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0066B1 -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0066B1
KR100210066B1 KR1019960012030A KR19960012030A KR100210066B1 KR 100210066 B1 KR100210066 B1 KR 100210066B1 KR 1019960012030 A KR1019960012030 A KR 1019960012030A KR 19960012030 A KR19960012030 A KR 19960012030A KR 100210066 B1 KR100210066 B1 KR 100210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table
turntable shaft
shaft
moto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2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3201A (ko
Inventor
한석진
이응섭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12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0066B1/ko
Priority to JP8227039A priority patent/JP2859586B2/ja
Priority to CN96111777A priority patent/CN1085818C/zh
Priority to MYPI96003622A priority patent/MY113875A/en
Priority to GB9618318A priority patent/GB2305093B/en
Priority to US08/794,343 priority patent/US5804800A/en
Publication of KR980003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3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0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00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8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05B6/6411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the supports being rota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 Constitution Of High-Frequency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턴테이블을 회전 및 승하강시키는 턴테이블축과, 치형적으로 맞물림에 의한 구동원에 의해 턴테이블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턴테이블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턴테이블 회전수단과, 경사궤도에 의한 구동원에 의해 턴테이블을 승하강시키도록 상기 턴테이블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턴테이블 승하강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갯수를 줄여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하고, 턴테이블축을 지지하는 홀더부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턴테이블축의 원활한 동작을 유도하여 소음 및 진동을 없앨 수 있게 하며, 턴테이블 회전용 모터와 턴테이블 승하강용 모터를 좌우 대치되는 위치에 설치하여 복수개의 기어 맞물림조립을 용이하게 개선함과 동시에 전체적인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전자렌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턴테이블 구동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3도는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3도는 본 발명의 턴테이블 구동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제4도 및 제5도는 턴테이블축의 최저위치와 최고위치를 각각 나타낸 제3도의 D-D선 종단면도.
제6도는 제3도에서 제6기어와 턴테이블측의 결합을 나타낸 사시도.
제7도 및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7도는 본 발명의 턴테이블 구동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E부분을 확대한 요부단면도.
제9도 내지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9도는 본 발명의 턴테이블 구동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10도는 제9도의 요부 결합평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평면도.
제13도는 턴테이블축이 견인부재를 진입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
제14도는 회전캠에 의해 턴테이블축이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측면도.
제15도는 견인부재에 의해 턴테이블축이 강제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 : 턴테이블 70 : 턴테이블축
205 : 커버부재 207 : 제1모터
213 : 베이스판 215 : 제2모터
209 : 제6기어 211 : 제7기어
217 : 제8기어 219 : 체결축
211,410 : 회전캠 227,330 : 홀더부재
300 : 턴테이블 회전수단 310 : 턴테이블 승하강수단
320 : 동력전달수단 324 : 상측저어널부재
326 : 하측저어널부재 328 : 전동기어
400 : 접촉부재 420 : 견인부재
본 발명은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턴테이블을 회전시키면서 승하강운동시켜 식품을 보다 균일하고 신속하게 조리를 행할 수 있도록 한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렌지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렌지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커버(1)의 내부에 식품을 수용함과 동시에 식품을 가열하도록 일정면적으로 공간을 가진 가열실(2)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가열실(2)의 상부에는 고주파를 분산시켜서 가열실(2)내에 수용된 식품을 균일하게 가열시키도록 스터러커버(3)내에 축(4)을 매개로 회전자유롭게 스터러날개(5)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스터러날개(5)의 상측에는 고주파가 스터러날개(5)에 의해 분산되어 가열실(2)내에 안내되도록 도파관(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파관(6)의 일측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고압전원을 인가받아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7)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커버(1)내의 일측에는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되면서 그 송풍력에 의해 상기 마그네트론(7)의 가동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킴과 동시에 상기 스터러날개(5)를 회전시키도록 냉각팬(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열실(2)의 내측 바닥에는 식품을 닫은 조리대나 또는 용기를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턴테이블(9)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열실(2)의 외측 바닥에는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면서 상기 턴테이블(9)을 회전시키도록 구동수단(10)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자렌지는, 가열실(2)내에 설치된 턴테이블(9)상에 조리하고자 하는 식품을 담은 조리대나 또는 용기를 올려놓은 다음, 도시하지않은 조작스위치를 조작하면, 마그네트론(7)은 고압전원을 인가받아 발진되면서 고주파를 발생하게 되고, 이 고주파는 도파관(6)을 따라 스터러커버(3)의 내부로 안내됨과 동시에 스터러커버(3)내에 회전가능케 장착된 스터러날개(5)에 안내된다.
이때, 스터러날개(5)는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냉각팬(8)의 송풍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그 몸체에 부딪치는 고주파를 가열실(2)내부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공급함으로써 턴테이블(9)상에 놓인 식품을 유전가열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턴테이블(9)은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구동수단(10)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턴테이블(9)상에 놓인 식품에 고른 고주파가 조사되어 식품을 더욱 빠르게 유전가열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에 의하면, 가열실(2)내부의 공간활용 및 효과적인 식품조리를 위해 가열실(2)의 내부에 투입되는 식품의 놓임위치를 가열실(2)의 소정높이 방향으로 조절할 필요가 있으나, 이러한 구조에서 턴테이블(9)은 구동수단(1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뿐, 승하강동작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종래는 이런 문제점의 해결방안으로 일본국 실용신안공개공보 평1-150396호가 제안되어 왔었다. 동 공보의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턴테이블(9)을 회전동작시키는 턴테이블 회전수단(20)과, 링크방식에 의해 상기 턴테이블(9)을 승하강동작시키는 턴테이블 승하강수단(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턴테이블 회전수단(20)은, 상기 케이스커버(1)의 내측 바닥에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제1모터(2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모터(21)의 상부에는 구동커플링(22)이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이 구동커플링(22)은 상기 턴테이블(9)의 저면 중앙에 하향되게 돌출되면서 상기 가열실(2)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종동커플링(23)과 세레이션방식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턴테이블 승하강수단(30)은, 상기 턴테이블(9)을 지지함과 동시에 승하강시키도록 상기 가열실(2)의 바닥에 형성된 제1 및 제2안내부재(31)(32)에 의해 각각 안내되는 제1 및 제2슬라이드봉(33)(34)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제1 및 제2슬라이드봉(33)(34)의 하단부에는 제1슬라이드봉(33)과 제2슬라이드봉(34)의 승하강 이동거리를 구속하도록 한쌍의 제1 및 제2좌측링크부재(35a)(35b)와 한쌍의 제1 및 제2우측링크부재(36a)(36b)가 각각 절곡가능케 힌지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좌측링크부재(35a)와 제2좌측링크부재(35b) 및, 제1우측링크부재(36a)와 제2우측링크부재(36b)를 연결하는 힌지부분에는 이들을 승하강방향으로 동시 절첩가능케 구동시키도록 전후이동되는 연결링크부재(37)가 힌지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우측링크부재(36a)와 제2우측링크부재(36b)를 연결하는 힌지결합부분에는 상기 연결링크부재(37)를 전후이동시키도록 구동링크부재(38)가 힌지결합되어 있고, 이 구동링크부재(38)의 타측단에는 회전운동을 구동링크부재(38)의 전후왕복운동으로 바꾸어 주도록 캠(39)을 가진 워엄휘일(4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워엄휘일(40)은 제2모터(41)에 연결된 워엄(42)과 치형적으로 맞물림되어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50은 상기 턴테이블(9)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상기 제1안내부재(31)와 인접되는 상기 가열실(2)의 바닥 일측면에 설치되는 감지수단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에 의한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는, 도시하지 않은 조작수단을 조작하여 제2모터(41)을 구동시키면, 제2모터(41)는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면서 모터축(부호도시안됨)에 고정된 워엄(42)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 워엄(42)은 치형적으로 맞물림된 워엄휘일(40)을 회전시키게 됨과 동시에 워엄휘일(40)에 일체로 결합된 캠(39)을 동작시킴으로써 캠(39)은 그 일측에 유동가능케 힌지결합된 구동링크부재(38)을 전후왕복운동시키게 된다.
이때, 구동링크부재(38)는 그 일측단과 힌지결합된 연결링크부재(37)를 전후왕복운동시키게 되고, 이 연결링크부재(37)는 좌우측 양단에 각각 힌지결합된 제1 및 제2좌측링크부재(35a)(35b)와 제1 및 제2우측링크부재(36a)(36b)를 동시 승하강방향으로 절첩시키게 되며, 이들 제1 및 제2좌측링크부재(35a)(35b)와 제1 및 제2우측링크부재(36a)(36b)가 동시 승하강방향으로 절첩될 때 상기 제1좌측링크부재(35a)와 제1우측링크부재(36a)의 상단에 각각 힌지결합된 제1슬라이드봉(33)과 제2슬라이드봉(34)은 제1 및 제2안내부재(31)(32)의 안내를 받아 동시 승하강되면서 그 상단면에 재치된 턴테이블(9)을 승하강시켜 줌으로써 턴테이블(9)은 상기 가열실(2)내에서 소정의 높이로 승하강조절이 이루어진다.
이때, 턴테이블(9)은 그 하측에 설치된 종동커플링(23)이 제1모터(21)의 모터축(도시안됨)에 고정된 구동커플링(22)과 세레이션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드봉(33)(34)의 승하강될 때 종동커플링(23)은 구동커플링(22)과 세레이션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승하강되면서 턴테이블(9)을 승하강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2모터(41)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턴테이블(9)이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가열실(2)내의 소정높이에 위치하면, 가열실(2)의 바닥 일측에 설치된 감지수단(50)의 감지신호에 따라 도시하지 않은 제어수단에 의해 제2모터(41)의 가동이 정지되고, 제1모터(21)의 회전방향에 따라 턴테이블(9)은 일정한 높이에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에 의한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에 의하면, 제2모터(41)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각도를 변환시키는 워엄방식과, 이 워엄방식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관절운동되면서 턴테이블(9)을 최소한 3점지지함과 동시에 승하강시키는 복수개의 링크방식으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할뿐만 아니라 쉽게 고장이 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텐테이블(9)이 회전구동될 때 턴테이블(9)을 일정높이로 3점지지하는 복수개의 슬라이드봉(33)(34)이 항상 턴테이블(9)의 저면과 접촉되어 있으므로, 마찰소음을 유발시킴은 물론 그 마찰력에 의해 부품이 마모되어 정확한 3점지지가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를 구동하여 연동되는 다수의 기어전동에 의해 턴테이블축을 회전시켜 턴테이블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턴테이블축을 경사궤도에 따라 승하강시켜 턴테이블을 승하강시킬 수 있음은 물론,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갯수를 줄여 그에 따라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턴테이블축을 지지하는 홀더부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턴테이블축의 원활한 동작을 유도하여 소음 및 진동을 없앨 수 있도록 한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턴테이블 회전용 모터와 턴테이블 승하강용 모터를 좌우 대치되는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복수개의 기어 맞물림조립을 용이하게 개선함과 동시에 전체적인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턴테이블축이 하강될 때 턴테이블상에 얹혀진 식품의 언밸런스에 따라 턴테이블축에 가해지는 편하중에 의해서 턴테이블축이 제대로 하강되지 못하는 것을 강제적으로 하강시켜 턴테이블축의 원활한 승하강을 유도함과 동시에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렌지의 텐테이블 구동장치는, 전자렌지의 텐테이블 구동장치에 있어서, 턴테이블을 회전 및 승하강시키는 턴테이블축과, 상기 턴테이블축의 회전을 위해 구동되는 제1모터와, 상기 제1모터의 동력에 따라 상기 턴테이블축이 회전되도록 턴테이블축과 제1모터에 각각 설치되고 상호 맞물림되는 제6 및 제7기어와, 상기 턴테이블축의 승하강을 위해 구동되는 제2모터와, 상기 제2모터의 동력에 따라 상기 턴테이블축이 승하강되도록 제2모터와 턴테이블축에 각각 설치되고 상호 맞물림되는 제8기어 및 회전캠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렌지의 텐테이블 구동장치는,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에 있어서, 턴테이블을 회전 및 승하강시키는 턴테이블축과,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턴테이블축을 회전시키도록 턴테이블축에 형성맞춤된 전동기어와, 상기 턴테이블축에 형성맞춤됨과 동시에 상기 전동기어의 상, 하측에 설치되면서 회전되는 상측 및 하측저어널부재와, 상기 전동기어와 상측 및 하측저어널부재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수용하는 홀더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는, 턴테이블을 회전 및 승하강시키는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에 결합된 턴테이블축을 회전시키도록 커버부재에 설치된 제1모터와, 상기 제1모터와 좌우 대치되는 방향으로 베이스판에 설치된 제2모터와, 상기 제2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턴테이블축을 승하강시키도록 상기 베이스판에 설치된 회전캠과, 상기 회전캠의 회전에 따라 턴테이블축이 하강될 때 턴테이블축에 가해지는 편하중에 의해서 턴테이블축이 하강되지 못하는 것을 강제적으로 하강시키도록 회전캠에 설치된 견인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제3도 내지 제6도에 따라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병기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도 내지 제6도에 있어서, 가열실(2)의 바닥에 턴테이블(9)을 회전시키는 턴테이블축(70)이 설치되어 있고,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도록 커버부재(205)의 일측에 제1모터(207)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턴테이블축(70)을 회전시키도록 턴테이블축(70)의 외경에 제6기어(209)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제6기어(209)와 치형적으로 맞물림되어 제6기어(209)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1모터(207)에 돌설된 모터축(부호도시안됨)에 제7기어(211)가 설치되어 있고,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도록 베이스판(213)의 일측에 제2모터(21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모터(215)의 구동에 따라 연동되도록 제2모터(215)에 돌설된 모터축(부호도시안됨)에 제8기어(217)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8기어(217)와 치형적으로 맞물림되어 상기 턴테이블축(70)을 승하강시키도록 상기 베이스판(213)의 타측에 체결축(219)에 의해 회전자유롭게 회전캠(221)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턴테이블축(70)은 그 형상이 상기 제6기어(209)가 회전됨에 따라 연동 회전되도록 D자로 형성되어 있고, 그 일단은 상기 회전캠(221)의 경사궤도를 따라 점접촉되어 미끄럼운동되도록 반구면(203a)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외주면에는 상기 턴테이블축(70)이 유동됨없이 원활히 회전됨과 동시에 승하강되도록 베어링(223)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베어링(223)은 커버부재(205)에 다수개의 체결부재(225)를 매개로 결합된 홀더부재(227)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6기어(209)는 상기 턴테이블축(70)이 회전됨과 동시에 승하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턴테이블축(70)의 D자로 형상의 외주면보다 큰 D자 형상의 내주면을 가진 관통구멍(209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재(205)와 베이스판(213)에는 결합시 서로 맞닿는 일측부분이 체결부재(229)에 의해 결합되도록 외측방향으로 각각 플랜지부(부호도시안됨)가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캠(221)에는 그 하단 외주면에 상기 제8기어(217)와 치형적으로 맞물림되도록 기어잇빨(221a)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단은 턴테이블축(70)이 승하강되도록 일정각도의 경사부(221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부(221b)에 대하여 그 가장자리 상면에는 상기 턴테이블축(70)이 점접촉에 의한 미끄럼운동에 의해서 회전됨과 동시에 승하강되도록 반구형상의 경사궤도면(221c)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31은 센서를 나타낸 것으로서 그 센서(231)는 상기 턴테이블축(70)이 가장낮은 위치로 하강될 때 그 위치를 감지하도록 상기 베이스판(213)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에 있어서, 턴테이블축(70)의 승하강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초기 대기상태에서 센서(231)가 턴테이블축(70)이 가장 낮은 위치로 하강된 것을 감지하게 되면, 제2모터(215)의 구동에 따라 모터축(부호도시안됨)이 회전하게 되고, 이 모터축의 회전에 따라 제8기어(217)가 회전되면서 제8기어(217)와 치형적으로 맞물린 회전캠(221)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캠(221)이 회전되면서 그 상면에 형성된 경사부(221b)의 높이차이가 변화될 때 상기 턴테이블축(70)은 그 하단에 형성된 반구면(203a)이 상기 경사부(221b)에 형성된 반구형상의 경사궤도면(221c)을 따라 미끄럼운동됨과 동시에 승하강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턴테이블축(70)의 높이에 따른 위치제어는 제2모터(215)의 회전수 제어에 이루어진다.
다음은, 턴테이블축(70)의 회전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1모터(207)의 구동에 따라 모터축(부호도시안됨)이 회전되면서 그 모터축에 결합된 제7기어(211)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 제7기어(211)는 회전되면서 외주면에 치형적으로 맞물림된 제6기어(209)를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제6기어(209)는 회전되면서 제6기어(209)의 관통구멍(209a)에 삽입된 상기 턴테이블축(70)을 동시 회전시킴으로써 텐테이블축(70)의 상단에 결합된 텐테이블(9)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턴테이블축(70)은 회전캠(221)의 경사궤도에 따라 동시 승하강되면서 턴테이블(9)을 승하강시킴과 동시에 제6기어(209)의 회전에 따라 동시 회전되면서 턴테이블(9)을 회전운동시킴으로써 턴테이블(9)이 회전됨과 동시에 승하강되는 3차원 운동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에 의하면, 제1 및 제2모터(207)(215)를 각각 일측에 구비하여서 제1모터(207)의 구동력이 제6기어(209)에 전달되어 턴테이블축(70)을 회전시킴으로써 턴테이블(9)을 회전시키고, 제2모터(215)의 구동력이 회전캠(221)에 전달되어 경사궤도에 따라 턴테이블축(70)을 승하강시킴으로써 턴테이블(9)을 승하강시킬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이므로, 부품갯수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그에 따른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제7도 및 제8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면에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병기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7도 및 제8도에 있어서, 턴테이블 회전수단(300)은 커버부재(205)와 베이스판(213)의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내에 위치되면서 그 커버부재(205)에 설치되고, 턴테이블 승하강수단(310)은 커버부재(205)와 베이스판(213)의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내에 위치되면서 그 베이스판(213)에 설치되어 있으며, 동력전달수단(320)은 커버부재(205)와 베이스판(213)의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내에 위치되면서 그 커버부재(203)설치되어 있다.
상기 동력전달수단(320)은 턴테이블(9)과 결합된 턴테이블축(70)의 외주면에 상측 및 하측저어널부재(324)(326)가 끼워맞춤에 의해 결합되어 있고, 이들 상측저어널부재(324)와 하측저어널부재(326)의 사이에 대하여 상기 턴테이블축(70)의 외주면에는 전동기어(328)가 끼워맞춤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상측 및 하측저어널부재(324)(326)의 외주면에는 회전을 지지하는 홀더부재(330)가 상기 커버부재(205)에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측 및 하측저어널부재(324)(326)는 상기 텐테이블축(70)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D자 형상의 외주면에 형상맞춤되어 원활히 미끄럼운동되도록 중앙에 관통구멍(부호도시안됨)이 형성되어 있고, 이중 하측저어널부재(326)의 상면에는 링형상의 요홈(326a)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상측 및 하측저어널부재(324)(326)는 플라스틱이나 또는 테프론(teflon)코팅이 되어 있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전동기어(328)는 그 중앙에 형성된 D자 형상의 내주면이 상기 턴테이블축(70)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D자 형상의 외주면과 형상맞춤되어 있고, 그 외주면은 상기 제1모터(207)의 모터축(부호도시안됨)에 결합된 제7기어(211)와 치형적으로 맞물림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전동기어(328)의 하면에는 상기 하측저어널부재(326)의 상면에 형성된 요홈(326a)에 삽입되는 링형상의 돌기(328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부재(330)는 상기 전동기어(328)를 회전가능케 수용함과 동시에 전동기어(328)의 외주면 일부가 측방향으로 노출되어 상기 제6기어(211)와 치형적으로 맞물림되도록 둘레면에 대하여 일부분이 절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는, 제1모터(207)를 구동시키면, 제1모터(207)의 모터축에 결합된 제6기어(211)가 회전하게 되고, 제6기어(211)는 치형적으로 맞물림된 전동기어(328)를 회전시킴으로써 전동기어(328)과 형상맞춤에 의해 결합된 턴테이블축(70)이 동시 회전되어 턴테이블(9)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턴테이블축(70)이 회전될 때 턴테이블축(70)과 형상맞춤에 의해 전동기어(328)를 중심으로 상하측에 결합된 상측 및 하측저어널부재(324)(326)은 홀더부재(330)내에서 미끄럼운동을 하게 된다.
또, 전동기어(328)와 하측저어널부재(326)는 그 사이에 상호 대응되게 결합된 돌기(328a)와 요홈(326a)의 최소면적에 의한 접촉에 의해 회전가이드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턴테이블축(7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여 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에 의하면, 턴테이블축(70)의 회전기능과 승하강기능이 서로 독립적으로 역할을 수행할 때 턴테이블축(70)과 홀더부재(330)의 사이에 회전가능케 개재된 상측 및 하측저어널부재(324)(326)에 의해 홀더부재(330)의 마모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홀더부재(33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턴테이블축(70)의 원활한 동작을 유도하여 소음 및 진동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제9도 내지 제15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면에서 제1 및 제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병기하여,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9도 내지 제15도에 있어서, 가열실(2)의 바닥에 턴테이블(9)을 회전시키는 턴테이블축(70)이 형상맞춤에 의해 결합되어 있고,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도록 커버부재(205)의 일측에 제1모터(207)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턴테이블축(70)을 회전시키도록 턴테이블축(70)의 외경에 제6기어(209)가 형상맞춤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또, 상기 제6기어(209)와 치형적으로 맞물림되어 제6기어(209)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1모터(207)의 모터축(부호도시안됨)에 제7기어(211)가 결합되어 있고,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도록 베이스판(213)의 일측에 대하여 상기 제1모터(207)와 좌우 대치되는 방향으로 제2모터(21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모터(215)의 구동에 따라 연동되도록 제2모터(215)의 모터축(부호도시안됨)에 제8기어(217)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8기어(217)와 치형적으로 맞물림되어 상기 턴테이블축(70)을 승하강시키도록 상기 베이스판(213)의 타측에 체결축(219)에 의해 회전자유롭게 회전캠(410)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턴테이블축(70)은 그 외주면에 대하여 소정부분의 형상이 상기 제6기어(209)가 회전됨에 따라 연동되도록 D 자로 형성되어 있고, 이 D 자 형상의 외주면에는 턴테이블축(70)이 유동됨없이 원활히 회전됨과 동시에 승하강되도록 홀더부재(227)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 홀더부재(227)는 상기 커버부재(205)의 저면에 다수의 체결부재(225)에 의해 결합되어 있고, 그 내주면에는 상기 턴테이블축(70)이 회전 및 승하강을 원활히하도록 내마모성이 높은 베어링(223)이 끼워맞춤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또, 상기 턴테이블축(70)의 하단에는 상기 회전캠(410)의 경사궤도면을 따라 점접촉되어 용이하게 미끄럼운동되면서 회전캠(410)이 마모되지 않도록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반구형상의 접촉부재(400)가 열융착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접촉부재(400)의 상단 외주에는 후술하는 견인부재의 견인작용에 의해 상기 턴테이블축(70)이 강제적으로 하강되도록 턴테이블축(7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진 걸림턱(400a)이 일체로 돌설되어 있다.
상기 제6기어(209)에는 그 중앙에 상기 턴테이블축(70)이 회전됨과 동시에 승하강되도록 턴테이블축(70)의 D 자 형상의 외주면보다 큰 D 자 형상의 내주면을 가진 관통구멍(209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재(205)와 베이스판(213)에는 결합시 서로 맞닿는 일측부분이 체결부재(229)에 의해 결합되도록 외측방향으로 각각 플랜지부(부호도시안됨)가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캠(410)에는 그 하단 외주면에 상기 제8기어(217)와 치형적으로 맞물림되도록 기어잇빨(410a)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면 외주에는 턴테이블축(70)이 승하강되도록 일정각도의 경사벽(410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벽(410b)에 대하여 그 상면에는 회전캠(410)이 회전될 때 상기 턴테이블축(70)의 하단에 열융착된 접촉부재(400)와 항상 접촉된 상태에서 턴테이블축(70)이 승하강되도록 오목한 반구형상의 경사궤도면(410c)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면 평탄부 가장자리에는 후술하는 견인부재가 탄발력에 의한 걸림작용에 의해 결합되도록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걸림홈(410b)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경사벽(410b)은 그 상면이 점차적으로 일측이 높고 타측이 낮은 경사부를 갖도록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경사벽(410b)의 상면에 상기 턴테이블축(70)의 하부에 결합된 접촉부재(400)가 미끄럼운동되도록 경사궤도면(410c)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회전캠(410)에는 그 회전에 의해 턴테이블축(70)이 하강될 때 턴테이블축(70)에 가해지는 편하중에 의해서 턴테이블축(70)이 하강되지 못하는 것을 강제적으로 하강시키도록 견인부재(420)가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견인부재(420)는 상기 회전캠(410)의 상부를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경사벽(410b)의 내주연에 위치될 때 그 상면이 경사벽(410b)의 상면 높낮이와 대응되는 경사각도를 갖는 링형상의 몸체(420a)가 형성되어 있고, 이 몸체(420a)의 상면에 대하여 일측둘레에는 상기 회전캠(410)이 회전될 때 턴테이블축(70)이 강제 하강되도록 턴테이블축(70)의 하부에 결합된 접촉부재(400)의 걸림턱(400a)을 견인하는 반원링 형상의 견인턱(420b)이 외측으로 직각되게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420a)의 하면 둘레에 대하여 소정위치에는 상기 회전캠(410)의 평탄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홈(410d)에 대응되게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견인부재(420)가 회전캠(410)에 결합되도록 복수개의 고정돌기(420c)가 돌설되어 있다.
이때, 상기 견인턱(420b)은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캠(410)의 회전에 따라 턴테이블축(70)이 하강될 때 턴테이블축(70)의 하부측 접촉부재(400)의 걸림턱(400a)을 하부로 눌러주도록 경사궤도면(410c)의 360°거리에 대하여 경사최고구간에서 경사최저구간 사이에 절곡되어 있다.
즉, 상기 견인턱(420b)에 의한 턴테이블축하강구간(R1)은 턴테이블축상승구간(R2)보다 긴 구간을 갖도록 양단에 일정길이의 연장부(L1)(L2)가 형성되어 있고, 이중 연장부(L1)는 상기 접촉부재(400)의 걸림턱(400a)이 상기 턴테이블축하강구간(R1)으로 용이하게 진입되도록 진입구가 상향되는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있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231은 상기 턴테이블축(70)이 가장낮은 위치로 하강될 때 그 위치를 감지하도록 상기 베이스판(213)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센서를 나타낸 것이고, 232는 상기 제7기어(211)가 회전될 때 제7기어(211)에 형성된 소정위치의 돌기(부호도시안됨)에 걸려 제1모터(207)의 회전수를 제어하도록 상기 커버부재(205)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센서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는, 턴테이블축(70)의 승하강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초기 대기상태에서 제1센서(231)가 턴테이블축(70)이 가장 낮은 위치로 하강된 것을 감지하게 되면 제2모터(215)의 구동에 따라 모터축(부호도시안됨)이 회전하게 되고, 이 모터축의 회전에 따라 제8기어(217)가 회전되면서 제8기어(217)와 치형적으로 맞물린 회전캠(410)을 일방향(예컨대, 좌측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캠(410)이 회전되면서 그 상면에 형성된 경사벽(410b)의 높이차이가 변화될 때 상기 턴테이블축(70)은 그 하단에 열융착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 접촉부재(400)의 반구형상면이 상기 경사벽(410b)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반구형상의 경사궤도면(410c)을 따라 점접촉되어 미끄럼운동됨과 동시에 승하강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즉, 턴테이블축(70)은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캠(410)이 좌측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G부분의 경사궤도면(410c)이 턴테이블축(70)의 하부를 지날 때 최대높이로 상승된 상태가 되고, G부분의 경사궤도면(410c)에서 H부분의 경사궤도면(410c)과 I부분의 경사궤도면(410c)으로 이어지는 턴테이블축하강구간(R1)이 턴테이블축(70)의 하부를 순차적으로 지날 때 서서히 하강동작되면서 I부분의 경사궤도면(410c)이 턴테이블축(70)의 하부에 도달시 최저높이로 하강된 상태가 되며, I부분의 경사궤도면(410c)에서 J부분의 경사궤도면(410c)과 G부분의 경사궤도면(410c)으로 이어지는 턴테이블축상승구간(R2)이 턴테이블축(70)의 하부를 순차적으로 지날 때 서서히 상승동작되면서 G부분의 경사궤도면(410c)이 턴테이블축(70)의 하부에 도달시 최고높이로 상승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이때, 회전캠(410)의 G부분의 경사궤도면(410b)이 턴테이블축(70)의 하부를 지날 때 제1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턴테이블축(70)의 하부에 결합된 접촉부재(400)의 걸림턱(400a)은, 경사궤도면(410c)에 대하여 턴테이블축하강구간(R1)에만 설치되고 회전캠(41)과 함께 동시 회전되는 견인부재(420)의 견인턱(420b) 단부에 일정각도로 상향 절곡된 연장부(L1)에 의해 견인턱(420b)과 경사궤도면(410c)의 사이로 용이하게 진입되면서 턴테이블축(70)을 강제적으로 하강시키게 된다.
그리고, 견인턱(420b)과 경사궤도면(410c)의 사이로 진입된 턴테이블축(70)은 턴테이블축하강구간(R1)이 통과될 때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제적으로 하강되기 때문에 턴테이블(9)상에 얹혀진 식품의 언밸런스에 의해 턴테이블축(70)에 편하중이 발생되어 자중하강이 이루어지지 않는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턴테이블축하강구간(R1)이 지나고 턴테이블축상승구간(R2)이 턴테이블축(70)의 하부를 지날 때 턴테이블축(70)은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견인부재(420)의 간섭을 받지 않고 점차적으로 경사도가 높아지는 회전캠(410)의 경사궤도면(410c)에 의존하여 강제적으로 상승동작되게 된다.
이때, 상기 턴테이블축(70)의 높이에 따른 위치제어는 제2모터(215)의 회전수 제어에 이루어진다.
다음은, 턴테이블축(70)의 회전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1모터(207)의 구동에 따라 모터축(부호도시안됨)이 회전되면서 그 모터축에 결합된 제7기어(211)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 제7기어(211)는 회전되면서 외주면에 치형적으로 맞물림된 제6기어(209)를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제6기어(209)는 회전되면서 제6기어(209)의 관통구멍(209a)에 삽입된 상기 턴테이블축(70)을 동시 회전시킴으로써 턴테이블축(70)의 상단에 결합된 턴테이블(9)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턴테이블축(70)은 회전캠(410)의 경사궤도면(410c)을 따라 동시 승하감됨과 동시에 제6기어(209)의 회전에 따라 동시 회전됨으로써 턴테이블(9)이 승하강됨과 동시에 회전되는 3차원 운동을 수행하도록 동작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에 의하면, 제1 및 제2모터(207)(215)를 좌우대치되는 방향으로 일측에 설치하여서 제1모터(207)의 구동력이 제6기어(209)에 전달되어 턴테이블축(70)을 회전시킴으로써 턴테이블(9)을 회전시키고, 제2모터(215)의 구동력이 회전캠(410)에 전달되어 경사궤도면(410c)에 따라 턴테이블축(70)을 승하강시킴으로써 턴테이블(9)을 승하강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부품갯수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그에 따른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제1모터(207)가 커버부재(205)에 조립될 때 제7기어(211)와 제6기어(209)를 치형적으로 맞물리게 하고, 제2모터(215)가 베이스판(213)에 조립될 때 제8기어(217)와 회전캠(410)을 치형적으로 맞물리게 한 다음, 상기 커버부재(205)와 베이스판(213)을 다수의 체결부재(229)에 의해 상호 조립시킬 때 턴테이블축(70)의 하단측 접촉부재(400)가 회전캠(410)의 경사궤도면(410c)에 자동적으로 세팅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기어세팅에 소요되는 작업공수를 없앨 수 있음은 물론 작업능률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회전캠(410)의 경사궤도면(410c)을 따라 턴테이블축(70)이 하강될 때 턴테이블(9)상에 얹혀진 식품의 언밸런스에 의해 턴테이블축(70)에 가해지는 편하중에 의해서 턴테이블축(70)이 제대로 하강되지 못하는 것을 강제적으로 하강시키도록 회전캠(410)에 견인부재(420)를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턴테이블축(70)의 원활한 승하강을 유도할 수 있음과 동시에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17)

  1.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에 있어서, 턴테이블을 회전 및 승하강시키는 턴테이블측과, 상기 턴테이블축의 회전을 위해 구동되는 제1모터와, 상기 제1모터의 동력에 따라 상기 턴테이블축이 회전되도록 턴테이블축과 제1모터에 각각 설치되고 상호 맞물림되는 제6 및 제7기어와, 상기 턴테이블축의 승하강을 위해 구동되는 제2모터와, 상기 제2모터의 동력에 따라 상기 턴테이블축이 승하강되도록 제2모터와 턴테이블축에 각각 설치되고 상호 맞물림되는 제8기어 및 회전캠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캠에는 그 하단 외주면에 상기 제8기어와 맞물림되도록 형성된 기어이빨과, 그 상단은 상기 턴테이블축이 승하강되도록 형성된 일정각도의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에 대하여 그 가장자리 상면에 상기 턴테이블축이 미끄럼운동에 의한 접촉에 의해서 회전됨과 동시에 승하강되도록 형성된 반구형상의 경사궤도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축에는 그 일단에 상기 회전캠의 경사궤도를 따라 용이하게 미끄럼운동되도록 형성된 반구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6기어의 외측에는 상기 턴테이블축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승하강시키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을 지지하여 상기 턴테이블축의 유동을 방지하는 홀더부재에 의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
  5.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에 있어서, 턴테이블을 회전 및 승하강시키는 턴테이블축과,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턴테이블축을 회전시키도록 턴테이블축에 형상맞춤된 전동기어와, 상기 턴테이블축에 형상맞춤됨과 동시에 상기 전동기어의 상,하측에 설치되면서 회전되는 상측 및 하측저어널부재와, 상기 전동기어와 상측 및 하측저어널부재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수용하는 홀더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어에는 그 상면 및 하면에 상기 상측 및 하측저어널부재에 삽입되는 링형상의 돌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및 하측저어널부재에는 그들 하면 및 상면에 상기 전동기어의 상,하면에 형성된 돌기가 각각 대응되게 끼워맞춤되는 요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및 하측저어널부재는 플라스틱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및 하측저어널부재는 그 표면에 테프론코팅된 금속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
  10.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에 결합된 턴테이블축을 회전시키도록 커버부재에 설치된 제1모터와, 상기 제1모터와 좌우 대치되는 방향으로 베이스판에 설치된 제2모터와, 상기 제2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턴테이블축을 승하강시키도록 상기 베이스판에 설치된 회전캠과, 상기 회전캠의 회전에 따라 턴테이블축이 하강될 때 턴테이블축에 가해지는 편하중에 의해서 턴테이블축이 하강되지 못하는 것을 강제적으로 하강시키도록 회전캠에 설치된 견인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축의 하부에는 상기 견인부재의 견인력에 의해 하강될 때 턴테이블축을 동시 하강시키도록 접촉부재가 일체로 열융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에는 그 상단 외주에 상기 턴테이블축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진 걸림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캠에는 그 하단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이빨과, 그 상면 외주에 상기 턴테이블축이 승하강되도록 형성된 일정각도의 경사벽과, 상기 경사벽의 상면에 회전캠이 회전될 때 상기 턴테이블축의 하단에 결합된 접촉부재와 항상 접촉된 상태에서 턴테이블축이 승하강되도록 형성된 오목한 반구형상의 경사궤도면과, 그 상면 평탄부 가장자리에 상기 견인부재가 탄발력에 의한 걸림작용에 의해 결합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재는 상기 회전캠의 상부를 통하여 상기 경사벽의 내주연에 위치됨과 동시에 그 상면이 경사벽의 상면 높낮이와 대응되는 경사각도를 갖는 링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면에 대하여 일측둘레에 상기 회전캠이 회전될 때 턴테이블축이 강제하강되도록 외측으로 절곡된 반원링 형상의 견인턱과, 상기 몸체의 하면 둘레에 대하여 소정위치에 상기 회전캠의 평탄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홈에 대응되게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견인부재가 회전캠에 결합되도록 복수개의 고정돌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턱은 상기 회전캠의 경사궤도면 360°거리에 대하여 경사최고구간에서 경사최저구간 사이에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턱의 턴테이블축하강구간은 턴테이블축상승구간 보다 긴 구간을 갖도록 양단에 일정길이의 연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턴테이블축의 하부에 결합된 접촉부재의 걸림턱이 상기 턴테이블축하강구간으로 용이하게 진입되도록 진입구가 일정각도로 상향되게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
KR1019960012030A 1995-08-31 1996-04-19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 KR100210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2030A KR100210066B1 (ko) 1995-08-31 1996-04-19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
JP8227039A JP2859586B2 (ja) 1995-08-31 1996-08-28 電子レンジのターンテーブル駆動装置
CN96111777A CN1085818C (zh) 1995-08-31 1996-08-28 微波炉
MYPI96003622A MY113875A (en) 1995-08-31 1996-08-30 Turn table driving apparatus of microwave oven
GB9618318A GB2305093B (en) 1995-08-31 1996-09-02 Turntable driving apparatus of microwave oven
US08/794,343 US5804800A (en) 1995-08-31 1997-02-03 Turn table driving apparatus of microwave ov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23596 1995-08-31
KR19950023596 1995-08-31
KR95-23596 1995-08-31
KR201995027841 1995-10-05
KR19950027841 1995-10-05
KR95-27841 1995-10-05
KR101996008920 1996-03-28
KR96-8920 1996-03-28
KR19960008920 1996-03-28
KR1019960012030A KR100210066B1 (ko) 1995-08-31 1996-04-19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201A KR980003201A (ko) 1998-03-30
KR100210066B1 true KR100210066B1 (ko) 1999-07-15

Family

ID=27483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2030A KR100210066B1 (ko) 1995-08-31 1996-04-19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859586B2 (ko)
KR (1) KR100210066B1 (ko)
CN (1) CN1085818C (ko)
GB (1) GB2305093B (ko)
MY (1) MY11387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583B1 (ko) * 1999-09-22 2007-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회전트레이를 갖는 전자렌지
CN101282824B (zh) * 2005-10-18 2012-09-05 平田机工株式会社 吸头装置
TWI385333B (zh) * 2009-12-21 2013-02-11 Hon Hai Prec Ind Co Ltd 電子設備及其旋轉裝置
CN108478010A (zh) * 2018-05-30 2018-09-04 深圳市西啡科技有限公司 一种饮料制备机器的双传动冲泡装置
US11708977B2 (en) 2021-03-10 2023-07-25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Oven appliance with turntab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92484A (en) * 1965-04-08 1967-11-22 Microtherm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electronic heating devices
FR2590640B1 (fr) * 1985-11-27 1993-02-12 Gold Star Co Dispositif d'entrainement pour un plateau tournant d'un four a micro-ondes
US4757173A (en) * 1987-05-28 1988-07-12 Gold Star Co., Ltd. Turntable for use in a microwave oven
JP3195938B2 (ja) * 1994-07-22 2001-08-06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レン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119651A (ja) 1997-05-06
KR980003201A (ko) 1998-03-30
JP2859586B2 (ja) 1999-02-17
GB2305093B (en) 2000-07-26
GB2305093A (en) 1997-03-26
MY113875A (en) 2002-06-29
GB9618318D0 (en) 1996-10-16
CN1085818C (zh) 2002-05-29
CN1149689A (zh) 1997-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0067B1 (ko)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
KR100685996B1 (ko) 전자레인지
KR100210066B1 (ko)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
CA2028334C (en) Heating cooking appliance
US3688684A (en) Oscillating deep fryer
KR100400705B1 (ko) 전자 렌지
US5643486A (en) Motion transfer mechanism for domestic oven tray
US5804800A (en) Turn table driving apparatus of microwave oven
JP3108329B2 (ja) 攪拌装置
EP3108781B1 (en) Stand mixers
JPH097758A (ja) 電子レンジのターンテーブル移動装置
KR980008930U (ko)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
KR200248986Y1 (ko)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선형이동거리 조절장치
KR100437411B1 (ko) 전자레인지의 턴테이블 회전장치
JP2001319770A (ja) 加熱調理器
KR100451936B1 (ko)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선형이동장치
KR200248867Y1 (ko)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선형이동장치
CN215675399U (zh) 旋转驱动机构及具有该旋转驱动机构的电暖器
KR200248865Y1 (ko)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선형이동장치
KR870003280Y1 (ko) 전자레인지의 상하승강식 턴테이블
KR200209498Y1 (ko) 부채 선풍기
KR100233042B1 (ko) 전자 레인지의 회전 접시 구동장치
KR20230174897A (ko) 조리장치
KR200193607Y1 (ko) 전자렌지
KR20030000204A (ko)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선형이동거리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