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290B1 - 전압개폐 칼륨이온채널 억제 활성능을 갖는 펩타이드 - Google Patents

전압개폐 칼륨이온채널 억제 활성능을 갖는 펩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290B1
KR102533290B1 KR1020220046057A KR20220046057A KR102533290B1 KR 102533290 B1 KR102533290 B1 KR 102533290B1 KR 1020220046057 A KR1020220046057 A KR 1020220046057A KR 20220046057 A KR20220046057 A KR 20220046057A KR 102533290 B1 KR102533290 B1 KR 102533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s
peptide
seq
potassium ion
l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6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승식
이나영
이나윤
조예진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20046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2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3504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invertebrates
    • C07K14/4359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invertebrates from coelenteratae, e.g. medusa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55Protease inhibitors
    • A61K38/57Protease inhibitors from animals; from hum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Immu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Toxi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무라입깃해파리에서 독액에서 유래한 ShK domain 유사 펩타이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3 펩타이드는 초기 단계의 T 림프구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hKv1.3 칼륨이온채널을 억제하여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압개폐 칼륨이온채널 억제 활성능을 갖는 펩타이드{Peptide with voltage-gated potassium ion channel inhibitory activity}
본 발명은 노무라입깃해파리에서 독액에서 유래한 ShK domain 유사 펩타이드에 관한 것이다.
전압 개폐 칼륨이온채널은 세포막에 존재하면서 막 전압에 따라 열리고 닫히면서 칼륨을 통과시키는 막 단백질이다. 신경세포와 근육세포등 흥분성세포의 막에 주로 존재하면서 활동전압을 소멸시킨다.
인간 T세포에서 Kv1.3 칼륨이온채널은 휴지막 전위와 Ca2+ 신호 전달을 조절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자가면역질환 관련 CCR7 반응기(effector) 기억 T 세포가 염증 부위에서 활성화되면 이들 세포에서 Kv1.3 채널의 발현이 세포당 250개 채널에서 약 1,500개 내지 2,000개 채널로 크게 증가한다. 이러한 Kv1.3 채널 단백질의 증가는 림프기관에 있는 중추 기억 T 세포 또는 나이브(naive) T 세포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특정 Kv1.3 억제제로 반응기 기억 T 세포를 선택적으로 억제하면 질병을 완화하기 위해 면역 반응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Kv1.3 채널 차단의 치료 효과는 시험관내 분석 및 다발성 경화증, 제1형 당뇨병, 류머티스 성 관절염, 건선, 천식, 루푸스 신염, 급성관상동맥증후군, 지연형 과민증, 치주염 후 뼈 흡수, 접촉 피부염 및 피부 이식과 같은 T세포 매개 자가면역질환의 체내 동물 모델에 의해 검증되었다(Chandy, KG and Norton, RS, 2017. Peptide blockers of Kv1.3 channels in T cells as therapeutics for autoimmune disease. Curr. Opin. Chem. Biol., 38:97-107.).
대표적인 전압개폐 칼륨이온채널 억제하는 펩타이드로는 ShK domain이 있다. ShK domain은 말미잘 Stichodactyla helianthus에서 추출한 35개 잔기의 염기성 펩타이드로 다수의 칼륨 채널을 차단한다.
상기 ShK domain 유사 펩타이드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방면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24517호에서는 멕시코 전갈 Vaejovis mexicanus smithi의 독으로부터 분리된 펩타이드 (Vm23 및 Vm24)가 칼륨이온채널(Kv1.3)을 억제하여 자가면역질환의 치료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개시하였다. WO 2010/108154에서는 ShK, HmK 및 AETX-K와 관련된 독소 펩타이드 유사체가 칼륨이온채널(Kv1.3)을 억제하여 자가면역질환의 치료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개시하였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38501호에서는 ShK domain에 방사성동의원소 및 킬레이터를 부착시켜 기존 ShK domain보다 우수한 칼륨이온채널(Kv1.3) 억제효과를 개시하였다.
본 발명자는 노무라입깃해파리의 유전체 정보를 분석하였으며, 분석한 gene set을 Tox-Prot 데이터베이스 와 비교하여, 52종의 독 관련 domain을 얻었고, 이들중 hKv1.3 칼륨이온채널을 억제하는 펩타이드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3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타이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들 펩타이드는 hKv1.3 칼륨이온채널을 억제하므로 자가면역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3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Kv1.3 칼륨이온채널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3 펩타이드는 초기 단계의 T 림프구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hKv1.3 칼륨이온채널을 억제하여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3 펩타이드의 서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3 펩타이드의 6개 시스테인에 의해 형성되는 3개의 이황화결합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hKv1.3 칼륨이온채널에서 Psora4의 전압 클램프(voltage clamp)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은 hKv1.3 칼륨이온채널에서 g5156.t1-3 펩타이드의 전압 클램프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은 hKv1.3 칼륨이온채널에서 g7640.t1-1 펩타이드의 전압 클램프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hKv1.3 칼륨이온채널에서 g5156.t1-2 펩타이드의 전압 클램프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hKv1.3 칼륨이온채널에서 CBRV1_05766-1 펩타이드의 전압 클램프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3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상기 서열번호 1은 Cys-Lys-Asp-His-His-Thr-Tyr-Gly-Val-Tyr-Cys-Lys-Asp-Trp-Lys-Ser-Ser-Gly-Glu-Cys-Lys-Lys-Asn-Pro-Lys-Gly-Met-Arg-His-Phe-Cys-Arg-Lys-Thr-Cys-Gly-Phe-Cys이다.
상기 서열번호 2는 Cys-Met-Asp-Arg-Glu-Arg-Glu-Ser-Lys-Ala-Gly-Leu-Cys-Lys-Gly-Trp-Gln-Lys-Ile-Asn-Ser-Cys-Phe-Asp-His-Pro-Val-Leu-Met-Lys-Thr-Tyr-Cys-Pro-Lys-Thr-Cys-Gly-Phe-Cys이다.
상기 서열번호 3은 Cys-Lys-Asn-Lys-Glu-Gly-Thr-Phe-Cys-Gln-Arg-Phe-Lys-Ser-Asp-Cys-Phe-His-Asp-Arg-Leu-Pro-Ser-Val-Gln-Met-Lys-Thr-Ile-Cys-Ser-Glu-Thr-Cys-Gly-Ile-Cys이다.
상기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3은 표 1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서열번호 펩타이드 명 서열
서열번호 1 g5156.t1-3 CKDHHTYGVYCKDWKSSGECKKNPKGMRHFCRKTCGFC
서열번호 2 g7640.t1-1 CMDRERESKAGLCKGWQKINSCFDHPVLMKTYCPKTCGFC
서열번호 3 g5156.t1-2 CKNKEGTFCQRFKSDCFHDRLPSVQMKTICSETCGIC
상기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3 펩타이드는 6개의 시스테인을 포함하며, 모두 3개의 이황화결합을 포함한다.상기 이황화결합은 첫번째 Cys와 여섯번째 Cys, 두번째 Cys와 네번째 Cys 및 세번째 Cys와 다섯번째 Cys이 각각 이황화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는 1번 Cys과 38번 Cys, 11번 Cys과 31번 Cys 및 20번 Cys과 35번 Cys이 각각 이황화결합하고, 서열번호 2의 펩타이드는 1번 Cys과 40번 Cys, 13번 Cys과 33번 Cys 및 22번 Cys과 37번 Cys이 각각 이황화결합하고, 서열번호 3의 펩타이드는 1번 Cys과 37번 Cys, 9번 Cys과 30번 Cys 및 16번 Cys과 34번 Cys이 각각 이황화결합한다(도 2).
상기 펩타이드를 합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당업계의 통상적인 펩타이드의 화학적 합성 방법(W H Freeman and Co, Proteins; structures and molecular principles, 1983)으로 합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액상 펩타이드 합성법(Solution Phase Peptide synthesis), 고상 펩타이드 합성법(solid-phase peptide syntheses), 단편 응축법 및 F-moc 또는 T-BOC 화학법으로 합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고상 펩타이드 합성법으로 합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하기와 같은 유전공학적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우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상기 펩타이드를 코딩하는 DNA 서열을 작제한다. DNA 서열은 적절한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PCR 증폭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표준 방법에 의해, 예컨대, 자동 DNA 합성기(예를 들면, Biosearch 또는 Applied iosystems사의 제품)를 사용하여 DNA 서열을 합성할 수도 있다. 상기 DNA 서열은 이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어 DNA 서열의 발현을 조절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발현 조절 서열(예: 프로모터, 인핸서 등)을 포함하는 벡터에 삽입하고, 이로부터 형성된 재조합 발현 벡터로 숙주세포를 형질전환한 다음, 생성된 형질전환체를 상기 DNA 서열이 발현되도록 하기에 적절한 배지 및 조건 하에서 배양하여, 배양물로부터 상기 DNA 서열에 의해 코딩된 실질적으로 순수한 펩타이드를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 (예컨대, 크로마토그래피)을 이용하여 회수한다.
상기 '실질적으로 순수한 펩타이드'라 함은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가 숙주로부터 유래된 어떠한 다른 단백질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 합성을 위한 유전공학적 방법은 다음의 문헌을 참고할 수 있다: Maniatis et al, MolecularCloning;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1982; Sambrook et al,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ColdSpring Harbor Press, NY, Second(1998) and Third(2000) Edition; Gene Expression Technology, Method in Enzymology, Genetics and Molecular Biology, Method in Enzymology, Guthrie & Fink (eds), Academic Press, San Diego, Calif, 1991; 및 Hitzeman et al, J Biol Chem, 255:12073-12080, 1990.
상기 펩타이드는 노무라입깃해파리에서 독액(venom)의 구성물이다. 본 발명자는 노무라입깃해파리의 유전체 정보(Kim et al. The genome of the giant Nomura's jellyfish sheds lights on the early evolution of active predation. BMC Biology. 2019, 17: 28)를 분석하였으며, 분석한 gene set를 Tox-Prot 데이터베이스 (Jungo F, Bougueleret L, Xenarios I, Poux S. The UniProtKB/Swiss-Prot Tox-Prot program: a central hub of integrated venom protein data. Toxicon. (2012) 60(4): 551-7)과 비교하여, 52종의 독 관련 domain을 얻었다(표 3).
상기 독 관련 domain 52종을 자포동물에서 발견된 ShK 및 그 유사 펩타이드들의 아미노산 서열들이 갖는 하기 실시예 1의 3가지 공통점과 비교하여, ShK domain과 아미노산 서열의 구조가 유사한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3의 펩타이드(g5156.t1-3, g7640.t1-1 및 g5156.t1-2)를 얻었다(표 4).
상기 자포동물은 후생동물에 속하는 하나의 문(phylum)으로 이배엽성 동물이며, 산호류들을 포함해서 말미잘, 히드라, 해파리 등이 포함되어 있다. 몸은 방사대칭이고 머리는 없으며 체벽은 두 세포층으로 되어 있다. 주머니 모양의 강장에는 하나의 입이 있다. 뚜렷한 조직으로 되어 있으나 기관은 형성하지 않는다. 몸 표면에 자세포(cnidocyte)가 있고 이 자세포 안에는 자포(cnidae)라는 쏘는 세포내주머니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포동물이라 부르며, 주로 바다에 살고 일부는 담수에 산다. 자포(cnidae)는 여러 가지 형태가 있는데, 가장 흔한 자포는 자사포(nematocyst)로 독이 있는 용수철 모양의 자사(filament)가 있어, 먹이나 포식자 등의 외부 물체와 접촉하면 자사를 발사해서 죽이거나 해를 입힌다. 말미잘, 산호와 같이 바닥에 붙어서 고착생활을 하는 폴립(polyp) 형과 해파리와 같이 자유롭게 수중을 유영하며 돌아다니는 해파리형 (또는 메두사 medusa)이 있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3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Kv1.3 칼륨이온채널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는 +50mV에서 중간 값 기준 hKV1.3의 활성을 약 54% 억제하고, 서열번호 2의 펩타이드는 약 40% 억제하고, 서열번호 3의 펩타이드는 약 27%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 내지 도 6).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3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자가면역질환은 다발성 경화증, 류마티스 관절염, 제1형 당뇨병, 건선, 염증성 장질환, 접촉매개성 피부염, 건선성 관절염, 천식, 알레르기, 재협착증, 전신 경화증, 섬유증, 경피증, 사구체신염, 쇼그렌 증후군, 염증성 골흡수, 이식거부, 이식편대숙주병, 및 루푸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Kv1.3 채널 억제제는 effector memory T cells (TEM cells)의 활성화를 감소시켜 T cell에 의한 조직손상을 막음으로써, 자가면역질환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Beeton et al., 2006. Kv1.3 channels are a therapeutic target for T cell-mediated autoimmune diseases. PNAS, 103: 17414-17419). 또한 활성화된microglia의 respiratory burst를 막음으로써, 이에 의한 뉴런의 이차 손상을 방지하여 자가면역질환의 염증 반응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Fordyce et al., 2005. Microglia Kv1.3 channels contribute to their ability to kill neurons. J. Neurosci., 25:7139 -7149). 최근의 리뷰에 의하면, Kv1.3 차단제는 자가면역질환과 만성 염증 치료에 있어 최선의 약제로 부각되고 있다(Perez-Verdaguer et al., 2015. The voltage-gated potassium channel Kv1.3 is a promising multitherapeutic target against human pathologies. Expert Opin. Ther. Targets, 20:5, 577-591). 또한, 많은 실험에서 Kv 1.3 차단 펩타이드의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로서 검증되었다(표 2, Chandy, KG and Norton, RS, 2017. Peptide blockers of Kv1.3 channels in T cells as therapeutics for autoimmune disease. Curr. Opin. Chem. Biol., 38:97-107).
질병명 세포모델 동물모델 차단제 또는 녹아웃 모델
다발성 경화증 환자의 말초 혈액에서 MBP 특이적 Kv1.3 high TEM 세포.
Kv1.3 차단제는 상기 세포의 항원 유도 증식을 억제한다.
실험적 자가면역 뇌척수염(쥐) ShK; ShK-Dap22; ShK-186; ShK-192; 20 kDa PEG-ShK; 20 kDa PEG-[Lys16]ShK; ADWX-1
사후 뇌의 MS 플라크에서 Kv1.3 CCR7+CCR5 T+EM 세포. 실험적 자가면역 뇌척수염(마우스) Kv1.3 녹아웃 마우스
제1형 당뇨병 환자의 말초 혈액에서 GAD65 및 인슐린 특이적 Kv1.3 high TEM 세포. 실험적 자가면역 당뇨병(쥐) PAP-1
ShK-186은 상기 세포의 항원 유도 증식을 억제한다.
류마티스성 관절염 환자의 활액 Kv1.3 high TEM 세포 프리스탄 유발 관절염(쥐) ShK-186
활막 조직의 CD3CCR7+Kv1.3 T 세포+
건선 건선 피부 병변의 Kv1.3high TEM 세포. 인간의 건선 피부를 마우스에 이식한 SCID-Hu 마우스 모델 PAP-1
주 2회 ShK-186 60μg 용량은 판상 건선 환자 9/10에서 건선 면적 및 중증도 지수(PASI)의 개선을 야기하였다.
치료 중단 후 4주 동안 개선이 지속되었다.
천식 천식 환자의 가래에서 Kv1.3 high Th2TEM 세포. 오발부민 유발 천식 모델(쥐) ShK-186
ShK-186은 환자의 말초 혈액에서 알레르겐(allergen)으로 자극된 Th2T 세포의 증식과 사이토카인 생성을 억제했습니다.
루푸스 신염 활성 SLE 환자의 혈액 내 TEM 세포는 비활성 SLE 또는 대조군보다 Kv1.3이 더 높다. 실험적 자가면역 사구체신염(쥐) Psora4, ShK-186
ShK-186은 비활성 루푸스 또는 대조군의 T 세포보다 활성 루푸스의 TEM 세포에 의한 IL-17 및 IFN-γ 생성을 억제한다.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환자의 말초 혈액에서 Kv1.3 high TEM 세포. - -
PAP-1은 TEM 세포에 의해 인터페론-γ와 퍼포린을 억제하였다.
지연형 과민증 - DTH(돼지) 마가톡신(margatoxin)과 코레올라이드(correolide)
KV261-HSA-34(DTH를 억제하지 않았지만 배수 LN의 세포성을 감소시킴).
DTH(쥐) 칼리오톡신(Kaliotoxin); ShK; ShK-186; PAP-1; ShK-192; Vm24; AcK1; BmK1; BmKTX-D33H; Syn-Vm24-CDR3L; Fc-ShK
치주염 후 골흡수 - 실험적 치주염(쥐) 칼리오톡신(Kaliotoxin)
접촉 피부염 - 알레르기 접촉 피부염(쥐) PAP-1, Psora4
피부 이식 - 피부 동종이식(마우스) 클로파지민(Clofazimine)
특히, 본 발명의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Psora4 또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로서 검증되었다(표2).
본 발명자들은 초기 단계의 T 림프구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hKv1.3 칼륨이온채널을 억제시킴으로써,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4 내지 도 6).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유효성분인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3의 펩타이드를 10 내지 9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형화할 경우 통상 사용하는 충진제, 중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유효성분 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첨가하여 조제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과제를 포함한다. 비수성 용제 및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오일,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솔,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 환자의 골 손실 정도와 같은 요인들에 따라 다르며, 당 업자에 의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0.001 mg/kg 내지 500 mg/kg이며, 필요에 따라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갑셀제 형태일 수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투여 대상"은 인간, 원숭이, 소, 말, 돼지, 양, 닭, 고양이, 개, 마우스, 토끼 등을 포함하지만,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3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언급된 사항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ShK domain 유사 펩타이드 도출
1-1. 독 관련 domain 도출
본 발명자는 노무라입깃해파리의 유전체 정보를 분석(Kim et al., 2019)하였으며, 분석한 gene set을 Tox-Prot 데이터베이스 (Jungo et al., 2012)과 비교하여, 52종의 독 관련 domain을 얻었다(표 3).
Pfam ID Pfam 설명 Pfam ID Pfam 설명
PF12796 Ankyrin repeats (3 copies) PF00095 WAP-type (Whey Acidic Protein) 'four-disulfide core'
PF00008 EGF-like domain PF08516 ADAM cysteine-rich
PF13499 EF-hand domain pair PF00023 Ankyrin repeat
PF01400 Astacin (Peptidase family M12A) PF00219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
PF13637 Ankyrin repeats (many copies) PF00149 Calcineurin-like phosphoesterase
PF00147 Fibrinogen beta and gamma chains, C-terminal globular domain PF02872 5'-nucleotidase, C-terminal domain
PF00089 Trypsin PF07732 Multicopper oxidase
PF00754 F5/8 type C domain PF00326 Prolyl oligopeptidase family
PF01391 Collagen triple helix repeat (20 copies) PF07678 A-macroglobulin complement component
PF01421 Reprolysin (M12B) family zinc metalloprotease PF10569 Alpha-macro-globulin thiol-ester bond-forming region
PF07648 Kazal-type serine protease inhibitor domain PF00207 Alpha-2-macroglobulin family
PF00059 Lectin C-type domain PF07703 Alpha-2-macroglobulin family N-terminal region
PF00188 Cysteine-rich secretory protein family PF00031 Cystatin domain
PF00050 Kazal-type serine protease inhibitor domain PF04916 Phospholipase B
PF01562 Reprolysin family propeptide PF01223 DNA/RNA non-specific endonuclease
PF05826 Phospholipase A2 PF07677 A-macroglobulin receptor
PF00135 Carboxylesterase family PF00068 Phospholipase A2
PF01593 Flavin containing amine oxidoreductase PF01823 MAC/Perforin domain
PF13833 EF-hand domain pair PF01826 Trypsin Inhibitor like cysteine rich domain
PF00200 Disintegrin PF01630 Hyaluronidase
PF06607 Prokineticin PF00930 Dipeptidyl peptidase IV (DPP IV) N-terminal region
PF01549 ShK domain-like PF00838 Translationally controlled tumour protein
PF01663 Type I phosphodiesterase / nucleotide pyrophosphatase PF04389 Peptidase family M28
PF14670 Coagulation Factor Xa inhibitory site PF01835 MG2 domain
PF00151 Lipase PF00341 PDGF/VEGF domain
PF00014 Kunitz/Bovine pancreatic trypsin inhibitor domain PF10279 Latarcin precursor
1-2. ShK domain 유사 펩타이드 도출
상기 1-1에서 얻어진 독 관련 domain 52종을 자포동물에서 발견된 ShK 및 그 유사 펩타이드들의 아미노산 서열들이 갖는 하기 3가지 공통점과 비교하였다.
1) 펩타이드의 길이가 40 amino acid 이하이다.
2) 펩타이드의 내부에 시스테인이 6개 존재한다.
3) 펩타이드의 C-말단 쪽의 구조가 CXXXCXXC이다(C는 시스테인이고, X는 임의의 아미노산이다).
상기 3가지 공통점을 비교 결과, ShK domain과 아미노산 서열의 구조가 유사한 3개의 펩타이드(g5156.t1-3, g7640.t1-1 및 g5156.t1-2)를 얻었다(표 4).
서열번호 펩타이드 명 서열 길이
서열번호 1 g5156.t1-3 CKDHHTYGVY--CKDWKSSGECKKNPKGMRHFCRKTCGFC 38 aa
서열번호 2 g7640.t1-1 CMDRERESKAGLCKGWQKINSCFDHPVLMKTYCPKTCGFC 40 aa
서열번호 3 g5156.t1-2 CKNKEGTFCQ---RFKSDCFHDRLPSVQMKTICSETCGIC 37 aa
서열번호 4 ShK CIDTIP-------KSRCTAFQCKHSMKYRLSFCRKTCGTC 33 aa
상기 표 4의 펩타이드 서열에서 - 기호는 펩타이드서열 비교를 쉽게 하기 위해 임의로 추가한 공백 표시이다.
<실시예 2> 펩타이드의 제조
하기 solid phase peptide synthesis법으로 상기 실시예 1에서 도출한 3개의 펩타이드(g5156.t1-3, g7640.t1-1 및 g5156.t1-2)를 제조 하였다.
시험관에 DMF(15ml/g)과 레진을 넣고 30분동안 레진을 팽윤시켰다. DMF를 제거하고, 20% 피페리딘 DMF 용액(15ml/g)을 넣어 5분동안 탈보호 반응을 시켰다. 같은 방법으로 20% 피페리딘 DMF 용액을 제거 후 새로운 20% 피페리딘 DMF 용액(15ml/g)을 넣어 15분 동안 탈보호 반응을 시켰다. 탈보호 반응시킨 레진을 레진을 DMF(10ml/g) 2회, 메탄올(10ml/g) 2회, DMF(10ml/g) 2회 세척하였다. 그 다음 반응시키고 싶은 아미노산(3eq), HOBt(3eq)를 가능한 적은 DMF에 녹여 시험관에 넣고, 추가로 DIC(3eq)를 넣어 30분동안 커플링 반응을 시켰다. DMF(10ml/g) 1회, 메탄올(10ml/g) 2회, DMF(10ml/g) 2회 세척하였다. 원하는 서열이 되도록 상기 탈보호 반응부터 커플링 반응 후 세척까지를 반복하였다. 원하는 서열을 반응시킨 후, 시험관에 TFA 94.0%, 물 2.5%, EDT 2.5%, TIS 1%의 용해 용액(10ml/g)을 넣고 120분 동안 반응시켜 레진으로부터 용해된 용해물을 얻었다(참고: g는 레진의 단위 기준). 마지막으로, 용해물을 질소로 건조시키고, 에테르로 6번 세척 후, 실온에서 건조시켜 펩타이드를 얻었다.
<실험예 1> 전류 측정용 세포(hKv1.3 칼륨이온채널을 갖고 있는 HEK293세포) 의 준비
1-1. hKv1.3 칼륨이온채널의 클로닝 및 hKv1.3 벡터(vector)의 완성
hKv1.3 칼륨이온채널의 유전자를 증폭하기 위하여, 템플릿은 oriGENE human cDNA clones을 사용하였으며, 하기 표 5의 프라이머 세트를 사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서열번호 서열 명 서열(5'→3')
서열번호 5 NheI-Kv1.3-F 5'-TTTGCTAGCGCCACCATGGACGAGCGC-3'
서열번호 6 SaI1-Kv1.3-R 5'-TTTGTCGACCTAAACATCGGTGAATATCTTTT-3'
PCR은 1)95℃ 5분, 2)95℃ 30초, 58℃ 30초, 72℃ 1분 45초, 30회, 3)72℃ 3분 조건을 연속하여 시행하였다. oriGENE human cDNA clones 를 template로 하여 클로닝된 AAV-IRES2-EGFP 벡터의 NhaI site와 SalI site 사이에 상기 PCR을 수행하여 얻은 hKv1.3 칼륨이온채널의 유전자를 삽입하여, AAV-CMV-hK1.3-IRES2-EGFP 벡터를 완성하였다.
1-2. hKv1.3 칼륨이온채널의 유전자를 HEK 293 세포로의 형질주입(Transfection)
AAV-CMV-hKv1.3-IRES2-EGFP 벡터 2 μg을 35 mm 페트리디쉬에 배양 한 HEK 293 세포 (confluency 50%, 7X105 이상)에 Qiagen Effectene을 사용하여 형질주입하였다. 즉, DNA 2 μg에 제공된 버퍼를 첨가하여 100 μl로 적정하고, enhancer 8 μl를 넣고 2-5분 기다린 후, effectene 20 μl 을 첨가하고 볼텍스믹서로 1초간 섞었다. 시료를 원심분리 하여 침전(spin down)하고 10분동안 기다린 후 DMEM+10% Fetal Bovine Serum (FBS) 0.6 ml를 첨가하고, 잘 섞은 후, 물방울형태로 시계방향으로 HEK 293 세포에 뿌렸다. 그 다음 17시간동안 35mm 배양용기에서 보관하였다.
1-3. 형질 주입된 HEK 293 세포가 hKv1.3가 전압 의존성 칼륨이온채널인 것을 확인
1-3-1. 전류 측정을 위한 형질 전환된 HEK 293 세포의 준비
형질주입체(Transfectants, HEK293+ AAV-CMV-hKv1.3-IRES2-EGFP)를 35 mm 페트리디쉬에서 떼어 12 ml DMEM+10% FBS로 현탁(suspension)하여 24 well plate 한 well 당 0. 5 ml씩 24개의 0.01 mg ml PDL-coated coverslip (직경 12mm)에 세포수가 1X105 이 되도록 분주하였다. 세포가 커버슬립에 붙기까지 한 시간 기다린 후 전류 측정을 위한 패치 클램프(patch clamp)법을 실시하였다.
1-3-2. 전류 측정
패치 클램프 기기에 연결되어 있는 증폭기(amplifier, MultiClamp 700A), 디지타이저(digitizer, DIGIDATA 1322A), 원격조종기(manipulator), bath application, 현미경 및 컴퓨터 내에 HCImageLive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세포와 형광발현, 세포와 파이펫을 찾고, Clampex software, MultiClamp 700A, digidata 1550을 활용하여 전체 세포 패치를 녹화하였다. 내부용액(Internal solution)[140 mM k-gluconate, 10 mM HEPES, 0.2 mM ATP, 0.06 mM GTP]을 준비하여 얼음 위 주사기에 보관하고, 외부용액(external solution)[130 mM NaCl, 10 mM HEPES, 3 mM KCl, 1.5 mM D-Glucose, 10 mM sucrose, 24 mM CaCl2, 1.5 mM MgCl2 6H2O, osmilarity 320mmol/kg, pH 7.2]을 저장소(reservoir)에 담고 기본버퍼로 사용하였다. Bath chamber에 100 nM 농도가 되도록 물질을 외부용액으로 희석하고 약물저장소(drug reservoir)에 저장하였다. 전압 클램프(Voltage clamp) 모드에서 전압 단계 (첫번째 단계 -130mV부터 50mV까지, delta 20mV 0.6s)을 주어 전류를 측정하였다.
Kv1.3의 억제제로 알려진 Psora 4 (100 nM)를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전류 측정 결과, hKv1.3가 형질 주입된 HEK 293 세포가 전압 의존성 칼륨이온채널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3).
<실험예 2> ShK 유사 펩타이드의 hKv1.3 칼륨이온채널 활성 억제 확인
실험예 1에서 준비한 hKv1.3 칼륨이온채널을 갖고 있는 HEK293세포를 이용하여 g5156.t1-3, g7640.t1-1 및 g5156.t1-2 펩타이드의 hKv1.3 칼륨이온채널 활성 억제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g5156.t1-3 펩타이드가 hKV1.3을 +50mV에서 중간 값 기준 hKV1.3의 활성을 약 54% (pre-g5156.t1-3: 3.7nA, post-g5156.t1-3: 1.7nA) 억제함을 확인하였다(도4).
또한, g7640.t1-1 펩타이드가 hKV1.3을 +50mV에서 중간 값 기준 hKV1.3의 활성을 약 40% (pre-g7640.t1-1: 3.7nA, post-g7640.t1-1: 2.2nA)를 억제함을 확인하였다(도5).
g5156.t1-2 펩타이드는 약 27% (pre-g5156.t1-2: 2.9nA, post- g5156.t1-2: 2.1nA) 억제함을 확인하였다(도6).
<실험예 3> 작은상자해파리 기원의 ShK 유사 펩타이드의 hKv1.3 칼륨이온채널 활성 억제 확인
상기 실시예 1-2와 같은 방법으로 도출한 작은상자해파리 기원의 ShK 유사 펩타이드(표 6, CBRV1_05766-1)의 hKv1.3 칼륨이온채널 활성 억제를 실험예 2와 같은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CBRV1_05766-1 펩타이드가 hKV1.3을 +50mV에서 중간 값 기준 hKV1.3의 활성을 약 5.0% (pre-CBRV1_05766-1: 1.01nA, post- CBRV1_05766-1: 0.96nA) 억제하는 것으로 억제활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다(도7).
서열번호 펩타이드 명 서열 길이
서열번호 7 CBRV1_05766-1 CDKKKELPFCNIVDAKTFCRDINQAKQCPLKCKLC 35 aa
<110>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120> Peptide with voltage-gated potassium ion channel inhibitory activity <130> 2022P-01-012 <160> 7 <170> KoPatentIn 3.0 <210> 1 <211> 3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5156.t1-3 <400> 1 Cys Lys Asp His His Thr Tyr Gly Val Tyr Cys Lys Asp Trp Lys Ser 1 5 10 15 Ser Gly Glu Cys Lys Lys Asn Pro Lys Gly Met Arg His Phe Cys Arg 20 25 30 Lys Thr Cys Gly Phe Cys 35 <210> 2 <211> 4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7640.t1-1 <400> 2 Cys Met Asp Arg Glu Arg Glu Ser Lys Ala Gly Leu Cys Lys Gly Trp 1 5 10 15 Gln Lys Ile Asn Ser Cys Phe Asp His Pro Val Leu Met Lys Thr Tyr 20 25 30 Cys Pro Lys Thr Cys Gly Phe Cys 35 40 <210> 3 <211> 3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5156.t1-2 <400> 3 Cys Lys Asn Lys Glu Gly Thr Phe Cys Gln Arg Phe Lys Ser Asp Cys 1 5 10 15 Phe His Asp Arg Leu Pro Ser Val Gln Met Lys Thr Ile Cys Ser Glu 20 25 30 Thr Cys Gly Ile Cys 35 <210> 4 <211> 3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hK <400> 4 Cys Ile Asp Thr Ile Pro Lys Ser Arg Cys Thr Ala Phe Gln Cys Lys 1 5 10 15 His Ser Met Lys Tyr Arg Leu Ser Phe Cys Arg Lys Thr Cys Gly Thr 20 25 30 Cys <210> 5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heI-Kv1.3-F <400> 5 tttgctagcg ccaccatgga cgagcgc 27 <210> 6 <211> 3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aI1-Kv1.3-R <400> 6 tttgtcgacc taaacatcgg tgaatatctt tt 32 <210> 7 <211> 3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BRV1_05766-1 <400> 7 Cys Asp Lys Lys Lys Glu Leu Pro Phe Cys Asn Ile Val Asp Ala Lys 1 5 10 15 Thr Phe Cys Arg Asp Ile Asn Gln Ala Lys Gln Cys Pro Leu Lys Cys 20 25 30 Lys Leu Cys 35

Claims (7)

  1.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3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3개의 첫번째 Cys와 여섯번째 Cys, 두번째 Cys와 네번째 Cys 및 세번째 Cys와 다섯번째 Cys이 각각 이황화결합(Disulfide bond)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펩타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노무라입깃해파리에서 독액(venom)의 구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펩타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Kv1.3 칼륨이온채널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펩타이드.
  5. 제1항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다발성 경화증, 류마티스 관절염, 제1형 당뇨병, 건선, 염증성 장질환, 접촉매개성 피부염, 건선성 관절염, 천식, 알레르기, 재협착증, 전신 경화증, 섬유증, 경피증, 사구체신염, 쇼그렌 증후군, 염증성 골흡수, 이식거부, 이식편대숙주병, 및 루푸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hKv1.3 칼륨이온채널의 활성에 의해 유발되는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삭제
  7. 제1항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다발성 경화증, 류마티스 관절염, 제1형 당뇨병, 건선, 염증성 장질환, 접촉매개성 피부염, 건선성 관절염, 천식, 알레르기, 재협착증, 전신 경화증, 섬유증, 경피증, 사구체신염, 쇼그렌 증후군, 염증성 골흡수, 이식거부, 이식편대숙주병, 및 루푸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hKv1.3 칼륨이온채널의 활성에 의해 유발되는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220046057A 2022-04-14 2022-04-14 전압개폐 칼륨이온채널 억제 활성능을 갖는 펩타이드 KR102533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057A KR102533290B1 (ko) 2022-04-14 2022-04-14 전압개폐 칼륨이온채널 억제 활성능을 갖는 펩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057A KR102533290B1 (ko) 2022-04-14 2022-04-14 전압개폐 칼륨이온채널 억제 활성능을 갖는 펩타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3290B1 true KR102533290B1 (ko) 2023-05-16

Family

ID=86545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6057A KR102533290B1 (ko) 2022-04-14 2022-04-14 전압개폐 칼륨이온채널 억제 활성능을 갖는 펩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29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296B1 (ko) * 2004-10-07 2014-12-29 더 리젠츠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캘리포니아 SHK 독소의 유사체 및 그의 Kv1.3 칼륨 채널의 선택적저해에서의 용도
JP2018008955A (ja) * 2011-06-06 2018-01-18 ケイ・ブイ・1.3・セラピューティ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Shkベースの薬学的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使用方法
JP6847828B2 (ja) * 2014-08-15 2021-03-24 モナッシュ ユニバーシティ 新規なカリウムチャネルブロッカー及び自己免疫疾患の治療におけるそれらの使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296B1 (ko) * 2004-10-07 2014-12-29 더 리젠츠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캘리포니아 SHK 독소의 유사체 및 그의 Kv1.3 칼륨 채널의 선택적저해에서의 용도
JP2018008955A (ja) * 2011-06-06 2018-01-18 ケイ・ブイ・1.3・セラピューティ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Shkベースの薬学的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使用方法
JP6847828B2 (ja) * 2014-08-15 2021-03-24 モナッシュ ユニバーシティ 新規なカリウムチャネルブロッカー及び自己免疫疾患の治療におけるそれらの使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17507T2 (de) Peptide für die behandlung von tumoren und anderen zuständen, die das entfernen oder zerstören von zellen erfordern
JP6262721B2 (ja) 敗血症の予防用または治療用の組成物
US8962817B2 (en) Vectors encoding a paralytic peptide
KR102623470B1 (ko) Bph 증상의 악화 또는 진행을 개선하거나 예방하는 방법
KR20040063906A (ko) 인간 3 릴랙신
US6727226B2 (en) Mu-conopeptides
US20030109670A1 (en) Cone snail peptides
KR101887577B1 (ko) 항비만 및 항당뇨 효능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CA2308768A1 (en) 125 human secreted proteins
JP2004501061A (ja) 熱ショックタンパク質60のフラグメントおよびアンタゴニスト
CA2372926A1 (en) 143 human secreted proteins
JP2000083688A (ja) IL―1ファミリ―の新規メンバ―、IL―1δ
KR102533290B1 (ko) 전압개폐 칼륨이온채널 억제 활성능을 갖는 펩타이드
DE69233155T2 (de) Insulinartigen wachstumsfaktor bindendes protein
DE69831084T2 (de) Beta-defensine
KR102553070B1 (ko) 전압개폐 칼륨이온채널 억제 활성능을 갖는 작은상자해파리 기원 펩타이드
JP2004217651A (ja) メタスチン誘導体およびその用途
US20050214903A1 (en) O-superfamily conotoxin peptides
US7390785B2 (en) τ-conotoxin peptides
AU5474200A (en) Muo-conopeptides and their use as local anesthetics
WO2002007675A2 (en) Omega-conopeptides
US20030119731A1 (en) Omega-conopeptides
AU2001271657A1 (en) I-superfamily conotoxins
WO2001089555A1 (en) Compositions with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and methods for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