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7177B1 - 공기조화장치 및 그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장치 및 그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7177B1
KR102537177B1 KR1020170096706A KR20170096706A KR102537177B1 KR 102537177 B1 KR102537177 B1 KR 102537177B1 KR 1020170096706 A KR1020170096706 A KR 1020170096706A KR 20170096706 A KR20170096706 A KR 20170096706A KR 102537177 B1 KR102537177 B1 KR 102537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nit
air quality
information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4235A (ko
Inventor
강상우
김동욱
김진민
홍현진
조안호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6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177B1/ko
Publication of KR20190014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된 구역 및 습도조절이 필요한 구역을 자동으로 집중 공기조화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 및 그 작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본 발명은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여과, 가습 및 제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처리한 후 토출하며, 회전하여 토출공기의 풍향조절이 가능한 공기처리유닛; 상기 공기처리유닛의 풍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공기처리유닛에 구비되며, 무선통신을 사용하여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통신모듈; 상기 공기처리유닛과 분리되어 외부에 배치되며, 주변공기의 오염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공기질을 측정하고, 측정한 공기질정보를 상기 통신모듈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질 측정기; 상기 공기질 측정기에 구비되며, 적외선(IR, InfraRed) 신호를 송수신하는 측정기측 IR통신부; 및 상기 공기처리유닛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공기처리유닛의 풍향조절동작과 독립적으로 회전하고, 상기 측정기측 IR통신부와 적외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측 IR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장치 및 그 작동방법{AIR CONDITIONER AND METHOD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질 측정기의 측정값에 따라 오염된 구역 및 습도조절이 필요한 구역을 파악하여 자동으로 해당구역을 집중적으로 공기조화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공기청정기에 연동하는 공기질 측정기를 설치하여, 공기질 측정기의 측정값에 따라 공기청정기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의한 공기질 측정기와 연동하는 공기청정기는 단순히 공기질 측정기의 측정값에 따라 공기청정기의 온오프 및 풍량이 제어되는 정도에 불과하다.
그러나, 공기질 측정기는 자신이 설치된 위치의 주변의 공기질을 측정하기 때문에, 공기청정기가 공기질 측정기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것이 실내 공기질 개선 효율이 더 높다.
종래의 기술에 의한 공기질 측정기에 연동하는 공기조화장치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34762호에 개시되어 있다.
KR10-2017-0034762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으로서, 오염된 구역 및 습도조절이 필요한 구역을 자동으로 집중 공기조화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 및 그 작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공기를 흡입하여 여과, 가습 및 제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처리한 후 외부로 토출시키는 제1 공기처리유닛; 및 전면(前面)에 공기가 토출되는 전면토출부를 구비하고, 공기를 흡입하여 여과, 가습 및 제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처리한 후 상기 전면토출부로 토출시키며, 상기 제1 공기처리유닛에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공기처리유닛;을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제2 공기처리유닛의 회전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1 공기처리유닛 또는 상기 제2 공기처리유닛에 구비되며, 무선통신을 사용하여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통신모듈; 상기 제1 공기처리유닛 및 상기 제2 공기처리유닛과 분리되어 외부에 배치되며, 주변공기의 오염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공기질을 측정하고, 측정한 공기질정보를 상기 통신모듈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질 측정기; 상기 공기질 측정기에 구비되며, 적외선(IR, InfraRed) 신호를 송수신하는 측정기측 IR통신부; 및 상기 제2 공기처리유닛에 구비되며, 상기 측정기측 IR통신부와 적외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측 IR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여과, 가습 및 제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처리한 후 토출하며, 회전하여 토출공기의 풍향조절이 가능한 공기처리유닛; 상기 공기처리유닛의 풍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공기처리유닛에 구비되며, 무선통신을 사용하여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통신모듈; 상기 공기처리유닛과 분리되어 외부에 배치되며, 주변공기의 오염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공기질을 측정하고, 측정한 공기질정보를 상기 통신모듈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질 측정기; 상기 공기질 측정기에 구비되며, 적외선(IR, InfraRed) 신호를 송수신하는 측정기측 IR통신부; 및 상기 공기처리유닛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공기처리유닛의 풍향조절동작과 독립적으로 회전하고, 상기 측정기측 IR통신부와 적외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측 IR통신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또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여과, 가습 및 제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처리한 후 토출하며 회전하여 토출공기의 풍향조절이 가능한 공기처리유닛과, 상기 공기처리유닛과 분리되어 외부에 배치되며 주변공기의 오염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공기질을 측정하고 측정한 공기질정보를 상기 공기처리유닛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질 측정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작동방법으로서, 상기 공기처리유닛의 상기 공기질 측정기의 위치 설정 모드를 시작하는 단계; 상기 공기처리유닛이 실내공간을 스캔하면서 적외선 통신을 통해 상기 공기질 측정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공기질 측정기가 상기 공기질정보를 상기 공기처리유닛에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공기처리유닛이 각 위치별 상기 공기질 측정기에서 측정한 상기 공기질정보를 수신하여, 토출공기가 상기 공기질정보를 송출한 공기질 측정기를 향하도록 풍향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작동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실내 공기질 개선 효율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장치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복수의 공기질 측정기의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위치 설정시의 신호전달 방법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작동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00)는 제1 공기처리유닛(110), 제2 공기처리유닛(120), 제어부(130), 통신모듈(140), 공기질 측정기(160), 측정기측 IR통신부(165) 및 장치측 IR통신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00)는 풍향조절이 가능하며, 적외선(IR, IfraRed) 통신을 사용하여 복수의 공기질 측정기(16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공기질 측정기(160)에서 측정한 공기질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공기질 측정기(160)의 위치를 추적함으로써, 자동으로 풍향을 공기질 개선이 필요한 구역으로 향하게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00)에 포함되는 제1 공기처리유닛(110) 및 제2 공기처리유닛(12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제1 공기처리유닛(110)은 공기를 흡입하여 여과, 가습 및 제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처리한 후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공기처리유닛(110)은 제1 하우징(111), 제1 송풍팬(114) 및 제1 공기처리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하우징(111)은 공기가 흡입되는 제1 공기흡입부(112)와,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부(113)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공기흡입부(11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1)의 저면구비될 수 있고, 공기토출부(113)는 제1 하우징(111)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송풍팬(114)은 제1 하우징(111)의 내부에 구비되며 제1 공기흡입부(112)로 공기를 흡입시키고 공기토출부(113)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송풍팬(114)은 하부로 공기를 흡입하고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도록 설치되는 원심팬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제1 공기처리부(115)는 제1 공기흡입부(112)와 제1 송풍팬(114) 사이에 구비되어 제1 공기흡입부(112)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여과, 가습 및 제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공기처리부(115)는 공기를 여과하는 경우 공기정화필터로 구성될 수 있고, 공기를 가습하는 경우 가습필터로 구성될 수 있고, 공기를 제습하는 경우 증발기와 같은 제습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공기처리유닛(110)은 저면에 형성된 제1 공기흡입부(112)를 통해 주변의 공기를 흡입한 후 제1 공기처리부(115)로 처리하여 양측에 구비된 공기토출부(113)를 통해 주변으로 토출시킴으로써, 장치 주변의 공기질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제2 공기처리유닛(120)은 제1 공기처리부(115)와 마찬가지로 공기를 흡입하여 여과, 가습 및 제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처리한 후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2 공기처리유닛(120)은 전면에 공기가 토출되는 전면토출부(122)를 구비하고, 제1 공기처리유닛(110)에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면토출부(122)가 향하는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풍향조절이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전면토출부(122)는 토출공기를 직진기류로 토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공기처리유닛(120)은 제1 공기처리유닛(110)의 제1 하우징(111)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공기처리유닛(120)은 제2 하우징(121), 제2 송풍팬(125), 제2 공기처리부(126) 및 제3 공기처리부(12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121)은 제1 공기처리유닛(110)의 상단에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전면에 전면토출부(12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하우징(121)과 제1 공기처리유닛(110)의 회전 가능한 결합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제2 하우징(121)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어떠한 기계적 장치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일 예로, 제2 하우징(121)은 최대 360도까지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2 하우징(121)의 양측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제2 공기흡입부(123)와 제3 공기흡입부(1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송풍팬(125)은 제2 하우징(121)의 내부에 구비되며 제2 공기흡입부(123) 및 제3 공기흡입부(124)로 공기를 흡입하고 전면토출부(122)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송풍팬(125)은 회전축의 양단이 제2 공기흡입부(123) 및 제3 공기흡입부(124)를 향하고 양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원주방향으로 토출하는 양흡입 원심팬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 공기처리부(126)는 제2 공기흡입부(123)와 제2 송풍팬(125) 사이에 구비되어 제2 공기흡입부(123)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여과, 가습 및 제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제3 공기처리부(127)는 제3 공기흡입부(124)와 제2 송풍팬(125) 사이에 구비되어 제3 공기흡입부(124)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여과, 가습 및 제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처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00)는 풍향이 고정된 제1 공기처리유닛(110)을 통해 장치 주변의 공기질을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고, 풍향조절이 가능하고 직진기류를 발생시키는 제2 공기처리유닛(120)을 통해 실내의 일부 구역의 공기질을 집중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공기질 측정기(160)의 위치를 파악하여 실내공간 중에서 오염된 구역 및 습도조절이 필요한 구역의 공기질을 집중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자동으로 풍향조절이 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질을 개선한다는 것은 공기질이 측정된 구역의 먼지농도가 높은 경우 해당 구역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을 의미하고, 공기질이 측정된 구역의 습도가 기준습도보다 과도하게 높은 경우 해당 구역에 건조한 공기를 송풍하여 공기를 제습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공기질이 측정된 구역의 습도가 기준습도보다 과도하게 낮은 경우 해당 구역에 습한 공기를 송풍하여 공기를 가습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자동 풍향 조절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00)는 제어부(130), 통신모듈(140), 공기질 측정기(160), 측정기측 IR통신부(165) 및 장치측 IR통신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제2 공기처리유닛(120)의 회전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명령에 의해 제2 공기처리유닛(120)의 회전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고, 자체 메모리에 저장한 회전각도 정보를 기초로 제2 공기처리유닛(120)의 회전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통신모듈(140)은 제1 공기처리유닛(110) 또는 제2 공기처리유닛(120)에 구비되며 공기질 측정기(160)에서 측정한 공기질정보를 무선통신을 사용하여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제어부(13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통신모듈(140)로부터 수신한 정보와 자체 메모리에 저장한 회전각도 정보를 매칭시켜서 제2 공기처리유닛(120)의 회전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통신모듈(140)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및 비콘(Beacon) 등을 사용하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공기질 측정기(160)는 제1 공기처리유닛(110) 및 제2 공기처리유닛(120)과 분리되어 외부에 배치되며, 주변공기의 공기질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질은 공기질 측정기(160)가 설치된 주변 구역의 공기의 오염도(먼지농도, 세균농도, 바이러스 농도 등) 및 습도를 포함한다.
또한, 공기질 측정기(160)는 측정한 공기질정보를 제1 공기처리유닛(110) 또는 제2 공기처리유닛(120)에 구비된 통신모듈(140)에 무선통신을 사용하여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기질 측정기(160)는 실내의 서로 다른 구역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공기질 측정기(160)는 실내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위치이동이 용이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측정기측 IR통신부(165)는 공기질 측정기(160)에 구비되며 적외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적외선은 직진성이 있는 광통신이기 때문에, 공기질 측정기(160)는 측정기측 IR통신부(165)가 장치측 IR통신부(150)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치측 IR통신부(150)는 제2 공기처리유닛(120)에 구비되며 측정기측 IR통신부(165)와 적외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측 IR통신부(150)는 제2 공기처리유닛(12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측정기측 IR통신부(165)와 장치측 IR통신부(150) 간에 주고받는 전달신호 정보를 기초로 공기질 측정기(160)의 위치를 파악하고, 공기질 측정기(160)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공기질 측정기(160)에서 측정한 공기질정보에 연동하여 제2 공기처리유닛(120)의 회전동작을 제어함으로써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00)의 풍향 자동 조절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공간에는 복수의 공기질 측정기(160)가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질 측정기(160) 각각이 배치된 구역의 공기가 오염되거나 습도조절이 필요하여 공기질 개선이 필요한 경우, 각각의 공기질 측정기(160)가 공기질정보를 통신모듈(14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2 공기처리유닛(120)의 풍향이 공기질 개선이 필요한 구역으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통신모듈(140)에서 수신한 공기질정보가 복수의 공기질 측정기(160) 중에서 어떤 공기질 측정기(160)에서 송출된 것인지 판단할 필요가 있으며, 공기질정보를 송출한 공기질 측정기(160)의 위치를 추적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00)는 공기질 측정기(160)의 위치 설정 모드를 구비할 수 있다.
도 9에는 공기질 측정기(160)의 위치 설정 모드의 동작에 대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질 측정기(160)의 위치 설정 모드가 수행되면, 제2 공기처리유닛(120)이 최대회전각도(예를 들어 360도)까지 1회전하여 실내공간을 스캔할 수 있다.
이때, 공기질 측정기(160)에 구비된 측정기측 IR통신부(165)는 측정기 고유의 식별정보를 적외선 신호로 송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공기처리유닛(120)이 회전하는 도중에 장치측 IR통신부(150)가 IR통신부에서 송출한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제어부(130)는 장치측 IR통신부(150)가 식별정보를 수신한 당시의 제2 공기처리유닛(120)의 회전각도를 저장하고, 미리 설정된 정보요청신호를 적외선 신호로 송출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기측 IR통신부(165)가 정보요청신호를 수신하면, 공기질 측정기(160)는 미리 수집된 공기질정보에 식별정보를 부가한 고유측정정보를 무선통신을 사용하여 통신모듈(14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통신모듈(140)에 전달된 고유측정정보는 제어부(130)에 저장되고, 제어부(130)는 고유측정정보에 포함된 식별정보를 통해 공기질 측정기(160)를 특정하고, 고유측정정보에 포함된 공기질정보를 통해 상기 특정된 공기질 측정기(160)가 배치된 구역의 공기질을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제2 공기처리유닛(120)의 다양한 회전각도에서 수행하여 복수의 공기질 측정기(160)의 위치 및 각각의 공기질 측정기(160)가 송출하는 공기질정보를 구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여 복수의 공기질 측정기(160)의 위치 설정이 완료된 이후, 통신모듈(140)이 공기질 측정기(160)로부터 고유측정정보를 수신하면, 제어부(130)는 고유측정정보에 포함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제2 공기처리유닛(120)의 회전각도에 따라 제2 공기처리유닛(1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참고로, 공기질 측정기(160)는 측정한 공기질이 개선이 필요 정도인지를 판단하여 공기질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고유측정정보를 통신모듈(140)에 송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00)는 장치측 IR통신부(150)가 풍향 전환 동작과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공기조화장치(100)는 제2 공기처리유닛(120)에 전면토출부(122)와 장치측 IR통신부(150)가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되어 송풍 운전 중에 공기질 측정기(160)의 위치 설정 모드를 수행하기 용이하지 않고, 송풍 운전 중에 공기질 측정기(160)의 위치 설정 모드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풍향도 함께 전환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00)는 장치측 IR통신부(150)가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00)는 공기를 흡입하여 여과, 가습 및 제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처리한 후 외부로 토출시키는 공기처리유닛(170)이 베이스(171), 제1 회전하우징(173) 및 제2 회전하우징(17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171)는 제1 회전하우징(173)을 바닥에 지지시키는 부재로서, 실내 바닥에 고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171)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7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회전하우징(173)은 베이스(171)의 상단에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공기를 토출하는 송풍구(174)를 구비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베이스(171) 또는 제1 하우징(111)의 내부에는 공기를 여과, 가습 및 제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처리하는 공기처리부(미도시)와, 공기를 흡입구(172)로 흡입하여 송풍구(174)로 토출시키는 팬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회전하우징(175)은 제1 회전하우징(173)의 상단에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장치측 IR통신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회전하우징(175)은 제1 회전하우징(173)의 회전 동작과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회전하우징(175)과 제2 회전하우징(175)이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한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다양한 기계적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00)는 장치측 IR통신부(150)가 송풍구(174)와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송풍구(174)의 풍향전환 없이 공기질 측정기(160)의 위치 설정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마지막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00)의 작동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조화장치(100)는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여과, 가습 및 제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처리한 후 토출하며 회전하여 토출공기의 풍향조절이 가능한 공기처리유닛(120,170)과, 상기 공기처리유닛(120,170)과 분리되어 외부에 배치되며 주변공기의 오염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공기질을 측정하고 측정한 공기질정보를 상기 공기처리유닛(120,170)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질 측정기(160)를 포함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도 11을 보면, 우선,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의해 공기처리유닛(120,170)이 가동될 수 있다(S110).
이후, 별도의 제어명령에 의해 공기질 측정기(160)의 위치 설정 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S120).
공기질 측정기(160)의 위치 설정 모드가 수행되면, 공기처리유닛(120,170)에 구비된 장치측 IR통신부(150)가 최대회전각도까지 회전된다(S130).
그리고, 공기질 측정기(160)에 구비된 측정기측 IR통신부(165)가 고유의 식별정보를 적외선 신호로 송출하고, 회전하던 장치측 IR통신부(150)가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한다(S140).
장치측 IR통신부(150)가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식별정보를 수신한 당시의 장치측 IR통신부(150)의 회전각도가 공기처리유닛(120,170)에 저장된다(S150).
그리고, 장치측 IR통신부(150)가 공기질 측정기(160)의 측정기측 IR통신부(165)에 정보요청신호를 적외선 신호로 송출한다(S160).
정보요청신호를 수신한 공기질 측정기(160)는 공기질정보에 식별정보를 부가한 고유측정정보를 공기처리유닛(120,170)에 무선통신을 사용하여 전달한다(S170).
그리고, 공기처리유닛(120,170)의 장치측 IR통신부(150)는 최대회전각도까지 회전 후 원위치로 복귀한다(S180).
이후, 공기조화장치(100)의 운정 중에, 공기질 측정기(160)가 측정을 통해 수집한 공기질정보와 식별정보가 조합된 고유측정정보를 공기처리유닛(120,170)에 전달하면(S190), 공기처리유닛이 각 위치별 공기질 측정기(160)에서 측정한 고유측정정보를 수신하여 토출공기가 고유측정정보를 송출한 공기질 측정기(160)를 향하도록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공기처리유닛(120,170)이 고유측정정보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회전각도에 따라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S200).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공기조화장치
110: 제1 공기처리유닛 111: 제1 하우징
112: 제1 공기흡입부 113: 공기토출부
114: 제1 송풍팬 115: 제1 공기처리부
120: 제2 공기처리유닛 121: 제2 하우징
122: 전면토출부 123: 제2 공기흡입부
124: 제3 공기흡입부 125: 제2 송풍팬
126: 제2 공기처리부 127: 제3 공기처리부
130: 제어부 140: 통신모듈
150: 장치측 IR통신부 160: 공기질 측정기
165: 측정기측 IR통신부
170: 공기처리유닛 171: 베이스
172: 흡입구 173: 제1 회전하우징
174: 송풍구 175: 제2 회전하우징

Claims (16)

  1. 공기를 흡입하여 여과, 가습 및 제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처리한 후 외부로 토출시키는 제1 공기처리유닛; 및
    전면(前面)에 공기가 토출되는 전면토출부를 구비하고, 공기를 흡입하여 여과, 가습 및 제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처리한 후 상기 전면토출부로 토출시키며, 상기 제1 공기처리유닛에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공기처리유닛;
    상기 제2 공기처리유닛의 회전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1 공기처리유닛 또는 상기 제2 공기처리유닛에 구비되며, 무선통신을 사용하여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통신모듈;
    상기 제1 공기처리유닛 및 상기 제2 공기처리유닛과 분리되어 외부에 배치되며, 주변공기의 오염도를 포함하는 공기질을 측정하고, 측정한 공기질정보를 상기 통신모듈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질 측정기;
    상기 공기질 측정기에 구비되며, 적외선(IR, InfraRed) 신호를 송수신하는 측정기측 IR통신부; 및
    상기 제2 공기처리유닛에 구비되며, 상기 측정기측 IR통신부와 적외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측 IR통신부;
    을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처리유닛은,
    공기가 흡입되는 제1 공기흡입부와,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부를 구비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공기흡입부로 공기를 흡입시키고 상기 공기토출부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제1 송풍팬; 및
    상기 제1 공기흡입부와 상기 제1 송풍팬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를 여과, 가습 및 제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처리하는 제1 공기처리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흡입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저면에 구비되고,
    상기 공기토출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 공기처리유닛은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단에 결합된 공기조화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기처리유닛은,
    상기 제1 공기처리유닛의 상단에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의 양측에 구비되는 제2 공기흡입부 및 제3 공기흡입부;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 공기흡입부 및 상기 제3 공기흡입부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전면토출부로 공기를 토출하는 제2 송풍팬;
    상기 제2 공기흡입부와 상기 제2 송풍팬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를 여과, 가습 및 제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처리하는 제2 공기처리부; 및
    상기 제3 공기흡입부와 상기 제2 송풍팬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를 여과, 가습 및 제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처리하는 제3 공기처리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은 주변 공기의 먼지 농도, 세균농도, 바이러스 농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기측 IR통신부와 상기 장치측 IR통신부 간의 전달신호 정보를 기초로 상기 공기질 측정기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공기질 측정기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공기질 측정기에서 측정한 공기질정보에 연동하여 상기 제2 공기처리유닛의 회전동작을 제어하는 공기조화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측 IR통신부는 측정기 고유의 식별정보를 적외선 신호로 송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치측 IR통신부가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한 당시의 상기 제2 공기처리유닛의 회전각도를 저장하고, 미리 설정된 정보요청신호를 적외선 신호로 송출하는 공기조화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 측정기는 상기 측정기측 IR통신부가 상기 정보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공기질정보에 상기 식별정보를 부가한 고유측정정보를 무선통신을 사용하여 상기 통신모듈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유측정정보를 저장하는 공기조화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이 상기 공기질 측정기로부터 상기 고유측정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유측정정보에 포함된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공기처리유닛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제2 공기처리유닛을 회전시키는 공기조화장치.
  10.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여과, 가습 및 제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처리한 후 토출하며, 회전하여 토출공기의 풍향조절이 가능한 공기처리유닛;
    상기 공기처리유닛의 풍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공기처리유닛에 구비되며, 무선통신을 사용하여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통신모듈;
    상기 공기처리유닛과 분리되어 외부에 배치되며, 주변공기의 오염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공기질을 측정하고, 측정한 공기질정보를 상기 통신모듈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질 측정기;
    상기 공기질 측정기에 구비되며, 적외선(IR, InfraRed) 신호를 송수신하는 측정기측 IR통신부; 및
    상기 공기처리유닛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공기처리유닛의 풍향조절동작과 독립적으로 회전하고, 상기 측정기측 IR통신부와 적외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측 IR통신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기측 IR통신부와 상기 장치측 IR통신부 간의 전달신호 정보를 기초로 상기 공기질 측정기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공기질 측정기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공기질 측정기에서 측정한 공기질정보에 연동하여 상기 공기처리유닛의 풍향을 제어하는 공기조화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측 IR통신부는 측정기 고유의 식별정보를 적외선 신호로 송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치측 IR통신부가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한 당시의 상기 장치측 IR통신부의 회전각도를 저장하고, 미리 설정된 정보요청신호를 적외선 신호로 송출하는 공기조화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 측정기는 상기 측정기측 IR통신부가 상기 정보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공기질정보에 상기 식별정보를 부가한 고유측정정보를 무선통신을 사용하여 상기 통신모듈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유측정정보를 저장하는 공기조화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이 상기 공기질 측정기로부터 상기 고유측정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유측정정보에 포함된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장치측 IR통신부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공기처리유닛의 풍향을 조절하는 공기조화장치.
  15.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여과, 가습 및 제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처리한 후 토출하며 회전하여 토출공기의 풍향조절이 가능한 공기처리유닛과, 상기 공기처리유닛과 분리되어 외부에 배치되며 주변공기의 오염도를 포함하는 공기질을 측정하고, 측정한 공기질정보를 상기 공기처리유닛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질 측정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기처리유닛의 상기 공기질 측정기의 위치 설정 모드를 시작하는 단계;
    상기 공기처리유닛이 실내공간을 스캔하면서 적외선 통신을 통해 상기 공기질 측정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공기질 측정기가 상기 공기질정보를 상기 공기처리유닛에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공기처리유닛이 각 위치별 상기 공기질 측정기에서 측정한 상기 공기질정보를 수신하여, 토출공기가 상기 공기질정보를 송출한 공기질 측정기를 향하도록 풍향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질 측정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공기처리유닛에 구비된 장치측 IR통신부가 회전하는 단계;
    상기 공기질 측정기에 구비된 측정기측 IR통신부가 고유의 식별정보를 송출하는 단계;
    회전하던 상기 장치측 IR통신부가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장치측 IR통신부의 회전각도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장치측 IR통신부가 상기 공기질 측정기에 정보요청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공기질 측정기가 상기 공기질정보에 상기 식별정보를 부가한 고유측정정보를 상기 공기처리유닛에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장치측 IR통신부가 최대회전각도까지 회전 후 복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작동방법.

  16. 삭제
KR1020170096706A 2017-07-31 2017-07-31 공기조화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102537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706A KR102537177B1 (ko) 2017-07-31 2017-07-31 공기조화장치 및 그 작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706A KR102537177B1 (ko) 2017-07-31 2017-07-31 공기조화장치 및 그 작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235A KR20190014235A (ko) 2019-02-12
KR102537177B1 true KR102537177B1 (ko) 2023-05-30

Family

ID=65369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706A KR102537177B1 (ko) 2017-07-31 2017-07-31 공기조화장치 및 그 작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71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167B1 (ko) * 2020-07-30 2022-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102480008B1 (ko) * 2020-08-20 2022-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102236520B1 (ko) * 2020-09-11 2021-04-08 제이와이커스텀(주) 양방향으로 회전되는 멀티형 공기청정기
US20220090814A1 (en) * 2020-09-21 2022-03-24 Lg Electronics Inc. Air cleaning system
KR102551505B1 (ko) * 2021-05-21 2023-07-06 남호진 모듈식 공기청정기
KR102645713B1 (ko) * 2022-01-14 2024-03-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 공기정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내 공기정화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80562A (ja) * 2015-03-25 2016-10-13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清浄機
CN106871234A (zh) * 2016-02-26 2017-06-20 Lg电子株式会社 空气清洁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26189B (fi) 2015-09-21 2016-08-15 Innohome Oy Valvonta- ja ohjausmenetelmä huonon ilmanlaadun ja tulipalon ehkäisemiseksi sekä vaarallisen tilan hälyttämiseksi
KR20170086246A (ko) * 2016-01-18 2017-07-26 코웨이 주식회사 이동형 공기청정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80562A (ja) * 2015-03-25 2016-10-13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清浄機
CN106871234A (zh) * 2016-02-26 2017-06-20 Lg电子株式会社 空气清洁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235A (ko) 2019-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7177B1 (ko) 공기조화장치 및 그 작동방법
CN107429929B (zh) 送风设备以及送风系统
CN107305035B (zh) 空调机
EP3096088A1 (en) Room air conditioning system
KR102466768B1 (ko) 환기 청정기
JP2007240100A (ja) 除湿機
KR101849565B1 (ko) 곶감제조장치, 곶감제조장치의 제어기, 곶감제조시스템, 곶감제조장치의 제어방법, 곶감제조장치의 건조방법, 곶감제조장치의 숙성방법, 및 곶감제조방법
JP6386945B2 (ja) 空気調和機
JP6105246B2 (ja) 空気調和機および空調システム
KR20160051093A (ko) 공기조화기
WO2015198421A1 (ja) 空気清浄機
CN108779599A (zh) 除湿器
KR20160045563A (ko) 환기 청정기
KR100782175B1 (ko)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6982727B2 (ja) 熱交換型換気扇の制御方法
KR20010018554A (ko) 공기조화기의 풍향제어 방법
TWI539119B (zh) Air conditioner
US20210278096A1 (en) Air purifier including bidirectional discharge flow path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7348242B2 (ja) 空気調和装置
KR20160051094A (ko) 제습기 및 그 운전방법
KR100600773B1 (ko) 공기조화기
CN213713280U (zh) 空调室内机和空调器
JP2011149693A (ja) 除湿機
KR100551967B1 (ko) 환기 시스템
JP2002089905A (ja) 加湿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