B2 (ja) 推定位置評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3004848A (ja) ソーナー探知範囲予察可視化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005297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520332B1 (en) System for automated exploration by an autonomous mobile device using markers based on image features
US11274930B1 (en) System for assessing an autonomously determined map
WO2019244334A1 (ja) センサ制御装置、車両、センシング方法およびセンサ制御プログラム
EP2503353B1 (en) Object detection and tracking support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WO2021024685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5157779B2 (ja) 緊急地震速報装置、緊急地震速報方法、および緊急地震速報プログラム
EP3831545A1 (en) Parameter adjustment device, parameter adjustment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