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9508B1 -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9508B1
KR100559508B1 KR1020030039016A KR20030039016A KR100559508B1 KR 100559508 B1 KR100559508 B1 KR 100559508B1 KR 1020030039016 A KR1020030039016 A KR 1020030039016A KR 20030039016 A KR20030039016 A KR 20030039016A KR 100559508 B1 KR100559508 B1 KR 100559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roller
drive motor
rotary
lin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9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8438A (ko
Inventor
이병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9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9508B1/ko
Publication of KR20040108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8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9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9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8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05B6/6411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the supports being rota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운동 및 직선운동이 가능한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이동장치는, 조리실 내부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을 상면에 올려놓기 위한 트레이(100,200)와;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M)와; 상기 구동모터(M)에서 발생되는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트레이(100,200)가 회전운동을 하도록 하는 회전운동 전달수단과, 상기 구동모터(M)에서 발생되는 회전동력을 상기 트레이(100,200)가 직선운동을 하도록 변환하는 직선운동 변환수단을 구비한 동력전달기구와; 상기 트레이(100,200)의 회전운동과 직선운동을 지지하는 트레이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이동장치에 의하면, 트레이의 회전운동과 선형이동이 모두 가능하므로 전자레인지의 효용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전자레인지, 트레이, 회전운동, 직선운동

Description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이동장치 {Motioning device of tray for microwave oven}
도 1은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의 조리실 내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사각트레이 이동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사각트레이 이동장치의 장착상태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이동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인 원형트레이 이동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이동장치의 일 실시예인 원형트레이 이동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이동장치의 일 실시예인 원형트레이 이동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이동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를 보인 사각트레이 이동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이동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인 사각트레이 이동장치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이동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인 사각트레이 이동장치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원형트레이 102. 장착돌기
104. 회전레일 110. 회전부재
112. 돌기안착홈 114. 회전샤프트
116. 편심돌기 120. 롤러어셈블리
122. 롤러프레임 124. 선형이동롤러
126. 회전이동롤러 200. 사각트레이
210. 이탈방지턱 212. 전방이탈방지턱
214. 후방이탈방지턱 216. 후측방이탈방지턱
218. 전측방이탈방지턱 220. 레일홈
M. 구동모터 Ms. 출력축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되는 음식물이 올려지는 트레이를 회전운동 뿐만 아니라 선형이동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레인지는 주로 일정한 파장을 가지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대상물(음식물)을 조리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전자레인지는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실(2)이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조 리실(2)은 도어(4)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리실(2)에는, 마그네트론(도시 생략)에서 발생한 마이크로웨이브가 공급되어, 그 내부에 있는 음식물을 가열하게 된다. 이 때 가열되는 음식물은,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하여 균일하게 가열되어야 하는데, 마이크로웨이브의 파장 특성에 의하여 음식물의 정지상태에서는 균일한 가열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따라서,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하여 음식물을 가열할 때, 음식물을 균일하게 가열하기 위하여, 음식물이 올려지는 트레이(6)를 회전시킴으로써 마이크로웨이브가 보다 균일하게 음식물에 입사되도록 한다.
그러나, 음식물이 올려지는 트레이(6)를 회전시키면서 가열하도록 구성되는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에 있어서는 상기 트레이(6)가 회전을 위하여 원형으로 구성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조리실(2)의 내부에 있어서는 실질적으로 조리실에서 가열을 위하여 사용되지 못하는 데드스페이스가 많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각트레이가 사용되기도 한다. 이에 따르면, 도면부호 26으로 도시한 것은, 전자레인지의 저면(20)과 음식물을 올려놓기 위한 트레이(10) 사이에 개재되는 롤러어셈블리이다.
그리고, 상기 롤러어셈블리(26)를 좌우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롤러어셈블리(26)의 좌우방향 운동에 의하여, 그 상면에 올려지는 트레이(10)도 같이 좌우방향으로 왕복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트레이(10)는 개략적으로 사각형으로 성형되어 있고, 이러한 형상은 전자레인지에서의 조리실의 저면(20)과 대응하는 형상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트레이(10)를 사각형상으로 하는 것은 보다 효율적으로 조리실 내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조리실의 저면(20)이 직사각형임을 고려하여, 상기 트레이(10)도 동일한 직사각형으로 함으로서, 조리실이 전체적인 사용 공간을 충분히 넓힐 수 있게 된다.
상기 롤러어셈블리(26)는, 평판상의 프레임(26b)과, 상기 프레임(26b)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롤러(26a)고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6a)의 저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홈(26c)이 성형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26b)의 저면에 성형된 홈(26c)에는, 회전부재(22)의 상면에 성형된 편심돌기(22a)가 삽입된다. 상기 회전부재(22)는, 모터(M)의 출력축(Ms)과 결합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부재(22)의 하방 중심에 성형된 샤프트(22b)에, 구동모터(M)의 출력축(Ms)이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회전운동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리실 저면(20)의 모터브라켓(Mb)에는 구동모터(M)가 설치되어 있고, 구동모터(M)의 출력축은 회전부재(22)의 하방의 연결축(22b)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M)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샤프트(22b)를 통하여 그 회전력이 회전부재(22)에 전달되어, 회전부재(22)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편심돌기(22a)는 상기 홈(26c)에 약간의 유격을 가지고 삽입되어야 하고, 홈(26c)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22)의 회전에 따라 롤러어셈블리(26)를 좌우로 왕복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회전부재(22)가 회전하게 되면, 편심된 위치의 편심돌기(22a)도 회전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편심 돌기(22a)는 편심에 의하여 일정한 원을 그리게 되고, 이러한 원형 운동중에서, 좌우방향으로의 이동거리를 따라서 상기 롤러어셈블리(26)가 좌우방향으로 왕복운동하게 되는 것이다.
전자레인지의 저면(2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롤러어셈블리(26)의 이동구간을 오목하게 성형한 오목부분(20a)를 구비하고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오목부분(20a)는, 롤러어셈블리(26)의 좌우 이동부분에 형성되어, 롤러어셈블리(26)가 보다 안정적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구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트레이(10)의 저면에는, 그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는 테두리 돌출부(10a)가 성형되어 있다. 상기 트레이(10)의 저면과 접촉하는 상기 롤러(26a)는 실질적으로 상기 테두리돌출부(10a)의 범위 내에서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트레이(10)가 롤러(26a)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서는 원형의 트레이(6)를 사용하다가 최근에는 사각 트레이(10)를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원형 트레이(6)와 사각 트레이(10)는 서로 교체하여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기술에서는 원형의 트레이(6)를 사용하다가 트레이(10)를 사용하려고 하면, 트레이(6) 뿐만 아니라 이러한 트레이(6)를 지지하는 회전부재(22)와 롤러어셈블리(26) 등의 주변부재도 함께 교체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우며, 각각 별도의 부품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트레이의 회전운동 및 직선이동이 가능한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트레이의 회전운동과 직선이동을 위하여 구비되는 부품을 공용화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이동장치는, 조리실 내부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을 상면에 올려놓기 위한 트레이와;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되는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트레이가 회전운동을 하도록 하는 회전운동 전달수단과,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되는 회전동력을 상기 트레이가 직선운동을 하도록 변환하는 직선운동 변환수단을 구비한 동력전달기구와; 상기 트레이의 회전운동과 직선운동을 지지하는 트레이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운동 전달수단은; 상기 트레이의 저면에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장착돌기와; 상면에는 상기 장착돌기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돌기안착홈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공급되는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회전샤프트가 구비된 회전부재와; 상기 구동모터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샤프트와 결합되고, 구동모터의 회전운동을 상기 회전부재로 전달하는 구동모터의 출력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직선운동 변환수단은; 상기 트레이의 저면에 전후 방향으로 일정 크기로 형성되는 레일홈과; 상면에는 상기 레일홈에 삽입되는 편심돌기가 중심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편심위치에 형성되고, 저면에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공급되는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회전샤프트가 구비된 회전부재와; 상기 구동모터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샤프트와 결합되고, 구동모터의 회전운동을 상기 회전부재로 전달하는 구동모터의 출력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하면, 상기 회전부재의 상면에 중심으로부터 편심되게 형성된 상기 편심돌기의 회전량에 대응하여 상기 트레이가 좌우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지지수단은, 상기 트레이의 회전운동을 지지하는 회전운동 안내수단과, 상기 트레이의 직선운동을 지지하는 선형이동 안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운동 안내수단은, 상기 트레이의 저면에 원형으로 형성되는 회전레일과, 상기 트레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를 지지하는 롤러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선형이동 안내수단은, 상기 트레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를 지지하는 롤러어셈블리와, 상기 트레이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롤러어셈블리와 상기 트레이의 상호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롤러어셈블리는, 상기 트레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레일과 구름접촉하여 상기 트레이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이동롤러와; 상기 트레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레일과 구름접촉하여 상기 트레이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회전이동롤러의 직경보다는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선형이동롤러와; 상기 회전이동롤러 및 선형이동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프레임은 사각형상의 골격으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이동롤러는 상기 롤러프레임의 전후좌우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선형이동롤러는 상기 롤러프레임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이동장치에 의하면, 트레이의 회전운동과 선형이동이 모두 가능하므로 전자레인지의 효용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이 이동장치에서 원형의 트레이가 장착되는 경우의 분해사시도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이 이동장치에서 사각트레이가 사용되는 경우의 분해사시도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이동장치는, 크게 조리실 내부에 구비되어 음식물을 올려놓기 위한 트레이(100,200)와, 상기 트레이(100,200)를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M)와, 상기 구동모터(M)의 회전운동을 이용하여 상기 트레이(100,200)가 직선운동 또는 회전운동을 하도록 하는 동력전달기 구와, 상기 트레이(100,200)를 지지하고 트레이(100,200)의 회전운동 및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트레이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먼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원형트레이가 적용되는 경우의 전자레인지 트레이 이동장치의 일 실시예를 살펴본다.
내부에 음식물이 투입되어 조리되는 조리실(도시되지 않음)의 내부에는 조리되는 음식물이 얹어져 조리되는 원형트레이(100)가 구비된다. 상기 원형트레이(100)는 일반적으로 글라스(glass)로 구성되며, 상면에 음식물이 얹어진 상태로 회전하는 경우에 상면의 음식물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테두리는 상방으로 약간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형트레이(100)의 중앙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회전부재(110)의 돌기안착홈(112)에 삽입될 장착돌기(102)가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장착돌기(102)는 원형트레이(10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두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원형트레이(100)의 저면 테두리 내측에는 원형의 회전레일(104)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레일(104)은 원형트레이(100)의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원형트레이(100)의 반경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롤러어셈블리(120)의 회전이동롤러(126)와 접하도록 장착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원형트레이(100)는 보다 원활하게 회전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원형트레이(100) 하측에는 회전부재(110)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부재(110)는 얇은 원통 또는 원판으로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구동모터(M)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원형트레이(100)가 회전 또는 직선이동 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부재(11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원형트레이(100)가 회전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회전부재(110)의 상면에는 중심부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서로 대칭되게 돌기안착홈(112)이 형성된다.
즉, 상기 돌기안착홈(112)은 상기 원형트레이(100)의 장착돌기(102)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하방으로 일정부분이 함몰되어 홈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원형트레이(100)에 형성된 두개의 장착돌기(102)가 상기 돌기안착홈(112)에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부재(110)가 아래에서 설명할 구동모터(M)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 상기 원형트레이(100)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부재(110)의 하면 중심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되게 회전샤프트(114)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샤프트(114)는 상기 회전부재(110)의 회전 중심축으로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출력축(Ms)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 중공축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110)의 상면 테두리에는 편심돌기(116)가 더 형성되는데, 이러한 편심돌기(116)는 상기 원형트레이(100) 대신에 아래에서 설명할 사각트레이(200)가 설치되는 경우에 회전부재(110)의 회전운동을 사각트레이(200)에 전달하면서 사각트레이(200)가 좌우 직선운동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부재(110)의 외측에는 롤러어셈블리(120)가 구비된다. 상기 롤러어셈블리(120)는 다수개의 롤러를 지지하는 롤러프레임(122)과, 상기 롤러프레임(122)의 전후면에 구비되는 선형이동롤러(124) 그리고, 상기 롤러프레임(122)의 전후단과 좌우단에 구비되는 회전이동롤러(126)로 구성된다.
상기 롤러프레임(122)은 사각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즉, 전면프레임(122a)과 후면프레임(122b) 그리고, 좌측에 형성되는 좌측프레임(122c)과 우측에 형성되는 우측프레임(122d)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선형이동롤러(124)는 얇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롤러프레임(122)의 전면프레임(122a)과 후면프레임(122b)의 양측단부에 상기 선형이동롤러(124)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회전이동롤러(126)는 상기 전면프레임(122a)과 후면프레임(122b) 그리고, 좌측프레임(122c)과 우측프레임(122d)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는데, 상기 롤러프레임(122)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각각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면프레임(122a)의 전면 및 상기 후면프레임(122b)의 후면 그리고, 좌측프레임(122c)의 우측면 및 우측프레임(122d)의 좌측면에 각각 구비되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이동롤러(126)는 상기 선형이동롤러(124)의 직경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진다. 이는 상측에 원형트레이(100) 대신에 사각트레이(200)가 장착될 때에는 상기 회전이동롤러(126)가 사각트레이(200)의 하면에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회전이동롤러(126)의 상면에는 상기 원형트레이(100)의 회전레일(104)이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선형이동롤러(124)는 상기 원형트레이(100)의 하면에는 닿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부재(110)의 하부에는 상기 원형트레이(100)가 회전하도록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M)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모터(M)는 일반적으로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도시되지 않음)의 하면 하측에 장착되는 것으로, 구동모터(M)의 상면에는 출력축(Ms)이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출력축(Ms)은 상기 구동모터(M)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상기 회전부재(11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부재(110)의 회전샤프트(114) 내부에 삽입되어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M)가 회전하면, 상기 출력축(Ms)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회전부재(110)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도 7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사각트레이가 적용되는 경우의 전자레인지 트레이 이동장치의 일 실시예를 살펴본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원형트레이가 사각트레이로 대체되며, 그외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M)와, 상기 구동모터(M)의 회전운동을 이용하여 트레이가 직선운동 또는 회전운동을 하도록 하는 운동변환수단과, 트레이를 지지하고 트레이의 회전운동 및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트레이지지수단의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부품은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의 원형트레이(100) 대신 사각트레이(200)가 조리실(도시되지 않음)에 구비되는데, 상기 사각트레이(200)는 상면에 음식물이 얹어진 상태로 좌우로 이동하는 경우에 상면의 음식물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테두리는 상 방으로 약간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각트레이(200)는 일반적으로 글라스(glass)로 구성되며, 전자레인지에서의 조리실의 저면(20)과 대응하는 형상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트레이의 형상을 사각형상으로 하는 것은, 트레이를 좌우방향으로 일정한 범위 내에서 직선 왕복운동시키도록 구성하므로서, 보다 효율적으로 조리실 내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조리실의 저면이 직사각형임을 고려하여, 상기 사각트레이(200)도 동일한 직사각형으로 하므로서, 조리실이 전체적인 사용 공간을 충분히 넓힐 수 있게 된다.
상기 사각트레이(200)의 저면 테두리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이탈방지턱(210)이 더 형성된다. 상기 이탈방지턱(210)은 상기 사각트레이(200)의 테두리를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사각트레이(200) 저면의 전,후단부에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이탈방지턱(210)은 상기 사각트레이(200)가 상기 롤러어셈블리(120)에 구비되는 선형이동롤러(124)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사각트레이(200)의 저면 후단부와 선단부에 좌우로 길게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사각트레이(200)와 선형이동롤러(124)의 전후방 이탈을 방지하는 전방이탈방지턱(212) 및 후방이탈방지턱(214)과, 상기 전방이탈방지턱(212) 또는 후방이탈방지턱(214)의 양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측방이탈방지턱(216,218)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사각트레이(200)의 저면 후단부에 형성되는 후방이탈방지턱(214)의 양단은 전방으로 절곡되어 후측방이탈방지턱(216)이 형성되고, 상기 사각트레이(200)의 저면 선단부에 형성되는 전방이탈방지턱(212)의 양단은 후방으로 절곡되어 전측방이탈방지턱(218)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전방이탈방지턱(212)과 후방이탈방지턱(214) 사이에 상기 롤러어셈블리(120)의 선형이동롤러(124)가 안착되어, 상기 사각트레이(200)가 좌우로 이동할 때 상기 롤러어셈블리(120)의 외곽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사각트레이(200)의 중앙부 저면에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레일홈(220)이 성형되어 있다. 상기 레일홈(220)은 상기 사각트레이(200)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일홈(220)은 사각트레이(200)의 저면에 성형되는 일정한 홈테두리(220')에 의하여 그 중심부분에 성형되어 있다. 상기 레일홈(220)의 길이는, 트레이의 직선 왕복운동의 범위 보다 약간 크게 성형될 것이다.
상기 사각트레이(200)의 저면에 성형된 레일홈(220)에는, 회전부재(22)의 상면에 성형된 편심돌기(116)가 삽입된다. 상기 회전부재(110)는, 구동모터(M)의 출력축(Ms)과 결합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회전부재(110)의 하방 중심에 성형된 회전샤프트(114)에, 구동모터(M)의 출력축(Ms)이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회전운동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편심돌기(116)는 상기 회전부재(110)의 상면에서 돌출 성형되는 것이고, 중심에서 원주방향으로 일정하게 이격된 편심위치에 성형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편심돌기(116)는 상기 레일홈(220)에 약간의 유격을 가지고 삽입되어야 하고, 레일홈(2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110)의 회전에 따라 사각트레이(200)를 좌우로 왕복운동 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즉, 상기 회전부재(110)가 회전하게 되면, 편심된 위치의 편심돌기(116)도 회전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편심돌기(116)는 편심에 의하여 일정한 원을 그리게 되고, 이러한 원형운동 중에서, 좌우방향으로의 이동거리를 따라서 상기 사각트레이(200)가 좌우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사각트레이(200)의 레일홈(220) 내부에 삽입된 편심돌기(116)는 전후방향으로는 사각트레이(200)에 힘을 미치지 못하므로, 실질적으로 사각트레이(200)는 좌우방향로만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사각트레이(200)가 직선으로 좌우 왕복운동을 수행할 때, 사각트레이(200)의 이동량은, 실질적으로 상기 편심돌기(116)의 편심량에 대응하게 된다. 즉, 회전부재(110)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편심돌기(116)가 편심된 거리의 두배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상기 사각트레이(200)가 직선으로 좌우 왕복운동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전자레인지의 조리실 저면과 상기 사각트레이(200) 사이에는, 상기 사각트레이(200)의 직선 왕복운동을 지지하고 안내할 수 있는 롤러어셈블리(120)가 개재된다. 롤러어셈블리(120)는, 상기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선형이동롤러(124)와 회전이동롤러(126) 그리고, 롤러프레임(122)으로 구성된다.
상기의 선형이동롤러(124)는 조리실 저면에 대하여 상기 사각트레이(200)가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선형이동롤러(124)의 상면은 사각트레이(200)에 접촉하게 되고, 하면은 조리실 저 면에 접촉한 상태로 되어, 상기 사각트레이(200)가 좌우방향으로 운동하게 되면, 좌우방향으로 상기 사각트레이(200)를 지지하고 좌우 직선운동을 안내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 트레이 이동장치의 작용을 살펴본다.
먼저 도 4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원형트레이가 사용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전자레인지의 조리실에 음식물을 투입한 상태에서 조리를 진행하면, 상기 구동모터(M)가 회전동력을 발생하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M)의 회전동력은 상기 출력축(Ms)을 통해 상기 회전부재(110)에 전달되어 회전부재(110)가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부재(11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안착홈(112)에는 상기 원형트레이(100)의 장착돌기(102)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회전부재(1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원형트레이(10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110)의 상면에 형성된 편심돌기(116)는 상기 원형트레이(100)의 저면과 접촉되지 않게 된다.
상기 원형트레이(10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롤러어셈블리(120)에 구비되어 있는 회전이동롤러(126)가 상기 원형트레이(100)를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롤러어셈블리(120)의 전후좌우측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이동롤러(126)가 상기 원형트레이(100)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레일(104)과 접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원형트레이(100)가 회전하면 상기 회전이동롤러(126)가 구르면서 원형트레이(100)의 회전을 안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선형이동롤러(124)의 하단은 조리실의 바닥면에 접한 상태로 정지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이동롤러(126)는 조리실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 되어 상기 회전레일(104)과 접하여 구름운동을 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원형트레이(100)의 상면에 얹어져 있는 음식물에 마이크로웨이브가 골고루 조사되어 음식물의 조리가 보다 완전하게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사각트레이가 사용되는 경우를 도 7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상기 사각트레이(200)의 상면에 가열하고자 하는 음식물이 올려진 상태에서 전자레인지의 구동이 시작되면, 조리실 내부로는 마이크로웨브가 공급되게 된다. 이렇게 마이크로웨이브가 공급됨과 동시에, 상기 사각트레이(200)는 다음과 같은 구동을 통하여 직선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즉, 전자레인지의 구동과 동시에 상기 구동모터(M)의 구동이 시작되며, 이러한 구동모터(M)의 회전력은 출력축(Ms)을 통해 상측으로 공급되어 상기 회전샤프트(114)를 통하여 회전부재(110)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부재(110)의 편심돌기(116)는, 사각트레이(200)의 저면에 성형되어 있는 레일홈(220)에 약간의 유격을 가지고 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회전부재(110)의 회전운동이 상기 사각트레이(200)의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된다.
상기 사각트레이(200)의 저면에 성형된 레일홈(220)의 길이는, 상기 편심돌기(116)의 편심량의 두배가 약간 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편심돌기(116)가 회전운동을 수행할 때에는, 상기 레일홈(220)의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왕복하게 되기 때문에, 이렇게 운동하는 편심돌기(116)와 레일홈(220) 사이에서 어떠한 간섭도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사각트레이(200)의 좌우 운동시, 상기 선형이동롤러(124)는 사각트레이(200)의 하면 테두리에 성형되어 있는 이탈방지턱(210)의 내부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롤러어셈블리(120)와 사각트레이(200)의 상호 이탈이 충분히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사각트레이(200)가 좌우로 직선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선형이동롤러(124)의 상단부는 상기 사각트레이(200)의 저면과 접하고, 하단부는 조리실의 바닥면에 접하여 구름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이동롤러(126)는 조리실의 바닥면이나 사각트레이(200)의 저면과 접촉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작동에 의해 상기 사각트레이(200)는 조리실의 내부에서 좌우로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하게 되어, 음식물은 조리실 내부에서 보다 균일하게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레인지에 구비되는 트레이 이동장치는 트레이의 회전운동 및 좌우 직선운동을 가능하게 할 뿐만아니라, 필요에 따라 원형트레이와 사각트레이의 변경 설치를 용이하게 하도록 하고 있다.
즉, 크게 조리실 내부에 구비되어 음식물을 올려놓기 위한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를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운동을 이용하여 상기 트레이가 직선운동 또는 회전운동을 하도록 하는 운동변환수단을 구비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원형트레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트레이가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하는 한편, 사각트레이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트레이가 좌우로 선형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전자레인지의 사용성을 증대시켰다.
예로,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음식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원형트레이를 사용하여 조리하고, 부피가 큰 음식물을 조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각트레이를 사용하여 조리실의 용량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전자레인지의 효용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회전운동과 직선운동을 상호변환하는 수단인 회전부재 및 롤러어셈블리를 공용화하여 원형트레이를 사용하다 사각트레이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종래와 같이 회전부재와 롤러어셈블리 등의 부품을 교환할 필요없이 트레이만 교체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트레이의 교체작업이 보다 손쉬워지므로 트레이 교체에 필요한 작업공수가 절감되고, 부품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삭제
  2. 조리실 내부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을 상면에 올려놓기 위한 트레이와;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되는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트레이가 회전운동을 하도록 하는 회전운동 전달수단과,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되는 회전동력을 상기 트레이가 직선운동을 하도록 변환하는 직선운동 변환수단을 구비한 동력전달기구와;
    상기 트레이의 회전운동과 직선운동을 지지하는 트레이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회전운동 전달수단은,
    상기 트레이의 저면에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장착돌기와;
    상면에는 상기 장착돌기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돌기안착홈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공급되는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회전샤프트가 구비된 회전부재와;
    상기 구동모터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샤프트와 결합되고, 구동모터의 회전운동을 상기 회전부재로 전달하는 구동모터의 출력축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이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운동 변환수단은;
    상기 트레이의 저면에 전후 방향으로 일정 크기로 형성되는 레일홈과;
    상면에는 상기 레일홈에 삽입되는 편심돌기가 중심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편심위치에 형성되고, 저면에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공급되는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회전샤프트가 구비된 회전부재와;
    상기 구동모터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샤프트와 결합되고, 구동모터의 회전운동을 상기 회전부재로 전달하는 구동모터의 출력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하면, 상기 회전부재의 상면에 중심으로부터 편심되게 형성된 상기 편심돌기의 회전량에 대응하여 상기 트레이가 좌우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이송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지지수단은, 상기 트레이의 회전운동을 지지하는 회전운동 안내수단과, 상기 트레이의 직선운동을 지지하는 선형이동 안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이동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운동 안내수단은,
    상기 트레이의 저면에 원형으로 형성되는 회전레일과,
    상기 트레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를 지지하는 롤러어셈블리를 포 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이동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이동 안내수단은,
    상기 트레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를 지지하는 롤러어셈블리와,
    상기 트레이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롤러어셈블리와 상기 트레이의 상호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이동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어셈블리는,
    상기 트레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레일과 구름접촉하여 상기 트레이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이동롤러와;
    상기 트레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레일과 구름접촉하여 상기 트레이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회전이동롤러의 직경보다는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선형이동롤러와;
    상기 회전이동롤러 및 선형이동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이동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프레임은 사각형상의 골격으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이동롤러는 상기 롤러프레임의 전후좌우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선형이동롤러는 상기 롤러프레임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구비됨을 특징 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이동장치.
KR1020030039016A 2003-06-17 2003-06-17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이동장치 KR100559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9016A KR100559508B1 (ko) 2003-06-17 2003-06-17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9016A KR100559508B1 (ko) 2003-06-17 2003-06-17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8438A KR20040108438A (ko) 2004-12-24
KR100559508B1 true KR100559508B1 (ko) 2006-03-10

Family

ID=37382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9016A KR100559508B1 (ko) 2003-06-17 2003-06-17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95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349B1 (ko) * 2003-08-01 2005-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레인지의 트레이 동작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8438A (ko) 200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5996B1 (ko) 전자레인지
JP3639248B2 (ja) 電子レンジのトレー線形移動装置
KR100451935B1 (ko)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선형이동장치
KR100559508B1 (ko)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이동장치
KR100560205B1 (ko)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이동장치
KR100424568B1 (ko) 선형이동트레이를 가지는 전자레인지
KR20030000202A (ko)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이동장치
US8384001B2 (en) Microwave oven and reciprocating tray apparatus thereof
KR100424573B1 (ko)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선형이동장치
KR200248986Y1 (ko)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선형이동거리 조절장치
KR200248867Y1 (ko)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선형이동장치
KR100451933B1 (ko)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선형이동장치
KR200248985Y1 (ko)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이동장치
JP2001319770A (ja) 加熱調理器
KR200248969Y1 (ko)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선형이동장치
KR101073906B1 (ko) 전자 레인지의 트레이 어셈블리
KR200248864Y1 (ko)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선형이동장치
KR100451934B1 (ko)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선형이동장치
KR100519349B1 (ko) 전자 레인지의 트레이 동작 어셈블리
KR100519350B1 (ko) 전자 레인지의 트레이 동작 어셈블리
KR200248865Y1 (ko)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선형이동장치
KR100510694B1 (ko) 전자 레인지의 트레이 동작 어셈블리
KR20050013721A (ko) 전자 레인지의 트레이 동작 어셈블리
KR100519346B1 (ko) 전자 레인지의 트레이 동작 어셈블리
KR20030000204A (ko)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선형이동거리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