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9589B1 - 역류도피장치 - Google Patents

역류도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589B1
KR102519589B1 KR1020220000292A KR20220000292A KR102519589B1 KR 102519589 B1 KR102519589 B1 KR 102519589B1 KR 1020220000292 A KR1020220000292 A KR 1020220000292A KR 20220000292 A KR20220000292 A KR 20220000292A KR 102519589 B1 KR102519589 B1 KR 102519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escape device
backflow
cell
branch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0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호
이종태
이혜정
이혜선
황기웅
Original Assignee
피피아이파이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피아이파이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피아이파이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0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5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역류도피장치는 배수관에 구비되는 지관의 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역류도피장치의 일 실시예는, 지관의 개방된 단부에 장착되고 지관과 연통되는 제1중공을 구비하는 바디, 바디의 단부에 배치되고, 제1중공에 장착되고, 제1중공과 연통되는 제2중공을 구비하는 패킹부, 바디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제1중공 및 제2중공을 개폐하는 캡부, 및 바디와 캡부에 장착되고, 캡부가 제1중공 및 제2중공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역류도피장치{BACKFLOW EVACUATION DEVICE}
본 발명은 역류도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관에 흐르는 물이 역류하는 경우에 역류하는 물을 배수관 외부로 배출하는 역류도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주거지, 빌딩 기타 건물에는 생활하수, 빗물 등의 하수를 하수처리시설 또는 저수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이 설치될 수 있다.
상수(city water)와는 달리, 하수에는 각종의 이물질이 함유될 수 있고, 이러한 이물질은 하수가 흐르는 배관의 내부에 쌓이거나 점착될 수 있다. 이로인해 배수관은 자주 막힐 수 있다.
배수관이 막히는 경우 배수관을 흐르는 하수는 역류할 수 있고, 건물로 하수가 유입될 수 있다. 특히 통상적으로 지하에 배치되는 배수관의 바로 위에 있는 건물의 1층에는 하수가 역류하여 피해를 입을 수 있다.
따라서, 배수관에서 역류가 발생하는 경우에 역류하는 하수가 건물 내부로 침투하지 않도록 하는 역류도피장치가 설치될 필요가 있다.
역류도피장치는 배수관에서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고, 배수관에서 물의 역류가 발생하면 배수관을 개방하여 역류하는 물을 배수관 외부로 배출하여 물이 건물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역류도피장치는 역류가 발생하는 경우에 역류하는 하수를 신속히 배수관 외부로 배출하도록 작동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역류도피장치는 물의 역류가 끝나면 신속히 배수관을 다시 폐쇄하여, 배수관의 사용에 지장이 없도록 하고, 사용자와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관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배수관에 물의 역류가 발생하는 경우에 신속히 배수관을 개방하여 역류하는 물을 배수관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역류도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관에서 물의 역류가 끝나면, 작업자의 별도의 작업이 없이 자동으로 신속히 배수관을 다시 폐쇄하는 구조를 가진 역류도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역류도피장치는 배수관에 구비되는 지관의 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역류도피장치의 일 실시예는, 지관의 개방된 단부에 장착되고 지관과 연통되는 제1중공을 구비하는 바디, 바디의 단부에 배치되고, 제1중공에 장착되고, 제1중공과 연통되는 제2중공을 구비하는 패킹부, 바디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제1중공 및 제2중공을 개폐하는 캡부, 및 바디와 캡부에 장착되고, 캡부가 제1중공 및 제2중공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는 단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캡부가 힌지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1힌지부를 포함하고, 캡부는 단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제1힌지부에 힌지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2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힌지부는, 바디의 단부에 돌출되는 제1셀, 및 제1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1셀의 돌출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셀과 제2셀은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되고, 한 쌍의 제2셀 각각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힌지부는, 캡부의 단부에 돌출되는 제1피스, 및 제1피스의 단부에 형성되고, 단면으로 보아 원호형상을 가지고, 제2셀에 힌지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2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캡부의 외면과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제1파트, 한 쌍으로 구비되고, 제2파트에 연결되고, 제2셀에 장착되는 제2파트, 제2파트의 단부에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바디의 외면과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제3파트, 및 캡부의 외면과 접촉하고, 한 쌍의 제1파트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4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파트는, 양 단부가 각각 제1파트와 제3파트에 연결되는 직선부, 및 직선부의 중앙에 직선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제1힌지부의 제2셀에 감기는 구간인 곡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관과 지관에 충진된 물이 설정된 개방압력 이상의 압력을 캡부에 가하면, 탄성부는, 제1파트와 제4파트에서 캡부에 의해 가압되고, 제3파트에서 바디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변형되어, 캡부를 개방하고, 캡부가 개방됨에 따라 배수관과 지관에 충진된 물은 역류도피장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개방압력이 설정된 값보다 작아지면, 탄성부가 캡부를 가압함으로써, 캡부는 지관을 폐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캡부는, 가장자리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제2힌지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가장자리에 탄성부의 제1파트와 제4파트가 장착되는 장착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배수관에서 물이 역류하여 설정된 개방압력 이상이 되면 역류도피장치는 신속히 캡부를 개방하여 역류하는 물을 배수관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역류하는 물이 건물로 침투하여 피해가 발생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배수관에서 물의 역류가 끝나면, 작업자의 별도의 작업이 없이 탄성부에 의해 역류도피장치가 자동으로 신속히 배수관을 다시 폐쇄하므로, 작업자에 의한 별도의 수작업없이 배수관으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사용자와 작업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역류도피장치의 패킹부에 의해 지관이 밀폐되므로, 지관의 단부로부터 악취가 배수관의 외부로 나오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역류도피장치는 소경부의 외측직경을 결합부재의 내측직경에 맞추기 위한 이음부재 등의 별도의 부품 또는 작업이 필요없이 편리하게 지관에 장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역류도피장치의 각 부품들은 서로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다. 따라서, 역류도피장치를 수리하거나, 각 부품을 교체하는 경우에 작업자에게 편리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도피장치가 지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도피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도피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도피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역류도피장치에서 캡부가 개방되어 물이 역류도피장치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배수관(10), 분기부(11), 지관(12)은 모두 배관이고 내부에 물이 흐르도록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배수관(10), 분기부(11), 지관(12)은 내부에 물이 흐르는 공간인 중공이 형성됨을 밝혀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도피장치(20)가 지관(12)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른 역류도피장치(20)는 배수관(10)에 구비되는 지관(12)의 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역류도피장치(20)를 장착하기 위해 배수관(10)에는 지관(12)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배수관(10)의 적절한 위치에 지관(12)이 형성되는 분기부(11)가 장착될 수 있다. 지관(12)은 상기 분기부(11)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관(12)은 길이방향이 상기 분기부(11)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지관(12)은 분기부(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관(12)과 분기부(11) 대체적으로 알파벳소문자 "y"의 형상을 가진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역류도피장치(20)는 지관(12)의 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배수관(10)에서 물이 역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역류도피장치(20)는 지관(12)을 폐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역류도피장치(20)를 지관(12)의 단부에 안정적으로 장착하기 위해 결합부재(13)가 구비될 수 있다. 결합부재(13)는 전체적으로 중공을 가진 링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13)는 지관(12)의 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결합부재(13)의 내측면에 역류도피장치(20)가 억지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역류도피장치(20)가 결합부재(13)에 고정적으로 결합되기 위해 역류도피장치(20)와 결합부재(13)는 서로 접착제에 의해 접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역류도피장치(20)의 구조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도피장치(2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도피장치(20)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도피장치(20)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역류도피장치(20)는 바디(100), 패킹부(200), 캡부(300), 탄성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00)는 상기 지관(12)의 개방된 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지관(12)과 연통되는 제1중공(110)을 구비될 수 있다.
바디(100)는 외측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소경부(101)와 외측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대경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경부(101)와 대경부(10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소경부(101)는 상기 결합부재(13)의 내측에 장착될 수 있다. 대경부(102)는 지관(12)의 단부로부터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배수관(10)에 결합하는 분기부(11)와 지관(12)의 크기는 규격화되고, 이에 따라 상기 지관(12)에 장착되는 결합부재(13)의 크기도 규격화되어 있다. 따라서, 역류도피장치(20)의 상기 소경부(101)의 외측직경도 상기 결합부재(13)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실시예에 따른 역류도피장치(20)는 소경부(101)의 외측직경을 결합부재(13)의 내측직경에 맞추기 위한 이음부재 등의 별도의 부품 또는 작업이 필요없이 편리하게 상기 지관(12)에 장착될 수 있다.
패킹부(200)는 상기 바디(100)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중공(110)에 장착되고, 상기 제1중공(110)과 연통되는 제2중공(21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패킹부(200)에는 후술하는 캡부(300)가 장착될 수 있다. 패킹부(200)는 바디(100)와 캡부(300) 사이에 장착되어 바디(100)와 캡부(300) 사이의 틈새를 밀폐할 수 있다. 따라서, 물이 역류하지 않는 경우에 패킹부(200)에 의해 역류도피장치(20)가 장착된 지관(12)은 밀폐될 수 있다.
패킹부(200)는 누수를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는 재질 예를 들어, 고무재질, 실리콘수지재질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역류도피장치(20)의 패킹부(200)에 의해 지관(12)이 밀폐되므로, 상기 지관(12)의 단부로부터 악취가 배수관(10)의 외부로 나오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캡부(300)는 상기 바디(100)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1중공(110) 및 상기 제2중공(210)을 개폐할 수 있다. 배수관(10)에서 물이 역류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캡부(300)는 상기 제1중공(110) 및 상기 제2중공(210)을 폐쇄하여 상기 지관(12)을 폐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관(12)의 단부로부터 악취가 배수관(10)의 외부로 나오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배수관(10)에서 물이 역류하여 상기 배수관(10)과 상기 지관(12)에 충진된 물이 설정된 개방압력 이상의 압력을 상기 캡부(300)에 가하면, 캡부(300)는 상기 바디(100)에 대하여 회전하여 개방되고, 역류하는 물은 역류도피장치(2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탄성부(400)는 상기 바디(100)와 상기 캡부(300)에 장착되고, 상기 캡부(300)가 상기 제1중공(110) 및 상기 제2중공(210)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배수관(10)에서 물이 역류하지 않는 경우에 탄성부(400)는 상기 캡부(300)를 가압하여 상기 지관(12)이 폐쇄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배수관(10)에서 물이 역류하여 상기 배수관(10)과 상기 지관(12)에 충진된 물이 설정된 개방압력 이상의 압력을 상기 캡부(300)에 가하면, 탄성부(400)는 탄성변형하고, 이에 따라 캡부(300)는 개방되고 역류하는 물은 역류도피장치(2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바디(100)는 단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캡부(300)가 힌지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1힌지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힌지부(120)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의 제1힌지부(120)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부(300)는 단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힌지부(120)에 힌지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2힌지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부(120)는 제1셀(121)과 제2셀(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셀(121)은 상기 바디(100)의 단부에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셀(122)은 상기 제1셀(12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셀(121)의 돌출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셀(121)과 상기 제2셀(122)은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되고, 한 쌍의 상기 제2셀(122) 각각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셀(122)은 서로 연결되지 않고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셀(122) 사이의 공간으로 탄성부(400)를 상기 제2셀(122)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제2힌지부(310)는 제1피스(311)와 제2피스(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피스(311)는 상기 캡부(300)의 단부에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피스(311)의 단부에 형성되고, 단면으로 보아 원호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셀(122)에 힌지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제2피스(312)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개방된 부분이 있고, 이러한 개방된 부분에서 상기 제1힌지부(120)의 제2셀(122)이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다.
전술한 구조로 인해, 캡부(300)는 바디(100)에 대하여 힌지회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기 제2힌지부(310)와 상기 제1힌지부(120)는 서로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다. 따라서, 캡부(300)가 바디(100)에 용이하게 착탈되므로 역류도피장치(20)는 분해와 조립이 용이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4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탄성부(400)는 탄성변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더라도 탄성복원력을 유지할 수 있는 재질 예를 들어, 금속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400)는 내부식성이 강한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강, 구리합금 재질 등으로 제작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탄성부(400)는 제1파트(410), 제2파트(420), 제3파트(430), 제4파트(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파트(410), 제2파트(420), 제3파트(430), 제4파트(44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파트(410), 제2파트(420), 제3파트(430), 제4파트(440)는 서로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따라서 탄성부(400)는 전체적으로 입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파트(410)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캡부(300)의 외면과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파트(420)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파트(420)에 연결되고, 상기 제2셀(122)에 장착될 수 있다.
제3파트(430)는 상기 제2파트(420)의 단부에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디(100)의 외면과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4파트(440)는 상기 캡부(300)의 외면과 접촉하고, 한 쌍의 상기 제1파트(410)의 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제3파트(430)는 바디(100)의 대경부(102)와 접촉하고, 상기 제2파트(420)로부터 절곡되므로, 탄성부(400)가 상기 바디(10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고, 캡부(300)가 상기 탄성부(40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면서 바디(100)에 대해 힌지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제2파트(420)는 직선부(421)와 곡선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직선부(421)는 양 단부가 각각 상기 제1파트(410)와 상기 제3파트(430)에 연결될 수 있다. 곡선부(422)는 상기 직선부(421)의 중앙에 상기 직선부(421)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힌지부(120)의 상기 제2셀(122)에 감기는 구간이 될 수 있다.
곡선부(422)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셀(122)의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상기 제2셀(122)에 용이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2셀(122)로부터 용이하게 탈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기 탄성부(400)는 바디(100)에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다.
캡부(300)는 가장자리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힌지부(31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가장자리에 상기 탄성부(400)의 상기 제1파트(410)와 상기 제4파트(440)가 장착되는 장착돌기(32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돌기(320)는 캡부(300)의 외측표면에 화살표 형성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돌기(320)의 가장자리에는 탄성부(400)의 제1파트(410)와 제4파트(440)가 억지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탄성부(400)의 제1파트(410)와 제4파트(440)는 장착돌기(320)에 타이트하게 결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탄성부(400)는 상기 캡부(300)에 안정적으로 장착되어 상기 캡부(300)에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캡부(300), 탄성부(400), 바디(100)의 조립은 다음을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먼저, 탄성부(400)의 곡선부(422)를 상기 캡부(300)의 제2셀(122)에 장착할 수 있다. 이때,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제2셀(122) 사이의 공간을 통해 한 쌍의 곡선부(422)를 상기 제2셀(122)에 끼워넣을 수 있다.
다음으로, 캡부(300)의 제2피스(312)를 탄성부(400)의 제1파트(410)와 제4파트(440) 사이의 공간에 끼우고, 다시 제2피스(312)를 제2셀(122)에 장착시킨다. 다음으로, 캡부(300)의 장착돌기(320)에 탄성부(400)의 제1파트(410)와 제4파트(440)를 장착하여 조립을 완료할 수 있다. 캡부(300), 탄성부(400), 바디(100)의 분해는 전술한 조립의 역순으로 진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역류도피장치(20)의 각 부품들은 서로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다. 따라서, 역류도피장치(20)를 수리하거나, 각 부품을 교체하는 경우에 작업자에게 편리할 수 있다.
도 9는 역류도피장치(20)에서 캡부(300)가 개방되어 물이 역류도피장치(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배수관(10)에서 물이 역류하지 않는 경우에는 캡부(300)가 물의 압력에 의해 가압되지 않으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류도피장치(20)는 지관(12)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배수관(10)에서 물이 역류하는 경우, 항상 캡부(300)가 개방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캡부(300)가 일정한 압력 이상으로 가압되는 경우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부(300)가 개방될 수 있다.
배수관(10)에서 물이 역류하면 상기 배수관(10)과 상기 지관(12)에 충진된 물이 압력을 발생시켜 캡부(300)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배수관(10)과 상기 지관(12)에 충진된 물이 설정된 개방압력 이상의 압력을 상기 캡부(300)에 가하면, 다음과 같이 캡부(300)가 개방될 수 있다.
탄성부(400)는 상기 제1파트(410)와 상기 제4파트(440)에서 상기 캡부(300)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제3파트(430)에서 상기 바디(100)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변형되어, 상기 캡부(300)를 개방할 수 있다.
탄성변형은 탄성부(400) 전체에서 발생할 수 있으나, 주로 직선부(421)와 곡선부(422)로 이루어진 제2파트(420)에서 현저하게 탄성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탄성부(400)가 탄성변형함에 따라 캡부(300)는 바디(100)에 대하여 힌지회전하여 개방될 수 있다.
개방압력은 배수관(10)과 지관(12)에 충진된 물이 압력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압력이 상기 탄성부(400)를 탄성변형시켜 상기 캡부(300)를 개방하는 순간의 값을 의미할 수 있다.
개방압력은 역류하는 물이 상기 배수관(10)의 상측에 위치하는 건물 내부로 침투하지 않을 때의 상기 역류도피장치(20)에서 물이 캡부(300)에 가하는 압력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개방압력은 0.7±0.3kPa(게이지 압력)의 범위에서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개방압력의 설정은 상기 탄성부(400)의 재질, 크기, 형상 각 파트들의 굵기 등을 변화시켜 구현될 수 있다. 설정된 범위의 개방압력에 부합하는 탄성변형 값을 가지는 탄성부(400)는 예를 들어 실험과 시행착오를 거쳐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캡부(300)가 개방됨에 따라 상기 배수관(10)과 상기 지관(12)에 충진된 물은 상기 역류도피장치(2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역류하는 물은 역류도피장치(20)를 통해 배수관(10) 외부로 배출되고, 건물 내부로 침투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개방압력이 설정된 값보다 작아지면, 상기 탄성부(400)가 상기 캡부(300)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캡부(300)는 상기 지관(12)을 폐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방압력이 설정된 값보다 작아지면, 배관에서 물의 역류가 끝나거나, 적어도 건물 내부로 물이 침투하지 않을 정도로 배수관(10)과 지관(12)의 압력이 낮아진 상태가 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개방압력이 설정된 값보다 작아지면, 탄성부(400)의 복원력에 의해 캡부(300)는 다시 폐쇄되고, 작업자가 원상회복을 위한 별도의 수작업이 없이 자동적으로 지관(12)이 폐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배수관(10)에서 물이 역류하여 설정된 개방압력 이상이 되면 역류도피장치(20)는 신속히 캡부(300)를 개방하여 역류하는 물을 배수관(10)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역류하는 물이 건물로 침투하여 피해가 발생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배수관(10)에서 물의 역류가 끝나면, 작업자의 별도의 작업이 없이 탄성부(400)에 의해 역류도피장치(20)가 자동으로 신속히 배수관(10)을 다시 폐쇄하므로, 작업자에 의한 별도의 수작업 없이 배수관(10)으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사용자와 작업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배수관
11: 분기부
12: 지관
13: 결합부재
20: 역류도피장치
100: 바디
110: 제1중공
101: 소경부
102: 대경부
120: 제1힌지부
121: 제1셀
122: 제2셀
200: 패킹부
210: 제2중공
300: 캡부
310: 제2힌지부
311: 제1피스
312: 제2피스
320: 장착돌기
400: 탄성부
410: 제1파트
420: 제2파트
421: 직선부
422: 곡선부
430: 제3파트
440: 제4파트

Claims (10)

  1. 배수관에 구비되는 지관의 단부에 장착되는 역류도피장치에 있어서,
    상기 역류도피장치는,
    상기 지관의 개방된 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지관과 연통되는 제1중공을 구비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중공에 장착되고, 상기 제1중공과 연통되는 제2중공을 구비하는 패킹부;
    상기 바디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1중공 및 상기 제2중공을 개폐하는 캡부; 및
    상기 바디와 상기 캡부에 장착되고, 상기 캡부가 상기 제1중공 및 상기 제2중공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탄성부
    를 포함하고,
    상기 캡부는 가장자리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가 장착되는 장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돌기는 상기 캡부의 외측표면에 화살표 형상으로 돌출되고, 가장자리에 상기 탄성부가 억지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하는,
    역류도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단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캡부가 힌지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1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부는 단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힌지부에 힌지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2힌지부를 포함하는,
    역류도피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부는,
    상기 바디의 단부에 돌출되는 제1셀; 및
    상기 제1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셀의 돌출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셀
    을 포함하는,
    역류도피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셀과 상기 제2셀은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되고,
    한 쌍의 상기 제2셀 각각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역류도피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힌지부는,
    상기 캡부의 단부에 돌출되는 제1피스; 및
    상기 제1피스의 단부에 형성되고, 단면으로 보아 원호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셀에 힌지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2피스
    를 포함하는,
    역류도피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캡부의 외면과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제1파트;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파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2셀에 장착되는 제2파트;
    상기 제2파트의 단부에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외면과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제3파트; 및
    상기 캡부의 외면과 접촉하고, 한 쌍의 상기 제1파트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4파트
    를 포함하는,
    역류도피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파트는,
    양 단부가 각각 상기 제1파트와 상기 제3파트에 연결되는 직선부; 및
    상기 직선부의 중앙에 상기 직선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상기 제1힌지부의 상기 제2셀에 감기는 구간인 곡선부
    를 포함하는,
    역류도피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과 상기 지관에 충진된 물이 설정된 개방압력 이상의 압력을 상기 캡부에 가하면,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파트와 상기 제4파트에서 상기 캡부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제3파트에서 상기 바디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변형되어, 상기 캡부를 개방하고,
    상기 캡부가 개방됨에 따라 상기 배수관과 상기 지관에 충진된 물은 상기 역류도피장치 외부로 배출되는,
    역류도피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압력이 설정된 값보다 작아지면, 상기 탄성부가 상기 캡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캡부는 상기 지관을 폐쇄하도록 구비되는,
    역류도피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돌기는,
    상기 제2힌지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가장자리에 상기 탄성부의 상기 제1파트와 상기 제4파트가 장착되는,
    역류도피장치.
KR1020220000292A 2022-01-03 2022-01-03 역류도피장치 KR102519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292A KR102519589B1 (ko) 2022-01-03 2022-01-03 역류도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292A KR102519589B1 (ko) 2022-01-03 2022-01-03 역류도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9589B1 true KR102519589B1 (ko) 2023-04-10

Family

ID=85984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292A KR102519589B1 (ko) 2022-01-03 2022-01-03 역류도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958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0105A (ja) * 2003-12-08 2005-06-30 Piolax Inc 燃料逆流防止弁
KR200395195Y1 (ko) * 2005-06-23 2005-09-07 주식회사 효성케미칼 배수트랩용 종단관의 개선구조
JP2006206042A (ja) * 2005-01-31 2006-08-10 Kautex Textron Gmbh & Co Kg 吐出側連結管
KR20100065853A (ko) * 2008-12-09 2010-06-17 로얄앤컴퍼니 주식회사 자동퇴수밸브장치
KR101622371B1 (ko) * 2015-11-17 2016-05-18 주식회사 혜원까치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하수 배관의 역류방지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0105A (ja) * 2003-12-08 2005-06-30 Piolax Inc 燃料逆流防止弁
JP2006206042A (ja) * 2005-01-31 2006-08-10 Kautex Textron Gmbh & Co Kg 吐出側連結管
KR200395195Y1 (ko) * 2005-06-23 2005-09-07 주식회사 효성케미칼 배수트랩용 종단관의 개선구조
KR20100065853A (ko) * 2008-12-09 2010-06-17 로얄앤컴퍼니 주식회사 자동퇴수밸브장치
KR101622371B1 (ko) * 2015-11-17 2016-05-18 주식회사 혜원까치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하수 배관의 역류방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6765B2 (en) Living-hinge air vent valve
KR100915632B1 (ko) 하수구 악취 방지장치
KR102519589B1 (ko) 역류도피장치
AU2018274852A1 (en) Expanding gate valve assembly with pressure equalization system
KR200396193Y1 (ko) 덮개형 하수역류방지구
US9273453B2 (en) Drain clean-out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JP3768329B2 (ja) サドル付き分水栓
KR200146543Y1 (ko) 세탁기의 세탁수 역류방지장치
KR200403479Y1 (ko) 소방용 연결송수구.
KR20110075750A (ko) 알람밸브
CN212538024U (zh) 一种底座结构及空调器
KR100637608B1 (ko) 신도시 하수관의 역류방지장치
KR19990035530U (ko) 하수처리 차집관로의 우수토실 자동개폐장치.
KR200318885Y1 (ko) 플랩 밸브의 기밀 구조
KR200254819Y1 (ko) 플레이트 바텀 볼밸브
JP2001330184A (ja) 通液管用継手及びこれに使用されるリングパッキン
TWI795319B (zh) 真空破除閥
KR200360809Y1 (ko) 소방용 연결송수구
US20170284075A1 (en) Flush System for a Toilet
KR200165916Y1 (ko) 하수배관용 체크밸브
KR200201079Y1 (ko) 맨홀 방수용 러버 씰의 구조
KR0134506Y1 (ko) 수전기에 부착사용하는 지레의 원리를 이용한 지수장치기
KR20080109400A (ko) 배수관용 악취차단장치
JPH0319645Y2 (ko)
JPH05171674A (ja) 既設管きょの更生工法及び既設管きょ端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