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7238B1 -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직절단블록(a)의 수평부착면(hb) 절단분리 및 인상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직절단블록(a)의 수평부착면(hb) 절단분리 및 인상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37238B1 KR102537238B1 KR1020210121593A KR20210121593A KR102537238B1 KR 102537238 B1 KR102537238 B1 KR 102537238B1 KR 1020210121593 A KR1020210121593 A KR 1020210121593A KR 20210121593 A KR20210121593 A KR 20210121593A KR 102537238 B1 KR102537238 B1 KR 1025372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dge
- manhole
- vertical cutting
- cutting block
- compress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8—Repairs of manhole shaf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9/00—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9/005—Lifting devices for manhole cov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09—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adjustable in height or inclin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18—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with implements to assist in lifting, e.g. counterweights, spr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45—Tools for positioning or removing cover fram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1—Height being adjustabl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절단블록(A)의 원주상 수직 절단(g)이 완료된 상태에서 이동쐐기경사면(45a)(45b)의 하향슬라이드에 의해 쐐기부(W)의 제1 가압·압착력이 발휘된 쐐기압착프레임(3)이 맨홀하우징에 대하여 견고하게 수평 압착되고, 이 상태에서 쐐기압착프레임(3)에 직각으로 맨홀중심부를 가로질러 맨홀하우징의 양단상단부에 걸쳐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HB)의 절단분리 프레임(2)」이 설치되면서 그 양 연장선에 일체로 형성된 대칭의 유압잭지지부의 하부에 소형 유압잭(J)되며,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HB)의 절단분리 프레임(2)」의 양단을 대칭의 양 소형 유압잭(J)에 의해 지그재그 방식으로 번갈아가면서 교번적으로 리프팅(lifting)시킴으로써 비대칭리프팅에 의해 원주상 수직 절단선(g)으로부터 맨홀하우징(10)을 향해 수직절단블록(A)의 수평 부착면(HB)이 서서히 절단·분리되는 한편, 리프트장비(C)에 의한 「인상」동작 시 쐐기압착프레임(3)의 쐐기부(W)의 제1 가압·압착력에 더하여 쐐기부(W)의 제2 가압·압착력이 한층 더 가중됨으로써 수직절단블록(A)의 인상 중량으로 인한 압착슬립이 방지되게 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직절단블록(A)의 수평부착면(HB) 절단분리 및 인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본 발명은 수직절단블록(A)의 원주상 수직 절단(g)이 완료된 상태에서 이동쐐기경사면(45a)(45b)의 하향슬라이드에 의해 쐐기부(W)의 제1 가압 및 압착력이 발휘된 쐐기압착프레임(3)이 맨홀하우징에 대하여 견고하게 수평 압착되고, 이 상태에서 쐐기압착프레임(3)에 직각으로 맨홀중심부를 가로질러 맨홀하우징의 양단상단부에 걸쳐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HB)의 절단분리 프레임(2)」이 설치되면서 그 양 연장선에 일체로 형성된 대칭의 유압잭지지부의 하부에 소형 유압잭(J)되며,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HB)의 절단분리 프레임(2)」의 양단을 대칭의 양 소형 유압잭(J)에 의해 지그재그 방식으로 번갈아가면서 교번적으로 리프팅(lifting)시킴으로써 비대칭리프팅에 의해 원주상 수직 절단선(g)으로부터 맨홀하우징(10)을 향해 수직절단블록(A)의 수평 부착면(HB)이 서서히 절단 및 분리되는 한편, 리프트장비(C)에 의한 「인상」동작 시 쐐기압착프레임(3)의 쐐기부(W)의 제1 가압 및 압착력에 더하여 쐐기부(W)의 제2 가압 및 압착력이 한층 더 가중됨으로써 수직절단블록(A)의 인상 중량으로 인한 압착슬립이 방지되게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또한 맨홀하우징에 대하여 쐐기압착프레임(3)의 쐐기부(W)의 제1 가압 및 압착력이 발휘된 상태에서 수직절단블록(A)에 대한 2가지 동작, 즉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HB)의 절단분리 프레임(2)」에 의한 「수평절단분리」동작과, 그리고 리프트장비(C)에 의한 「인상」동작이 각기 2원화됨으로써 2동작이 하나의 리프트장비(C)(포크레인, 차량용 크레인 등)에 의해 이루어지는 종래기술의 1원화 동작과는 달리 수직절단블록(A)의 「수평절단분리」동작효율이 최대화되어 전 동작(2동작)이 효율적 경제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차량통행이 빈번한 도로 상에 설치된 맨홀은 상부재하차량하중을 지지하는 구조물이면서 그 하부에 설치된 각종 시설물(전기, 상·하수도, 통신, 가스관 등)의 보호 및 그 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구조물이다.
그런데 빈번한 차량통행과, 특히 대형 중량차량의 통행이 도로파손(균열, 부분파임, 가라앉음 등)의 주범이다.
도로상에서 차량의 주행 등으로 맨홀의 주변이 파손되거나 도로면 보다 침하가 발행하며 이때 발생한 도로면과의 단차로 인해 승차감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고속주행의 경우에는 차량의 전복 또는 보행자의 안전에 위험까지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맨홀레벨보수작업이 필요한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다.
맨홀뚜껑을 도로면과 높이가 같게 평탄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이 등록특허 제 10-1454224호(종래기술-1이라한다)에 개시되어있다. 이를(종래기술-1) 중심으로 그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맨홀하우징(2)의 상단레벨이 표층부(6)의 레벨보다 낮으므로 그 레벨의 차가 단턱이다. 그 레벨의 차를 일치시켜 단턱을 없애기 위해 먼저 도13a와 같이 제1, 2바이트(124a)(124b)에 의해 L1을 절단면으로 하여 수직 절단된다. 수직절단 깊이는 표층부(6)와 기층부(5)이다. 수직 절단된 수직절단불록체(A)는 도13b과 같이 리프트장비(C)에 의해 들어올린다. 단턱높이만큼 인상된 맨홀하우징(2)은 들떠 콘크리트 슬래브(3)에 지지되지 않은 상태다. 그 지지를 위해 콘크리트 슬래브(3)에 대한 받침지지수단이 필요하다. 통상 받침지지수단으로는 콘크리트 조정링, 몰탈주입 등이 있다.
그런데 도13a와 같이 수직절단불록체(A)는 오직 수직 절단면(L1)만 있을 뿐이다. 수직 절단면(L1)은 원주상의 수직 절단면이다. 수직절단불록체(A)의 저면 수평부착면은 콘크리트 슬래브(3)에 강력히 부착된 상태다. 수직절단불록체(A)의 저면 수평부착면은 리프트장비(C)의 수직절단불록체(A)인상 시 그 수직상승력에 의해 절단된다. 이때 수직절단불록체(A)의 원주상의 수평 부착면적의 수평부착력에 대하여 리프트장비(C)의 수직상승력만으로 그 수평 부착면적을 뜯어낸다는 것은 수평부착력과 수직상승력의 역학적 성질상 사실상 불가능하다. 수직상승력이 수평부착력을 뜯어낸다하더라도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 여기에다 포크레인, 차량용 크레인 등과 같은 강한 힘의 중장비리프트장비가 필요하다. 그런데 맨홀의 설치위치상 이러한 중장비의 진입이나 그 이동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좁은 도로나 주변 환경의 방해로 인해 교통의 흐름을 방해하기 때문에 그렇다.
또한 도13a에서와 같이 제1, 2바이트(124a)(124b)는 오로지 원주상의 수직 절단면 L1만을 절단할 수 있는 절단구조이다. 제1, 2바이트(124a)(124b)로서는 수직절단불록체(A)의 수평 부착면의 절단분리가 불가능하다. 저면수평 부착면의 절단분리는 순전히 리프트장비(C)의 수직상승력만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이 때문이다.
실제 맨홀보수현장에서 리프트장비(C)에 의해 수직절단불록체(A)의 저면수평 부착면을 절단 분리하는데 거의 모든 시간이 드는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다.
맨홀 주변을 절단 후 맨홀하우징과, 맨홀하우징에 부착된 아스팔트 부착물을 동시에 인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동력이 크고 이동이 불편하 포크레인, 차량용 크레인 장치 등을 사용하는 것 보다 간편한 유압잭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종래기술-1의 리프트장비(C)는 수직인상장비이므로 수직절단불록체(A)의 수평 부착면의 절단분리가 불가능한 구조이다. 리프트장비(C)에 의해 2개의 동작, 즉 수직절단불록체(A)의 「수평부착면의 절단작업」과 함께 「인상작업」이 이루어지므로 2개의 동작이 하나의 리프트장비(C)에 의해 1원화된 종래기술-1은 수평절단면이 절단되지 않는 한, 교통체증의 유발의 관점에서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한편, 다른 종래기술로서 다음의 기술이 개시되어있다.
종래 맨홀하우징을 일정높이로 인상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도로의 포장면에 매립 설치되는 맨홀하우징과 맨홀뚜껑 사이에 인상용 크립 본체를 삽입 설치하는 것이 제안된 바 있다. 이는 도로에 설치된 맨홀을 도로 포장면과 일치되게 인상시킬 수는 있겠으나, 도로에 매설된 맨홀하우징 주위를 감싸고 있는 포장부분 전체를 견고하게 보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보수하고자 하는 맨홀을 중심으로 하여 맨홀 주위의 도로 포장면을 원형 절단기(미도시)를 사용하여 원형으로 절단한 다음, 그 절단된 부분을 파내는 방법으로 제거한 후 맨홀뚜껑과 맨홀하우징을 들어내고, 이어서 상기한 맨홀하우징이 설치되어 있던 콘크리트 슬라브 위에 높이조절링(미도시)을 설치한 후, 그 높이조절링 위에 맨홀하우징과 맨홀뚜껑을 차례대로 다시 설치한 다음, 상기 원형절단기(미도시)에 의해 절단된 도로 퍼장면의 절단부위와 맨홀하우징 외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분에 시멘트몰탈이나 아스콘 및 아스팔트 등의 기층부재 및 표층부재를 차례대로 채워 넣고 다져주는 방법으로 맨홀과 그 주위의 도로 포장면을 도로와 일치시키는 보수공법이 진행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보수공법은 맨홀을 중심으로 하여 맨홀 주위를 감싸고 있는 도로 포장면을 원형 절단기(미도시)로 절단한 후, 그 절단된 도로 포장면과 맨홀을 함께 들어내기 위한 아우터 인상장비(미도시)는 중량체의 구조물이므로 비교적 크기가 큰 대형인 관계로 이를 운반하기 위한 운송차량과 현장으로 운송된 상기한 아우터 인상장비를 보수하고자 하는 맨홀 위로 안전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지게차 등의 중장비와 함께 많은 작업인원이 소요될 뿐 아니라 상기 아우터 인상장비(미도시)를 맨홀 보수현장에 설치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맨홀 인상보수공사비가 비싸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으며, 더구나 교통이 빈번한 도시의 도로상이나 고속도로상에서 맨홀 인상보수공사가 이뤄지게 될 경우에는 심각한 교통체증을 유발하게 될 뿐 아니라 교통사고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맨홀하우징과 절단 부착물을 동시에 들어 올려 제거 하지 못 할 경우 도로 표장층과 절단되어 맨홀하우징에 부착되어 있는 포장층의 아프팔트를 털어내기 위하여 과도한 브레카작업으로 도로 절단면 주변의 포장부의 간접손상과 소음, 진동, 분진등이 발생하며, 또한 맨홀틀과 부착물을 동시에 하더라도 포크레인, 차량용 크레인 장치 등의 강한 힘을 이용하여야 하는 등 비효율적이고 장치의 운반 등 이동상의 문제점 및 경제성 등의 문제가 있고 이 인상장치를 그대로 평탄성 확보 장비로 활용 할 수 없다.
⒜ 본 발명은 수직절단블록(A)의 원주상 수직 절단(g)이 완료된 상태에서 이동쐐기경사면(45a)(45b)의 하향슬라이드에 의해 쐐기부(W)의 제1 가압 및 압착력이 발휘된 쐐기압착프레임(3)이 맨홀하우징에 대하여 견고하게 수평 압착되고, 이 상태에서 쐐기압착프레임(3)에 직각으로 맨홀중심부를 가로질러 맨홀하우징의 양단상단부에 걸쳐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HB)의 절단분리 프레임(2)」이 설치되면서 그 양 연장선에 일체로 형성된 대칭의 유압잭지지부의 하부에 소형 유압잭(J)되며,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HB)의 절단분리 프레임(2)」의 양단을 대칭의 양 소형 유압잭(J)에 의해 지그재그 방식으로 번갈아가면서 교번적으로 리프팅(lifting)시킴으로써 비대칭리프팅에 의해 원주상 수직 절단선(g)으로부터 맨홀하우징(10)을 향해 수직절단블록(A)의 수평 부착면(HB)이 서서히 절단 및 분리되게 함에 그 목적이 있고,
⒝ 쐐기압착프레임(3)의 쐐기부(W)의 제1, 2 가압 및 압착이 2개의 고정 및 이동 쐐기면사이의 쐐기동작에 의해 발휘되되 쐐기부(W)의 제1, 2 가압 및 압착의 쐐기동작이 서로 반대로서 쐐기부(W)의 제1 가압 및 압착에서는 고정쐐기면이 삽입고정부(41a)(41b)의 고정쐐기경사면(44a)(44b)이고, 이에 대응된 이동쐐기면이 이동작동부(42a)(42b)의 이동쐐기경사면(45a)(45b)인데 반해 쐐기부(W)의 제2 가압 및 압착에서는 고정쐐기면이 이동쐐기경사면(45a)(45b)이고, 이동쐐기면이 고정쐐기경사면(44a)(44b)이 되며, 이때 쐐기부(W)의 제1 가압 및 압착력이 이동작동부(42a)(42b)를 통해 맨홀하우징(10)에 대한 압착고정력이고, 이 이동작동부(42a)(42b)의 압착고정력이 그대로 유지된 상태에서 쐐기압착프레임(3)이 포함된 수직절단블록(A)이 인상될 시 이동작동부(42a)(42b)의 이동쐐기경사면(45a)(45b)은 고정쐐기면이 되고, 이에 대응된 삽입고정부(41a)(41b)의 고정쐐기경사면(44a)(44b)은 이동쐐기면이 되며, 이 상태에서 인상 시 수직상승력(F)에 의해 이동쐐기면인 고정쐐기경사면(44a)(44b)이 고정쐐기면인 이동쐐기경사면(45a)(45b)을 따라 발생될 상방향 경사변위(ΔS)가 쐐기부(W)에 의해 구속·억제됨으로써 이 변위구속력이 쐐기부(W)의 제2 가압 및 압착력으로 발휘되고, 이 쐐기부(W)의 제2 가압 및 압착력이 쐐기부(W)의 제1 가압 및 압착력에 더해져 쐐기압착프레임(3)의 수평 압착력이 강화되어 수직절단블록(A)의 인상 중량으로 인한 압착슬립이 방지되게 함에 다른 목적이 있으며,
⒞ 맨홀하우징에 대하여 쐐기압착프레임(3)의 쐐기부(W)의 제1 가압 및 압착력이 발휘된 상태에서 수직절단블록(A)에 대한 2가지 동작, 즉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HB)의 절단분리 프레임(2)」에 의한 「수평절단분리」동작과, 그리고 리프트장비(C)에 의한 「인상」동작이 각기 2원화됨으로써 2동작이 하나의 리프트장비(C)에 의해 이루어지는 종래기술의 1원화 동작과는 달리 수직절단블록(A)의 「수평절단분리」동작효율이 최대화되어 전 동작(2동작)이 효율적 경제적으로 이루어지게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고,
⒟ 수직절단블록(A)에 대한 2가지 동작에서 「수평절단분리」동작이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HB)의 절단분리 프레임(2)」의 간단한 구조에 의해 이루어지면서 리프트장비(C)에 의한 「인상」동작 또한 쐐기부(W)의 제2 가압 및 압착이 추가·발휘됨으로써 「수평절단분리」 및 「인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오버레이(Overlay) 포장으로 발생된 맨홀 단턱의 레벨을 조정하기 위해 맨홀을 중심으로 도로 포장면의 표층면과 기층면을 원주 상으로 수직절단하고, 수직 절단된 수직절단불록체(A)를 리프트장비(C)에 의해 인상되게 한 맨홀 인상 보수장치에 있어서
맨홀하우징(10)의 상단에 일직선상으로 안착되도록 얹어놓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HB)의 절단분리 프레임(2)과;
상기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HB)의 절단분리 프레임(2)의 중심부분을 감싼 채 상향으로 돌출 형성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라켓(23)과;
상기 고정브라켓(23)이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HB)의 절단분리 프레임(2)과, 그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HB)의 절단분리 프레임(2)의 중심부에서 +자상으로 직각 교차되면서 그 하단에 고정·설치되는 쐐기 압착프레임(3)과;
상기 쐐기 압착프레임(3)의 양단 각각에 슬라이드 이동조절이 가능하게 대칭으로 삽입 설치되는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4b)와;
상기 쐐기 압착프레임(3)의 상단과 고정브라켓(23)의 일측에 부착 고정된 채 상기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HB)의 절단분리 프레임(2) 양측에 대칭상태로 고정 형성되는 일측 및 타측 보조프레임(6a)(6b)과;
상기 일측 및 타측 보조프레임(6a)(6b)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채 상기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HB)의 절단분리 프레임(2)의 양측에 평행하도록 접어주거나 일정각도로 펼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일측 및 타측 보조 지지바(7a)(7b);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이다.
또한, 상기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HB)의 절단분리 프레임(2)의 양단에는 도로 포장면에 지지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소형 유압잭(J)을 이용하여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HB)의 절단분리 프레임(2)을 들어 올릴 수 있도록 ㄱ자형으로 돌출되어 있는 일측 및 타측 유압잭 지지부(21)(22)가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이다.
또한, 상기 쐐기 압착프레임(3)의 양단에는 삽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4b)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410)(420) 중 어느 하나의 관통공과 일치하는 조립공(31)이 각각 하나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립공(31) 각각을 통해서는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4b)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관통공(410)(420)을 관통하도록 조립되는 체결볼트(8)로 상기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4b)를 쐐기 압착프레임(3) 양단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이다.
또한, 상기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4b) 각각은 하나 이상의 관통공(410)(420)이 형성되어 있는 삽입고정부(41a)(41b)의 고정쐐기경사면(44a)(44b)과, 이에 대응된 이동작동부(42a)(42b)의 이동쐐기경사면(45a)(45b)에 의해 쐐기부(W)를 이루되 고정쐐기경사면(44a)(44b)과 이동쐐기경사면(45a)(45b)은 같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쐐기면을 이루고, 하향 경사진 쐐기면을 타고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구성인 한편, 수직조절핸들(49a)(49b)의 조임에 의해 이동작동부(42a)(42b)가 하향 이동되면서 쐐기지지돌부(5a)(5b)가 수평으로 확대되고, 이때 코일스프링(46a)(46b)은 탄성 압축되며, 다시 수직조절핸들(49a)(49b)을 풀어줌으로써 압축된 코일스프링(46a)(46b)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이동작동부(42a)(42b)가 원위치로 상향 이동되면서 쐐기지지돌부(5a)(5b)가 수평으로 수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이다.
또한, 상기 일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의 후단에는 조절나사관(9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나사관(91)에는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b)를 일정간격 이격시킨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조절볼트(92)가 나사 조립되어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이다.
또한, 상기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4b) 각각의 상부고정판(43a)(43b)에는 이동작동부(42a)(42b)를 하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일정각도 경사지게 나사조립되어 이동작동부(42a)(42b)를 하강시키기 위한 경사조립볼트(48a)(48b)와, 상기 경사조립볼트(48a)(48b)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수동조절핸들(49a)(49b)이 대칭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이다.
또한, 상기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4b)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이동작동부(42a)(42b) 각각의 이동쐐기경사면(45a)(45b)에는 코일스프링(46a)(46b)이 하나씩 삽입 설치되는 스프링 설치홈(47a)(47b)이 경사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코일스프링(46a)(46b)의 상, 하단은 상부고정판(43a)(43b) 저부와 이동작동부(42a)(42b)의 하단 각각에 연결 고정되고, 상기 이동작동부(42a)(42b)가 하강되면 코일스프링(46a)(46b)이 탄성 압축되고, 다시 이동작동부(42a)(42b)의 상승과 함께 탄성복원력에 의해 코일스프링(46a)(46b)이 원위치로 상승 이동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이다.
또한, 상기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4b) 각각의 이동작동부(42a)(42b)의 쐐기지지돌부(5a)(5b)단부에는 맨홀하우징(10)과의 압착으로 위한 톱니돌기(51a)(51b)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이다.
한편,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를 이용한 수직절단블록(A)의 수평부착면(HB) 절단분리 및 인상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원주상 수직 절단(g)이 완료된 수직절단블록(A)에 대하여
맨홀하우징(10)의 상단에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1)를 설치하고, 맨홀하우징(10)에 대한 쐐기압착프레임(3)의 쐐기부(W)의 제1 가압 및 압착하되 쐐기부(W)의 고정쐐기면은 삽입고정부(41a)(41b)의 고정쐐기경사면(44a)(44b)이고, 이에 대응된 그 이동쐐기면은 이동작동부(42a)(42b)의 이동쐐기경사면(45a)(45b)이며, 양 쐐기면의 쐐기부(W)에 의해 쐐기부(W)의 제1 가압 및 압착력이 가압 발휘되고, 이때 쐐기부(W)의 쐐기력은 수직조절핸들(49a)(49b)의 조임에 의해 이동작동부(42a)(42b)의 이동쐐기경사면(45a)(45b)이 삽입고정부(41a)(41b)의 고정쐐기경사면(44a)(44b)에 대하여 하향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가압 발휘되는 한편, 쐐기부(W)의 제1 가압 및 압착력이 그대로 유지된 상태에서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HB)의 절단분리 프레임(2)의 양단 유압잭 지지부(21)(22)하단에 대칭으로 설치된 양 소형 유압잭(J)을 교번적으로 리프팅시키되 양 소형 유압잭(J)의 리프팅이 지그재그 방식으로 번갈아가면서 반복적으로 수행됨으로써 소형 유압잭(J)의 비대칭리프팅에 의해 수직절단블록(A)의 수평 부착면(HB)이 원주상 수직 절단선(g)으로부터 맨홀하우징을 향해 서서히 절단 및 분리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를 이용한 수직절단블록(A)의 수평부착면(HB) 절단분리 및 인상 시스템이다.
여기에다,
상기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HB)의 절단분리 프레임(2)과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HB)의 절단분리 프레임(2)의 중심부에 고정브라켓(23)이 설치되고, 그 고정브라켓(23)을 중심으로 하여 양 프레임(2)(3)이 +자상으로 직각 교차되며, 쐐기 압착프레임(3)의 상단에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HB)의 절단분리 프레임(2)이 설치되고, 또한 쐐기 압착프레임(3)의 양단에는 삽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4b) 각각에 형성되어 있고,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4b)의 이격거리조정이 조절나사관(91) 및 지지조절볼트(92)에 의해 조정되며, 쐐기부(W)의 제1 가압 및 압착함에 있어 고정쐐기면은 삽입고정부(41a)(41b)의 고정쐐기경사면(44a)(44b)이고, 이에 대응된 이동쐐기면은 이동작동부(42a)(42b)의 이동쐐기경사면(45a)(45b)이며, 이동쐐기면의 하향슬라이드에 의해 이동작동부(42a)(42b)의 쐐기지지돌부(5a)(5b)가 확장되면서 쐐기부(W)의 제1 가압·압착이 이루어지는
한편, 쐐기부(W)의 제1 가압 및 압착이 그대로 유지된 상태에서 쐐기압착프레임(3)이 포함된 수직절단블록(A)이 인상될 시 쐐기부(W)의 고정쐐기면은 이동작동부(42a)(42b)의 이동쐐기경사면(45a)(45b)이 되고, 이에 대응된 이동쐐기면은 삽입고정부(41a)(41b)의 고정쐐기경사면(44a)(44b)이 되며, 이 상태에서 인상 시 수직상승력(F)에 의해 이동쐐기면인 고정쐐기경사면(44a)(44b)이, 고정쐐기면인 이동쐐기경사면(45a)(45b)을 따라 발생될 상방향 경사변위(ΔS)가 쐐기부(W)에 의해 구속·억제됨으로써 이 변위구속력이 쐐기부(W)의 제2 가압 및 압착력으로 발휘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를 이용한 수직절단블록(A)의 수평부착면(HB) 절단분리 및 인상 시스템이다.
쐐기압착프레임(3)의 쐐기부(W)의 작동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쐐기압착프레임(3)은 쐐기부(W)의 작동에 의해 맨홀하우징(10)에 대한 가압 및 압착력이 발휘되는 지지고정부재이다.
쐐기압착프레임(3)의 쐐기부(W)의 작동은 제1, 2 가압 및 압착력으로 발휘·작동된다. 쐐기부(W)의 제2 가압 및 압착은 쐐기부(W)의 제1 가압 및 압착이 그대로 유지된 상태에서 그 위에 더해진 가중된 압착력이다. 이 가중된 압착력역시 맨홀하우징(10)에 대해 발휘되는 수평방향의 압착력이다.
먼저, 맨홀하우징(10)에 대한 쐐기부(W)의 제1 가압 및 압착은 이동쐐기경사면(45a)(45b)이 삽입고정부(41a)(41b)의 고정쐐기경사면(44a)(44b)에 대하여 하향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이동작동부(42a)(42b)가 맨홀하우징(10)쪽으로 확장되어 맨홀하우징(10)에 대해 발휘된 가압 및 압착력이다.
이때 이동작동부(42a)(42b)의 이동쐐기경사면(45a)(45b)의 하향 슬라이딩이동은 수직조절핸들(49a)(49b)의 조임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렇게 이루어진 쐐기압착프레임(3)의 쐐기부(W)의 제1 가압 및 압착력이 그대로 유지된 상태에서 2가지 동작이 수행된다.
그 1가지 동작은 쐐기부(W)의 제1 가압 및 압착력하에서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HB)의 절단분리 프레임(2)에 의하여 수직절단블록(A)의 수평부착면(HB)의 절단분리 동작이다. 맨홀하우징(10)에 대한 쐐기압착프레임(3)의 쐐기부(W)의 제1 가압 및 압착력이 없다면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HB)의 절단분리 프레임(2)의 작동이 수행될 수 없기 때문에 그렇다.
다른 1가지 동작은 쐐기부(W)의 제1 가압 및 압착력하에서 수직 및 수평부착면(HB)이 절단분리 된 수직절단블록(A)의 인상동작이다. 수직·수평절단블록(A)내에 맨홀하우징(10)과 쐐기압착프레임(3)의 쐐기부(W)의 제1 가압 및 압착력이 포함된 것이 아니라면, 리프트장비(C)에 의한 인상은 불가능하다.
이제, 쐐기부(W)의 제1 가압 및 압착 하에서 리프트장비(C)에 의한 인상 시 발휘되는 쐐기부(W)의 제2 가압 및 압착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9 (다)의 힘의 작동관계는 쐐기부(W)의 제1 가압 및 압착 하에서의 쐐기부(W)의 제2 가압 및 압착에 관한 것이다.
도9 (다)에서 보는바와 같이 수직상승력F에 의해 이동경사면인 A의 쐐기경사면이, 고정경사면인 B의 쐐기경사면을 따라 발생될 상방향 경사변위(ΔS)가 쐐기부(W)에 의해 구속·억제됨으로써 이 변위구속력이 쐐기부(W)의 제2 가압 및 압착력으로 발휘된다. 변위구속력인 쐐기부(W)의 제2 가압 및 압착력은 도9 (다)에서 수평분력ΔP와 수직분력ΔF로 나타난다. 이때 쐐기압착프레임(3)의 수평압착력은 수평분력ΔP이다.
쐐기부(W)의 제2 가압 및 압착력은 쐐기부(W)의 제1 가압 및 압착력하에 발휘된 압착력이므로 인상 시 쐐기압착프레임(3)의 수평압착력은 쐐기부(W)의 제1, 2 가압 및 압착력의 합이 된다.
인상 시 쐐기압착프레임(3)의 수평압착력이 쐐기부(W)의 제1, 2 가압 및 압착력의 합으로 강화된 것이므로 수직·수평절단블록(A)의 인상 중량으로 인한 압착슬립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 본 발명은 수직절단블록(A)의 원주상 수직 절단(g)이 완료된 상태에서 이동쐐기경사면(45a)(45b)의 하향슬라이드에 의해 쐐기부(W)의 제1 가압 및 압착력이 발휘된 쐐기압착프레임(3)이 맨홀하우징에 대하여 견고하게 수평 압착되고, 이 상태에서 쐐기압착프레임(3)에 직각으로 맨홀중심부를 가로질러 맨홀하우징의 양단상단부에 걸쳐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HB)의 절단분리 프레임(2)」이 설치되면서 그 양 연장선에 일체로 형성된 대칭의 유압잭지지부의 하부에 소형 유압잭(J)되며,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HB)의 절단분리 프레임(2)」의 양단을 대칭의 양 소형 유압잭(J)에 의해 지그재그 방식으로 번갈아가면서 교번적으로 리프팅(lifting)시킴으로써 비대칭리프팅에 의해 원주상 수직 절단선(g)으로부터 맨홀하우징(10)을 향해 수직절단블록(A)의 수평 부착면(HB)이 서서히 절단 및 분리되는 효과가 있고,
⒝ 쐐기압착프레임(3)의 쐐기부(W)의 제1, 2 가압 및 압착이 2개의 고정 및 이동 쐐기면사이의 쐐기동작에 의해 발휘되되 쐐기부(W)의 제1, 2 가압 및 압착의 쐐기동작이 서로 반대로서 쐐기부(W)의 제1 가압 및 압착에서는 고정쐐기면이 삽입고정부(41a)(41b)의 고정쐐기경사면(44a)(44b)이고, 이에 대응된 이동쐐기면이 이동작동부(42a)(42b)의 이동쐐기경사면(45a)(45b)인데 반해 쐐기부(W)의 제2 가압 및 압착에서는 고정쐐기면이 이동쐐기경사면(45a)(45b)이고, 이동쐐기면이 고정쐐기경사면(44a)(44b)이 되며, 이때 쐐기부(W)의 제1 가압 및 압착력이 이동작동부(42a)(42b)를 통해 맨홀하우징(10)에 대한 압착고정력이고, 이 이동작동부(42a)(42b)의 압착고정력이 그대로 유지된 상태에서 쐐기압착프레임(3)이 포함된 수직절단블록(A)이 인상될 시 이동작동부(42a)(42b)의 이동쐐기경사면(45a)(45b)은 고정쐐기면이 되고, 이에 대응된 삽입고정부(41a)(41b)의 고정쐐기경사면(44a)(44b)은 이동쐐기면이 되며, 이 상태에서 인상 시 수직상승력(F)에 의해 이동쐐기면인 고정쐐기경사면(44a)(44b)이 고정쐐기면인 이동쐐기경사면(45a)(45b)을 따라 발생될 상방향 경사변위(ΔS)가 쐐기부(W)에 의해 구속·억제됨으로써 이 변위구속력이 쐐기부(W)의 제2 가압 및 압착력으로 발휘되고, 이 쐐기부(W)의 제2 가압 및 압착력이 쐐기부(W)의 제1 가압 및 압착력에 더해져 쐐기압착프레임(3)의 수평 압착력이 강화되어 수직절단블록(A)의 인상 중량으로 인한 압착슬립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으며,
⒞ 맨홀하우징에 대하여 쐐기압착프레임(3)의 쐐기부(W)의 제1 가압 및 압착력이 발휘된 상태에서 수직절단블록(A)에 대한 2가지 동작, 즉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HB)의 절단분리 프레임(2)」에 의한 「수평절단분리」동작과, 그리고 리프트장비(C)에 의한 「인상」동작이 각기 2원화됨으로써 2동작이 하나의 리프트장비(C)에 의해 이루어지는 종래기술의 1원화 동작과는 달리 수직절단블록(A)의 「수평절단분리」동작효율이 최대화되어 전 동작(2동작)이 효율적 경제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고,
⒟ 수직절단블록(A)에 대한 2가지 동작에서 「수평절단분리」동작이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HB)의 절단분리 프레임(2)」의 간단한 구조에 의해 이루어지면서 리프트장비(C)에 의한 「인상」동작 또한 쐐기부(W)의 제2 가압 및 압착이 추가·발휘됨으로써 「수평절단분리」 및 「인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를 지닌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를 맨홀하우징 위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치상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방향에서 나타낸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의 설치상태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5의 (가)(나)도는 본 발명의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의 쐐기압착프레임 양단에 삽입 설치되는 일측 및 타측 하우징고정체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C-C선 단면도이고,
도 7의 (가)(나)도는 본 발명의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를 크고 작은 맨홀하우징의 규격에 맞추어 조절하여 설치하는 상태로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이며,
도 8의 (가)(나)도는 본 발명의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의 쐐기압착프레임을 맨홀하우징에 삽입하는 설치상태와 맨홀하우징을 붙잡아주는 결속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 단면도이고,
도 9의 (가)(나)(다)도는 본 발명의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를 이용하여 맨홀하우징을 붙잡아주는 작동상태를 타측 하우징고정체의 작동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가)도는 쐐기압착프레임을 맨홀하우징 속으로 삽입시켰을 때의 타측 하우징고정체의 삽입 상태이며,
(나)도는 쐐기압착프레임의 경사조립볼트를 나사조임방향으로 회전시켜 이동작동부의 쐐기지지돌부가 맨홀하우징을 붙잡아주는 상태이고,
(다)도는 쐐기압착프레임의 상승작동에 의해 타측 하우징고정체의 삽입고정부에 상승력으로 이동작동부를 밀어내는 작용으로 쐐기지지돌부가 맨홀하우징을 강한 쐐기력으로 붙잡는 생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를 이용하여 맨홀하우징과 절단된 도로 포장면을 콘크리트 슬래브에서 떼어내는 작동상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를 이용하여 맨홀하우징과 절단된 도로 포장면을 상향으로 들어내는 작동상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를 이용하여 맨홀하우징의 레벨보수작업을 위한 작동상태도이며,
도 13a는 제1, 2바이트(124a)(124b)에 의해 도로표층면과 기층면을 절단하여 통상적인 원주상의 수직절단불록체(A)가 되게 하는 단면도이고,
도 13b는 도13a에서 절단된 수직절단불록체(A)가 리프트장비(C)에 의해 인상되는 모습을 보인 단면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를 맨홀하우징 위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치상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방향에서 나타낸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의 설치상태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5의 (가)(나)도는 본 발명의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의 쐐기압착프레임 양단에 삽입 설치되는 일측 및 타측 하우징고정체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C-C선 단면도이고,
도 7의 (가)(나)도는 본 발명의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를 크고 작은 맨홀하우징의 규격에 맞추어 조절하여 설치하는 상태로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이며,
도 8의 (가)(나)도는 본 발명의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의 쐐기압착프레임을 맨홀하우징에 삽입하는 설치상태와 맨홀하우징을 붙잡아주는 결속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 단면도이고,
도 9의 (가)(나)(다)도는 본 발명의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를 이용하여 맨홀하우징을 붙잡아주는 작동상태를 타측 하우징고정체의 작동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가)도는 쐐기압착프레임을 맨홀하우징 속으로 삽입시켰을 때의 타측 하우징고정체의 삽입 상태이며,
(나)도는 쐐기압착프레임의 경사조립볼트를 나사조임방향으로 회전시켜 이동작동부의 쐐기지지돌부가 맨홀하우징을 붙잡아주는 상태이고,
(다)도는 쐐기압착프레임의 상승작동에 의해 타측 하우징고정체의 삽입고정부에 상승력으로 이동작동부를 밀어내는 작용으로 쐐기지지돌부가 맨홀하우징을 강한 쐐기력으로 붙잡는 생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를 이용하여 맨홀하우징과 절단된 도로 포장면을 콘크리트 슬래브에서 떼어내는 작동상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를 이용하여 맨홀하우징과 절단된 도로 포장면을 상향으로 들어내는 작동상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를 이용하여 맨홀하우징의 레벨보수작업을 위한 작동상태도이며,
도 13a는 제1, 2바이트(124a)(124b)에 의해 도로표층면과 기층면을 절단하여 통상적인 원주상의 수직절단불록체(A)가 되게 하는 단면도이고,
도 13b는 도13a에서 절단된 수직절단불록체(A)가 리프트장비(C)에 의해 인상되는 모습을 보인 단면상태도이다.
본 발명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를 이용하여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B)의 절단분리 및 그 인상보수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은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1)는 맨홀하우징(10) 위에 일직선상으로 설치되는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B)의 절단분리 프레임(2)와, 상기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B)의 절단분리 프레임(2)의 중심부분 저부에 직교하는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쐐기압착프레임(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1)는 작업자의 힘으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가벼운 중량으로 구성되는 각형 파이프 등의 소재로 제작되는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B)의 절단분리 프레임(2)와 쐐기압착프레임(3)이 서로 직교하는 상태로 +자형을 이루도록 고정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B)의 절단분리 프레임(2)는 맨홀하우징(10)의 직경보다 큰 크기(길이)로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쐐기압착프레임(3)은 맨홀하우징(10) 속으로 삽입 설치될 수 있는 작은 크기(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B)의 절단분리 프레임(2)의 양단 각각에는 도로 포장면(G)에 설치되는 소형 유압잭(J)에 지지될 수 있는 낮은 높이를 갖도록 ㄱ자형으로 형성된 일측 및 타측 유압잭 지지부(21)(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B)의 절단분리 프레임(2)의 중심부분에는 고정브라켓(23)이 상향으로 돌출되어 있도록 고정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23)의 상단(24)에는 앵커볼트(25)가 나사조립되어 있으며, 상기 앵커볼트(25)의 상부에는 작업자가 앵커볼트(25)를 나사조임 및 나사풀림을 용이하게 하는 수동핸들(26)과 굴착기 등의 중장비(미도시)를 이용하여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B)의 절단분리 프레임(2)를 들어올릴 수 있게 하는 링고리(2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쐐기압착프레임(3)은 사각 파이프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쐐기압착프레임(3)의 양단에는 일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와 타측 하우징고정체(4b)가 각각 삽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4b) 각각에는 쐐기압착프레임(3)의 양단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삽입고정부(41a)(41b)와, 상기 삽입고정부(41a)(41b) 각각의 선단에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을 향해 경사상으로 승강작동하는 이동작동부(42a)(42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고정부(41a)(41b) 각각의 선단에는 상부고정판(43a)(43b)이 고정 부착되어 있다.
상기 삽입고정부(41a)(41b) 각각의 선단에는 일정각도 하향으로 경사진 고정쐐기경사면(44a)(44b)이 대칭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작동부(42a)(42b) 각각의 후단에는 고정쐐기경사면(44a)(44b)과 같은 경사각도를 갖는 이동쐐기경사면(45a)(45b)이 대칭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동작동부(42a)(42b)의 이동쐐기경사면(45a)(45b)은 상기 삽입고정부(41a)(41b)의 고정쐐기경사면(44a)(44b)을 따라 상,하 경사방향으로 미끄러지는 상태로 상승 및 하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동작동부(42a)(42b)의 이동쐐기경사면(45a)(45b) 각각에는 코일스프링(46a)(46b)을 탄력 설치하기 위한 스프링 설치홈(47a)(47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 설치홈(47a)(47b) 각각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46a)(46b)은 그 상단이 상부고정판(43a)(43b) 각각의 저부에 볼트(부호 생략) 등에 의해 고정 부착되어 있고, 상기 코일스프링(46a)(46b)의 하단은 이동작동부(42a)(42b) 각각의 하단에 볼트(부호 생략) 등에 의해 고정 부착되어 있다.(도 4 및 도 8 참조)
상기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4b) 각각의 삽입고정부(41a)(41b) 각각에 고정되어 있는 상부고정판(43a)(43b)에는 상기 고정쐐기경사면(44a)(44b) 및 이동쐐기경사면(45a)(45b)과 같은 경사각도를 갖도록 경사지게 대칭 설치되는 경사조립볼트(48a)(48b)가 나사조립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조립볼트(48a)(48b) 각각을 나사조임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때에는 경사조립볼트(48a)(48b)가 경사방향으로 상부고정판(43a)(43b) 밑으로 하강하면서 상기 이동작동부(42a)(42b)의 상면을 눌러주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이동작동부(42a)(42b)가 코일스프링(46a)(46b)을 탄력적으로 인장시키면서 경사방향으로 하강하는 상태가 되고, 이와는 달리 상기 경사조립볼트(48a)(48b) 각각을 나사풀림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때에는 경사조립볼트(48a)(48b)가 상부고정판(43a)(43b)의 상면으로 상승하게 되며, 이로 인해 앞서 경사방향으로 하강하였던 상기 이동작동부(42a)(42b)는 코일스프링(46a)(46b)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원래 위치로 상승하는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경사조립볼트(48a)(48b) 각각의 상단에는 작업자의 손으로 나사조임 및 나사풀림 조작이 용이하도록 수동조절핸들(49a)(49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4b)의 이동작동부(42a)(42b)각각에는 맨홀하우징(10)를 견고하게 붙잡아주기 위한 쐐기지지돌부(5a)(5b)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쐐기지지돌부(5a)(5b) 각각의 선단에는 맨홀하우징(10) 내면을 견고하게 붙잡아주는 톱니돌기(51a)(51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4b)의 이동작동부(42a)(42b) 각각은 삽입고정부(41a)(41b)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쐐기경사면(44a)(44b)을 따라 하강하게 될 때에는 쐐기지지돌부(5a)(5b)가 맨홀하우징(10)의 내면을 향해 전진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쐐기지지돌부(5a)(5b) 각각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톱니돌기(51a)(51b)가 맨홀하우징(10)의 내면에 밀착되는 상태가 되므로, 이에 따라 상기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4b) 각각에 대칭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이동작동부(42a)(42) 각각은 맨홀하우징(10)을 견고하게 붙잡아줄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는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B)의 절단분리 프레임(2)의 중심부분 양측 및 고정브라켓(23)의 일측에는 일측 및 타측 보조프레임(6a)(6b)이 고정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일측 및 타측 보조프레임(6a)(6b) 각각은 상,하판(부호 생략)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채 서로 상, 하 마주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일측 및 타측 보조프레임(6a)(6b)의 상,하판 사이에는 일측 및 타측 보조지지바(7a)(7b)의 일단이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힌지볼트(71a)(71b)에 의하여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일측 및 타측 보조지지바(7a)(7b) 각각의 타단은 일측 유압잭 지지부(21)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크기(길이)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일측 및 타측 보조지지바(7a)(7b) 각각의 연장된 끝단에는 수동으로 나사조임 및 나사풀림 조작이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72)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수동조절볼트(73)가 하나씩 나사조립되어 있으며, 상기 수동조절볼트(73)는 나사조임작동으로 도로 포장면(G)에 지지되도록 하여 일측 및 타측 보조지지바(7a)(7b)를 받쳐주는 상태로 설치되게 하거나 또는 도로 포장면(G)에서 상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일측 및 타측 보조지지바(7a)(7b)를 접어주거나 일정각도 펼쳐줄 수 있는 상태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일측 및 타측 보조프레임(6a)(6b) 각각의 일측 끝단에는 일측 및 타측 보조지지바(7a)(7b) 각각의 펼침각도를 제어하기 위한 펼침각도제어판(61)(62)이 대칭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일측 및 타측 보조지지바(7a)(7b) 각각은 힌지볼트(71a)(71b)를 회전기점으로 하여 일측 및 타측 보조프레임(6a)(6b) 각각의 일측 끝단에 대칭 형성되어 있는 펼침각도제어판(61)(62)의 범위내에서 회전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4b) 각각은 도 7의 (가)(나)에 도시되어 바와 같이 맨홀하우징(10)이 작은 규격(L1)이나 조금 큰 규격(L2)에 따라 쐐기압착프레임(3)의 양단에서 이동작동부(42a)(42b)의 돌출 상태를 연장되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쐐기압착프레임(3)의 양단 속으로 삽입 설치되는 삽입고정부(41a)(41b) 각각에는 내,외측 관통공(410)(4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쐐기압착프레임(3)의 양단에는 각각 하나씩의 조립공(3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쐐기압착프레임(3)의 양단에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조립공(31)과 상기 삽입고정부(41a)(41b)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내,외측 관통공(410)(420)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관통공(410)또는(420)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하나씩의 체결볼트(8)를 이용하여 각각 조립하는 수단으로, 상기 쐐기압착프레임(3)의 양단에 설치되는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4b) 각각에서 이동작동부(42a)(42b)의 돌출 길이를 축소 및 확장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일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의 삽입고정부(41a)의 일단에는 조절나사관(9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나사관(91)에는 지지조절볼트(92)가 나사조립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조절볼트(92)에는 더블너트(93)가 나사조립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쐐기압착프레임(3)의 양단에 삽입 설치되는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4b)를 맨홀하우징(10)의 규격(직경)에 맞추어 상기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4b) 각각에서 이동작동부(42a)(42b)의 돌출 상태를 축소 및 확장 조절하게 될 때 상기 조절나사관(91)에 나사조립되어 있는 지지조절볼트(92)를 나사조임 또는 나사풀림하는 방법으로 상기 쐐기압착프레임(3)의 양단에 삽입 설치되는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4b)들이 서로 밀착 지지되는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또한 더블너트(93)에 의하여 상기 지지조절볼트(92)가 조절나사관(91)에 나사조립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4b)의 삽입고정부(41a)(41b)가 서로 밀착 지지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1)를 이용하여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B)의 절단분리와 그 인상 및 보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맨홀하우징(10)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기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1)는 맨홀하우징(10)의 크기(직경)에 따라서 쐐기압착프레임(3)의 양단에 삽입 설치되어 있는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4b)의 돌출 길이를 축소 및 확장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7의 (가)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맨홀하우징(10)의 규격이 작은 직경(L1)일 경우에는 쐐기압착프레임(3)의 양단 각각에 삽입 설치되는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4b) 각각의 삽입고정부(41a)(41b)에 형성되어 있는 내,외측 관통공(410)(420) 중 외측 관통공(420)을 쐐기압착프레임(3)의 양단 각각에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조립공(31)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체결볼트(8)를 조립공(31)과 외측 관통공(420)에 끼워지도록 체결함으로써 상기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4b)의 삽입고정부(41a)(41b)를 상기 쐐기압착프레임(3)의 양단 속으로 깊게 삽입되는 상태로 조립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쐐기압착프레임(3)의 양단에서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4b)의 돌출 길이를 짧아지는 상태가 되도록 축소 조절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도 7의 (나)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맨홀하우징(10)의 규격이 조금 큰 직경(L2)일 경우에는 상기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4b) 각각의 삽입고정부(41a)(41b)에 형성된 내측 관통공(410)과 쐐기압착프레임(3)의 양단에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조립공(31)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체결볼트(8)로 체결하게 되면 상기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4b)의 돌출 길이가 길어지게 확대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1)는 맨홀하우징(10)의 크기(직경)에 따라 쐐기압착프레임(3)의 양단에 삽입 설치되는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4b)의 돌출 길이를 축소조절 및 확대 조절하는 방식으로 맨홀하우징(10)의 인상보수공사를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맨홀하우징(10)의 인상보수공사를 진행하고자 할 때에는 맨홀하우징(10)을 중심으로 하여 도로 포장면(G)을 일정 반경의 원형으로 절단하여야 하는데, 이는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원형절단기(미도시 : 등록특허 제10-1454224호 참조)를 이용하여 맨홀하우징(10)을 중심으로 하여 원형으로 절단작업을 진행하게 되면 맨홀하우징(10) 주위의 도로 포장면(G)에는 원형의 절단선(g)이 형성된다.(도 8 참조) 여기서 도로 포장면(G)은 기층면과 표층면이다.
상기와 같이 맨홀하우징(10) 주위의 도로 포장면(G)에 원형의 절단선(g)을 형성시킨 후에는 원형절단기(미도시)를 제거하고, 이어서 상기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1)를 맨홀하우징(10) 위에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1)의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B)의 절단분리 프레임(2)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맨홀하우징(10) 상단에 지지되게 하면서 쐐기압착프레임(3)과 그 양단에 삽입 설치되어 있는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4b) 각각은 맨홀하우징(10) 속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B)의 절단분리 프레임(2)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일측 및 타측 유압잭 지지부(21)(22)는 도로 포장면(G)에 설치되는 양측 소형 유압잭(J)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가 되도록 설치하며, 또한 상기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B)의 절단분리 프레임(2)의 중심부분에 고정 형성된 고정브라켓(23)의 상단(24)에 나사조립되어 있는 앵커볼트(25)의 수동핸들(26)을 나사조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앵커볼트(25)의 하단이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B)의 절단분리 프레임(2)를 눌러주는 작동으로 고정시킨다.(도 8의 (가)(나)도 참조)
또한 상기 맨홀하우징(10) 속으로 삽입 설치되는 쐐기압착프레임(3)의 양단에 설치된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4b)의 이동작동부(42a)(42b)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쐐기지지돌부(5a)(5b) 각각은 도 8의 (가)와 같이 톱니돌기(51a)(51b)가 맨홀하우징(10)의 내면과 미세한 간격(t)을 유지하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데, 이는 상기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1)를 맨홀하우징(10) 상단에 설치할 때 쐐기압착프레임(3)과 그 양단에 설치되는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4b)를 맨홀하우징(10) 속으로 삽입 설치를 용이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4b) 각각에 경사진 상태로 나사조립되어 있는 경사작동볼트(48a)(48b)를 나사조임하는 작동으로 이동작동부(42a)(42b)를 하강이동시켜 쐐기지지돌부(5a)(5b)가 맨홀하우징(10)의 내면을 붙잡아주는 작동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B)의 절단분리 프레임(2)를 맨홀하우징(10) 상단에 지지되도록 하면서 상기 쐐기압착프레임(3)과 그 양단에 설치된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4b)이 맨홀하우징(10) 속으로 삽입 설치한 다음에는 도 8의 (나)와 같이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4b) 각각의 상부 고정판(43a)(43b)에 일정각도 경사진 상태로 나사조립되어 있는 경사조립볼트(38a)(48b)의 상단에 형성된 수동조절핸들(49a)(49b)을 나사조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경사조립볼트(48a)(48b)가 상부고정판(43a)(43b) 밑으로 하강이동하면서 이동작동부(42a)(42b)를 하강 이동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이동작동부(42a)(42b)의 이동쐐기경사면(45a)(45b)이 삽입고정부(41a)(41b)각각의 선단에 일정각도 경사진 고정쐐기경사면(44a)(44b)을 따라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이동작동부(42a)(42b) 각각에 돌출 형성된 쐐기지지돌부(5a)(5b)는 맨홀하우징(10)의 내면 쪽으로 전진이동하여 맨홀하우징(10) 내면에 밀착되는 상태가 된다.(도 8의 (나)에 도시된 화살표 참조)
상기와 같이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1)의 쐐기압착프레임(3)을 맨홀하우징(10) 속으로 삽입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쐐기압착프레임(3)의 양단에 조립 설치되어 있는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4b)가 맨홀하우징(10) 속으로 삽입 설치되어 맨홀하우징(10)의 내면을 강하게 붙잡아주는 작동상태에 대하여 상기 타측 하우징고정체(4b)의 구체적인 작동으로 나타낸 도 9의 (가)(나)(다)도의 도시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의 (가)도는 쐐기압착프레임(3)을 맨홀하우징(10) 속으로 삽입시킬 때를 도시한 것으로, 이때에는 타측 하우징고정체(4b)의 이동작동부(42b)에 형성된 쐐기지지돌부(5b)의 톱니돌기(51b)가 맨홀하우징(10) 내면과는 미세한 간격(t)으로 이격되는 상태이므로 상기 쐐기압착프레임(3)을 맨홀하우징(10) 속으로 삽입시킬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도 9의 (나)도 도시와 같이 경사조립볼트(48b)를 나사조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경사조립볼트(48b)가 상부 고정판(43b) 밑으로 하강하면서 이동작동부(42b)를 하강작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이동작동부(42b)의 이동쐐기경사면(45b)은 삽입고정부(41b)의 고정쐐기경사면(44b)을 따라 경사진 방향으로 하강이동하게 되며, 상기 이동작동부(42b)가 삽입고정부(41b)의 고정쐐기경사면(44b)을 따라 경사방향으로 하강이동하게 될 때에는 이동작동부(42b)는 맨홀하우징(10)의 내면을 향해 전진 이동하는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이동작동부(42B)에 형성되어 있는 쐐기지지돌부(5a)가 맨홀하우징(10)의 내면을 향해 이동하게 되므로 톱니돌기(51b)가 맨홀하우징(10) 내면에 밀착 압착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작동부(42b)에 돌출 형성된 쐐기지지돌부(5a)의 전진 이동작동으로 톱니돌기(51b)가 맨홀하우징(10) 내면에 압착된 상태에서 도 9의 (다)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평부착면(HB)이 절단분리 된 수직절단블록(A)에 리프트장비(C)에 의한 인상 수직상승력(F)이 작용하게 되면, 이동경사면인 A의 쐐기경사면이, 고정경사면인 B의 쐐기경사면을 따라 발생될 상방향 경사변위(ΔS)가 쐐기부(W)에 의해 구속·억제됨으로써 이 변위구속력이 쐐기부(W)의 제2 가압 및 압착력으로 발휘되게 된다. 변위구속력인 쐐기부(W)의 제2 가압 및 압착력은 도9 (다)에서 수평분력ΔP와 수직분력ΔF로 나타난다. 이때 쐐기압착프레임(3)의 수평압착력은 수평분력ΔP이다.
쐐기부(W)의 제2 가압 및 압착력은 쐐기부(W)의 제1 가압 및 압착력하에 발휘된 압착력이므로 인상 시 쐐기압착프레임(3)의 수평압착력은 쐐기부(W)의 제1, 2 가압 및 압착력의 합이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1)는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B)의 절단분리 프레임(2)에 대하여 +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기 쐐기압착프레임(3)의 양단에 삽입 설치되어 있는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4b)의 수동조절핸들(49a)(49b)를 나사조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작동에 의해 경사작동볼트(48a)(48b)가 이동작동부(42a)(42b)를 하강이동시킴에 따라 쐐기지지돌부(5a)(5b)의 톱니돌기(51a)(51b)가 맨홀하우징(10)의 내면에 밀착되는 상태가 되면 상기 이동작동부(42a)(42b)는 더 이상 전진 이동 및 하강하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수동조절핸들(49a)(49b)의 나사조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작동을 정지한 다음, 이어서 상기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1)를 이용하여 맨홀하우징(10)의 인상 및 보수하는 작업을 순차적으로 진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4b)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조립볼트(48a)(48b)를 나사조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이동작동부(42a)(42b)가 하강하게 될 때에는 코일스프링(46a)(46b)이 탄력적으로 인장되는 상태가 되며, 상기 경사조립볼트(48a)(48b)가 나사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될 때에는 이동작동부(42a)(42b)가 상승하게 되므로, 이에 따라 탄력적으로 인장되었던 상기 코일스프링(46a)(46b)이 탄성복원력에 원위치 복귀하게 되므로 상기 이동작동부(42a)(42b)는 원래 위치로 상승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1)를 이용하여 맨홀하우징(10)을 인상 및 보수하는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4b)의 이동작동부(42a)(42b) 각각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쐐기지지돌부(5a)(5b)의 톱니돌기(51a)(51b)가 강한 쐐기력(P)으로 맨홀하우징(10)의 내면을 대칭상으로 붙잡고 있는 상태에서 맨홀하우징(10)을 상승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B)의 절단분리 프레임(2)에 상승압력이 작용하는 상태가 되면 이와 동시에 쐐기압착프레임(3)에도 상승 압력이 작용하는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쐐기압착프레임(3)의 양단에 삽입 설치된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4b)의 삽입고정부(41a)(41b) 선단에 형성된 고정쐐기경사면(44a)(44b)이 이동작동부(42a)(42b)에 형성된 이동쐐기경사면(45a)(45b)을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려는 수평력(F2)이 작용하는 상태가 되며, 이와 같이 상기 고정쐐기경사면(44a)(44b)이 이동쐐기경사면(45a)(45b)을 외측으로 밀어내는 수평력(F2)이 작용하는 상태가 될 때에는 상기 이동작동부(42a)(42b)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쐐기지지돌부(5a)(5b)의 톱니돌기(51a)(51b)는 강한 쐐기력(P)으로 맨홀하우징(10)의 내면을 강하게 붙잡아주는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4b) 각각의 이동작동부(42a)(42b)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쐐기지지돌부(5a)(5b)는 톱니돌기(51a)(51b)로 맨홀하우징(10)을 더욱 강하고 견고하게 붙잡아주는 상태가 된다.
이어서, 맨홀하우징(10) 상단에 설치된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B)의 절단분리 프레임(2)의 양단에 형성된 일측 및 타측 유압잭 지지부(21)(22) 각각을 받쳐주도록 설치된 양측 소형 유압잭(J)을 교대적으로 상승 작동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B)의 절단분리 프레임(2)의 양단을 상,하 교대적으로 상승 및 하강시키는 작동으로 흔들어주면서 조금씩 상승시키게 되면 콘크리트 슬래브(110)로부터 수직절단블록(A)의 수평부착면(B)이 절단되게 된다(도 10 참조). 이때 수직절단블록(A)은 수평부착면(B)과 수직절단선(g)이 절단 및 분리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절단 및 분리된 수직절단블록(A)은 단턱레벨조정을 위해 차량용 크레인 등의 리프트장비(미도시)에 의해 인상된다. 이때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B)의 절단분리 프레임(2)의 중심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앵커볼트(25)의 링고리(27)에 인상용 와이어(W)와 리프트장비가 연결된다.
상기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B)의 절단분리 프레임(2)에 설치되어 있는 쐐기압착프레임(3)과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4b)가 압착지지된 맨홀하우징(10)과 함께 절단 및 분리된 수직절단블록(A)이 리프트장비(C)에 의해 인상된다. 수직절단블록(A)이 인상된 후 단턱의 높이만큼 높이조정수단(높이조정링, 몰탈충진 등)이 설치된다. 인상된 수직절단블록(A)을 상기 높이조정수단위에 다시 삽입하고, 그 삽입틈새를 충진재로 충진함으로써 그 맨횰레벨보수작업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맨홀하우징(10)의 맨횰레벨보수작업 시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1)의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B)의 절단분리 프레임(2)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일측 및 타측 지지부(2)의 하부는 포장면(G)상단에 지지된 상태이며, 또한 상기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B)의 절단분리 프레임(2)의 중심부분 양측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일측 및 타측 보조프레임(6a)(6b)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일측 및 타측 보조지지바(7a)(7b)는 도 2의 도시에서 가상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정각도 벌어진 상태로 회전시킨 다음, 상기 일측 및 타측 보조지지바(7a)(7b) 각각의 끝단에 나사조립되어 있는 수동조절볼트(73)의 손잡이(72)를 도 11의 실선 화살표와 같이 나사조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수동조절볼트(73)가 새로 포장된 재포장면(G1)에 지지되는 상태가 되므로, 이에 따라 양측에 지지되어 있는 상기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B)의 절단분리 프레임(2)이 더욱 안정되게 설치된다.(도 11 참조)
이와 같이 쐐기압착프레임(3)의 쐐기부(W)의 제1 가압 및 압착력이 발휘된 상태에서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B)의 절단분리 프레임(2)에 의해 수직·수평절단블록(A)이 된 후, 다시 이를 리프트장비(C)에 의해 인상된다. 수직·수평절단블록(A)의 인상과 함께 쐐기압착프레임(3)의 쐐기부(W)에는 제1 가압 및 압착력에 더하여 제2 가압 및 압착력이 발휘됨으로써 쐐기압착프레임(3)의 수평압착력이 더한층 강화되어 수직·수평절단블록(A)의 인상 중량으로 인한 압착슬립이 방지되는 이점을 지닌 유용한 발명이다.
1 :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1)
10 : 맨홀하우징
2 :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B)의 절단분리 프레임,
21, 22 : 일측 및 타측 유압잭 지지부,
23 : 고정브라켓, 24 : 상단, 25 : 앵커볼트, 26 : 수동핸들, 27 : 링고리,
3 : 쐐기압착프레임, 31 : 조립공, 4a, 4b :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
41a, 41b : 삽입고정부, 42a, 42b : 이동작동부, 43a, 43b : 상부 고정판 44a, 44b : 고정쐐기경사면, 45a,45b : 이동쐐기경사면, 46a,46b : 코일스프링,
47a, 47b : 스프링 설치홈, 48a, 48b : 경사조립볼트, 49a, 49b : 수동조절핸들, 410, 420 : 관통공, 5a,5b : 쐐기지지돌부, 51a, 51b : 톱니돌기,
6a,6b : 일측 및 타측 보조프레임, 61, 62 : 펼침각도제어판,
7a, 7b : 일측 및 타측 보조지지바, 71a, 71b : 힌지볼트, 72 : 손잡이, 73 : 수동조절볼트, 8 : 체결볼트, 91 : 조절나사관, 92 ; 지지조절볼트, 93 : 더블너트
10 : 맨홀하우징
2 :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B)의 절단분리 프레임,
21, 22 : 일측 및 타측 유압잭 지지부,
23 : 고정브라켓, 24 : 상단, 25 : 앵커볼트, 26 : 수동핸들, 27 : 링고리,
3 : 쐐기압착프레임, 31 : 조립공, 4a, 4b :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
41a, 41b : 삽입고정부, 42a, 42b : 이동작동부, 43a, 43b : 상부 고정판 44a, 44b : 고정쐐기경사면, 45a,45b : 이동쐐기경사면, 46a,46b : 코일스프링,
47a, 47b : 스프링 설치홈, 48a, 48b : 경사조립볼트, 49a, 49b : 수동조절핸들, 410, 420 : 관통공, 5a,5b : 쐐기지지돌부, 51a, 51b : 톱니돌기,
6a,6b : 일측 및 타측 보조프레임, 61, 62 : 펼침각도제어판,
7a, 7b : 일측 및 타측 보조지지바, 71a, 71b : 힌지볼트, 72 : 손잡이, 73 : 수동조절볼트, 8 : 체결볼트, 91 : 조절나사관, 92 ; 지지조절볼트, 93 : 더블너트
Claims (6)
- 도로면과 맨홀하우징과의 단차 발생된 맨홀하우징을 도로면과 평탄성 레벨을 맞추기 위해 맨홀을 중심으로 도로 포장면의 표층면과 기층면을 원주 상으로 수직절단하고, 수직 절단된 수직절단불록체(A)를 리프트장비(C)에 의해 인상되게 한 맨홀 인상 보수장치에 있어서
맨홀하우징(10)의 상단에 일직선상으로 안착되도록 얹어놓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HB)의 절단분리 프레임(2)과;
상기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HB)의 절단분리 프레임(2)의 중심부분을 감싼 채 상향으로 돌출 형성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라켓(23)과;
상기 고정브라켓(23)이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HB)의 절단분리 프레임(2)과, 그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HB)의 절단분리 프레임(2)의 중심부에서 +자상으로 직각 교차되면서 그 하단에 고정·설치되는 쐐기 압착프레임(3)과;
상기 쐐기 압착프레임(3)의 양단 각각에 슬라이드 이동조절이 가능하게 대칭으로 삽입 설치되는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4b)와;
상기 쐐기 압착프레임(3)의 상단과 고정브라켓(23)의 일측에 부착 고정된 채 상기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HB)의 절단분리 프레임(2) 양측에 대칭상태로 고정 형성되는 일측 및 타측 보조프레임(6a)(6b)과;
상기 일측 및 타측 보조프레임(6a)(6b)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채 상기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HB)의 절단분리 프레임(2)의 양측에 평행하도록 접어주거나 일정각도로 펼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일측 및 타측 보조 지지바(7a)(7b);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HB)의 절단분리 프레임(2)의 양단에는 도로 포장면에 지지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소형 유압잭(J)을 이용하여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HB)의 절단분리 프레임(2)을 들어 올릴 수 있도록 ㄱ자형으로 돌출되어 있는 일측 및 타측 유압잭 지지부(21)(2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 압착프레임(3)의 양단에는 삽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4b)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410)(420) 중 어느 하나의 관통공과 일치하는 조립공(31)이 각각 하나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립공(31) 각각을 통해서는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4b)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관통공(410)(420)을 관통하도록 조립되는 체결볼트(8)로 상기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4b)를 쐐기 압착프레임(3) 양단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의 후단에는 조절나사관(9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나사관(91)에는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b)를 일정간격 이격시킨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조절볼트가 나사 조립되어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및 타측 하우징 압축 고정체(4a)(4b) 각각의 이동작동부(42a)(42b)의 쐐기지지돌부(5a)(5b)단부에는 맨홀하우징(10)과의 압착으로 위한 톱니돌기(51a)(51b)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 - 원주상 수직 절단(g)이 완료된 수직절단블록(A)에 대하여 맨홀하우징(10)의 상단에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1)를 설치하고, 맨홀하우징(10)에 대한 쐐기압착프레임(3)의 쐐기부(W)의 제1 가압 및 압착하되 쐐기부(W)의 고정쐐기면은 삽입고정부(41a)(41b)의 고정쐐기경사면(44a)(44b)이고, 이에 대응된 그 이동쐐기면은 이동작동부(42a)(42b)의 이동쐐기경사면(45a)(45b)이며, 양 쐐기면의 쐐기부(W)에 의해 쐐기부(W)의 제1 가압 및 압착력이 가압 발휘되고, 이때 쐐기부(W)의 쐐기력은 수직조절핸들(49a)(49b)의 조임에 의해 이동작동부(42a)(42b)의 이동쐐기경사면(45a)(45b)이 삽입고정부(41a)(41b)의 고정쐐기경사면(44a)(44b)에 대하여 하향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가압 발휘되는 한편, 쐐기부(W)의 제1 가압 및 압착력이 그대로 유지된 상태에서 수직절단블록(A) 수평부착면(HB)의 절단분리 프레임(2)의 양단 유압잭 지지부(21)(22)하단에 대칭으로 설치된 양 소형 유압잭(J)을 교번적으로 리프팅시키되 양 소형 유압잭(J)의 리프팅이 지그재그 방식으로 번갈아가면서 반복적으로 수행됨으로써 소형 유압잭(J)의 비대칭리프팅에 의해 수직절단블록(A)의 수평 부착면(HB)이 원주상 수직 절단선(g)으로부터 맨홀하우징을 향해 서서히 절단 및 분리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를 이용한 수직절단블록(A)의 수평부착면(HB) 절단분리 및 인상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1593A KR102537238B1 (ko) | 2021-01-20 | 2021-09-13 |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직절단블록(a)의 수평부착면(hb) 절단분리 및 인상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7855A KR102321742B1 (ko) | 2021-01-20 | 2021-01-20 |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직절단블록(a)의 수평부착면(hb) 절단분리·인상 시스템 |
KR1020210121593A KR102537238B1 (ko) | 2021-01-20 | 2021-09-13 |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직절단블록(a)의 수평부착면(hb) 절단분리 및 인상 시스템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07855A Division KR102321742B1 (ko) | 2021-01-20 | 2021-01-20 |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직절단블록(a)의 수평부착면(hb) 절단분리·인상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05576A KR20220105576A (ko) | 2022-07-27 |
KR102537238B1 true KR102537238B1 (ko) | 2023-05-26 |
Family
ID=7852151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07855A KR102321742B1 (ko) | 2021-01-20 | 2021-01-20 |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직절단블록(a)의 수평부착면(hb) 절단분리·인상 시스템 |
KR1020210121593A KR102537238B1 (ko) | 2021-01-20 | 2021-09-13 |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직절단블록(a)의 수평부착면(hb) 절단분리 및 인상 시스템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07855A KR102321742B1 (ko) | 2021-01-20 | 2021-01-20 |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직절단블록(a)의 수평부착면(hb) 절단분리·인상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321742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67003B1 (ko) * | 2011-04-20 | 2011-09-22 | 태평림건설 주식회사 | 맨홀의 보수장치 |
KR101442772B1 (ko) * | 2014-03-11 | 2014-11-04 | 태평림건설 주식회사 | 접이형 맨홀 하우징 지지장치와 맨홀 보수용 거푸집을 이용한 맨홀 보수공법 |
KR101657620B1 (ko) * | 2014-07-29 | 2016-09-19 | 둥지토건(주) | 다기능의 맨홀철개 운반 거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 보수공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39462B1 (ko) | 1995-06-23 | 1998-07-01 | 전성원 | 파워 스티어링 오일펌프 |
KR100885659B1 (ko) * | 2007-02-06 | 2009-02-25 | 이윤영 | 맨홀 보수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지그 |
KR101454224B1 (ko) | 2014-03-14 | 2014-10-23 | 삼서공업 주식회사 | 노면의 파쇄와 절단을 수행하는 가변형 원형절단기와 콤파스형 높이조절기를 이용한 맨홀 보수공법 |
-
2021
- 2021-01-20 KR KR1020210007855A patent/KR10232174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09-13 KR KR1020210121593A patent/KR10253723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67003B1 (ko) * | 2011-04-20 | 2011-09-22 | 태평림건설 주식회사 | 맨홀의 보수장치 |
KR101442772B1 (ko) * | 2014-03-11 | 2014-11-04 | 태평림건설 주식회사 | 접이형 맨홀 하우징 지지장치와 맨홀 보수용 거푸집을 이용한 맨홀 보수공법 |
KR101657620B1 (ko) * | 2014-07-29 | 2016-09-19 | 둥지토건(주) | 다기능의 맨홀철개 운반 거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 보수공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05576A (ko) | 2022-07-27 |
KR102321742B1 (ko) | 2021-1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37238B1 (ko) | 수직절단블록(a) 부착면(b)의 절단분리 겸 맨홀인상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직절단블록(a)의 수평부착면(hb) 절단분리 및 인상 시스템 | |
KR100642332B1 (ko) | 도로 교량용 교대 기초 전도방지 구조물 | |
KR101330145B1 (ko) | 교량구조물의 교축방향 이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급속 교량교체공법 | |
KR20110015847A (ko) | 교량 인상에서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 |
JP2010007348A (ja) | マンホール補修時のマンホール凹陥処仮設施工法 | |
JPH09143933A (ja) | 床版の撤去方法及び装置 | |
JP2671199B2 (ja) | 橋梁床版解体方法及び装置 | |
JP2003206510A (ja) | 既設弾性支承の機能変更補修工法 | |
JP4339778B2 (ja) | 橋梁の撤去方法 | |
JPH0726371B2 (ja) | 橋梁床版解体方法及び装置 | |
JP2003206509A (ja) | 既設弾性支承の機能変更補修工法 | |
CN109423929B (zh) | 一种机械式安装拆卸工具及具有其的安装拆卸方法 | |
CN112695602A (zh) | 一种克服桥墩不均匀沉降的桥梁 | |
KR960004916B1 (ko) | 절삭 오버레이(overlay) 공법(工法) | |
CN217781621U (zh) | 道路面板拼接组件和临时道路系统 | |
KR19990009086A (ko) | 기존의 교량 상부구조물을 이용한 교량의 개보수방법 | |
JPH0967809A (ja) | 橋梁床版解体方法及び装置 | |
KR200290739Y1 (ko) | 교량 보수를 위한 인상용 잭 받침대 | |
KR200345807Y1 (ko) | 교량상판 인상장치 | |
CN210163768U (zh) | 一种减振调平装置及包含该装置的公路桥面结构 | |
KR102629801B1 (ko) | 자동 안전장치가 구비된 유압잭을 포함하는 컴퓨터 제어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인상 공법 | |
JPH11190008A (ja) | 高架橋梁の架替工法 | |
CN221918827U (zh) | 一种施工场地用多功能钢板 | |
CN211228023U (zh) | 一种公路施工用泥土铲平装置 | |
JP2004084280A (ja) | 道路の構築方法及び構築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