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7502B1 - 배관 역류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역류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7502B1
KR101487502B1 KR20130067130A KR20130067130A KR101487502B1 KR 101487502 B1 KR101487502 B1 KR 101487502B1 KR 20130067130 A KR20130067130 A KR 20130067130A KR 20130067130 A KR20130067130 A KR 20130067130A KR 101487502 B1 KR101487502 B1 KR 101487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unit
sensing
floating
back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7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5243A (ko
Inventor
한병욱
최종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67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502B1/ko
Publication of KR20140145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03C1/1222Arrangements of devices in domestic waste water pipe-lin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7Arrangement or mounting of 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or dra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line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 내부에 결빙 및 오염물질에 의해 유입수가 역류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배관 역류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물보다 비중이 작은 재질로 형성되며 배관의 내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플로팅부 및 배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플로팅부의 위치를 인식하는 감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관 역류 감지 장치{Apparatus of sensing backflow in plumbing}
본 발명은 배관 역류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 내부의 결빙 또는 오염물질에 의해 유입수가 역류 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배관 역류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공동주택 등에서는 베란다에 설치되어 있는 배관에 세탁기의 오수 배출구를 연결하여 세탁 오수를 지하 배수관으로 흘려 보낸다. 이러한 배관은 고층에서부터 저층까지 수직적으로 배열되며, 수평방향으로 굴절되어 지하 배수관과 연결된다. 이와 같이 배관의 굴절된 구간에는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물이 고여 있거나, 오수가 고여 있게 된다. 이렇게 고인 오수 및 물은 동절기 때 결빙되어 지하 배수관으로 흐르는 오수의 흐름을 방해하여, 오수 및 물이 원활하게 지하 배수관으로 흐르지 못하도록 방해하게 된다.
또한, 오수의 결빙 현상은 오수의 역류현상을 발생시키는 주된 원인이 되며, 이러한 역류현상은 통상 저층 거주자의 배관 내부에 세균 및 곰팡이와 같은 병원균을 번식시키는 환경을 조성하며, 악취를 발생시킴으로써 저층에 거주하는 세대에 큰 불편함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고층의 세대에서부터 흘려 보내는 오수를 통해 저층에 거주하는 세대만이 역류현상의 불편을 겪게 되면서, 저층에 거주하는 세대와 고층의 거주하는 세대간의 불화와 갈등이 야기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 및 구조가 고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88503호는 감지배관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88503호 2009.08.20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관 내부의 결빙 또는 오염물질에 의해 유입수가 역류 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배관 역류 감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관 역류 감지 장치는 물보다 비중이 작은 재질로 형성되며 배관의 내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플로팅부 및 상기 배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플로팅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배관의 내측에 상기 플로팅부의 이동 경로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플로팅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 스토퍼와 제2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로팅부는 내부에 무선 주파수 식별 태그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무선 주파수 식별 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무선 주파수 식별 리더를 포함하여, 상기 감지부는 상기 플로팅부가 기준범위 이내에 진입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플로팅부는 상기 배관의 내측면에 밀착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며,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어 배수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배관의 내측에 밀착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플로팅부는 상기 배관의 내측에 밀착되는 링 형상의 테두리부와 중앙에 상기 무선 주파수 식별 태그가 위치하는 태그부와, 상기 테두리부와 상기 태그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경음, 경광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경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배관 내부에 열을 가하여 상기 배관 내의 결빙을 해소하는 결빙 해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빙 해소부는 상기 배관 내측 또는 외측에 열선을 포함하거나, 상기 배관 내부에 열풍을 분사할 수 있다.
상기 배관의 상기 플로팅부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관 내부로 흐르는 물을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수 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관의 상기 플로팅부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관 내부로 흐르는 물을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수 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수차단부는 복수의 차단판이 중첩되어 상기 배관의 통로를 개폐하는 조리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배관으로 역류되는 유입수를 감지하여, 배관내의 결빙을 단시간내 해빙시켜 유입수를 원활하게 지하 배수관으로 흐르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배관으로 유입되는 유입수의 양을 조절 및 차단하여 배관에서 발생하는 역류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역류 감지 장치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플로팅부를 좀 더 상세하게 도시한 절개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도 1의 배관 역류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A-A' 단면도 이다.
도 5는 배관 역류 감지 장치를 통해 각층 유수차단부의 제어를 설명을 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차단부의 조리개부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과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역류 감지 장치(1)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역류 감지 장치(1)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플로팅부(200)를 좀 더 상세하게 도시한 절개 평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역류 감지 장치(1)는 배관(10)의 내측에 고정된 감지부(100)에 플로팅부(200)가 슬라이딩 이동되어 배관(10)으로 역류되는 유입수를 조기에 감지 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배관 역류 감지 장치(1)는 물보다 비중이 작은 재질로 형성되어 배관(10) 내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플로팅부(200) 및 배관(10)의 일측에 설치되어 플로팅부(200)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100)를 포함하여, 유입수의 역류현상을 감지 할 수 있고, 역류현상에 대응되는 조치를 신속하게 취하여, 유입수가 배관(10)의 일단부로 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배관 역류 감지 장치(1)의 각 구성부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배관(10)은 일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지하 배수관과 연결되는 관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관(10)에 무선 주파수 식별 리더를 포함하는 감지부(100), 무선 주파수 식별 태그(211)를 포함하는 플로팅부(200), 플로팅부(200)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 스토퍼(11)와 제2 스토퍼(12), 배관 내의 결빙을 해소하는 결빙 해지부(300) 및 역류의 감지를 알리는 경보부(400)등이 설치 될 수 있다.
도면상으로 원통형의 배관(10)이 도시되어 있으나, 배관(10)의 형상이 이로써 한정될 것은 아니다. 배관(10)은 일단부와 타단부가 관통되는 관통형인 한 이와 다른 형상으로도 변형 될 수 있다.
감지부(100)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는 것으로서, 배관(10)의 내측에 밀착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00)는 제2 스토퍼(12)의 일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유입수의 유입 또는 역류현상에서도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감지부(100)는 무선 주파수 식별 리더를 포함하여 무선 정보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기준 범위 이내로 플로팅부(200)가 진입하게 되면, 플로팅부(200)의 위치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플로팅부(200)는 배관(1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제1 스토퍼(11)의 일면에 놓여 지며, 제1 스토퍼(11)에서부터 제2 스토퍼(12)까지 슬라이딩 이동을 하면서 감지부(100)에 무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플로팅부(200)는 태그부(210), 무선 주파수 식별 태그(211), 테두리부(220), 연결부(230) 및 배수홀(231)을 포함한다.
태그부(210)는 정보를 저장하는 집적회로 및 저장된 정보를 무선 송신하는 안테나가 포함된 무선 주파수 식별 태그(211)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태그부(210)는 플로팅부(200)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으며, 플로팅부(200)의 슬라이딩 이동의 이동중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무선 주파수 식별 태그(211)는 태그부(210)의 중앙에 설치되며, 건식 및 습식 환경에서 감지부(100)에 동일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주파수 식별 태그(211)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필요 없고 구조가 간단 하면서도 정보 송신 거리가 짧은 수동형 태그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무선주파수 식별 태그(211)가 수동형 태그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선 주파수 식별 태그(211)는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온도에 의한 데이터 교환 및 긴 가독 거리에서 데이터 교환을 할 수 있는 능동형 태그 방식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테두리부(220)는 배관(10)의 형상과 대응되게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는 공기로 가득 채워져 부력이 조성되어, 오수의 표면에 용이하게 부유할 수 있다. 또한, 테두리부(220)는 배관(10)내부에서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배관(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230)는 태그부(210)와 테두리부(220)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내부는 테두리부(220)와 마찬가지로 공기로 가득 채워져 부력이 조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230) 역시 테두리부(220)와 함께 오수 표면에서 용이하게 부유할 수 있다. 연결부(230)에 의해 연결된 테두리부(220)와 태그부(210)사이에는 배수홀(231)이 형성된다.
여기서, 배수홀(231)은 플로팅부(200)의 테두리부(220)와 태그부(210)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배수홀(231)은 연결부(230)를 경계로 하여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수홀(231)을 통해 배관(10)의 일단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입수는 플로팅부(200)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배관(10) 내부를 원활하게 흐를 수 있다.
즉, 태그부(210), 테두리부(220) 및 연결부(230)는 물로부터 방수가 가능하며, 물보다 비중이 작은 재질 즉, 폴리프로필렌 및 플라스틱 등의 재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테두리부(210) 및 연결부(230)의 부피를 크게 하여 부력의 크기를 크게 조성 함으로써, 오수를 따라 부유할 수 있다.
따라서, 플로팅부(200)는 오수의 상승에 따라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다.
여기서, 플로팅부(200)의 슬라이딩 이동은 제1 스토퍼(11) 및 제2 스토퍼(12)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제1 스토퍼(11) 및 제2 스토퍼(12)는 배관(10)의 내측에 슬라이딩 이동경로의 양단부에 적어도 하나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관(10) 내부에서 플로팅부(2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며, 플로팅부(200)가 배관(10)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결빙 해지부(300)는 배관(10)의 내측의 말단부 및 배관(10)의 외측에 열선을 포함하거나 열풍을 분사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열선을 포함하는 장치 및 열풍을 분사할 수 있는 장치는 배관(10)내의 오수의 결빙을 방지하거나 해빙을 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열선이 매입된 히터 등으로 형성되어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화시키도록 형성되거나, 팬이나 덕트 등을 포함하여 가열된 공기를 결빙된 부분에 주입시켜 결빙을 해지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빙 해지부(300)는 감지부(100)로부터 송신되는 감지신호를 통해 작동되어 배관(10)내의 결빙된 부분을 해소함으로써, 배관(10)의 일단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입수 및 배관(10)내 고여있는 오수를 지하 배수관으로 원활하게 흐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역류의 감지를 경보 하는 경보부(400)는 감지부(100)로부터 송신되는 감지 신호를 통해 경음 및 경광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켜, 배관(10)의 사용자에게 배관(10)내의 역류현상을 알릴 수 있다. 이러한 경보부(400)는 도면상으로 경보부(400)에서 발생되는 경음을 단시간 내 증폭시켜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배관(10) 내측에 도시 되었을 뿐,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경음, 경음 및 경광의 혼합 장치를 배관(10)의 내측 또는 외측 등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보부(400) 및 결빙 해지부(300)의 동작을 위한 감지부(100) 및 플로팅부(200)간에 무선 주파수 통신 및 유입수의 역류에 따른 플로팅부(200)의 슬라이딩 이동에 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배관 역류 감지 장치(1) 동작에 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명세서상에서 기준범위라 함은 배관(10)내의 유입수의 역류현상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일정 범위를 의미하며, 플로팅부(200)와 감지부(100)가 통신 가능한 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역류현상의 여부는 플로팅부(200)의 이동가능 거리(L1) 내에서 기준범위 이내(L2)의 거리 값으로 판단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거리 값은 특정한 값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배관(10)의 설치 장소 및 배관(10)의 주위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3 내지 도 4는 도 1의 배관 역류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A-A' 단면도 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외부의 유입수(화살표 참조)는 배관(10)의 개구된 일단면으로 유입되어, 지하 배수관(P)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유입수는 중력방향으로 하강하며, 플로팅부(200)의 배수홀(231)을통과 하면서 플로팅부(200)를 중력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테두리부(220)를 특별한 저항없이 제1 스토퍼(11)의 일 측면에 놓여 지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플로팅부(200)는 감지부(100)와 기준범위 이외의 거리가 유지되면서, 감지부(100)는 플로팅부(200)로부터 역류현상의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없거나 역류현상의 비 발생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아울러, 결빙 해소부(300) 및 경보부(400)도 역류현상의 비 발생에 대응되는 정보를 수신하며, 그에 대응되는 동작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배관(10)이 굴절되어 지하 배수관(P)과 연결된 배관(10) 굴절된 구간에 오수가 결빙되면 외부에서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유입수(화살표 참조)는 지하 배수관(P)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역류할 수 있다.
이때, 물보다 비중이 작은 플로팅부(200)는 슬라이딩 이동의 중심인 태그부(210)를 중심으로 오수의 상승에 따라 감지부(100)가 위치한 방향으로 제2의 스토퍼(12)에 제한 될 때까지 상승 이동을 하게 되면서, 기준범위 이내(L2)로 진입할 수 있다. 즉, 플로팅부(200)의 슬라이딩 이동은 오수의 상승과 함께 상승하며, 오수의 하강과 함께 하강된다. 오수의 상승에 따라 플로팅부(200)가 기준범위 이내(L2)로 진입하게 되면, 감지부(100)는 플로팅부(200)로 부터 역류현상의 발생에 관한 감지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아울러, 결빙 해소부(300) 및 경보부(400)도 역류현상의 발생에 대응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동작될 수 있다. 여기서 결빙 해소부(300)는 결빙을 해소 시키는 동작이 발생될 수 있으며, 경보부(400)는 경음 및 경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발생 할 수 있다.
따라서, 경보부(400)를 통해 배관(10)을 사용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유입수의 역류상황을 경보함으로써, 배관(10)사용자가 일정시간 배관(10)으로 유입수를 유입시키지 않도록 하여 오배수가 배관(10)의 개구부로 토출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결빙 해지부(300)의 작동을 통해 오배수를 역류시키는 주된 원인인 오수의 결빙을 해소시켜, 배관(10)의 개구부에서 유입되는 유입수를 지하 배수관(P)으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보부(400) 및 결빙 해지부(300)를 통해 배관(10)을 사용하는 모든 세대의 거주자들이 역류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참여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배관(10)으로부터 오배수의 역류현상 억제하는 방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배관 역류 감지 장치(1)를 통해 각층 유수 차단부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 차단부의 조리개부(500)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배관(10)내부에 있는 I/O 인터페이스(A), 건물(B) 외부에 위치한 중앙 관제 제어부(C) 및 건물(B)의 각층에 위치하는 각층 제어부(B1~Bn) 등을 통해 각층의 배관에 위치한 유수 차단부의 제어를 설명할 수 있다.
I/O 인터페이스(A)는 배관 역류 감지 장치(1)를 통해 입력된 역류 현상의 정보를 중앙 관제 제어부(C) 및 각층 제어부(B1~Bn)로 송신할 수 있다.
중앙 관제 제어부(C)는 배관 역류 감지 장치(1)와 각층의 제어부(B1~Bn)의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로서, I/O 인터페이스(A)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각층 제어부(B1~Bn)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떠한 오류로부터 건물(B)의 n층의 제어부(Bn)에서 I/0 인터페이스(A)의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여 n층의 제어부(Bn)가 동작하지 않을 시, 중앙 관제 제어부(C)에서 개별적으로 n층의 제어부(Bn)로 정보를 송신하여, n층의 제어부(Bn)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어방법은 중앙 관제실에 설치된 기존 망 즉, 인터폰 등의 통신망으로 사용하여 통신망의 재구축에 사용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도면상으로 중앙 관제 제어부(C)는 정보를 건물(B)의 각층에 위치하는 각층 제어부(B1~Bn)로만 송신할 수 있게 도시되어 있으나, 각층 제어부(B1~Bn)로만 전송할 수 있도록 한정될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각측의 차단판 제어부(D1~Dn)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보를 수신한 각층 제어부(B1~Bn)는 각층의 차단판 제어부(D1~Dn)를 제어하여, 유수 차단부의 개폐를 조절하는 장치로서, 유수 차단부와 10m 내외에서 저전력으로 무선 통신이 가능한 노드로 구성된 기술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ISM 주파수 대역을 사용 가능하면서 주파수 호핑 방식을 취하는 블루투스(Bluetooth) 등이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배관(10)의 플로팅부(200)의 상부에 형성된 유수 차단부의 조리개부(500)를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무선 통신을 통해 배관(10)을 사용하는 모든 세대의 거주자들이 역류현상의 억제를 위해 참여하게 되면서, 역류현상이 신속하게 제거되어, 역류현상으로 피해를 입은 거주자가 사라질 수 있는 효과 발생 될 수 있다. 또한, 고층의 세대와 저층의 세대간의 불화 및 갈등이 사라지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도 6의 유수 차단부의 조리개부(500)는 조리개의 테두리부(510) 및 차단판(520)을 포함하며, 배관(10)의 플로팅부(200) 상부에 형성되어 배관(10)의 통로를 개폐할 수 있다. 차단판(520)은 외부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통해 제어되어 개구부(501)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배관(10)내부로 흐르는 유입수의 유입 및 배관(10) 내부로부터 오수의 토출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차단판(520)은 조리개의 테두리부(510)로부터 좌우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하여 개구부(501)의 크기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차단판(520)은 일단부를 향해 너비가 점점 좁아지는 칼날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조리개의 테두리부(510)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차례로 배치될 수 있으며, 서로 인접한 하나와 다른 하나가 적어도 일부분 서로 중첩될 수 있다.나아가, 중첩된 차단판(520)의 사이에 물이 닿으면 차단판(520)간의 인력이 더욱 크게 형성되어 차단판(520)간 중첩된 부분이 더욱 조밀하게 중첩되어 중첩된 틈 사이로 유입수가 새지 않도록 고무 등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조리개의 테두리부(510)는 각층 건물의 배수관 및 배관(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배수관 및 배관(10)의 상부 표면과 평행하게 밀착되도록 설치될 수 있어, 배수관 및 배관(10)과 조리개의 테두리부(510) 틈 사이로 유입수가 유통되지 않을 수 있다.
더욱이, 조리개의 테두리부(510)의 내부에는 차단판(520)이 원활하게 좌우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롤러가 포함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도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배관 역류 감지 장치 10: 배관
11: 제1 스토퍼 12: 제2 스토퍼
100: 감지부 200: 플로팅부
210: 태그부 211: 무선 주파수 식별 태그
220: 테두리부 230: 연결부
231: 배수홀 300: 결빙 해소부
400: 경보부 500: 조리개부
510: 조리개의 테두리부 520: 차단판
L1: 플로팅부의 이동가능 거리 L2: 기준범위 이내

Claims (10)

  1. 배관 내측에 밀착되는 링 형상의 테두리부, 중앙에 무선 주파수 식별 태그가 위치하는 태그부, 상기 테두리부와 상기 태그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된 배수홀을 포함하되, 물보다 비중이 작은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배관의 내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플로팅부; 및
    상기 배관의 내측에 밀착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무선 주파수 식별 태그글 인식할 수 있는 무선 주파수 식별 리더를 포함하여 상기 플로팅부의 위치를 인식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배관 역류 감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내측에 상기 플로팅부의 이동 경로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플로팅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 스토퍼와 제2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배관 역류 감지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 받아 경음, 경광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는 배관 역류 감지 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배관 내부에 열을 가하여 상기 배관 내의 결빙을 해소하는 결빙 해소부를 더 포함하는 배관 역류 감지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결빙 해소부는 상기 배관 내측 또는 외측에 열선을 포함하거나, 상기 배관 내부에 열풍을 분사하는 배관 역류 감지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상기 플로팅부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관 내부로 흐르는 물을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수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배관 역류 감지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유수 차단부는 복수의 차단판이 중첩되어 상기 배관의 통로를 개폐하는 조리개부를 더 포함하는 배관 역류 잠지 장치.
KR20130067130A 2013-06-12 2013-06-12 배관 역류 감지 장치 KR101487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7130A KR101487502B1 (ko) 2013-06-12 2013-06-12 배관 역류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7130A KR101487502B1 (ko) 2013-06-12 2013-06-12 배관 역류 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243A KR20140145243A (ko) 2014-12-23
KR101487502B1 true KR101487502B1 (ko) 2015-01-29

Family

ID=52592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7130A KR101487502B1 (ko) 2013-06-12 2013-06-12 배관 역류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5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2371B1 (ko) * 2015-11-17 2016-05-18 주식회사 혜원까치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하수 배관의 역류방지 구조
KR20170123140A (ko) * 2016-04-28 2017-11-07 (주)송웅피엔텍 불소 제거용 수 처리 물질, 및 수 처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403B1 (ko) * 2020-04-07 2020-10-05 (주)에이티씨 능동형 악취 차단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4501U (ko) * 1996-12-10 1998-09-15 박병재 오일 레벨 점검 구조
JP2006098109A (ja) * 2004-09-28 2006-04-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浴槽水位検出装置
KR20060114770A (ko) * 2005-05-02 2006-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금속용기 및 광 감지센서 시스템을 갖는 케미컬 용액 저장장치
KR20130026139A (ko) * 2011-09-05 2013-03-13 손호인 배수관의 동파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4501U (ko) * 1996-12-10 1998-09-15 박병재 오일 레벨 점검 구조
JP2006098109A (ja) * 2004-09-28 2006-04-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浴槽水位検出装置
KR20060114770A (ko) * 2005-05-02 2006-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금속용기 및 광 감지센서 시스템을 갖는 케미컬 용액 저장장치
KR20130026139A (ko) * 2011-09-05 2013-03-13 손호인 배수관의 동파방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2371B1 (ko) * 2015-11-17 2016-05-18 주식회사 혜원까치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하수 배관의 역류방지 구조
KR20170123140A (ko) * 2016-04-28 2017-11-07 (주)송웅피엔텍 불소 제거용 수 처리 물질, 및 수 처리 시스템
KR101984359B1 (ko) * 2016-04-28 2019-09-03 (주)송웅피엔텍 불소 제거용 수 처리 물질, 및 수 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243A (ko) 2014-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5894B2 (en) Fluid backflow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ES2816999T3 (es) Dispositivo de detección de flujo
KR101487502B1 (ko) 배관 역류 감지 장치
US20150348395A1 (en) Pipe system, and pipe flow monitoring and alerting systems and methods
US10535246B2 (en) Sewer alarm apparatus having a probe
CN103890284A (zh) 建筑物用水安全设备
KR101441657B1 (ko) 다중경로 통신장치를 이용한 상 하수도 계측제어 시스템
CN206975804U (zh) 家用水警装置
US10533312B2 (en) Partial blockage detection using backwater valve
US20160069048A1 (en) Water flow control and supply system
JP2019206894A (ja) 排水システム
KR101542236B1 (ko) 부력을 이용하는 월류방지장치 및 운영방법
US20190195533A1 (en) Leak Detection System for Water Heaters
CN106123354B (zh) 基于智能混水器的流量监测系统及基于其的漏水监测方法
CN207079711U (zh) 堵塞报警防上溢功能的排水管
CN114207400A (zh) 泄漏检测器系统
JP2014074970A (ja) タンクの液漏等のお知らせ装置
KR101577963B1 (ko) 상수도 누수탐지장치
EP3204562B1 (en) Assembly of a sewer and a sewer blockage detection system
JP2009299308A (ja) 逆流防止構造及び排水施設
CN103234600A (zh) 一种基于传感器的小区水管道监测系统
KR101784398B1 (ko) 배관용 역류방지장치
CN104238535A (zh) 一种流体智能管理系统
US20170067232A1 (en) Water flow control and supply system
KR101990147B1 (ko) 유체 및 스팀용 디지털 에어벤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