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1350B1 -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헬멧 - Google Patents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1350B1
KR102641350B1 KR1020190042427A KR20190042427A KR102641350B1 KR 102641350 B1 KR102641350 B1 KR 102641350B1 KR 1020190042427 A KR1020190042427 A KR 1020190042427A KR 20190042427 A KR20190042427 A KR 20190042427A KR 102641350 B1 KR102641350 B1 KR 102641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hin
fixed
shield
magnetic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0051A (ko
Inventor
좌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도스포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도스포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도스포츠
Priority to KR1020190042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1350B1/ko
Priority to CN201911229464.9A priority patent/CN111264968B/zh
Publication of KR20200120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8Chin straps or similar reten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는, 사용자의 머리가 삽입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헬멧 본체부와 사용자의 턱을 보호할 수 있는 위치인 보호 위치에서 사용자의 턱을 보호할 수 없는 위치인 개방 위치로 위치 이동되거나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보호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는 턱 보호대를 서로 연결시키는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턱 보호대가 연결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며 상기 턱 보호대가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턱 보호대와 함께 위치 이동되는 이동 베이스부; 상기 헬멧 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이동 베이스부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 베이스부의 위치 이동의 기준이 되는 고정 베이스부; 상기 고정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고정 자력부; 및 상기 고정 자력부의 자력과 상호 작용되어, 상기 이동 베이스부가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이동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이동 자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헬멧 {CHIN GUARD POSITIONING ASSEMBLY AND HELME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헬멧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턱을 보호할 수 있는 턱 보호대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헬멧과 관련된 것이다.
오토바이용 헬멧은 오토바이에 탑승하는 사용자의 머리 및 안면을 보호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러한 오토바이용 헬멧은 목적, 활용 용도, 사용자의 기호 등 여러 가지 요인들이 고려될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로서 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 종류에 대해서 간단하게 나열하자면, 풀 페이스 헬멧 (Full-Face Halmet)은 가장 기본적인 헬멧으로서 탑승자의 머리와 안면 전체를 감싸는 형태의 헬멧이다. 하프 페이스 헬멧 (Half-Face Halmet)은 가볍게 착용되는 헬멧으로서 머리 부분만 감싸는 형태의 헬멧이다. 오픈 페이스 헬멧(Open-Face Halmet)은 풀 페이스 헬멧과 하프 페이스 헬멧의 중간형으로, 머리와 안면 일부를 감싸 턱 부분이 노출되는 형태의 헬멧이다. 시스템 헬멧(System Halmet)은 머리와 안면 전체를 감싸는 점은 풀 페이스 헬멧과 동일하지만, 턱을 감싸는 부분을 개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는 헬멧이다.
최근에 안전성과 편리성을 모두 추구하는 경향으로 인해 시스템 헬멧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어 있다. 각 각의 제품들은 상이한 턱 보호대를 위치 이동시키는 메커니즘을 가지어 서로 차별성을 두고 있다. 이 중에서 하나의 제품인 기존의 시스템 헬멧의 턱 보호대 개폐 장치(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659171호, 2006.12.12 등록)는 랙-피니언을 활용한 메커니즘으로 구현되는 장치로서, 제작이 어렵고, 오래 사용할 경우 고장률이 잦은 문제점을 발생시켰다. 또한,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에만 턱 보호대가 움직이기 때문에 외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지 못하는 상황, 예를 들어, 두꺼운 외투를 입었을 경우, 에는 턱 보호대를 효과적으로 동작시키지 못하는 문제를 발생시켰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턱 보호대를 원활하게 개폐할 수 있는 작동 메커니즘을 개발하였으며, 이에 대해서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헬멧"(제10-2018-0155282호, 2018. 12. 05, 출원)라는 발명의 명칭으로서 출원하였다.
도 1은 본 출원인이 출원 한, 제10-2018-0155282호의 도 18에 도시된 것으로서, 쉴드 이동부가 전방 위치이고 턱 보호대가 개방 위치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a)는 쉴드 이동부가 전방 위치이고 턱 보호대가 개방 위치일 때 헬멧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b)는 쉴드 이동부가 전방 위치이고 턱 보호대가 개방 위치일 때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쉴드 이동부(P1500)가 전방 위치이고 턱 보호대(P300)가 개방 위치인 상태일 경우, 상기 턱 보호대(P300)에 의해 회전 운동이 구현되는 돌출부(P1222)와 쉴드부(P400)와 연결되어 쉴드부(P400)와 함께 회전되는 이동 접촉부(P1520)가 면 접촉되어 있는 상태이다.
쉴드 이동부(P1500)가 전방 위치이고 턱 보호대(P300)가 개방 위치인 상태에서 상기 턱 보호대(P300)가 보호 위치로 위치 이동된다면, 상기 턱 보호대(P3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돌출부(P1222)로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돌출부(P1222)가 상기 이동 접촉부(P1520)를 회전시켜 상기 쉴드부(P400)가 위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쉴드 이동부(P1500)가 전방 위치이고 턱 보호대(P300)가 개방 위치인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P1222)와 상기 이동 접촉부(P1520)가 서로 면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턱 보호대(P300)에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쉴드부(P400)에 전부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쉴드부(P400)의 진동은 헬멧 사용자의 시야를 저감시키는 문제를 야기시켰다.
또한, 쉴드 이동부(P1500)가 전방 위치이고 턱 보호대(P300)가 개방 위치인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P1222)와 상기 이동 접촉부(P1520)가 서로 면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턱 보호대(P3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돌출부(P1222)로 함께 회전될 때, 상기 돌출부(P1222)가 상기 이동 접촉부(P1520)에 효과적으로 외력을 전달하지 못하였다. 이로 인해, 쉴드 이동부(P1500)가 전방 위치이고 턱 보호대(P300)가 개방 위치인 상태에서, 상기 턱 보호대(P300)를 개방 위치에서 보호 위치로 위치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턱 보호대(P300)에 큰 외력을 제공하여야 하는 문제를 야기 시켰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간단한 구조이면서 내구성이 강한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헬멧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는, 사용자의 머리가 삽입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헬멧 본체부와 사용자의 턱을 보호할 수 있는 위치인 보호 위치에서 사용자의 턱을 보호할 수 없는 위치인 개방 위치로 위치 이동되거나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보호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는 턱 보호대를 서로 연결시키는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턱 보호대가 연결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며 상기 턱 보호대가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턱 보호대와 함께 위치 이동되는 이동 베이스부; 상기 헬멧 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이동 베이스부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 베이스부의 위치 이동의 기준이 되는 고정 베이스부; 상기 고정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고정 자력부; 및 상기 고정 자력부의 자력과 상호 작용되어, 상기 이동 베이스부가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이동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이동 자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턱 보호대가 상기 개방 위치일 경우의 상기 이동 베이스부의 위치보다 상기 턱 보호대가 상기 보호 위치일 경우의 상기 이동 베이스부의 위치에 더 가까이 있는 위치이고,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턱 보호대가 상기 보호 위치일 경우의 상기 이동 베이스부의 위치보다 상기 턱 보호대가 상기 개방 위치일 경우의 상기 이동 베이스부의 위치에 더 가까이 있는 위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자력부는, 상기 이동 베이스부가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고정 자력부의 자력과 상호 작용되는 제1 이동 자력부 및 상기 이동 베이스부가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고정 자력부의 자력과 상호 작용되도록 상기 제1 이동 자력부와 이격되는 제2 이동 자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베이스부는, 상기 턱 보호대가 안착되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며 상기 이동 자력부가 고정되는 이동 본체부 및 상기 이동 본체부에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고정 베이스부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 본체부 상의 미리 정해진 경로로만 이동될 수 있는 이동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베이스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고정 본체부 및 상기 이동 본체부가 연결되어 상기 이동 본체부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베이스부 상에서 회전되는 회전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본체부는, 상기 이동 베이스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거나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회전축부와 상기 이동 연결부 간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상기 이동 연결부의 위치 이동에 대응되어 상기 회전축부 상에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이동 본체부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곡률 반지름이 가변되게 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고정 본체부의 일면에서 타면까지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이동 연결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본체부는, 상기 회전축부가 삽입되어, 상기 이동 본체부가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회전축부가 슬라이딩되는 리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이동 자력부는, 상기 리드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이동 자력부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안면을 보호하는 쉴드부에 연결되어 상기 쉴드부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쉴드 이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쉴드 이동부는, 상기 쉴드 이동부가 전방 위치일 경우 상기 쉴드부가 사용자의 안면을 보호할 수 있고, 상기 쉴드 이동부가 후방 위치일 경우 상기 쉴드부가 사용자의 안면을 보호할 수 없도록,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베이스부는, 고정 본체부 및 상기 이동 본체부가 연결되어 상기 이동 본체부가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상기 고정 베이스부에 연결되는 회전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쉴드 이동부는, 상기 회전축부와 접촉되어, 상기 이동 베이스부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회전축부가 회전되는 것에 따라 상기 전방 위치에서 상기 후방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이동 본체부가 연결되어 상기 이동 본체부가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고정 본체부 상에서 회전되는 축부 및 상기 축부의 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쉴드 이동부는, 상기 돌출부와 접촉되어, 상기 이동 베이스부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돌출부가 회전되는 것에 따라 상기 전방 위치에서 상기 후방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쉴드 이동부는, 상기 쉴드부에 연결되는 쉴드 연결부, 상기 돌출부와 접촉될 수 있는 이동 접촉부 및 상기 쉴드 연결부와 상기 이동 접촉부를 서로 연결하는 이동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쉴드 연결부는, 상기 이동 연장부의 일 단부의 일 측면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이동 접촉부도, 상기 이동 연장부의 타 단부의 일 측면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는, 사용자의 머리가 삽입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헬멧 본체부와 사용자의 턱을 보호할 수 있는 위치인 보호 위치에서 사용자의 턱을 보호할 수 없는 위치인 개방 위치로 위치 이동되거나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보호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는 턱 보호대를 서로 연결시키는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턱 보호대가 안착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여 상기 턱 보호대가 연결되는 이동 베이스부; 상기 헬멧 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이동 베이스부가 안착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고정 본체부; 상기 이동 베이스부가 연결되어 상기 이동 본체부가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상기 고정 베이스부에 연결되는 회전축부; 상기 고정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고정 자력부; 및 상기 이동 베이스부에 고정되며, 상기 이동 베이스부가 상기 회전축부에 의해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동 베이스부가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 자력부의 자력과 상호 작용되는 이동 자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자력부는, 제1 이동 자력부 및 상기 제1 이동 자력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 이동 자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베이스부는, 상기 턱 보호대가 안착되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며 상기 이동 자력부가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부가 연결되는 이동 본체부 및 상기 턱 보호대가 배치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이동 본체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이동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본체부는, 상기 이동 연결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본체부의 일면에서 타면까지 관통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 본체부는, 상기 회전축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본체부의 일면에서 타면까지 관통되는 리드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곡률 반지름이 가변되게 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고정 본체부의 일면에서 타면까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드부는, 상기 이동 본체부가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회전축부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자력부는, 제1 이동 자력부 및 상기 리드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이동 자력부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 이동 자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안면을 보호하는 쉴드부에 연결되어 상기 쉴드부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며, 상기 이동 베이스부가 상기 고정 본체부에 안착되는 방향과 반대 방으로 상기 고정 본체부에 안착되는 쉴드 이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쉴드 이동부는, 상기 고정 본체부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쉴드부의 단부와 연결되는 쉴드 연결부, 상기 고정 본체부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이동 접촉부 및 상기 쉴드 연결부와 상기 이동 접촉부를 서로 연결하는 이동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쉴드 연결부는, 상기 이동 연장부의 일 단부의 일 측면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이동 접촉부도, 상기 이동 연장부의 타 단부의 일 측면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이동 본체부와 연결되며,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 본체부에 연결되는 축부 및 상기 축부의 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축부는, 일단부가 상기 이동 베이스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축부의 타단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쉴드 이동부는, 상기 쉴드 이동부가 전방 위치일 경우 상기 쉴드부가 사용자의 안면을 보호할 수 있고, 상기 쉴드 이동부가 후방 위치일 경우 상기 쉴드부가 사용자의 안면을 보호할 수 없도록,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 접촉부는, 상기 쉴드 이동부가 전방 위치인 경우, 상기 이동 베이스부가 회전될 때의 상기 돌출부의 이동 경로와 저촉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은, 사용자의 머리가 삽입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헬멧 본체부; 사용자의 턱을 보호할 수 있는 위치인 보호 위치에서 사용자의 턱을 보호할 수 없는 위치인 개방 위치로 위치 이동되거나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보호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는 턱 보호대; 및 상기 헬멧 본체부와 상기 턱 보호대를 서로 연결시키는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는, 상기 턱 보호대가 연결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며 상기 턱 보호대가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턱 보호대와 함께 위치 이동되는 이동 베이스부, 상기 헬멧 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이동 베이스부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 베이스부의 위치 이동의 기준이 되는 고정 베이스부, 상기 고정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고정 자력부 및 상기 고정 자력부의 자력과 상호 작용되어, 상기 이동 베이스부가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이동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이동 자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헬멧에 따르면, 제조 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오랜 사용에 의해 고장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최소한의 외력 작용 거리로 턱 보호대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제조 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최소한의 외력으로 턱 보호대를 개폐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헬멧에 이용되는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의 결합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의 전체 및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가 구비하는 고정 본체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가 구비하는 회전축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베이스부에 대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쉴드 이동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 보호대 위치 결정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이 구비하는 쉴드부가 올라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 및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이 구비하는 쉴드 이동부가 후방 위치일 경우, 턱 보호대가 보호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 및 13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과정에서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 및 도 15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과정에서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이 구비하는 쉴드 이동부가 전방 위치일 경우, 턱 보호대가 개방 위치에서 보호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 및 도 19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과정에서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의 전체 및 분해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10)은 사용자의 머리가 삽입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헬멧 본체부(200), 사용자의 턱을 보호할 수 없는 위치인 개방 위치로 위치 이동되거나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보호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는 턱 보호대(300) 및 상기 헬멧 본체부(200)와 상기 턱 보호대(300)를 서로 연결시키는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10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헬멧(10)은 사용자의 안면의 정면을 보호하는 쉴드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헬멧 본체부(200)는 사용자의 머리 및 사용자의 안면부의 일부를 감싸도록 내측 방향으로 소정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에 상기 헬멧 본체부(200)가 제공하는 공간에 삽입되는 경우, 사용자의 안면의 측면 (일례로, 볼 및 귀 등)은 상기 헬멧 본체부(200)에 의해 보호될 수 있으나, 사용자의 안면의 정면(일례로, 눈, 코, 입 및 턱)은 상기 헬멧 본체부(200)에 의해 보호되지 못할 수 있다.
턱 보호대(300)는 사용자의 턱을 보호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턱을 감쌀 수 있다.
상기 턱 보호대(300)의 일단부는 상기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1000)를 통하여 상기 헬멧 본체부(200)의 일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턱 보호대(300)의 타단부는 상기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1000)를 통하여 상기 헬멧 본체부(200)의 타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1000)의 일부는 상기 헬멧 본체부(200)에 결합되고 상기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1000)의 다른 일부는 상기 턱 보호대(300)에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1000)는 상기 헬멧 본체부(200)와 상기 턱 보호대(300)를 서로 매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1000)는 상기 턱 보호대(300)가 상기 헬멧 본체부(200)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턱 보호대(30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1000)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1000)는, 상기 턱 보호대(300)가 연결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며 상기 턱 보호대(300)가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턱 보호대(300)와 함께 위치 이동되는 이동 베이스부(1100), 상기 헬멧 본체부(200)와 연결되며 상기 이동 베이스부(1100)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 베이스부(1100)의 위치 이동의 기준이 되는 고정 베이스부(1200), 상기 고정 베이스부(1200)에 고정되는 고정 자력부(1300) 및 상기 고정 자력부(1300)의 자력과 상호 작용되어, 상기 이동 베이스부(1100)가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이동 베이스부(1100)에 고정되는 이동 자력부(1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턱 보호대 위치 결정 조립체(1000)의 각 각의 구성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가 구비하는 고정 본체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가 구비하는 회전축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베이스부(1200)는 미리 정해진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부(1211a)가 형성된 고정 본체부(1210) 및 상기 이동 본체부(1110)가 연결되어 상기 이동 본체부(1110)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베이스부(1200) 상에서 회전되는 회전축부(122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가 구비하는 고정 본체부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가 구비하는 고정 본체부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 본체부(1210)는 상기 이동 베이스부(1100)가 안착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고정 영역부(1211) 및 후술하는 이동 연결부(112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 제한 조립부(12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 영역부(1211)는 판 형상으로서 상기 이동 베이스부(1100)가 안착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고정 영역부(1211)는 상기 헬멧 본체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 영역부(1211)에 형성된 복 수개의 홀을 관통하는 체결 수단(볼트)에 의해 상기 고정 영역부(1211)는 상기 헬멧 본체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부(1211a)는 상기 고정 영역부(1211)의 일면에서 상기 고정 영역부(1211)의 타면까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211a)에는 후술하는 이동 연결부(112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연결부(1120)는 상기 가이드부(1211a) 상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211a)는 상기 이동 연결부(1120)가 미리 정해진 경로로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연결부(1120)를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연결부(1120)는 상기 가이드부(1211a)가 형성된 범위 내에서만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상기 이동 연결부(1120)가 미리 정해진 경로로 위치 이동된다고 표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211a)는 상기 고정 영역부(1211) 상에 후술하는 축 삽입홀(1211g)을 기준으로 하측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211a)는 곡률 반지름이 가변되게 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고정 본체부(1210)의 일면에서 타면까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고정 영역부(1211)의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본체부(1210)는 상기 가이드부(1211a)의 둘레를 따라 상기 고정 영역부(1211)의 후면에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이드 돌출부(1211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출부(1211b)의 후면에는 후술하는 제2 이동 연결부(1120b)가 안착되고, 상기 가이드 돌출부(1211b)의 후면 상에서 상기 제2 이동 연결부(1120b)가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출부(1211b)는 후술하는 가압 돌출부(1212a-3)가 배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가이드부(1211a)의 둘레의 일부분에서는 상기 가이드 돌출부(1211b)가 돌출되지 않아 상기 가압 돌출부(1212a-3)가 배치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출부(1211b)는 상기 이동 연결부(1120)로 인하여 상기 고정 영역부(121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가압 돌출부(1212a-3)가 배치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쉴드-가이드부(1211c)는 상기 고정 영역부(1211)의 일면에서 상기 고정 영역부(1211)의 타면까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쉴드-가이드부(1211c)에는 후술하는 이동 삽입부(156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삽입부(1560)는 상기 쉴드-가이드부(1211c) 상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쉴드-가이드부(1211c)는 상기 이동 삽입부(1560)가 미리 정해진 경로로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삽입부(1560)를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삽입부(1560)는 상기 쉴드-가이드부(1211c)가 형성된 범위 내에서만 위치 이동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상기 이동 삽입부(1560)가 미리 정해진 경로로 위치 이동된다고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쉴드-가이드부(1211c)는 상기 고정 영역부(1211) 상에 후술하는 축 삽입홀(1211g)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쉴드-가이드부(1211c)의 일단부의 하측 둘레가 함입되어 제1 안착 공간(S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쉴드-가이드부(1211c)의 타단부의 하측 둘레가 함입되어 제2 안착 공간(S20)과 제3 안착 공간(S30) 각 각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안착 공간(S20)과 상기 제3 안착 공간(S30)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쉴드-가이드부(1211c)의 타단부로 향하는 방향에 대해서 제2 안착 공간(S20)과 상기 제3 안착 공간(S30)이 차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안착 공간(S10) 내지 제3 안착 공간(S30)에는 상기 이동 삽입부(1560)가 안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쉴드부(400)는 소정 위치에서 가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가 고정이라는 것의 의미는 파손되는 않는 외력의 범위 내에서, 소정 외력 이하의 외력이 작용될 경우에 위치 이동되지 않고 소정 외력 초과의 외력이 작용될 경우에 위치 이동이 될 수 있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본체부(1210)는 상기 쉴드-가이드부(1211c)와 이격되나 상기 쉴드-가이드부(1211c)의 상측 둘레를 따라 연장되도록, 상기 고정 영역부(1211)의 후면에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쉴드-가이드 돌출부(1211d)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본체부(1210)는 상기 쉴드-가이드부(1211c)의 하측 둘레를 따라 사익 고정 영역부(1211)의 후면에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쉴드-가이드 돌출부(1211e)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쉴드-가이드 돌출부(1211d)는 상기 제2 쉴드-가이드 돌출부(1211e)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쉴드-가이드 돌출부(1211d)와 상기 제2 쉴드-가이드 돌출부(1211e) 사이에는 후술하는 이동 상승부(1540)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제1 쉴드-가이드 돌출부(1211d)의 하면과 상기 제2 쉴드-가이드 돌출부(1211e)의 상면에 상기 이동 상승부(1540)의 상, 하면이 접촉되어 상기 이동 상승부(1540)가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제2 쉴드-가이드 돌출부(1211e)의 상면 상에 상기 이동 삽입부(1560)가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제2 쉴드-가이드 돌출부(1211e)는 상기 이동 삽입부(1560)가 원활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삽입부(156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쉴드-가이드 돌출부(1211d)와 상기 제2 쉴드-가이드 돌출부(1211e)는 상기 이동 상승부(1540)가 미리 정해진 경로로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상승부(1540)를 가이드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경로로 위치 이동된다는 것에 대한 의미는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본체부(1210)는 상기 고정 영역부(1211)의 후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개방 고정부(121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개방 고정부(1213)는 상기 제1 쉴드-가이드 돌출부(1211d)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개방 고정부(1213)는 내측 방향으로 소정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제공되는 소정의 공간에 후술하는 이동 돌출부(1550)가 삽입될 수 있다.
고정 안착부(1211f)는 상기 고정 영역부(1211)의 일면에서 상기 고정 영역부(1211)의 타면까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안착부(1211f)에는 상기 고정 자력부(1300)가 위치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고정 영역부(1211)의 일면 상에 형성된 상기 고정 안착부(1211f)의 면적보다 상기 고정 영역부(1211)의 타면 상에 형성된 상기 고정 안착부(1211f)의 면적이 더 작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고정 자력부(1300)가 상기 고정 안착부(1211f)에 안착되어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축 삽입홀(1211g)은 상기 고정 영역부(1211)의 일면에서 상기 고정 영역부(1211)의 타면까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 삽입홀(1211g)에는 상기 회전축부(1220)가 삽입될 수 있다.
위치 제한 조립부(1212)는 상기 이동 연결부(1120)을 가압하는 가압부(1212a) 및 상기 가압부(1212a)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고정 탄성부(1212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탄성부(1212b)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 탄성부(1212b)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고정 탄성부(1212b)의 종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고정 탄성부(1212b)의 일단부는 상기 고정 영역부(1211)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 탄성부(1212b)의 타단부는 상기 가압부(1212a)에 연결될 수 있다.
가압부(1212a)는 상기 고정 영역부(1211)에 연결되는 가압 피벗부(1212a-1), 상기 가압 피벗부(1212a-1)의 측면에서 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압 연장부(1212a-2) 및 상기 가압 연장부(1212a-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압 돌출부(1212a-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압 피벗부(1212a-1)는 상기 고정 영역부(1211)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 영역부(1211)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체결수단(일례로, 볼트)가 상기 가압 피벗부(1212a-1)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 영역부(1211)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 피벗부(1212a-1)가 상기 고정 영역부(1211)에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가압 피벗부(1212a-1)가 상기 고정 영역부(1211)에 연결되는 방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가압 연장부(1212a-2)의 하면은 상기 고정 탄성부(1212b)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가압 돌출부(1212a-3)는 상기 가압 연장부(1212a-2)의 상면으로부터 경사지도록 돌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압 돌출부(1212a-3)는 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가압 돌출부(1212a-3)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회전축부(1220)는 상기 이동 본체부(1110)가 연결되어 상기 이동 본체부(1110)가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고정 본체부(1210) 상에서 회전되는 축부(1221) 및 상기 축부(1221)의 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122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부(1220)는 상기 축부(1221)가 상기 축 삽입홀(1211g)에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축부(1221)가 위치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축 고정부(122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축부(1221)의 일단부는 상기 이동 베이스부(110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1222)는 상기 축부(1221)의 타단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축부(1221)는 상기 고정 영역부(1211)의 후면에 안착되는 제1 축부(1221a) 및 상기 제1 축부(1221a)의 상면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축부(1221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축부(1221a)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형의 판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 축부(1221a)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1 축부(1221a)는 상기 고정 영역부(1211)의 후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 축부(1221a)의 측면의 일 부분에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돌출부(12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축부(1221a)의 측면의 일 부분이 함입될 수 있으며, 함입된 부분에 상기 축 고정부(1223)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축 고정부(1223)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어 상기 축 삽입홀(1211g)의 내면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2 축부(1221b)와 상기 제1 축부(1221a)는 소정의 단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2 축부(1221b)가 돌출되지 않은 상기 제1 축부(1221a)의 상면은 상기 고정 영역부(1211)의 하면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2 축부(1221b)는 상기 축 삽입홀(1211g)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축부(1221b)는 후술하는 이동 본체부(111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부(1220)는 후술하는 이동 본체부(1110)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제2 축부(1221b)의 측면의 일부는 평평할 수 있으며, 나머지 일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축부(1221b)의 측면은 두 개의 평평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두 개의 평평한 측면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상기 제2 축부(1221b)의 측면은 상기 축 삽입홀(1211g)의 내면과 접촉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회전축부(1220)가 상기 고정 영역부(1211)와 연결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22)의 일 측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돌출부(1222)가 후술하는 이동 접촉부에 효과적(단계적)으로 외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베이스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6(a)는 이동 베이스부에 대한 정면 사시도이고, 도 6(b)는 이동 베이스부에 대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 베이스부(1100)는 상기 턱 보호대(300)가 안착되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며 상기 이동 자력부(1400)가 고정되는 이동 본체부(1110) 및 상기 이동 본체부(1110)에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고정 베이스부(1200)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 본체부(1210) 상의 미리 정해진 경로로만 이동될 수 있는 이동 연결부(112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동 본체부(1110)는 상기 턱 보호대(300)가 안착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턱 보호대(300)는 상기 이동 본체부(1110)에 체결 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본체부(1110)는 상기 회전축부(1220)가 삽입되어, 상기 이동 본체부(1110)가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회전축부(1220)가 슬라이딩되는 리드부(1111)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이동 본체부(1110)는 상기 회전축부(12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본체부(1110)의 일면에서 타면까지 관통되는 리드부(111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리드부(1111)는 상기 이동 본체부(1110)가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회전축부(1220)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본체부(1110)의 상면의 일부분이 함입되어 상기 이동 자력부(1400)가 안착될 수 있는 이동 자력안착부(11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자력안착부(1112)는 후술하는 제1 이동 자력부(1410, 도 8 참조)가 안착되는 제1 이동 자력안착부(1112a)와 상기 제2 이동 자력부(1420, 도 8 참조)가 안착되는 제2 이동 자력안착부(111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리드부(1111)를 기준으로 상기 리드부(1111)의 양 측에 상기 제1 이동 자력안착부(1112a)와 상기 제2 이동 자력안착부(1112b)가 상기 이동 본체부(111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본체부(1110)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이동 본체부(1110)의 후면에 상기 이동 연결부(112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연결부(1120)는 상기 턱 보호대(300)가 배치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이동 본체부(111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연결부(1120)는 상기 이동 본체부(1110)와 연결되는 제1 이동 연결부(1120a) 및 상기 제1 이동 연결부(1120a)와 연결되는 제2 이동 연결부(1120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동 연결부(1120b)의 단면적은 상기 제1 이동 연결부(1120a)의 단면적 보다 넓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가이드부(1211a)의 상면 상에서 상기 제2 이동 연결부(1120b)가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이동 연결부(1120)는 볼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이동 연결부(1120)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이동 연결부(1120)는 상기 이동 본체부(1110)에 탈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쉴드 이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1000)는 사용자의 안면을 보호하는 쉴드부(400)에 연결되어 상기 쉴드부(400)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쉴드 이동부(1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상기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1000)는 사용자의 안면을 보호하는 쉴드부(400)에 연결되어 상기 쉴드부(400)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며, 상기 이동 베이스부(1100)가 상기 고정 본체부(1210)에 안착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고정 본체부(1210)에 안착되는 쉴드 이동부(1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쉴드 이동부(1500)는 상기 쉴드부(400)에 연결되는 쉴드 연결부(1510), 상기 돌출부(1222)와 접촉될 수 있는 이동 접촉부(1520) 및 상기 쉴드 연결부(1510)와 상기 이동 접촉부(1520)를 서로 연결하는 이동 연장부(153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쉴드 이동부(1500)는 상기 이동 연장부(153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이동 상승부(15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쉴드 이동부(1500)는 상기 이동 상승부(1540)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되는 이동 돌출부(15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쉴드 이동부(1500)는 상기 쉴드-가이드부(1211c)에 삽입되는 이동 삽입부(1560) 및 상기 이동 삽입부(156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이동 탄성부(15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상기 쉴드 이동부(1500)는 상기 고정 본체부(1210)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쉴드부(400)의 단부와 연결되는 쉴드 연결부(1510), 상기 고정 본체부(1210)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이동 접촉부(1520) 및 상기 쉴드 연결부(1510)와 상기 이동 접촉부(1520)를 서로 연결하는 이동 연장부(15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쉴드 연결부(1510)는 상기 이동 연장부(1530)의 일 단부의 일 측면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접촉부(1520)는 상기 이동 연장부(1530)의 타 단부의 일 측면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접촉부(1520)와 상기 쉴드 연결부(1510)의 이격 거리는 상기 이동 연장부(1530)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점 작아질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이동 연장부(1530)와 상기 이동 접촉부(1520)는 예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연장부(1530)와 상기 쉴드 연결부(1510)도 예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동 상승부(1540)의 상면은 상기 고정 영역부(1211)의 후면과 접촉될 수 있도록 소정의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상승부(1540)는 상기 쉴드 이동부(1500)가 미리 정해진 경로로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쉴드 이동부(1500)를 가이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이동 상승부(1540)는 상기 제1 쉴드-가이드 돌출부(1211d)와 상기 제2 쉴드-가이드돌출부(1211e)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동 돌출부(1550)는 상기 개방 고정부(1213)가 제공하는 소정의 공간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돌출부(1550)는 상기 이동 상승부(1540)의 일 측면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연장부(1530)는 상기 이동 삽입부(1560)가 배치될 수 있도록, 일면에서 타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연장홀(h15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삽입부(1560)는 상기 연장홀(h1530) 상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삽입부(1560)는 상기 연장홀(h1530)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제1 이동 삽입부(1561)와 상기 제1 이동 삽입부(1561)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쉴드-가이드부(1211c)에 삽입되는 제2 이동 삽입부(156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장홀(h1530) 상에 상기 이동 탄성부(15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 탄성부(1570)의 일단부는 상기 이동 연장부(1530)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 탄성부(1570)의 타단부는 상기 이동 삽입부(156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 보호대 위치 결정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8(a)는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 보호대 위치 결정 조립체의 정면 결합 사시도이고, 도 8(b)는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 보호대 위치 결정 조립체의 후면 결합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축부(1220)는 상기 축 삽입홀(1211g)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 본체부(1110)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제1 축부(1221a)는 상기 고정 영역부(1211)의 후면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축부(1221b)는 상기 축 삽입홀(1211g)을 통과하여 상기 리드부(1111)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이동 자력안착부(1112a)에는 상기 제1 이동 자력부(141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이동 자력안착부(1112b)에는 상기 제2 이동 자력부(14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22)는 상기 고정 영역부(1211)의 후면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본체부(1110)의 후면은 상기 고정 영역부(1211)의 상면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 연결부(1120a)는 상기 이동 본체부(1110)의 후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이동 연결부(1120b)는 상기 가이드 돌출부(1222)의 후면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연결부(1120)는 상기 이동 본체부(1110)가 상기 고정 영역부(121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쉴드 이동부(1500)는 상기 고정 영역부(1211)의 후면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고정 영역부(1211)를 기준으로 상기 쉴드 이동부(1500)와 상기 고정 영역부(1211)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쉴드 연결부(1510)는 상기 고정 영역부(1211)의 상단부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쉴드 연결부(1510)는 상기 고정 영역부(1211)의 상단부의 상측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만일, 쉴드부가 위치 이동된다면, 상기 쉴드 연결부(1510)는 상기 고정 영역부(1211)의 상면 상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접촉부(1520)는 상기 고정 영역부(1211)의 하단부의 상측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연장부(1530)와 상기 이동 접촉부(1520)가 연결되는 부분과 상기 고정 영역부(1211)는 회전 체결 수단(f1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쉴드부(400)가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쉴드 이동부(1500)는 상기 이동 연장부(1530)와 상기 이동 접촉부(1520)가 연결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삽입부(1560)는 상기 쉴드-가이드부(1211c)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이동 탄성부(1570)는 상기 이동 삽입부(1560)가 상기 제2 쉴드 가이드 돌출부(1222)에 밀착되도록 상기 이동 삽입부(1560)에 외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이 구비하는 쉴드부가 올라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쉴드부(400)는 헬멧 본체부(200) 상에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도 2(a)는 상기 쉴드부(400)가 사용자의 안면을 보호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쉴드부(400)는 보호 위치인 턱 보호대(300)와 접촉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쉴드 이동부(1500)의 위치를 전방 위치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쉴드 이동부(1500)가 전방 위치일 경우 상기 쉴드부(400)가 사용자의 안면을 보호할 수 있다.
도 9는 상기 쉴드부(400)가 사용자의 안면을 보호할 수 없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쉴드부(400)는 보호 위치인 턱 보호대(300)와 이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쉴드 이동부(1500)의 위치를 후방 위치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쉴드 이동부(1500)가 후방 위치일 경우 상기 쉴드부(400)가 사용자의 안면을 보호할 수 없을 수 있다.
이하, 턱 보호대(300)가 위치 이동되는 것에 따라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1000)의 동작을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쉴드 이동부(1500)는 전방 위치에서 후방 위치로 회전되어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쉴드 이동부(1500)는 후방 위치에서 전방 위치로 회전되어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쉴드부(400)도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먼저, 쉴드 이동부(1500)가 후방 위치이고, 턱 보호대(300)가 보호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하, 도면 부호는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이 구비하는 턱 보호대가 보호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 및 13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과정에서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4 및 도 15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과정에서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12(a) 및 도 14(a)는 턱 보호대 및 쉴드부가 도 10(a)의 위치일 경우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12(b) 및 도 14(b)는 턱 보호대 및 쉴드부가 도 10(b)의 위치일 경우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13(a) 및 도 15(a)는 턱 보호대 및 쉴드부가 도 11(a)의 위치일 경우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13(b) 및 도 15(b)는 턱 보호대 및 쉴드부가 도 11(b)의 위치일 경우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13(c) 및 도 15(c)는 턱 보호대 및 쉴드부가 도 11(c)의 위치일 경우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도 12(a) 및 도 14(a)는 상기 턱 보호대(300)가 보호 위치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일 수 있다.
상기 턱 보호대(300)가 보호 위치일 경우 상기 턱 보호대(300)와 상기 헬멧 본체부(200)는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턱 보호대(300)와 상기 헬멧 본체부(200)가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것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는 시스템 헬멧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한 체결 방식을 채용하여 활용될 수 있다.
쉴드 이동부(1500)가 후방 위치일 경우, 상기 이동 돌출부(1550)는 상기 개방 고정부(1213)가 제공하는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삽입부(1560)는 상기 제1 안착 공간(S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 탄성부(1570)는 상기 이동 삽입부(1560)가 상기 제1 안착 공간(S10)을 이루는 상기 제2 쉴드-가이드돌출부(1211e)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이동 삽입부(1560)를 가압할 수 있다.
도 10(b), 도 12(b) 및 도 14(b)를 참조하면, 상기 턱 보호대(300)와 상기 헬멧 본체부(200)의 체결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턱 보호대(300)는 보호 위치에서 개방 위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고정 자력부(1300)와 상기 제1 이동 자력부(1410)의 인력에 의해 상기 턱 보호대(300)가 상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이동 자력부(1400)는 상기 이동 베이스부(1100)가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고정 자력부(1300)의 자력과 상호 작용되는 제1 이동 자력부(141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 본체부(1110)도 상기 턱 보호대(300)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회전축부(1220)도 회전되고, 상기 제2 이동 연결부(1120b)도 상기 가이드 돌출부(1222) 상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도 10(b), 도 12(b) 및 도 14(b)는 이동 베이스부(1100)가 제1 위치일 경우를 도시한 도면일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턱 보호대(300)가 상기 개방 위치일 경우의 상기 이동 베이스부(1100)의 위치보다 상기 턱 보호대(300)가 상기 보호 위치일 경우의 상기 이동 베이스부(1100)의 위치에 더 가까이 있는 위치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정 자력부(1300)와 상기 제1 이동 자력부(1410) 간의 인력이 최대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정 자력부(1300)와 상기 제1 이동 자력부(1410)가 가장 많이 중첩될 수 있다.
도 11(a), 도 13(a) 및 도 15(a)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본체부(1110)는 상기 이동 베이스부(1100)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회전축부(1220)와 상기 이동 연결부(1120) 간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상기 이동 연결부(1120)의 위치 이동에 대응되어 상기 회전축부(1220) 상에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턱 보호대(300)가 계속해서 개방 위치 쪽으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 이동 연결부(1120b)는 상기 가이드 돌출부(1222) 상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1211a)의 곡률 반지름이 계속해서 변동되기 때문에, 상기 제2 이동 연결부(1120b)와 상기 회전축부(1220) 사이의 이격 거리가 변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회전축부(1220)는 상기 리드부(1111) 상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이동 베이스부(1100)가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회전축부(1220)는 상기 리드부(1111)의 일단부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턱 보호대(300)가 보호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위치 되는 것에 따라 상기 회전축부(1220)는 상기 리드부(1111) 일단부에서 상기 리드부(1111)의 타단부 방향으로 상기 리드부(1111) 상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도 10(b)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11(a)에 도시된 상태로 상기 턱 보호대(300)가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이동 자력부(1410)와 상기 고정 자력부(1300)의 상호 작용이 점점 약해질 수 있다.
여기서, 상호 작용이란 자력에 의한 서로 간의 인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1(a)에 도시된 상태에서 계속 해서 상기 턱 보호대(300) 개방 위치 방향으로 위치 되는 경우, 상기 제2 이동 자력부(1420)와 상기 고정 자력부(1300)는 서로 상호 작용될 수 있다.
도 11(b), 도 13(b) 및 도 15(b)는 이동 베이스부(1100)가 제2 위치일 경우를 도시한 도면일 수 있다.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턱 보호대(300)가 상기 보호 위치일 경우의 상기 이동 베이스부(1100)의 위치보다 상기 턱 보호대(300)가 상기 개방 위치일 경우의 상기 이동 베이스부(1100)의 위치에 더 가까이 있는 위치일 수 있다.
상기 이동 자력부(1400)는 상기 이동 베이스부(1100)가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고정 자력부(1300)의 자력과 상호 작용되도록 상기 제1 이동 자력부(1410)와 이격되는 제2 이동 자력부(14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 자력부(1410)는 상기 리드부(1111)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이동 자력부(1420)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베이스부(110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맨 처음에는 상기 고정 자력부(1300)와 상기 제1 이동 자력부(1410)와의 인력이 점점 감소되다가 상기 고정 자력부(1300)와 상기 제2 이동 자력부(1420)와의 인력이 점점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 자력부(1300)와 상기 제2 이동 자력부(1420)와의 인력이 점점 증가되는 구간에 대해서, 사용자는 상기 턱 보호대(300)에 적은 외력을 작용하여도 상기 턱 보호대(300)는 회전시킬 수 있다.
보통 헬멧 사용자는 외투를 두껍게 착용하기 때문에 상기 턱 보호대(300)는 개방 위치까지 이동시키는데 불편함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 보호대(300) 위치결정 조립체에 따르면, 보호 위치인 턱 보호대(300)를 일정 위치까지만 회전하여도 자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개방 위치 근방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도 11(b), 도 13(b) 및 도 15(b)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 자력부(1300)와 상기 제2 이동 자력부(1420)의 인력이 최대 일 수 있다.
상기 제2 이동 연결부(1120b)는 상기 가압 돌출부(1212a-3, 도 4 참조)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가압 돌출부(1212a-3)에 의해 상기 제2 이동 연결부(1120b)는 위치 이동이 되지 못할 수 있다.
도 11(c), 도 13(c) 및 도 15(c)는 턱 보호대(300)가 개방 위치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b)의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턱 보호대(300)에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턱 보호대(300)는 개방 위치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정 탄성부(1212b)가 수축되어, 상기 가압 돌출부(1212a-3)의 일측에 위치되는 상기 제2 이동 연결부(1120b)는 상기 가압 돌출부(1212a-3)의 타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 이동 연결부(1120b)가 상기 가압 돌출부(1212a-3)의 타측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고정 탄성부(1212b)는 팽창할 수 있고, 상기 제2 이동 연결부(1120b)는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제한 조립부(1212)에 의해 상기 턱 보호대(300)는 개방 위치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턱 보호대(300)가 개방 위치일 경우 상기 회전축부(1220)는 상기 리드부(1111)의 타단부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1222)는 상기 이동 연장부(1530)와 접촉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돌출부(1222)는 상기 이동 연장부(1530)에 미소하게 이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턱 보호대(300)의 진동이 상기 쉴드부(400)에 전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쉴드부(400)의 진동이 상기 턱 보호대(300)에 전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쉴드 이동부(1500)가 후방 위치일 경우, 상기 턱 보호대(300)가 보호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과정을 설명한 것일 수 있다.
쉴드 이동부(1500)가 전방 위치일 경우, 상기 턱 보호대(300)가 개방 위치에서 보호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동작은 상술한 과정이 반대로 진행되는 동작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일례로, 쉴드 이동부(1500)가 후방 위치일 경우 상기 턱 보호대(300)가 보호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과정은 도 10 (a), 도 10(b), 도 11(a), 도 11(b) 및 도 11(c)가 차례로 진행되는 과정일 수 있고, 쉴드 이동부(1500)가 전방 위치일 경우 상기 턱 보호대(300)가 개방 위치에서 보호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과정은 도 11(c), 도 11(b), 도 11(a), 도 10(b) 및 도 10(a)이 차례로 진행되는 과정일 수 있다.
상기 이동 베이스부(1100)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이동 본체부(1110)는 상기 회전축부(1220)와 상기 이동 연결부(1120) 간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상기 이동 연결부(1120)의 위치 이동에 대응되어 상기 회전축부(1220) 상에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이하, 쉴드 이동부(1500)가 전방 위치이고, 상기 턱 보호대(300)가 개방 위치에서 보호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이 구비하는 쉴드 이동부가 전방 위치일 경우, 턱 보호대가 개방 위치에서 보호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8 및 도 19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과정에서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쉴드 이동부(1500)는 상기 회전축부(1220)와 접촉되어, 상기 이동 베이스부(1100)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회전축부(1220)가 회전되는 것에 따라 상기 전방 위치에서 상기 후방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쉴드 이동부(1500)는 상기 돌출부(1222)와 이격되어, 상기 이동 베이스부(1100)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돌출부(1222)가 회전되는 것에 따라 상기 전방 위치에서 상기 후방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접촉부(1520)는 상기 쉴드 이동부(1500)가 전방 위치인 경우, 상기 이동 베이스부(1100)가 회전될 때의 상기 돌출부(1222)의 이동 경로와 저촉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6(a) 및 도 18(a)는 상기 쉴드 이동부(1500)가 전방 위치이고 상기 턱 보호대(300)가 개방위치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쉴드 이동부(1500)가 전방 위치일 경우, 상기 이동 돌출부(1550)는 상기 제3 안착 공간(S30)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쉴드 이동부(1500)가 전방 위치이고 상기 턱 보호대(300)가 개방 위치일 경우, 상기 돌출부(1222)와 상기 이동 접촉부(1520)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턱 보호대(300)가 개방 위치이고, 상기 쉴드 이동부(1500)가 전방 위치일 경우, 상기 돌출부(1222)와 상기 이동 접촉부(1520) 사이의 갭은 1mm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턱 보호대(300)가 개방 위치 일 경우, 상기 돌출부(1222)와 상기 이동 접촉부(1520) 사이의 갭의 길이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돌출부(1222)와 상기 이동 접촉부(1520) 사이의 이격 거리로 인하여, 상기 턱 보호대(300)의 진동이 상기 쉴드부(400)에 전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쉴드부(400)의 진동이 상기 턱 보호대(300)에 전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베이스부(1100)의 위치는 상기 턱 보호대(300)의 위치에 의해 결정되므로, 상기 턱 보호대(300)가 개방 위치일 경우의 상기 이동 베이스부(1100)의 위치와 관련된 기술적 특징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도 16(b) 및 도 18(b)는 상기 이동 베이스부(1100)가 제2 위치인 경우를 도시한 상태이다.
개방 위치인 상기 턱 보호대(300)에서 외력을 인가하여 보호 위치 방향으로 상기 턱 보호대(300)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회전축부(1220)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회전축부(1220)는 회전면서, 상기 회전축부(12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이동 접촉부(1520)에 접촉되어 상기 이동 접촉부(1520)를 밀어 낼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쉴드 이동부(1500)도 회전되어, 상기 이동 삽입부(1560)는 상기 제3 안착 공간(S30)에서 상기 제2 안착 공간(S20)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쉴드 이동부(1500)가 회전되는 것에 따라 상기 쉴드 이동부(1500)도 후방 위치에서 전방 위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17(a) 및 도 19(a)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베이스부(1100)가 제2 위치인 상태에서 상기 턱 보호대(300)가 개방 위치에서 보호 위치 방향으로 계속해서 회전되는 경우, 상기 회전축부(1220)도 회전되게 되고, 상기 돌출부(122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쉴드 이동부(1500)도 계속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돌출부(1222)의 일 측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축부(1220)가 회전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이동 접촉부(1520)에 접촉되는 상기 돌출부(1222)의 부분이 상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돌출부(1222)는 회전되면서 단계적으로 상기 이동 접촉부(1520)에 외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22)와 상기 이동 접촉부(1520)가 면 접촉되기 때문에, 상기 돌출부(1222)가 한번에 상기 이동 접촉부(1520)에 외력을 제공해야 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은 단계적으로 외력을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수 있다.
도 17(b) 및 도 19(b)를 참조하면, 상기 턱 보호대(300)가 개방 위치에서 보호 위치 방향으로 계속해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이동 돌출부(1550)가 상기 개방 고정부(1213)가 제공하는 공간에 삽입될 때까지 상기 쉴드 이동부(1500)는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쉴드 이동부(1500)가 전방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돌출부(1222)와 상기 이동 접촉부(1520)는 접촉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돌출부(1222)가 회전되어도 상기 쉴드 이동부(1500)는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7(b) 및 도 19(b)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턱 보호대(300)가 개방 위치에서 보호 위치 방향으로 회전되면, 도 15(a), 도 14(b) 및 도 14(a)에 도시된 상태가 차례로 진행되는 것으로서,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이하, 쉴드 이동부(1500)가 전방 위치이고, 상기 턱 보호대(300)가 보호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쉴드 이동부(1500)가 전방 위치인 상태에서 보호 위치인 상기 턱 보호대(300)가 개방 위치로 위치 이동되기 위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 베이스부(1100) 및 회전축부(1220)도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턱 보호대(300)가 보호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회전 되는 과정에서 상기 턱 보호대(300)와 상기 쉴드부(400)는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턱 보호대(300)와 상기 쉴드부(400)가 서로 접촉되는 경우, 상기 턱 보호대(300)가 회전되는 것과 함께 상기 쉴드부(400)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쉴드부(400)가 회전되는 것에 따라, 상기 쉴드 이동부(1500)도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3 안착 공간(S30) 상기 이동 삽입부(1560)가 상기 제1 안착 공간(S10)에 배치될 때까지 상기 쉴드 이동부(1500)는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쉴드 이동부(1500)는 후방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쉴드 이동부(1500)가 후방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쉴드부(400)는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고, 상기 턱 보호대(300)만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턱 보호대(300)는 쉴드 이동부(1500)가 후방 위치일 경우의 쉴드부(400)와 이격되어 상기 개방 위치까지 회전될 수 있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은 사용자의 머리가 삽입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헬멧 본체부(200), 사용자의 턱을 보호할 수 있는 위치인 보호 위치에서 사용자의 턱을 보호할 수 없는 위치인 개방 위치로 위치 이동되거나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보호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는 턱 보호대(300) 및 상기 헬멧 본체부(200)와 상기 턱 보호대(300)를 서로 연결시키는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1000) 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1000)는 상기 턱 보호대(300)가 연결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며 상기 턱 보호대(300)가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턱 보호대(300)와 함께 위치 이동되는 이동 베이스부(1100), 상기 헬멧 본체부(200)와 연결되며 상기 이동 베이스부(1100)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 베이스부(1100)의 위치 이동의 기준이 되는 고정 베이스부(1200), 상기 고정 베이스부(1200)에 고정되는 고정 자력부(1300) 및 상기 고정 자력부(1300)의 자력과 상호 작용되어, 상기 이동 베이스부(1100)가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이동 베이스부(1100)에 고정되는 이동 자력부(1400)를 구비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 헬멧 200 : 헬멧 본체부
300 : 턱 보호대 400 : 쉴드부
1000 :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 1100 : 이동 베이스부
1200 : 고정 베이스부 1300 : 고정 자력부
1400 : 이동 자력부 1500 : 쉴드 이동부

Claims (20)

  1. 사용자의 머리가 삽입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헬멧 본체부와 사용자의 턱을 보호할 수 있는 위치인 보호 위치에서 사용자의 턱을 보호할 수 없는 위치인 개방 위치로 위치 이동되거나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보호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는 턱 보호대를 서로 연결시키는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턱 보호대가 연결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며 상기 턱 보호대가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턱 보호대와 함께 위치 이동되는 이동 베이스부;
    상기 헬멧 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이동 베이스부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 베이스부의 위치 이동의 기준이 되는 고정 베이스부;
    상기 고정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고정 자력부; 및
    상기 고정 자력부의 자력과 상호 작용되어, 상기 이동 베이스부가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이동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이동 자력부;를 포함하는,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턱 보호대가 상기 개방 위치일 경우의 상기 이동 베이스부의 위치보다 상기 턱 보호대가 상기 보호 위치일 경우의 상기 이동 베이스부의 위치에 더 가까이 있는 위치이고,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턱 보호대가 상기 보호 위치일 경우의 상기 이동 베이스부의 위치보다 상기 턱 보호대가 상기 개방 위치일 경우의 상기 이동 베이스부의 위치에 더 가까이 있는 위치인,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자력부는,
    상기 이동 베이스부가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고정 자력부의 자력과 상호 작용되는 제1 이동 자력부 및 상기 이동 베이스부가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고정 자력부의 자력과 상호 작용되도록 상기 제1 이동 자력부와 이격되는 제2 이동 자력부를 구비하는,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베이스부는,
    상기 턱 보호대가 안착되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며 상기 이동 자력부가 고정되는 이동 본체부 및 상기 이동 본체부에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고정 베이스부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 베이스부 상의 미리 정해진 경로로만 이동될 수 있는 이동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베이스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고정 본체부 및 상기 이동 본체부가 연결되어 상기 이동 본체부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본체부 상에서 회전되는 회전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본체부는,
    상기 이동 베이스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거나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회전축부와 상기 이동 연결부 간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상기 이동 연결부의 위치 이동에 대응되어 상기 회전축부 상에서 슬라이딩 되는,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이동 본체부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는,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곡률 반지름이 가변되게 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고정 본체부의 일면에서 타면까지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이동 연결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되는,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본체부는,
    상기 회전축부가 삽입되어, 상기 이동 본체부가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회전축부가 슬라이딩되는 리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이동 자력부는,
    상기 리드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이동 자력부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안면을 보호하는 쉴드부에 연결되어 상기 쉴드부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쉴드 이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쉴드 이동부는,
    상기 쉴드 이동부가 전방 위치일 경우 상기 쉴드부가 사용자의 안면을 보호할 수 있고, 상기 쉴드 이동부가 후방 위치일 경우 상기 쉴드부가 사용자의 안면을 보호할 수 없도록,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베이스부는,
    고정 본체부 및 상기 이동 베이스부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베이스부가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상기 고정 베이스부에 연결되는 회전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쉴드 이동부는,
    상기 회전축부와 접촉되어, 상기 이동 베이스부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회전축부가 회전되는 것에 따라 상기 전방 위치에서 상기 후방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이동 베이스부가 연결되어 상기 이동 베이스부가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고정 본체부 상에서 회전되는 축부 및 상기 축부의 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쉴드 이동부는,
    상기 돌출부와 접촉되어, 상기 이동 베이스부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돌출부가 회전되는 것에 따라 상기 전방 위치에서 상기 후방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 이동부는,
    상기 쉴드부에 연결되는 쉴드 연결부, 상기 돌출부와 접촉될 수 있는 이동 접촉부 및 상기 쉴드 연결부와 상기 이동 접촉부를 서로 연결하는 이동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쉴드 연결부는,
    상기 이동 연장부의 일 단부의 일 측면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이동 접촉부도,
    상기 이동 연장부의 타 단부의 일 측면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
  11. 사용자의 머리가 삽입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헬멧 본체부와 사용자의 턱을 보호할 수 있는 위치인 보호 위치에서 사용자의 턱을 보호할 수 없는 위치인 개방 위치로 위치 이동되거나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보호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는 턱 보호대를 서로 연결시키는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턱 보호대가 안착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여 상기 턱 보호대가 연결되는 이동 베이스부;
    상기 헬멧 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이동 베이스부가 안착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고정 본체부;
    상기 이동 베이스부가 연결되어 상기 이동 베이스부가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상기 고정 본체부에 연결되는 회전축부;
    상기 고정 본체부에 고정되는 고정 자력부; 및
    상기 이동 베이스부에 고정되며, 상기 이동 베이스부가 상기 회전축부에 의해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동 베이스부가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 자력부의 자력과 상호 작용되는 이동 자력부;를 포함하는,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자력부는,
    제1 이동 자력부 및 상기 제1 이동 자력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 이동 자력부를 구비하는,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베이스부는,
    상기 턱 보호대가 안착되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며 상기 이동 자력부가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부가 연결되는 이동 본체부 및 상기 턱 보호대가 배치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이동 본체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이동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본체부는,
    상기 이동 연결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본체부의 일면에서 타면까지 관통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 본체부는,
    상기 회전축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본체부의 일면에서 타면까지 관통되는 리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곡률 반지름이 가변되게 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고정 본체부의 일면에서 타면까지 관통되어 형성되는,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부는,
    상기 이동 본체부가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회전축부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자력부는,
    제1 이동 자력부 및 상기 리드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이동 자력부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 이동 자력부를 구비하는,
    턱 보대 위치결정 조립체.
  17. 제1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안면을 보호하는 쉴드부에 연결되어 상기 쉴드부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며, 상기 이동 베이스부가 상기 고정 본체부에 안착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고정 본체부에 안착되는 쉴드 이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쉴드 이동부는,
    상기 고정 본체부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쉴드부의 단부와 연결되는 쉴드 연결부, 상기 고정 본체부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이동 접촉부 및 상기 쉴드 연결부와 상기 이동 접촉부를 서로 연결하는 이동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쉴드 연결부는,
    상기 이동 연장부의 일 단부의 일 측면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이동 접촉부도,
    상기 이동 연장부의 타 단부의 일 측면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이동 베이스부와 연결되며,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 본체부에 연결되는 축부 및 상기 축부의 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축부는,
    일단부가 상기 이동 베이스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축부의 타단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 이동부는,
    상기 쉴드 이동부가 전방 위치일 경우 상기 쉴드부가 사용자의 안면을 보호할 수 있고, 상기 쉴드 이동부가 후방 위치일 경우 상기 쉴드부가 사용자의 안면을 보호할 수 없도록,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 접촉부는,
    상기 쉴드 이동부가 전방 위치인 경우, 상기 이동 베이스부가 회전될 때의 상기 돌출부의 이동 경로와 저촉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
  20. 사용자의 머리가 삽입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헬멧 본체부;
    사용자의 턱을 보호할 수 있는 위치인 보호 위치에서 사용자의 턱을 보호할 수 없는 위치인 개방 위치로 위치 이동되거나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보호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는 턱 보호대; 및
    상기 헬멧 본체부와 상기 턱 보호대를 서로 연결시키는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는,
    상기 턱 보호대가 연결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며 상기 턱 보호대가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턱 보호대와 함께 위치 이동되는 이동 베이스부, 상기 헬멧 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이동 베이스부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 베이스부의 위치 이동의 기준이 되는 고정 베이스부, 상기 고정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고정 자력부 및 상기 고정 자력부의 자력과 상호 작용되어, 상기 이동 베이스부가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이동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이동 자력부를 구비하는,
    헬멧.
KR1020190042427A 2018-12-05 2019-04-11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헬멧 KR102641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427A KR102641350B1 (ko) 2019-04-11 2019-04-11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헬멧
CN201911229464.9A CN111264968B (zh) 2018-12-05 2019-12-04 下巴防护件定位组件及具有此的头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427A KR102641350B1 (ko) 2019-04-11 2019-04-11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헬멧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051A KR20200120051A (ko) 2020-10-21
KR102641350B1 true KR102641350B1 (ko) 2024-02-27

Family

ID=73035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427A KR102641350B1 (ko) 2018-12-05 2019-04-11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헬멧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13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8292B1 (ko) 2021-01-20 2022-08-03 (주)에이치제이씨 헬멧용 친가드 간격 조절수단
KR102433223B1 (ko) * 2021-02-09 2022-08-18 (주)에이치제이씨 친가드 회동 메커니즘
KR102582371B1 (ko) * 2022-03-22 2023-09-26 (주)에이치제이씨 친가드 회동메커니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4314A1 (en) 2007-08-16 2009-02-19 James Newman Combined head and neck protector
US20140338105A1 (en) 2011-12-31 2014-11-20 Marzell Maier Safety helmet, in particular for cyclis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4314A1 (en) 2007-08-16 2009-02-19 James Newman Combined head and neck protector
US20140338105A1 (en) 2011-12-31 2014-11-20 Marzell Maier Safety helmet, in particular for cyclis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051A (ko) 202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7766B1 (ko)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헬멧
KR102641350B1 (ko)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헬멧
CN107278127B (zh) 用于减小与防护头具相关联的防护壳体的角速度的装置
KR100750720B1 (ko) 헬멧
US10729202B2 (en) Headband arrangement and welding helmet equipped with the same
KR101906611B1 (ko) 삼림작업자용 안전모에 부착되는 귀마개장치
FI58056C (fi) Skyddshjaelm med hoerselskydd
CN106659262A (zh) 用于防护头盔的可移除的护罩
CN105188440A (zh) 安全帽配件互换系统
US10264842B2 (en) Coupling structure of replaceable visor hinge for headband
KR100875460B1 (ko) 헬멧용 턱 보호대 개폐 장치
WO2014204004A1 (ja) 水中マスク
JPH10168638A (ja) ヘルメットの回動板取付け機構
US11737504B2 (en) Front cover for helmets, shell for helmet and helmet including the same
TWI580365B (zh) 安全帽用防護罩
CN111264968B (zh) 下巴防护件定位组件及具有此的头盔
JPH07126908A (ja) ヘルメット
KR102210718B1 (ko) 쉴드 개폐 조절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헬멧
KR102365056B1 (ko) 헬멧용 프론트 커버, 헬멧용 쉘 및 이들을 포함하는 헬멧
EP3692847B1 (en) Visor locking mechanism and helmet
JP6443748B2 (ja) 眼用保護具
KR101401546B1 (ko) 헤드밴드에 교체가능한 바이저 힌지 결합구조
KR102445325B1 (ko) 쉴드 회동제어수단
CN115191710A (zh) 帽体的镜片枢组结构
KR102535317B1 (ko) 안면 보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