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6516A -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6516A
KR20200126516A KR1020190050257A KR20190050257A KR20200126516A KR 20200126516 A KR20200126516 A KR 20200126516A KR 1020190050257 A KR1020190050257 A KR 1020190050257A KR 20190050257 A KR20190050257 A KR 20190050257A KR 20200126516 A KR20200126516 A KR 20200126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device
portable
support
stiffness
adjustm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7743B1 (ko
Inventor
김창호
서순제
고귀한
김진우
김태현
이세영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50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743B1/ko
Publication of KR20200126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8Other single parts for rope lowering-devices, e.g. take-up rollers for ropes, devices for shooting ro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는, 완강기가 결합되는 고리부와, 상기 고리부가 배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일단부에서 직각을 이루도록 연장되게 형성되는 몸체를 포함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조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지지대와 제 1 폭을 사이에 두고 상기 몸체와 결합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의 역진을 방지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위치릴 조정하는 이동나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PORTABLE RELIEF-LIFTING SUPPORT DEVICE}
본 발명은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비상시 어디서든 맨손으로 빠르고 견고하게 설치 가능한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재와 같은 재난사고는 매년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인명피해 역시 동반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이나 대형 건물 등에 화재와 같은 재난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사용되는 구조용 공기 매트나 고가 사다리는, 소방서에서 소방대원들이 출동하여 현장에 도착한 후 설치하는 설치하여야 하는 것으로, 급박한 재해 현장에서 지체에 따른 인명 손상의 우려가 크다.
그러므로, 신속하게 화재나 재해현장에서 탈출함으로서 인명의 사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완강기 등의 비상 탈출 기구를 건물 내의 주요 지점에 고정되게 설치하여 두고 비상시에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완강기는 사람들의 출입이 빈번한 복도의 양측 창문이나 베란다 등에 노출된 채 고정 설치되어지는 것으로, 미관을 해침과 동시에 사전에 미리 설치된 특정 창문에서만 사용 가능하며, 그 수도 적어 실제 화재 시에 사용 불가능한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완강기 등의 비상 탈출 기구가 설치된 장소에 인접하여 재해나 화재가 발생할 경우, 비상 탈출 기구에 접근할 수 없어 완강기의 사용이 불가능하게 됨으로서 예기치 못하게 인명사고가 확대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하여, 건물에 따라 베란다 외벽 또는 창문의 규격이 매우 상이하므로, 다양한 규격에 의한 제약없이 어디서든 편리하고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는 비상 탈출 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10-0434919 B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비상시 어디서든 맨손으로 빠르고 견고하게 설치 가능한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세히, 본 발명은, 바이스형 고정구조와 역진방지 구조를 이용하여 벽의 규격에 상관없이 건물의 외벽에 단단하게 고정되고 단순한 설치구조를 가지는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에 상관없이 어디에서나 누구든지 사용할 수 있도록 휴대형으로 구현된 완강기 지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는, 완강기가 결합되는 고리부와, 상기 고리부가 배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일단부에서 직각을 이루도록 연장되게 형성되는 몸체를 포함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조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지지대와 제 1 폭을 사이에 두고 상기 몸체와 결합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의 역진을 방지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위치릴 조정하는 이동나사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는, 상기 몸체와 상기 지지대가 내각을 이루는 내측 모서리에 형성된 외력 분산홈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요철부와 조정부 받침대를 포함하는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레일 내에의 요철부에 고정되어 역진방지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요철부의 일 요철홈에 고정되는 역진 방지 핀과, 상기 역진 방지 핀이 상기 일 요철홈에 고정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역진 방지 핀은, 상기 역진 방지 핀의 상측 말단에 형성되는 핀 돌기와, 상기 역진 방지 핀의 외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상기 조정부를 후진이동시키는 후진이동버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정부는, 상기 고정대와 결합된 상기 이동나사의 일측의 타측 말단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는, 상기 이동나사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이동부의 위치가 이동하여 상기 고정대와 상기 이동부 사이의 제 2 폭이 조절된다.
또한, 상기 고리부는, 상기 지지대의 외면에 상기 지지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리부와 상기 지지대의 외측이 접촉하는 외곽 부분이 곡선 형태이다.
또한, 상기 요철부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복수의 돌기와 복수의 요철홈이 서로 반복되며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요철홈의 일면은 평면이고 타면은 곡면을 가지며, 상기 역진 방지 핀의 핀 돌기의 일편은 상기 요철홈의 일면에 대응되는 평면을 가지고 타면은 상기 요철홈의 타면에 대응되는 곡면을 가져상기 요철홈과 상기 핀 돌기는 상호 맞물리는 형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는, 상기 지지대의 내측면의 외각 모서리에는 소정의 경사면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정부는, 상기 조정부에 가해지는 힘에 따라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 1 폭을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에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완강기의 줄이 걸리는 고리부를 가지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기 몸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의 일측에 결합된 이동나사와, 상기 이동나사와 상기 몸체에 결합된 이동부를 포함하는 조정부를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고정대가 이동하여 상기 고정대와 상기 지지대 사이의 거리가 조정되고, 상기 이동부가 상기 몸체에 고정되면 상기 고정대의 역진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는, 어디서든 맨손으로 빠르고 견고하게 설치 가능한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화재와 같은 재난사고 발생시 사람들이 현장으로부터 안전하고 신속하게 탈출하도록 하여 인명의 사상을 방지할 수 있다.
자세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는, 바이스형 고정구조와 역진방지 구조가 활용된 단순한 설치 구조를 가짐으로써, 완강기 설치에 대한 사전지식이 없어도 누구나 쉽게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는, 바이스형 고정구조와 역진방지 구조를 이용한 단순한 설치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큰 힘이나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맨손으로 신속하게 설치가 가능하여 위급 상황에서 탈출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는, 바이스형 고정구조와 역진방지 구조에 기반하여 정밀하게 길이 또는 폭 조절이 가능하고 편리하게 건물 외벽에 고정이 가능함으로써, 벽의 규격에 구애없이 어디에서든 단단하고 견고하게 고정되는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는, 건물에 고정되지 않는 휴대형으로 구현됨으로써, 장소의 제약없이 원하는 위치에 어디든 설치될 수 있고, 설치 환경의 제약없이 벽의 상하좌우 어디에서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는, 휴대가 가능하여 하나의 완강기 지지장치로 복수의 장소에 대응할 수 있으며, 같은 장소에 여러 개를 설치하거나 기존의 완강기 지지장치가 설치된 곳에 추가로 설치하여 동시에 다수의 사람이 탈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는, 벽과의 마찰을 높이기 위해 마찰 계수가 큰 재질이 부착되거나 마찰 계수가 큰 재질로 구현됨으로써, 설치되는 장소의 창틀 부분 등으로 인해 완강기 지지장치와 외벽이 완전밀착되지 않을 시 마찰이 적을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는, 완강기 지지장치 이용 시 사람의 무게를 가장 크게 수용하는 고리부의 안전성을 극대화함으로써, 완강기 지지장치의 전반적인 안전성과 사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 외형의 일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 단면의 일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의 고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의 역진방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이하, 완강기 지지장치)는, 어디서든 맨손으로 빠르고 견고하게 설치 가능한 휴대형 비상 탈출 기구로서, 건물 화재와 같은 비상시 재난현장에서 사람들이 탈출하도록 보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완강기 지지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바이스형 고정구조와 역진방지 구조를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 지지장치의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 지지장치 외형의 일례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 지지장치 단면의 일례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 지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완강기 지지장치는, 바이스(vise)에 역진방지장치(즉, 레일(111)과 이동부(220) 등)와 고리부(130)가 추가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바이스는, 두 돌기(120, 210) 사이에 대상물(예컨대, 벽)을 끼워 고정하는 장치로서, 완강기 지지장치가 벽을 강력히 압박하게 하여 마찰을 증가시켜 벽에 고정되며 바이스 상에 형성된 고리에 줄을 설치함으로써 완강기 역할을 수행하여, 안전한 비상탈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바이스에 설치된 역진방지장치는, 곡선과 곡선 사이의 여백을 매워 완강기 지지장치의 벽 고정을 이중으로 보완하여, 완강기 지지장치가 벽의 규격에 상관없이 어디든 원활하게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완강기 지지장치는, 고정프레임(100) 및 조정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고정프레임(100)은, 장방형 판상의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일단부에서 직각을 이루도록 연장되게 형성되는 지지대(120) 및 상기 지지대(120) 외면에 배치되는 고리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프레임(100)은, 몸체(110)와 지지대(120)가 내각을 이루는 내측 모서리에, 완강기 지지장치가 설치되는 외벽 및/또는 창틀 등의 모서리와 상기 내측 모서리 간의 접촉을 방지하여 포인트 힘 집중현상을 차단할 수 있는 외력 분산홈(1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먼저 몸체(110)는, 지지대(120)와 조정부(200)를 결합하는 장방형 판상으로서, 이동부(220)와 함께 역진방지장치(backstop) 역할을 하는 레일(11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레일(111)은, 복수의 돌기와 복수의 요철홈(제 1 요철홈, 제 2 요철홈, …, 제 n 요철홈)이 서로 반복하여 형성된 요철부(111a)와, 조정부(200)가 레일(111) 상에서 이탈하지 않으며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조정부 받침대(11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레일(111)의 돌기의 일면은 라운드지고, 타면은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자세히, 레일(111)의 돌기는, 몸체(110)의 내부에 일면이 몸체(110) 내측면과 수직을 이루는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면의 말단으로부터 몸체(110) 내측면을 향해 곡면을 이루며 형성되는 타면을 가지는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요철부(111a)와 조정부 받침대(111b)를 포함하는 레일(111)은, 이동부(220)와 함께 역진방지장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역진방지장치란, 일반적으로 정상 이동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실시예로, 레일(111)은, 이동부(220)가 정방향 이동인 전진 이동으로 벽에 설치된 이후에 후진이동하도록 외력이 가해질 때, 이동부(220)의 핀 돌기가 레일(111)의 일 요철홈에 맞물려 고정되어, 더 이상 이동부(220)가 후진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기술되는 이동부(220)의 상세한 설명에서 기재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지지대(120)는, 몸체(110)와 일체형으로 몸체(110)의 일단부에서 직각을 이루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며 외면에 고리부(13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대(120)의 내측면과 몸체(110)의 내측면에 접하는 모서리에는 외력 분산홈(115)이 형성되고, 지지대(120)의 내측면의 외각 모서리에는 소정의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대(120)는, 몸체(110)와 접하는 내측 모서리에 외력 분산홈(115)과, 외각 모서리에 소정의 경사면을 가짐으로써, 완강기 지지장치가 설치되는 벽과 지지대(120)의 내측면의 모서리들이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완강기 지지장치의 일부에 집중적으로 가해질 수 있는 힘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고리부(130)는, 반드시 지지대(120)의 외면에 배치되고 완강기 등의 비상 탈출 기구가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리부(130)가 반드시 지지대(120)의 외면에 배치되는 이유는, 타 위치(예컨대, 몸체(110)의 외면 등)에 배치될 경우, 완강기 지지장치의 설치 상황에 따라 고리부(130)에 결합된 완강기 줄에 완강기 지지장치 외측 모서리 등에 의한 마찰 문제가 발생하여 완강기 줄이 끊어질 수 있는 등의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고리부(130)가 고리부(130)의 넥(neck) 부분에 가장 적은 힘이 가해지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가장 타당하므로, 실시예에서 고리부(130)는, 지지대(120)의 외면에 배치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때, 고리부(130)는, 지지대(120)의 외면 상에서 고리부(130)의 넥 부분에 가장 적은 힘이 가해질 수 있는 상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더하여, 고리부(130)는, 지지대(120) 외면에 배치될 시 지지대(120) 외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고리부(130)는, 지지대(120) 외면의 너비 방향으로 배치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응력 집중 문제를 회피하기 위하여, 지지대(120) 외면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고리부(130)는, 고리부(130)와 지지대(120) 외측이 접촉하는 외곽 부분(131)이 부드러운 곡선(rounding)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고리부(130)는, 고리부(130)와 지지대(120) 외측이 접촉하는 외곽 부분(131)이 수직을 이루지 않고 부드러운 곡선 형태를 형성하며 지지대(120)와 결합되도록 구현됨으로써, 고리부(130)와 지지대(120)가 수직을 이루며 결합되는 때 보다 높은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고리부(130)는, 고리부(130)와 완강기의 후크(hook)가 접하는 부분에 사람이 수직 방향으로 매달리는 점과 안전성을 고려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는 이러한 고리부(130)에 외력이 가해질 때 외력의 분산분포를 나타내는 시뮬레이션 결과로서, 바깥 지름이 예컨대 40mm인 고리부(130)와 완강기의 후크가 접하는 부분에 사람이 수직 방향으로 매달리는 점을 고려하여 안전성을 판단해 본 결과이다.
자세히, 좁은 면적에 대한 정확한 시뮬레이션 해석을 위해 고리부(130)의 각 메쉬(mesh)들의 크기는 1/20인 2mm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고리부(130)와 완강기 후크가 접하는 부분에 예컨대 150kgf의 사람이 수직 방향으로 매달리는 점과 안전성을 고려하여 안전율 값을 2로 정하고, 총 3,000N의 힘을 적용하여 안전성을 판단하였다.
또한, 완강기 지지장치 제품검사 기술기준법에 따라, 1회 사용 시 최대 이용 사람의 수 X 5,000N에 대한 안전성을 판단하기 위해 동시에 예컨대 두 명의 사람이 사용한다고 가정, 10,000N의 포스(force)를 부여하였다.
계속해서, 이와 같이 시뮬레이션 할 경우에 폰 미제스 스트레스(Von-Mises stress)의 해석결과가 맥시멈 스트레스(maximum stress)가 3,000N일 경우 51.5MPa, 10,000N일 경우 171.8MPa인 것을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인 구조용 강판의 항복강도가 245~300MPa라는 점에 기초하여, 도출된 값이 안전계수를 고려하더라도 충분한 안정성을 가지는 값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더라도 실시예에 따른 고리부(130)는, 완강기 지지장치를 사용할 시 일반적인 기준 이상의 안전성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어 완강기 지지장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완강기 지지장치의 조정부(200)는, 사용자의 컨트롤에 따라 완강기 지지장치의 제 1 폭(W1) 및/또는 제 2 폭(W2)을 조절하여, 완강기 지지장치와 외벽 및/또는 창틀 등을 단단하게 밀착시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 1 폭(W1)은 벽의 두께에 맞게 조절하여 벽을 수용하는 공간을 의미하고, 제 2 폭(W2)은 역진방지장치의 이동부(220)와 고정대(210) 사이의 폭을 의미한다.
이러한 조정부(200)는, 지지대(120)와 평행하며 몸체(110)와 수직으로 결합되는 고정대(210)와, 상기 고정대(210)와 평행하며 이동나사를 통해 연결되는 이동부(220)와, 상기 고정대(210)와 상기 이동부(220)를 연결하며 회전을 통해 상기 이동부(220)의 위치를 변환할 수 있는 이동나사(230) 및 상기 이동나사(230)의 일측 말단에 결합되는 손잡이(24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고정대(210)는, 고정대(210)의 중앙측을 이동나사(230)가 관통해 조립되고, 조립된 이동나사(230)의 일측 말단에 배치된 손잡이(240)에 가해지는 힘을 이동나사(230)를 통해 전달받을 수 있다.
그리고 고정대(210)는, 전달받은 힘에 따라서 지지대(120)측 방향으로 전진 이동(즉, 1차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고정대(210)는, 지지대(120)측 방향 즉, 레일(111)의 돌기와 핀 돌기의 곡면이 접촉하는 방향으로 전진 이동함에 따라 지지대(120)와 고정대(210) 간의 이격된 거리인 제 1 폭(W1)을 조절할 수 있다.
즉, 고정대(210)는, 손잡이(240)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힘에 의해 이동되어, 지지대(120)와 고정대(210) 사이에 완강기 지지장치를 설치하는 외벽 및/또는 창틀 등을 일차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부(220)는, 이동부(220)의 하측을 이동나사(230)가 관통하여 고정대(210)와 함께 조립되며, 레일(111)과 함께 완강기 지지장치 상에서 역진방지장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자세히, 도 5를 참조하면, 이동부(220)는, 이동부(220)의 일측을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며 삽입되고, 이동부(220)의 내부에서 일측이 이동부(220)와 결합되며, 탄성력을 기반으로 역진 방지 핀의 상하 운동을 수행하는 탄성부재(221)와, 상기 탄성부재(221)의 타측 말단에 일측이 결합되어 이동부(220)의 길이 방향으로 상하 운동을 수행하는 역진 방지 핀(222)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먼저, 탄성부재(221)는, 역진 방지 핀(222)과 연결되고, 연결된 역진 방지 핀(222)이 이동부(220)의 전진 이동에 따라 레일(111)에 형성된 돌기의 곡선을 타고 내려갈 때 압축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221)는, 역진 방지 핀(222)이 요철부(111a)의 각 요철홈에 진입할 때마다 압축된 상태를 해제하며 연결된 역진 방지 핀(222)을 상승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탄성부재(221)는, 역진 방지 핀(222)의 상측 말단에 형성된 핀 돌기가 레일(111)의 돌기를 따라 이동하고 요철홈에 진입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한편, 역진 방지 핀(222)은, 탄성부재(221)에 의한 탄성력을 극복하며 요철홈의 곡선을 따라 고정대(210) 방향 즉, 레일(111)의 돌기와 핀 돌기의 곡면이 접촉하는 방향으로 전진 이동할 수 있고, 레일(111)의 각 요철홈에 진입할 때마다 탄성부재(221)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될 수 있다.
이러한 역진 방지 핀(222)은, 역진 방지 핀(222)의 상측 말단에 형성되는 핀 돌기(222a)와, 외면에 배치되는 후진이동버튼(222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역진 방지 핀(222)의 핀 돌기(222a)는, 역진 방지 핀(222)의 상측 말단 상에서 레일(111)측 방향으로 형성되며, 핀 돌기(222a)의 일면은, 역진 방지 핀(222)의 길이 방향 외면으로부터 연장되고, 핀 돌기(222a)의 타면은, 상기 핀 돌기(222a)의 일면의 상측 말단으로부터 상기 역진 방지 핀(222)의 길이 방향 타 외면을 향해 곡면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핀 돌기(222a)는, 레일(111)의 돌기와 대칭의 형태로 구현되어 상호 맞물리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핀 돌기(222a)는, 레일(111)의 요철홈에 맞물리며 진입할 수 있으며, 요철홈에 진입한 이후에는 레일(111) 및 핀 돌기(222a)의 곡선을 따라 이동하는 전진 이동은 가능하나, 레일(111)의 돌기의 수직면과 핀 돌기(222a)의 수직면이 접촉하는 방향인 후진 이동은 제한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핀 돌기(222a)는, 전진 이동으로 제 n 요철홈에 진입한 이후, 제 n 요철홈의 후방(즉, 전진 이동의 역방향)에 배치된 제 n-1 요철홈으로의 이동을 제한하여 조정부(200)가 완강기 지지장치를 설치하는 외벽 및/또는 창틀 등을 단단하게 고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역진 방지 핀(222)의 후진이동버튼(222b)은, 역진 방지 핀(222)의 외면에 배치되며, 요철홈과 핀 돌기(222a)가 맞물림으로써 후진 이동이 제한된 조정부(200)의 후진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자세히, 후진이동버튼(222b)은, 사용자의 힘에 의해 탄성부재(221)를 압축시키며 하측으로 당겨질 수 있다.
그리고 후진이동버튼(222b)이 하측으로 당겨짐에 따라서, 후진이동버튼(222b)과 연결된 역진 방지 핀(222)이 함께 아래로 이동될 수 있다.
계속해서, 역진 방지 핀(222)이 아래로 당겨짐에 따라 요철홈에 진입해 있던 핀 돌기(222a)가 상기 요철홈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고, 이로 인해 레일(111)과 이동부(220)에 의한 후진 이동 제한이 해제될 수 있다.
이처럼, 후진 이동 제한이 해제된 상태에서, 조정부(200)가 사용자로부터 후진 이동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받으면, 조정부(200) 전체적인 후진 이동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후진이동버튼(222b)을 이용한 후진 이동이 수행된 이후, 후진이동버튼(222b)을 하측으로 당기던 힘을 해제하면, 탄성부재(221)의 탄성력에 의해 역진 방지 핀(222)이 상승하고, 상승된 역진 방지 핀(222)은 레일(111)의 요철홈에 다시 맞물려 조정부(200)를 재고정할 수 있다. 즉, 재고정된 조정부(200)는, 더 이상의 후진 이동을 다시 제약받게 된다.
다음으로, 이동나사(230)는, 고정대(210)와 이동부(220)를 관통해 조립되어 조정부(200)를 하나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이동나사(230)는, 고정대(210)와 결합된 측의 타측 말단에 사용자가 잡고 회전시켜서 이동나사(230)를 컨트롤할 수 있는 손잡이(240)를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손잡이(240)에 가해진 힘에 의한 이동나사(230)의 회전에 따라서 이동부(220)는, 이동부(220)만의 위치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로, 이동부(220)는, 손잡이(240)에 가해진 힘에 의해 이동나사(230)가 제 1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지지대(120)측 방향으로의 이동인 전진 이동의 역방향으로 후진 이동(2차 이동)할 수 있다.
즉, 이동부(220)는, 지지대(120)측 방향의 역방향으로 후진 이동함에 따라 고정대(210)와 이동부(220) 간의 이격된 거리인 제 2 폭(W2)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부(220)는, 이동나사(230)를 통한 이동부(220)만의 후진 이동을 통해 제 2 폭(W2)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이동부(220)는, 역진 방지 핀(222)의 핀 돌기(222a)와 요철부(111a)에 의하여, 핀 돌기(222a)가 진입해 있는 제 n 요철홈에서 제 n 요철홈의 후방에 있는 제 n-1 요철홈으로의 이동은 제한될 수 있다. 즉, 이동부(220)는, 후진이동버튼(222b)이 하측으로 당겨져 후진 이동 제한이 해제되지 않는 한, 이동나사(230)를 통해서는 핀 돌기(222a)가 진입해 있는 제 n 요철홈 내에서만 후진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제 n 요철홈 내에서의 후진 이동을 통해 이동부(220)는, 지지대(120)와 고정대(210) 사이에 완강기 지지장치를 설치하는 외벽 및/또는 창틀 등을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는 제 1 폭(W1)을 유지하면서, 핀 돌기(222a)가 진입해 있는 제 n 요철홈의 빈 공간을 최소화하여 제 n 요철홈과 핀 돌기(222a)가 완전하게 맞물리도록 할 수 있다.
자세히, 예를 들어, 이동부(220)의 핀 돌기(222a)가 제 n 요철홈에 진입해 있으나 레일(111)의 돌기의 곡면에 맞닿아 있어 해당 요철홈에 완전하게 진입하지는 못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이동부(220)는, 이동나사(230)의 회전을 통하여 이동부(220)만의 후진 이동(2차 이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후진 이동을 통해 핀 돌기(222a)가 제 n 요철홈에 완전히 진입할 수 있다.
즉, 핀 돌기(222a)가 제 n 요철홈에 완전히 진입하여 핀 돌기(222a)의 수직면과 레일(111)의 돌기의 수직면이 단단하게 맞물려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 지지장치는, 조정부(200)의 1차 이동을 통해 고정대(210)에서 지지대(120)측으로 향하는 힘으로 완강기 지지장치와 외벽 및/또는 창틀 등을 1차 고정하고, 이동부(220)의 2차 이동을 통해 고정대(210)에서 이동부(220)측으로 향하는 힘으로 완강기 지지장치와 외벽 및/또는 창틀 등을 2차 고정하여 2중 고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동부(220)는, 손잡이(240)에 가해진 힘에 의해 이동나사(230)가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지지대(120)측 방향으로의 이동인 전진 이동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손잡이(240)는, 이동나사(230)가 고정대(210)와 결합된 측의 타측 말단을 감싸는 형태의 손잡이(240)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자세히, 손잡이(240)는, 'ㄱ' 형태 등과 같은 손잡이(240)일 경우에 다른 구조물에 걸릴 수 있는 등 제대로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위험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이를 회피하기 위해 이동나사(230)의 말단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240)는, 사용자의 힘에 의해 컨트롤되어 이동나사(23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동나사(230)를 회전시킴에 따라 이동부(22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 지지장치는, 완강기 지지장치가 설치되는 외벽 및/또는 창틀 등과의 마찰을 높이기 위해 마찰 계수가 큰 재질이 부착되거나 마찰 계수가 큰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 지지장치의 사용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완강기 지지장치에는, 지지대(120)와 고정대(210) 사이에 완강기 지지장치를 설치할 외벽 및/또는 창틀 등이 삽입된다.
이때, 지지대(120)와 고정대(210) 사이의 이격된 거리인 제 1 폭(W1)이 완강기 지지장치를 설치할 외벽 및/또는 창틀 등의 폭보다 좁을 경우, 이동부(220)의 후진이동버튼(222b)을 아래로 당기고 그 상태에서 조정부(200)를 지지대(120)의 역측 방향으로 잡아당겨 제 1 폭(W1)을 넓게 조절할 수 있다.
이후, 지지대(120)와 고정대(210) 사이에 삽입된 외벽 및/또는 창틀 등이 지지대(120)와 고정대(210) 내측에 단단하게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조정부(200)에 지지대(120)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주어 제 1 폭(W1)을 조절한다.
계속해서, 제 1 폭(W1)을 조절해 외벽 및/또는 창틀 등에 완강기 지지장치의 지지대(120)와 고정대(210)가 견고하게 밀착되면, 손잡이(240)를 통해 이동나사(230)를 회전시켜 이동부(220)를 후진 이동시키고, 제 2 폭(W2)을 조절한다.
이때, 이동부(220)의 후진 이동은, 이동부(220)의 핀 돌기(222a)와 레일(111)의 요철홈의 수직면이 완전하게 맞물려 단단하게 고정될 때까지 수행한다.
이와 같이, 제 1 폭(W1)과 제 2 폭(W2)을 조절해 외벽 및/또는 창틀 등에 완강기 지지장치가 2중으로 고정되어 견고하게 설치되면, 고리부(130)에 완강기 등의 비상 탈출 기구를 결합하여 탈출을 시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 지지장치는, 어디서든 맨손으로 빠르고 견고하게 설치 가능한 완강기 지지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화재와 같은 재난사고 발생시 사람들이 현장으로부터 안전하고 신속하게 탈출하도록 하여 인명의 사상을 방지할 수 있다.
자세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 지지장치는, 바이스형 고정구조와 역진방지 구조가 활용된 단순한 설치 구조를 가짐으로써, 완강기 설치에 대한 사전지식이 없어도 누구나 쉽게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 지지장치는, 바이스형 고정구조와 역진방지 구조를 이용한 단순한 설치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큰 힘이나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맨손으로 신속하게 설치가 가능하여 위급 상황에서 탈출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 지지장치는, 바이스형 고정구조와 역진방지 구조에 기반하여 정밀하게 길이 또는 폭 조절이 가능하고 편리하게 건물 외벽에 고정이 가능함으로써, 벽의 규격에 구애없이 어디에서든 단단하고 견고하게 고정되는 완강기 지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 지지장치는, 건물에 고정되지 않는 휴대형으로 구현됨으로써, 장소의 제약없이 원하는 위치에 어디든 설치될 수 있고, 설치 환경의 제약없이 벽의 상하좌우 어디에서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 지지장치는, 휴대가 가능하여 하나의 완강기 지지장치로 복수의 장소에 대응할 수 있으며, 같은 장소에 여러 개를 설치하거나 기존의 완강기 지지장치가 설치된 곳에 추가로 설치하여 동시에 다수의 사람이 탈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 지지장치는, 벽과의 마찰을 높이기 위해 마찰 계수가 큰 재질이 부착되거나 마찰 계수가 큰 재질로 구현됨으로써, 설치되는 장소의 창틀 부분 등으로 인해 완강기 지지장치와 외벽이 완전밀착되지 않을 시 마찰이 적을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 지지장치는, 완강기 지지장치 이용 시 사람의 무게를 가장 크게 수용하는 고리부(130)의 안전성을 극대화함으로써, 완강기 지지장치의 전반적인 안전성과 사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이상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더하여,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3)

  1. 완강기가 결합되는 고리부와, 상기 고리부가 배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일단부에서 직각을 이루도록 연장되게 형성되는 몸체를 포함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조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지지대와 제 1 폭을 사이에 두고 상기 몸체와 결합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의 역진을 방지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위치릴 조정하는 이동나사를 포함하는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상기 지지대가 내각을 이루는 내측 모서리에 형성된 외력 분산홈을 더 포함하는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요철부와 조정부 받침대를 포함하는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레일 내에의 요철부에 고정되어 역진방지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요철부의 일 요철홈에 고정되는 역진 방지 핀과,
    상기 역진 방지 핀이 상기 일 요철홈에 고정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역진 방지 핀은,
    상기 역진 방지 핀의 상측 말단에 형성되는 핀 돌기와,
    상기 역진 방지 핀의 외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상기 조정부를 후진이동시키는 후진이동버튼을 포함하는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상기 고정대와 결합된 상기 이동나사의 일측의 타측 말단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나사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이동부의 위치가 이동하여 상기 고정대와 상기 이동부 사이의 제 2 폭이 조절되는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는,
    상기 지지대의 외면에 상기 지지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는,
    상기 고리부와 상기 지지대의 외측이 접촉하는 외곽 부분이 곡선 형태인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복수의 돌기와 복수의 요철홈이 서로 반복되며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요철홈의 일면은 평면이고 타면은 곡면을 가지며, 상기 역진 방지 핀의 핀 돌기의 일편은 상기 요철홈의 일면에 대응되는 평면을 가지고 타면은 상기 요철홈의 타면에 대응되는 곡면을 가져상기 요철홈과 상기 핀 돌기는 상호 맞물리는 형상인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내측면의 외각 모서리에는 소정의 경사면이 형성된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상기 조정부에 가해지는 힘에 따라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 1 폭을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에 결합된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
  13.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완강기의 줄이 걸리는 고리부를 가지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기 몸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의 일측에 결합된 이동나사와, 상기 이동나사와 상기 몸체에 결합된 이동부를 포함하는 조정부를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고정대가 이동하여 상기 고정대와 상기 지지대 사이의 거리가 조정되고,
    상기 이동부가 상기 몸체에 고정되면 상기 고정대의 역진을 방지하는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
KR1020190050257A 2019-04-30 2019-04-30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 KR102277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257A KR102277743B1 (ko) 2019-04-30 2019-04-30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257A KR102277743B1 (ko) 2019-04-30 2019-04-30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516A true KR20200126516A (ko) 2020-11-09
KR102277743B1 KR102277743B1 (ko) 2021-07-14

Family

ID=73429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257A KR102277743B1 (ko) 2019-04-30 2019-04-30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77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6242B1 (ko) * 2021-12-31 2023-06-28 (주)한샘서비스 추락방지용 이동식 안전 고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919B1 (ko) 2003-07-26 2004-06-16 김승 원터치형 완강기 설치대
CN2698393Y (zh) * 2004-04-20 2005-05-11 田亮 高楼户外高空作业安全固定装置
CN2902325Y (zh) * 2006-01-21 2007-05-23 佛山市顺德区高厦救生器材有限公司 高空救生器用固定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919B1 (ko) 2003-07-26 2004-06-16 김승 원터치형 완강기 설치대
CN2698393Y (zh) * 2004-04-20 2005-05-11 田亮 高楼户外高空作业安全固定装置
CN2902325Y (zh) * 2006-01-21 2007-05-23 佛山市顺德区高厦救生器材有限公司 高空救生器用固定卡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 Y2*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6242B1 (ko) * 2021-12-31 2023-06-28 (주)한샘서비스 추락방지용 이동식 안전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7743B1 (ko) 2021-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9322B2 (ja) 可動式アンカ固定落下防止装置
KR101706609B1 (ko) 고층건물용 안전난간대 겸용 피난 대피장치
US20060289235A1 (en) Rescue system
KR20200126516A (ko) 휴대형 완강기 지지장치
US9108071B2 (en) Deployable fire escape with multiple alternating ramps
KR101804823B1 (ko) 피난용 미끄럼대의 고정구조
KR102075935B1 (ko) 건물용 비상탈출기구
CN104274918A (zh) 转台式滑杆应急逃生通道
US11541254B2 (en) Emergency slide system
CN113440749B (zh) 一种消防用逃生装置的使用方法
KR102139465B1 (ko) 안전 방화셔터
KR101417407B1 (ko) 건물 저층의 인명구조용 사다리 차량
CN214550686U (zh) 一种高层建筑安全防护逃生装置
JP2006510404A (ja) 建築物用避難装置
KR102283776B1 (ko) 비상탈출용 클램프
CN215136149U (zh) 一种便捷式高空作业逃生架
JP2000014813A (ja) 災害弱者避難用階段斜行リフト
JP2006028809A (ja) 移動式間仕切り壁
US4235306A (en) Emergency escape device
CN207436891U (zh) 一种新型消防梯
CN108543240B (zh) 一种高楼层快速逃生设备
US20030070874A1 (en) Emergency evacuation system
KR20200096053A (ko) 건물용 비상탈출장치
KR101679305B1 (ko) 시공 벽체의 개방영역 자동 차폐장치
KR102518354B1 (ko) 내진 모빌랙 및 고정랙용 내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