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8865Y1 -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선형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선형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8865Y1
KR200248865Y1 KR2020010018329U KR20010018329U KR200248865Y1 KR 200248865 Y1 KR200248865 Y1 KR 200248865Y1 KR 2020010018329 U KR2020010018329 U KR 2020010018329U KR 20010018329 U KR20010018329 U KR 20010018329U KR 200248865 Y1 KR200248865 Y1 KR 2002488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heating chamber
microwave oven
groove
eccen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83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183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88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88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8865Y1/ko

Links

Landscapes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레인지의 가열실에서 트레이가 좌우로 직선왕복운동하도록 구성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트레이 선형이동장치는, 가열실 내부에서 가열되는 음식물을 올려놓을 수 있고, 그 저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일정한 홈이 성형된 트레이와;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하고, 편심된 편심돌기를 구비하는 회전부재; 상기 편심돌기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홈에 삽입되어, 회전부재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트레이를 좌우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시키는 베어링부재; 그리고 가열실의 저면과 상기 트레이 사이에 설치되어, 트레이의 직선왕복운동을 지지하기 위한 롤러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따라서 가열실 내부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넓게 사용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상기 롤러부재에 의하여 트레이 및 편심돌기와의 사이에서의 마찰을 최대한 방지하고 보다 원활한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선형이동장치{Device for linear motioning of tray for microwave oven}
본 고안은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선형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열되는 음식물이 올려지는 트레이를 전자레인지의 가열실 내부에서 좌우로 직선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자레인지 트레이의 선형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레인지는 주로 일정한 파장을 가지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대상물(음식물)을 가열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전자레인지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실(2)이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가열실(2)은 도어(4)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열실(2)에는, 마그네트론(도시 생략)에서 발생한 마이크로웨이브가 공급되어, 그 내부에 있는 음식물을 가열하게 된다. 이 때 가열되는 음식물은,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하여 균일하게 가열되어야 하는데, 마이크로웨이브의 파장 특성에 의하여 음식물이 정지한 상태에서는 균일한 가열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따라서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하여 음식물을 가열할 때, 음식물을 균일하게 가열하기 위하여, 음식물이 올려지는 트레이(6)를 회전시킴으로써 마이크로웨이브가 보다 균일하게 음식물에 입사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식물이 올려지는 트레이(6)를 회전시키면서 가열하도록 구성되는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가열실(2)은 평면도 상에서 보았을 경우 일반적으로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음식물을 올려놓기 위한 트레이(6)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음식물의 균일 가열을 위하여 회전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종래의 트레이는 원형으로 성형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가열실(2)의 내부에 있어서, 실제로 가열을 위하여 사용되는 면적은 상기 트레이(6)가 차지하는 원형에 해당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가열실 내부에 설치되는 트레이의 구조에 의하면, 실질적으로 가열실(2)에서 가열을 위하여 사용되지 못하는 데드스페이스가 많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즉, 종래의 가열실 및 트레이의 구조에 의하면, 가열실 내부의 공간 사용효율이 일정한 한계에 부딪히는 효율상의 문제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종래의 전자레인지의 구조에 의하면, 가열실 내부의 공간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동시에 가열할 수 있는 음식물의 양이 일정하게 제한되고 있다.
그리고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에서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이고, 특히 가로방향의 길이가 큰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에 있어서는 가열실 내부의 가로방향의 길이가 더욱 길기 때문에, 가열실 내부에서 사용하지 못하는 데드스페이스가 더욱 크게 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레인지의 가열실 내부의 공간을 전체적으로 효율성 있게 사용할 수 있는 트레이의 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전자레인지에서 가열실의 저면은 통상 직사각형상으로 구현되고 있기 때문에, 트레이를 이와 대응하도록 사각형으로 성형하고, 이러한 사각형 트레이를 직선으로 좌우 이동시키도록 하는 점에 착안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의 가열실 내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은 본 고안에 의한 트레이의 이동장치의 평면 개략도.
도 3는 본 고안에 의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장치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트레이 20 ..... 가열실 저면
22 ..... 회전부재 22a ..... 편심돌기
22b ..... 샤프트 22r ..... 베어링부재
26 ..... 롤러어셈블리 26a ..... 롤러
26b ..... 프레임 M ..... 구동모터
Ms ..... 출력축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선형이동장치는, 가열실 내부에서 가열되는 음식물을 올려놓을 수 있고, 그 저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일정한 홈이 성형된 트레이와;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하고, 편심된 편심돌기를 구비하는 회전부재; 상기 편심돌기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홈에 삽입되어, 회전부재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트레이를 좌우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시키는 베어링부재; 그리고 가열실의 저면과 상기 트레이 사이에 설치되어, 트레이의 직선왕복운동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는, 가열실 저면과 동일한 사각형태로 성형하는 것이, 가열실 내부의 공간 사용의 효율의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수단에 대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트레이의 면적보다 작게 성형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롤러에 의하여 트레이의 직선왕복운동이 지지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전자레인지의 가열실 내부에 설치되는 트레이가 가열실 내부에서 보다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있으면서도, 일정한 운동에 의하여 마이크로웨이브를 충분히 균일하게 음식물에 입사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한 균일 가열이라는 기본적인 조건 하에서, 전자레인지의 가열실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편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롤러부재에 의하여,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할 때, 마찰을 최소화하고 가능하면 원활하게 운동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트레이의 선형이동을 보이는 개략적인 개념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의하면, 트레이(10)는 개략적으로 사각형으로 성형되어 있고, 이러한 형상은 전자레인지에서의 가열실의 저면(20)과 대응하는 형상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상기 가열실 내부에서, 트레이(20)는 상대적으로 많은 공간을 차지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트레이(10)의 상부에 음식물을 보다 많이 올릴 수 있게 되어, 실질적으로 가열실 내부의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트레이(10)는, 종래와 같은 회전운동이 아니라, 화살표 방향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직선 왕복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직선 왕복운동을 수행함으로써, 가열실 내부에 공급되는 일정한 파장을 가지는 마이크로웨이브가 음식물에 조사될 때, 보다 균일하게 조사되어서 전체적으로 고르게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즉 본 고안에 있어서는,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한 음식물의 가열시, 균일 가열이라는 전제조건을 트레이의 좌우 직선 왕복운동에 의하여 달성하게 된다.
다음에는 본 고안에 의한 장치의 사시도인 도 3 및 단면구성을 보인 도 4를 같이 참조하면서 트레이의 좌우 직선 왕복운동을 위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트레이(10)의 저면에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홈(10a)이 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홈(10a)은 상기 트레이(10)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홈(10a)은 트레이(10)의 저면에 성형되는 일정한 테두리부분(10b)에 의하여 그 중심부분에 성형되어 있다. 상기 홈(10a)의 길이는, 트레이의 직선 왕복운동의 범위 보다 약간 크게 성형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10)의 저면에 성형된 홈(10a)에는, 회전부재(22)의 상면에 성형된 편심돌기(22a)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베어링부재(22r)가 삽입된다. 상기 회전부재(22)는, 모터(M)의 출력축(Ms)과 결합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편심돌기(22a)는 상기 회전부재(22) 상면의 편심된 위치에서 돌출 성형되어 있으며, 상기 베어링부재(22r)는 상기 회전부재(22)에 삽입되어 보다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베어링부재(22r)의 구성은, 베어링부재(22r)가 상기 홈(10a)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운동할 때, 보다 원할하게 상기 트레이(10)를 직선왕복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재(22r)는 편심돌기(22a) 및 홈(10a)의 각각의 적어도 일측과 접촉하면서 운동하는 것이다. 즉 상기 베어링부재(22r)는, 편심돌기(22a)에 삽입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홈(10a)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데, 편심돌기(22a)가 회전하면서 상기 트레이(10)를 직선운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베어링부재(22r)가 양측과 접촉하면서 운동하지 않으면 안되다. 여기서상기 베어링부재(22r)가 양측과 접촉하면서 운동할 때, 양자의 적어도 일측과 마찰운동이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고, 양자와의 사이에서 구름운동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베어링부재(22r)는 어떠한 형태의 베어링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한데, 예를 들면 링형상의 내부에 복수개의 볼이 내장되어 있는 볼베어링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편심돌기(22a) 및 홈(10a) 사이에서 접촉하는 부분에 충분한 윤활유를 공급한 상태로 접촉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양자 사이에서 보다 원활하게 운동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부재(22r)는 상기 홈(22a)에 약간의 유격을 가지고 삽입되어야 하고, 홈(22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22)의 회전에 따라 트레이(10)를 좌우로 왕복운동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트레이(10)가 직선으로 좌우 왕복운동을 수행할 때, 트레이(10)의 이동량은, 실질적으로 상기 편심돌기(22a)의 편심량에 대응하게 된다. 즉, 회전부재(22)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편심돌기(22a)가 편심된 거리의 두배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상기 트레이(10)가 직선으로 좌우 왕복운동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열실 저면(20)과 상기 트레이(10) 사이에는, 상기 트레이(10)의 직선 왕복운동을 지지하고 안내할 수 있는 롤러어셈블리(26)가 개재된다. 롤러어셈블리(26)는, 예를 들면 사각형태의 프레임(26b)과, 상기 사각형태의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롤러(26a)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26a)는, 가열실 저면(20)에 대하여 상기 트레이(10)가 직선왕복운동을 할 수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롤러(26a)의 상면은 트레이(10)에 접촉하게 되고, 롤러(26a)의 하면은 가열실 저면(20)에 접촉한 상태로 되어, 상기 트레이(10)가 직선운동하게 되면, 상기 트레이(10)를 지지하면서 좌우방향으로 직선운동을 안내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열실 저면(20)에는 구동모터(M)가 설치되어 있고, 구동모터(M)의 출력축은 상기 저면(20)을 돌출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22)의 하방의 연결축(22b)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M)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샤프트(22b)를 통하여 그 회전력이 회전부재(22)에 전달되어, 회전부재(22)가 회전하게 될 것이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선형 이동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트레이(10)의 상면에 가열하고자 하는 음식물이 올려진 상태에서 전자레인지의 구동이 시작되면, 가열실 내부로는 마이크로웨브가 공급되게 된다. 이렇게 마이크로웨이브가 공급됨과 동시에, 상기 트레이(10)는 직선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전자레인지의 구동과 동시에 상기 구동모터(M)의 구동이 시작된다. 이러한 구동모터(M)의 회전력은 출력축(Ms)에서 샤프트(22b)를 통하여 회전부재(22)를 회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22)의 편심돌기(22a)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베어링부재(22r)가, 트레이(10)의 저면에 성형되어 있는 홈(10a)에 약간의 유격을 가지고 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회전부재(22)의 회전운동이 상기트레이(10)의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된다. 즉 상기 회전부재(22)의 회전에 따라 상기 베어링부재(22r)는 홈(10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트레이(10)를 좌우 방향에 대하여 직선 왕복운동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베어링부재(22r)는, 그 외측에서 상기 홈(10a)의 내부에서 홈을 형성하는 측면부분과 접촉하게 되는 것과 동시에, 그 내측에서는 상기 편심돌기(22a)과 접촉하고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부재(22r)는 이러한 접촉상태에서, 양자와 운동하게 되는데, 양자와의 접촉시 마찰을 일으키는 미끄럼 운동 보다는, 구름운동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홈(10a)의 길이는, 상기 편심돌기(22a)의 편심량의 두배가 약간 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즉 편심돌기(22a)가 회전운동을 수행할 때에는, 상기 홈(10a)의 내부에서 베어링부재(22r)가 전후방향으로 왕복운동하게 되기 때문에, 이러한 방향으로 운동하는 베얼이부재(22r) 및 편심돌기(22a)가, 홈(10a)과의 사이에서 어떠한 간섭도 발생하지 않도록 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트레이(10)는, 가열실의 내부에서 좌우로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하면서 그 상부에 올려진 음식물이 마이크로웨이브에 균일하게 조사되면서 가열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 구동모터(M)의 회전력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트레이(10)을 직선왕복운동시키고, 상기 베어링부재를 통하여 트레이(10)의 홈(10a)과의 상대적 접촉운동을 최대한 원활하게 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모터(M)의 회전운동을, 트레이(10)의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기구의 예로서, 편심된 상태의 편심돌기(22a)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된 베어링부재(22r)를 가지는 회전부재(22)와, 상기 편심돌기(22a)가 삽입되는 홈(10a)를 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될 수는 없는 것이고, 구동모터(M)의 회전력을 상기 트레이(10)의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변환기구로써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캠을 이용한 변환기구 또는 관절운동을 수행하는 크랭크의 조합에 의하여 변환기구 등과 같은 다른 많은 기구적 구성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음식물을 올려놓는 트레이(10)을, 가열실 저면(20)에 대하여 직선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별도의 가이드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술한 변환기구(모터의 구동력을 트레이의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기구)에 의하여 상기 트레이(10)가 직선 왕복운동할 때 그 직선왕복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구조 또는 기구를 가열실의 내부에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보다 안전하게 트레이의 직선왕복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상기 트레이(10)와 캐비티 저면(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10)를 직선왕복운동시키기 위한 롤러어셈블리(26)의 구성에 대해서도 보다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프레임(26b)의 형상에 대해서도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고, 롤러(26a)에 대해서도 구성위치 및 형상 등에 대해서보다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고안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은 자명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하여 가열되는 음식물을 보다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는 기본적인 조건하에서, 트레이가 사용할 수 있는 가열실 내부의 공간이 종래에 비하여 더욱 넓게 되어, 가열실 내부의 공간 사용의 측면에서 보다 효율적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잇점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용량을 가지는 전자레인지의 내부에 보다 많은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게 되는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베어링부재(22r)의 구성에 의하여, 트레이(10)의 홈(10a) 내부에서의 상대적인 운동과, 편심돌기(22a)와의 상대적인 운동에 있어서, 가능하면 마찰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보다 원활한 운동이 가능하게 되어, 각각의 부재의 접촉에 의한 소음의 발생 또는 마모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가열실 내부에서 가열되는 음식물을 올려놓을 수 있고, 그 저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일정한 홈이 성형된 트레이와;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하고, 편심된 편심돌기를 구비하는 회전부재;
    상기 편심돌기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홈에 삽입되어, 회전부재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트레이를 좌우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시키는 베어링부재; 그리고
    가열실의 저면과 상기 트레이 사이에 설치되어, 트레이의 직선왕복운동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선형이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가열실 저면과 동일한 사각형태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선형이동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트레이의 면적보다 작게 성형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롤러에 의하여 트레이의 직선왕복운동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선형이동장치.
KR2020010018329U 2001-06-19 2001-06-19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선형이동장치 KR2002488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329U KR200248865Y1 (ko) 2001-06-19 2001-06-19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선형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329U KR200248865Y1 (ko) 2001-06-19 2001-06-19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선형이동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4850A Division KR100451936B1 (ko) 2001-06-19 2001-06-19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선형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8865Y1 true KR200248865Y1 (ko) 2001-11-16

Family

ID=73066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329U KR200248865Y1 (ko) 2001-06-19 2001-06-19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선형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886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39248B2 (ja) 電子レンジのトレー線形移動装置
KR100451935B1 (ko)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선형이동장치
CN109114606B (zh) 食物料理机
KR100451936B1 (ko)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선형이동장치
KR200248865Y1 (ko)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선형이동장치
KR100451933B1 (ko)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선형이동장치
KR200248867Y1 (ko)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선형이동장치
KR200248864Y1 (ko)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선형이동장치
KR100424573B1 (ko)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선형이동장치
KR200248986Y1 (ko)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선형이동거리 조절장치
KR20030000202A (ko)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이동장치
KR100424568B1 (ko) 선형이동트레이를 가지는 전자레인지
KR200248985Y1 (ko)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이동장치
KR100451934B1 (ko)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선형이동장치
KR200248969Y1 (ko)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선형이동장치
KR100395962B1 (ko) 사각트레이를 구비하는 전자레인지
KR100420325B1 (ko) 사각트레이를 구비하는 전자레인지
KR100510694B1 (ko) 전자 레인지의 트레이 동작 어셈블리
KR100559508B1 (ko)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이동장치
KR20030000204A (ko)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선형이동거리 조절장치
KR100424567B1 (ko)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구동장치
KR20050013721A (ko) 전자 레인지의 트레이 동작 어셈블리
KR100519346B1 (ko) 전자 레인지의 트레이 동작 어셈블리
KR100560205B1 (ko)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이동장치
KR20040042741A (ko)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트레이를 구비하는 전자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31

Year of fee payment: 4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