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565B1 - 전기분해 믹스드 옥시던트 소독을 이용한 어류 양식방법 - Google Patents

전기분해 믹스드 옥시던트 소독을 이용한 어류 양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565B1
KR102533565B1 KR1020220106833A KR20220106833A KR102533565B1 KR 102533565 B1 KR102533565 B1 KR 102533565B1 KR 1020220106833 A KR1020220106833 A KR 1020220106833A KR 20220106833 A KR20220106833 A KR 20220106833A KR 102533565 B1 KR102533565 B1 KR 102533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mixed oxidant
vhsv
eggs
electroly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6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3565B9 (ko
Inventor
송기천
한정균
김홍균
김경주
임진섭
박종호
Original Assignee
대봉엘에프 영어조합법인
비봉수산 영어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봉엘에프 영어조합법인, 비봉수산 영어조합법인 filed Critical 대봉엘에프 영어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220106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5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565B1/ko
Publication of KR10253356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565B9/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01K61/13Prevention or treatment of fish disea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02F1/46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with halogen or compound of halogens, e.g. chlorine, bro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3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02F2001/46138Electrodes comprising a substrate and a coating
    • C02F2001/46142Catalytic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 C02F2201/4617DC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분해 믹스드 옥시던트(Mixed Oxidant) 소독을 이용한 어류 양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식수 내에 전기분해를 거쳐 생성된 믹스드 옥시던트를 흘러 보내면서 어류 수정란을 소독처리하여, 유행성출혈성패혈증 바이러스(VHSV)의 경란 감염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분해 믹스드 옥시던트 소독을 이용한 어류 양식방법, 및 상기의 방법에 의해 양식되어 유행성출혈성패혈증 바이러스(VHSV)가 없는 어류 수정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분해 믹스드 옥시던트 소독을 이용한 어류 양식방법{Method of aquaculturing fish using eletrolytic mixed oxidant}
본 발명은 전기분해 믹스드 옥시던트(Mixed Oxidant) 소독을 이용한 어류 양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식수 내에 전기분해를 거쳐 생성된 믹스드 옥시던트를 흘러 보내면서 어류 수정란을 소독처리하여, 유행성출혈성패혈증 바이러스(VHSV)의 경란 감염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분해 믹스드 옥시던트 소독을 이용한 어류 양식방법, 및 상기의 방법에 의해 양식되어 유행성출혈성패혈증 바이러스(VHSV)가 없는 어류 수정란에 관한 것이다.
유행성출혈성패혈증 바이러스(VHSV)는 직경 60∼75nm, 길이 180∼240nm의 탈환 모양의 RNA 바이러스로, 최적 수온은 9∼15℃이나 18℃에서도 발병하고 21℃가 넘으면 독력이 약화되고 발병되지 않지만, 완전히 소멸되는 것인가는 불분명하다.
VHSV의 유전자형(genotype)에는 Ia, b,c,d,e II, III, IV, IVa, IVb, IVc, IVd와 같이 여러 타입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까지 넙치에서는 IVa만 검출된다.
VHSV가 어류, 예컨대 넙치에 감염되면 수온에 따라서 다소 차이가 있으나 7∼15일 만에 발병하고, 발병하면 복수에 의한 복부 팽만, 간장의 울혈, 신장 증대, 출혈이 되면서 다량 폐사되고 전파력도 강하여 수산동물질병관리법의 법정 전염 병원체로 지정 관리되고 있다.
이 병원체의 가장 무서운 것은 발병된 수조에서 살아 남은 어류는 평생 동안 자신은 죽지 않으면서 산란과 수정시, 뇨, 정액(sperm), 난소액(ovarian fluids)과 함께 양식수 중에 배설함으로써, 수정란에 달라 붙게 되어 경란감염과 동일 수조내에 미감염 넙치로 수평감염을 시키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수정란을 소독하여 경란감염을 차단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나라마다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양식산업은 기업이 자체적으로 연구소를 운영하여 양식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대기업의 참여를 억제하고 중소기업 또는 영세 어민들에 의하여 운영되며, 국가가 양식기술 개발을 대신하여 영세 어민들에게 기술을 지도해 주는 형태로 발전되어 온 나라가 많다.
미국의 경우를 보면, 미국 농무성(United State Department of Agriculture ) 산하 SRAC(Southern Regional Aquaculture Center) 발행 No. 4707에 아래의 소독제로 수정란을 소독할 경우 VHSV 감염을 차단할 수 있다고 발표되어 있다.
⑴ 벤잘코니움 클로라이드(Benzalkonium chloride) 500ppm, 5분
⑵ 염소(Chlorine) 200∼500 ppm, 5분
⑶ 아이오도포르(Iodophor; Povidone iodine) 100∼200 ppm, 10분
⑷ 이소프로필 알코올(Isopropyl alcohol) 60∼80%, 2분
⑸ 페놀(Lysol액) 15분
⑹ 비로콘 아쿠아틱(Virokon Aquatic) 0.5∼1%, 10분
또, 미국 American Fisheries Society Fish Culture Section (Revision Date June 2014)에서 상기 소독제 외에 염화디데실디메틸암모늄(Didecyl dimethyl ammonium chloride) 400ppm 5분, 오존 8ppm 3분을 발표하고 있다.
유럽은 2005년 8월 20일 European Commission Contact No. QLK2-CT-2002-01546의 9 페이지 표 2에서 아래와 같은 것들을 VHSV 수정란 소독제 및 소독방법으로 열거하고 있다.
⑴ UV-C 7.9J/m2, 5분
⑵ 포르말린 3%, 5분
⑶ 메탄올 40%, 300초
(4) 인공해수 중의 에탄올 40% 15℃, 120초
⑸ 아이오도포르(Iodophor; Povidone iodine) 100ppm, 4분
⑹ PBS 중의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 50ppm 15℃, 1분
⑺ PBS 중의 표백분(Bleaching powder) 50ppm 15℃, 2.5분
그러나, 이들 소독제들은 수정란의 크기가 6∼7mm로 크고 표피(Chorion)가 두꺼운 연어와 무지개 송어 등의 수정란을 중심으로 연구 개발된 것이어서, 넙치(광어) 등과 같이 크기가 800~1050㎛로 매우 작은 수정란에 사용할 경우 수정란 자체가 사멸되어 부화가 되지 않기 때문에, 넙치 등과 같이 수정란 크기가 작은 어종에는 사용할 수 없는 소독제임을 쉽게 알 수 있다.
따라서, 연어, 무지개 송어 등과 같이 수정란의 크기가 큰 어종 뿐만 아니라, 넙치 등과 같이 수정란의 크기가 작은 어종에도 사용할 수 있는 소독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71356호 한국등록특허 제10-2242408호 한국등록특허 제10-1715822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미국, 유럽에서 무지개송어, 연어 등의 수정란 살균 소독제로 사용하는 포비돈 요오드(Povidone iodine) 등의 모든 소독제는 넙치의 수정란에 감염되어 있는 VHSV를 사멸 차단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명확한 판단을 내리고 여러 가지 소독제를 검토하던 중, 전기분해 믹스드 옥던트(Electrolysis Mixed Oxidant; E-MO)가 최적임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분해로 발생하는 믹스드 옥시던트를 이용하여 저비용으로 어류의 수정란을 소독처리 함으로서 과도한 설비 없이도 유행성출혈성패혈증 바이러스(VHSV)의 경란감염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어류 양식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방법에 의해 양식됨으로써, 유행성출혈성패혈증 바이러스(VHSV)가 없는 어류 수정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식수 내에 전기분해를 거쳐 생성된 믹스드 옥시던트를 흘러 보내면서 어류 수정란을 소독처리하여, 유행성출혈성패혈증 바이러스(VHSV)의 경란 감염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분해 믹스드 옥시던트 소독을 이용한 어류 양식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믹스드 옥시던트는 티타늄(Titanium) 또는 니오븀(Niobium)을 음극으로 하고, 루테늄(Ruthenium), 이리듐(Iridium), 탄탈륨(Tantalum) 및 백금(Platinum) 중에서 선택된 금속 또는 그들의 산화물 중에서 선택된 금속이 코팅된 것을 양극으로 사용하여 2~4 볼트의 직류를 인가시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믹스드 옥시던트의 농도는 1.5 ppm 이상이고, 상기 소독 시간은 10분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어류는 넙치, 우럭, 참돔, 돌돔, 능성어, 숭어, 농어, 전어, 가자미, 복어, 고등어, 노래미, 다랑어, 민어, 방어, 전갱이, 연어, 무지개 송어, 잉어, 향어, 뱀장어, 메기, 미꾸라지 및 붕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소독처리 후 중화처리를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의 방법에 의해 양식되어, 유행성출혈성패혈증 바이러스(VHSV)가 없는 어류 수정란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넙치 등과 같은 어류의 수정란을 소독하여 치어(종자)와 종어(brood stock) 를 생산함에 따라 VHSV의 감염 전파를 차단함으로써, 유통중이거나 양식중인 양식 어류의 폐사량을 감축시키는 것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출수를 통하여 바다로 흘러들어가는 VHSV를 감소시킴으로써 자연 생태계의 어류에 VHSV의 감염 전파를 차단하는 것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나의 구현예로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 구현예는 양식수 내에 전기분해를 거쳐 생성된 믹스드 옥시던트를 흘러 보내면서 어류 수정란을 소독처리하여, 유행성출혈성패혈증 바이러스(VHSV)의 경란 감염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분해 믹스드 옥시던트 소독을 이용한 어류 양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믹스드 옥시던트가 살균력은 강하고 어류에 대한 안정성은 다른 화학적 살균제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다는 점을 이용하여 어류의 생명에 위험과 스트레스를 주지 않으면서 어류 수정란 중에 함유된 유행성출혈성패혈증 바이러스(VHSV)를 사멸할 수 있는 믹스드 옥시던트 농도로 소독하여 사용하는 양식방법인 것이다.
본 발명에서, "믹스드 옥시던트(MO; Mixed Oxidant)"라 함은 전기분해를 이용하여 양식수 또는 해수에서 발생하는 혼합 산화물을 의미하며, 예컨대 HOBr, HOCl, NaOBr, NaOCl, ClO2, O3 등의 살균력을 갖는 옥시던트 혼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강력한 살균력을 가지며, 양식수 중에 함유하는 총 잔류 산화제(Total Residual Oxidant, TRO)라고도 한다. 이러한 믹스드 옥시던트는 해수의 경우는 해수 그 자체를, 담수의 경우는 소금 농도가 약 3% 되도록 용해하여 격막이 없는 전해조로 전기분해를 하면 생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소독처리"라 함은 전기분해에 의해 발생된 믹스드 옥시던트가 양식수에 소정의 농도로 함유되어 어류 수정란 중에 함유된 유행성출혈성패혈증 바이러스(VHSV)가 90% 이상 사멸되어 어류의 양식 과정에서 폐사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정도로 믹스드 옥시던트 처리에 의한 소독(Disinfectant) 처리하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병원균이 완전하게 사멸된 멸균(sterilization) 처리와는 구별된다.
따라서, 상기 소독처리는 수영장 살균 소독과 같이 믹스드 옥시던트가 인체와 어류에 안전한 농도로 처리 후 수중 일정량 잔류하는 것으로 어류의 폐사를 방지하는 정도로 살균이 가능하면서도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정도로 양식수 또는 해수의 처리가 가능한 믹스드 옥시던트 함량으로 어류 수정란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의 양식 주어종인 넙치(광어)에는 바이러스 병원체로 유행성출혈성패혈증 바이러스(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 VHSV), LCDV(LymphoCystis Disease Virus), 세균성 병원체로 Streptococcus parauberis, Edwardsiella piscicida, Tenacibaculum maritinum(활주세균), Vibrio harvey, Vibrio ichthyoenteri, 기생충 병원체로 Miamiencis avidus(스쿠티카충), Trichodina, Cryptocaryon irritans(백점충), 점액포자충 병원체로 Enteromyxum leei(마름병), Kudoa septempuntata 등으로 많은 폐사를 일으키거나, 상품 가치를 저하시키거나 식중독 의심증후군의 질병이 있다.
이들 병원체중 친어와 자연 수정시 양식수로부터 수정란에 달라 붙어 경란감염되는 병원체는 VHSV, Streptococcus parauberis, Edwardsiella piscicida, Tenacibaculum maritinum Vibrio harvey 등 비브리오 병원체와 스쿠티카충(Miamiencis avidus)으로 알려져 있다.
병원체가 수정란을 통하여 감염전파되는 것은 수정란 표피(Chorion)에 달라 붙어 전파되는 것과 수정시 정자를 따라 난문을 통하여 위란강(Perivitelline space)으로 들어가서 감염 전파되는 2가지 형태가 있다.
정자와 함께 난문으로 들어가서 감염전파되는 것과 수정란 표피에 달라 붙어 감염전파되는 것이 명확히 구분되어 있는 것은 아니지만, VHSV는 소독제로 소독을 하면 감염전파가 차단되는 것으로 보아, 난표피에 달라 붙어 전파되는 병원체임은 분명하다.
수정시 정자를 따라 난문으로 들어가서 위란강 또는 배아 세포속으로 들어가서 감염전파되는 병원체는 수정란을 소독하여도 감염전파를 차단할 수 없고, 경란감염(egg borne infection) 병원체가 없는 특정 병원체가 없는(SPF) 친어(종어)를 만들어 SPF 수정란을 얻는 방법뿐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미국 농무성(United State Department of Agriculture ) 산하 SRAC(Southern Regional Aquaculture Center) 발행 No. 4707, American Fisheries Society Fish Culture Section (Revision Date June 2014), 및 European Commission Contact No. QLK2-CT-2002-01546의 9 페이지 표 2에 개시된 소독제의 농도와 시간으로 사용하여 넙치(광어) 수정란을 소독을 할 경우, 거의 대부분이 수정란이 부화가 되지 않는다.
다만, 포비돈 요오드(Povidone iodine) 100ppm으로 4분간의 소독 방법을 침지식으로 하는지, 침지액을 수정란 용량(cc) 대비 몇 리터로 하는지, 유수식으로 하는지에 따라서 부화가 되기도 하고 부화가 거의 않되기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넙치 수정란 3000cc(약 300만 입)을 포비돈 요오드 100ppm(Active Iodine 10ppm) 15 리터에 4분간 침지하여 소독하고 부화를 할 경우, 부화는 되지만, 4분 종말점에 활성 요오드(Active Iodine) 농도를 DPD 시약을 사용하여 Hach사 DR900 또는 3900에 측정을 하면, "0"이 되어 소독이 제대로 이루워지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보통 소독제의 소독력은 소독제의 농도(C)와 시간(분)에 비례하기 때문에, Ct 값이라고 하여 Ct= C × t를 사용하여 소독력을 표시한다. 다시 말해서 포비돈 요오드 10ppm(Active iodine)에서 4분간을 처리하였다는 의미는 수정란을 소독액 속에 침지하였을 때 농도가 10ppm이고, 4분후 종말점에서도 10ppm이므로, Ct=10×4=40 요오드값(iodine value)을 의미한다.
그러나, 양식 해수와 수정란 표피에는 환원성 유기물질이 대단히 많아 수정란을 포비돈 요오드 10ppm(활성 요오드)에 침지하는 즉시, 활성 요오드의 일부는 이들 환원성 물질에 의하여 살균력을 상실하게 된다.
따라서, 포비돈 요오드 10ppm(활성 요오드)의 액량을 수정란 3000cc에 대하여 100 리터로 늘려 소독한 후, 4분 후의 종말점에서 활성 요오드를 측정하면 2∼ 3ppm은 검출되지만, 넙치 수정란은 사멸되어 부화가 되지 않는다.
또한, 침지 액량을 수정란 3,000cc에 대하여 포비돈 요오드 10ppm(활성 요오드) 15 리터로 하고, 유수량을 동일 농도의 포비돈 요오드 50 리터를 4분간에 흘려 보냈을 경우, 4분 후의 종말점에서 활성 요오드 농도는 2~3ppm으로 검출되면서, 이 또한 수정란이 거의 사멸하고 부화가 되지 않아 넙치 수정란을 소독하여 VHSV의 감염 차단을 할 수 없다.
상기 믹스드 옥시던트는 티타늄(Titanium) 또는 니오븀(Niobium)을 음극으로 하고, 루테늄(Ruthenium), 이리듐(Iridium), 탄탈륨(Tantalum) 및 백금(Platinum) 중에서 선택된 금속 또는 그들의 산화물 중에서 선택된 금속이 코팅된 것을 양극으로 사용하여 2~4 볼트의 직류를 인가시켜 생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양식수 중에 티타늄(Titanium) 또는 니오븀(Niobium) 음극과 루테늄(Ruthenium), 이리듐(Iridium), 탄탈륨(Tantalum) 및 백금(Platinum) 중에서 선택된 금속 또는 그들의 산화물 중에서 선택된 금속이 코팅된 양극을 0.5~10cm 간격으로 배치하고, 2∼4 볼트(V)의 직류를 인가시켜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음극으로는 티타늄 음극, 상극 양극으로는 루테늄 양극이 바람직하고, 상기 음과 양극의 배치 간격은 약 0.5~2cm가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믹스드 옥시던트는 상기 전극판의 크기와 전압의 강도에 따라서 0.1ppm에서 10ppm까지는 아주 쉽게 발생할 수 있으며, 재순환 방법을 이용하면 5,000ppm까지도 생성할 수 있어, 용기 세척 등에는 고농도로 발생시킨후 사용시 희석하여 사용하면 아주 편리한 산화형 살균, 살충제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믹스드 옥시던트의 농도는 1.5ppm 이상, 바람직하게는 1.5~10ppm, 보다 바람직하게는 1.5~5ppm일 수 있고, 상기 소독 시간은 10분 이상, 바람직하게는 10~60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10~30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양식수는 양식하는 어류의 어종에 따라 해수 또는 담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어류는 넙치, 우럭, 참돔, 돌돔, 능성어, 숭어, 농어, 전어, 가자미, 복어, 고등어, 노래미, 다랑어, 민어, 방어, 전갱이, 연어, 무지개 송어, 잉어, 향어, 뱀장어, 메기, 미꾸라지 및 붕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양식이 가능한 어종이라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양식방법은 상기 소독처리 후, 중화처리를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중화처리 단계에서 중화제의 첨가량은 양식수에 함유된 옥시던트 잔류량과 중화제를 당량 대 당량 보다 다소 많은 양으로 중화제를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옥시던트 잔류량에 비해 2배 이하의 당량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중화제가 너무 과량 투입되면 중화에 이용되지 않고 남은 중화제가 어류에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중화제 자체나 중화 후 발생하는 물질이 어류에 전혀 해롭지 않아야 하는 극도로 제한적 범위의 물질을 최소량으로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중화처리 단계에서 사용되는 중화제로서는 치오황산나트륨, 디티온 산나트륨, 아스코르빈산 및 시스테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중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중화제로서는 상기 성분 이외에도 아황산가스, 아황산나트륨, 산성아황산나트륨, 과산화수소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적인 상기 중화제 이외의 중화제를 사용하는 경우 중화처리시간이 너무 장기간 소요되거나 추후 추가적인 중화처리 과정 없이는 잔류 옥시던트를 0.06ppm 이하, 더욱 좋게는 0.01ppm 이하로 중화처리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중화처리 시간이 길어지게 되면 중화처리를 위한 챔버가 많이 필요하여 중화처리를 위한 공간이나 설비가 많이 필요하거나 매우 비경제적이고, 중화제의 사용량이 과다하게 필요하여 중화처리 후 중화제의 잔류량이 많아지는 등의 문제로 인해 또 다른 유해성의 문제가 발생한다.
대부분의 바이러스는 2ppm, 2분, 세균은 1ppm, 1분 이내, 스쿠티카충 같은 원충도 1ppm, 1분 이내에 사멸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VHSV에 대한 사멸 농도(C)와 시간(minute) 즉 Ct 값은 어느 문헌에도 알려저 있지 않아 본 발명자들이 VHSV을 세포배양(cell culture) 방법에 의하여 배양한 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E-MO 농도
(ppm)
처리시간
(초)
VHSV 농도
TCID50/ml
불활화율
(%)
E-MO 미처리 대조구 107,5 0
E-MO 0.5 10 104.5 99.9%
0.5 80 104 99.9%
1.0 10 103.75 99.9%
1.0 80 101.5 99.9999%
2.0 10 101.5 99.9999%
2.0 80 100.75 99.9999%
E-MO 미처리 대조구 105.3 0
2.0 10 101.05 99.99%
2.0 80 100.8 99.99%
상기와 같은 측정 결과는 어디까지나 인비트로(in vitro)에서 전기분해 믹스드 옥시던트(E-MO)에 의한 VHSV의 사멸농도와 시간이고, 수정란에 붙어 있는 VHSV 즉 인비보(in vivo)에서 사멸농도와 시간을 1.0ppm 이상 5분 이상으로 추정하여 넙치 수정란 소독을 하고 종자(치어)를 생산하여, VHSV가 사멸되고 경란감염이 되지 않았는가를 검증하는 방법에 대하여 수 없이 많은 조사를 하였으나, RT-qPCR 방법이나 세포배양법 어느 것도 검출한계가 VHSV 500 PFU/ml(g) 이상으로 감염이 되어 있어야, 양성, 음성 또는 바이러스 개체수를 판정할 수 있는 방법이므로, 전기분해 믹스드 옥시던트(E-MO)를 가지고 VHSV가 100% 사멸하여 VHSV가 없다는 것을 실험실적으로 검증(증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생물보안 양식 시설(Biosecurity Aquaculture System)에 종어를 입식하여 VHSV가 증식이 잘 되는 9~15℃ 최대 18℃ 이하의 수온이 되는 12~4월의 겨울철에 양식을 하여 VHSV에 의한 폐사가 발생되는지를 확인하는 방법 뿐임을 알게 되었다.
이에 넙치 수정란 3,000cc를 미세 망에 넣고 전기분해 믹스드 옥시던트(E-MO) 1.5ppm 이상, 바람직하게는 1.5~10ppm, 보다 바람직하게는 1.5~5ppm 100L 용액에 침지시키고, 동일 농도 용액 50~100L, 바람직하게는 50L를 10분 이상, 바람직하게는 10~60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10~30분간 유수식으로 흘려 보내는 방법으로 살균 소독을 하여 넙치 종어를 생산한 후, E-MO Ct24 Biosecurity Aquaculture System 시설이 완벽하게 되어 있는 비봉수산영어조합법인에서 1년간 양식을 한 결과, 겨울철에 VHSV에 의한 폐사는 한 마리도 발견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제2 구현예는 상기의 방법에 의해 양식되어, 유행성출혈성패혈증 바이러스(VHSV)가 없는 어류 수정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특정 병원체, 즉 유행성출혈성패혈증 바이러스(VHSV)가 없는 SPF 어류 수정란을 제공함으로써, 양식 어류의 폐사량을 감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출수를 통하여 바다로 흘러들어가는 VHSV를 감소시킴으로써, 자연 생태계의 어류에 VHSV의 감염 전파를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⑴ 육란 과정
수정란을 오후 3시에 산란 친어 수조 수정란 수거통에서 3500cc를 취하여 유수식으로 UV 250mJ/cm2 또는 E-MO Ct24 이상으로 멸균된 양식수에서 1시간 이상 세척하여 수정란에 부착되어 있는 각종 유기물을 세척하였다.
⑵ 소독 과정
육란이 끝난 수정란을 5000cc 실린더에 넣고 밑으로 가라앉는 사란 400cc를 제거하고, 미리 준비된 E-MO 1.5 ppm 100 리터 해수 용액에 100mesh 망을 설치하고, 부상란 3100cc를 넣고 에어레이션을 하면서 별도의 E-MO 1.5ppm 50 리터 액을 10분간 균등하게 흘려 보내면서 VHSV 사멸 소독을 실시하였다.
10분 종료 시점에 치오황산나트륨 150mg(100L 1.5mg/L)을 넣어 중화시켰다.
⑶ 사란 제거 및 부화
소독이 끝난 다음 또 다시 5000cc 실린더에 넣고 밑으로 가라앉는 사란 600cc를 제거하고, 2500cc를 브로노폴(Bronopol) 200ppm 20 리터 용액에 넣고 2분간 소독한 후, 치오황산나트륨 4g을 넣어 중화시키고 다시 멸균 해수로 다음 날 오전까지 세척하고 사란을 제거한 다음, 부화조에 넣어 에어레이션을 하면서 1일 2회전으로 멸균 해수를 흘러 보내면서 부화(수온 18~19℃)를 시켰다.
상기 브로노폴은 수정란에 붙어 있는 난균류(Saprolegina)를 사멸시키기 위한 목적이므로, 난균류가 부착되어 있지 않다는 확신이 있을 때는 생략할 수도 있다.
⑷ 아래의 자어 생산 과정 매뉴얼에 따라, 90일령 종자(치어)를 생물보안양식(Biosecurity Aquaculture) 시설이 갖추워져 있는 종묘장에서 생산하였다.
부화 → 자어(Larvae) → 윤형동물(Rotifer)과 Rotifer에 시판 영양 강화제를 사용 영양강화 급이 → 아르테미아(Artemia)와 Artemia 영양강화 급이 → 마이크로캡슐 급이 → 압축 건사료(EP) 치어용 급이 → 80일령 암수 비율 측정 → 90일령 종자(치어)를 E-MO Ct 24 Biosecurity Aquaculture System(BAS)에서 1년간 양식을 하면서 VHSV에 의한 발병을 모니터링한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차수 수정란 받은 날 90일령 되는 날 18℃ 이하 저수온기
어류 상태
VHSV
발생 여부
9차 2019년7월29일 2019년 11월 5일 치어기 무발생
11차 2020년3월18일 2020년 6월 20일 중성어기 무발생
12차 2020년7월23일 2020년 10월 25일 치어기 무발생
13차 2020년9월29일 2021년 1월 1일 치어기 무발생
<비교예 1>
E-MO 농도를 1ppm, 소독 시간을 5분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90일령 넙치 종어를 생산한 후, E-MO Ct 24 BAS에서 1년간 양식을 하면서 VHSV에 의한 발병을 모니터링한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차수 수정란 받은 날 90일령 되는 날 18℃ 이하 저수온기 어류 상태 VHSV
발생 여부
14차 2021년1월20일 2021년 4월23일 성어기 발생
15차 2021년4월26일 2021년 7월28일 중성어기 발생
16차 2021년8월12일 2021년 11월13일 치어기 발생
<비교예 2>
E-MO 농도를 1.25ppm, 소독 시간을 7.5분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90일령 넙치 종어를 생산한 후, E-MO Ct 24 BAS에서 1년간 양식을 하면서 VHSV에 의한 발병을 모니터링한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차수 수정란 받은 날 90일령 되는 날 18℃ 이하 저수온기
어류 상태
VHSV
발생 여부
17차 2021년10월6일 2022년 1월3일 성어기 발생
18차 2022년2월16일 2022년 5월26일 중성어기 발생
19차 2022년4월10일 2022년 7월18일 치어기 발생
VHSV의 인비트로에서 E-MO의 Ct값 측정과 실제 양식 현장인 상기 실시예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E-MO 1.5ppm, 10분간 수정란을 소독하는 경우에는 VHSV가 사멸되어 경란감염이 차단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상기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E-MO 1.0ppm, 5분간 또는 1.25ppm, 7.5분간 수정란을 소독하는 경우에는 VHSV가 사멸 차단되지 않고 수정란을 통하여 감염전파되는 것이 너무나도 극명하게 관찰되었기 때문에, 추가적인 실시예를 더 이상 수행할 필요 없이 상기 실시예 1을 수정란 소독 매뉴얼로 확정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6)

  1. 어류 수정란 3000cc를 전기분해 믹스드 옥시던트 1.5~10ppm, 100L 용액에 침지시키고, 침지용액과 동일한 농도의 전기분해를 거쳐 생성된 믹스드 옥시던트 50L를 10분간 유수식으로 흘러 보내면서 수정란을 소독처리하여, 유행성출혈성패혈증 바이러스(VHSV)의 경란 감염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분해 믹스드 옥시던트를 이용한 어류 수정란 소독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믹스드 옥시던트는 티타늄(Titanium) 또는 니오븀(Niobium)을 음극으로 하고, 루테늄(Ruthenium), 이리듐(Iridium), 탄탈륨(Tantalum) 및 백금(Platinum) 중에서 선택된 금속 또는 그들의 산화물 중에서 선택된 금속이 코팅된 것을 양극으로 사용하여 2~4 볼트의 직류를 인가시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분해 믹스드 옥시던트를 이용한 어류 수정란 소독방법.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류는 넙치, 우럭, 참돔, 돌돔, 능성어, 숭어, 농어, 전어, 가자미, 복어, 고등어, 노래미, 다랑어, 민어, 방어, 전갱이, 연어, 무지개 송어, 잉어, 향어, 뱀장어, 메기, 미꾸라지 및 붕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분해 믹스드 옥시던트를 이용한 어류 수정란 소독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독처리 후, 중화처리를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분해 믹스드 옥시던트를 이용한 어류 수정란 소독방법.
  6. 삭제
KR1020220106833A 2022-08-25 2022-08-25 전기분해 믹스드 옥시던트 소독을 이용한 어류 양식방법 KR102533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833A KR102533565B1 (ko) 2022-08-25 2022-08-25 전기분해 믹스드 옥시던트 소독을 이용한 어류 양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833A KR102533565B1 (ko) 2022-08-25 2022-08-25 전기분해 믹스드 옥시던트 소독을 이용한 어류 양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3565B1 true KR102533565B1 (ko) 2023-05-17
KR102533565B9 KR102533565B9 (ko) 2023-08-04

Family

ID=86547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6833A KR102533565B1 (ko) 2022-08-25 2022-08-25 전기분해 믹스드 옥시던트 소독을 이용한 어류 양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565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441A (ja) * 1994-07-25 1996-02-06 Nippon Boshoku Kogyo Kk 魚介類受精卵の孵化率向上方法
KR20070068136A (ko) * 2005-12-26 2007-06-2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어류양식용 해수공급장치 및 해수공급방법
KR20070071356A (ko) 2005-12-30 2007-07-04 정백영 어류양식장용 소독제의 제조방법
JP2007259808A (ja) * 2006-03-29 2007-10-11 Japan Carlit Co Ltd:The 魚貝類受精卵の孵化率向上方法
KR20100059089A (ko) * 2008-11-25 2010-06-0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해수 살균처리방법 및 장치
KR101498990B1 (ko) * 2014-07-31 2015-03-05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유수식 멸균수 어류 양식방법
KR101547566B1 (ko) * 2015-02-02 2015-08-27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전기분해를 이용한 멸균 양식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유수식 멸균수 어류 양식방법
KR101715822B1 (ko) 2016-06-16 2017-03-14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전기분해 믹스드 옥시던트 소독을 이용한 유수식 어패류 양식방법
KR102242408B1 (ko) 2019-10-01 2021-04-2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어류에 대한 바이러스성 출혈성 패혈증 예방 방법 및 바이러스성 출혈성 패혈증 바이러스에 대한 감염 내성을 갖는 어류의 생산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441A (ja) * 1994-07-25 1996-02-06 Nippon Boshoku Kogyo Kk 魚介類受精卵の孵化率向上方法
KR20070068136A (ko) * 2005-12-26 2007-06-2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어류양식용 해수공급장치 및 해수공급방법
KR20070071356A (ko) 2005-12-30 2007-07-04 정백영 어류양식장용 소독제의 제조방법
JP2007259808A (ja) * 2006-03-29 2007-10-11 Japan Carlit Co Ltd:The 魚貝類受精卵の孵化率向上方法
KR20100059089A (ko) * 2008-11-25 2010-06-0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해수 살균처리방법 및 장치
KR101498990B1 (ko) * 2014-07-31 2015-03-05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유수식 멸균수 어류 양식방법
KR101547566B1 (ko) * 2015-02-02 2015-08-27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전기분해를 이용한 멸균 양식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유수식 멸균수 어류 양식방법
KR101715822B1 (ko) 2016-06-16 2017-03-14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전기분해 믹스드 옥시던트 소독을 이용한 유수식 어패류 양식방법
KR102242408B1 (ko) 2019-10-01 2021-04-2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어류에 대한 바이러스성 출혈성 패혈증 예방 방법 및 바이러스성 출혈성 패혈증 바이러스에 대한 감염 내성을 갖는 어류의 생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3565B9 (ko) 2023-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31342B2 (ja) 滅菌養殖水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流水式滅菌水魚類養殖方法
US6284793B1 (en) Process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aquatic environment with organisms from ballast water
Forneris et al. The use of ozone in trout hatchery to reduce saprolegniasis incidence
RU2628280C1 (ru) Способ уничтожения водяной плесени в воде для рыбоводства
JP4888782B2 (ja) 養殖魚の寄生虫卵の殺滅方法
KR101547566B1 (ko) 전기분해를 이용한 멸균 양식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유수식 멸균수 어류 양식방법
KR102533565B1 (ko) 전기분해 믹스드 옥시던트 소독을 이용한 어류 양식방법
Yanong Fish health management considerations in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s–part 2: pathogens
JP4107450B2 (ja) 魚介類の病気治療または予防方法
CN101297653A (zh) 一种池塘水体消毒组合物
US7140323B2 (en) Reducing the level of bacteria and viruses in aquaculture
JP4682291B2 (ja) ワムシ単性生殖卵の消毒方法
Ben‐Atia et al. Improved performance of gilthead sea bream, Sparus aurata, larvae after ozone disinfection of the eggs
JP2007259808A (ja) 魚貝類受精卵の孵化率向上方法
JP2018070557A (ja) 水中生物生育イオン水
Ghomi et al. Comparison of ozone, hydrogen peroxide and removal of infected eggs for prevention of fungal infection in sturgeon hatchery
JPWO2012124039A1 (ja) バラスト水の殺菌剤及びバラスト水処理装置
JP2006280212A (ja) 水産系使用水の処理方法
JP3967229B2 (ja) アユの飼育方法
ES2925920T3 (es) Composición desinfectante
JP2599799B2 (ja) 飼育装置
Missen et al. Parasitic diseases of juvenile Murray cod in hatchery facilities
KAYHAN USE OF OZONE IN AQUACULTURE
KR20220092747A (ko) 마일드한 분위기를 유지하면서 수중에 살균력을 제공하는 얼음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투여방법
JP2599800B2 (ja) 飼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