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9793B1 - 공동주택단지에 설치된 하수 입상관을 횡주관과 이음 연결하면서 수시 점검과 오물의 침전을 방지할 수 있는 멀티 유닛 및 그 멀티 유닛을 이용한 하수 입상관과 횡주관 연결부 침전 방지방법 - Google Patents

공동주택단지에 설치된 하수 입상관을 횡주관과 이음 연결하면서 수시 점검과 오물의 침전을 방지할 수 있는 멀티 유닛 및 그 멀티 유닛을 이용한 하수 입상관과 횡주관 연결부 침전 방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9793B1
KR102529793B1 KR1020220168522A KR20220168522A KR102529793B1 KR 102529793 B1 KR102529793 B1 KR 102529793B1 KR 1020220168522 A KR1020220168522 A KR 1020220168522A KR 20220168522 A KR20220168522 A KR 20220168522A KR 102529793 B1 KR102529793 B1 KR 102529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unit
pipe
transverse main
sedim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8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지환경
허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지환경, 허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지환경
Priority to KR1020220168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7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03C1/1222Arrangements of devices in domestic waste water pipe-lin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0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2001/1206Pipes with specific features for influencing flow characteri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수관과 횡주관이 연결되는 부위에 발생되었던 막힘, 역류 현상을 수시 점검과 청소를 통해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단지에 설치된 하우 입상관과 횡주관 이음 연결하면서 점검과 내부 청소를 할 수 있는 멀티 유닛 및 그 멀티 유닛을 이용한 하수 입상관과 횡주관 연결부 청소방법에 관한 것으로,
내부 수용공간(101)을 구비하며 다각형 또는 원형의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용공간(101)의 내부를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수시로 육안 점검을 할 수 있도록 투시부(102)가 부분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전체가 투시 용이한 구조로 형성되는 유닛 본체(100)와, 상기 유닛 본체(100)의 상단으로 하수용 지관(31)으로 부터 세대별 하수가 집수되는 하수 입상관(30)과 이음 연결용으로 구비되는 하수 입상관용 이음부(110)와, 유닛 본체(100)의 측면 방향으로 하수용 횡주관(32)과 이음 연결용으로 구비되는 횡주관용 이음부(120)와, 상기 유닛 본체(100)의 측면에 형성되어 낙하하는 하수의 유속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그로 인한 하수의 침전 현상을 억제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유속 증가편(130)과, 상기 유속 증가편(1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침전 물 발생시 내부를 화학약품 또는 고압 세척수를 활용하여 침전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청소용 뚜껑(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공동주택단지에 설치된 하수 입상관을 횡주관과 이음 연결하면서 수시 점검과 오물의 침전을 방지할 수 있는 멀티 유닛 및 그 멀티 유닛을 이용한 하수 입상관과 횡주관 연결부 침전 방지방법{Multi-unit that can prevent frequent inspection and sedimentation of dirt while connecting the sewage perpendicularity pipe installed in the apartment complex with the transverse main pipe and a method for preventing sedimentation 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wer perpendicularity pipe and the transverse main pipe using the multi-unit}
본 발명은 공동주택단지에 설치된 하수 입상관을 횡주관과 이음 연결하면서 수시 점검과 오물의 침전을 방지할 수 있는 멀티 유닛 및 그 멀티 유닛을 이용한 하수 입상관과 횡주관 연결부 침전 방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하수 입상관과 횡주관이 연결되는 부위에 발생되었던 막힘, 역류 현상을 수시 점검과 청소를 통해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단지에 설치된 하수입상관을 횡주관과 이음 연결하면서 수시 점검과 오물의 침전을 방지할 수 있는 멀티 유닛 및 그 멀티 유닛을 이용한 하수 입상관과 횡주관 연결부 침전 방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오피스텔, 대형숙박업소, 다세대주택을 포함하는 고층 건물에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배관라인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배관라인은 싱크대 및 세면장(10)의 하수를 배출하는 하수 입상관(30)과, 변기(11)의 오수가 배출되는 오수 입상관(40)이 수직구조로 이루어져 피트 공간의 내부에 설치되며, 그들의 하측 끝단(통상 건물의 지하에 설치됨)에는 오수 및 일반하수 빗물이 모여서 최종 집수지로 배출되도록 하는 수평구조의 오수 및 하수용 횡주관(32,42)이 설치된다.
또한, 각각의 배관에는 오수 및 하수 등의 이물질이 막힘 없이 배수가 용이하도록 통기관(50)이 연결되어 하나의 배관라인 세트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상기와 같은 배관라인이 설치되는 고층건물은 신축된 지 10 내지 20년 이상 되면 배관라인인 전체가 부식 및 노후화되어 누수 현상이 발생하거나 부분적으로 매우 심한 악취가 발생 한다.
특히,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 입상관과 횡주관이 연결되는 엘보우관(33)은 주철관으로 제작되어 내부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고 외부에서 내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없었으며, 매끄럽지 못한 표면과, 부식 등으로 인해 약 10년 이상 사용한 경우에는 대부분 생활 찌꺼기가 침전되어 원활한 배수가 되지 못하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뿐 아니라, 심한 경우에는 통수가 되지 않을 만큼 관 내부가 막힘에 따라 역류 현상이 발생하는데, 역류현상이 발생하면 세대별 주방과 거실 등을 보상해주어야 하는 등의 금전적 손실이 발생한다. 또한, 노후 된 건물의 경우 이러한 역류현상의 발생을 감안하여 보험 가입조차 기피하기 때문에 공동주택 관리실에서는 여간 난처한 상황이 아니었던 것이다.
본원 발명과 관련이 있는 선행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94877호(고안의 명칭 : 커플링을 이용한 오수관 연결구조) 및 특허출원 제10-2005-0087333호(발명의 명칭 : 세정 장치가 구비된 하수, 오수관) 및 특허출원 제10-2017-0116915호(발명의 명칭 : 오수 및 하수용 횡주관 청소용 청소유닛 및 그 청소유닛을 이용한 오수 및하수용 횡주관 청소방법) 및 특허출원 제10-2019-0137328호(발명의 명칭 : 횡주관 소재구)가 있으나, 본원 발명에서 추구하는 목적은 물론 구성 및 작용효과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다.
1. 등록실용신안 제20-0394877호(고안의 명칭 : 커플링을 이용한 오수관 연결구조) 2. 특허출원 제10-2005-0087333호(발명의 명칭 : 세정 장치가 구비된 하수, 오수관) 3. 특허출원 제10-2017-0116915호(발명의 명칭 : 오수 및 하수용 횡주관 청소용 청소유닛 및 그 청소유닛을 이용한 오수 및하수용 횡주관 청소방법) 4. 특허출원 제10-2019-0137328호(발명의 명칭 : 횡주관 소재구)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고 그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으로 하수 입상관과 횡주관이 이음 연결되는 부분에 대해 노후화가 진행되더라도 침전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침전현상이 발견될 시 즉시 청소를 하는 한편, 침전 현상이 발생되는 지의 여부를 사용자가 수시로 점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역류에 따른 인적, 물적 손실보상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공동주택단지에 설치된 하수 입상관을 횡주관과 이음 연결하면서 수시 점검과 오물의 침전을 방지할 수 있는 멀티 유닛 및 그 멀티 유닛을 이용한 하수 입상관과 횡주관 연결부 침전 방지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공동주택단지에 설치된 하수 입상관을 횡주관과 이음 연결하면서 수시 점검과 오물의 침전을 방지할 수 있는 멀티 유닛(S)은 내부 수용공간(101)을 구비하며 다각형 또는 원형의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용공간(101)의 내부를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수시로 육안 점검을 할 수 있도록 투시부(102)가 부분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전체가 투시 용이한 구조로 형성되는 유닛 본체(100)와, 상기 유닛 본체(100)의 상단으로 하수용 지관(31)으로 부터 세대별 하수가 집수되는 하수 입상관(30)과 이음 연결용으로 구비되는 하수 입상관용 이음부(110)와, 유닛 본체(100)의 측면 방향으로 하수용 횡주관(32)과 이음 연결용으로 구비되는 횡주관용 이음부(120)와, 상기 유닛 본체(100)의 측면에 형성되어 낙하하는 하수의 유속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그로 인한 하수의 침전 현상을 억제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유속 증가편(130)과, 상기 유속 증가편(1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침전 물 발생시 내부를 화학약품 또는 고압 세척수를 활용하여 침전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청소용 뚜껑(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수 입상관용 이음부(110)의 일측으로 침전물 침전시 역류가 되지 않고 멀티 유닛(S) 주변으로 역류가 되도록 안내하며, 연결용 파이프(151)가 연결되도록 바이패스관(15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공동주택단지에 설치된 하수 입상관을 횡주관과 이음 연결하면서 수시 점검과 오물의 침전을 방지할 수 있는 멀티 유닛을 이용한 하수 입상관과 횡주관 연결부 침전 방지방법은 전술된 멀티 유닛(S)을 하수 입상관(30)과 하수용 횡주관(32)에 이음 연결 설치하는 것과, 설치한 멀티 유닛(S)을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주 또는 월단위로 수시 점검을 하고, 멀티 유닛(S)의 내부에 침전물이 발견될 때 청소용 뚜껑(140)을 개폐하여 화학약품 또는 고압 세척수를 활용하여 침전물 제거 후 청소용 뚜껑(140)을 닫아서 마무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원 발명의 공동주택단지에 설치된 하수 입상관을 횡주관과 이음 연결하면서 수시 점검과 오물의 침전을 방지할 수 있는 멀티 유닛 및 그 멀티 유닛을 이용한 하수 입상관과 횡주관 연결부 침전 방지방법은 하수 입상관과 횡주관이 이음 연결되는 부분에 대해 노후화가 진행되더라도 침전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투시부를 통한 수시 육안 점검이 용이하여 침전현상이 발견될 시 바로 청소를 할 수 있어 역류에 따른 인적, 물적 손실보상을 원천적으로 차단함할 수 있는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의 편익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고층건물의 배관라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관라인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용상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본원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원 발명의 공동주택단지에 설치된 하수 입상관을 횡주관과 이음 연결하면서 수시 점검과 오물의 침전을 방지할 수 있는 멀티 유닛(S)은 도 2 내지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수용공간(101)을 구비하며 다각형 또는 원형의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용공간(101)의 내부를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수시로 육안 점검을 할 수 있도록 투시부(102)가 부분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전체가 투시 용이한 구조로 형성되는 유닛 본체(100)의 상단으로 하수용 지관(31)으로 부터 세대별 하수가 집수되는 하수 입상관(30)과 이음 연결용으로 구비되는 하수 입상관용 이음부(110)가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유닛 본체(100)는 투시부(102)에 의해 수시 육안 점검이 용이하며, 전술된 바와 같이 유닛 본체(100) 전체를 투명한 재질로 제작하거나 일부분에 한해서 투시부(102)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닛 본체(100)의 측면 방향에는 하수용 횡주관(32)과 이음 연결용으로 구비되는 횡주관용 이음부(120)가 형성되며, 횡주관용 이음부(120)의 타측 방향에는 낙하하는 하수의 유속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그로 인한 하수의 침전 현상을 억제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유속 증가편(130)이 구성된다.
상기 유속 증가편(130)의 내부 표면이 매끄럽기도 하지만, 경사가 형성되어 있어 낙하 하는 하수가 유닛 본체(100)의 내부에 머무를 틈이 없이 곧바로 배수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속 증가편(130)의 일측에는 수시 점검 과정에서 침전물이 발견될 경우 내부를 화학약품 또는 고압 세척수를 활용하여 침전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청소용 뚜껑(140)이 구성된다.
뿐 아니라, 상기 하수 입상관용 이음부(110)의 일측에는 침전물 침전시 역류가 되지 않고 멀티 유닛(S) 주변으로 역류가 되도록 안내하며 연결용 파이프(151)가 연결되도록 바이패스관(150)이 형성된다. 수시 점검에 의해 멀티 유닛(100)의 내부에 하루 찌꺼기가 침전될 여지는 거의 없지만 만일의 경우를 대비하여 바이패스관(150)을 구성시킴으로써 역류 시 멀티 유닛(S)의 주변에만 역류가 되도록 하여 금전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공동주택단지에 설치된 하수 입상관을 횡주관과 이음 연결하면서 수시 점검과 오물의 침전을 방지할 수 있는 멀티 유닛을 이용한 하수 입상관과 횡주관 연결부 침전 방지방법은 전술된 멀티 유닛(S)을 하수 입상관(30)과 하수용 횡주관(32)에 이음 연결 설치하는 것과, 설치한 멀티 유닛(S)을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주 또는 월단위로 수시 점검을 하고, 멀티 유닛(S)의 내부에 침전물이 발견될 때 청소용 뚜껑(140)을 개폐하여 화학약품 또는 고압 세척수를 활용하여 침전물 제거 후 청소용 뚜껑(140)을 닫아서 마무리함으로써 간단하게 침전물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원 발명의 공동주택단지에 설치된 하수 입상관을 횡주관과 이음 연결하면서 수시 점검과 오물의 침전을 방지할 수 있는 멀티 유닛(S)은 투명한 재질이면서 경량 소재로 제작이 용이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중량이 가벼워져 협소한 현장 환경에서도 설치함에 있어 수월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PVC 또는 아크릴 소재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소재를 사용할 경우 부식 및 침식으로 부터 자유로워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S: 멀티 유닛
10: 싱크대 및 세면장 11: 변기
20: 욕실바닥 30: 하수 입상관
31:하수용 지관 32:하수용 횡주관
40: 오수 입상관 41:오수용 지관
42: 오수용 횡주관 50: 통기관
100: 유닛 본체 101: 수용공간
102: 투시부 110: 하수 입상관용 이음부
120: 횡주관용 이음부 130: 유속증가편
140: 청소용 뚜껑 150: 바이패스관
151: 연결용 파이프

Claims (3)

  1. 내부 수용공간(101)을 구비하며 다각형 또는 원형의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용공간(101)의 내부를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수시로 육안 점검을 할 수 있도록 투시부(102)가 형성되는 유닛 본체(100)와, 상기 유닛 본체(100)의 상단으로 하수용 지관(31)으로 부터 세대별 하수가 집수되는 하수 입상관(30)과 이음 연결용으로 구비되는 하수 입상관용 이음부(110)와, 유닛 본체(100)의 측면 방향으로 하수용 횡주관(32)과 이음 연결용으로 구비되는 횡주관용 이음부(120)와, 하수 입상관용 이음부(110)의 일측으로 침전물 침전시 역류가 되지 않고 멀티 유닛(S) 주변으로 역류가 되도록 안내하며, 연결용 파이프(151)가 연결되도록 바이패스관(150)이 형성된 입상관을 횡주관과 이음 연결하면서 수시 점검과 오물의 침전을 방지할 수 있는 멀티 유닛에 있어서,
    상기 투시부(102)는 전체가 투시 용이한 구조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유닛 본체(100)의 측면에 형성되어 낙하하는 하수의 유속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그로 인한 하수의 침전 현상을 억제할 수 있도록 유속 증가편(130)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유속 증가편(130)의 일측에는 침전 물 발생시 내부를 화학약품 또는 고압 세척수를 활용하여 침전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청소용 뚜껑(140)이 설치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단지에 설치된 하수 입상관을 횡주관과 이음 연결하면서 수시 점검과 오물의 침전을 방지할 수 있는 멀티 유닛.
  2. 삭제
  3. 삭제
KR1020220168522A 2022-12-06 2022-12-06 공동주택단지에 설치된 하수 입상관을 횡주관과 이음 연결하면서 수시 점검과 오물의 침전을 방지할 수 있는 멀티 유닛 및 그 멀티 유닛을 이용한 하수 입상관과 횡주관 연결부 침전 방지방법 KR102529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8522A KR102529793B1 (ko) 2022-12-06 2022-12-06 공동주택단지에 설치된 하수 입상관을 횡주관과 이음 연결하면서 수시 점검과 오물의 침전을 방지할 수 있는 멀티 유닛 및 그 멀티 유닛을 이용한 하수 입상관과 횡주관 연결부 침전 방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8522A KR102529793B1 (ko) 2022-12-06 2022-12-06 공동주택단지에 설치된 하수 입상관을 횡주관과 이음 연결하면서 수시 점검과 오물의 침전을 방지할 수 있는 멀티 유닛 및 그 멀티 유닛을 이용한 하수 입상관과 횡주관 연결부 침전 방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9793B1 true KR102529793B1 (ko) 2023-05-08

Family

ID=86381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8522A KR102529793B1 (ko) 2022-12-06 2022-12-06 공동주택단지에 설치된 하수 입상관을 횡주관과 이음 연결하면서 수시 점검과 오물의 침전을 방지할 수 있는 멀티 유닛 및 그 멀티 유닛을 이용한 하수 입상관과 횡주관 연결부 침전 방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9793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1492A (ja) * 2002-02-08 2003-10-24 Sekisui Chem Co Ltd 排水用ヘッダーおよびこのヘッダーを使用した排水システム
KR20050087333A (ko) 2004-02-26 2005-08-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실린더블록 샴부의 잔류응력 측정방법
KR200394877Y1 (ko) 2005-06-27 2005-09-06 아시아리드 주식회사 커플링을 이용한 오수관 연결구조
JP2010167376A (ja) * 2009-01-23 2010-08-05 Ube Ind Ltd 気流搬送配管における異物除去エルボ管
KR20110100969A (ko) * 2010-03-05 2011-09-15 천아름 멀티트랩
KR20150002091U (ko) * 2013-11-25 2015-06-03 안선원 오수 엘보관
KR20150098502A (ko) * 2014-02-20 2015-08-28 최동안 투명 재질을 사용한 오배수용 횡주관 소제구
JP2016069922A (ja) * 2014-09-30 2016-05-0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建物の排水システム
KR101622371B1 (ko) * 2015-11-17 2016-05-18 주식회사 혜원까치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하수 배관의 역류방지 구조
KR20170116915A (ko) 2016-04-12 2017-10-20 최임철 고 효율의 수차 및 이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장치
KR20190137328A (ko) 2018-06-01 2019-12-11 애경산업(주) 병아리꽃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210051714A (ko) * 2019-10-31 2021-05-10 디와이산업개발 주식회사 횡주관 소제구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1492A (ja) * 2002-02-08 2003-10-24 Sekisui Chem Co Ltd 排水用ヘッダーおよびこのヘッダーを使用した排水システム
KR20050087333A (ko) 2004-02-26 2005-08-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실린더블록 샴부의 잔류응력 측정방법
KR200394877Y1 (ko) 2005-06-27 2005-09-06 아시아리드 주식회사 커플링을 이용한 오수관 연결구조
JP2010167376A (ja) * 2009-01-23 2010-08-05 Ube Ind Ltd 気流搬送配管における異物除去エルボ管
KR20110100969A (ko) * 2010-03-05 2011-09-15 천아름 멀티트랩
KR20150002091U (ko) * 2013-11-25 2015-06-03 안선원 오수 엘보관
KR20150098502A (ko) * 2014-02-20 2015-08-28 최동안 투명 재질을 사용한 오배수용 횡주관 소제구
JP2016069922A (ja) * 2014-09-30 2016-05-0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建物の排水システム
KR101622371B1 (ko) * 2015-11-17 2016-05-18 주식회사 혜원까치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하수 배관의 역류방지 구조
KR20170116915A (ko) 2016-04-12 2017-10-20 최임철 고 효율의 수차 및 이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장치
KR20190137328A (ko) 2018-06-01 2019-12-11 애경산업(주) 병아리꽃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210051714A (ko) * 2019-10-31 2021-05-10 디와이산업개발 주식회사 횡주관 소제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2371B1 (ko) 공동주택 하수 배관의 역류방지 구조
KR102529793B1 (ko) 공동주택단지에 설치된 하수 입상관을 횡주관과 이음 연결하면서 수시 점검과 오물의 침전을 방지할 수 있는 멀티 유닛 및 그 멀티 유닛을 이용한 하수 입상관과 횡주관 연결부 침전 방지방법
KR101694722B1 (ko) 급배수환경 개선을 위한 공동주택용 상하수 배관 구조물
US20200340223A1 (en) P-trap device and method
JP2001040745A (ja) 排水桝を用いた屋内の床下配管とその施工方法
JP6949759B2 (ja) 仮設トイレ用配管設備
CN2698864Y (zh) 防逆流下水装置
CN204298905U (zh) 模块化同层排水节水装置
KR20210051714A (ko) 횡주관 소제구
CN212742809U (zh) 在地漏仓里的地漏
JP4376406B2 (ja) 住宅用排水システム
JP5643908B1 (ja) 排水システム
KR20130003088A (ko) 악취 방지 기능이 구비된 오수받이
KR101805175B1 (ko) 송배전선로가 연결된 상하수도관장치
CN208870153U (zh) 卫生器具直排三防装置
CN217734230U (zh) 一种厨房洗碗盆排水防溢防臭的接管结构
CN201649273U (zh) 多接头储水地漏
CN214940729U (zh) 一种扁管后置型收水器
JP3361356B2 (ja) 雨水処理施設
CN2799693Y (zh) 一种易清堵排水管
TWM484600U (zh) 排水系統的匯流存水彎頭結構
TWI778837B (zh) 存水管路結構
CN208023659U (zh) 多通道存水弯
CN2727255Y (zh) 利用洗手盆废水冲厕的装置
CN217027316U (zh) 一种下沉式卫生间下水道管路总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