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725B1 - 자동 조리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725B1
KR102533725B1 KR1020210178811A KR20210178811A KR102533725B1 KR 102533725 B1 KR102533725 B1 KR 102533725B1 KR 1020210178811 A KR1020210178811 A KR 1020210178811A KR 20210178811 A KR20210178811 A KR 20210178811A KR 102533725 B1 KR102533725 B1 KR 102533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k
driving
button
main body
contro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8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6170A (ko
Inventor
이승렬
이호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쿡메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쿡메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쿡메이트
Publication of KR20220166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6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27Mixing bow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조리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웍이 상,하 방향으로 충분하게 유동시키면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자동 조리장치를 구성한 것이고, 이에 따라 전문 요리사가 직접하는 요리 방식과 거의 동일하게 웍 내의 식재료를 뒤집어가며 조리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조리 장치{Automatic cooking device}
본 발명은 웍이 결합되는 자동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재료를 볶거나 기름에 튀기기 위해 우묵하게 큰 냄비의 일종인 웍을 사용하며, 이 경우 요리사는 상기 웍을 상,하 방향으로 유동시키면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켜, 상기 웍 내의 식재료를 뒤집어가며 조리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웍의 움직임을 자동으로 구현하는 자동 조리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는 등록특허공보 제10-1699173호, 등록특허공보 제10-1789109호, 등록특허공보 제10-1935922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31812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 조리장치는 웍의 움직임 구동이 하나의 축 기능을 하는 웍 연결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관계로, 웍을 상,하 방향으로 유동시키면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킬 수 없었으며, 이에따라 상기 웍 내의 식재료를 제대로 뒤집을 수 없는 등 식재료에 대한 조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한편, 상기의 선행기술들 중에서, 등록특허공보 제10-1699173호는 링크에 형성되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중공부를 따라 휠이 이동하면서 조리용기(웍)를 상,하방향으로 유동시키면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켰지만, 휠이 서로 다른 높이는 가지는 중공부를 따라 이동하는 관계로, 조리용기(웍)의 상,하 방향에 대한 유동이 제한적이면서 이 또한 조리용기내의 식재료에 대한 뒤집힘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는 없었던 것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99173호(공고일 2017.01.24.) 등록특허공보 제10-1789109호(공고일 2017.10.23.) 등록특허공보 제10-1935922호(공고일 2019.01.07.)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31812호(공개일 2019.03.2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웍이 상,하 방향으로 충분하게 유동시키면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전문 요리사가 직접하는 요리 방식과 거의 동일하게 웍 내의 식재료를 뒤집어가며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조리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인 자동 조리장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는 구동부; 상기 본체부의 양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체; 한 쌍을 이루는 상기 회전체에 일단이 각각 결합되고, 상기 회전체이 회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한 쌍의 작동체; 및,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작동체의 타단이 결합되는 축부를 가지는 것으로 웍이 안착되며, 상기 웍에 투입되는 식재료가 뒤집어지면서 조리되도록 상기 작동체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웍 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본체부의 후방에 고정되는 것으로 구동풀리가 형성되는 구동축을 가지는 구동모터; 상기 본체부의 후방 양측면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피동풀리가 형성되는 회전봉; 및,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피동풀리를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회전봉에 전달되는 벨트;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체는, 상기 본체부의 후방 양측면에 관통되는 상기 회전봉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면서 상기 회전봉에 의해 회전하는 캠 구조물인 것이다.
또한, 상기 작동체는, 상기 회전체의 일단에 편심되게 축 결합되는 제 1 직선 로드; 상기 웍 고정부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상기 축부에 결합되는 제 2 직선 로드; 및, 상기 제 1 직선로드와 상기 제 2 직선로드 사이에 곡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웍 고정부가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곡선홀을 가지는 곡선 로드; 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에는 상기 곡선홀에 안착되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직선로드와 상기 곡선로드의 상,하 방향 유동과 전,후 방향 왕복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축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곡선로드의 일단에는 상기 제 1 직선로드가 연장되고, 상기 곡선로드의 타단에는 상기 제 2 직선로드가 연장되면서, 상기 제 1 곡선로드와 상기 제 2 곡선로드는 서로 다른 수평 라인에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웍 고정부는, 웍이 안착되는 것으로 양측부에는 상기 축부가 형성되는 링형의 웍 안착 프레임; 및, 상기 웍 안착 프레임에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 결합되면서, 상기 웍 안착 프레임에 안착되는 상기 웍에 걸림 고정되는 웍 고정 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는 버너부를 가지는 가열 본체의 일단에 설치 고정되는 본체 고정부와, 상기 가열 본체의 평면에 안착되는 것으로 설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안착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양측부에는 상기 회전체와 상기 작동체의 외부 노출을 차단하는 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작동체의 상,하 방향에 대한 유동과 전,후 방향의 왕복 운동을 위한 인출구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는 제어회로부를 가지는 조작패널을 형성하되, 상기 조작패널에는 상기 제어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전원버튼, 시작버튼, 구동량 설정버튼, 인터벌 버튼, 업/다운 버튼, 구동량/인터벌 표시창, 카운트 시간 표시창, 그리고 표시램프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전원버튼의 조작신호 입력시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전원코드 또는 상기 본체부에 탑재되는 배터리의 구동전원을 상기 구동부에 공급하되, 상기 시작버튼의 조작신호 입력시 상기 구동부가 온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량 설정버튼은 상기 구동부의 구동량을 저속으로 설정하는 제 1 설정버튼; 상기 구동부의 구동량을 중속으로 설정하는 제 2 설정버튼; 및, 상기 구동부의 구동량을 고속으로 설정하는 제 3 설정버튼;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설정버튼의 선택적인 조작신호 입력에 따라 온 구동하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량을 저속 또는 중속 또는 고속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3 설정버튼에 의해 구동량을 선택하는 조작신호가 입력시,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구동량/인터벌 표시창에 선택된 상기 구동량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3 설정버튼에 의해 구동량을 선택하는 조작신호가 입력시,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카운트 시간 표시창에 조리시간을 카운트하는 시간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인터벌 버튼의 조작신호 입력시 설정된 인터벌 시간에 따라 상기 웍 고정부의 상,하 방향 유동과 전,후 방향으로의 왕복 운동 및, 상기 유동과 상기 왕복 운동 정지가 반복되도록 상기 구동부의 온 구동과 오프를 반복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인터벌 시간은 상기 업/다운 버튼에 의해 업 또는 다운 설정되며,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업/다운 버튼의 업 또는 다운 조작신호 입력시 상기 구동량/인터벌 표시창에 업 또는 다운되어 설정되는 상기 인터벌 시간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표시램프는 동작 LED램프이고, 상기 동작 LED램프는 일반조리모드에서는 상기 제어회로부에 의해 점등 제어되고, 상기 인터벌 버튼의 조작신호 입력에 따른 인터벌 조리모드에서는 상기 제어회로부에 의해 점멸 제어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웍이 상,하 방향으로 충분하게 유동시키면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자동 조리장치를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전문 요리사가 직접하는 요리 방식과 거의 동일하게 웍 내의 식재료를 뒤집어가며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자동 조리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자동 조리장치에 웍이 결합되어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자동 조리장치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자동 조리장치를 후면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자동 조리장치에 본체부 전면에 형성되는 조작패널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자동 조리장치에 결합되어진 웍이 버너부 위에서 전진된 상태를 보인 측면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자동 조리장치에 결합되어진 웍이 버너부 위에서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는 상태를 보인 측면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자동 조리장치에 결합되어진 웍이 버너부 위에서 후진된 상태를 보인 측면 개략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자동 조리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자동 조리장치에 웍이 결합되어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자동 조리장치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자동 조리장치를 후면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자동 조리장치에 본체부 전면에 형성되는 조작패널 구조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리장치는, 본체부(10), 구동부(20), 회전체(30), 작동체(40), 웍 고정부(50), 조작패널(60), 제어회로부(70)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본체부(10)는 버너부(200)를 가지는 미도시된 가열 본체의 일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 설치를 위해 저면 일단에는 본체 고정부(12)가 형성되고, 저면 타단에는 상기 가열 본체의 평면에 안착되는 것으로 설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안착 지지부(13)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본체부(10)의 양측면에는 가이드축(11)이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가이드축(11)은 각각 커버(14)에 의해 덮혀지며, 상기 커버(14)에는 상기 작동체(40)의 상,하 방향에 대한 유동과 전,후 방향의 왕복 운동을 위한 인출구(14a)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구동부(20)는 상기 본체부(10)에 형성되는 것으로, 구동모터(21)와 회전봉(22) 및 벨트(23)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구동모터(21)는 상기 제어회로부(70)에 의해 온 구동은 물론 온 구동에 따른 구동량(예; RPM)이 제어되도록 상기 본체부(10)의 후방에 고정되는 것으로 구동풀리(21a)가 형성되는 구동축(21b)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 회전봉(22)은 상기 본체부(10)의 후방 양측면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구동풀리(21a)에 대응하는 피동풀리(22a)가 형성되어진 것이다.
상기 벨트(23)는 상기 구동풀리(21a)와 상기 피동풀리(22a)를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모터(21)의 구동력을 상기 회전봉(22)에 전달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21)는 상기 제어회로부(7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본체부(10)에 연결되는 전원코드 또는 상기 본체부(10)에 탑재되는 배터리(미도시)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21)로의 구동전원 공급은 상기 본체부(10)에 형성되는 상기 조작패널(60)의 조작신호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회전체(30)는 상기 본체부(10)의 양측부에 돌출되는 상기 회전봉(22)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모터(21)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것이다.
즉, 상기 회전체(30)는 상기 본체부(10)의 후방 양측면에 관통되는 상기 회전봉(22)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면서 상기 회전봉(22)에 의해 회전하는 캠 구조물인 것이다.
상기 작동체(40)는 한 쌍을 이루는 상기 회전체(30)에 일단이 각각 결합되면서, 상기 회전체(30)이 회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것으로, 일체형 구조를 이루는 제 1 및 제 2 직선로드(41, 42)와 곡선로드(43)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직선로드(41)는 상기 회전체(30)의 일단에 편심되게 축 결합되는 것이고, 상기 제 2 직선 로드(42)는 상기 웍 고정부(50)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축부(51a)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곡선로드(43)는 상기 제 1 직선로드(41)와 상기 제 2 직선로드(42) 사이에 곡선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웍 고정부(50)가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곡선홀(43a)을 가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축(11)은 상기 곡선홀(43a)에 안착되므로, 상기 제 1 및 제 2 직선로드(41, 42)와 상기 곡선로드(43)의 상,하 방향 유동과 전,후 방향 왕복 운동은 상기 가이드축(11)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작동체(40)에 의해 상기 웍(100)이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전,후 방향 왕복 운동이 가능한 이유는, 상기 곡선로드(43)의 일단에 상기 제 1 직선로드(42)를 연장시키고, 상기 곡선로드(43)의 타단에 상기 제 2 직선로드(42)를 연장시키면서, 상기 제 1 곡선로드(41)와 상기 제 2 곡선로드(42)가 상기 곡선로드(43)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수평 라인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상기 웍 고정부(50)는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작동체(40)의 타단이 결합되는 상기 축부(51a)를 가지는 것으로 웍(100)이 안착되며, 상기 웍(100)에 투입되는 식재료가 뒤집어지면서 조리되도록 상기 작동체(4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것으로, 웍 안착 프레임(51)과 웍 고정 프레임(52)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웍 안착 프레임(51)은 상기 웍(100)이 안착되는 것으로 양측부에는 상기 축부(51a)가 형성되는 링형의 구조물인 것이다.
상기 웍 고정 프레임(52)은 상기 웍 안착 프레임(51)에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 결합되면서, 상기 웍 안착 프레임(51)에 안착되는 상기 웍(100)에 걸림 고정되는 것이다.
즉, 상기 웍 고정 프레임(52)은 상기 웍 안착 프레임(51)에 안착되는 상기 웍(100)이 상,하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때, 상기 웍(10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시키는 것이다.
상기 조작패널(60)은 상기 본체부(10)의 전면에는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어회로부(70)를 내장하고 있으며, 상기 조작패널(60)에는 첨부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어회로부(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전원버튼(61), 시작버튼(62), 구동량 설정버튼(63a, 63b, 63c), 인터벌 버튼(64), 업/다운 버튼(65a, 65b), 구동량/인터벌 표시창(66), 카운트 시간 표시창(67), 그리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시램프(68)가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회로부(70)는 상기 전원버튼(61)의 조작신호 입력시 상기 본체부(10)에 연결되는 전원코드 또는 상기 본체부(10)에 탑재되는 배터리의 구동전원을 상기 구동부(20)에 공급하되, 상기 시작버튼(62)의 조작신호 입력시 상기 구동부(20)가 온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구동량 설정버튼은 상기 구동부(20)의 구동량(예; RPM)을 저속으로 설정하는 제 1 설정버튼(63a), 상기 구동부(20)의 구동량(예; RPM)을 중속으로 설정하는 제 2 설정버튼(63a), 그리고 상기 구동부(20)의 구동량(예; RPM)을 고속으로 설정하는 제 3 설정버튼(63a)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제어회로부(70)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설정버튼(63a, 63b, 63c)의 선택적인 조작신호 입력에 따라 온 구동하는 상기 구동부(20)의 구동량을 저속 또는 중속 또는 고속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설정버튼(63a, 63b, 63c)을 통해 상기 구동부(20)의 구동량을 설정하는 이유는, 상기 웍(100)에 투입되는 식재료에 따른 조리 방식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웍(100)의 유동 및 왕복 운동이 많이 필요로 하는 식재료가 투입되면 상기 구동부(20)를 고속으로 구동 제어하는 것이고, 상기 웍(100)의 유동 및 왕복 운동이 적게 필요로 하는 식재료가 투입되면 상기 구동부(20)를 저속으로 구동 제어하는 것이며, 상기 웍(100)의 유동 및 왕복 운동이 고속과 저속 사이의 중간에서 필요로 하는 식재료가 투입되면 상기 구동부(20)를 중속으로 구동 제어하는 것으로, 이는 조리사가 상기 제 1 내지 제 3 선택버튼(63a, 63b, 63c)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설정버튼(63a, 63b, 63c)에 의해 구동량을 선택하는 조작신호가 제어회로부(70)에 입력되면, 상기 제어회로부(70)는 상기 구동량/인터벌 표시창(66)에 선택된 상기 구동량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므로, 조리사는 상기 구동량/인터벌 표시창(66)을 통해 상기 구동부(20)의 구동량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 내지 제 3 설정버튼(63a, 63b, 63c)에 의해 구동량을 선택하는 조작신호가 상기 제어회로부(70)에 입력되면, 상기 제어회로부(70)는 상기 카운트 시간 표시창(67)에 조리시간을 카운트하는 시간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이는 제 1 내지 제 3 설정버튼(63a, 63b, 63c)에 의해 상기 구동부(20)의 구동량이 결정되면, 상기 웍(100)에 투입되는 식재료에 대한 조리가 시간되는 시점이고, 이에따라 상기 제어회로부(70)는 상기 조리시간을 카운트하면서 그 카운트 시간을 상기 카운트시간 표시창(67)에 표시하면서, 조리사는 상기 카운트시간 표시창(67)을 통해 조리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회로부(70)는 상기 인터벌 버튼(64)의 조작신호 입력시 설정된 인터벌 시간에 따라 상기 웍(100)이 고정되는 상기 웍 고정부(50)의 상,하 방향 유동과 전,후 방향으로의 왕복 운동 및, 상기 유동과 상기 왕복 운동 정지가 반복되도록 상기 구동부(20)의 온 구동과 오프를 반복 제어하는 것이고, 상기 인터벌 시간은 상기 업/다운 버튼(65a, 65b)에 의해 업 또는 다운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제어회로부(70)는 상기 업/다운 버튼(65a, 65b)의 업 또는 다운 조작신호 입력시 상기 구동량/인터벌 표시창(66)에 업 또는 다운되어 설정되는 상기 인터벌 시간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인터벌 버튼(64)의 조작신호 입력으로부터 인터벌 시간을 설정하는 이유는, 상기 웍(100)이 고정되는 상기 웍 고정부(50)의 상,하 방향 유동과 전,후 방향으로의 왕복 운동이 정지없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면, 상기 웍(100)에 투입되는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그 조리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이며, 이에따라 인터벌 시간이 필요로 하는 식재료가 상기 웍(100)에 투입시 이에 맞게 인터벌 시간을 설정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조작패널(60)에 형성되는 상기 표시램프(68)는 동작 LED램프로서, 이는 일반모드에서는 상기 제어회로부(70)에 의해 점등 제어되지만, 상기 인터벌 버튼(64)의 조작신호 입력에 따른 인터벌 모드에서는 상기 제어회로부(70)에 의해 점멸 제어되므로, 조리사는 상기 표시램프(68)의 점등 또는 점멸 상태에 따라 상기 웍(100)에 투입되는 식재료가 일반모드에서 조리되고 있는지 또는 인터벌 모드에서 조리되고 있는지를 손쉽게 구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리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우선 가열 본체의 일단에 본체부(10)를 고정하여둔 상태에서, 상기 웍 고정부(50)에 포함되는 웍 안착 프레임(51)이 상기 가열 본체에 형성되는 버너부(200)의 상부에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웍 안착 프레임(51)에 웍(100)을 안착시킨 후, 상기 웍(100)을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웍 고정 프레임(52)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웍(100)에 조리할 식재료를 투입하고, 투입되는 상기 식재료에 따라 조작패널(60)에서 일반조리모드 또는 인터벌 조리모드를 설정한다.
즉, 상기 일반조리모드는 상기 조작패널(60)에 포함되는 인터벌 버튼(64)을 조작하지 않을 때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인터벌 조리모드는 상기 인터벌 버튼(64)을 조작함으로써 선택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일반조리모드에 대하여 설명하면, 조리자는 우선 상기 조작패널(60)에 형성되는 전원버튼(61)을 누른다.
그러면, 상기 전원버튼(61)의 조작신호가 제어회로부(70)에 전달되면서, 상기 제어회로부(70)는 대기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후, 조리자는 상기 웍(100)에 투입되는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구동부(20)에 포함되는 구동모터(21)의 구동량(예; RPM)을 선택하게 된다.
즉, 조리자는 상기 식재료에 따라 상기 조작패널(60)에 형성되는 제 1 내지 제 3 구동량 설정버튼(63a, 63b, 63c)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누르는 것이고, 그러면 상기 제 1 내지 제 3 구동량 설정버튼(63a, 63b, 63c)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누름에 따른 구동량은 상기 조작패널(60)에 형성되는 구동량/인터벌 표시창(66)에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조리자가 상기 조작패널(60)에 형성되는 시작버튼(62)을 누르면, 상기 조작패널(60)에 형성되는 표시램프(68)는 조리자가 인식하도록 상기 제어회로부(70)에 의해 점등 제어되고, 상기 조작패널(60)에 형성되는 카운트 시간 표시창(67)에는 상기 제어회로부(70)에 의해 제어되는 시간이 카운트되는 조리 시간이 표시되면서, 상기 식재료에 대한 조리가 시작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시작버튼(62)을 누른 이후에, 조리자는 버너부(200)를 점화시키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제어회로부(70)의 제어동작에 따라 제 1 내지 제 3 구동량 설정버튼(63a, 63b, 63c) 중 어느 하나의 선택으로 구동량이 결정되는 구동모터(21)의 구동력은 구동축(21b)과 구동풀리(21a), 그리고 벨트(23)를 통해 피동풀리(22a)에 전달되면서, 상기 피동풀리(22a)가 형성되어진 회전봉(22)이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봉(22)의 양단에는 각각 캠 구조물인 회전체(30)가 결합되고, 상기 회전체(30)에는 작동체(40)에 포함되는 제 1 직선로드(41)가 편심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전봉(22)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체(30)가 회전하면, 상기 회전체(30)에 편심되게 결합되어진 상기 제 1 직선로드(41)는 상기 회전봉(22)을 중심으로 동심원 회전을 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 1 직선로드(41)는 물론, 상기 제 1 직선로드(41)로부터 연장되는 곡선로드(43)와, 상기 곡선로드(43)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직선로드(42)는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곡선로드(43)에는 곡선홀(43a)이 형성되고, 상기 곡선홀(43a)은 상기 본체부(1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축(11)을 중심으로 곡선지게 유동하게 되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직선로드(41, 42)와 상기 곡선로드(43)는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에따라 상기 제 2 직선로드(42)에 결합되어진 웍 고정부(50) 및, 상기 웍 고정부(50)에 고정된 웍(100)이 연동하면서 상,하 방향으로의 유동 및 전,후 방향으로의 왕복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웍(100)에 투입되는 식재료는 상기 웍(100)이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때 반복적으로 뒤집어질 수 있고, 이에따라 상기 웍(100)에 투입된 식재료의 볶음 조리는 고르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조리시간은 조리자가 상기 카운트 시간 표시창(67)에 표시되는 시간 카운트 정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카운트 시간 표시창(67)에 표시되는 시간 카운트에 따라 조리자는 상기 식재료에 대한 조리 시간을 파악하면서, 상기 식재료에 대한 조리를 종료 또는 계속 진행할 것인지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인터벌 조리모드에 대하여 설명하면, 조리자는 우선 상기 조작패널(60)에 형성되는 전원버튼(61)을 누른다.
그러면, 상기 전원버튼(61)의 조작신호가 제어회로부(70)에 전달되면서, 상기 제어회로부(70)는 대기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후, 조리자는 상기 웍(100)에 투입되는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구동부(20)에 포함되는 구동모터(21)의 구동량(예; RPM)을 선택하게 된다.
즉, 조리자는 상기 식재료에 따라 상기 조작패널(60)에 형성되는 제 1 내지 제 3 구동량 설정버튼(63a, 63b, 63c)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누르는 것이고, 그러면 상기 제 1 내지 제 3 구동량 설정버튼(63a, 63b, 63c)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누름에 따른 구동량은 상기 조작패널(60)에 형성되는 구동량/인터벌 표시창(66)에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조리자는 상기 조작패널(60)에 형성되는 인터벌 버튼(64)을 누름과 동시에, 상기 조작패널(60)에 형성되는 업/다운 버튼(65a, 65b)을 통해 인터벌 시간을 설정한다.
그러면, 상기 구동량/인터벌 표시창(66)에 인터벌 시간이 표시될 수 있으며, 이후에 조리자가 상기 조작패널(60)에 형성되는 시작버튼(62)을 누른다.
그러면, 상기 조작패널(60)에 형성되는 표시램프(68)는 조리자가 인식하도록 상기 제어회로부(70)에 의해 점멸 제어되고, 상기 조작패널(60)에 형성되는 카운트 시간 표시창(67)에는 상기 제어회로부(70)에 의해 제어되는 시간이 카운트되는 조리 시간이 표시되면서, 상기 식재료에 대한 조리가 시작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시작버튼(62)을 누른 이후에, 조리자는 버너부(200)를 점화시키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제어회로부(70)의 제어동작에 따라 제 1 내지 제 3 구동량 설정버튼(63a, 63b, 63c) 중 어느 하나의 선택으로 구동량이 결정되는 구동모터(21)의 구동력은 구동축(21b)과 구동풀리(21a), 그리고 벨트(23)를 통해 피동풀리(22a)에 전달되면서, 상기 피동풀리(22a)가 형성되어진 회전봉(22)이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봉(22)의 양단에는 각각 캠 구조물인 회전체(30)가 결합되고, 상기 회전체(30)에는 작동체(40)에 포함되는 제 1 직선로드(41)가 편심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전봉(22)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체(30)가 회전하면, 상기 회전체(30)에 편심되게 결합되어진 상기 제 1 직선로드(41)는 상기 회전봉(22)을 중심으로 동심원 회전을 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 1 직선로드(41)는 물론, 상기 제 1 직선로드(41)로부터 연장되는 곡선로드(43)와, 상기 곡선로드(43)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직선로드(42)는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곡선로드(43)에는 곡선홀(43a)이 형성되고, 상기 곡선홀(43a)은 상기 본체부(1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축(11)을 중심으로 곡선지게 유동하게 되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직선로드(41, 42)와 상기 곡선로드(43)는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에따라 상기 제 2 직선로드(42)에 결합되어진 웍 고정부(50) 및, 상기 웍 고정부(50)에 고정된 웍(100)이 연동하면서 상,하 방향으로의 유동 및 전,후 방향으로의 왕복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웍(100)에 투입되는 식재료는 상기 웍(100)이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때 반복적으로 뒤집어질 수 있고, 이에따라 상기 웍(100)에 투입된 식재료의 볶음 조리는 고르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조리시간은 조리자가 상기 카운트 시간 표시창(67)에 표시되는 시간 카운트 정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볶음 조리가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상기 업/다운 버튼(65a, 65b)에 의해 설정되는 인터벌 시간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21)의 구동은 제어회로부(70)에 의해 오프되고, 상기 인터벌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는 다시 온 구동을 하게 되므로, 상기 웍 고정부(50)에 고정된 상기 웍(100)은 상,하 방향으로의 유동 및 전,후 방향으로의 왕복 운동, 그리고 상,하 방향으로의 유동 및 전,후 방향으로의 왕복 운동이 정지되는 것을 반복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상,하 방향으로의 유동 및 전,후 방향으로의 왕복 운동과 그 정지가 반복되면서 상기 식재료에 대한 조리가 이루어질 때, 상기 카운트 시간 표시창(67)에 표시되는 시간 카운트에 따라 조리자는 상기 식재료에 대한 조리 시간을 파악하면서, 상기 식재료에 대한 조리를 종료 또는 계속 진행할 것인지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상기 웍(100)에 대한 상,하 방향으로의 유동 및 전,후 방향으로의 왕복 운동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는 일반조리모드, 그리고 상기 웍(100)을 상,하 방향으로의 유동 및 전,후 방향으로의 왕복 운동과 정지를 반복하는 인터벌 조리모드를 통해, 상기 웍(100)에 투입되는 식재료의 조리를 효율적으로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자동 조리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본체부 11; 가이드축
12; 본체 고정부 13; 안착 지지부
14; 커버 14a; 인출구
20; 구동부 21; 구동모터
21a; 구동풀리 21b; 구동축
22; 회전봉 22a; 피동풀리
23; 벨트 30; 회전체
40; 작동체 41; 제 1 직선로드
42; 제 2 직선로드 43; 곡선로드
43a; 곡선홀 50; 웍 고정부
51; 웍 안착 프레임 51a; 축부
52; 웍 고정 프레임 60; 조작패널
61; 전원버튼 62; 시작버튼
63a, 63b, 63c; 구동량 설정버튼 64; 인터벌 버튼
65a, 65b; 업/다운 버튼 66; 구동량/인터벌 표시창
67; 카운트 시간 표시창 68; 표시램프
70; 제어회로부 100; 웍
200; 버너부

Claims (16)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는 구동부; 상기 본체부의 양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체; 한 쌍을 이루는 상기 회전체에 일단이 각각 결합되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한 쌍의 작동체; 및,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작동체의 타단이 결합되는 축부를 가지는 것으로 웍이 안착되며 상기 웍에 투입되는 식재료가 뒤집어지면서 조리되도록 상기 작동체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웍 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본체부의 후방에 고정되는 것으로 구동풀리가 형성되는 구동축을 가지는 구동모터; 상기 본체부의 후방 양측면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피동풀리가 형성되는 회전봉; 및,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피동풀리를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회전봉에 전달되는 벨트; 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체는 상기 본체부의 후방 양측면에 관통되는 상기 회전봉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면서 상기 회전봉에 의해 회전하는 캠 구조물이고,
    상기 작동체는, 상기 회전체의 일단에 편심되게 축 결합되는 제 1 직선 로드; 상기 웍 고정부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상기 축부에 결합되는 제 2 직선 로드; 및, 상기 제 1 직선로드와 상기 제 2 직선로드 사이에 곡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웍 고정부가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곡선홀을 가지는 곡선 로드; 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에는 상기 곡선홀에 안착되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직선로드와 상기 곡선로드의 상,하 방향 유동과 전,후 방향 왕복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축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로드의 일단에는 상기 제 1 직선로드가 연장되고, 상기 곡선로드의 타단에는 상기 제 2 직선로드가 연장되면서, 상기 제 1 직선로드와 상기 제 2 직선로드는 서로 다른 수평 라인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웍 고정부는,
    웍이 안착되는 것으로 양측부에는 상기 축부가 형성되는 링형의 웍 안착 프레임; 및,
    상기 웍 안착 프레임에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 결합되면서, 상기 웍 안착 프레임에 안착되는 상기 웍에 걸림 고정되는 웍 고정 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는 버너부를 가지는 가열 본체의 일단에 설치 고정되는 본체 고정부와, 상기 가열 본체의 평면에 안착되는 것으로 설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안착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양측부에는 상기 회전체와 상기 작동체의 외부 노출을 차단하는 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작동체의 상,하 방향에 대한 유동과 전,후 방향의 왕복 운동을 위한 인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리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는 제어회로부를 가지는 조작패널을 형성하되, 상기 조작패널에는 상기 제어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전원버튼, 시작버튼, 구동량 설정버튼, 인터벌 버튼, 업/다운 버튼, 구동량/인터벌 표시창, 카운트 시간 표시창, 그리고 표시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리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전원버튼의 조작신호 입력시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전원코드 또는 상기 본체부에 탑재되는 배터리의 구동전원을 상기 구동부에 공급하되, 상기 시작버튼의 조작신호 입력시 상기 구동부가 온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리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량 설정버튼은,
    상기 구동부의 구동량을 저속으로 설정하는 제 1 설정버튼;
    상기 구동부의 구동량을 중속으로 설정하는 제 2 설정버튼; 및,
    상기 구동부의 구동량을 고속으로 설정하는 제 3 설정버튼;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설정버튼의 선택적인 조작신호 입력에 따라 온 구동하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량을 저속 또는 중속 또는 고속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리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설정버튼에 의해 구동량을 선택하는 조작신호가 입력시,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구동량/인터벌 표시창에 선택된 상기 구동량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리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설정버튼에 의해 구동량을 선택하는 조작신호가 입력시,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카운트 시간 표시창에 조리시간을 카운트하는 시간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리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인터벌 버튼의 조작신호 입력시 설정된 인터벌 시간에 따라 상기 웍 고정부의 상,하 방향 유동과 전,후 방향으로의 왕복 운동, 그리고 상기 웍 고정부의 상,하 방향 유동과 전,후 방향으로의 왕복 운동의 정지가 반복되도록 상기 구동부의 온 구동과 오프를 반복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리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벌 시간은 상기 업/다운 버튼에 의해 업 또는 다운 설정되며,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업/다운 버튼의 업 또는 다운 조작신호 입력시 상기 구동량/인터벌 표시창에 업 또는 다운되어 설정되는 상기 인터벌 시간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리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램프는 동작 LED램프이고, 상기 동작 LED램프는 일반조리모드에서는 상기 제어회로부에 의해 점등 제어되고, 상기 인터벌 버튼의 조작신호 입력에 따른 인터벌 조리모드에서는 상기 제어회로부에 의해 점멸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리장치.
KR1020210178811A 2021-06-09 2021-12-14 자동 조리 장치 KR1025337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74865 2021-06-09
KR1020210074865 2021-06-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170A KR20220166170A (ko) 2022-12-16
KR102533725B1 true KR102533725B1 (ko) 2023-05-18

Family

ID=84534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8811A KR102533725B1 (ko) 2021-06-09 2021-12-14 자동 조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72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32593A (ja) 2005-03-07 2008-08-21 リュウ、シャオユウ 鍋振りの方法と装置
CN104887084A (zh) * 2014-03-04 2015-09-09 深圳市繁兴科技有限公司 一种导轨固定式自动颠锅系统
KR101601832B1 (ko) * 2014-12-10 2016-03-09 (주)코리아델로스Kd 볶음 요리용 자동 조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173B1 (ko) 2015-09-03 2017-01-24 홍혜정 자동구동형 조리장치
KR101828159B1 (ko) * 2016-06-30 2018-03-22 임진광 볶음용 팬 자동 스냅 장치
KR101789109B1 (ko) 2016-09-02 2017-10-23 (주) 에너텍 자동 조리 장치
KR20190031812A (ko) 2017-09-18 2019-03-27 정찬수 웍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 조리 장치
KR101935922B1 (ko) 2018-09-12 2019-01-07 (주)케이투시스템이엔지 자동 조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32593A (ja) 2005-03-07 2008-08-21 リュウ、シャオユウ 鍋振りの方法と装置
CN104887084A (zh) * 2014-03-04 2015-09-09 深圳市繁兴科技有限公司 一种导轨固定式自动颠锅系统
KR101601832B1 (ko) * 2014-12-10 2016-03-09 (주)코리아델로스Kd 볶음 요리용 자동 조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170A (ko) 2022-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00060C (zh) 锅具运动装置
CN101505640B (zh) 一种锅具运动方法和装置
EP0832634A1 (en) Massage machine
CN100500061C (zh) 一种用于烹调设备的翻动工具
CN109440312B (zh) 一种缝纫机上剪线和抬压脚装置的控制方法
CN106388550A (zh) 用于具有搅动机构的烹饪设备的烹饪方法和对应的烹饪设备
CN104000510A (zh) 晃锅方法及其装置
CN109497820A (zh) 智能炒菜机
CN107087991B (zh) 回锅装置及家用自动烹饪设备
KR102533725B1 (ko) 자동 조리 장치
CN105747825B (zh) 自动烹饪机
KR20200000280A (ko) 다용도 요리기
US20130177687A1 (en) Toasting Appliance
CN105640295A (zh) 全自动烹饪机
CN108056663B (zh) 全自动炒菜机
CN110786724B (zh) 一种多功能自动炒菜机
CN112391745B (zh) 一种缝纫机的抬压脚和剪线驱动结构及其控制方法
CN113662424A (zh) 一种自动炒菜机
CN101779708B (zh) 一种数控炒茶机
KR20230097531A (ko) 음식물 자동 조리기
KR100316868B1 (ko) 전자렌지
KR20240043415A (ko) 음식물 자동 조리기
DE212005000017U1 (de) Mittel zur Inbetriebnahme eines automatischen Toasters
KR100210066B1 (ko)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
KR200243024Y1 (ko) 온열치료기의 구동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