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9445B1 -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 장치 - Google Patents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9445B1
KR101319445B1 KR1020110075549A KR20110075549A KR101319445B1 KR 101319445 B1 KR101319445 B1 KR 101319445B1 KR 1020110075549 A KR1020110075549 A KR 1020110075549A KR 20110075549 A KR20110075549 A KR 20110075549A KR 101319445 B1 KR101319445 B1 KR 101319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case
brake
safety rope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5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3761A (ko
Inventor
왕종문
Original Assignee
왕종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종문 filed Critical 왕종문
Priority to KR1020110075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9445B1/ko
Publication of KR20130013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3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9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9445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 장치는, 외부에 사람이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구비되고, 내부와 연통되는 통로가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원형의 회전구와, 상기 회전구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상기 회전구 두께의 중심부분을 오목하게 구비하여 형성된 로프가이더를 포함하는 로프 드럼부; 상기 로프 드럼부의 상기 회전구 중심축 위치에 돌출되게 결합된 회전 전달빔(130); 상기 회전 전달빔(130)을 중심으로 상기 로프 드럼부의 맞은 편에 구비되는 브레이크 장치부; 상기 로프 드럼부의 상기 로프 가이더에 안착되며, 착용자와 연결되는 일단과, 상기 일단의 위치를 조절하는 타단이 구비되고,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이 상기 케이스의 통로를 통과하여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탈장착이 가능한 로프부;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 장치가 건물에 고정되지 않고 이동이 가능하여 안전한 위치에서 하방으로 늘어진 로프에 장착하여 안전하게 하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용자가 하강하고자 하는 높이에 따라 로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안전위치로 하강할 때에 착용자에게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완강기와 안전로프 두 가지 용도로 공용 가능하다.

Description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 장치{SAFTY ROPE AND DESCENDER DEVICE}
본 발명은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난 시 건물 외부로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는 완강기뿐만 아니라 하강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는 안전로프로도 사용할 수 있는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완강기는 다층으로 이루어진 건물에서 화재 등과 같은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에 건물 내부에 있는 사람을 건물 외부로 신속히 탈출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이러한 완강기는 화재 및 기타 비상시에 건물 창문의 상부 내벽에 구비된 로프에 완강기를 결합시킨 후, 사용자가 완강기를 타고 아래로 하강하여 위험으로부터 탈출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안전로프는 높은 위치에서 작업을 수행할 경우에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사용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비상 탈출을 위한 완강기는 건물에 수직으로 구비된 로프를 타고 하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완강기를 사용하는 사람의 몸무게가 무거운 경우 로프에 슬립이 발생하면서 완강기의 브레이크가 작동을 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일반적으로 각종 산업현장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작업자의 추락사고시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안전대를 착용하고, 상기 안전대와 고정지지대 상간에 양단이 걸고리에 의하 고정되는 안전로프를 상호 연결하되, 상기 안전로프에는 별도의 다양한 형태의 충격흡수장치를 설치하여 추락시 작업자에게 미치는 강한 충격을 완충흡수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안전로프는 일정 하중 이상의 장력을 받으면 여러 겹(14)으로 적층된 충격흡수용 밴드를 구비한다. 즉, 일정 하중 이상의 장력을 받으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격흡수용 밴드는 충격흡수용 밴드를 연결시킨 실밥(13)이 파열되면서 충격을 분산시키는 것과 동시에 여러 겹(14)의 충격흡수용 밴드가 한 겹이 되면서 길이가 증가하면서 순차적으로 길이가 증가된다. 이러한 경우, 실밥(13)이 파열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이 착용자에게 그대로 전달되기 때문에 착용자가 안전위치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다치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완강기와 안전로프는 각기 다른 장치로 구비되기 때문에 보관시 따로 분리해야만 했고 위급상황 시에 보관위치를 혼동할 경우 각 상황에 알맞게 각각의 장치를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재난 시 건물 외부로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감속이 가능하여 착용자가 받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안전로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재난 시 건물 외부로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완충작용이 가능한 안전로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내부와 연통되는 통로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원형의 회전구와, 상기 회전구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상기 회전구 두께의 중심부분을 오목하게 구비하여 형성된 로프가이더를 포함하는 로프 드럼부;
상기 로프 드럼부의 상기 회전구 중심축 위치에 돌출되게 결합된 회전 전달빔;
상기 회전 전달빔을 중심으로 상기 로프 드럼부의 맞은 편에 구비되는 브레이크 장치부;
상기 로프 드럼부의 상기 로프 가이더에 안착되며, 착용자와 연결되는 일단과, 상기 일단의 위치를 조절하는 타단이 구비되고,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이 상기 케이스의 통로를 통과하여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탈장착이 가능한 로프부;를 포함하되,
상기 브레이크 장치부는, 상기 로프 드럼부를 따라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 전달빔에 고정 결합된 브레이크 구동판, 상기 브레이크 구동판에 축결합되는 일단과 상기 일단보다 무게가 무거운 타단이 구비되는 원심추, 상기 원심추의 방사상 외측에 구비되는 라이닝, 상기 라이닝의 방사상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원심추의 위치에 따라 상기 라이닝과 접하는 브레이크 드럼, 및 상기 회전 전달빔과 상기 원심추 사이에 결합된 탄성의 원심추 복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로프부의 상기 타단에는 상기 케이스에 일단부가 고정결합된 안전로프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프부의 일단과 타단에는 환형체결고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로프부의 일단에 형성된 환형체결고리에는 체결로프가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 내에 장착되며 상기 로프 드럼부의 외주면을 가압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에 축결합되는 일단, 및 상기 케이스의 통로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타단으로 구비된 회전조절빔, 및
상기 회전조절빔의 위치에 따라 상기 로프 드럼부의 외주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조절빔에 중심이 축결합된 한 쌍의 보조드럼이 구비된 보조브레이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브레이크부는, 일단이 케이스에 고정결합된 위치복원스프링이 상기 회전조절빔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브레이크부에는 원호 형상의 기어, 및 상기 기어에 맞물리는 교합체와 상기 교합체에 연결형성되는 전달몸체를 포함하는 구동유지구가 더 구비되며,
상기 구동유지구는 상기 회전조절빔과 힌지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브레이크부에는 원호 형상의 기어, 및 상기 기어에 맞물리는 교합체와 상기 교합체에 연결형성되는 전달몸체를 포함하는 구동유지구가 더 구비되며,
상기 구동유지구의 상기 전달몸체는 상기 회전조절빔에 연결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레이크 장치부에는 상기 브레이크 구동판 상에 회전구동 가능하게 돌출형성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회전된 각도를 유지시키는 회전고정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원심추 복원스프링의 일단이 결합되는 스프링 복원력 조절기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프가이더에는 요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에는 탈장착이 가능한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 장치가 건물에 고정되지 않고 이동이 가능하여 안전한 위치에서 하방으로 늘어진 로프에 장착하여 안전하게 하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용자가 하강하고자 하는 높이에 따라 로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서 안전위치로 용이하게 하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강하는 과정에서 착용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안전로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 따른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 장치의 구동유지구의 정면도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 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 장치의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 장치는, 외부에 사람이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74)가 구비되고, 내부와 연통되는 통로(112)가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된 케이스(110);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원형의 회전구(124)와, 상기 회전구(124)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상기 회전구 두께의 중심부분을 오목하게 구비하여 형성된 로프 가이더(122)를 포함하는 로프 드럼부(120);
상기 로프 드럼부(120)의 상기 회전구(124) 중심축 위치에 돌출되게 결합된 회전 전달빔(130);
상기 회전 전달빔(130)을 중심으로 상기 로프 드럼부(120)의 맞은 편에 구비되는 브레이크 장치부(140);
상기 로프 드럼부(120)의 상기 로프 가이더(122)에 안착되며, 착용자와 연결되는 일단(152)과, 상기 일단(152)의 위치를 조절하는 타단(154)이 구비되고, 상기 일단(152)과 상기 타단(154)이 상기 케이스(110)의 통로(112)를 통과하여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탈장착이 가능한 로프부(150)를 포함하되,
상기 브레이크 장치부(140)는, 상기 로프 드럼부(120)를 따라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 전달빔(130)에 고정 결합된 브레이크 구동판(142), 상기 브레이크 구동판(142)에 축결합되는 일단(144a)과 상기 일단(144a)보다 무게가 무거운 타단(144b)이 구비되는 원심추(144), 상기 원심추(144)의 방사상 외측에 구비되는 라이닝(146), 상기 라이닝(146)의 방사상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원심추(144)의 위치에 따라 상기 라이닝(146)과 접하는 브레이크 드럼(14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로프와 연동되는 전면부와, 로프 드럼부(12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완강기에 장착된 로프의 하강속도를 조절하는 후면부로 나눌 수 있다. 즉, 로프 드럼부(120)의 회전구(124)에 고정결합된 회전 전달빔(130)은 회전구(124)가 회전할 때 동시에 회전하게 되는데 회전 전달빔(130)의 회전력이 브레이크 장치부(140)의 브레이크 구동판(142)에 전달되는 것이다. 따라서, 로프 드럼부(120)의 회전력이 브레이크 장치부(140)에 전달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브레이크 구동판(142)에는 원심추 일단(144a)이 축결합되기 때문에 브레이크 구동판(142)이 회전을 하면 원심추 일단(144a)보다 무겁게 형성된 원심추 타단(144b)에 원심력이 작용하면서 원심추(144)의 방사상 외측에 구비된 라이닝(146)을 밀어주게 된다. 원심추(144)에 의해 라이닝(146)이 방사상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고무 등과 같이 마찰력이 큰 재질로 형성된 라이닝 패널(146p)이 브레이크 드럼(148)과 접촉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원심추(144)와 브레이크 구동판(142)의 회전속도가 저하되면서 회전구(124)의 속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로프 드럼부(120)를 도르레 삼아 로프 가이더(122)에 안착된 상태로 위치이동하는 로프의 이동속도가 저하된다.
먼저 브레이크 장치부(140)가 설치된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 장치의 후면부의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구동판(142), 원심추(144), 라이닝(146) 및 브레이크 드럼(148)을 포함하고 있다. 브레이크 구동판(142)은 회전 전달빔(130)에 고정결합되어 회전 전달빔(130)의 회전력에 의해 구동된다. 여기서 브레이크 구동판(142)은 원판형이나 다각판형 등, 여러 가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지만, 재료의 절감을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심추(144)와 결합되는 위치에만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원심추 일단(144a)이 결합되는 지점에 맞춰 브레이크 구동판(142)을 두 방향 또는 세 방향 이상으로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원심추(144)는 일단(144a)과 타단(144b)의 형상이 상이한 것으로 라이닝(146)과 접촉하는 라이닝 접촉면(144c)이 볼록하게 형성되고, 그 반대면(144d)은 오목하게 형성함으로써, 원심추 타단(144b)에 원심력이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라이닝 접촉면(144c)을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함으로써, 원심추(144)와 라이닝(146)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원심추(144)에는 일단이 브레이크 구동판(142)의 중심부분 측에 위치한 원심추 복원스프링(S1)이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원심추 복원스프링(S1)은 원심력에 의해 방사상 외측으로 이동하는 원심추(144)가 방사상 내측으로 복귀되도록 하는 것으로, 원심력이 일정 세기 미만일 때에 원심추(144)가 방사상 내측으로 복귀되도록 한다. 즉, 로프 드럼부(120)의 회전속도가 빨라지면 원심력이 원심추 복원스프링(S1)의 복원력에 비해 크기 때문에 원심추(144)가 방사상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라이닝(146)이 브레이크 드럼(148)을 가압하도록 한다. 또한, 로프 드럼부(120)의 회전 속도가 느려서 원심력이 원심추 복원스프링(S1)의 복원력보다 작을 경우, 원심추(144)가 원래 위치로 복원되도록 함으로써, 로프 드럼부(120)의 속도가 다시 빨라질 수 있도록 한다.
원심추 복원스프링(S1)은 브레이크 구동판(142)의 중심부분 중, 특히 브레이크 구동판(142) 상에 회전구동 가능하게 돌출형성된 회전체(145a)에 결합될 수 있다. 이 회전체(145a)는, 회전고정체(145b)와 연동되어 브레이크 구동판(142)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회전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즉, 회전체(145a)와 회전고정체(145b)를 포함하는 스프링 복원력 조절기(145)를 브레이크 구동판(142)에 설치할 수 있다. 스프링 복원력 조절기(145)에 완충스프링의 일단을 결합시킴으로써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 장치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 완충스프링의 복원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들 들어, 저중량, 중간중량, 고중량의 사용자가 있다고 할 때, 도 3a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중량의 사용자는 회전체(145a)를 1단계 상태로 놓아 완충스프링의 양단이 일직선 상태가 되도록 한 뒤 회전고정체(145b)에 의해 회전상태를 고정하게 되면, 완충스프링의 원래 복원력(R1)만큼 복원력이 작용하게 된다. 또한, 중간중량의 사용자가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 장치를 사용할 경우, 회전체(145a)를 2단계 상태로 놓으면 스프링이 원래 길이보다 늘어난 상태이기 때문에 원심추(144)에 더 큰 복원력(R2)이 작용하게 된다. 즉 중간중량의 사용자의 경우, 저중량의 사용자에 비해 몸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회전속도가 빨라지게 되면 원심추(144)가 방사상 외측으로 즉각적으로 이동하면서 급제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더 큰 복원력(R2)이 작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고중량의 사용자의 경우, 회전체(145a)를 3단계 상태로 놓아 회전고정체(145b)로 고정시키게 되면 완충스프링에 더 큰 복원력(R3)이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완충스프링에 작용하는 복원력은 탄성한계 내에서 스프링이 늘어난 길이에 따라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회전고정체(145b)가 고정할 수 있는 회전각도의 단계를 두 단계 이상으로 구획할 수 있다. 또한, 라이닝(146) 역시 원심추(144)와 마찬가지로 회전력이 일정 크기 이하일 때는 그 위치를 복원시키는 라이닝 복원스프링(S2)을 구비함으로써, 회전속도가 느릴 때에는 브레이크 드럼(148)과 접촉한 상태에서 벗어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프 드럼부가 설치된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 장치의 정면도가 도시된 것으로, 도 4a에는 안전로프로 사용될 때의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 장치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b에는 완강기로 사용될 때의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 장치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 장치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부(150)의 일단(152)에 환형체결고리(152a)를 형성하고, 환형체결고리(152a)에 별도의 체결로프(159)를 구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안전로프를 착용하는 작업은 단시간에 끝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작업자들은 작업시간 사이 사이에 안전로프를 착용한 상태로 이동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즉, 안전로프와 연결된 안전 조끼를 신체에서 탈장착하는 것이 번거롭기 때문에 안전로프를 들고 지상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이와 같이 안전로프 전체를 들고다닐 필요가 없도록 탈장착이 용이한 체결로프(159)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체결로프를 구비하게 되면, 작업자가 무거운 안전로프를 전제 다 들고다닐 필요없이 가벼운 체결로프(159)만 들고다니면 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로프부(150)의 일단(152)에 형성된 환형체결고리(152a)는 형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시한 것으로, 실제로는 도면에 도시된 비율과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장치를 안전로프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초기에 착용자가 받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로프부(150)의 타단(154)을 하부로 길게 늘어뜨린다. 따라서, 로프부의 일단(152)측에 연결된 작업자는 떨어질 때 로프부(150)의 일단(152)이 하부로 이동하면서 브레이크 장치부(140)가 작동하여 종래의 안전로프와 달리 작업자의 하강 속도를 감소시켜 작업자가 받는 충격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또한 로프부(150)의 타단(154)에도 환형체결고리(154b)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환형체결고리(154b)는 로프부(150)의 타단(154)측에 위치한 안전로프스프링(156)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안전로프스프링(156)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안전로프스프링(156)은 케이스(110)에 일단부를 고정결합함으로써, 로프부(150)의 타단(154)이 케이스(110) 쪽으로 이동할 때, 안전로프스프링(156)의 일단부를 기준으로 압축되면서 착용자가 하강할 때 완충작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장치를 완강기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장치에 장착된 로프부(150)를 탈착한 뒤, 보조브레이크부(160)의 보조드럼(164)과 로프 드럼부(120) 사이에 완강로프(1)를 끼워 탈출할 수 있다. 즉, 보조브레이크부(16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완강로프(1)를 그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로프 드럼부(120)의 로프가이더(122)에는 도 4b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보조브레이크부(160)는, 케이스(110) 내에는 상기 로프 드럼부(120)의 외주면 또는 로프 드럼부(120)에 안착된 로프를 가압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110)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10)에 축결합되는 일단(162a), 및 상기 케이스(110)의 통로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타단(162b)으로 구비된 회전조절빔(162), 및
상기 회전조절빔(162)의 위치에 따라 상기 로프 드럼부(120)의 외주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조절빔(162)에 중심이 축결합된 한 쌍의 보조드럼(164)이 구비된다.
완강기를 사용하는 착용자는 탈출 초기에 손잡이(174)를 잡고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 여기서 손잡이(174)의 말단을 절곡시키거나 곡률을 형성하여 손이 밑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고, 손잡이(174)에 중공을 형성하여 중공에 손을 삽입한 뒤 파지하는 방식으로 손잡이(174)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와 더불어, 케이스(110) 외주면에 안전고리(190)를 구비하고, 안전고리(190)에 착용자의 신체 일부와 결합되는 로프를 구비함으로써, 손잡이를 놓쳤을 경우에도 안전고리(190)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완강기를 타고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다.
이때, 착용자의 몸무게에 따라 보조브레이크부(150) 및 로프 드럼부(120) 사이에서 위치한 완강로프(1)에 마찰력이 충분히 주어지지 않으면, 로프 드럼부(120)가 완강로프(1)와 미끄럼접촉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로프드럼부(120)와 완강로프(1)가 미끄럼접촉을 할 경우, 로프드럼부(120)가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브레이크 장치부(140)가 구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완강로프(1)와 로프 드럼부(120)가 구름 접촉을 하여 완강로프(1)를 타고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 장치가 하강할 때 브레이크 장치부(140)가 구동되도록 보조브레이크부(150)를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로프가이더(122)에 요철(122a)을 구비함으로써, 완강로프(10)가 접하는 로프가이더(122)의 표면을 거칠게 구비하여 마찰력이 증가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브레이크부(160)의 회전조절빔(162)에는 위치복원스프링(166)이 결합될 수 있다. 위치복원스프링(166)은 보조브레이크부(160)의 한 쌍의 보조드럼(164)이 로프 드럼부(120) 또는 로프부(150)를 가압한 상태가 해제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를 위하여 위치복원스프링(166)의 일단은 케이스(110)에 결합되고 타단은 회전조절빔(162)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 장치에 장착되는 보조브레이크부(160)는 착용자가 회전조절빔(162)을 직접 이동시켜서 보조드럼(164)과 로프 드럼부(120)의 접촉 상태를 조절할 수도 있지만, 회전조절빔(162)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보조드럼(164)과 로프 드럼부(120)의 접촉 상태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보조브레이크부(160)에는 구동유지구(167)가 장착된다. 구동유지구(167)는 회전조절빔(162)에 연동되기 때문에 구동유지구(167)의 위치에 따라 회전조절빔(162)의 고정여부가 결정된다.
구동유지구(167)는 원호 형상의 기어(167a), 및 상기 기어(167a)에 맞물리는 교합체(167b)와 상기 교합체(167b)에 연결형성되는 전달몸체(167c)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유지구(167)는 회전조절빔(162)과 힌지로 결합되어 회전조절빔(162)을 로프드럼부(120) 측으로 이동시키면 교합체(167b)가 기어(167a) 상에서 위치를 이동한 후 고정되어 완강로프(1)가 보조브레이크부(160) 및 로프 드럼부(120)에 작용하는 마찰 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또는 변경은 모두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10: 케이스 120: 로프 드럼부
122: 로프 가이더 124: 회전구
130: 회전 전달빔 140: 브레이크 장치부
142: 브레이크 구동판 144: 원심추
144a: 원심추 일단 144b: 원심추 타단
145: 스프링 복원력 조절기 145a: 회전체
145b: 회전고정체 146: 라이닝
148: 브레이크 드럼 150: 로프부
152: 로프부 일단 152a, 154b: 환형체결고리
154: 로프부 타단 156: 안전로프스프링
159: 체결로프 160: 보조브레이크부
162: 회전조절빔 164: 보조드럼
166: 위치복원스프링 167, 167': 구동유지구
167a, 167a': 기어 167b, 167b': 교합체
167c, 167c': 전달몸체 172: 후크
174: 손잡이 S1: 원심추 복원스프링
S2: 라이닝 복원스프링

Claims (11)

  1. 내부와 연통되는 통로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원형의 회전구와, 상기 회전구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상기 회전구 두께의 중심부분을 오목하게 구비하여 형성된 로프가이더를 포함하는 로프 드럼부;
    상기 로프 드럼부의 상기 회전구 중심축 위치에 돌출되게 결합된 회전 전달빔;
    상기 회전 전달빔을 중심으로 상기 로프 드럼부의 맞은 편에 구비되는 브레이크 장치부;
    상기 로프 드럼부의 상기 로프 가이더에 안착되며, 착용자와 연결되는 일단과, 상기 일단의 위치를 조절하는 타단이 구비되고,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이 상기 케이스의 통로를 통과하여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탈장착이 가능한 로프부;를 포함하되,
    상기 브레이크 장치부는, 상기 로프 드럼부를 따라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 전달빔에 고정 결합된 브레이크 구동판, 상기 브레이크 구동판에 축결합되는 일단과 상기 일단보다 무게가 무거운 타단이 구비되는 원심추, 상기 원심추의 방사상 외측에 구비되는 라이닝, 상기 라이닝의 방사상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원심추의 위치에 따라 상기 라이닝과 접하는 브레이크 드럼, 및 상기 회전 전달빔과 상기 원심추 사이에 결합된 탄성의 원심추 복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부의 상기 타단에는 상기 케이스에 일단부가 고정결합된 안전로프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부의 일단과 타단에는 환형체결고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부의 일단에 형성된 환형체결고리에는 체결로프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에 장착되며 상기 로프 드럼부의 외주면을 가압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에 축결합되는 일단, 및 상기 케이스의 통로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타단으로 구비된 회전조절빔, 및
    상기 회전조절빔의 위치에 따라 상기 로프 드럼부의 외주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조절빔에 중심이 축결합된 한 쌍의 보조드럼이 구비된 보조브레이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브레이크부는, 일단이 케이스에 고정결합된 위치복원스프링이 상기 회전조절빔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브레이크부에는 원호 형상의 기어, 및 상기 기어에 맞물리는 교합체와 상기 교합체에 연결형성되는 전달몸체를 포함하는 구동유지구가 더 구비되며,
    상기 구동유지구는 상기 회전조절빔과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브레이크부에는 원호 형상의 기어, 및 상기 기어에 맞물리는 교합체와 상기 교합체에 연결형성되는 전달몸체를 포함하는 구동유지구가 더 구비되며,
    상기 구동유지구의 상기 전달몸체는 상기 회전조절빔에 연결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장치부에는 상기 브레이크 구동판 상에 회전구동 가능하게 돌출형성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회전된 각도를 유지시키는 회전고정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원심추 복원스프링의 일단이 결합되는 스프링 복원력 조절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가이더에는 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탈장착이 가능한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장치.
KR1020110075549A 2011-07-29 2011-07-29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 장치 KR101319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549A KR101319445B1 (ko) 2011-07-29 2011-07-29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549A KR101319445B1 (ko) 2011-07-29 2011-07-29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3761A KR20130013761A (ko) 2013-02-06
KR101319445B1 true KR101319445B1 (ko) 2013-10-17

Family

ID=47894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5549A KR101319445B1 (ko) 2011-07-29 2011-07-29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94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449B1 (ko) 2018-02-14 2019-06-05 이정현 로프용 안전 하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19805A1 (ko) * 2013-01-29 2014-08-07 Wang Jong Mun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 장치
CA2969423C (en) * 2014-12-04 2024-01-02 Eddy Current Limited Partnership Energy absorbing apparatus
KR102020219B1 (ko) * 2019-04-24 2019-09-10 유병수 스윙-아웃-다운 방식 비상탈출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9530A (ja) 1998-12-25 2000-07-11 Ito Seisakusho:Kk 高所作業用墜落防止器
KR200321547Y1 (ko) 2003-04-30 2003-07-28 주식회사 육송 완강기
KR20080038984A (ko) * 2006-10-31 2008-05-07 이광희 완강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9530A (ja) 1998-12-25 2000-07-11 Ito Seisakusho:Kk 高所作業用墜落防止器
KR200321547Y1 (ko) 2003-04-30 2003-07-28 주식회사 육송 완강기
KR20080038984A (ko) * 2006-10-31 2008-05-07 이광희 완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449B1 (ko) 2018-02-14 2019-06-05 이정현 로프용 안전 하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3761A (ko) 201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3018B1 (ko) 원심 브레이크 메커니즘
KR101319445B1 (ko)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 장치
US20070246694A1 (en) Life Saving Implement
CN201261670Y (zh) 具有限速和防坠落功能的安全钳
EP0328646A1 (en) DESCENT DEVICE FOR EMERGENCY EVACUATION.
CN104941080A (zh) 高空缓降器
US5540307A (en) Rescue system
KR101815311B1 (ko) 지능형 승강 장치
KR101815310B1 (ko) 전동식 건물 비상 탈출 장치
WO2014119805A1 (ko) 안전로프 및 완강기 겸용 장치
KR890001125Y1 (ko) 피난용 완강 장치(緩降裝置)
KR101713273B1 (ko) 건축 소방용 완강기 거치대 절첩장치
KR102020217B1 (ko) V홈 브레이크 방식 완강기
CN115177877A (zh) 高效多驱制动高楼救援逃生装置及使用方法
CN103041519A (zh) 固定式自适应弹力消防逃生缓降系统
KR20140072687A (ko)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
CN103830852A (zh) 一种警民兼容的缓降器
CN210472817U (zh) 智能型应急逃生器
RU241644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пуска людей из зданий и сооружений при пожарах и других чрезвычайных ситуациях
CN212941039U (zh) 一种绳索出入结构及移动式下降设备
CN110743109A (zh) 逃生背包缓降装置的刹车机构
KR101590425B1 (ko) 이중 원심브레이를 이용한 완강기
CN212416721U (zh) 一种安全防坠装置
KR20200090521A (ko) 가속도 방지 기능을 갖는 완강기
KR200414006Y1 (ko) 이동식 완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2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