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5691B1 - 강설 기능을 구비한 쇼케이스 장치 - Google Patents

강설 기능을 구비한 쇼케이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5691B1
KR102535691B1 KR1020200030343A KR20200030343A KR102535691B1 KR 102535691 B1 KR102535691 B1 KR 102535691B1 KR 1020200030343 A KR1020200030343 A KR 1020200030343A KR 20200030343 A KR20200030343 A KR 20200030343A KR 102535691 B1 KR102535691 B1 KR 102535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now
liquid
snowfall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0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4775A (ko
Inventor
이돈생
김대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고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고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고대
Priority to KR1020200030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5691B1/ko
Publication of KR20210114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4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04Cases or cabinets of the closed type
    • A47F3/0426Details
    • A47F3/0434Glass or transparent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82Details common to both closed and open types
    • A47F3/0495Spraying, trickling or humidify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3/00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ice or snow for winter sports or similar recreational purposes, e.g. for sporting installations; Producing artificial snow
    • F25C3/04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ice or snow for winter sports or similar recreational purposes, e.g. for sporting installations; Producing artificial snow for sledging or ski trails; Producing artificial snow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회전 드럼에 부착된 액체를 결빙시켜 스크레이퍼로 긁어서 눈으로서 강설시키는 강설 유닛과, 상기 회전 드럼을 냉각시키는 냉각 유닛과, 상기 강설 유닛에 상기 액체를 공급하는 급액 유닛과, 상기 눈이 강설되는 바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 유닛은 상기 눈이 녹아서 다시 상기 액체로 변환된 경우에 상기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집액부를 포함하는, 강설 기능을 구비한 쇼케이스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강설 기능을 구비한 쇼케이스 장치{SHOWCASE DEVICE HAVING SNOWING FUNCTION}
본 개시는 눈이 내리는 것 같은 장면을 인공적으로 연출할 수 있는 강설 기능을 구비한 쇼케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물, 청량음료 등의 일반 음료, 맥주 등과 같은 알콜성 음료, 기타 다른 음식물을 진열하여 전시하는 다양한 형태의 쇼케이스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쇼케이스 장치는 일반적으로 음료 등을 차가운 물, 얼음, 드라이아이스 등에 넣어서 시원한 청량감을 주거나, 다양한 색깔의 형광등 또는 LED 조명을 비춰서 명도와 색감을 부여하는 등의 방식으로 전시함으로써, 소비자의 입맛을 돋구어 소비자의 구매를 촉진한다.
그러나, 기존의 방식은 단순히 제품 자체에 단편적인 청량감이나 조명감을 부여하는 방식에 불과하고, 자주 노출될수록 소비자가 식상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자극할 수 있는 새로운 쇼케이스 장치에 대한 니즈가 증가하고 있다.
본 개시는 눈이 내리는 것 같은 입체적인 장면을 인공적으로 연출할 수 있는 강설 기능을 구비한 쇼케이스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는, 회전 드럼에 부착된 액체를 결빙시켜 스크레이퍼로 긁어서 눈으로서 강설시키는 강설 유닛과, 상기 회전 드럼을 냉각시키는 냉각 유닛과, 상기 강설 유닛에 상기 액체를 공급하는 급액 유닛과, 상기 눈이 강설되는 바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 유닛은 상기 눈이 녹아서 다시 상기 액체로 변환된 경우에 상기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집액부를 포함하는, 강설 기능을 구비한 쇼케이스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급액 유닛은 상기 집액부에 수집된 상기 액체를 다시 상기 강설 유닛에 공급하기 위한 리사이클링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사이클링 유로에는, 상기 액체를 정화하기 위한 정화 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바닥 유닛은 상기 강설 유닛으로부터 강설된 상기 눈을 받아서 적재하는 바닥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 테이블은 음료가 담긴 하나 이상의 용기를 진열할 수 있는 진열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 테이블은 상기 냉각 유닛 또는 다른 냉각 유닛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상기 바닥 테이블은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도 있다.
상기 바닥 테이블은 상기 눈이 녹아서 변환된 상기 액체를 상기 집액부로 수집하기 위한 집액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유닛은 회전 가능한 원형 테이블, 또는 소정의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한 무빙 테이블 또는 컨베이어 테이블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레이퍼는 상기 회전 드럼에 부착된 상기 결빙을 긁어서 강설시키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사선형, 곡선형, 파형, 또는 톱니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강설 유닛은 상기 블레이드에 부착된 상기 눈을 털어서 강설시키는 브러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설 유닛은 상기 회전 드럼의 일부가 상기 액체 속에 잠긴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액체를 수용하는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액체가 상기 트레이로부터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버플로우 방지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눈이 휘날리는 장면을 연출하기 위한 송풍 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설 유닛이 설치되는 중공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강설 유닛에 상기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급액 유로, 상기 강설 유닛을 냉각하기 위한 냉매 유로, 또는 상기 강설 유닛을 구동하기 위한 전기 배선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중공 프레임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눈이 강설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의 내부는 상기 냉각 유닛 또는 다른 냉각 유닛에 의해 소정의 온도로 냉각될 수 있다.
상기 강설 유닛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눈이 내리는 것 같은 입체적인 장면을 인공적으로 연출함으로써, 진열하는 제품에 입체성과 스토리를 부여함으로써 소비자의 감각을 자극할 수 있는 쇼케이스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실시형태들 및 그 목적, 구성, 작용, 효과, 이점 등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쇼케이스 장치(1)의 전체적인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강설 유닛(20)을 일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강설 유닛(20)을 타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트레이(260)를 좌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블레이드(284)의 에지면(284a)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브러시(290)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냉각 유닛(30) 및 급액 유닛(4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바닥 유닛(50)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일 실시형태"는 본 개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제시된 각각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의미하며, 본 개시가 이러한 실시형태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완전한 이해를 위해 세부적인 설명을 포함할 수 있지만,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세부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그 구성의 일부 또는 전부를 확대, 과장하거나, 간략히 도시 또는 생략하여 도시한 것일 수 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설명할 경우,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매체 또는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설명할 경우, 특별히 달리 표현하지 않는 한, 기재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구성요소, 부품, 단계, 동작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쇼케이스 장치(1)의 전체적인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서 쇼케이스 장치(1)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싱(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쇼케이스 장치(1)는 전체적으로 통 형상의 케이싱(1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0)은 대략 원통 형상의 상하로 긴 케이스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케이싱(10)은 단면이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의 다각형이거나, 타원형 등을 갖는 통 형상일 수 있다. 케이싱(10)은 전시 또는 진열에 사용되는 대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싱(10)은 전체적으로 콜라병, 맥주병 등의 병 모양이거나, 오크통 등을 모방한 통 모양일 수 있다. 케이싱(10)은 후술하는 강설 유닛(20)을 설치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면 되고, 그 형상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케이싱(10)은 상부(12)와, 중간부(14)와, 하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부(14)는 상부(12)와 하부(14)에 연결되고 그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즉, 중간부(16)의 상단은 상부(12)에 연결되고 중간부(14)의 하단은 하부(16)에 연결될 수 있다. 케이싱(10)의 상부(12)에는 강설 유닛(20)을 설치할 수 있다. 케이싱(10)의 내부와 외부를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중간부(14)는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강설 유닛(20)에 의해 강설되는 눈을 적재하거나 수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하부(16)는 생략될 수 있다.
케이싱(10)의 상부(12)는 상부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20)은 케이싱(10)의 상부(12)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프레임 부재일 수 있다. 상부 프레임(120)은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케이싱(10)의 형상에 따라 케이싱(10)의 상부(12)로서 적절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20)은 대략 환형의 제1 상부 프레임(122)과, 제1 상부 프레임(122)의 상방에 설치되는 대략 환형의 제2 상부 프레임(124)과, 제1 상부 프레임(122)과 제2 상부 프레임(124) 사이에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중간 상부 프레임(126)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상부 프레임(126)의 상단은 제1 상부 프레임(122)에 연결되고 중간 상부 프레임(126)의 하단은 제2 상부 프레임(124)에 연결됨으로써, 제1 상부 프레임(122)과 제2 상부 프레임(124)을 지지하여 상부(12)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중간 상부 프레임(126)은, 예를 들면, 제1 상부 프레임(122)의 원주 방향을 따라 90도 간격으로 4개소에 제공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개소 또는 5개소 이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상부 프레임(120)은 강설 유닛(20)이 부착되는 지지 프레임(1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28)은 대략 T자 형상의 프레임 부재일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프레임(128)은 서로 다른 세 방향으로 연장되는 끝 부분들을 갖고, 이 끝 부분들이 제1 상부 프레임(122) 또는 제2 상부 프레임(124)의 내측 면에 고정될 수 있다. 강설 유닛(20)은 후술하는 하우징(200)을 통해 지지 프레임(128)의 하부에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프레임(128)에 지지된 강설 유닛(20)으로부터 하방으로 눈이 내리는 장면을 연출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28)은 T자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1 상부 프레임(122)의 내측면에 양 단부가 고정되는 일자형 또는 네 개의 단부가 고정되는 십자형의 프레임 부재일 수도 있다. 지지 프레임(128)의 각 단부들은 복수의 중간 상부 프레임(126)에 의해 지지된 각 위치들에서 제1 상부 프레임(122) 또는 제2 상부 프레임(124)에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다. 다르게는, 지지 프레임(128)은 상부 프레임(120)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판 형태의 커버 부재(미도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보다 자유롭게 위치를 선택하여 커버 부재의 하부에 강설 유닛(20)을 부착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들(122, 124, 126, 128)은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재료 또는 PVC 등의 플라스틱 재료로 된 중공 또는 중실의 파이프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프레임들(122, 124, 126, 128)은 용접이나 본드 접합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다르게는, 프레임들(122, 124, 126, 128)을 일체로 포함하는 단일의 상부 프레임(120)을 제조할 수도 있다. 프레임들(122, 124, 126, 128)은 후술하는 강설 유닛(20)을 설치할 수 있는 사이즈와 강도를 구비하면 되고, 특별히 사이즈나 강도가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부 프레임(1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 대략 1m2 내외의 원형 공간으로 형성하는 사이즈로 프레임들(122, 124, 126, 128)을 형성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보다 작거나 더 클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케이싱(10)이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의 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프레임들(122, 124, 126, 128)은 상부 프레임(12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 1m2보다 큰 평면적의 직사각형 공간을 형성하는 사이즈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20)에 형성되는 공간은 상부 커버(123)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상부 커버(123)의 외면에는, 홍보용의 다양한 문구, 그림 등이 표시 또는 부착될 수 있다. 다르게는, 홍보용의 화상을 표시하는 LCD 화면 등의 디스플레이가 상부 프레임(10)에 부착될 수 있다.
케이싱(10)의 중간부(14)는 눈이 내리는 듯한 장면을 연출하기 위해 일정하게 부피의 격리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중간부(14)는 상부(12)와 하부(16)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중간 프레임(140)과, 중간 프레임(140)의 외측에 부착되고 중간 프레임(140)에 의해 지지되는 투명 케이스(142)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 프레임(140)은 케이싱(10)을 지탱하는 기둥 역할을 하는 프레임 부재로서, 케이싱(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된 2개소 이상의 위치에 제공될 수도 있다. 투명 케이스(142)는 강설 유닛(20)에 의해 강설되는 눈을 외부로부터 관람할 수 있도록 투명한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투명 케이스(142)의 일측에는 물, 음료 등이 담긴 용기들을 출납할 수 있도록 열고 닫을 수 있는 투명 도어(144)가 제공될 수 있다.
케이싱(10)의 하부(16)는 케이싱(10)의 전체 무게를 지탱하는 지지부로서, 강설 유닛(20)을 작동하기 위한 각종 기기나, 후술하는 바닥 유닛(50) 등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하부(16)는 하부(16)의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하부 프레임(160)과, 하부 프레임(160)의 외측을 덮는 하부 커버(16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0)의 하부(16)는 상술한 케이싱(10)의 상부(12)와 거의 동일한 형상과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프레임 부재 등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각종 기기의 수용을 위해 상부(12)보다는 더 큰 공간을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프레임(16)은, 강설 유닛(20)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128)이 필요하지 않은 대신에, 상당한 중량의 기기들을 적재하기 위해 충분한 강성을 갖는 바닥 프레임(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16)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케이싱(10)의 형상에 따라 케이싱(10)의 상부(16)로서 적절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강설 유닛(2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강설 유닛(20)을 일 방향에서 본 사시도로서, 내부를 볼 수 있게 전방 커버(미도시) 및 일 방향의 커버(미도시)를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강설 유닛(20)을 타 방향에서 본 사시도로서, 내부를 볼 수 있게 전방 커버(미도시), 타 방향의 커버(미도시) 및 트레이(260)를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강설 유닛(20)은 하우징(200)과, 모터(220)와, 회전 드럼(240)과, 트레이(260)와, 스크레이퍼(28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00)은 강설 유닛(20)을 상부 프레임(120)(구체적으로는, 지지 프레임(128)의 하부)에 지지시키기 위한 부재일 수 있다. 하우징(200)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태의 박스 형상일 가질 수 있다. 하우징(200)은 강설 유닛(20)의 무게를 지탱하는 한편, 내부에 제빙용의 액체를 수용하므로, 강성과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재료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00)은,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모든 면을 벽 부재로 피복할 수도 있지만, 적어도 하우징(2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의 일방의 측벽(202)과, 일방의 측벽(202)과 대향하는 판 형상의 타방의 측벽(204)과, 일방의 측벽(202)의 후단과 타방의 측벽(204)의 후단을 서로 연결하는 판 형상의 후방벽(206)을 포함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하우징(200)은 좌우 측방과 후방이 벽 부재(202, 204, 206)로 덮혀 있고 전방과 상하방이 개방된 대략 "ㄷ"자 모양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벽 부재(202, 204, 206)에 의해 둘러싸인 하우징(200)의 내부 공간에는 모터(220), 회전 드럼(240), 트레이(260), 및 스크레이퍼(280)가 수용될 수 있다. 모터(220), 회전 드럼(240), 트레이(260), 및 스크레이퍼(280)는 좌우 측벽(202, 204) 중 어느 일측 또는 양측에 지지될 수 있다. 모터(220)와 회전 드럼(240)은 후방벽(206)에 의해 공간적으로 격리될 수 있다. 후방벽(206)에는 후술하는 트레이(26)를 하우징(200)에 장착하기 위한 결합부(265)가 결합되는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일방의 측벽(202)은 모터(220)와 회전 드럼(240) 양자를 고정할 수 있도록 타방의 측벽(204)보다 전후로 더 긴 대략 사다리꼴의 판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타방의 측벽(204)에는 회전 드럼(240)만이 고정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일방의 측벽(202)의 외측과 타방의 측벽(204)의 외측이 모두 개방되어 있지만, 이들 측벽(202, 204)의 외측은 커버 부재(미도시)에 의해 피복될 수 있다. 커버 부재는 볼트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 각 측벽(202, 204)의 외측에 부착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하우징(200)의 전방, 즉, 회전 드럼(240)의 전방도 커버 부재(미도시)에 의해 피복될 수 있다.
하우징(200)은 좌우 측벽(202, 204)의 상방으로 플랜지(202a, 204a)를 돌출 형성하고 이 플랜지(202a, 204a)를 볼트 등의 체결 부재로 지지 프레임(128)에 고정함으로써 지지 프레임(128)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물론, 후방벽(206)도 동일한 방식으로 지지 프레임(128)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모터(220) 등에 브라켓(미도시)의 일단을 고정하고 이 브라켓의 타단을 지지 프레임(128)에 고정함으로써 강설 유닛(20)을 보다 강고하게 지지 프레임(128)에 고정할 수도 있다.
모터(220)는 회전 드럼(240)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부재로서, 예를 들면, DC모터 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드럼식 제빙기에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모터가 적용될 수 있다. 모터(220)는 하우징(200)의 후방에 장착될 수 있다. 모터(220)의 일단은 일방의 측벽(202)에 브라켓(미도시)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모터(220)의 일단으로부터 출력축(222)이 돌출될 수 있다. 출력축(222)은 베어링(미도시)에 의해 하우징(200)에 지지될 수도 있다. 모터(220)와 출력축(222) 사이에는 출력축(222)의 회전 속도를 감속함과 아울러 토크를 증대시키기 위해 리덕션 기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출력축(222)의 단부에는 모터측 기어(224)가 장착될 수 있다.
회전 드럼(240)은 후술하는 냉각 유닛(30)에 의해 냉각된 드럼면(242)에 제빙용의 액체를 부착시켜 결빙하기 위한 부재로서, 대략 원통 또는 드럼 형상의 회전 부재일 수 있다. 회전 드럼(240)은 모터(22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하우징(200)의 전방에 장착될 수 있다. 회전 드럼(240)은 후방벽(206)에 의해 발열체인 모터(220)로부터 열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회전 드럼(240)의 회전축은 하우징(200)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베이링(미도시)에 의해 양 측벽(202, 20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회전 드럼(240)의 일단은 하우징(200)의 일방의 측벽(202)에 지지될 수 있다. 회전 드럼(240)의 일단으로부터 입력축(244)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입력축(244)의 단부에는 드럼측 기어(246)가 구비될 수 있다. 드럼측 기어(246)는, 예를 들면, 체인(248) 등의 동력 전달 기구에 의해 모터측 기어(224)로부터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모터(220)의 회전력은 출력축(222), 모터측 기어(224), 체인(248) 및 드럼측 기어(246)를 통해 입력축(244)으로 입력되어 회전 드럼(240)을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 드럼(240)은 모터(220)에 비해 감속된 회전수(rpm)로 회전될 수 있다. 드럼측 기어(246)는 모터측 기어(224)보다 더 많은 기어잇수를 갖는 대형 기어일 수 있다. 모터측 기어(224)와 드럼측 기어(246)는 소정의 기어비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수나 기어비는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설정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회전 드럼(240)의 타단은 하우징(200)의 타방의 측벽(204)에 지지될 수 있다. 회전 드럼(240)의 타단에는 냉각용의 냉매를 공급 및 배출하는 냉매 배관(340)이 연결될 수 있다. 냉매 배관(340)의 공급 유로를 통해 공급된 냉매는 회전 드럼(240)의 내부에 형성된 드럼용 열교환기(370)에서 증발하면서 회전 드럼(240)을 냉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드럼(240)의 드럼면(242)이 제빙용의 액체의 어는점 이하의 온도로 냉각될 수 있다. 증발된 냉매는 냉매 배관(340)의 배출 유로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냉각 유닛(30)의 상세한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트레이(260)를 좌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트레이(260)는 회전 드럼(24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우징(200)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다. 트레이(260)는 제빙용의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 부재로서, 대략 사각접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트레이(26)의 형상은 이러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용기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트레이(260)는 대략 사각판 형상의 바닥면(262)과, 바닥면(262)의 네 변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측벽(264)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면(262)과 네 측벽(264)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 소정량의 제빙용의 액체를 수용할 수 있다. 제빙시에, 상기 액체는 회전 드럼(240)의 하부가 소정의 깊이만큼 액체 속에 잠겨서 드럼면(242)에 액체가 충분히 부착될 수 있도록 트레이(260)에 공급될 수 있다. 제빙용의 액체는, 예를 들면, 물, 음료, 또는 색소가 함유된 수용액 등일 수 있다. 제빙용의 액체로서 색소가 함유된 수용액을 사용할 경우, 다양한 색의 눈을 연출할 수 있다. 제빙용의 액체는 급액 배관(440)을 통해 공급될 수 있다. 트레이(260)에 공급된 액체는 오버플로우 방지 유로(266)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액체를 공급 및 배출하는 급액 유닛(40)의 상세한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트레이(260)는 내부에 수용되는 제빙용의 액체를 배출할 수 있는 오버플로우 방지 유로(배출 유로)(266)를 포함할 수 있다. 오버플로우 방지 유로(266)의 외측에는, 배출용 배관을 끼워서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265)가 구비될 수 있다. 오버플로우 방지 유로(266)의 내측에는, 가장자리가 바닥면(262)으로부터 소정의 높이(H)만큼 돌출된 배출구(267)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빙용의 액체는 수위가 소정의 높이(H)에 다다를때까지 트레이(260)의 내부에 차오를 수 있다. 그 후, 제빙용의 액체가 과다 공급되어 그 수위가 소정의 높이(H)를 초과하게 되면, 트레이(260)에 공급된 액체가 배출구(267)의 돌출된 가장자리를 넘어서 배출구(267)를 통해 배출되기 시작한다. 이에 따라, 트레이(260)에 공급된 액체가 트레이(260)의 측벽(262)을 통해 외부로 흘러넘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트레이(260)는 좌우의 측벽(262)에 형성된 슬라이딩부(268)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하우징(200)에는, 양 측벽(202, 204)의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하는 안내부(208)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260)를 하우징(200)에 장착할 때, 트레이(260)의 슬라이딩부(268)를 하우징(200)의 안내부(208) 상에 위치시키고 하우징(200)의 내측으로 부드럽게 가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슬라이딩부(268)가 안내부(208)에 의해 안내되면서 하우징(200)의 내측으로 활주하여 이동하므로, 트레이(260)를 회전 드럼(240)의 하부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트레이(260)를 하우징(200)으로부터 인출할 수도 있다. 또한, 트레이(260)의 후방에는, 후방벽(206)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홈(도 3 참조) 또는 결합 돌기에 걸어서 결합할 수 있는 대략 단면 "ㄱ"자 형상의 결합부(265)를 구비할 수 있다. 결합부(265)에 의해 외부 충격 등에 의한 트레이(260)의 우발적인 인출이 방지될 수 있다.
스크레이퍼(280)는 회전 드럼(240)의 드럼면(242)에 부착된 결빙을 긁어서 눈으로 강설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드럼면(242)의 전체 폭을 따라 연장되는 대략 장방형의 부재일 수 있다. 스크레이퍼(280)는 하우징(200)의 양 측벽(202, 204)에 고정되는 브라켓(282)과, 브라켓(282)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블레이드(284)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284)는 두 개의 고정 나사(286)에 의해 브라켓(282)에 장착하거나 브라켓(282)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블레이드(284)는 회전 드럼(240)의 전방 하부에 드럼면(242)과 소정의 미세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레이드(284)는 회전 드럼(240)의 드럼면(242)에 부착된 결빙의 두께보다 더 작은 간격을 갖도록 드럼면(242)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블레이드(284)는 회전 드럼(240)의 드럼면(242)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드럼면(242)에 부착된 결빙을 효과적으로 긁어내서 강설시킬 수 있다.
블레이드(284)의 회전 드럼(240) 측에는 회전 드럼(240)을 향해 테이퍼진 에지면(284a)이 구비될 수 있다. 에지면(284a)은 드럼면(242)의 접선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럼면(242)에 부착된 결빙이 에지면(284a)을 따라 부드럽게 드럼면(242)으로부터 분리되어 눈으로서 강설될 수 있다. 블레이드(284)의 에지면(284a)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블레이드(284)에 눈이 부착되거나 쌓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284)의 에지면(284a)은 사선형, 곡선형, 파형, 또는 톱니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인접하는 눈이 부착되는 에지면(284a)의 상하 위치를 다르게 하여 눈뭉침을 억제함으로써 블레이드(284)에 눈이 부착되거나 쌓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르게는, 에지면(284a)를 수직 방향보다 더 가파르게 경사지도록, 즉, 에지면(284a)의 연장선이 수직선으로부터 회전 드럼(240)의 외측을 향해 더 기울어지도록 에지면(284a)의 배향을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스크레이퍼(280)의 전방에는 블레이드(284)에 쌓이거나 부착된 얼음이나 눈을 털어내기 위한 브러시(29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290)는 원통형의 몸통 둘레에 눈이나 얼음을 털어낼 수 있는 다수의 돌기 또는 브러시모(290a)를 돌출시킨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브러시(290)는, 예를 들면, 내마모성이 좋은 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브러시(290)는 회전 드럼(240)과 동기화시켜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브러시(290)의 회전축(290b)을 하우징(200)의 양 측벽(202, 204)에 지지한 상태로 벨트, 체인 등의 동력 전달 기구에 의해 회전 드럼(240)의 회전축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드럼(240)이 회전하면서 드럼면(242)에 결빙이 형성되는 동시에 브러시(290)가 블레이드(284)에 쌓이거나 부착되기 시작하는 눈이나 얼음을 즉시 털어내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된 강설 유닛(20)에 의하면, 쇼케이스 장치(1)의 내부 공간에 눈이 내리는 것 같은 장면을 인공적으로 연출할 수 있다. 즉, 쇼케이스 장치(1)를 가동시키면, 모터(220)의 출력축(222)이 회전하면서 모터측 기어(224), 체인(248), 드럼측 기어(246) 및 입력축(244)을 거쳐서 회전 드럼(240)이 서서히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트레이(260)에는 급액 유닛(40)에 의해 제빙용의 액체가 공급되고, 회전 드럼(240)은 회전시에 하부에 위치되는 드럼면(242)이 제빙용의 액체 속에 잠겼다가 나오게 되므로, 회전 드럼(240)이 회전하면서 드럼면(242)의 전체에 액체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회전 드럼(240)의 드럼면(242)은 냉각 유닛(30)에 의해 순환되는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해 액체의 어는점 이하로 냉각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드럼(240)의 드럼면(242)에 부착된 액체는 서서히 결빙되고, 드럼면(242)에 부착된 결빙은 스크레이퍼(280)를 통과하면서 블레이드(284)가 긁어내서 눈으로서 강설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강설 유닛(20)으로부터 하방으로 눈이 낙하하면서 마치 눈이 내리는 것 같은 장면을 인공적으로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낙하된 눈이 후술하는 바닥 유닛(50)에 쌓이면서 마치 알프스나 히말라야의 설경을 보는 것과 같은 장면을 연출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예를 들면, 강설 유닛(20)을 원호형, 반원형, 원형 등의 궤적을 따라 회전시키거나, 케이싱(10)을 따라 좌우로 왕복 이동시킬 경우, 눈이 이리저리 휘날리는 듯한 장면을 연출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면, 강설 유닛(20)을 가동 프레임에 탑재하고, 이 가동 프레임이 강설 유닛(20)과 함께 상부 프레임(120)에 형성된 레일 상을 주행하도록 하는 구동기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는, 지지 프레임(128) 대신에, 강설 유닛(20)의 상방에 브라켓 또는 프레임을 원호형으로 회전시키는 구동 기구(예를 들면, 아암 기구)를 설치하고, 이 브라켓 또는 프레임의 하부에 강설 유닛(20)의 하우징(200)을 부착하여 강설 유닛(20)을 원호형으로 왕복 회전시킴으로써 눈발이 휘날리는 장면을 연출할 수도 있다.
또한, 강설 유닛(20)은 다양한 크기의 회전 드럼(240)을 설치하여 강설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상 드럼식 제빙기에는 3/4마력 정도의 회전 드럼(240)이 설치되지만, 보다 대형인 1마력 이상의 회전 드럼(240)을 채용함으로써, 강설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르게는, 복수(예를 들면, 2대 이상)의 회전 드럼(240)을 나란히 배치하거나, 복수의 강설 유닛(20)을 나란히 배치함으로써 강설량을 더욱 증가시킬 수도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냉각 유닛(30) 및 급액 유닛(4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냉각 유닛(30)의 일부는 케이싱(10)의 하부(16)에 수용될 수 있다. 케이싱(10)의 하부(16)에 수용된 냉각 유닛(30)의 일부는 펌프측 열교환기(300), 냉각 펌프(320), 및 냉매 배관(34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드럼(240)을 냉각시키면서 열을 흡수하여 증발한 기상의 냉매는 냉매 배관(340)의 냉매 배출 유로(340a)를 통해 펌프측 열교환기(300)로 공급될 수 있다. 펌프측 열교환기(300)는 기상의 냉매를 냉각시켜 액상의 냉매로 재응축할 수 있다. 이러한 열교환기로는, 공냉식, 수냉식 또는 기계 냉각식 등의 다양한 냉각 방식의 열교환기가 사용될 수 있다. 펌프측 열교환기(300)에서 재응축된 냉매는 액상으로 환원되어 냉각 펌프(300)에 의해 냉매 배관(340)의 냉매 공급 유로(340b)로 재순환될 수 있다. 냉매는 냉매 배관(340)의 냉매 공급 유로(340b)를 거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드럼(240)의 타단으로 재공급되어 회전 드럼(240)을 다시 냉각시킬 수 있다.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매 배관(340)의 적어도 일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부(14)의 중간 프레임(140)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이 경우, 중간 프레임(14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중공의 프레임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냉매 배관(340)을 중간 프레임(140)의 내부에 수납함으로써, 냉매 배관(340)을 깔끔하게 정돈할 수 있고, 눈이 내리는 장면이 냉매 배관(340)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냉매 배관(340)이 수납되는 중간 프레임(140)도 눈이 내리는 장면의 관람을 방해하지 않도록 케이싱(10)의 후방측에 위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냉매 배관(340) 뿐만 아니라, 급액 배관(440) 및/또는 모터(220)의 전기 배선(미도시)도 중간 브레임(140)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급액 유닛(40)의 일부도 케이싱(10)의 하부(16)에 수용될 수 있다. 케이싱(10)의 하부(16)에 수용되는 급액 유닛(40)의 일부는 집액부(400)와, 급액 펌프(420) 및 급액 배관(440)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구(267)를 통해 배출된 액체는 오버플로우 방지 유로(266)로 거쳐서 케이싱(10)의 하부(16)에 설치된 집액부(400)로 수집될 수 있다. 집액부(400)는 제빙용의 액체를 수집하는 탱크 또는 수조 형상의 용기일 수 있다. 집액부(400)에 수집된 액체는 급액 펌프(420)에 의해 급액 배관(440)으로 공급될 수 있다.
급액 배관(440)은 집액부(400)에 수집된 액체를 다시 강설 유닛(20)에 공급하기 위한 리사이클링 유로(440a)를 포함할 수 있다. 집액부(400)에 수집된 액체는 리사이클용 유로(440a)를 통해 급액 배관(440)을 거쳐 강설 유닛(20)의 트레이(260)로 다시 공급되어 재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집액부(400)에 수집된 액체에는 불순물이 함유될 수 있으므로, 트레이(260)로 공급하기 전에 정화하는 공정을 거칠 수 있다. 이를 위해, 리사이클용 유로(440a)에는 정화 필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정화 필터는, 예를 들면, 케이싱(10)의 하부(16)에 수용될 수 있다. 정화 필터를 통해 정화된 액체는 불순물이 필터에 의해 깨끗하게 걸러지게 되므로, 정화된 액체를 결빙시켜 만든 눈은 항상 불순물이 제거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바닥 유닛(50)에 쌓인 눈을 누군가가 부주의하게 입으로 삼키게 되더라도 불순물을 섭취하게 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바닥 유닛(50)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바닥 유닛(50)은 강설 유닛(20)으로부터 강설된 눈을 받아서 적재하는 바닥 테이블(50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 테이블(500)은 대략 원반 형상의 판 부재일 수 있다. 바닥 테이블(500)은 음료나 식품을 담을 수 있는 식기용의 금속 재료, 세라믹 재료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바닥 테이블(500)은 중앙부(502)가 상대적으로 낮고 가장자리부(504)가 상대적으로 높은, 아래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장자리부(504)로부터 중앙부(502)를 향해 하나 이상의 단차를 포함하는 단차로(503)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르게는, 중앙부(502)를 향해 나선 형상으로 경사진 경사로(미도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한 가장자리부(504)는, 음료나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용기를 진열할 수 있는 평평한 진열대(506)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강설 유닛(20)에 의해 눈이 내리는 장면을 관람하면서 투명 도어(144)를 통해 용기를 꺼내어 즉석에서 음료나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낮게 위치한 중앙부(502)는 배출구(508)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구(508)는 집액부(400)로 통하는 배출 유로(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강설된 눈이 바닥 테이블(500)에 많이 쌓여서 녹게 되면, 녹은 눈은 다시 액체로 변하여 바닥 테이블(500)에 고일 수 있다. 이 때, 바닥 테이블(500)에 고인 액체는 단차로(503)를 통해 중앙부(502)로 모이게 되고, 중앙부(502)의 배출구(508)를 통해 배출 유로(미도시)로 배출되어 집액부(400)에 다시 수집될 수 있다. 이렇게 수집된 액체는 급액 펌프(420)에 의해 리사이클용 유로(440a)를 통해 강설 유닛(20)으로 공급되어 재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단차로(503), 경사로, 배출구(508), 및/또는 배출 유로는 액체를 집액부(400)로 수집하기 위한 "집액 유로"의 일 예시일 수 있다.
바닥 테이블(500)은 냉각 유닛(30)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바닥 테이블(500)의 하부에 인터쿨러용의 열교환기(미도시)를 설치하고, 냉매 배관(340)이 이 인터쿨러용의 열교환기를 거쳐서 펌프측 열교환기(300)에 접속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열교환기의 설치 장소는 한정적인 것이 아니고 케이싱(10)의 다른 위치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바닥 테이블(500)을 냉각시켜 케이싱(10)의 내부의 온도를 보다 낮출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싱(10)의 내부를 0~10도 사이의 소정 온도로 유지하여 케이싱(10)을 냉장고처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싱(10)의 내부는 냉기가 외부로 빠져 나가지 않도록 최대한 상부(12), 중간부(14) 및 하부(16)로 둘러싸서 외부와 차단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 테이블(500)에는 가열용의 히터(미도시)를 설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바닥 테이블(500)에 눈이 많이 쌓여 있는 상태에서 바닥 테이블(500)을 세척하는 등의 유지 보수가 필요한 경우, 히터를 가동하여 바닥 테이블(500)을 가열함으로써 눈이 녹는 속도를 보다 촉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쇼케이스 장치(1)는 강설 유닛(20)에 의해 눈이 내리는 것 같은 장면을 연출하는 한편, 소비자의 구매의욕을 보다 자극하기 위해 바닥 테이블(500)을 이동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닥 테이블(500)을 원형 테이블로 형성하고, 상술한 회전 드럼(240)을 회전시키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바닥 테이블(500)의 하부에 모터, 모터측 기어, 테이블측 기어 등을 설치한 후, 체인 등의 동력 전달 기구로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닥 테이블(500)을 회전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바닥 테이블(500)의 회전에 의해 바닥 테이블(500) 상에 적재된 음료나 음식물을 담은 요기가 쇼케이스 장치(1)를 둘러싸고 앉은 소비자의 눈앞을 이동하여 지나가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시각을 자극하여 구매의욕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다르게는, 케이싱(10)이 타원형 통이나 직사각형 통과 같이 좌우로 긴 통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바닥 테이블(500)을 무빙 테이블로 형성하고 왕복 구동 기구에 의해 케이싱(10)의 형상을 따라 좌우로 왕복 주행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빙 테이블은, 바퀴(예를 들면, 4개)가 달린 가동 대차(미도시) 상에 바닥 테이블(500)을 설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6)에는 가동 대차의 바퀴가 주행할 수 있는 직선형의 레일(미도시)(예를 들면, 2개의 레일)을 설치할 수 있다. 가동 대차의 양측에 와이어를 연결하고, 이 와이어를 모터의 회전에 의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각각 끌어당김으로써, 무빙 테이블의 구동 기구(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바닥 테이블(500)은 가동 대차 상에 탑재된 상태로 가동 대차와 함께 하부 프레임의 레일 상의 소정의 경로를 따라 왕복 주행할 수 있다. 또한, 바닥 테이블(500)을 컨베이어 벨트 상에 형성하여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주행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동 기구나 컨베이어 벨트의 구성은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 밖에, 쇼케이스 장치(1)는 눈이 휘날리는 장면을 보다 효과적으로 연출하기 위해 강설 유닛(20)에 인접하게 위치한 송풍 팬(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 팬은 모터(220)와 동축으로 형성되어 모터(220)의 출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다르게는, 송풍 팬을 구동하는 모터를 케이싱(10)의 상부(12)에 설치하고 강설 유닛(20)을 향해 바람을 송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쇼케이스 장치(1)는 케이싱(10)의 바닥에 복수의 바퀴(163)를 설치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케이싱(10)의 하부(16)에 복수의 바퀴(163)를 장착함으로써, 한 사람의 인력으로도 쉽게 밀거나 당겨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싱(10)의 상부(12), 중간부(14) 또는 하부(16)의 적절한 위치에 이동용의 손잡이(164)를 설치하여 밀거나 당기는 동작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쇼케이스 장치(1)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로만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각각의 구성요소나 방법, 각각의 적용예나 그 변형예 등은 각각 필요에 따라 적절히 상호 결합되거나 또는 별개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구성 및 그 균등범위를 포함하는 모든 변형예와 다른 실시형태를 포함하도록 광의적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쇼케이스 장치 10 케이싱
12 상부 14 중간부
16 하부 20 강설 유닛
30 냉각 유닛 40 급액 유닛
50 바닥 유닛 120 상부 프레임
122 제1 상부 프레임 124 제2 상부 프레임
126 중간 상부 프레임 128 지지 프레임
200 하우징 123 상부 커버
140 중간 프레임 142 투명 케이스
144 투명 도어 160 하부 프레임
162 하부 커버 163 바퀴
164 손잡이 200 하우징
202 일방의 측벽 202a, 204a 플랜지
204 타방의 측벽 206 후방벽
208 안내부 220 모터
222 출력축 224 모터측 기어
240 회전 드럼 242 드럼면
244 입력축 246 드럼측 기어
248 체인 260 트레이
262 바닥면 264 측벽
266 오버플로우 방지 유로 267 배출구
268 슬라이딩부 280 스크레이퍼
282 브라켓 284 블레이드
284a 에지면 286고정 나사
290 브러시 290a 브러시모
290b 회전축 300 펌프측 열교환기
320 냉각 펌프 340 냉매 배관
340a 냉매 배출 유로 340b 냉매 공급 유로
400 집액부 420 급액 펌프
440 급액 배관 440a 리사이클링 유로
500 바닥 테이블 502 중앙부
502 단차로 504 가장자리부
506 진열대 508 배출구
H 높이

Claims (15)

  1. 회전 드럼에 부착된 액체를 결빙시켜 스크레이퍼로 긁어서 눈으로서 강설시키는 강설 유닛과,
    상기 회전 드럼을 냉각시키는 냉각 유닛과,
    상기 강설 유닛에 상기 액체를 공급하는 급액 유닛과,
    상기 눈이 강설되는 바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강설 유닛은 상기 회전 드럼의 일부가 상기 액체에 닿거나 상기 액체 속에 잠긴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액체를 수용하는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강설 유닛의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에 의해 상기 안내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상기 회전 드럼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트레이의 후방에는, 상기 강설 유닛으로부터의 인출이 방지되도록 상기 강설 유닛의 후방에 형성된 결합홈 또는 결합 돌기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강설 유닛은 상기 회전 드럼과 접촉하도록 또는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탈착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상기 스크레이퍼와, 상기 스크레이퍼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크레이퍼에 부착된 상기 눈을 털어서 강설시키는 브러시를 포함하고,
    상기 강설 유닛을 지지하는 중공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강설 유닛에 상기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급액 유로 및 상기 강설 유닛을 냉각하기 위한 냉매 유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중공 프레임의 내부에 수납되는, 강설 기능을 구비한 쇼케이스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유닛은 상기 강설 유닛으로부터 강설된 상기 눈을 받아서 적재하는 바닥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 테이블은 상기 냉각 유닛 또는 다른 냉각 유닛에 의해 냉각되거나, 또는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강설 기능을 구비한 쇼케이스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테이블은 음료가 담긴 하나 이상의 용기를 진열할 수 있는 진열대와, 상기 눈이 녹아서 변환된 상기 액체를 상기 쇼케이스 장치의 하부에 설치된 집액부로 수집하기 위한 집액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진열대는 단차에 의해 상기 집액 유로보다 높게 위치되는, 강설 기능을 구비한 쇼케이스 장치.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유닛은 회전 가능한 원형 테이블, 또는 소정의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한 무빙 테이블 또는 컨베이어 테이블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강설 기능을 구비한 쇼케이스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는 상기 회전 드럼에 부착된 상기 결빙을 긁어서 강설시키는 에지면을 갖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의 에지면은 사선형, 곡선형, 파형, 또는 톱니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강설 기능을 구비한 쇼케이스 장치.
  9. 삭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 만큼 가장자리가 돌출된 배출구를 포함하는 오버플로우 방지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트레이에 공급된 상기 액체가 상기 트레이로부터 흘러 넘치기 전에 돌출된 상기 가장자리를 넘어서 상기 액체를 배출시키는 높이로 형성되는, 강설 기능을 구비한 쇼케이스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설 유닛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강설 기능을 구비한 쇼케이스 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설 유닛을 소정의 경로를 따라 왕복 이동 또는 왕복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구동 기구를 더 포함하는, 강설 기능을 구비한 쇼 케이스 장치.
KR1020200030343A 2020-03-11 2020-03-11 강설 기능을 구비한 쇼케이스 장치 KR102535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343A KR102535691B1 (ko) 2020-03-11 2020-03-11 강설 기능을 구비한 쇼케이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343A KR102535691B1 (ko) 2020-03-11 2020-03-11 강설 기능을 구비한 쇼케이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775A KR20210114775A (ko) 2021-09-24
KR102535691B1 true KR102535691B1 (ko) 2023-05-24

Family

ID=77914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343A KR102535691B1 (ko) 2020-03-11 2020-03-11 강설 기능을 구비한 쇼케이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56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4955A (ja) * 1998-11-18 2000-06-06 Toyo Eng Works Ltd 人工降雪装置
JP3188196B2 (ja) * 1996-09-18 2001-07-16 ホーユー株式会社 染毛剤または脱色剤用容器
JP2002023645A (ja) * 2000-07-12 2002-01-23 Wetmaster Co Ltd 降雪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169U (ja) * 1991-07-17 1993-02-02 タマパツク株式会社 シヨーケース
TW341645B (en) * 1996-07-01 1998-10-01 Seng Won Jong Apparatus for making scraped-ice
KR100271437B1 (ko) * 1997-07-29 2000-12-01 원종승 인공설경을구현하기위한실내장식장치
KR20190032785A (ko) * 2017-09-20 2019-03-28 주식회사 제이에스이엔지 드럼 제빙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8196B2 (ja) * 1996-09-18 2001-07-16 ホーユー株式会社 染毛剤または脱色剤用容器
JP2000154955A (ja) * 1998-11-18 2000-06-06 Toyo Eng Works Ltd 人工降雪装置
JP2002023645A (ja) * 2000-07-12 2002-01-23 Wetmaster Co Ltd 降雪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775A (ko) 2021-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0248B1 (ko) 아이스크림 기계
US20100075013A1 (en) Point of Sale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nd Dispensing Aerated Frozen Food Products
CN201079288Y (zh) 制作糊状饮料的装置
KR102535691B1 (ko) 강설 기능을 구비한 쇼케이스 장치
KR101114747B1 (ko) 회전식 냉/온장용 진열장치
EP2078180A1 (en) Appliance for cooling a liquid fit for human consumption
KR101515604B1 (ko) 눈꽃얼음 제조장치
CN103388946B (zh) 一种提取冰晶的设备
CN202074764U (zh) 手动制冰机和具有它的冰箱
US11092372B2 (en) Storage and distribution unit for compressed ice
KR101552059B1 (ko) 가루얼음 제조장치
JP2008157619A (ja) 製氷装置、冷凍冷蔵庫
US9233829B2 (en) Apparatus for dispensing refrigerated products
WO2017056015A1 (en) Apparatus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food products
US20100058773A1 (en) Point of sale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nd dispensing aerated frozen food products
US20130205820A1 (en) Chilling and ice making system and methods
CN112503840A (zh) 一种冻库用的自动除霜装置
CN218737027U (zh) 一种滚筒式冰淇淋制造设备
KR102317462B1 (ko) 얼음 제조장치
CN218515611U (zh) 一种烤红薯机
CN215124002U (zh) 一种雪糕生产设备
KR101610642B1 (ko) 열전모듈이 적용된 제빙기
EP0876765A2 (en) Machine for producing cold beverages, in particular crushed ice drinks and sherbets
CN218630902U (zh) 一种冷冻型自动售货机
JP2006125735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