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0414B1 - 비듬균 사멸에 효과적인 탈모 예방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듬균 사멸에 효과적인 탈모 예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0414B1
KR102530414B1 KR1020200144572A KR20200144572A KR102530414B1 KR 102530414 B1 KR102530414 B1 KR 102530414B1 KR 1020200144572 A KR1020200144572 A KR 1020200144572A KR 20200144572 A KR20200144572 A KR 20200144572A KR 102530414 B1 KR102530414 B1 KR 102530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acid
formula
preventing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4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9229A (ko
Inventor
정하윤
고현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펩토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펩토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펩토이드
Priority to KR1020200144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414B1/ko
Publication of KR20220059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9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hree nitrogen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e.g. chlorazanil, mela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66Triazin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8Antiseborrhe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0Antimyc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8Preparations for oil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모근강화 또는 탈모예방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말라세지아 균에 대해 적은 용량으로 현저한 항균 활성을 가지고, 생체이용률이 높고, 독성이 낮으며, 대량 생산이 용이하여 모근 강화, 또는 탈모 예방 및 개선용 소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20116729237-pat00012

Description

비듬균 사멸에 효과적인 탈모 예방 조성물{Hair loss prevention composition effective in killing Malassezia furfur}
본 발명은 비듬균 사멸에 효과적인 탈모 예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모근강화 또는 탈모예방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탈모 예방용 약제 및 화장품은 꾸준한 성장세에 있어 앞으로 이 부분의 시장에서 매출 증대의 큰 기폭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종래 탈모 치료 목적으로 스테로이드 계열과 항진균제의 사용이 많아지고 있는 실정이나, 전문의약품 항진균제 케토코나졸 경구용은 부작용에 대해 식약처의 경고 대상이 되고 있고, 대부분의 항진균제는 고함량(예를 들어, 케토코나졸 200 mg)에 따른 환자 및 소비자의 건강에 부담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최근 탈모 예방용 약제 및 화장품용 소재 개발은 소비자 니즈에 맞는 적은 용량으로 효능효과가 높고, 독성이 없으며, 대량 생산이 용이하여 저렴한 물질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지루성 피부염은 10명중 3명꼴로 일어나는 매우 흔한 질병으로 얼굴뿐만 아니라 두피에도 증상이 자주 발생하는데 이처럼 두피에 발생하는 것을 지루성 두피염이라 한다.
지루성 두피염은 두피가 붉고 염증을 보이며, 비듬이나 각질이 동반되면서 가려움증이 발생하는 형태로 보인다. 심한 경우에는 노화된 각질과 노폐물들이 두피 전체를 덮게 되며 심한 경우 두피 통증과 악취를 동반하게 되다.
이러한 지루성 두피염은 지루성 탈모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데 피지선에 문제가 생겨 피지의 분비량이 비정상적 으로 증가하고, 증가한 피지가 두피 내 모공을 막아 두피 영양공급 및 순환기능이 저하되어 지루성 탈모가 나타나게 된다.
지루성 피부염의 감염 요인은 많은 조사에서 말라세지아(Malassezia) 균이 관련이 있다는 보고가 있고, 말라세지아균이 트리글리세리드(triglycerides)를 분해하여 자극원이 되는 지방산(irritant fatty acid)을 만드는 것이 SD/비듬의 원인이라는 보고가 있다. 특히, 지루성 피부염을 일으키는 Malassezia furfur(ATCC 14521)은 특히 두피 표층에 존재하여 장기적인 치료가 요하는 매우 흔한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다.
지루성 두피염에 대한 치료법으로 주로 말라세지아 균 특이적 또는 비특이적인 항균제에 치중되어 있으며, 바르는 약으로는 타르(Tar), 징크 피리치온(Zinc pyrithione), 케토코나졸(Ketoconazole) 등이 있고, 먹는 약으로는 케토코나졸(Ketoconazole), 테르비나핀(Terbinafin) 등과 광범위한 항염증제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항균제들은 의약품에 국한되고 있으므로, 화장품 및 세정제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소재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양이온성 그룹과 소수성 그룹을 포함하는 양친매성 저분자 화합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던 중, 트리아진 모핵에 아민 또는 구아니딘을 포함하는 양이온성 그룹과 소수성 잔기가 도입된 [화학식 1]의 화합물이 비듬균인 말라세지아 퍼르퍼르(Malassezia furfur)에 대해 적은 용량으로 현저한 항균 활성을 가지고, 생체이용률이 높고, 독성이 낮으며, 대량 생산이 용이하여 모근 강화, 또는 탈모 예방 및 개선에 유용한 새로운 소재임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22323호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이용한 모근 강화, 또는 탈모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Figure 112020116729237-pat00001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이용한 지루성 두피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근 강화 또는 탈모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0116729237-pat00002
.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근 강화 또는 탈모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근 강화 또는 탈모 예방 및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루성 두피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루성 두피염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루성 두피염 예방 및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말라세지아 균에 대해 적은 용량으로 현저한 항균 활성을 가지고, 생체이용률이 높고, 독성이 낮으며, 대량 생산이 용이하여 모근 강화, 또는 탈모 예방 및 개선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의 M. furfur 항균시험결과 (단일농도 100μmol)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의 농도별 M. furfur 항균시험결과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 폐렴균, 녹농균, 바실러스균, 살모넬라균에 대한 항균 시험 결과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근 강화 또는 탈모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0116729237-pat00003
.
상기 조성물은 말라이세시아 퍼퍼균(Malassezia furfur)의 증식을 억제하는 활성을 가진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화합물을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 1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고,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 1 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이성질체"는 특히 광학 이성질체(예를 들어 필수적으로 순수한 거울상 이성질체(enantiomer), 필수적으로 순수한 부분 입체이성질체(diastereomer), 및 이들의 혼합물) 뿐 아니라, 구조 이성질체(즉, 하나 이상의 화학 결합의 각도에만 차이가 있는 이성질체), 위치 이성질체(특히, 호변 이성질체(tautomer)) 및 기하 이성질체(예를 들어, 시스-트랜스 이성질체)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거울상 이성질체 및 입체이성질체와 관련된 "필수적으로 순수한"은 구체적인 화합물, 예를 들어 약 90% 이상, 바람직하게 약 9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 약 97%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 약 98%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 약 99%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 약 99.5% (w/w)의 거울상 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를 의미한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염을 의미하며, 모화합물의 목적하는 약성을 보유한다. 이러한 염은 (1) 염화수소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 등과 같은 무기산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 또는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헥산산, 사이클로펜탄프로피온산, 글리콜산, 피루빈산, 젖산, 말론산, 숙신산, 말산, 말레산, 푸마르산, 타르타르산, 구연산, 벤조산, 3-(4-하이드록시벤조일)벤조산, 신남산(cinnamic acid), 만델린산(mandelic acid),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1,2-에탄-디설폰산, 2-하이드록시에탄설폰산, 벤젠설폰산, 4-클로로벤젠설폰산, 2-나프탈렌설폰산, 4-톨루엔설폰산, 캄포술폰산(camphorsulfonic acid), 4-메틸바이사이클로 [2.2.2]-옥트-2-엔-1-카르복시산, 글루코헵톤 산(glucoheptonic acid), 3-페닐프로피온산, 트리메틸아세트산, 터셔리 부틸아세트산, 라우릴 황산, 글루콘산, 글루탐산, 하이드록시나프토산(hydroxynaphthoic acid), 살리실산, 스테아르산, 뮤코닉산(muconic acid) 등과 같은 유기산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 또는 (2) 모화합물에 존재하는 산성 양성자가 치환되는 경우 형성되는 염을 포함한다.
상기 "예방"은 질병 또는 질환의 획득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즉, 하나 이상의 질병에 대한 임상적 징후가 개체에서 발달하지 않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질병이 노출 또는 예치될 수 있으나, 아직 질병의 징후들을 경험하지 않거나 또는 노출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화합물을 예방 또는 치료에 유효한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한 양"은 질병을 개선 또는 치료하기 위하여 개체에 투여하는 경우, 화합물의 양이 질병에 대한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내기에 충분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유효한 양"은 질병과 질병의 심각도 및 치료받는 개체의 연령 및 체중 등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과 함께 희석제, 보조제, 부형제 또는 담체가 투여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은 오일,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통상 사용되는 기타 용매 중에 용해되어 주사제로 제조될 수 있다. 담체의 적합한 예에는 생리적 염류 용액 (physiological saline), 폴리에틸렌글리콜, 에탄올, 식물성 오일,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등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국소 투여를 위해,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연고 또는 크림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단독 또는 다른 약제학적 활성 화합물과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식염수 및 5% 덱스트로스와 같은 수용성 용매 또는 식물성 오일, 합성 지방산 글리세리드, 더 높은 정도의 지방산 에스테르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수불용성 용매 중에 용해, 현탁 또는 유화하여 주사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들은 용해제, 등장화제, 현탁화제(suspending agent), 유화제(emulsifier), 안정화제 및 보존제와 같은 통상의 어떠한 첨가제라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을, 특정 질환의 심각성, 투약 형태 및 경로와 투여 기간을 포함하여 다양한 요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당업자는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일당 체중의 0.001 내지 100 mg/kg 범위의 양으로, 더욱 바람직하게 일당 체중의 0.01 내지 30 mg/kg 범위의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량은 일당 1회, 또는 각각 나누어진 부분과 함께 1일 수회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약학 조성물에서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0.0001~10 중량%, 바람직하게 0.001~1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상기 조성물은 임상투여 시에 다양한 하기의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형태로 제제화되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과립제, 엘릭시르제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 또는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하고 있다. 정제는 또한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또는 비등 혼합물 및/또는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비경구 투여 제형으로는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 내 주사 또는 흉부 내 주사를 주입하는 주사제 등이 있다. 이때, 비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하여 상기 화합물을 안정제 또는 완충제와 함께 물에 혼합하여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 또는 바이알 단위 투여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멸균되고/되거나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근 강화 또는 탈모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말라이세시아 퍼퍼균(Malassezia furfur)의 증식을 억제하는 활성을 가진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화합물을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 1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고,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 1 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 연고, 페이셜 크림, 영양 화장수, 유연 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 베이스, 에센스, 비누, 샴푸, 린스, 바디오일, 바디크림, 바디로션, 입욕제, 선 스크린 크림, 선 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클렌징 오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하게 추가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안정화제, 유화제, 점증제, 보습제, 액정 막강화제, pH 조절제, 항균제, 수용성 고분자, 피막제, 금속 이온 봉쇄제, 아미노산, 유기 아민, 고분자 에멀션, pH조정제, 피부 영양제, 산화 방지제, 산화 방지조제, 방부제, 향료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수성 첨가제; 및 유지류, 왁스류, 탄화 수소유, 고급 지방산유, 고급 알콜, 합성 에스테르유 및 실리콘유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성 첨가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첨가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0.01 내지 10중량%, 0.05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근 강화 또는 탈모 예방 및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말라이세시아 퍼퍼균(Malassezia furfur)의 증식을 억제하는 활성을 가진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화합물을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 1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고,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 1 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또는 고체상 등의 통상적으로 두피 및 모발에 적용시킬 수 있는 모든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통상의 첨가제를 가하여 모발성장촉진을 위한 헤어샴푸, 헤어컨디셔너, 헤어로션, 헤어토닉, 헤어비누, 헤어팩, 샴푸와 린스의 혼합형, 액상의 양모제 타입 등의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들 제형의 에어졸 타입도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두피나 모발에 직접 도포하거나 살포하는 등의 경피 투여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추가로 함유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용매,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이 가용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적절한 투여를 위해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추가로 포함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여기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텍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루성 두피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0116729237-pat00004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루성 두피염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루성 두피염 예방 및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상술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합성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22323호의 <실시예 7> 및 <실시예 12>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화학식 1의 화합물인 N2,N2-bis(3-aminopropyl)-N4,N6-bis(naphthalen-1-ylmethyl)-1,3,5-triazine-2,4,6-triamine [Chemical Formula: C31H36N8, Molecular Weight: 520.6711]을 합성하였다.
합성시 사용될 시약의 순도 및 증발잔류물 검사를 통해 항균펩타이드에 불순물 등의 합성을 억제하기 위해, 시약 순도시험을 의약품 공정서의 시험방법과 시험기준에 따랐다(시험기관: KOTTI, 시험기간 2020년2월25일 ~ 3월27일). 각 시약들은 의약품 및 의약외품 규격에 맞는 시약들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최종물에 불순물이나 유연물질에 영향이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하, 합성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PCN2003"로 나타내었다.
< 실험예 1> M. furfur에 대한 항균 효과 분석
M.furfur에 대한 항균력을 Kirby-Bauner의 paper disc diffusion method에 따라 감수성을 측정하고 CLSI의 판독기준에 따라 그 여부를 판단하였다.
Muller Hinton 평판배지는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시험관에 38 g의 배지 분말(Beef Extract Powder 2.0 g, Acid Digest of Casein 17.5g, Starch 1.5g 및 Agar 17.0g)과 증류수 1 L를 넣어 열을 가하며 완전히 녹였다. 121℃에서 15분간 고압 멸균하여 45~50℃로 식혔다. 20 ml씩 멸균배양접시(높이 15 mm x 직경 100 mm)에 부었다.
표준탁도관(MacFarland 0.5)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감수성 검사를 위한 세균 접종량의 표준화를 위해 McFarland 0.5에 상응하는 BaSO₄표준 탁도나 흡광도를 사용하였다. McFarland 0.5에 상응하는 BaSO₄표준 탁도나 흡광도는 다음과 같다.
Mcfarland standard NO 0.5 1 2 3 4
1.0% Barium chloride(mL) 0.05 0.1 0.2 0.3 0.4
1.0% Sulfuric acid(mL) 9.95 9.9 9.8 9.7 9.6
대응하는 세균밀도(1x108ml) 1.5 3.0 6.0 9.0 12.0
흡광도(wavelength 600nm) 0.132 0.257 0.451 0.582 0.669
실험에 사용할 대조군 디스크는 자사이서 건조 은행잎(30 g)을 잘게 부수어 메탄올(300 mL) 에 넣고(1:10) 5 시간 초음파추출 후 NO5 Whatman 여과지로 여과하고 회전농축기를 이용해 용매를 다 제거하였다. 남은 건고물을 High vaccum으로 완전 건조 후 멸균정제수에 녹여서 시험에 사용하였다.
시험군 1, 2, 3은 합성한 가장 효과적인 원료를 검색하여 공급하기 위해 각각 100 μmol(PCN2003 0.0521 mg/mL)을 1 mL 멸균정제수로 제조하였다. 멸균디스크 (AA size)에 50 μL 용량으로 떨어뜨려 만들었다.
시료명 농도 (mg/mL) 비고
은행잎 추출물 0.1 30g→MeOH 300mL ultrasonic, evapoaration
PCN2003 0.0521 100 μmol
시험방법은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가) 접종액의 준비: M.furfur균의 집락을 2 ~ 3개 취하여 멸균정제수에 녹여 현탁하였다. 현탁액이 표준탁도(MacFarland 0.5) 보다 낮으면 Trypticase soy broth에 2 ~ 4시간 배양한 후에 표준탁도(MacFarland 0.5)로 조절하였다. 나) 고체배지에 균 접종: 표준혼탁도로 조절한 균액을 면봉으로 Mueller-Hinton 고체배지 표면에 선 획(streak)을 그으면서 접종하였다. 다) 균이 접종된 평판배지에 디스크 놓기: 균이 접종된 평판배지의 표면에 대조군, 시험군 1, 2, 3 디스크를 놓는 후 35℃의 배양기에서 뒤집어서 배양하였다. 라) 평판배지의 판독: 16 ~ 18시간 배양 후에 균의 성장이 억제된 증식억제 범위의 직경을 디스크를 포함하여 측정하였다.
시험결과, 대조군인 은행잎추출물보다 억제환이 PCN2003가 현저히 높게 나와 유효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PCN2003 화합물은 M. furfur균에 대한 현저한 항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도 1).
< 실험예 2> 농도별 M. furfur에 대한 항균 효과 분석
농도별 N. furfur 항균시험을 통해 유효최소 농도를 확인하였다.
시험방법은 상기 단일농도 100 μmol의 M. furfur균 시험방법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시험시료는 다음과 같다.
시료명 농도 (mg/mL) 비고
은행잎추출물 0.1 1단계와 같은방법으로 제조
PCN2003 0.0261 50 μmol
PCN2003 0.0521 100 μmol
PCN2003 0.1042 200 μmol
PCN2003 0.2084 400 μmol
시험결과, M. furfur 항균시험의 100 μmol의 재현성을 확인한 결과 같은 결과를 도출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구분 억제환 크기(mm)
1단계 PCN2003 9.5
2단계 PCN2003 9.8
또한, 50 ~ 400 μmol 농도별 항균 시험에서 100 ~ 400μmol은 같은 억제환의 크기를 보이며, 이는 유효 최소농도는 100 μmol (0.0521 mg/mL)임을 알 수 있었다(도 2).
< 실험예 3> 다양한 균주들에 대한 항균 효과 분석
M. furfur균 이외에도 항균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험방법은 식약처 고시된 in vitro 외용소독제의 효력시험에 따랐으며, PCN2003 400 μmol로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 폐렴균, 녹농균, 바실러스균, 살모넬라균에 처리한 후 5분 동안 반응시킨 후, 하기 수학식 1에 따른 균사멸율(%)을 산출하여 평가하였다(시험기관: KOTTI, 시험기간: 2020년3월13일 ~ 3월31일).
Figure 112020116729237-pat00005
시험결과, PCN2003 400 μmol로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 폐렴균, 녹농균, 바실러스균, 살모넬라균에도 유효한 항균 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
< 실험예 4> 최종 완제품을 위한 고순도 PCN2003 항균펩타이드 원료물질 합성
상기 <실시예 1>의 합성 과정에 있어서, 종전 한단계의 정제 컬럼을 두 단계로 늘여(Step 2, Step 3 두 번의 정제칼럼) 고순도의 PCN2003을 합성하였다.
또한, 불순물(impurity)을 정확히 검출하기 위한 각 Step별 정제용 솔벤트를 분석하였다.
구분 NO 솔벤트 TLC 결과
step 2 1 Hexan/EA 0~100% 전개가 잘 되지 않음
2 IPA/MeOH 0~100% 전개가 잘 되지 않음
3 MC/MeOH 0~100% 9.5:0.5 비율로 가장 뚜렷한 spot을 보임
step 3 4 Hexan/EA 0~100% 6:4 비율로 spot의 위치가 위아래 불순물 관찰이 잘되어 고순도물질을 분리하는데 최적임
5 IPA/MeOH 0~100% 전개가 안됨
6 MC/MeOH 0~100% 5:5비율로 가장 뚜렷한 spot을 보이나 불순물분리에는 덜 적당한 것으로 보임
시험결과, step 2에서는 MC:MeoH =9.5:0.5에서 제일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step 3에서는 Hexan:EA =6.0:4.0에서 제일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실험예 5> 최종 시제품을 위한 원료 물질로서의 COA용 시험분석
휘발성 혼재물, 기타 혼재물, 중금속(납,비소) 및 미생물한도시험을 실시하였다.
휘발성 혼재물 및 기타 혼재물 시험은 의약품 기준 및 시험방법으로 위수탁 기관 KOTTI에 의뢰하였다(시험기간: 2020년 3월20일 ~ 5월30일).
시험결과, 휘발성 혼재물과 기타 혼재물이 기준치 이하임을 확인하였다.
중금속(납) 시험은 의약품의 기준 및 시험방법을 따라, 화합물 0.1 g을 달아 중금속시험법 제1 법에 따라 조작하여 시험하였다. 비교액에는 납 표준액 2.0 mL를 넣었다(20 ppm 이하).
중금속(비소) 시험은 의약품의 기준 및 시험방법을 따라, 화합물 0.1 g을 질산 2 mL에 천천히 넣은 다음 유동상으로 될 때까지 약하게 가열하였다. 식힌 다음 황산 5 mL를 넣고 흰 연기가 날 때까지 가열하였다. 액이 갈색을 나타낼 때는 식힌 다음 질산 5 mL를 추가하여 가열하였다. 액이 무색 ~ 엷은 황색이 되지 않을 때는 식힌 다음 때때로 질산 2 ~ 3 mL씩 추가하여 액이 무색 ~ 엷은 황색이 될 때까지 가열하였다. 식힌 다음 포화수산암모늄용액 15 mL를 넣고 흰 연기가 날 때까지 가열하였다. 식힌 다음 물을 넣어 25 mL로 하여 검액으로 하였다. 검액 10 mL를 취하여 비소시험법에 따라 시험하였다(2 ppm 이하).
시험결과, 납 시험에서 비교액인 납 표준액 20 ppm보다 진하지 않았고, 비소 시험에서 비교액인 비소표준액 2 ppm보다 진하지 않았다.
미생물 한도시험은 멸균증류수 10 mL에 화합물 0.01 g을 잘 녹여 PCA, SDAC 배지(시판배지 또는 건조필름 3M)에 각각 1mL씩 분주하였다. 대조군으로 70% 에탄올을 시험군과 같이 시험하였다. 세균은 30 ~ 35℃에서 3 ~ 5일간 배양하였고, 진균은 20 ~ 25℃에서 5 ~ 7일간 배양하였다. 각 배지에서 나온 균수를 확인하였다.
시험결과, 시험기준이 세균 100 cfu/mL, 진균 100 cfu/mL 이하인 경우, 세균 및 진균이 불검출되었다.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듬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23012614328-pat00006
    .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말라이세시아 퍼퍼균(Malassezia furfur)의 증식을 억제하는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듬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화합물을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 1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듬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듬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듬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23012614328-pat00007
    .
  6.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듬 예방 및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23012614328-pat00008
    .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144572A 2020-11-02 2020-11-02 비듬균 사멸에 효과적인 탈모 예방 조성물 KR102530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572A KR102530414B1 (ko) 2020-11-02 2020-11-02 비듬균 사멸에 효과적인 탈모 예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572A KR102530414B1 (ko) 2020-11-02 2020-11-02 비듬균 사멸에 효과적인 탈모 예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229A KR20220059229A (ko) 2022-05-10
KR102530414B1 true KR102530414B1 (ko) 2023-05-11

Family

ID=81592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572A KR102530414B1 (ko) 2020-11-02 2020-11-02 비듬균 사멸에 효과적인 탈모 예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041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323B1 (ko) 2018-03-30 2019-09-18 정하윤 트리아진 화합물 및 이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415B1 (ko) * 2020-11-02 2023-05-11 주식회사 펩토이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 사멸에 효과적인 위장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323B1 (ko) 2018-03-30 2019-09-18 정하윤 트리아진 화합물 및 이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CIENTIFIC REPORTS VOLUME 9, ARTICLE NUMBER: 1292, 2019.02.04
SCIENTIFIC REPORTS VOLUME 9, ARTICLE NUMBER: 15161, 2019.10.2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229A (ko) 202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3802B1 (ko) 폴리히드록시알칸의 지방산 에스테르 및 피리미딘카르복시 유도체의 신규한 복합체
JPH03163051A (ja) N―置換ラウリンアミド、それらの調製およびそれらを含有する組成物
US8513307B2 (en) N-phenylacetamide inhibitors of the enzyme SOAT-1 and pharmaceutical/cosmetic compositions comprised thereof
KR20120058850A (ko) 항염증 및 항균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KR102299277B1 (ko) 파시플로라 에듈리스의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530414B1 (ko) 비듬균 사멸에 효과적인 탈모 예방 조성물
JPS62298566A (ja) D(+)−カルニチンアルキルアミド
CN112004532B (zh) 皮肤感染预防或治疗用组合物
KR20150062443A (ko) 아이오논(ionone) 유도체 화합물
JPH02253A (ja) Dlおよびl(−)−カルニチンのn−アルキルアミド、およびその製法と用途
AU2014209162B2 (en) Therapeutic compounds
JP4097300B2 (ja) 抗アレルギー剤
KR101638664B1 (ko) 5-아미노레불린산을 포함하는 피부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539965B1 (ko) 신규한 유사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및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EP2926800A1 (en) Composition comprising melatonin or its derivatives with coenzyme q10 and use thereof against ageing of the skin
JP3385293B2 (ja) アルトカルピン含有抗菌・防腐剤及び化粧料
KR20120065034A (ko) 피부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4220769B2 (ja) 抗アクネ菌組成物
JP5837067B2 (ja) デアニン誘導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抗にきび用としての用途
EP1681062A1 (en) Antibacterial drug for propionibacterium acnes
KR102488864B1 (ko)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세균총의 생장 조절 또는 피부 면역 강화용 조성물
CN112912057B (zh) 含有聚酯型儿茶素a的化妆料组合物
KR20150023607A (ko) 에리오딕티올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접촉성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632002B1 (ko) 해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또는 항진균용 조성물
KR20220103527A (ko) 디하이드로시나핀산의 알킬에스테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 주름개선 또는 피부 상처 치료용 약학적 또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