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5175B1 - 송배전선로가 연결된 상하수도관장치 - Google Patents

송배전선로가 연결된 상하수도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5175B1
KR101805175B1 KR1020170028487A KR20170028487A KR101805175B1 KR 101805175 B1 KR101805175 B1 KR 101805175B1 KR 1020170028487 A KR1020170028487 A KR 1020170028487A KR 20170028487 A KR20170028487 A KR 20170028487A KR 101805175 B1 KR101805175 B1 KR 101805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inlet
foreign matter
sewag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화
김동수
이정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Priority to KR1020170028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51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03C1/1222Arrangements of devices in domestic waste water pipe-lin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4Overflow devices for basins or baths
    • E03C1/244Separate devices to be placed on the outlet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0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4Overflow devices for basins or baths
    • E03C2001/2406Overflow alarm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4Overflow devices for basins or baths
    • E03C2001/2413Covers for temporarily closing off overflow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배전선로가 연결된 상하수도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세대로부터 배수된 하수 슬러지의 퇴적으로 인한 입상관의 폐색 여부를 수위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될 수 있도록 하여 하수가 입상관에 연결된 연결관을 통해 세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이음관에 적체되는 이물질의 제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송배전선로가 연결된 상하수도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송배전선로가 연결된 상하수도관장치{WATER AND SEWAGE PIPING APPARATUS WITH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POWER LINE}
본 발명은 상하수도 기술 분야 중 송배전선로가 연결된 상하수도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세대로부터 배수된 하수 슬러지의 퇴적으로 인한 입상관의 폐색 여부를 수위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될 수 있도록 하여 하수가 입상관에 연결된 연결관을 통해 세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이음관에 적체되는 이물질의 제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송배전선로가 연결된 상하수도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립주택 및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 건물은 주방, 다용도실, 화장실, 베란다의 위치가 각 층별로 동일위치에 마련된다.
이와 같이 하수가 발생하는 위치가 동일 위치에 마련됨에 따라, 공동주택은 공동 집/배수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622371호(2016.05.18.)에는 '공동주택 하수 배관의 역류방지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공동주택 하수 배관의 역류방지 구조는 이음관에 적체되는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배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622371호(2016.05.18.) '공동주택 하수 배관의 역류방지 구조'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세대로부터 배수된 하수 슬러지의 퇴적으로 인한 입상관의 폐색 여부를 수위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될 수 있도록 하여 하수가 입상관에 연결된 연결관을 통해 세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이음관에 적체되는 이물질의 제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송배전선로가 연결된 상하수도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층 공동주택의 높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각 세대로부터 발생한 하수가 집수되어 낙하되는 입상관(100); 상기 고층 공동주택의 각 세대와 상기 입상관(10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200); 상기 고층 공동주택의 지하에 수평하게 매설되며, 상기 입상관(100)으로부터 낙하된 하수가 옥외 하수처리장으로 배수되는 횡주관(300); 상기 입상관(100)의 하단부와 상기 횡주관(300)을 연결하는 이음관(400); 상기 이음관(400)과 공동주택의 맨 저층 세대의 연결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이음관(400)으로부터 상기 입상관(100)으로 차오르는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500); 외부의 송배전선로와 연결되어 작동되면서 상기 수위센서(500)에서 감지된 수위값을 관리실로 송신하며, 수위값이 정해놓은 기준값을 넘을 경우 관리실에 경고음 또는 경고등을 출력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관(200)의 일측에는 배출공(210)이 형성되고, 상기 횡주관(300)의 일측에는 유입공(310)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관(200)의 배출공(210)과 상기 횡주관(300)의 유입공(31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관(200)의 배수관로를 상기 횡주관(300)으로 우회시키는 우회관(700); 상기 연결관(200)의 상부에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며, 상기 연결관(200)을 개폐하는 회동판(800); 상기 연결관(200)의 배출공(210)을 차폐하되, 상기 입상관(100)으로부터 상기 연결관(200)으로 역류되는 하수 압력에 의한 상기 회동판(800)의 회동력에 의해 상기 배출공(210)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배출공(210)을 개방시키는 개폐부(900)로 구성되는 송배전선로가 연결된 상하수도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음관(400)에 적체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질제거부(1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물질제거부(10)는, 일단부가 상기 이음관(400)의 하부에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횡주관(300)의 하부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이음관(400)에 적체 또는 통과하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이물질제거관(11); 상기 이물질제거관(11)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제1,2개폐밸브(12,13); 상기 이물질제거관(11)에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제3개폐밸브(14)가 구비되는 배출관(15); 상기 배출관(15)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으로 이물질이 적체되는 포집통(16)을 포함하며, 상기 포집통(16)은, 상기 제1,2,3개폐밸브(12,13,14)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배출관(15)으로부터 분리되면서 내측에 적체된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며, 이물질제거 후에는 상기 배출관(15)으로 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배전선로가 연결된 상하수도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대로부터 배수된 하수 슬러지의 퇴적으로 인한 입상관의 폐색 여부를 수위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음으로써 하수가 입상관에 연결된 연결관을 통해 세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음관에 적체되는 이물질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선로가 연결된 상하수도관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를 절개한 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 부분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 부분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선로가 연결된 상하수도관장치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선로가 연결된 상하수도관장치에서 이물질제거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1622371호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의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1622371호에 기재된 사항들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1622371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공동주택 하수 배관의 역류방지 구조'는 '송배전선로가 연결된 상하수도관장치'로 대체하고, 이음관에 적체되는 이물질의 제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 및 그 작용설명이 더 포함되며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1622371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급배수환경 개선을 위한 공동주택용 상하수 배관 구조물은 입상관(100), 연결관(200), 횡주관(300), 이음관(400), 수위센서(500), 제어부(600), 우회관(700), 회동판(800) 및 개폐부(900)를 포함한다.
상기 입상관(100)은 고층 공동주택의 높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각 세대별로 발생한 하수가 집수되는 일종의 집수관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관(200)은 각 세대의 하수가 배수되는 관로로써, 각 세대의 배수유로와 입상관을 연결한다.
상기 연결관(200)에는 후술하는 우회관으로 하수를 배수시키기 위한 배출공(210)이 형성된다.
상기 횡주관(300)은 상기 입상관(100)에서 집수된 하수가 옥외의 하수처리장으로 흘러가는 관로를 제공하며, 고층 공동주택의 지하에 수평하게 매설된다.
상기 횡주관(300)에는 후술하는 우회관으로부터 하수가 유입되도록 한 유입공(310)이 형성된다.
상기 이음관(400)은 상기 입상관(100)과 상기 횡주관(300)을 연결하며, 상기 입상관(100)의 하단부와 상기 횡주관(300)의 단부를 연결한다.
상기 이음관(400)은 섹스티아(sextia)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며, 섹스티아 밴드를 통해 상기 입상관(100)에 결합된다.
상기 수위센서(500)는 상기 입상관(100)의 수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입상관(100)의 하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수위센서(500)는 상기 이음관(400)이 폐색되었을 때, 하수가 상기 이음관(400)을 통해 배수되지 못하고 이음관(400)으로부터 입상관(100)으로 물이 차오르는 것을 감지하는 것으로 상기 이음관(400)과 맨 저층 세대의 연결관(200) 사이의 입상관에 설치된다.
즉, 역류된 하수가 맨 저층 세대의 연결관(200)까지 차오르기 전, 이를 상기 수위센서(500)가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미리 조치를 취하게 한 것이다.
상기 수위센서(500)는 공지된 수위센서로 마련된다.
여기서 수위센서(500)와 제어부는 송배전선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력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하며, 해당 동작전원의 공급방식은 일반적으로 충분히 알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수위센서(500)와 제어부(600)는 송배전선로를 경유하여 연결되되 전력선 통신 방식의 기술이 적용되어 필요한 신호를 송신 및 수신 또는 전송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필요에 의하여 상하수도관은 송배전선로를 포함하여 매설 또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외부의 송배전선로와 연결되어 전원이 인가되면서 작동되며 상기 수위센서(500)를 제어하고, 상기 수위센서(500)에 의해 감지된 상기 입상관(100) 내의 수위값을 관리실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수위센서(500)를 통해 상기 입상관(100) 내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관리실로 전송함에 따라 관리실에서는 실시간으로 입상관(100) 내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수위센서(500)로부터 기준치 이상의 수위 측정값이 수신되면 이를 관리실에 송신함과 함께 관리실에 마련된 스피커 및 경고등을 통해 알람을 출력시킨다.
상기 우회관(700)은 세대의 하수가 배수되는 연결관(200)과 횡주관(30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관(200)을 통해 역류되는 하수가 상기 횡주관(300)으로 우회하여 흘러나가게 한다.
즉, 상기 우회관(700)은 상기 수위센서(500)의 오동작 및 고장으로 인해 하수가 상기 입상관(100)으로부터 상기 연결관(200)으로 역류되더라도 세대로 유입되지 않고 상기 횡주관(300)을 통해 배수되도록 한다.
상기 우회관(700)은 상기 연결관(200)의 배출공(210)과 상기 횡주관(300)의 유입공(310)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우회관(700)은 모든 세대의 연결관(200)에 설치될 필요는 없으며, 저층부의 세대에 한정하여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배출공(210)은 모든 연결관(200)에 형성될 필요가 없다.
상기 회동판(800)은 상기 연결관(200)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상기 연결관(200)의 관로를 개폐한다.
상기 회동판(800)은 모든 연결관(200)마다 설치될 필요는 없으며, 상기 우회관(700)이 설치된 연결관에 설치된다.
상기 회동판(800)은 연결부(200)의 관로 상에서 양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힌지결합되며, 직경은 연결관(200)의 내경에 대응된다.
상기 개폐부(900)는 연결관(200)에 형성된 배출공(210)을 개폐하며, 상기 배출공(210)에 설치된다.
상기 개폐부(900)는 입상관(100)으로부터 역류되는 하수의 수압에 의해 배출공(210)을 개방하며, 평상시에는 배출공(210)을 폐쇄한다.
상기 개폐부(9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910), 차폐면(920), 절곡면(930) 및 스프링(940)을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910)는 배출공(210)을 형성하는 선단부 단턱에 지지되며, 상기 배출공(210)의 두께에 대응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폐면(920)은 상기 배출공(210)을 차폐하며, 평상시에는 세대로부터 배수되는 하수가 상기 우회관(700)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차폐면(920)은 상기 스토퍼(910)의 상단부로부터 배출공(210)의 후단부를 향해 절곡된 면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관(200)의 내경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다.
상기 절곡면(930)은 상기 연결관(200)으로 역류되는 하수의 수압에 의해 상기 차폐면(920)이 상기 배출공(210) 상에서 후단부로 밀려나가게 한다.
상기 절곡면(930)은 평상시, 세대로부터 배수되는 하수의 수압에 의해 회동판(800)이 일방향 즉, 배수방향으로만 회동되도록 상기 회동판(800)의 일면을 간섭한다.
그리고, 상기 절곡면(930)은 상기 입상관(100)으로부터 상기 연결관(200)으로 하수가 역류될 때, 역류되는 하수의 수압에 의해 상기 회동판(800)이 후단부를 향해 회동되는 과정에서 회동판(800)의 회동력을 받아 상기 차폐면(920)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절곡면(930)은 상기 차폐면(920)의 후단부로부터 상향 절곡 형성되며, 상기 회동판(800)의 일면 즉, 세대로부터 하수가 배수되는 방향에 대향되는 면에 대응된다.
상기스프링(940)은 상기 스토퍼(910)와 상기 배출공(210)의 후단부 단턱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스토퍼(910)를 상기 배출공(210)의 선단부 단턱으로 밀어 상기 차폐면(920)이 상기 배출공(210)을 폐쇄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공동주택 하수 배관의 역류방지 구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각 세대로부터 배수된 하수는 연결관(200)을 통해 입상관(100)으로 집수되며, 집수된 하수는 낙하되어 이음관(400)을 통해 횡주관(300)을 따라 배수된다.
즉, 평상시에는 세대로부터 연결관(200)으로 하수가 배수되며, 이 과정에서 회동판(800)은 배수 압력에 의해 회동되어 연결관(200)의 관로를 자연스럽게 개방시키게 된다.
이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음관(400)에 슬러지 등의 퇴적물이 쌓이며, 퇴적물에 의해 이음관(400)의 관로는 폐색될 수 있다.
입상관(100)을 통해 배수되는 하수는 이음관(400)을 통해 흘러나가지 못함에 따라 이음관(400)으로부터 입상관(100)의 높이 방향으로 점점 차오르게 된다.
관리실에서는 수위센서(500)를 통해 입상관(100)의 수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므로 입상관(100)의 수위값이 기준치 이상이 되면, 단수 등의 조치를 취하고 이음관(400)을 분리하여 슬러지를 청소하는 작업을 실시한다.
이에 따라, 맨 저층 세대의 연결관(200)으로 하수가 역류되는 일을 미리 예방할 수 있으므로 하수의 역류로 인한 세대 피해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수위센서(500)가 오동작을 일으키거나 고장이 난 경우, 관리실에서는 이음관(400)의 폐색을 인지하지 못하게 되며, 이음관(400)을 통해 흘러나가지 못한 하수는 입상관(100)을 통해 계속 차오르게 된다.
하수는 먼저 맨 저층의 연결관(200)으로 역류되며, 연결관(200)에 설치된 회동판(800)은 역류되는 하수의 수압에 의해 역류되는 하수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한다.
회동판(800)은 회동을 하면서 회동판(800)에 대응되는 절곡면(930)을 밀어낸다.
상기 차폐면(920)은 절곡면(930)을 따라 이동되면서 배출공(210)을 개방시킨다.
스프링(940)은 스토퍼(910)가 배출공(210)의 후단부로 밀림에 따라 수축이 된다.
역류되는 하수는 배출공(210)을 통해 우회관(700)으로 낙하되어 횡주관(300)으로 흘러나가게 되므로 하수가 세대로 역류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후, 사후조치를 통해 하수가 연결관(200)으로 더 이상 역류되지 않으면 수축되었던 스프링(940)의 복원력에 의해 차폐면(920)은 원위치되어 연결관(200)의 배출공(210)을 차폐시키며, 회동판(800) 역시 원위치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음관(400)에 적체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질제거부(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이물질제거부(10)는 상기 이음관(400)을 통과하는 이물질이 상기 이음관(400)에 적체되기 전에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이음관(400)에 적체된 상태에서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물질제거부(10)는 일단부가 상기 이음관(400)의 하부에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횡주관(300)의 하부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이음관(400)에 적체 또는 통과하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이물질제거관(11), 상기 이물질제거관(11)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제1,2개폐밸브(12,13), 상기 이물질제거관(11)에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제3개폐밸브(14)가 구비되는 배출관(15) 및 상기 배출관(15)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으로 이물질이 적체되는 포집통(16)을 포함한다.
상기 입상관(100)을 통과하는 배수는 분기되면서 상기 이음관(400)을 통해 상기 횡주관(300)으로 배출되거나, 상기 이물질제거관(11)을 통해 상기 횡주관(300)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와 함께 배출되는 이물질은 상기 이음관(400)을 통과하거나, 상기 이물질제거관(11)을 통과하면서 상기 이음관(400) 또는 상기 이물질제거관(11)에 적체될 수 있다.
상기 이물질제거관(11)은 상기 입상관(100)을 통해 배출되는 이물질이 상기 이음관(400)에 적체되기 전에 인입되면서 상기 포집통(16)으로 포집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하수와 함께 상기 횡주관(300)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물질제거관(11)은 상단부가 상기 이음관(400)에 연결되며 상기 제1개폐밸브(12)가 연결되는 제1제거관(11a), 상단부가 상기 횡주관(300)에 연결되고 상기 제2개폐밸브(13)가 연결되는 제2제거관(11b) 및 일단부가 상기 제1제거관(11a)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제거관(11b)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3제거관(11c)을 포함한다.
상기 제1제거관(11a)은 상기 입상관(100)과 대략 동일 수직선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이음관(40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개폐밸브(12)는 상기 제1제거관(11a)에 연결되면서 개폐에 따라 상기 이물질제거관(11)이 상기 입상관(100)과 연통되도록 하거나, 차단되도록 한다.
상기 제2개폐밸브(13)는 상기 제2제거관(11b)에 연결되면서 개폐에 따라 상기 이물질제거관(11)이 상기 횡주관(300)과 연통되도록 하거나, 차단되도록 한다.
상기 제3제거관(11c)은 수평을 기준으로 일단부가 하방향을 향하면서 경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3제거관(11c)을 통과하지 못하는 이물질이 일단부로 적체되면서 상기 포집통(16)으로 원활하게 포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배출관(15)은 상기 제3제거관(11c)의 일단부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개폐밸브(14)는 개폐에 따라 상기 배출관(15)이 개방 또는 닫히도록 하여 상기 이물질제거관(11)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배출 또는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포집통(16)은 상부에 내부와 연통되며 이물질이 유입되는 유입관(18)이 구비된다.
상기 배출관(15)은 하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포집통(16)은 상기 유입관(18)을 이루는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관(15)에 나사결합되는 너트(19)가 구비되면서 상기 배출관(15)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너트(19)는 상기 배출관(15)에 나사결합시,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집통(16)은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면에 투명의 가시창(16a)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집통(16)은 배치되는 장소에 따라 별도의 다른 구조물 등에 연결되면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포집통(16)의 용량은 작업자가 수작업에 의해 인위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정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포집통(16)으로 수용되는 이물질에 대한 제거작업은 반복적인 점검 등을 통한 통계를 통해 일정시점에 이루어지거나, 상기 제어부(600)의 경고음 또는 경고등 출력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물질제거부(10)는 상기 입상관(100)으로부터 상기 이음관(400)으로 배출되는 배수를 조절하기 위한 제4개폐밸브(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개폐밸브(17)는 상기 연결관(200)과 상기 이음관(400)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입상관(10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개폐밸브(17)는 개폐에 따라 상기 입상관(100)과 상기 이음관(400)이 연통되도록 하거나, 차단되도록 한다.
상기 포집통(16)은 상기 제1,2,3개폐밸브(12,13,14)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배출관(15)으로부터 분리되면서 내부에 적체된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포집통(16)의 분리에 따라 상기 이물질제거관(11)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개폐밸브(17)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이음관(400)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포집통(16)은 내부에 이물질이 제거된 후, 상기 배출관(15)에 재결합되며, 상기 제1,2,3,4개폐밸브(12,13,14,17)는 인위적인 차단에 의해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이로 인해, 상기 이물질제거부(10)는 상기 이음관(400)을 통과하는 이물질이 상기 이음관(400)에 적체되기 전에 제거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이음관(400)에 적체된 이물질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다.
100 : 입상관 200 : 연결관
210 : 배출공 300 : 횡주관
310 : 유입공 400 : 이음관
500 : 수위센서 600 : 제어부
700 : 우회관 800 : 회동판
900 : 개폐부 910 : 스토퍼
920 : 차폐면 930 : 절곡면
940 : 스프링 S : 감지센서
10 : 이물질제거부 11 : 이물질제거관
12 : 제1개폐밸브 13 : 제2개폐밸브
14 : 제3개폐밸브 15 : 배출관
16 : 포집통 17 : 제4개폐밸브
18 : 유입관 19 : 너트

Claims (1)

  1. 고층 공동주택의 높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각 세대로부터 발생한 하수가 집수되어 낙하되는 입상관(100);
    상기 고층 공동주택의 각 세대와 상기 입상관(10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200);
    상기 고층 공동주택의 지하에 수평하게 매설되며, 상기 입상관(100)으로부터 낙하된 하수가 옥외 하수처리장으로 배수되는 횡주관(300);
    상기 입상관(100)의 하단부와 상기 횡주관(300)을 연결하는 이음관(400);
    상기 이음관(400)과 공동주택의 맨 저층 세대의 연결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이음관(400)으로부터 상기 입상관(100)으로 차오르는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500);
    외부의 송배전선로와 연결되어 작동되면서 상기 수위센서(500)에서 감지된 수위값을 관리실로 송신하며, 수위값이 정해놓은 기준값을 넘을 경우 관리실에 경고음 또는 경고등을 출력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관(200)의 일측에는 배출공(210)이 형성되고, 상기 횡주관(300)의 일측에는 유입공(310)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관(200)의 배출공(210)과 상기 횡주관(300)의 유입공(31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관(200)의 배수관로를 상기 횡주관(300)으로 우회시키는 우회관(700);
    상기 연결관(200)의 상부에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며, 상기 연결관(200)을 개폐하는 회동판(800);
    상기 연결관(200)의 배출공(210)을 차폐하되, 상기 입상관(100)으로부터 상기 연결관(200)으로 역류되는 하수 압력에 의한 상기 회동판(800)의 회동력에 의해 상기 배출공(210)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배출공(210)을 개방시키는 개폐부(900)로 구성되는 송배전선로가 연결된 상하수도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음관(400)에 적체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질제거부(1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물질제거부(10)는,
    일단부가 상기 이음관(400)의 하부에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횡주관(300)의 하부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이음관(400)에 적체 또는 통과하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이물질제거관(11);
    상기 이물질제거관(11)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제1,2개폐밸브(12,13);
    상기 이물질제거관(11)에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제3개폐밸브(14)가 구비되는 배출관(15);
    상기 배출관(15)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으로 이물질이 적체되는 포집통(16); 및
    상기 연결관(200)과 상기 이음관(400)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입상관(100)에 연결되며, 개폐에 따라 상기 입상관(100)과 상기 이음관(400)이 연통되도록 하거나, 차단하면서 상기 입상관(100)으로부터 상기 이음관(400)으로 배출되는 배수를 조절하는 제4개폐밸브(17)를 포함하고,
    상기 입상관(100)을 통과하는 배수는,
    분기되면서 상기 이음관(400)을 통해 상기 횡주관(300)으로 배출되거나, 상기 이물질제거관(11)을 통해 상기 횡주관(300)으로 배출되고,
    배수와 함께 배출되는 이물질 중 일부는,
    상기 이음관(400)이나 상기 이물질제거관(11)을 통과하면서 적체되며,
    상기 이물질제거관(11)은,
    상단부가 상기 이음관(400)에 연결되고, 상기 제1개폐밸브(12)가 연결되는 제1제거관(11a);
    상단부가 상기 횡주관(300)에 연결되며, 상기 제2개폐밸브(13)가 연결되는 제2제거관(11b); 및
    일단부가 상기 제1제거관(11a)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제거관(11b)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3제거관(11c)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제거관(11a)은,
    상기 입상관(100)과 동일 수직선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이음관(400)에 연결되고,
    상기 제2개폐밸브(13)는,
    상기 제2제거관(11b)에 연결되면서 개폐에 따라 상기 이물질제거관(11)이 상기 횡주관(300)과 연통되도록 하거나, 차단하며,
    상기 제3제거관(11c)은,
    수평을 기준으로 일단부가 하방향을 향하면서 경사를 이루고,
    상기 배출관(15)은,
    상기 제3제거관(11c)의 일단부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하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3개폐밸브(14)는,
    개폐에 따라 상기 배출관(15)이 개방 또는 닫히도록 하여 상기 이물질제거관(11)에 존재하는 이물질의 배출을 조절하며,
    상기 포집통(16)은,
    상부에 내부와 연통되며 이물질이 유입되는 유입관(18)이 구비되고, 표면에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의 가시창(16a)이 구비되며, 상기 유입관(18)을 이루는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너트(19)가 구비되면서 상기 배출관(15)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제1,2,3개폐밸브(12,13,14)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배출관(15)으로부터 분리되면서 내측에 적체된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며, 이물질제거 후에는 상기 배출관(15)으로 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배전선로가 연결된 상하수도관장치.
KR1020170028487A 2017-03-06 2017-03-06 송배전선로가 연결된 상하수도관장치 KR101805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487A KR101805175B1 (ko) 2017-03-06 2017-03-06 송배전선로가 연결된 상하수도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487A KR101805175B1 (ko) 2017-03-06 2017-03-06 송배전선로가 연결된 상하수도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5175B1 true KR101805175B1 (ko) 2017-12-06

Family

ID=60922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487A KR101805175B1 (ko) 2017-03-06 2017-03-06 송배전선로가 연결된 상하수도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517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722B1 (ko) * 2016-10-11 2017-01-11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급배수환경 개선을 위한 공동주택용 상하수 배관 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722B1 (ko) * 2016-10-11 2017-01-11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급배수환경 개선을 위한 공동주택용 상하수 배관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2371B1 (ko) 공동주택 하수 배관의 역류방지 구조
KR101010391B1 (ko) 강우 감지를 이용한 우수 처리 및 사용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101694722B1 (ko) 급배수환경 개선을 위한 공동주택용 상하수 배관 구조물
KR101805175B1 (ko) 송배전선로가 연결된 상하수도관장치
KR20160092734A (ko) 자동 점검 유량조절장치
US10435872B2 (en) Leakage prevention module
KR101854790B1 (ko) 하수이동의 소음을 최소화하는 배관구조물
CA1098797A (en) Vacuum-type water removal system for houses, factories, ships and the like
KR101226910B1 (ko) 악취 방지 기능이 구비된 오수받이
GB2470906A (en) Rainwater harvesting system
KR102529793B1 (ko) 공동주택단지에 설치된 하수 입상관을 횡주관과 이음 연결하면서 수시 점검과 오물의 침전을 방지할 수 있는 멀티 유닛 및 그 멀티 유닛을 이용한 하수 입상관과 횡주관 연결부 침전 방지방법
KR20160119984A (ko) 배관용 역류방지장치
US10975555B1 (en) Cleanout port drain assembly and method
CN209293121U (zh) 一种装配式整体卫生间排水接头
KR101854207B1 (ko) 전자제품에서 발생되는 폐수의 연속 배출장치
KR20220076764A (ko) 통합 벤트 드레인
KR102432874B1 (ko) 다기능 관세척 시스템 및 방법
KR102638326B1 (ko) 상수도 관로용 이물질 여과장치
JP6412732B2 (ja) 汚水排出システム
US20090255860A1 (en) Greywater diversion and hair catcher assembly for baths that is comprised of the novel assembly of a hair catcher mesh cup, a two-port valve, a direct-drain waste-overflow assembly, and an indirect-drain waste-overflow assembly
KR20140136230A (ko) 누수 배수장치
CN218713525U (zh) 一种建筑物配套的新型给排水管路结构
JP2014066097A (ja) 建物用排水システム
KR102475401B1 (ko) 공동주택의 통합 배기 및 배수 시스템
JP4416069B2 (ja) 下水管作業用バイパス排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