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5317B1 - 안면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안면 보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5317B1
KR102535317B1 KR1020210053110A KR20210053110A KR102535317B1 KR 102535317 B1 KR102535317 B1 KR 102535317B1 KR 1020210053110 A KR1020210053110 A KR 1020210053110A KR 20210053110 A KR20210053110 A KR 20210053110A KR 102535317 B1 KR102535317 B1 KR 102535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opening
present
clo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6172A (ko
Inventor
허문영
허성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토스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토스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토스윙
Priority to KR1020210053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5317B1/ko
Priority to DE102022203902.5A priority patent/DE102022203902A1/de
Priority to US17/727,164 priority patent/US20220338591A1/en
Priority to FR2203744A priority patent/FR3122067A1/fr
Publication of KR20220146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6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0Face guards, e.g. for ice hockey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5Visors with full face protection, e.g. for industrial safety appl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03Helmet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1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6Visors with sunscreens, e.g. tinted or dual vis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6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 A61F9/065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use of particular optical filters
    • A61F9/067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use of particular optical filters with variable transmis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방을 향해 개구 영역이 형성되고, 사용자가 착용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본체부와, 본체부에 형성되는 개구 영역을 커버하며, 본체부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쉴드부 및 본체부에 설치되고, 본체부에 삽입되는 쉴드부의 삽입 경로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며 작업 시 외부 이물질 등으로부터 사용자의 안면을 보호하고,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안면 보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면 보호 장치{Facial protection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안면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역 작업 시 외부 환경에 존재하는 위험 물질 또는 아크 용접과 같은 용접 공정 시 발생하는 빛이나 고열 등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해 안면 보호 장치를 착용한다.
안면 보호 장치는 작업자의 눈과 그 주변을 커버하거나 작업자의 두부(頭部)를 커버하는 형상 등과 같이 그 모양과 구조가 매우 다양하다.
종래 사용자의 눈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보안면의 경우, 외부의 이물질과의 충돌로 인하여 파손되는 경우가 있었고, 본체에 설치되는 보안면을 해체하는데 구조적인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의 두부를 커버하는 부분이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교체가 불가하여 방역, 용접 등 여러 작업 시 작업자의 땀, 작업 현장에서의 먼지, 위험 물질 등이 안면 보호 장치의 내부에 존재하는 상태로 있게 되며, 작업 시 작업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작업 시 외부 이물질 등으로부터 사용자의 안면을 보호하고,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안면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방을 향해 개구 영역이 형성되고, 사용자가 착용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는 상기 개구 영역을 커버하며, 상기 본체부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쉴드부; 및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에 삽입되는 상기 쉴드부의 삽입 경로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보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쉴드부는 투명도를 달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쉴드부는 차광층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두부를 감싸도록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커버프레임부 및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상기 커버프레임부의 일단부에 대향되는 타단부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후두부의 외측에 위치가능한 커버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용접용 안면 보호 장치는 본체부와 쉴드부가 일체 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간단한 동작을 통하여 쉴드부를 본체부에 삽입 또는 이탈시킬 수 있어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부 상에서 이동가능한 개폐부가 쉴드부, 구체적으로 걸림부에 돌출 형성되는 절곡부의 이동 경로를 개폐함으로 인하여 용접, 방역 등의 작업 중에 쉴드부가 본체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쉴드부가 투명 재질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하면서 외부 물질이 예기치 않게 사용자의 안면을 향해 다가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이러한 외부 물질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쉴드부가 차광층을 구비할 수 있어, 용접 작업을 하는 경우에 용접 작업에서 발생하는 강한 빛을 차단시켜 사용자의 시력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 보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 및 쉴드부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Ⅰ-Ⅰ`선을 기준으로 단면 처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도 3의 A부분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개폐부가 쉴드부의 이동 경로를 개폐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부분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Ⅱ-Ⅱ` 선을 기준으로 단면 처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면 보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들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내용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들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유닛,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유닛,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연결하다 또는 결합하다 등의 용어는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반드시 두 부재의 직접적 및/또는 고정적 연결 또는 결합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두 부재 사이에 다른 부재가 개재된 것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이하의 실시예는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 보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 및 쉴드부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Ⅰ-Ⅰ`선을 기준으로 단면 처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도 3의 A부분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개폐부가 쉴드부의 이동 경로를 개폐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부분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Ⅱ-Ⅱ`선을 기준으로 단면 처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 보호 장치(1)는 본체부(100), 쉴드부(200), 개폐부(300), 커버부(400), 주입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는 전방(도 1 기준 양의 x축 방향)을 향해 개구 영역이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착용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는 사용자의 안면을 마주보는 일면이 구비되고, 상기 일면 상에서 사용자의 안면과 마주보는 미리 설정되는 넓이가 개구되며 개구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의 일면 상에 개구되는 상기 영역은 뒤에 설명할 쉴드부(20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쉴드부(200)가 본체부(100)에 형성되는 개구 영역을 커버함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 보호 장치(1)를 착용 후 용접, 방역 등의 작업을 할 때 외부로부터 사용자의 안면이 위치하는 안면 보호 장치(1)의 내부 영역으로 이물질, 위험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는 전방측(도 2 기준)을 기준으로 형성되는 개구 영역의 둘레를 따라 소정 깊이를 가지는 삽입부(105)가 홈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105)에는 쉴드부(200)가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105)에 쉴드부(200)가 둘레를 따라 삽입되고, 삽입부(105)에 삽입되는 쉴드부(200)의 외면이 삽입부(105)의 내면과 밀착되며 접촉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쉴드부(200)와 본체부(100) 사이에 형성되는 틈으로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위험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105)로 인하여 본체부(100)에 형성되는 개구 영역을 쉴드부(200)가 커버함에 있어, 사용자에게 쉴드부(200)의 본체부(100)로의 삽입 경로를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105)에는 쉴드부(200) 전 영역이 삽입될 수 있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본체부(100)에 형성되는 개구 영역을 완전 개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는 쉴드부(200)와 마주보는 전방측 둘레를 따라 삽입부(105)가 형성되고, 이에 대향되는 후방측(도 2 기준)에는 미리 설정되는 구간에서 둘레를 따라 커버삽입부(도면부호 미설정) 가 소정 깊이를 가지며 홈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삽입부에는 뒤에 설명할 커버프레임부(410), 구체적으로 커버프레임본체(411)가 삽입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삽입부의 내면 중 일면에는 안착부(103)가 형성될 수 있고, 커버프레임본체(411) 상에서 안착부(103)가 형성되는 본체부(100), 구체적으로 커버삽입부의 일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412)가 삽입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 구체적으로 커버삽입부에 형성되는 안착부(103)는 본체부(100)의 일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커버삽입부에 커버프레임부(410), 구체적으로 커버프레임본체(411)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돌기부(412)가 안착부(103)에 걸쳐지며 안착되고, 이후 사용자가 커버프레임부(410), 구체적으로 커버프레임본체(411)를 본체부(100)로부터 이탈시키고자하는 경우에는 돌기부(412)가 삽입되는 안착부(103)의 일측(도 3 기준 상측)에 대향되는 타측(도 3 기준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안착부(103)의 내측에 배치되는 돌기부(412)를 눌러 커버프레임부(410), 구체적으로 커버프레임본체(411)를 본체부(100)에 형성되는 커버삽입부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에는 뒤에 설명할 개폐부(300), 구체적으로 개폐본체(310)에 형성되는 통과부(311)가 관통가능하도록 통과홀부(10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개폐본체(310)에 형성되는 통과부(311)는 본체부(100)에 형성되는 통과홀부(104)를 통과하여 본체부(100)의 내면에 접촉가능하며, 구체적으로 통과부(311)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후크부(312)가 걸쳐짐으로 인하여 본체부(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체부(100) 상에서 개폐부(300), 구체적으로 통과부(311)가 형성되는 개폐본체(310)가 미리 설정되는 방향(도 4 기준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본체(310)가 미리 설정되는 방향(도 4 기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쉴드부(200)에 형성되는 걸림부(210) 및 걸림부(210)에 돌출 형성되는 절곡부(211)의 이동 경로가 개폐될 수 있고, 상기 이동 경로가 개방되면 사용자는 쉴드부(200)를 본체부(100)로부터 연결 해제시키며 제거할 수 있다.
도 2, 도 4를 참조하면, 쉴드부(200)를 본체부(100)에 연결시키는 경우에, 개폐본체(310)를 제1방향(도 5 기준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쉴드부(200) 구체적으로 걸림부(210) 및 걸림부(210)에 형성되는 절곡부(211)의 이동 경로가 개방되면서 쉴드부(200)가 본체부(100)에 형성되는 삽입부(105)에 삽입될 수 있고, 다시 개폐본체(310)를 제2방향(도 5 기준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걸림부(210)에 형성되는 절곡부(211)의 이동 경로가 폐쇄되면서 쉴드부(200)가 본체부(1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의 내면은 개폐본체(310)에 형성되는 스토퍼부(315)와 접촉이 가능하고, 스토퍼부(315)로 인하여 개폐본체(310)의 이동 경로를 제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과홀부(104)는 개폐본체(310)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통과부(311)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에는 커버부(400), 구체적으로 커버프레임부(41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프레임부(410)는 제1축(AX1)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커버부(400), 구체적으로 커버프레임부(410)를 본체부(100)에 대하여 상대 회전시킴으로써 본체부(100)의 후방 측에 홈부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커버삽입부에서 커버프레임부(410)를 추출하며 본체부(100)와 커버프레임부(410)와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에 형성되는 개구 영역에는 둘레를 따라 삽입부(105)가 형성되는데, 개구 영역 상에서 미리 설정되는 구간에서 외측 방향으로 이탈방지부(107)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이탈방지부(107)는 본체부(100)에 형성되는 개구 영역의 중심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삽입부(105)에 삽입되는 쉴드부(200)가 삽입부(105)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부(107)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고, 본체부(100)에 형성되는 개구 영역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지점에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부(107)는 개구 영역이 형성되는 본체부(100)의 내측 둘레를 따라 개구 영역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쉴드부(200)가 본체부(100)에 형성되는 삽입부(105)에 삽입된 이후에 이탈방지부(107)는 쉴드부(200)의 소정 영역을 커버하게 되고, 쉴드부(200)가 본체부(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에는 주입부(500)가 연결될 수 있다.
주입부(500)는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고, 외부 장치로부터 신선한 공기, 산소 등을 공급받아 본체부(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부(500)가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 산소 등을 전달함으로 인하여 용접, 방역 등의 작업 시 사용자가 원활하게 호흡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2, 도 3,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쉴드부(200)는 본체부(100)에 형성되는 개구 영역을 커버하는 것으로, 본체부(100)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쉴드부(200)는 투명도를 달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쉴드부(200)를 통하여 사용자는 안면 보호 장치(1)의 전방에 대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쉴드부(200)는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미리 설정되는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전방 시야를 확보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 보호 장치(1)를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상황에 외부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이 사용자의 안면을 향해 다가오며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쉴드부(200)는 차광층(도면부호 미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차광층으로 인하여 쉴드부(200)를 통해 유입되는 광원을 차단할 수 있고, 용접 작업 시 발생하는 광원으로부터 사용자의 시력을 보호하고, 상기 광원으로 인하여 작업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광층은 차광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차광 용액으로 코팅되며 형성되는 등 외부에서 발생하는 광원이 안면 보호 장치(1)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바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쉴드부(200)는, 본체부(100)에서 전방을 향해 형성되는 개구 영역 둘레를 따라 홈부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부(105)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쉴드부(200)가 본체부(100)의 개구 영역 둘레를 따라 미리 설정되는 깊이를 가지며 형성되는 삽입부(105)에 삽입되며, 본체부(100), 구체적으로 삽입부(105)의 내면과 쉴드부(200)의 외면이 밀착되며 접촉됨으로 인하여 본체부(100)와 쉴드부(2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에 형성되는 개구 영역 둘레를 따라 소정 깊이를 가지는 삽입부(105)로 인하여 사용자는 쉴드부(200)의 본체부(100)로의 연결 경로를 안정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고, 용이하게 쉴드부(200)를 본체부(100)에 착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사용자는 쉴드부(200)를 본체부(100)로부터 쉽게 연결 또는 연결 해제할 수 있으며, 외부 물질 등으로부터 오염, 손상된 쉴드부(20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쉴드부(200)의 일측에는 걸림부(21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부(210)는 쉴드부(200)의 측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도 5를 참조하면, 걸림부(210)가 복수 개가 구비되며 쉴드부(20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쉴드부(200)의 일측에서 걸림부(210)가 단일로 돌출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걸림부(210)가 한 쌍이 구비되며 쉴드부(200)의 양측에 배치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210)는 쉴드부(20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고, 미리 설정되는 구간에서 절곡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부(211)는 쉴드부(200)의 일측(도 5 기준 우측)에서 제1방향(도 5 기준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데 미리 설정되는 구간에서 제2방향(도 5 기준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절곡되며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절곡부(211)와 걸림부(210)가 돌출 형성되지 않는 쉴드부(200)의 일측(도 5 기준 우측)은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절곡부(211)와 쉴드부(200)의 상기 일측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뒤에 설명할 개폐본체(310), 구체적으로 통과부(311)가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통과부(311)가 절곡부(211)와 쉴드부(200)의 일측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하는 것은, 쉴드부(200)의 본체부(100)로부터의 삽입 또는 추출 경로 상에 통과부(311)가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로 인하여 쉴드부(200)가 본체부(100)에 형성되는 삽입부(105)에 삽입된 상태에서 개폐부(300), 구체적으로 개폐본체(310)에 형성되는 통과부(311)가 절곡부(211)와 쉴드부(200)의 일측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하게 되면, 쉴드부(200)는 본체부(100)에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될 수 있고, 쉴드부(200)가 본체부(100)에 형성되는 삽입부(105)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본체부(100)에 형성되는 개구 영역 둘레를 따라 미리 설정되는 구간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는 이탈방지부(107)로 인하여 본체부(100)에 삽입되는 쉴드부(200)가 안면 보호 장치(1)의 전방 측을 향해 이탈하는 것을 2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300), 구체적으로 개폐본체(310)를 본체부(100) 상에서 미리 설정되는 방향(도 5 기준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통과부(311)가 쉴드부(200)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210), 구체적으로 절곡부(211)와 쉴드부(200)의 일측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서 이탈되고, 쉴드부(200)를 본체부(100)에 형성되는 삽입부(105)로부터 이탈시키며 본체부(100)와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300)를 미리 설정되는 방향(도 5 기준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시킴에 따라 쉴드부(200)의 삽입 경로 상에 개폐부(300), 구체적으로 개폐본체(310)에 형성되는 통과부(31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과부(311)의 위치 변경에 따라 쉴드부(200)의 본체부(100)로의 삽입 또는 이탈 경로가 개폐될 수 있으며, 쉴드부(200)를 본체부(100)에 쉽게 착탈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쉴드부(200)의 양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걸림부(210)가 돌출 형성되고, 걸림부(210)의 일단부가 미리 설정되는 구간에서 절곡되며 절곡부(211)가 형성되며, 걸림부(210)의 일단부인 절곡부(211)와 쉴드부(200)의 측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쉴드부(200)의 이동 경로 상에 통과부(311)가 배치될 수 있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쉴드부(200)를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통과부(311)가 배치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개폐부(300)는 본체부(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본체부(100)에 삽입되는 쉴드부(200)의 삽입 경로를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300)는 개폐본체(310)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본체(310)는 일측이 본체부(100)의 외측에 배치되며, 본체부(100) 상에서 미리 설정되는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도 1, 도 2, 도 4,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본체(310)는 상하 방향(도 4 기준)으로 이동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쉴드부(200)의 본체부(100)로의 삽입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30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고, 본체부(10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은 도 1에서 I-I`선을 기준으로 절단하여 좌측(도 1 기준)에 해당하는 본체부(100)의 내면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의 양측에 배치되는 각 개폐부(300)의 구성, 작동원리 및 효과는 동일하므로 도 3 내지 도 5를 기준으로 하여 본체부(10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좌측(도 1 기준)에 위치하는 개폐부(300)의 구성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300)는 개폐본체(310)를 포함하고, 본체부(100)를 마주보는 개폐본체(310)의 일면 상에는 본체부(100) 측 방향으로 통과부(31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본체(310)에 돌출 형성되는 통과부(311)는 본체부(100)를 통과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에는 통과부(311)가 통과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 중심축(도 4 기준 상하 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되는 구간만큼 통과홀부(104)가 관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체부(100)에 통과홀부(104)가 형성됨으로 인하여 개폐본체(310)에 형성되는 통과부(311)가 통과가능하고, 통과홀부(104)가 통과부(311)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과부(311)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고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개폐본체(310)에 통과부(311)가 복수 개 형성됨으로 인하여 단일로 형성되는 것에 비하여 본체부(100) 상에서 이동하는 개폐본체(310)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가 개폐부(300)를 조작함에 있어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본체(310) 상에서 돌출 형성되는 통과부(311)의 외측단부에는 연장 방향을 달리하여 후크부(31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부(312)는 통과부(311)의 연장 형성 방향과 소정 각도를 이루며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복수 개의 통과부(311)의 각 외측 단부에서 형성되는 각 후크부(312)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부(312)는 통과홀부(104)가 형성되는 본체부(100)에 걸쳐지며 본체부(100)와 면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부(312)가 본체부(100)에 면접촉됨으로 인하여 개폐본체(310)가 본체부(1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본체부(100) 상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과부(311)는 쉴드부(200), 구체적으로 걸림부(210)에 형성되는 절곡부(211)의 이동 경로(도 5 기준 좌우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의 좌측 도면을 참조하면, 통과부(311)가 절곡부(211)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통과부(311)로 인하여 쉴드부(200), 구체적으로 걸림부(210)에 돌출 형성되는 절곡부(211)의 이동이 차단되며, 쉴드부(200)가 본체부(100)에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의 우측 도면을 참조하면, 통과부(311)가 걸림부(210)에 돌출 형성되는 절곡부(211)의 이동 경로 상에서 이격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사용자 등 외력에 의해 개폐본체(310), 구체적으로 통과부(311)가 미리 설정되는 방향(도 5 기준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로 인하여 쉴드부(200)는 본체부(100)로부터 이탈될 수 있으며, 쉴드부(200)를 본체부(100)에서 이탈시킨 다음 세척, 교체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의 내면은 개폐본체(310)에 형성되는 스토퍼부(315)와 접촉이 가능하고, 스토퍼부(315)로 인하여 개폐본체(310)의 이동 경로를 제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본체(310)에는 외측 방향으로 접촉부(316)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00)를 마주보고 통과부(311)가 돌출 형성되는 개페본체의 일면에 대향되는 타면 상에 외측 방향으로 접촉부(316)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본체(310)의 외면에 접촉부(316)가 돌출 형성됨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개폐본체(31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개폐본체(310)에 손을 접촉시키는 경우에 사용자의 손과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본체부(100) 상에서 개폐본체(31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하여 개폐본체(310)의 상기 타면 상에 접촉부(316)가 형성되지 않고 편평하게 형성되는 것에 비하여 접촉으로 인한 개폐본체(310)의 이동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개폐부(300)는 개폐본체(310)에 형성되는 통과부(311)가 쉴드부(200), 구체적으로 걸림부(210)에 형성되는 절곡부(211)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어, 절곡부(211)의 이동 경로를 개폐하여 쉴드부(200)가 본체부(100)에 삽입 또는 탈거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쉴드부(200)가 본체부(100)에 삽입 후 개폐부(3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사용자가 작업 중 쉴드부(200)를 본체부(100) 상에서 완전히 이탈시키지 않고도 미리 설정되는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본체부(100)에 형성되는 개구 영역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3, 도 6,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400)는 사용자의 두부를 감싸도록 본체부(100)에 연결되는 것으로, 커버프레임부(410), 커버본체(4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도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프레임부(410)는 본체부(100)에 연결되는 것으로, 본체부(1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프레임부(410)의 양측부는 본체부(100)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미리 설정되는 회전 중심축(AX1)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도 1,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프레임부(410)는 일측(도 2 기준 전방측)이 본체부(100)에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대향되는 타측(도 2 기준 후방측)에는 뒤에 설명할 커버본체(430)가 연결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도 6,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프레임부(410)는 본체부(100)에 미리 설정되는 영역이 삽입되며 연결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커버프레임부(410)에는 커버프레임본체(411)가 구비될 수 있고, 커버프레임본체(411)는 본체부(100)의 후방측 둘레를 따라 홈부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커버삽입부(도면부호 미설정)에 삽입될 수 있다.
커버삽입부는 커버부(400), 구체적으로 커버프레임부(410)를 마주보는 본체부(100)의 후방측(도 3 기준 우측) 단부의 둘레를 따라 홈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에 커버삽입부가 형성되고, 커버프레임부(410), 구체적으로 커버프레임본체(411)가 커버삽입부에 삽입됨으로 인하여 커버부(400)가 미리 설정되는 경로를 따라 본체부(100)에 삽입되며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프레임본체(411)의 외면과 본체부(100)에 형성되는 커버삽입부의 내면이 밀착되며 접촉되도록 하여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 본체부(100)와 커버부(400)로 둘러싸이는 공간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6,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프레임부(410), 구체적으로 커버프레임본체(411)의 일면(도 7 기준 하면)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기부(41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에는 커버프레임본체(411)에 형성되는 돌기부(412)가 삽입되도록 소정 깊이를 가지는 안착부(103)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기부(412)는 커버프레임본체(411)의 일면 상에서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고, 복수 개의 돌기부(412)는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돌기부(412)에 대응되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프레임본체(411)에 형성되는 안착부(103)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103)는 본체부(100)의 일면, 구체적으로 커버삽입부의 내주면 중에 돌기부(412)가 돌출 형성되는 커버프레임본체(411)의 일면과 마주보는 일면 상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일면을 관통하며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커버프레임부(410), 구체적으로 커버프레임본체(411)를 본체부(100)로부터 연결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본체부(100), 구체적으로 커버삽입부에 관통 형성되는 안착부(103)에 손을 집어넣어 안착부(103)의 내측에 배치되는 돌기부(412)를 밀어 커버프레임본체(411)와 본체부(100) 간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프레임본체(411) 상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412)에는 경사면(412a)이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412)에 경사면(412a)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커버프레임부(410), 구체적으로 커버프레임본체(411)가 본체부(100)에 형성되는 커버삽입부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2, 도 3, 도 6,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프레임부(410) 상에는 둘레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단차부(41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커버프레임부(410) 상에 단차부(413)가 연장 형성됨으로 인하여 본체부(100)에 형성되는 커버삽입부에 커버프레임부(410), 구체적으로 커버프레임본체(411)가 삽입될 때 미리 설정되는 구간만큼 삽입되면 커버프레임부(410) 상에 돌출 형성되는 단차부(413)가 본체부(100)에 접촉하며 커버프레임본체(411)의 삽입 구간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본체(430)는 본체부(100)에 연결되는 커버프레임부(410)의 일단부에 대향되는 타단부에 연결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후두부의 외측에 위치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본체(430)는 면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는 커버본체(430)의 내측으로 머리를 집어넣어 안면 보호 장치(1)를 착용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커버프레임부(410)에 연결되는 영역을 제외한 커버본체(430)의 미리 설정되는 영역에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조절부(도면 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길이조절부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길이조절부를 벌려 사용자의 머리를 커버본체(430)의 내부에 집어넣을 수 있고,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길이조절부가 설치되는 커버본체(430)의 상기 영역이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며 외부에 존재하는 위험 물질, 이물질과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본체(430)는 커버프레임부(41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접착, 부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부(500)는 본체부(100)에 연결되는 것으로,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고, 외부 장치로부터 신선한 공기, 산소 등을 공급받아 본체부(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부(500)가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 산소 등을 전달함으로 인하여 용접, 방역 등의 작업 시 사용자가 원활하게 호흡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면 보호 장치의 구성, 작동원리 및 효과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면 보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면 보호 장치(1`)는 본체부(100), 쉴드부(200), 개폐부(300), 커버부(400), 주입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쉴드부(200)는 본체부(100)에 형성되는 개구 영역을 커버하는 것으로, 본체부(100)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쉴드부(200)는 외측 단부 둘레를 따라 미리 설정되는 영역에 파지부(23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파지부(230)는 쉴드부(200)가 본체부(1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에 노출되는 것으로, 홀부(231)가 구비되며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쉴드부(200)에 파지부(230)가 형성됨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본체부(100) 상에서 개폐부(300)를 이동시켜 쉴드부(200), 구체적으로 절곡부(211)의 이동 경로를 개폐하고, 사용자가 파지부(230)를 파지하여 외측 방향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쉴드부(200)를 본체부(100)에서 쉽게 이탈시키며 연결 해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면 보호 장치(1`)는 쉴드부(20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미리 설정되는 영역에서 파지부(230)가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 보호 장치의 본체부(100), 개폐부(300), 커버부(400), 주입부(500)의 구성, 작동원리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이와 중복되는 범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면 보호 장치는, 본체부와 쉴드부가 일체 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간단한 동작을 통하여 쉴드부를 본체부에 삽입 또는 이탈시킬 수 있어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부 상에서 이동가능한 개폐부가 쉴드부, 구체적으로 걸림부에 돌출 형성되는 절곡부의 이동 경로를 개폐함으로 인하여 용접, 방역 등의 작업 중에 쉴드부가 본체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쉴드부가 투명 재질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하면서 외부 물질이 예기치 않게 사용자의 안면을 향해 다가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이러한 외부 물질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쉴드부가 차광층을 구비할 수 있어, 용접 작업을 하는 경우에 용접 작업에서 발생하는 강한 빛을 차단시켜 사용자의 시력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쉴드부가 연결되는 본체부 상에서 둘레를 따라 삽입부가 형성됨으로 인하여 쉴드부의 삽입 경로를 안내할 수 있고, 소정 깊이를 가지며 형성되는 삽입부에 쉴드부가 삽입되며 위치 고정됨으로 인하여 쉴드부와 본체부 간 연결 영역을 통해 외부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에 형성되는 돌기부가 본체부에 형성되는 안착부에 삽입, 안착됨으로 인하여 본체부와 커버부 간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돌기부를 누르는 등의 간단한 동작을 통하여 커버부를 본체부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1`: 안면 보호 장치 100: 본체부
103: 안착부 104: 통과홀부
105: 삽입부 107: 이탈방지부
200: 쉴드부 210: 걸림부
211: 절곡부 230: 파지부
231: 홀부 300: 개폐부
310: 개폐본체 311: 통과부
312: 후크부 315: 스토퍼부
316: 접촉부 400: 커버부
410: 커버프레임부 411: 커버프레임본체
412: 돌기부 412a: 경사면
413: 단차부 430: 커버본체
500: 주입부

Claims (6)

  1. 전방을 향해 개구 영역이 형성되고, 사용자가 착용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는 상기 개구 영역을 커버하며, 상기 본체부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쉴드부; 및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에 삽입되는 상기 쉴드부의 삽입 경로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본체부 상에서 미리 설정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개폐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본체에는 상기 본체부를 관통하며 상기 본체부에 접촉가능한 통과부가 형성되며,
    상기 통과부의 일단부는 상기 본체부를 통과하여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걸쳐지도록 연장 방향을 달리하여 후크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보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부는 투명도를 달리하여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보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부는 차광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보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보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두부를 감싸도록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보호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커버프레임부 및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상기 커버프레임부의 일단부에 대향되는 타단부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후두부의 외측에 위치가능한 커버본체;를 포함하는, 안면 보호 장치.
KR1020210053110A 2021-04-23 2021-04-23 안면 보호 장치 KR102535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110A KR102535317B1 (ko) 2021-04-23 2021-04-23 안면 보호 장치
DE102022203902.5A DE102022203902A1 (de) 2021-04-23 2022-04-21 Gesichtsschutzvorrichtung
US17/727,164 US20220338591A1 (en) 2021-04-23 2022-04-22 Facial protection apparatus
FR2203744A FR3122067A1 (fr) 2021-04-23 2022-04-22 Appareil de protection facia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110A KR102535317B1 (ko) 2021-04-23 2021-04-23 안면 보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172A KR20220146172A (ko) 2022-11-01
KR102535317B1 true KR102535317B1 (ko) 2023-05-26

Family

ID=83508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110A KR102535317B1 (ko) 2021-04-23 2021-04-23 안면 보호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338591A1 (ko)
KR (1) KR102535317B1 (ko)
DE (1) DE102022203902A1 (ko)
FR (1) FR3122067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597Y1 (ko) * 2003-08-06 2003-11-14 박용진 차광기능과 보안기능이 겸비된 헬멧.
KR200405938Y1 (ko) * 2005-10-07 2006-01-11 오토스테크 주식회사 전면개방형 용접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2033A (en) * 1998-03-10 2000-08-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ttachment system for replacement helmet respirator lens
US6035451A (en) * 1998-03-10 2000-03-1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rotective helmet system with cam for attaching first and second face shields thereto
US7003802B2 (en) * 2001-04-23 2006-02-28 Jt Usa, Llc Face mask with detachable eye shield
CA2496868A1 (en) * 2005-02-10 2006-08-10 Npg Paintball Solutions Inc. Protective mask with removable lens
US7681257B1 (en) * 2005-11-29 2010-03-23 Jt Sports, Llc Rotating lens locking device
WO2009099257A1 (en) * 2008-02-04 2009-08-13 Won Su Seo Welding mask
US8056152B2 (en) * 2008-04-03 2011-11-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ivot assembly for headgear
US8166578B2 (en) * 2009-03-10 2012-05-01 Kingman International Corporation Goggle with quick release double locking lens
US20160183623A1 (en) * 2010-06-25 2016-06-30 Steven J. Didier Protective full face helmet
US10757995B2 (en) * 2014-03-07 2020-09-01 Bell Sports, Inc. Multi-body helmet construction with shield mounting
US11033433B2 (en) * 2014-06-16 2021-06-15 Illinois Tool Works Inc Removable shield for protective headwear
US9814622B2 (en) * 2015-06-12 2017-11-14 Illinois Tool Works Inc. Bump cap for face protection members
US10226383B2 (en) * 2016-10-20 2019-03-12 Esab Ab Welding helmet with removable neck guard
GB201715417D0 (en) * 2017-09-22 2017-11-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 Welding helmet
KR102046558B1 (ko) * 2018-03-09 2019-11-21 주식회사 오토스윙 용접 보호 시스템
US11278077B2 (en) * 2018-08-31 2022-03-22 Illinois Tool 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head protection and providing air flow
KR20210009164A (ko) * 2019-07-16 2021-01-26 주식회사 오토스윙 용접용 보호 장치
KR102404688B1 (ko) * 2020-02-27 2022-06-07 주식회사 오토스윙 용접용 보호 장치
US20230120007A1 (en) * 2020-03-13 2023-04-20 Pabban Development, Inc. Personal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US11992070B2 (en) * 2020-07-30 2024-05-28 Illinois Tool Works Inc. Face shield systems for securing removable face shield lens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597Y1 (ko) * 2003-08-06 2003-11-14 박용진 차광기능과 보안기능이 겸비된 헬멧.
KR200405938Y1 (ko) * 2005-10-07 2006-01-11 오토스테크 주식회사 전면개방형 용접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172A (ko) 2022-11-01
US20220338591A1 (en) 2022-10-27
DE102022203902A1 (de) 2022-10-27
FR3122067A1 (fr) 2022-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38575A1 (en) Mask for surgery
KR101950979B1 (ko) 보호구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헤드밴드
TW201701787A (zh) 防護頭盔、系統及方法
KR102587766B1 (ko)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헬멧
KR101116947B1 (ko) 이중 쉴드가 구비된 안면보호구
KR101104449B1 (ko) 쿨링 용접 헬멧
JP2021516591A (ja) ゴーグルとフェイスマスクとの組み合わせ
KR102641350B1 (ko)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헬멧
JP2013253344A (ja) 防塵フード
KR102535317B1 (ko) 안면 보호 장치
JP2010265566A (ja) フード
JPH0617303A (ja) 保護ヘルメット
KR101923541B1 (ko) 안면 보호 마스크용 차광판
JP6230745B1 (ja) 作業用頭巾
JP3230024U (ja) フェイスシールド
KR102170501B1 (ko) 위생 마스크
KR101986257B1 (ko) 헤드밴드용 지지패드
JP2726427B2 (ja) 防塵用呼吸保護具
KR20220022352A (ko) 마스크 형상 유지를 위한 마스크 지지프레임
JP3207267U (ja) 透明シールド付き防塵装着具
JP4514909B2 (ja) 送気マスク用フェイスシールド
JP3233958U (ja) 作業用頭巾
WO2022080047A1 (ja) フェイスシールド
KR102337391B1 (ko) 마스크 착용 가능한 안전모
CN213646401U (zh) 多功能焊接组合护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