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484B1 - 반도체패키지 트레이 로딩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패키지 트레이 로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484B1
KR102533484B1 KR1020230021708A KR20230021708A KR102533484B1 KR 102533484 B1 KR102533484 B1 KR 102533484B1 KR 1020230021708 A KR1020230021708 A KR 1020230021708A KR 20230021708 A KR20230021708 A KR 20230021708A KR 102533484 B1 KR102533484 B1 KR 102533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azine
unit
picker
tray
loa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1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계철
Original Assignee
에스에스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스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에스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21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4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Conveying cassettes, containers or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33Trays for chi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2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y means of a cart or a vehicu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패키지 트레이 로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반도체패키지가 다량 수용된 트레이를 다수로 적재하고 대차에 적층하여 공급되는 매거진을 로딩장치의 픽커부로 선반부에 이송하고, 이송된 매거진은 그립퍼부로 잡아 들어올리고 들어올린 매거진은 이젝트부를 작동하여 트레이를 순차적으로 인출하며, 상기 트레이의 인출이 완료된 빈 매거진은 그립퍼부로 선반부에 이송과 함께 픽커부로 다시 픽업하여 대차로 자동이송하도록 함으로써, 다수로 적재된 매거진을 연속적으로 로딩시키면서 트레이를 자동 인출하여 이송함으로써, 반도체 제조공정 작업 능률 향상은 물론 다량 생산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반도체패키지 트레이 로딩장치{APPARATUS FOR LOADING SEMICONDUCTOR PACKAGE TRAY}
본 발명은 반도체패키지 트레이 로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반도체패키지 제조공정에서 이전 제조공정이 완료된 반도체 패키지들을 다음 제조공정으로 신속하고도 연속적으로 인출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한 반도체패키지 트레이 로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패키지 제조공정은 여러 공정을 거쳐 반도체 패키지 제조공정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이전 제조공정에서 완료된 반도체 패키지들은 다음 제조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운반하게 된다.
이렇게 이전 공정에서 다음 제조공정으로 운반하게 되는 반도체패키지 제조공정은 대량 생산의 공정수행을 위해 다량의 반도체패키지들을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하여 안착시키는 트레이 또는 지그에 수용하고, 상기 다량의 반도체패키지가 수용된 트레이 또는 지그들은 하나의 매거진에 다수로 적재하여 다음 제조공정으로 운반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다량의 반도체패키지가 수용된 트레이 또는 빈 트레이를 하나 하나 운반하거나 또는 매거진에 다수로 적재한 후 매거진을 일일이 다음 제조공정의 위치로 운반하여 공정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어, 수작업 특성상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번거로워 대량 생산을 저해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그래서 운반에 간편화 및 작업에 연속성을 유지하도록 다량의 반도체 패키지 트레이가 적재된 다수의 매거진들을 대차에 실은 상태 그대로 운반해서 다음 제조공정에 연속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생산성 향상은 물론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는 수단이나 장치가 요구되게 되었다.
일환으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0771480호(명칭; 트레이 이송 시스템)(종래기술1)에 의하면, 트레이를 X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트레이 이송부와, 상기 트레이 이송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트레이를 픽업하는 픽업부, 및 상기 픽업부를 상기 X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승ㆍ하강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트레이 이송부는 X축 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 배치되고 Y축 방향으로 설치된 안내레일, 및 상기 안내레일에 설치되고 상기 Y축 방향으로 위치이동되는 이송부재로 구성함으로써, 수지를 공급받거나 수지를 공급받은 트레이를 X축과 Y축, Z축방향으로 각각 이송시켜 트레이 이송의 정체 현상을 해소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1은 트레이 이송부로 공급받은 트레이를 X축과 Y축, Z축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X축방향 베이스에 트레이를 하나씩 공급받아, Y축방향으로 이송하고, Y축방향으로 이송된 트레이를 Z축방향 베이스로 이송하여 트레이를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도록 함으로써, 트레이 이송에 정체 현상을 해소할 수 있으나, 트레이를 일일이 하나씩 공급하고 하나씩 이송하는 것에 불과하여 트레이의 공급 및 이송이 신속하게 이루어지 못하는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게 되었다.
또한 출인인이 선출하여 등록받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2114636호(명칭; 반도체패키지의 자동교체를 위한 공정장치)(종래기술2)에 의하면, 반도체패키지가 안착된 지그 또는 보트, 반도체패키지가 안착되기 위한 빈지그 또는 빈보트를 매거진을 이용해 순차적으로 연속 공급하는 공정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제1 매거진 로더부와; 반도체패키지가 안착된 지그 또는 보트 중 어느 하나를 매거진을 이용해 순차적으로 연속 공급하는 공정을 선택적 수행하는 제2 매거진 로더부와; 반도체패키지가 안착된 트레이를 연속 공급한 후 상기 트레이에서 반도체패키지가 비워진 빈트레이가 연속 적재되거나, 또는 반도체패키지가 안착되기 위한 빈트레이를 연속 공급한 후 상기 빈트레이에 반도체패키지가 안착된 트레이가 연속 적재되는 공정을 선택적 수행하는 트레이 로더부와; 상기 제1 매거진 로더부를 통해 공급되는 지그 또는 보트, 빈지그 또는 빈보트 중 어느 하나를 패키지 픽커부의 위치로 선택적 이동시키는 제1 이송 유닛부와; 상기 제2 매거진 로더부를 통해 선택적 공급되는 지그 또는 보트 중 어느 하나를 패키지 픽커부의 위치로 선택적 이동시키는 제2 이송 유닛부와; 상기 제1 이송 유닛부, 제2 이송 유닛부, 트레이 로더부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선택적 이동된 지그, 보트, 트레이 중 어느 하나에서 반도체패키지를 픽업한 후 교체 대상인 빈지그, 빈보트, 빈트레이 중 어느 하나에 픽업한 반도체패키지를 이동시켜 안착하는 교체작업을 반복적 수행하는 패키지 픽커부와; 상기 패키지 픽커부의 교체작업을 통해 공급된 지그, 보트, 빈지그, 빈보트 중 어느 하나를 제1 매거진 언로더부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공정을 수행하는 제3 이송 유닛부와; 상기 패키지 픽커부의 교체작업을 통해 공급된 빈지그 또는 빈보트를 제2 매거진 언로더부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공정을 선택적 수행하는 제4 이송 유닛부와; 상기 제3 이송 유닛부를 통해 이동된 지그, 보트, 빈지그, 빈보트 중 어느 하나를 매거진에 적재시키는 공정을 수행하는 제1 매거진 언로더부와; 상기 제4 이송 유닛부를 통해 이동된 빈지그 또는 빈보트를 매거진에 적재시키는 공정을 선택적 수행하는 제2매거진 언로더부를 포함함으로써, 지그, 트레이, 보트 중에서 안착된 반도체패키지가 생산공정에 맞는 지그, 트레이,보트 중에서 어느 하나로 안착되는 교체작업이 자동화 방식의 장비를 통해 자동교체되어 반도체패키지의 교체작업의 자동화에 의해 작업시간이 대폭 단축되고 다수의 반도체패키지가 동시에 대량생산 방식으로 교체되어 생산성이 향상되게 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 2는 반도체트레이를 다수로 적재한 매거진으로부터 공급받아 이송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 또한 반도체트레이를 공급하는 매거진은 작업자가 매거진 로더부에 일일이 하나씩 운반하여 공급하도록 되어 있어, 작업자는 매거진을 계속해서 일일이 운반하고 공급하여야 하므로, 작업에 어려움은 물론 번거로움으로 인해 신속성이 결여되어 작업능률 및 다량 생산을 저하하게 되는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게 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반도체패키지가 다량 수용된 트레이를 다층으로 적재하고, 대차에 적재되어 공급하게 되는 매거진을 연속적으로 픽업하여 이송하고, 연속적으로 이송된 매거진을 순차적으로 인출 위치로 올리고 내려가면서 차례로 트레이를 인출하며, 상기 트레이의 인출이 완료된 빈 매거진은 다시 픽업하여 대차로 이송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매거진을 연속적으로 로딩하면서 트레이를 인출하여 이송할 수 있어 반도체 제조공정 작업 능률 향상은 물론 다량 생산을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 과제의 해결 수단은 반도체패키지를 다량 수용한 트레이가 다층으로 적재된 매거진을 이송하는 대차; 상기 대차로 이송된 매거진으로부터 트레이들을 다음 제조공정으로 로딩하는 로딩장치로 구비하되, 상기 로딩장치는 대차가 반입되도록 구비된 브라켓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대차로 이송된 매거진을 집어올려 이송하거나, 빈 매거진을 다시 집어들어 올려 대차로 이송하는 픽커부; 상기 픽커부로 이송된 매거진이 놓여져 이동되고 빈 매거진이 놓여지는 선반부; 상기 선반부에 놓여진 매거진을 파지하여 트레이의 인출 높이로 들어올려 파지하는 그립퍼부; 상기 그립퍼부로 파지된 매거진으로부터 트레이를 다음 제조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해 인출하는 이젝트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픽커부는 브라켓의 상면 상방에 지지대에 의해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선형가이드; 상기 수평선형가이드에 지지대에 의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선형가이드; 상기 수직선형가이드에 설치되어 승하강하면서 매거진을 집어 들어 올리게 되는 픽커; 상기 픽커의 저면 일측과 타측으로 매거진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센서; 상기 접촉센서의 내측으로 구비되어 오무렸다 폈다하면서 매거진을 잡아주게 되는 집게; 상기 집게에 의해 매거진을 잡아주게 되면 매거진의 개방면을 개폐하게 되는 개폐봉; 상기 개폐봉의 반대 위치에 설치되어 매거진의 운반 위치를 감지하게 되는 위치센서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반부는 브라켓의 상면에 2단으로 수평 설치되고 픽커부로 이송되어 놓여진 매거진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놓게 되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의 후방 상부에 구비되어 빈 매거진이 놓여지는 선반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립퍼부는 브라켓의 상면 후방에 설치되는 수평선형가이드; 상기 수평선형가이드의 후단에 설치되어 수평이동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선형가이드; 상기 수직선형가이드에 설치되어 수평과 수직으로 매거진을 들어올리게 되는 지게; 상기 수직선형가이드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지게로 들어올려진 매거진을 고정하게 되는 그립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젝트부는 브라켓의 후방 일측 상방에 고정 설치되고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는 지지대; 상기 가이드레일의 하방 일측과 타측에 회전되게 설치되고 벨트로 연동되는 한쌍의 풀리; 상기 한쌍의 풀리 중 어느 하나의 풀리에 설치되어 풀리를 정,역회전하게 되는 모터; 상기 지지대의 가이드레일에 상단이 결합되고 하단이 벨트에 결합되어 전후진 이동되는 이동지지대; 상기 이동지지대의 선단에 매거진의 트레이를 밀어 인출하게 되는 인출바; 상기 인출바의 후방에 구비되어 이동을 제한하게 되는 센싱바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른 효과는 반도체패키지가 다량 수용된 트레이를 다수로 적재하고 대차에 적층하여 공급되는 매거진을 로딩장치의 픽커부로 선반부에 이송하고, 이송된 매거진은 그립퍼부로 잡아 들어올리고 들어올린 매거진은 이젝트부를 작동하여 트레이를 순차적으로 인출하며, 상기 트레이의 인출이 완료된 빈 매거진은 그립퍼부로 선반부에 이송과 함께 픽커부로 다시 픽업하여 대차로 자동이송하도록 함으로써, 다수로 적재된 매거진을 연속적으로 로딩시키면서 트레이를 자동 인출하여 이송함으로써, 반도체 제조공정 작업 능률 향상은 물론 다량 생산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반도체패키지 트레이 로딩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반도체패키지 트레이 로딩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반도체패키지 트레이 로딩장치의 픽커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반도체패키지 트레이 로딩장치의 그립퍼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반도체패키지 트레이 로딩장치의 그립퍼부 동작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반도체패키지 트레이 로딩장치의 이젝트부 사시도.
본 발명을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고, 중복되거나 발명의 의미를 한정적으로 해석되게 할 수 있는 부가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생략될 수 있다.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상에 비록 단수적 표현으로 기재되어 있을지라도 국어 사용에 있어서 단수/복수를 명확하게 구분 짓지 않고 사용되는 환경과 당해 분야에서의 통상적인 용어 사용 환경에 비추어, 발명의 개념에 반하지 않고 해석상 모순되거나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되었거나 기재될 수 있는 '포함한다', '갖는다', '구비한다',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등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구성요소 또는 그들 조합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 반도체패키지 트레이 로딩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반도체패키지 트레이 로딩장치의 요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반도체패키지 트레이 로딩장치의 픽커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반도체패키지 트레이 로딩장치의 그립퍼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반도체패키지 트레이 로딩장치의 그립퍼부 동작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반도체패키지 트레이 로딩장치의 이젝트부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본 발명 반도체패키지 트레이 로딩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패키지를 다량 수용한 트레이가 다층으로 적재된 매거진(1)을 이송하는 대차(10)와; 상기 대차(10)로 이송된 매거진(1)으로부터 트레이들을 다음 제조공정으로 로딩하기 위해 로딩하는 로딩장치(20)로 구비하게 된다.
상기 대차(10)는 하부에 바퀴를 구비하고, 양측면에 걸이봉(11)과 전면에 결합클립(12)을 구비하며, 상면에 내측으로부터 다수의 트레이를 수용한 매거진(1)들 적재하여 운반하게 된다.
상기 로딩장치(20)는 상기 대차(10)가 반입되도록 구비된 브라켓(2)의 상면에 상기 대차(10)로 이송된 매거진(1)을 집어 들어올려 이송하거나, 빈 매거진(1)을 다시 집어 들어 올려 상기 대차(10)로 이송하는 픽커부(21)가 구비된다.
상기 브라켓(2)의 상면 중앙부위에는 상기 픽커부(21)로 이송된 매거진(1)이 놓여져 이동되고 빈 매거진(1)이 놓여지는 선반부(22)가 구비된다.
상기 선반부(22)의 후방에는 픽커부(21)로 이송되어 선반(22)에 놓여진 매거진(1)을 파지하여 트레이의 인출 높이로 들어올려 파지하는 그립퍼부(23)가 구비되고, 상기 그립퍼부(23)로 파지된 매거진(1)으로부터 트레이를 다음 제조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해 인출하는 이젝트부(24)가 구비된다.
상기 픽커부(2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2)의 상면 어느 일측 상방으로 수직상의 지지대(211)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211)의 상단에는 수평선형가이드(LM GUIDE)(212)가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기 수평선형가이드(212)에는 수직으로 지지대(211)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대(211)에는 수직선형가이드(213)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수평선형가이드(212)의 작동에 의해 지지대(211)가 수평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지지대(211)에 결합된 수직선형가이드(213)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상기 수직선형가이드(213)에는 상하로 승하강하면서 매거진(1)을 집어 들어 올리게 되는 픽커(214)가 구비된다.
상기 픽커(214)는 저면 일측과 타측으로 매거진(1)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센서(215)가 구비되고, 상기 접촉센서(215)의 내측으로 오무렸다 폈다하면서 매거진(1)을 잡아주게 되는 한쌍의 집게(216)가 구비된다.
상기 접촉센서(215)의 외측에는 승하강하면서 매거진(1)의 개방면을 개폐하는 개페봉(217)이 구비되고, 상기 개폐봉(217)과 서로 대향하는 반대 위치에 매거진(1)의 위치를 감지하게 되는 위치센서(218)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픽커부(21)는 대차(10)에 실려 로딩장치(20)로 반입되는 매거진(1)을 로딩시키기 위해 수평선형가이드(212)를 작동하여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선형가이드(213)를 로딩할 매거진(1)의 위치로 이동시킨후,상기 수직선형가이드(213)에 설치된 픽커(214)를 작동하여 집게(215)를 벌려준 상태로 하강시켜 상기 픽커(214)에 구비된 접촉센서(215)로 하방의 매거진(1)에 접촉을 감지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접촉센서(215)로 매거진(1)의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벌려져 있던 집게(215)를 오므려서 상기 매거진(1)의 측면을 걸어 잡아줌과 아울러, 개폐봉(217)을 하방으로 작동하여 계폐봉(217)으로 매거진(1)의 개방면을 막아준 후, 수직형가이드(213)를 작동하여 상기 픽커(214)을 상방으로 들어올리고 상기 수평선형가이드(212)를 작동하여 픽커(214)를 수평이동시켜 매거진(1)을 로딩위치에 갖다 놓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픽커부(21)는 다시 수평선형가이드(212)와 수직선형가이드(213)를 작동하여 상기 픽커(214)를 다음 이송할 매거진(1)의 위치로 이동하여 매거진(1)를 연속적으로 이송하도록 함으로써 매거진(1)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송하게 된다.
상기 선반부(2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2)의 상면에 2단으로 수평 설치되고, 하단에는 상기 픽커부(21)의 픽커(214)로 이송되어 놓여진 매거진(1)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놓게 되는 컨베이어(221)가 구비되고, 상기 컨베이어(221)의 후방 상부에는 트레이의 로딩이 완료된 빈 매거진(1)이 올려 놓여지는 선반(222)이 구비된다.
이렇게 구비된 선반부(22)는 상기 픽커부(21)의 픽커(214)로 이송되어 하단에 위치한 컨베이어(221)에 매거진(1)이 놓여지면, 컨베이어(221)는 작동하여 놓여진 매거진(1)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다음 픽커부(21)의 픽커(214)로 이송되는 매거진(1)이 놓여질 수 있도록 전방을 비어놓는 작동을 연속적으로 하여 이송되는 매거진(1)이 놓여지도록 함으로써, 매거진(1)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송하게 된다.
상기 그립퍼부(23)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2)의 상면 후방에 수평선형가이드(231)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선형가이드(231)의 후단에 수평으로 이동하게 되는 지지대(232)가 설치되어 상기 수평선형가이드(231)에 의해 지지대(232)는 수평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지지대(232)에는 수직선형가이드(233)가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수직선형가이드(233)에는 수평과 수직운동으로 매거진(1)을 들어올리는 지게(234)가 설치되고, 지게(234)의 상부에는 들어올려진 매거진(1)을 상기 지게(234)와 맞잡고 고정하는 그립(235)이 구비된다.
그러므로 상기 그립퍼부(23)는 지지대(232)에 설치되고 수직선형가이드(233)를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된 지게(234)와 그립(235)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수평선형가이드(231)을 작동하여 지지대(232)를 수평으로 전진시켜 상기 지게(234)와 그립(235)으로 상기 선반부(22)의 컨베이어(221)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어 있는 매거진(1)을 상하로 맞잡고 지지대(232)를 다시 후진 이동시켜 매거진(1)을 맞잡고 있는 지게(234)와 그립(235)을 수직선형가이드(233)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시켜 로딩위치로 올려 놓게 된다.
이렇게 그립퍼부(23)에 의해 로딩위치로 올려져 있는 매거진(1)은 후술하는 상기 이젝트부(24)로 매거진(1)에 수용된 트레이를 하나씩 하나씩 인출하여 다음 제조공정으로 로딩시켜 주게 된다.
이어서 트레이 인출이 완료된 빈 매거진(1)은 지게(234)와 그립(235)를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선반부(22)의 선반(222)에 올려주고 다시 지게(234)와 그립(235)는 원복하여 선반부(22)의 컨베이어(221)에 놓여진 매거진(1)을 상하로 맞잡고 로딩위치로 들어올려주는 반복 동작으로 트레이를 로딩시켜 주게 되므로 상기 트레이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로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선반부(22)의 선반(222)에 올려진 빈 매거진(1)은 상기 픽커부(21)를 수평선형가이드(212)를 따라 선반(222)의 위치까지 이동시켜 픽업한 후 대차(10)로 이송하여 반출하게 된다.
상기 이젝트부(24)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2)의 후방 일측에 상방으로 가이드레일(241)이 구비된 지지대(242)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241)의 하방 일측과 타측에는 벨트로 연동되는 한쌍의 풀리(243)가 설치된다.
상기 한쌍의 풀리(243)중 어느 하나의 풀리에는 정,역회전하게 되는 모터(244)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241)에 일측 상단이 결합되고 일측 하단이 벨트에 결합 되어 전후진 이동되는 이동지지대(245)가 설치된다.
상기 이동지지대(245)의 선단에는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고 매거진(1)에 수용된 트레이를 밀어 인출하는 인출바(246)가 설치되고, 상기 인출바(246)의 후방에 는 이동을 제한하게 되는 센싱바(247)가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된 상기 이젝트부(24)는 가이드레일(241)이 설치된 지지대(242)의 후방에 설치된 모터(244)를 회전시키면 상기 모터(244)에 결합된 풀리(243)가 회전하고 풀리(243)의 회전은 이동지지대(245)를 가이드레일(241)를 따라 이동되게 되어 이동지지대(245)에 설치된 인출바(246)가 전진하여 그립퍼부(23)의 지게(234)와 그립(235)에 의해 로딩위치로 올려져 있는 매거진(1)을 향하여 전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지지대(245)에 설치된 인출바(246)는 상기 매거진(1)의 맨하단에 수용된 트레이를 향하여 전진하여 트레이를 밀어 인출하고 센싱바(247)로 인출을 감지하여 후진하게 되고 상기 그립퍼부(23)는 매거진(1)에 수용된 다음 트레이를 인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그립퍼부(23)는 매거진(1)을 다음 인출 높이로 하강시켜 상기 이젝트부(24)의 인출바(246)로 상기 매거진(1)의 하단부터 차례로 인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젝트부(24)에 의해 트레이의 인출이 완료된 빈 매거진(1)은 상기 그립퍼부(23)의 지게(234)와 그립(235)으로 상기 선반부(22)의 선반(222)에 올려놓는 한편, 상기 그립퍼부(23)의 지게(234)와 그립(235)은 트레이가 수용된 다음 매거진(1)을 인출 위치로 연속하여 올려 놓기 위해 매거진(1)이 놓여진 선반부(22)의 컨베이어(221)로 이동하고, 매거진(1)을 빼내어 인출위치로 들어올려서 매거진(1)에 수용된 트레이를 연속적으로 인출하도록 함으로써, 다음 제조공정으로 트레이의 로딩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어 공정작업 시간 단축은 물론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반도체패키지 트레이 로딩장치 1; 매거진
2; 브라켓 10; 대차
20; 로딩장치 21; 픽커부
211; 지지대 212;수평선형가이드
213; 수직선형가이드 214; 픽커
215; 접촉센서 216; 집게
217; 개폐봉 218; 위치센서
22; 선반부 221; 컨베이어
222; 선반 23; 그립퍼부
231; 수평선형가이드 232; 지지대
233; 수직선형가이드 234; 지게
235; 그립 24; 이젝트부
241; 가이드레일 242; 지지대
243; 풀리 244; 모터
245; 이동지지대 246; 인출바
247; 센싱바

Claims (4)

  1. 반도체패키지를 다량 수용한 트레이가 다층으로 적재된 매거진을 이송하는 대차; 상기 대차로 이송된 매거진으로부터 트레이들을 다음 제조공정으로 로딩하는 로딩장치로 구비하되,
    상기 로딩장치는 대차가 반입되도록 구비된 브라켓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대차로 이송된 매거진을 집어올려 이송하거나, 빈 매거진을 다시 집어들어 올려 대차로 이송하는 픽커부;
    상기 픽커부로 이송된 매거진이 놓여져 이동되고 빈 매거진이 놓여지는 선반부;
    상기 선반부에 놓여진 매거진을 파지하여 트레이의 인출 높이로 들어올려 파지하는 그립퍼부;
    상기 그립퍼부로 파지된 매거진으로부터 트레이를 다음 제조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해 인출하는 이젝트부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픽커부는 브라켓의 상면 상방에 지지대에 의해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선형가이드;
    상기 수평선형가이드에 지지대에 의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선형가이드;
    상기 수직선형가이드에 설치되어 승하강하면서 매거진을 집어 들어 올리게 되는 픽커;
    상기 픽커의 저면 일측과 타측으로 매거진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센서;
    상기 접촉센서의 내측으로 구비되어 오무렸다 폈다하면서 매거진을 잡아주게 되는 집게;
    상기 집게에 의해 매거진을 잡아주게 되면 매거진의 개방면을 개폐하게 되는 개폐봉;
    상기 개폐봉의 반대 위치에 설치되어 매거진의 운반 위치를 감지하게 되는 위치센서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패키지 트레이 로딩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부는 브라켓의 상면에 2단으로 수평 설치되고 픽커부로 이송되어 놓여진 매거진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놓게 되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의 후방 상부에 구비되어 빈 매거진이 놓여지는 선반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패키지 트레이 로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퍼부는 브라켓의 상면 후방에 설치되는 수평선형가이드;
    상기 수평선형가이드의 후단에 설치되어 수평이동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선형가이드;
    상기 수직선형가이드에 설치되어 수평과 수직으로 매거진을 들어올리게 되는 지게;
    상기 수직선형가이드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지게로 들어올려진 매거진을 고정하게 되는 그립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패키지 트레이 로딩장치.
KR1020230021708A 2023-02-17 2023-02-17 반도체패키지 트레이 로딩장치 KR102533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1708A KR102533484B1 (ko) 2023-02-17 2023-02-17 반도체패키지 트레이 로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1708A KR102533484B1 (ko) 2023-02-17 2023-02-17 반도체패키지 트레이 로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3484B1 true KR102533484B1 (ko) 2023-05-17

Family

ID=86547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1708A KR102533484B1 (ko) 2023-02-17 2023-02-17 반도체패키지 트레이 로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48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5321A (ja) * 1998-03-11 1999-09-21 Shinko Electric Co Ltd 手押し台車
KR101339169B1 (ko) * 2013-04-22 2013-12-09 (주)네온테크 반도체 절단 장비용 컨베이어 로더
KR101910354B1 (ko) * 2018-08-17 2019-01-04 에스에스오트론 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의 트레이 자동교체장치
KR102114636B1 (ko) * 2020-03-19 2020-05-25 에스에스오트론 주식회사 반도체패키지의 자동 교체를 위한 공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5321A (ja) * 1998-03-11 1999-09-21 Shinko Electric Co Ltd 手押し台車
KR101339169B1 (ko) * 2013-04-22 2013-12-09 (주)네온테크 반도체 절단 장비용 컨베이어 로더
KR101910354B1 (ko) * 2018-08-17 2019-01-04 에스에스오트론 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의 트레이 자동교체장치
KR102114636B1 (ko) * 2020-03-19 2020-05-25 에스에스오트론 주식회사 반도체패키지의 자동 교체를 위한 공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6783B2 (ja) 棚式倉庫及び荷役方法
ITMI942422A1 (it) Metodo e apparecchiatura per il carico e lo scarico automatico di circuiti stampati su macchine per l'esecuzione del test elettrico
US9611104B2 (en) Sorting apparatus and vessel sorting method
US11633929B2 (en) Bead-apex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a plurality of stacks with bead-apexes and spacers
KR20060046424A (ko) 부품 배치 장치, 부품 공급 장치 및 방법
CN115447931A (zh) 自动加工生产线
KR102533484B1 (ko) 반도체패키지 트레이 로딩장치
CN211140634U (zh) 一种周转式双向装配流水线
KR100789292B1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핸들러 및 트레이 이송방법
CN217963636U (zh) 芯片测试分选机
CN218370397U (zh) 上下料机构及外观检测装置
KR100262270B1 (ko) 수평식 핸들러에서 테스트 트레이내로 소자를 로딩/언로딩하는방법 및 그 장치
CN110451145A (zh) 电子料盘上下料设备
TW201327710A (zh) 具移料單元之電子元件設備
JP6025343B2 (ja) 棚装置におけるワークの1枚取り方法及び棚装置
CN213916933U (zh) 一种上料装置
TWI658979B (zh) 管線取料裝置與方法
KR102143715B1 (ko) 테이핑 시스템 및 테이핑 방법
CN210794857U (zh) 一种上料流水线
TW202239315A (zh) 電路板自動輸送機
TWI656081B (zh) 管線進出料系統與方法
CN110775558A (zh) 一种周转式双向装配流水线
TWI830122B (zh) 料盤輸送裝置及點料系統
CN220664170U (zh) 运料设备
KR102631366B1 (ko) 트레이 커버의 자동 로딩 및 언로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