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2371B1 - 공동주택 하수 배관의 역류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하수 배관의 역류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2371B1
KR101622371B1 KR1020150161094A KR20150161094A KR101622371B1 KR 101622371 B1 KR101622371 B1 KR 101622371B1 KR 1020150161094 A KR1020150161094 A KR 1020150161094A KR 20150161094 A KR20150161094 A KR 20150161094A KR 101622371 B1 KR101622371 B1 KR 101622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ewage
discharge hole
water level
conne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1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택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혜원까치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혜원까치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혜원까치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50161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23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03C1/1222Arrangements of devices in domestic waste water pipe-lin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하수 배관의 역류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슬러지가 퇴적되는 이음관 상부에 수위센서를 설치하여 이음관 폐색으로 인한 수위측정을 통해 하수가 세대로 역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세대에 직접 연결된 연결관에 개폐부 및 우회관을 설치하여 세대를 향해 역류되는 하수를 횡주관으로 직접 우회시킴으로써 하수 역류로 인한 세대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 공동주택 하수 배관의 역류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고층 공동 주택의 높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각 세대로부터 발생한 하수가 집수되어 낙하되는 관로를 제공하는 입상관;상기 고층 공동 주택의 각 세대와 입상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 상기 고층 공동 주택의 지하에 수평하게 매설되며, 입상관으로부터 낙하된 하수가 옥외 하수처리장으로 배수되는 관로를 제공하는 횡주관; 상기 입상관의 하단부와 횡주관을 연결하는 이음관;상기 이음관과 공동 주택의 맨 저층 세대의 연결관 사이에 설치되며, 이음관으로부터 입상관으로 차오르는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수위센서에 감지된 수위값을 관리실로 송신하며, 수위값이 정해놓은 기준값을 넘을 경우 관리실에 경고음 또는 경고등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관의 일측에는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횡주관의 일측에는 유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관의 배출공과 횡주관의 유입공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관의 배수관로를 횡주관으로 우회시키는 관로를 형성하는 우회관;상기 연결관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되며, 연결관의 관로를 개폐하는 회동판;상기 연결관의 배출공을 차폐하되, 입상관으로부터 연결관으로 역류되는 하수 압력에 의한 회동판의 회동력에 의해 배출공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배출공을 개방시키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하수 배관의 역류방지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 하수 배관의 역류방지 구조{To prevent back flow of sewage piping structure of an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 하수 배관의 역류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대로부터 배수된 하수 슬러지의 퇴적으로 인한 관로의 폐색여부를 수위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수관로로부터 세대로 하수가 역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 하수 배관의 역류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립주택 및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 건물은 주방, 다용도실, 화장실, 베란다의 위치가 각 층별로 동일위치에 마련된다.
이와 같이 하수가 발생하는 위치가 동일 위치에 마련됨에 따라, 공동주택은 공동 집/배수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다,
공동 집/배수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층으로부터 발생한 하수가 집수되는 입상관(10)과, 입상관(10)으로 집수된 하수가 옥외의 하수처리장(미도시)으로 빠져나가도록 관로를 제공하는 횡주관(20)으로 구성된다.
입상관(10)은 공동주택 건물의 높이방향으로 마련되며, 상기 횡주관(20)은 건물 지하에 수평으로 매설되어 마련된다.
이때, 입상관(10)의 단부와 횡주관(20) 사이에는 이음관(30)이 마련되며, 이음관(30)은 입상관(10)으로부터 횡주관(20)으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한편, 각 층 마다 마련된 주방에서 발생한 하수 역시 상기 입상관(10)으로 배수된다.
이때, 주방의 씽크대 배수유로와 입상관(10) 사이에는 씽크대 배수유로의 하수가 입상관(10)으로 배수되는 관로인 연결관(40)이 설치된다.
즉, 씽크대에서 발생한 하수는 연결관(40)을 통해 입상관(10)으로 배수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구성의 종래의 공동 집/배수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각 층의 하수가 입상관(10)으로 집수된 후, 횡주관(20)으로 흘러나가는 과정에서 하수에 포함된 오물이 이음관(30)에 퇴적되므로 인해, 상기 이음관(30)이 폐색되는 일이 발생하는데, 특히, 주방의 하수에 포함된 기름 찌꺼기로 인해, 기름 찌꺼기가 응고되면서 이음관(30) 폐색을 가속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입상관(10)으로 집수된 하수가 횡주관(20)으로 흘러나가지 못하고 각층의 연결관(40)을 통해 역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특히, 공동주택 저층의 입주자 세대에 역류 피해가 자주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물론, 관리실 차원에서 폐색된 이음관(30)을 분리하여 사후조치를 취하고 있으나, 이는 역류가 발생하여 민원이 있을때, 또는 정기적인 점검을 통해서만 배관 유지 보수 작업을 실시하고는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음관(30) 폐색은 정기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예고 없이 갑자기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음관(30) 내부에 대한 모니터링이 실시간으로 필요하며, 이음관(30)이 폐색된 경우 관리실에서 신속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이음관(30)이 폐색되어 있더라도, 연결관(40)을 통해 각 층 세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세대에 피해룰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341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세대의 하수가 집수되어 배수되는 입상관의 하단부에 수위센서를 설치하여 관로폐색에 의한 수위 상승 측정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하수관로 폐색여부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하수가 역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 하수 배관의 역류방지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대로부터 하수가 배수되는 관로인 연결관과 옥외로 배수되는 관로인 횡주관 사이에 우회관로를 설치하여 수위센서 오동작 및 고장으로 인해 세대를 향해 하수가 역류되더라도, 상기 우회관로를 통해 역류되는 하수가 횡주관으로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역류되는 하수가 세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 공동주택 하수 배관의 역류방지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층 공동 주택의 높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각 세대로부터 발생한 하수가 집수되어 낙하되는 관로를 제공하는 입상관;상기 고층 공동 주택의 각 세대와 입상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 상기 고층 공동 주택의 지하에 수평하게 매설되며, 입상관으로부터 낙하된 하수가 옥외 하수처리장으로 배수되는 관로를 제공하는 횡주관;상기 입상관의 하단부와 횡주관을 연결하는 이음관;상기 이음관과 공동 주택의 맨 저층 세대의 연결관 사이에 설치되며, 이음관으로부터 입상관으로 차오르는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수위센서에 감지된 수위값을 관리실로 송신하며, 수위값이 정해놓은 기준값을 넘을 경우 관리실에 경고음 또는 경고등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관의 일측에는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횡주관의 일측에는 유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관의 배출공과 횡주관의 유입공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관의 배수관로를 횡주관으로 우회시키는 관로를 형성하는 우회관;상기 연결관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되며, 연결관의 관로를 개폐하는 회동판;상기 연결관의 배출공을 차폐하되, 입상관으로부터 연결관으로 역류되는 하수 압력에 의한 회동판의 회동력에 의해 배출공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배출공을 개방시키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하수 배관의 역류방지 구조를 제공한다.
삭제
이때, 상기 개폐부는, 배출공의 선단부 단턱에 걸려 지지되며, 배출공의 두께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스토퍼;상기 스토퍼의 상단부로부터 배출공의 후단부를 향해 절곡 형성되며, 배출공을 차폐하는 차폐면;상기 차폐면의 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회동판의 양면 중 세대로부터 하수가 배수되는 방향의 대향면에 대응된 절곡면;상기 스토퍼와 배출공 사이에 설치되어 차폐면의 이동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하수 배관의 역류방지 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이음관과 저층 세대의 연결관 사이에 수위센서가 설치되어 이음관으로부터 입상관으로 차오르는 하수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므로, 이음관이 폐색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즉, 관리실에서 이음관의 내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므로, 이음관이 폐색되기전 미리 청소 작업을 실시하여 이음관 폐색으로 인한 하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하수 역류에 의한 세대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연결관과 횡주관 사이에 우회관이 더 설치되고 역류되는 하수의 수압에 의해 우회관을 개폐시키는 개폐부가 더 설치됨으로써, 수위센서의 오동작 및 고장으로 인해 입상관으로부터 연결관으로 하수가 역류되더라도, 역류된 하수는 우회관을 통해 횡주관으로 배수됨으로써 역류되는 하수가 각 세대로 유입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수위센서의 오동작 또는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역류되는 하수가 세대까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동주택의 집/배수 시스템에 의한 하수 배관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하수 배관의 역류방지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2의 "A"부를 절개한 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부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5는 도 2의 "A"부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하수 배관의 역류방지 구조 작용을 나타낸 작용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하수 배관의 역류방지 구조(이하, '역류방지 구조'라 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역류방지구조는 각 세대의 하수가 집수되어 배수되는 관로 중, 입상관의 하단부에 결합된 이음부가 폐색되는 것을 신속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각 세대로 직접 연결된 연결관에 우회관을 설치하여 역류되는 하수를 우회시킴으로써, 역류되는 하수가 세대에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한 역류 방지 구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상관(100)과, 연결관(200)과, 횡주관(300)과, 이음관(400)과, 수위센서(500)와, 제어부(600)와, 우회관(700)과, 회동판(800)과, 개폐부(9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상관(100)은 고층 공동주택의 높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각 세대별로 발생한 하수가 집수되는 일종의 집수관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연결관(200)은 각 세대의 하수가 배수되는 관로로서, 각 세대의 배수유로와 입상관을 연결하는 관로이다.
이때, 연결관(200)에는 후술하는 우회관으로 하수를 배수시키기 위한 배출공(210)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횡주관(300)은 입상관(100)에서 집수된 하수가 옥외의 하수처리장으로 흘러가는 관로를 제공하며, 고층 공동주택의 지하에 수평하게 매설된다.
이때, 횡주관(300)에는 후술하는 우회관으로부터 하수가 유입되도록 한 유입공(310)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이음관(400)은 입상관(100)과 횡주관(300)을 연결하며, 입상관(100)의 하단부와 횡주관(300)의 단부를 연결한다.
이음관(400)은 섹스티아(sextia)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며, 섹스티아 밴드를 통해 상기 입상관(100)에 결합된다.
다음으로, 수위센서(500)는 입상관(100)의 수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입상관(100)의 하단부에 설치된다.
수위센서(500)는 이음관(400)이 폐색되었을 때, 하수가 이음관(400)을 통해 배수되지 못하고 이음관(400)으로부터 입상관(100)으로 물이 차오르는 것을 감지하는 것으로서, 이음관(400)과 맨 저층 세대의 연결관(200) 사이의 입상관에 설치된다.
즉, 역류된 하수가 맨 저층 세대의 연결관(200)까지 차오르기 전, 이를 수위센서(500)가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미리 조치를 취하게 한 것이다.
상기 수위센서(500)는 공지된 수위센서로 마련된다.
다음으로, 제어부(600)는 수위센서(500)를 제어하며, 수위센서(500)에 의해 감지된 입상관(100) 내의 수위값을 관리실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어부(600)는 수위센서(500)를 통해 입상관(100) 내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관리실로 전송함에 따라, 관리실에서는 실시간으로 입상관(100) 내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어부(600)는 수위센서(500)로부터 기준치 이상의 수위 측정값이 수신되면, 이를 관리실에 송신함과 더불어, 관리실에 마련된 스피커 및 경고등을 통해 알람을 출력시킨다.
다음으로, 우회관(700)은 세대의 하수가 배수되는 연결관(200)과 횡주관(300) 사이에 설치되며, 연결관(200)을 통해 역류되는 하수가 횡주관(300)으로 우회하여 흘러나가게 하는 관로이다.
즉, 우회관(700)은, 수위센서(500)의 오동작 및 고장으로 인해, 입상관(100)으로부터 연결관(200)으로 역류되더라도 역류된 하수는 세대로 유입되지 않고 횡주관(300)으로 배수되도록 한 관로인 것이다.
상기 우회관(700)은 연결관(200)의 배출공(210)과 횡주관(300)의 유입공(310)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우회관(700)은 모든 세대의 연결관(200)에 설치될 필요는 없으며, 저층부의 세대에 한정하여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한 연결관(200)에 형성된 배출공(210) 역시 모든 연결관(200)에 형성될 필요는 없다.
다음으로, 회동판(800)은 연결관(200)의 관로를 개폐하며, 연결관(200)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이때, 회동판(800)은 모든 연결관(200)마다 설치될 필요는 없으며, 우회관(700)이 설치된 연결관에 설치된다.
상기 회동판(800)은 양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힌지 결합되며, 회동판(800)의 직경은 연결관(200)의 내경에 대응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회동판(800)은 연결부(200)의 관로 상에서 양방향으로 회동된다.
다음으로, 개폐부(900)는 연결관(200)에 형성된 배출공(210)을 개폐하며, 상기 배출공(210)에 설치된다.
개폐부(900)는 입상관(100)으로부터 역류되는 하수의 수압에 의해 배출공(210)을 개방하며, 평상시에는 배출공(210)을 폐쇄한다.
상기 개폐부(9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910)와, 차폐면(920)과, 절곡면(930)과, 스프링(940)을 포함한다.
스토퍼(910)는 배출공(210)을 형성하는 선단부 단턱에 지지되며, 배출공(210)의 두께에 대응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차폐면(920)은 배출공(210)을 차폐하며, 평상시에는 세대로부터 배수되는 하수가 우회관(700)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차폐면(920)은 스토퍼(910)의 상단부로부터 배출공(210)의 후단부를 향해 절곡된 면을 형성하며, 연결관(200)의 내경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다.
그리고, 절곡면(930)은 연결관(200)으로 역류되는 하수의 수압에 의해 차폐면(920)을 배출공(210) 상에서 후단부로 밀려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절곡면(930)은 평상시에, 세대로부터 배수되는 하수의 수압에 의해 회동판(800)이 일방향 즉 배수방향으로만 회동되도록 상기 회동판(800)의 일면을 간섭하고, 입상관(100)으로부터 연결관(200)으로 하수가 역류될 때에는, 역류되는 하수의 수압에 의해 회동판(800)이 후단부를 향해 회동되는 과정에서 회동판(800)의 회동력을 받아 차폐면(920)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절곡면(930)은 차폐면(920)의 후단부로부터 상향 절곡 형성되며, 회동판(800)의 일면 즉, 세대로부터 하수가 배수되는 방향에 대향되는 면에 대응된다.
그리고, 스프링(940)은 탄성력을 이용해 스토퍼(910)를 배출공(210)의 선단부 단턱에 밀어 차폐면(920)으로 하여금 배출공(210)을 폐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스프링(940)은 스토퍼(910)와 배출공(210)의 후단부 단턱 사이에 설치된다.
이하, 첨부된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공동주택 하수 배관의 역류방지 구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각 세대로부터 배수된 하수는 연결관(200)을 통해 입상관(100)으로 집수되며, 집수된 하수는 낙하되어 이음관(400)을 통해 횡주관(300)을 따라 배수된다.
즉, 평상시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대로부터 연결관(200)으로 하수가 배수되며, 이 과정에서 회동판(800)은 배수 압력에 의해 회동되어 연결관(200)의 관로를 자연스럽게 개방시키게 된다.
이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음관(400)에 슬러지 등의 퇴적물이 쌓이며, 퇴적물에 의해 이음부(400)의 관로는 폐색될 수 있다.
이때, 입상관(100)을 통해 배수되는 하수는 이음관(400)을 통해 흘러나가지 못함에 따라, 상기 하수는 이음관(400)으로부터 입상관(100)의 높이 방향으로 점점 차오르게 된다.
이때, 관리실에서는 수위센서(500)를 통해 입상관(100)의 수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고 있으므로 입상관(100)의 수위값이 기준치 이상이 되면, 관리실에서는 단수 등의 조치를 취하고 이음관(400)을 분리하여 슬러지를 청소하는 작업을 실시한다.
이에 따라, 맨 저층 세대의 연결관(200)으로 하수가 역류되는 일을 미리 예방할 수 있으므로, 하수의 역류로 인한 세대 피해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수위센서(500)가 오동작을 일으키거나 고장이 난 경우, 관리실에서는 이음관(400)의 폐색을 인지하지 못하게 되며, 이음관(400)을 통해 흘러나가지 못한 하수는 입상관(100)을 통해 계속 차오르게 된다.
이후, 하수는 먼저 맨 저층의 연결관(200)으로 역류되며, 연결관(200)에 설치된 회동판(800)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류되는 하수의 수압에 의해 역류되는 하수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을 하게 된다.
이때, 회동판(800)은 회동을 하면서 회동판(800)에 대응되어 있던 절곡면(930)을 밀어낸다.
이에 따라, 차폐면(920) 역시 절곡면(930)을 따라 이동되므로, 상기 차폐면(920)은 배출공(210)을 개방시킨다.
이때, 스토퍼(910) 역시 배출공(210)의 후단부로 밀림에 따라, 스토퍼(910)와 배출공(210) 사이의 스프링(940)은 수축이 된다.
이후, 역류되는 하수는 배출공(210)을 통해 우회관(700)으로 낙하되어 횡주관(300)으로 흘러나가게 되므로, 하수가 세대로 역류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후, 사후조치를 통해 하수가 연결관(200)으로 더 이상 역류되지 않으면, 수축되었던 스프링(940)의 복원력에 의해 차폐면(920)은 원위치되어 연결관(200)의 배출공(210)을 차폐시키며, 회동판(800) 역시 원위치된다.
한편, 연결관(200)으로 하수가 역류된다는 것은 수위센서(500)의 오동작이나 고장에 의한 것이므로, 이를 관리실에 인지시킬 필요가 있다.
즉, 우회관(700)으로 물이 배수된다는 것은 입상관(100)에 설치된 수위센서(500)의 오동작 및 고장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상기 우회관(700) 내부에 감지센서(S)를 설치하여 우회관으로 물이 배수되는 것을 관리실에서 인지하게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우회관(700)에 설치된 감지센서(S)가 동작되면, 관리자는 수위센서(500)의 고장을 인지하고, 조치를 통해 이음관(400)의 청소 작업 및 수위센서(500)를 교체하거나 보수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하수배관의 역류 방지구조는 슬러지가 퇴적되는 이음관의 상방에 수위센서를 설치하여 이음관 폐색으로 인한 수위 상승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세대에 연결된 연결관에 우회관을 설치하여 수위센서 오동작시에도 역류되는 하수가 세대로 침투되지 않고 우회관으로 빠져나가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이음관 폐색시 하수관 역류에 의한 세대 피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입상관 200 : 연결관
210 : 배출공 300 : 횡주관
310 : 유입공 400 : 이음관
500 : 수위센서 600 : 제어부
700 : 우회관 800 : 회동판
900 : 개폐부 910 : 스토퍼
920 : 차폐면 930 : 절곡면
940 : 스프링 S : 감지센서

Claims (3)

  1. 고층 공동 주택의 높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각 세대로부터 발생한 하수가 집수되어 낙하되는 관로를 제공하는 입상관;
    상기 고층 공동 주택의 각 세대와 입상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
    상기 고층 공동 주택의 지하에 수평하게 매설되며, 입상관으로부터 낙하된 하수가 옥외 하수처리장으로 배수되는 관로를 제공하는 횡주관;
    상기 입상관의 하단부와 횡주관을 연결하는 이음관;
    상기 이음관과 공동 주택의 맨 저층 세대의 연결관 사이에 설치되며, 이음관으로부터 입상관으로 차오르는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
    수위센서에 감지된 수위값을 관리실로 송신하며, 수위값이 정해놓은 기준값을 넘을 경우 관리실에 경고음 또는 경고등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관의 일측에는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횡주관의 일측에는 유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관의 배출공과 횡주관의 유입공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관의 배수관로를 횡주관으로 우회시키는 관로를 형성하는 우회관;
    상기 연결관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되며, 연결관의 관로를 개폐하는 회동판;
    상기 연결관의 배출공을 차폐하되, 입상관으로부터 연결관으로 역류되는 하수 압력에 의한 회동판의 회동력에 의해 배출공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배출공을 개방시키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하수 배관의 역류방지 구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배출공의 선단부 단턱에 걸려 지지되며, 배출공의 두께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스토퍼;
    상기 스토퍼의 상단부로부터 배출공의 후단부를 향해 절곡 형성되며, 배출공을 차폐하는 차폐면;
    상기 차폐면의 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회동판의 양면 중 세대로부터 하수가 배수되는 방향의 대향면에 대응된 절곡면;
    상기 스토퍼와 배출공 사이에 설치되어 차폐면의 이동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하수 배관의 역류방지 구조.
KR1020150161094A 2015-11-17 2015-11-17 공동주택 하수 배관의 역류방지 구조 KR101622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094A KR101622371B1 (ko) 2015-11-17 2015-11-17 공동주택 하수 배관의 역류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094A KR101622371B1 (ko) 2015-11-17 2015-11-17 공동주택 하수 배관의 역류방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2371B1 true KR101622371B1 (ko) 2016-05-18

Family

ID=56113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1094A KR101622371B1 (ko) 2015-11-17 2015-11-17 공동주택 하수 배관의 역류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237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722B1 (ko) 2016-10-11 2017-01-11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급배수환경 개선을 위한 공동주택용 상하수 배관 구조물
KR101701804B1 (ko) * 2016-08-30 2017-02-02 (주)범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드레인 환경 개선용 배관라인
KR101854790B1 (ko) * 2017-10-19 2018-05-04 (주)삼우씨엠건축사사무소 하수이동의 소음을 최소화하는 배관구조물
CN109372066A (zh) * 2018-10-25 2019-02-22 潘雲生 一种利用水管堵塞水压差清理堵塞杂物的浴室下水管道
KR102519589B1 (ko) * 2022-01-03 2023-04-10 피피아이파이프 주식회사 역류도피장치
KR102529793B1 (ko) * 2022-12-06 2023-05-08 주식회사 티지환경 공동주택단지에 설치된 하수 입상관을 횡주관과 이음 연결하면서 수시 점검과 오물의 침전을 방지할 수 있는 멀티 유닛 및 그 멀티 유닛을 이용한 하수 입상관과 횡주관 연결부 침전 방지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083B1 (ko) * 2005-05-12 2005-09-23 (주)일신설계종합건축사사무소 아파트 베란다에 설치되는 배수관의 역류방지구조
KR100975955B1 (ko) * 2008-02-15 2010-08-13 롯데건설 주식회사 오배수 배관 감시 시스템
KR101487502B1 (ko) * 2013-06-12 2015-01-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역류 감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083B1 (ko) * 2005-05-12 2005-09-23 (주)일신설계종합건축사사무소 아파트 베란다에 설치되는 배수관의 역류방지구조
KR100975955B1 (ko) * 2008-02-15 2010-08-13 롯데건설 주식회사 오배수 배관 감시 시스템
KR101487502B1 (ko) * 2013-06-12 2015-01-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역류 감지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804B1 (ko) * 2016-08-30 2017-02-02 (주)범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드레인 환경 개선용 배관라인
KR101694722B1 (ko) 2016-10-11 2017-01-11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급배수환경 개선을 위한 공동주택용 상하수 배관 구조물
KR101854790B1 (ko) * 2017-10-19 2018-05-04 (주)삼우씨엠건축사사무소 하수이동의 소음을 최소화하는 배관구조물
CN109372066A (zh) * 2018-10-25 2019-02-22 潘雲生 一种利用水管堵塞水压差清理堵塞杂物的浴室下水管道
CN109372066B (zh) * 2018-10-25 2020-06-12 山东东宏管业股份有限公司 一种利用水管堵塞水压差清理堵塞杂物的浴室下水管道
KR102519589B1 (ko) * 2022-01-03 2023-04-10 피피아이파이프 주식회사 역류도피장치
KR102529793B1 (ko) * 2022-12-06 2023-05-08 주식회사 티지환경 공동주택단지에 설치된 하수 입상관을 횡주관과 이음 연결하면서 수시 점검과 오물의 침전을 방지할 수 있는 멀티 유닛 및 그 멀티 유닛을 이용한 하수 입상관과 횡주관 연결부 침전 방지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2371B1 (ko) 공동주택 하수 배관의 역류방지 구조
CN2797460Y (zh) 一种互补式管网终端存水器
RU2637212C2 (ru) Клапан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отводной трубы
KR101694722B1 (ko) 급배수환경 개선을 위한 공동주택용 상하수 배관 구조물
US20120294708A1 (en) Apparatus to protect a radon fan from mechanical failure due to damage from falling objects from within the radon mitigation system
CN106687651B (zh) 碎料捕集器
US10633845B2 (en) Plumbing trap with top access
JP4283956B2 (ja) 排水管路用吸排気弁
KR20110132987A (ko) 배수트랩 및 배수트랩 개폐장치
US9790678B2 (en) Check valve floor drain
KR101854790B1 (ko) 하수이동의 소음을 최소화하는 배관구조물
KR101226910B1 (ko) 악취 방지 기능이 구비된 오수받이
KR101805175B1 (ko) 송배전선로가 연결된 상하수도관장치
CN101349066B (zh) 屋面雨水不耗能利用装置
KR101784398B1 (ko) 배관용 역류방지장치
KR102529793B1 (ko) 공동주택단지에 설치된 하수 입상관을 횡주관과 이음 연결하면서 수시 점검과 오물의 침전을 방지할 수 있는 멀티 유닛 및 그 멀티 유닛을 이용한 하수 입상관과 횡주관 연결부 침전 방지방법
GB2502527A (en) An air admittance valve and a non return valve in a housing to protect drainage lines from pressure fluctuations
KR102475401B1 (ko) 공동주택의 통합 배기 및 배수 시스템
KR20090078080A (ko) 빗물받이 일체형 오수받이
TWM517217U (zh) 具有排水堵塞偵測警示功能之高樓污廢水管路系統
CN216586819U (zh) 一种室内防返流排污装置
JP4458823B2 (ja) 逆止弁
JP3970059B2 (ja) 排水管と排水桝との接続構造
CN204370527U (zh) 下水道接头
CN101092823B (zh) 楼内排水防返流安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