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5876B1 - 조명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명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5876B1
KR102535876B1 KR1020210092107A KR20210092107A KR102535876B1 KR 102535876 B1 KR102535876 B1 KR 102535876B1 KR 1020210092107 A KR1020210092107 A KR 1020210092107A KR 20210092107 A KR20210092107 A KR 20210092107A KR 102535876 B1 KR102535876 B1 KR 102535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fade
control system
controller
bright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1634A (ko
Inventor
고상경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2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5876B1/ko
Priority to CN202210795781.2A priority patent/CN115623640A/zh
Priority to US17/810,932 priority patent/US11958394B2/en
Priority to EP22184094.5A priority patent/EP4120301A1/en
Publication of KR20230011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1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eat adjustment
    • B60N2/0228Hand-activated mechanical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7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electrical control means, e.g.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72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using sensors or detector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se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53Arm-rests movable to an inoperativ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67Angle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33Seats; Arm rests; Head 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2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 lighting, e.g. switching by tilting the l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9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a change in orientation, a movement or an acceleration of the lighting device, e.g. a tilt switch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3/00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 G05D3/12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using feedba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01H9/182Illumination of the symbols or distinguishing mar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tim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1/00Passenger or crew accommodation; Flight-deck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11/06Arrangements of seats, or adaptation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seats
    • B64D11/0639Arrangements of seats, or adaptation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seats with features for adjustment or converting of seats
    • B64D11/0644Adjustable arm res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08Application power s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 시트 스위치의 조명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은, 고정대상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대상; 상기 이동대상에 장착되고, 빛을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에 내장되어 상기 스위치의 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위치인식부;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스위치의 발광 세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명 제어 시스템{SYSTEM OF CONTROLLING LIGHTING}
본 발명은 조명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 시트 스위치의 조명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운전석 주위의 센터페시아(center fascia) 등 차량에는 차량 내 장치들의 조절을 위한 다수의 스위치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파워 시트의 경우 등받이의 각도, 시트의 전후 위치, 높이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시트 스위치 등을 꼽을 수 있다. 시트 스위치 중에는 야간 시인성과 미관의 향상을 위하여 빛을 방출하는 시트 형상의 시트 스위치가 등장한 바 있다.
등록실용 제20-0425998호 (등록일자: 2006.09.01)
본 발명은 시트 스위치의 조명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조명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은, 고정대상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대상; 상기 이동대상에 장착되고, 빛을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에 내장되어 상기 스위치의 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위치인식부;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스위치의 발광 세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 스위치의 조명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조명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의 예시적인 적용대상을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은 효과적인 조명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의 발광이 필요하지 않은 상태에 놓이면 조명이 꺼지게끔 제어되어 눈부심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이 켜질 때에는 빛의 밝기가 점차 밝아지면서 설정된 최대 밝기로 조명이 켜지는 페이드 인(fade-in) 또는 조명이 꺼질 때에는 빛의 밝기가 점차 어두워지면서 꺼지는 페이드 아웃(fade-out) 기능이 수반되어 조명 사용을 통해 시각적인 고급감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인 적용예에 따르면, 조명은 고정되어 있는 고정대상에 대하여 이동 또는 회동하는 이동대상에 장착될 수 있다. 이동대상이 고정대상에 대하여 회동하여 고정대상에 격납될 수 있는 관계인 경우, 즉, 이동대상이 전개 위치와 격납 위치를 포함하는 경우, 격납된 상태에서는 조명의 사용이 요구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이동대상이 고정대상에 격납되었을 때 조명의 발광으로 인해 빛이 새어 나가면 눈부심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격납된 상태 등과 같이 조명의 발광을 필요로 하지 않거나 조명의 발광을 차단할 필요가 있는 경우 조명이 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이 켜지는 동안 또는 꺼지는 동안 페이드 인 또는 페이드 아웃이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이동대상이 고정대상에 대하여 회동하여 전개 위치에서 격납 위치로 또는 격납 위치에서 전개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조명이 페이드 인 및 페이드 아웃되도록 제어하여 시각적인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비제한적인 예로서, 고정대상은 후석 시트(2)이고, 이동대상은 차량 후석의 암레스트(4)일 수 있다. 또한, 조명은 암레스트(4)에 장착되는 시트 스위치(이하 스위치, 10)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고정대상이 차량 후석 시트(2), 이동대상이 차량 후석의 암레스트(4), 시트 스위치가 발광하는 스위치(10)인 것으로 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고정대상, 이동대상 및 조명의 관계를 이룰 수 있는 시스템에는 어디에든 적용이 가능하다.
차량의 후석 시트(2)에는 암레스트(4)가 결합된다. 암레스트(4)는 후석 시트(2)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후석 시트(2)에 결합된다.
암레스트(4)는 차량의 탑승자가 사용하는 상태에서의 전개 위치 내지는 개방 위치를 포함한다. 개방 위치에서 암레스트(4)는 대략 수평방향과 나란하게 놓일 수 있다.
암레스트(4)는 후석 시트(2)에 대하여 접힘가능하게 구성된다. 암레스트(4)가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암레스트(4)는 회동되어 후석 시트(2)에 격납될 수 있다. 따라서, 개방 위치와 더불어, 암레스트(4)는 탑승자가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의 격납 위치 내지는 폐쇄 위치를 포함한다. 즉, 암레스트(4)는 후석 시트(2)로부터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 사이를 회동하도록 구성된다.
암레스트(4)에는 스위치(10)가 장착된다. 스위치(10)의 조작을 통해 후석 시트(2)의 각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위치(10)는 발광유닛을 포함하여 암레스트(4)의 개방 위치에서 빛을 발하도록 구성되고, 암레스트(4)의 폐쇄 위치에서는 빛을 발하지 않도록 또는 최소 밝기로 빛을 발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 사이에서 스위치(10)는 페이드 인 또는 페이드 아웃을 수행하도록 제어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스위치(10)에는 위치인식부(20)가 내장된다. 위치인식부(20)는 암레스트(4)의 회동 시 암레스트(4)의 위치를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또는, 위치인식부(20)는 암레스트(4)의 각도를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위치인식부(20)는 6면의 변화를 인지하여 센서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G-센서이다.
또한, 위치인식부(20)는 암레스트(4)가 열리는 중인지 닫히는 중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평선을 기준으로 50 내지 80°의 변화가 생기는 시점을 기준으로 암레스트(4)가 열리는 중인지 닫히는 중인지 판단될 수 있다.
제어기(30)는 위치인식부(20)로부터 스위치(1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스위치(10)의 발광 세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기(30)는 위치인식부(20)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스위치(10)의 페이드 인 또는 페이드 아웃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암레스트(4)가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회동할 때에는 제어기(30)는 스위치(10)의 발광유닛의 페이드 아웃을 수행한다. 반대로, 암레스트(4)가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회동할 때 제어기(30)는 스위치(10)의 발광유닛의 페이드 인을 수행한다.
암레스트(4)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스위치(10)는 암레스트(4)의 위치 중에서 가장 밝은 최대 밝기로 발광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가장 밝은 최대 밝기는 제어기(30)에 입력되는 외부 입력에 의해 설정 또는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제어기(30)는 가변유닛(40)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가변유닛(40)은 스위치(10)가 발할 수 있는 최대 밝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가변유닛(40)에 의해 조절된 최대 밝기(이하 설정 밝기(S1))는 제어기(30)에 전달되고, 제어기(30)는 가변유닛(40)으로부터 전달받은 설정 밝기(S1)의 범위 내에서 페이드 인 또는 페이드 아웃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가변유닛(40)은 차량의 클러스터에 구비되는 가감저항기(rheostat)이다. 즉, 제어기(30)는 가감저항기에 의해 설정된 설정 밝기(S1)를 수신하고, 개방 위치에서 설정 밝기(S1)로 스위치(10)를 발광시킨다. 가감저항기를 조절하면 클러스터에 조명의 단계가 표시되면서 차량의 무드 조명이 조절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아래 표 1과 같이, 가변유닛(40) 내지는 가감저항기에 의해 설정된 설정 밝기(S1)에 따라 스위치(10)의 페이드 인 또는 페이드 아웃 시간이 정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설정 밝기(S1)는 분류된 명칭 그대로 밝기를 나타낸다. 즉, 최대값에서 최대 밝기이고 최소값에서 최소 밝기이며, 중상값 범위는 최대값보다는 작고 중하값 범위보다는 큰 밝기 범위를, 중하값 범위는 중상값 범위보다는 작고 최소값보다는 큰 밝기 범위로 설정된 것을 말한다. 또한, 페이드 인 또는 페이드 아웃 시간인 설정 페이드 시간(F)은 열에서 위로 갈수록 증가한다. 즉, A>B>C>D의 관계를 만족한다.
설정 밝기(S1) 설정 페이드 시간(F)
(페이드 인 또는 페이드 아웃 시간)
최대값 A초
최소값 B초
중상값 범위 C초
중하값 범위 D초
암레스트(4)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회동할 때, 즉, 페이드 인 중 제어기(30)는 설정 밝기(S1)로 설정 페이드 시간(F)동안 페이드 인을 수행한다. 예시적으로, 설정 밝기(S1)가 중상값 범위라면, 제어기(30)는 C초동안 페이드 인을 수행하며 개방 위치에서는 중상값 범위의 밝기로 스위치(10)를 발광시킨다.
암레스트(4)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회동할 때 제어기(30)는 설정 밝기(S1)로 발광하던 스위치(10)의 발광 세기를 위 표 1과 같이 기 설정된 페이드 아웃 시간동안 감소시키는 페이드 아웃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설정 밝기(S1)가 최대값이라면 A초동안 밝기를 줄이며 페이드 아웃을 수행한다.
암레스트(4)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어기(30)는 스위치(10)가 암레스트(4)의 위치 중 가장 어두운 밝기의 최소 밝기로 발광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에서 최소 밝기는 스위치(10)의 빛의 발광이 차단된 오프(off)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암레스트(4)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회동할 때 제어기(30)는 스위치(10)의 발광 세기를 최소 밝기로부터 최대 밝기로 증가시키는 페이드 인을 수행한다. 예시적으로, 암레스트(4)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회동할 때 제어기(30)는 꺼져 있던 스위치(10)를 표 1과 같이 기 설정된 페이드 인 시간동안 페이드 인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암레스트(4)의 회동으로 페이드 진행 중 암레스트(4)가 방향을 전환할 때 대처할 수 있는 로직이 제공된다. 즉, 암레스트(4)의 회동으로 페이드 진행 중 위치인식부(20)가 각도 변화를 감지하면, 제어기(30)는 즉시 페이드를 멈추고 밝기 조건에 따라 동작시간(T1) 동안 페이드를 진행한다. 여기에서 동작시간(T1)이란 페이드 진행 중 암레스트(4)의 방향 전환 시 페이드의 잔여동작시간을 가리킨다.
설정 밝기(S1) 설정 페이드 시간(F)
(페이드 인 또는 페이드 아웃 시간)
페이드 중 암레스트의 각도 변화 후 동작시간(T1)
최대값 A초 동작시간(T1) = 현재까지 진행된 페이드 시간
최소값 B초
중상값 범위 C초
중하값 범위 D초
표 2와 같이, 동작시간(T1)은 현재까지 진행된 페이드 시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암레스트(4)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회동 중 개방 위치를 향하여 방향을 전환하는 경우 제어기(30)는 개방 위치로부터 전환 시점까지 소요된 시간과 동일한 시간동안 발광 세기를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A초가 4초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암레스트(4)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하면서 총 4초의 설정 페이드 시간(F) 중 3초를 진행하고, 그 시점에서 다시 개방 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경우 전환되는 시점부터 진행된 시간인 3초와 동일하게 3초동안 페이드 인을 진행하도록 제어한다. 즉, 동작시간(T1)은 3초가 된다.
유사하게, 암레스트(4)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회동 중 폐쇄 위치를 향하여 방향을 전환하는 경우, 제어기(30)는 폐쇄 위치로부터 전환 시점까지 소요된 시간과 동일한 동작시간(T1)동안 발광 세기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의하면, 암레스트(4)가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페이드 아웃 중에 가변유닛(40)에 의해 설정 밝기(S1)가 변경된 경우, 제어기(30)는 이를 무시하고 페이드 아웃을 그대로 진행한다.
반대로, 제어기(30)는 암레스트(4)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회동 중, 즉, 페이드 인 중에 가변유닛(40)에 의해 설정 밝기(S1)가 증가되는 경우, 즉, 설정 밝기(S1)가 수정 설정 밝기(S2)로 증가하는 경우, 수정 설정 밝기(S2)를 향해 페이드 인을 수행하도록 스위치(10)를 제어한다.
현재 밝기(B) 수정 설정 밝기(S2) 페이드 인 중 수정 설정 밝기(S2)가 현재 밝기(B)보다 밝은 경우 동작시간(T2)
최소값 중상값 범위 C초 - 페이드 인 진행시간
최소값 B초 - 페이드 인 진행시간
최대값 A초 - 페이드 인 진행시간
중하값 최소값 B초 - 페이드 인 진행시간
최대값 A초 - 페이드 인 진행시간
중상값 최대값 A초 - 페이드 인 진행시간
이때 수정 설정 밝기(S2) 수신 후 페이드의 잔여 동작시간(T2)은 표 3과 같을 수 있다. 동작시간(T2)은, 수정 설정 밝기(S2)로 페이드 인을 하기 위하여 원칙적으로 소요되는 기 설정된 시간에서 가변유닛(40)에 의해 최대 밝기가 증가되기 전까지 소요된 시간을 차감한 시간만큼 진행된다
또한, 제어기(30)는 암레스트(4)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회동 중, 즉, 페이드 인 중에 가변유닛(40)에 의해 설정 밝기(S1)가 감소되는 경우 페이드 인을 중지하고 즉시 변경된 수정 설정 밝기(S2)로 변경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암레스트(4)의 각도 정보에 따라 후석 시트형상 시트 스위치의 무드조명에 자연스러운 페이드 인 또는 페이드 아웃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 스위치에 G-센서를 내장하여 각도 정보를 수신받고, 현재 조명 밝기의 정도에 따라 페이드 시간을 달리함으로써 자연스러운 무드조명 온/오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본 발명은 차량 후석 시트에 적용되는 경우, 암레스트 격납 시 조명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페이드 인/페이드 아웃의 기능 부가로 인해 시각적으로 고급스러움을 선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2: 후석 시트 4: 암레스트
10: 스위치 20: 위치인식부
30: 제어기 40: 가변유닛

Claims (18)

  1. 고정대상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대상;
    상기 이동대상에 장착되고, 빛을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에 내장되어 상기 스위치의 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위치인식부;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스위치의 발광 세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이동대상이 회동하는 중, 상기 스위치가 점진적으로 어두워지는 페이드 아웃을 수행하거나 상기 스위치가 점진적으로 밝아지는 페이드 인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조명 제어 시스템.
  2. 고정대상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대상;
    상기 이동대상에 장착되고, 빛을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에 내장되어 상기 스위치의 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위치인식부;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스위치의 발광 세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이동대상이 제1 방향으로 회동할 때 상기 스위치가 점진적으로 어두워지는 페이드 아웃을 수행하고 상기 이동대상이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동할 때 상기 스위치가 점진적으로 밝아지는 페이드 인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조명 제어 시스템.
  3. 삭제
  4. 고정대상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대상;
    상기 이동대상에 장착되고, 빛을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에 내장되어 상기 스위치의 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위치인식부;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스위치의 발광 세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대상은,
    상기 고정대상으로부터 완전 펼쳐진 개방 위치 및 고정대상에 격납된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동대상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스위치는 이동대상의 위치 중에서 가장 밝은 설정 밝기로 발광하고, 상기 설정 밝기는 상기 제어기와 통신하는 가변유닛에 의해 조절가능한 것인 조명 제어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이동대상이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회동할 때, 상기 스위치의 발광 세기를 상기 설정 밝기로부터 감소시키는 페이드 아웃을 수행하는 것인 조명 제어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이동대상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스위치가 이동대상의 위치 중 가장 낮은 밝기의 최소 밝기로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조명 제어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이동대상이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회동할 때, 상기 스위치의 발광 세기를 최소 밝기로부터 상기 설정 밝기로 증가시키는 페이드 인을 수행하는 것인 조명 제어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최소 밝기는 발광 차단상태인 것인 조명 제어 시스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페이드 인 또는 페이드 아웃에 소요되는 시간은 상기 가변유닛에 의해 설정된 설정 밝기에 따라 변화하는 것인 조명 제어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이동대상이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회동 중 개방 위치를 향하여 방향을 전환하는 경우, 개방 위치로부터 전환 시점까지 소요된 시간과 동일한 시간동안 스위치의 발광 세기를 증가시키는 것인 조명 제어 시스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이동대상이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회동 중 폐쇄 위치를 향하여 방향을 전환하는 경우, 폐쇄 위치로부터 전환 시점까지 소요된 시간과 동일한 시간동안 스위치의 발광 세기를 감소시키는 것인 조명 제어 시스템.
  12.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이동대상이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회동 중 상기 가변유닛에 의해 설정 밝기가 증가되는 경우, 즉시 증가된 수정 설정 밝기를 향해 페이드 인이 수행되도록 하고,
    상기 페이드 인은, 상기 수정 설정 밝기로 페이드 인을 하기 위하여 소요되는 기 설정된 시간에서 상기 가변유닛에 의해 설정 밝기가 증가되기 전까지 소요된 시간을 차감한 시간만큼 진행되는 것인 조명 제어 시스템.
  13.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이동대상이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회동 중 상기 가변유닛에 의해 설정 밝기가 감소하는 경우, 페이드 인을 중지하고 현재 밝기를 감소된 수정 설정 밝기로 변경하는 것인 조명 제어 시스템.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상은 차량의 시트이고, 상기 이동대상은 상기 시트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암레스트인 것인 조명 제어 시스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암레스트에 장착되는 시트 형상의 시트 스위치인 것인 조명 제어 시스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암레스트는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고,
    상기 개방 위치에서는 상기 암레스트가 시트로부터 완전 전개되고, 상기 폐쇄 위치에서는 상기 암레스트가 시트에 완전 폴딩되는 것인 조명 제어 시스템.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가변유닛은 상기 차량의 클러스터에 구비되는 가감저항기(rheostat)를 포함하는 것인 조명 제어 시스템.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인식부는 G-센서인 것인 조명 제어 시스템.
KR1020210092107A 2021-07-14 2021-07-14 조명 제어 시스템 KR102535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107A KR102535876B1 (ko) 2021-07-14 2021-07-14 조명 제어 시스템
CN202210795781.2A CN115623640A (zh) 2021-07-14 2022-07-06 照明控制系统
US17/810,932 US11958394B2 (en) 2021-07-14 2022-07-06 Lighting control system
EP22184094.5A EP4120301A1 (en) 2021-07-14 2022-07-11 Lighting contro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107A KR102535876B1 (ko) 2021-07-14 2021-07-14 조명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1634A KR20230011634A (ko) 2023-01-25
KR102535876B1 true KR102535876B1 (ko) 2023-05-26

Family

ID=83229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107A KR102535876B1 (ko) 2021-07-14 2021-07-14 조명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958394B2 (ko)
EP (1) EP4120301A1 (ko)
KR (1) KR102535876B1 (ko)
CN (1) CN11562364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63309A1 (en) * 2022-02-23 2023-08-24 Huizhou Upspring Intelligent Technology Co., Ltd. Control panel for a multifunctional cup holder and sofa sea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7113A (ja) 1999-09-30 2001-04-10 Toyoda Gosei Co Ltd 車輌用照明装置
JP2005104251A (ja) 2003-09-30 2005-04-21 Mazda Motor Corp 車両用アームレスト
KR101714718B1 (ko) 2015-11-30 2017-03-09 주식회사 서연이화 콘솔 암레스트의 조명 장치
KR102257592B1 (ko) * 2019-04-08 2021-05-28 카이스 주식회사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킨 능동형 암레스트를 갖는 도어트림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4492A (en) 1977-09-23 1978-08-01 Illinois Tool Works Inc. Gravity actuated light socket and switch means
KR19980066074U (ko) * 1997-05-12 1998-12-05 김영귀 리어 암레스트의 리모콘 전원 제어장치
US6733146B1 (en) 2003-01-10 2004-05-11 Pat J. Vastano Illuminated knob for indicating the operative condition of an appliance
US7121699B2 (en) * 2004-09-22 2006-10-17 Lear Corporation Control panel with light source for control illumination
KR20070047477A (ko) * 2005-11-02 2007-05-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클러스터 조도 조절장치
KR200425998Y1 (ko) 2006-06-27 2006-09-19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시트형상 조명 스위치
JP5323200B2 (ja) * 2009-09-24 2013-10-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ベッドおよび合体方法
EP3259157B1 (en) 2015-02-20 2020-07-01 Safran Seats USA LLC Haptic system: recline activation control
US10827584B2 (en) * 2018-04-27 2020-11-03 Liteideas, Llc LED control circuits
KR20190133923A (ko) * 2018-05-24 2019-12-04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후석 콘솔 유니트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0032863A1 (en) * 2018-08-06 2020-02-13 Inter Ikea Systems B.V. A control device for a home ambience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7113A (ja) 1999-09-30 2001-04-10 Toyoda Gosei Co Ltd 車輌用照明装置
JP2005104251A (ja) 2003-09-30 2005-04-21 Mazda Motor Corp 車両用アームレスト
KR101714718B1 (ko) 2015-11-30 2017-03-09 주식회사 서연이화 콘솔 암레스트의 조명 장치
KR102257592B1 (ko) * 2019-04-08 2021-05-28 카이스 주식회사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킨 능동형 암레스트를 갖는 도어트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1634A (ko) 2023-01-25
CN115623640A (zh) 2023-01-17
EP4120301A1 (en) 2023-01-18
US20230022026A1 (en) 2023-01-26
US11958394B2 (en) 202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3602B1 (en) Vehicle headlamp device
US9840186B2 (en) Vehicle lamp
US8876342B2 (en) Adaptive vehicle cabin light
US9956901B2 (en) Automotive headlamp apparatus having swivel function of lamp unit
US7438451B2 (en) Ambient light based illumination control
KR102535876B1 (ko) 조명 제어 시스템
JP2005231429A (ja) 車両用灯具
US20170028903A1 (en) Vehicle lamp system
CN105492255A (zh) 用于打开与交通工具座椅位置相关的灯的系统及方法
JP2020138643A (ja) 読書灯制御装置及び読書灯システム
JP2010076519A (ja) 車室内照明システム
JP4762940B2 (ja) 車両用灯具
JP2019104356A (ja) 移動体用表示装置
KR101885477B1 (ko) 후방주차시 시야확보를 위한 조명등
WO2012137334A1 (ja) 移動体用照明装置
US20220346207A1 (en) Vehicle interior light active focus
JP2020006874A (ja) 制御装置及び防眩装置
JPH0930323A (ja) 原動機付き車両での投光装置のプリセット可能な照度の調整装置
CN114435236A (zh) 车辆前照灯系统及其操作方法
JPH01309836A (ja) 車両用照明機器の調光制御装置
KR20190081944A (ko) 차량 글라스의 명암 조절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130757A (ko) 차량용 선바이저의 조명장치
US11292384B2 (en) Pattern skin lighting device of vehicle
KR100811718B1 (ko) 전자식 반사율 조절 미러
JP7446473B2 (ja) ヘッドライト装置、及び傾斜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