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242B1 - 추락방지용 이동식 안전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추락방지용 이동식 안전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242B1
KR102536242B1 KR1020220037894A KR20220037894A KR102536242B1 KR 102536242 B1 KR102536242 B1 KR 102536242B1 KR 1020220037894 A KR1020220037894 A KR 1020220037894A KR 20220037894 A KR20220037894 A KR 20220037894A KR 102536242 B1 KR102536242 B1 KR 102536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moving
stopper
coupled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7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준
이형준
주옥만
이상면
Original Assignee
(주)한샘서비스
주식회사 에스엠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샘서비스, 주식회사 에스엠산업 filed Critical (주)한샘서비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68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벽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벽체의 내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제1본체와, 제1본체의 일단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어 벽체의 두께면을 따라 설치되는 제2본체를 포함하는 본체와, 제2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벽체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이동본체와, 제2본체와 이동본체에 각각 결합되어 이동본체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와, 이동본체에 설치되어 벽체를 클램핑하는 클램핑부와, 본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착용하는 안전장구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이동식 안전 고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실내 작업에 제약이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공간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 작업하는 작업자로 하여금 작업 간섭을 최대한 없애 실내 작업자에 의하여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추락방지용 이동식 안전 고정장치{MOVABLE SAFETY FIXING APPARATUS FOR FALL PROTECTION}
본 발명은 추락방지용 이동식 안전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벽체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고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추락방지용 이동식 안전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자가 인테리어 시공 등과 같이 건물 외벽을 작업하기 위해서는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추락 방지장치를 설치해야한다.
이러한 추락 방지장치로서 건물의 일정한 층간격마다 건물 외벽을 따라 설치되는 대형 안정망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대형 안전망은 각층마다 설치되기 어려워 작업자의 추락 시 그 충격을 충분히 흡수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대형 안전망의 설치비용 역시 너무 과다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때문에, 작업자는 고소작업 시 안전벨트와 같은 안전장구를 착용하고 이러한 안전장구를 추락방지용 안전 고정장치에 결합시켜 작업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락방지용 안전 고정장치로서 종래에는, 방문틀에 바 형상의 장치를 설치한 후, 안전로프를 설치하여 작업을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추락방지용 안전 고장장치는, 건물 외벽과 방문틀 간의 거리가 긴 구조일 경우, 로프로 인하여 실내 환경작업에 따른 제약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실내 작업하는 작업자에 의해 추락방지용 안전 고정장치가 탈락되어 작업자가 추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26445호
본 발명은, 실내 환경작업에 제약이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며, 실내 작업하는 작업자로 하여금 작업 간섭을 없애 실내 작업자에 의하여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추락방지용 이동식 안전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물의 벽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벽체의 내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의 일단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어 벽체의 두께면을 따라 설치되는 제2본체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제2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벽체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이동본체와; 상기 제2본체와 상기 이동본체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이동본체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와; 상기 이동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벽체를 클램핑하는 클램핑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착용하는 안전장구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이동식 안전 고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를 구비하고 서로 이격되게 배열된 한 쌍의 본체프레임들과, 상기 본체프레임들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본체는, 상기 본체프레임들의 외측면에 세워져 설치되는 한 쌍의 이동프레임들과, 상기 이동프레임들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제2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이동기어와, 일측은 상기 이동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이동기어에 치합되는 걸림부가 구비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걸림부가 상기 이동기어에 치합되어 상기 이동본체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에 결합되어 작업자가 상기 스토퍼를 회전시켜 상기 걸림부가 상기 이동기어로부터 치합 또는 치합해제되도록 하는 조작부와, 일측은 상기 이동본체에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조작부에 결합하여 상기 걸림부가 상기 이동기어에 치합되도록 상기 스토퍼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이동본체에 관통 설치되고 회전에 의하여 이동하는 이동나사부와, 상기 이동나사부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벽체를 가압 밀착하는 밀착고정부와, 상기 이동나사부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이동나사부를 회전시켜 상기 밀착고정부가 상기 벽체에 밀착되게 하는 회전레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용 이동식 안전 고정장치는, 기존의 안전로프 등이 없이도 본체와 연결부를 통해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장구와 간단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실내 작업에 제약이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공간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 작업하는 작업자로 하여금 작업 간섭을 최대한 없애 실내 작업자에 의하여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용 이동식 안전 고정장치는, 벽체나 난간 등에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여 설치가 편하고, 벽체 두께에 따라 이동본체를 이동시켜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아파트 리모델링 현장에서 외부 작업을 요할 때 작업을 위해 고정 장비를 개구부의 벽체(W)에 연결할 때 각 현장마다 벽체(W)의 두께가 달라 고정의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 추락방지용 안전 고정장치를 일반화시키는 시공성이 용이하며, 작업 환경에 상관없이 동일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이동식 안전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이동식 안전 고정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이동식 안전 고정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이동식 안전 고정장치에서 연결부가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이동식 안전 고정장치에서 스토퍼가 걸림부에 걸려 이동본체의 이동을 제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이동식 안전 고정장치에서 스토퍼가 걸림부로부터 걸림해제되어 이동본체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이동식 안전 고정장치에서 스토퍼가 탄성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걸림부가 이동기어에 걸려 이동본체의 이동이 제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이동식 안전 고정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이동식 안전 고정장치에서 측면 가압부가 구비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이동식 안전 고정장치(이하 ‘이동식 안전 고정장치’라 한다.)는, 본체(100)와, 이동본체(200)와, 스토퍼부(300)와, 클램핑부(400)와, 연결부(5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건물의 벽체(1,도 8참조)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상으로 절곡형성되어 벽체(1)의 측면과 두께면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세부적으로, 본체(100)는 벽체(1)의 내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제1본체(110)와, 제1본체(110)의 일단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어 벽체(1)의 폭면을 따라 설치되는 제2본체(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본체(110)와 제2본체(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본체(110)와 제2본체(120)는 벽체(1)의 측면과 두께면이 일반적으로 직각을 이루고 있는 것을 감안하여 제1본체(110)와 제2본체(120)는 서로 직각되게 절곡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다양한 형태의 건축물이 시공되는 만큼 벽체(1)의 형태도 다양해질 수 있다. 이에, 벽체(1)가 일반적인 직각 형태가 아닌 경우를 감안하여, 제1본체(110)와 제2본체(120)는 서로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본체(110)와 제2본체(120)는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본체(100)는 제1본체(110)와 제2본체(120)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 구비되어 다양한 벽체(1) 형태에 대응하여 제1본체(110)와 제2본체(120)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장치(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도조절장치는, 제1본체(110) 또는 제2본체(120)에 고정결합되는 래칫휠과, 제1본체(110) 또는 제2본체(1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고 회전에 따라 래칫휠에 치합 또는 치합해제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스토퍼를 회전시켜 래칫휠에 대하여 치합해제시킨 상태에서 제1본체(110)와 제2본체(120)를 원하는 각도로 회동시키고, 이후 스토퍼를 회전시켜 스토퍼를 래칫휠에 치합시켜 제1본체(110)와 제2본체(120)의 사이각도가 변경되지 않도록 그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래칫휠과 스토퍼의 구성은 공지의 래칫휠 및 스토퍼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체(100)는, 하나의 몸체로 구성될 수 있지만, 가벼워 취급이 용이하고 컴펙트하게 프레임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체(100)는, ㄱ자로 절곡되어 제1본체(110)와 제2본체(120)를 구비하고 서로 이격되게 배열된 한 쌍의 본체프레임(100a)들과, 본체프레임(100a)들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부재(100b)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재(100b)들은 한 쌍의 본체프레임(100a)들을 서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를 중심으로 그 사이에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열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본체(110)는, 벽체(1)와 접촉되는 내측면에 벽체(1)와 밀착되게 하는 밀착패드(130)가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서, 밀착패드(130)는, 벽체(1) 측면과 최대한 넓은 접촉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밀착패드(130)는 벽체(1)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벽체(1)와의 마찰력을 갖도록 이루어져 벽체(1)에 대한 슬립을 방지할 수 있는 고무패드 또는 실리콘패드 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이동본체(200)는, 제2본체(1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벽체(1)를 사이에 두고 제1본체(110)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여 벽체(1)에 설치될 수 있다.
세부적으로, 이동본체(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본체(110)와 평행하고 제2본체(120)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직각의 벽체(1)의 외측면에 설치된다.
한편, 이동본체(200)는, 프레임구조로서 본체프레임(100a)들의 외측면에 세워져 설치되는 한 쌍의 이동프레임(210)들과, 이동프레임(210)들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결합부(220)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220)는, 복수개로 이동프레임(210)들 사이에 복수개가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상단부의 결합부(220)에는 전술한 스토퍼부(300)가 결합될 수 있으며, 하단부의 결합부(220)에는 클램핑부(40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동본체(200)는, 제2본체(120)의 하면에 위치하여 제2본체(120)를 상방지지하는 지지부재(230;도 5참조)을 구비할 수 있다.
스토퍼부(300)는, 제2본체(120)와 이동본체(200)에 각각 결합되어 이동본체(200)의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스토퍼부(300)의 세부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되는 도 5 내지 도 7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클램핑부(400)는, 이동본체(200)에 설치되어 벽체(1)를 클램핑하는 역할을 하며, 이동나사부(410)와, 밀착고정부(420)와, 회전레버(430)를 포함한다.
먼저, 이동나사부(410)는, 벽체(1) 외측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본체(200)에 관통 설치되고 회전에 의하여 벽체(1)의 외측면을 향하여 왕복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밀착고정부(420)는, 이동나사부(410)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이동나사부(410)의 왕복 이동에 따라 이동하며, 벽체(1)를 가압 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밀착고정부(4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패드와 유사하고 전술한 밀착패드(130)와 같은 고무패드와 같은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회전레버(430)는, 이동나사부(410)의 타단부에 구비되고 사용자가 이동나사부(410)를 회전시킬 수 있게 하며, 작업자가 회전레버(430)를 회전시키면 이동나사부(410)가 이동하여 밀착고정부(420)가 벽체(1)에 밀착되게 할 수 있다.
한편, 클램핑부(400)는, 이동본체(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열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 클램핑부(400)는 한 쌍으로 구성된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원하는 벽체(1)와의 클램핑력에 따라 그 개수를 달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연결부(500)는, 본체(100)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착용하는 안전장구와 연결된다. 한편, 여기서 안전장구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밸트와 로프를 포함하는 다양한 타입들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 연결부(500)는, 다양한 타입의 안전장구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일 실시예로 연결부(5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축(511)과, 연결밴드(5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축(511)은, 제1본체(110)와 제2본체(120)가 결합되는 본체(100)의 절곡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밴드(512)는, 일단은 고정축(511)에 연결되고 제2본체(120)를 따라 설치되며 타단은 안전장구와 연결되는 연결고리(513)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에로 연결부(5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에 결합되고 안전장구가 직접 연결되는 연결축(52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스토퍼부(30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스토퍼부(300)는, 이동기어(310)와, 스토퍼(320)와, 조작부(340)와, 탄성스프링(350)과, 안전핀(3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이동기어(310)는, 제2본체(120)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스토퍼(320)는, 일측은 회전축(330)을 통해 이동본체(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이동기어(310)에 치합되는 걸림부(321)가 형성되어 회전에 따라 걸림부(321)가 이동기어(310)에 치합되어 이동본체(20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조작부(340)는, 스토퍼(320)에 고정 결합되고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스토퍼(320)를 회전시키며, 이러한 작업자의 조작에 따른 회전에 의하여 걸림부(321)가 이동기어(310)로부터 치합 또는 치합해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은 작업자에 의하여 스토퍼(320)가 회전하여 걸림부(321)가 이동기어(310)에 치합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조작부(34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탄성스프링(350)이 압축되고 스토퍼(320)가 회전축(33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걸림부(321)가 이동기어(310)로부터 치합해제된다.
한편, 안전핀(360)은, 이동본체(2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탈착에 따라 스토퍼(320)의 회전을 제어하여 이동본체(200)의 이동을 제한하며, 스토퍼(320)가 이동기어(310)에 치합된 상태라 할지라도 무리한 외력에 의하여 스토퍼(320)가 이동기어(310)로부터 이탈되어 이동본체(200)가 이동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제한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게 한다.
안전핀(360)은, 이동본체(200)에 탈착가능하게 삽입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본체(200)에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에서는 스토퍼(320)의 반시계방향 회전이 간섭되게 하여 이동몸체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반대로 작업자가 안전핀(360)을 이동본체(200)에서 빼서 이탈시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320)의 회전 간섭을 없애주어 스토퍼(320)의 반시계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안전핀(360)은, 이러한 스토퍼(320)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이동본체(200)에 탈착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하여, 이동본체(200)에 삽입되어 결합될 시 스토퍼(320)의 회전이 간섭되게 하여 이동몸체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스프링(350)은, 일측은 이동본체(200)에 결합하고 타측은 조작부(340)에 결합하여 걸림부(321)가 이동기어(310)에 치합되도록 스토퍼(320)를 탄성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탄성스프링(350)은 걸림부(321)가 이동기어(310)에 치합되도록 탄성력이 작용하고, 작업자가 조작부(340)를 회전시키는 외력에 의하여 탄성압축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작업자가 조작부(340)를 회전시켜 탄성압축된 상태에서 조작부(340)에서 손을 떼서 외력을 제공하지 않으면 스토퍼(320)는 탄성스프링(3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걸림부(321)가 이동기어(310)에 다시 치합된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안전 고정장치의 작동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벽체(1) 설치에 앞서 이동본체(200)와 본체(100) 사이로 벽체(1)가 충분히 삽입될 수 있도록 이동본체(200)를 이동시키고, 이 상태에서 제1본체(110)가 벽체(1)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끼워 벽체(1)에 설치된다.
그런 다음 안전핀(360)을 제거한 후 조작부(340)를 통해 스토퍼(3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걸림부(321)가 이동기어(310)로부터 치합해제되게 한 후 이동본체(200)를 벽체(1)의 외측면을 향하여 우측으로 이동시켜 밀착고정부(420)가 벽체(1)의 외측면에 접촉되게 한다.
이렇게 이동본체(200)의 위치가 확정되면, 스토퍼(320)를 반시계방향으로 이동시켜 걸림부(321)가 이동기어(310)에 치합되게 하고 안전핀(360)을 이동본체(200)에 삽입하여 스토퍼(320)가 회전 되지 않도록 하고, 회전레버(430)를 회전시켜 밀착고정부(420)가 벽체(1)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밀착 고정되게 한다.
도 9는 측면가압부(600)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측면가압부(600)는, 벽체(1)의 두께면에 가압밀착되어 벽체(1) 두께면이 울퉁불퉁하거나 설치상의 이유로 제2본체(120)의 내측면이 벽체(1)의 두께면에 밀착되지 않을 경우를 감안하여, 벽체(1)에 대한 본체(100)와 이동본체(200)의 들뜸을 방지하면서 본체(100)와 이동본체(200)가 벽체(1) 두께면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 결합되도록 하여 작업자의 안전성을 보다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측면가압부(600)는, 회전나사(610)와, 밀착부(620)와, 회전부(6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전나사(6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1)의 두께면을 향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일측단부가 제2본체(120)에 나사 결합되고, 외주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회전에 따라 제2본체(120)에 대하여 벽체(1) 두께면을 향하여 왕복 이동할 수 있다.
밀착부(620)는, 회전나사(610)의 타측단부에 구비되어 벽체(1) 두께면과 접촉되며, 회전나사(610)의 회전에 따라 벽체(1) 두께면을 밀착 가압할 수 있다.
회전부(630)는, 회전나사(610)의 중앙부에 고정결합되어 작업자가 회전나사(61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본체 100a : 본체프레임
100b : 연결부재 110 : 제1본체
120 : 제2본체 130 : 밀착패드
200 : 이동본체 210 : 이동프레임
220 : 결합부 230 : 지지부재
300 : 스토퍼부 310 : 이동기어
320 : 스토퍼 321 : 걸림부
330 : 회전축 340 : 조작부
350 : 탄성스프링 360 : 안전핀
400 : 클램핑부 410 : 이동나사부
420 : 밀착고정부 430 : 회전레버
500 : 연결부 511 : 고정축
512 : 연결밴드 513 : 연결고리
521 : 연결축 600 : 측면가압부
610 : 회전나사 620 : 밀착부
630 : 회전부

Claims (5)

  1. 벽체(1) 내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제1본체(110)와, 제1본체(110)의 일단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어 벽체(1)의 폭면을 따라 설치되는 제2본체(120)와, 벽체(1)와 접촉되는 제1본체(110)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벽체(1)와 밀착되는 밀착패드(130)를 포함하는 본체(100);
    제1본체(110)와 마주보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평행하게 위치되고, 제2본체(120)와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2본체(120)를 따라 이동가능한 이동본체(200);
    제2본체(120)와 이동본체(200)에 각각 결합되어 이동본체(20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300);
    이동본체(200)에 설치되어 벽체(1)를 클램핑하는 클램핑부(400); 및
    제1본체(110)와 제2본체(120)가 결합되는 본체(100)의 절곡부분에 결합되는 고정축(511)과, 일단은 고정축(511)에 연결되고 제2본체(120)를 따라 설치되며 타단은 사용자가 착용하는 안전장구에 연결되는 연결밴드(512)를 포함하는 연결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00)는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제1본체(110)와 제2본체(120)를 구비하고 서로 이격되게 배열되는 한 쌍의 본체프레임(100a)과, 한 쌍의 본체프레임(100a)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부재(100b)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부(300)는
    제2본체(120)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이동기어(310)와, 일측은 이동본체(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이동기어(310)에 치합되는 걸림부(321)가 구비되어 회전에 따라 걸림부(321)가 이동기어(310)에 치합되어 이동본체(20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320)와 스토퍼(320)에 결합되어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스토퍼(320)가 회전되면 걸림부(321)가 이동기어(310)로부터 치합 또는 치합해제되는 조작부(340)와, 일측은 이동본체(200)에 결합되고 타측은 조작부(340)에 결합되어 걸림부(321)가 이동기어(310)에 치합되도록 스토퍼(320)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스프링(350)과, 이동본체(2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탈착에 따라 스토퍼(320)의 회전을 제어하여 이동본체(200)의 이동을 제한하는 안전핀(3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이동식 안전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본체(110)와 제2본체(120)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 구비되며 벽체(1)의 형태에 대응되어 제1본체(110)와 제2본체(120) 사이의 각도가 조절되는 각도조절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각도조절장치는
    제1본체(110) 또는 제2본체(120)에 고정결합되는 래칫휠과,
    제1본체(110) 또는 제2본체(1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여 래칫휠과 치합 또는 치합해제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며,
    작업자에 의해 스토퍼가 회전되면 스토퍼가 래칫휠과 치합해제가 되어 제1본체(110)와 제2본체(120)가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고, 다시 작업자에 의해 스토퍼가 회전되면 스토퍼가 래칫휠과 치합되어 제1본체(110)와 제2본체(120)의 사이각도가 변경되지 않고 위치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이동식 안전 고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본체(200)는
    본체(100)의 본체프레임(100a) 외측면에 수직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한 쌍의 이동프레임(210)과,
    한 쌍의 이동프레임(210)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결합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220)는
    한 쌍의 이동프레임(210) 사이에 복수개가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단부의 결합부(220)에는 스토퍼부(300)가 결합되고, 하단부의 결합부(220)에는 클램핑부(40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이동식 안전 고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400)는
    벽체(1) 외측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본체(200)에 관통 설치되고 회전에 의해 벽체(1)의 외측면을 향해 왕복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나사부(410)와,
    이동나사부(410)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이동나사부(410)의 왕복 이동에 따라 이동하며 벽체(1)를 가압 밀착하는 밀착고정부(420)와,
    이동나사부(410)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에 의해 이동나사부(410)가 회전되면 밀착고정부(420)가 벽체(1)에 밀착되게 하는 회전레버(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이동식 안전 고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본체(100)의 제2본체(120)에 구성되는 측면가압부(6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측면가압부(600)는
    벽체(1)의 두께면을 향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일측단부가 제2본체(120)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제2본체(120)에 대해 벽체(1) 두께면을 향하여 왕복이동되는 회전나사(610)와,
    회전나사(610)의 타측단부에 구비되어 벽체(1) 두께면과 접촉되어 회전나사(610)의 회전에 의해 벽체(1) 두께면을 밀착 가압하는 밀착부(620)와,
    회전나사(610)의 중앙부에 고정결합되어 작업자에 의해 회전나사(61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이동식 안전 고정장치.
KR1020220037894A 2021-12-31 2022-03-28 추락방지용 이동식 안전 고정장치 KR1025362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93999 2021-12-31
KR1020210193999 2021-12-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6242B1 true KR102536242B1 (ko) 2023-06-28

Family

ID=86994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7894A KR102536242B1 (ko) 2021-12-31 2022-03-28 추락방지용 이동식 안전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24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1106A (ja) * 2003-08-18 2005-03-10 Fujii Denko Co Ltd 屋根上作業方法および屋根上作業方法に用いる安全帯取付具
KR100726445B1 (ko) 2005-03-25 2007-06-08 김천호 추락방지용 안전대 걸이 구조
KR20200126516A (ko) * 2019-04-30 2020-11-0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1106A (ja) * 2003-08-18 2005-03-10 Fujii Denko Co Ltd 屋根上作業方法および屋根上作業方法に用いる安全帯取付具
KR100726445B1 (ko) 2005-03-25 2007-06-08 김천호 추락방지용 안전대 걸이 구조
KR20200126516A (ko) * 2019-04-30 2020-11-0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30941B (zh) 在繩索上具有夾持功能的墜落阻止安全裝置
US10413761B2 (en) Line retraction device having a damper assembly
WO2021051804A1 (zh) 联动操作组件、防坠落装置和防坠落系统
JP2010111464A (ja) エアバランサー
US10464204B2 (en) Tool arm mount for aerial work platform
KR20130125966A (ko) 안전블럭의 제동장치
KR102536242B1 (ko) 추락방지용 이동식 안전 고정장치
CA3048877C (en) Fall protection device and adjustment mechanism therefor
CN104773628A (zh) 具有棘爪自动复位功能的单制动压板的双向限速器
JP2023502456A (ja) 落下防止システム
EP1596941B1 (en) Safety devices
JP2023502455A (ja) 落下防止システム
KR20150124818A (ko) 건축물 난간 안전망 고정장치
KR20190076823A (ko) 실외기 외부 설치용 기중기
KR20170001545U (ko) 추락방지용 클램프
KR101319445B1 (ko)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 장치
EP3368164B1 (en) Fall-prevention device
JP2005061106A (ja) 屋根上作業方法および屋根上作業方法に用いる安全帯取付具
TWM538999U (zh) 防墜器
KR101529207B1 (ko) 에어 토크 렌치
CN220725845U (zh) 一种安全性建筑施工用防坠落装置
US20240100374A1 (en) A height safety trolley and modular rail system
CN217645695U (zh) 一种便捷安装的可调生命线支架
KR102572494B1 (ko) 소방호스의 고층 이송을 위한 호스 지지 중계기
KR102442501B1 (ko) 고정수단 장치를 구비한 핸드 크레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