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9647B1 - 철관 절단 장치 - Google Patents

철관 절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9647B1
KR102529647B1 KR1020210008731A KR20210008731A KR102529647B1 KR 102529647 B1 KR102529647 B1 KR 102529647B1 KR 1020210008731 A KR1020210008731 A KR 1020210008731A KR 20210008731 A KR20210008731 A KR 20210008731A KR 102529647 B1 KR102529647 B1 KR 102529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iron pipe
frame
plate
s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5857A (ko
Inventor
김병진
Original Assignee
김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진 filed Critical 김병진
Priority to KR1020210008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647B1/ko
Publication of KR20220105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21/00Machines or devices for shearing or cutting tubes
    • B23D21/14Machines or devices for shearing or cutting tubes cutting inside the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21/00Machines or devices for shearing or cutting tubes
    • B23D21/04Tube-severing machines with rotating tool-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3/00Accessorie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 B23D33/02Arrangements for holding, guiding, and/or feeding work during the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rning (AREA)
  • Accessories And Tools For Shearing Machines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편한 조작으로 철관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구현한 철관 절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피절단물인 철관을 회전시키면서 절단하는 철관 절단부; 상기 철관 절단부에 의한 절단 공정이 시작되면 승강되어 상기 철관의 하측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철관 지지부; 및 상기 철관이 상기 철관 절단부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철관의 하측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철관 이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철관 절단 장치{STEEL PIPE CUTTING DEVICE}
본 발명은 철관 절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편한 조작으로 철재 강관(즉, 철관)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구현한 철관 절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계식의 강관절단장치는 절단하려고 하는 강관의 상단에 설치하는 구동기구와, 이 구동 기구의 회전축에 연결축을 통해 연결하여 강관내에서 회전시키는 절단기로 이루어지며, 절단기는 프레임의 전단에 칼날을 회전가능하게 부착하고, 그 프레임의 후단쪽에 링크기구를 통하여 반력용 롤러를 설치하고, 프레임에 설치한 유압실린더에서 반력용 롤러로 강관의 내주면을 압압함으로써 전진한 칼날을 강관의 내주면에 밀어붙이고, 이 상태에서 정단기 전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칼날로 강관을 밀어자르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절단기에 유압실린더를 사용하면, 구동기구와 절단기의 사이에 연결축을 따라 유압의 배관을 설치할 필요가 있으며, 이 배관은 개수가 많아지면 강관에 대한 절단장치의 세트작업 등의 방해가 되거나 번잡하게 되므로, 유압실린더에 단동식의 것을 사용하여 배관을 1 개로 하는 것이 좋다.
종래 사용되고 있는 단동식의 유압실린더는 실린더내에 복동용의 스프링을 조립해넣고, 실린더의 신장운동은 유압의 공급에 의하여 행함과 동시에, 수축은 스프링의 힘에 의하여 행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강관절단장치는 강관상에 설치한 구동기구를 그 회전축이 강관과 동축심 상태로 되도록 위치결정한 상태에서 강관에 고정화하고, 절단기와 함께 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구동기구에 강관을 유압실린더에서 단단히 지지하는 척기구를 설치하고 있으나, 종래의 척기구의 유압실린더는 독립된 유압회로에서 억제하도록 하고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0390088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00691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피절단물인 철관의 절단 공정 도중에 철관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측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또한 지지 장치와는 별도로 구비된 이송 장치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철관을 절단 장치가 있는 위치까지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간편한 조작으로 철관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구현한 철관 절단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관 절단 장치는, 피절단물인 철관을 회전시키면서 절단하는 철관 절단부; 상기 철관 절단부에 의한 절단 공정이 시작되면 승강되어 상기 철관의 하측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철관 지지부; 및 상기 철관이 상기 철관 절단부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철관의 하측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철관 이송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철관 절단부는, 물림척 바디; 상기 물림척 바디에 고정되고, 상기 철관을 고정 및 회전시키는 물림척; 상기 철관의 절단 속도에 따라 철관을 회전시키는 물림척 회전부; 상기 물림척의 일측에 결합되는 이송 베드; 상기 이송 베드에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철관의 크기에 따라 이동되는 이송 구동부; 및 상기 물림척의 양측에 상기 이송 구동부에 의해 왕복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좌/우측 이송 유닛과, 상기 좌/우측 이송 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철관을 양쪽에서 절단하는 원형 커터를 구비하는 커팅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철관 지지부는, 내측에 상기 철관의 하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일측 및 타측이 상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안착 프레임; 상기 철관의 곡률에 대응하는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안착 프레임의 상부 일측 및 타측의 각 내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안착 프레임의 내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철관의 하부 일측 및 타측을 지지하는 두 개의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측과 상기 안착 프레임의 내측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을 지지하는 두 개의 프레임 지지부; 상기 안착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철관 절단부에 의한 절단 공정이 시작되면 상기 안착 프레임을 승강시켜 주고, 상기 철관 절단부에 의한 절단 공정이 끝나면 상기 안착 프레임을 다시 하강시켜 주는 승하강 실린더; "+" 형태로 형성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부에 상기 승하강 실린더가 설치되는 바닥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철관의 회전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측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연결 설치되는 다수 개의 철관 회전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 지지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측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상기 안착 프레임의 내측에 안착되며, 상측에 상기 상부 지지대가 안착되는 하부 지지대; 하측이 상기 하부 지지대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 지지대의 내측 전단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를 지지하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 및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하측이 상기 하부 지지대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 지지대의 내측 후단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를 지지하는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지지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하부홈;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지지대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홈 마다 설치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의 상측에 안착되는 간격 지지 탄성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 전단보다 하측 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제동 프레임; 및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으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제동 프레임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가 형성되도록 하측 후단보다 하측 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제동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지지대는, 상측에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본체;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제1 상하 관통홈; 상기 제2 제동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제2 상하 관통홀;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의 내측 전단에 형성되는 제1 설치 공간; 및 상기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설치 공간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 본체의 내측 후단에 형성되는 제2 설치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설치 공간은,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상하 높이가 줄어드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는,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는 제1 스프라켓;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전단 하측에 설치되는 제2 스프라켓;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후단 하측에 설치되는 제3 스프라켓; 상기 제1 스프라켓, 상기 제2 스프라켓 및 상기 제2 스프라켓을 따라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스프라켓 및 상기 제2 스프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하측이 상기 지지 본체의 하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지지 본체를 지지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지지 본체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안착 프레임의 내측면과의 밀찰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벨트; 상기 구동 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의 하측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의 하측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각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설치 공간에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이 하강하면 상기 구동 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제동 프레임과 밀착되어 상기 구동 벨트의 회전을 제동시키는 제동 플레이트; 및 상기 구동 벨트의 회전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 벨트의 전단과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전단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동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 지지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측과 상기 안착 프레임의 내측 사이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격벽, 제2 격벽 및 제3 격벽에 의해 제1 공간, 제2 공간, 제3 공간 및 제4 공간으로 구획되는 박스형 케이스;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측을 지지하며, 전단 하측이 상기 제1 공간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지지부; "∪" 형태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안착 프레임의 내측에 안착되며, 전단 상측이 상기 제2 공간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상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부;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측을 지지하며, 전단 하측이 상기 제3 공간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3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3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3 지지부; 및 상기 제1 격벽,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3 격벽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박스형 케이스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각 전단이 체결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박스형 케이스에서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각 전단을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간격조절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간격조절볼트에 의해 전단 하측이 후단 방향으로 이동되어 후단과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하 높이가 증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간격조절볼트는, 상기 박스형 케이스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되, 상기 제1 격벽,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3 격벽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외측면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는 볼트 본체;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고정 원판;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고정 원판; 및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3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3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3 고정 원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철관 이송부는, 상기 철관의 이동 방향과 직각이 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받침 프레임; 각 일단이 서로 대향하면서 상기 받침 프레임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각 타단이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승강되는 두 개의 철관 받침대; 상기 철관의 이송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철관 받침대의 각 타단 상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철관의 하부 일측 및 타측을 지지하는 두 개의 이송 롤러; 상기 철관 받침대의 각 타단 하측과 상기 받침 프레임의 상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철관 받침대의 각 타단을 지지하는 두 개의 받침대 지지부; 및 상기 받침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받침대 지지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철관 받침대의 하측을 지지하는 받침 플레이트;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받침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받침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철관 받침대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회동형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동형 완충부는, 하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U"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하측에 상부 전단 및 후단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하측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철관 받침대의 움직임에 따라 하측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되는 제1 아치형 지지대;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2 아치형 지지대;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로부터 이격되어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3 아치형 지지대; 및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안착되는 지지대 연결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의 하부 전단 및 후단, 그리고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의 하부 전단 및 후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단부 안착 공간이 내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부 안착 공간은,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 및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의 단부에 형성되는 원판 형태의 원형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원형 플레이트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단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원형 플레이트는, 상기 단부 안착 공간의 중앙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상부 지지 탄성체와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탄성체에 의해 상측 및 하측이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대 연결 링크는,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 블록;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대향하며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2 고정 블록; 및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상기 제2 고정 블록 사이의 이격 공간에 해당하는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에 안착되며,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체결핀이 상기 제1 고정 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고,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제2 체결핀이 상기 제1 고정 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가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함에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상기 제2 고정 블록을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의 내주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홈에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둥글게 형성되는 하측면을 따라 가이드 돌기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 돌기를 사이에 두고 하측면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다수 개의 롤라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피절단물인 철관의 절단 공정 도중에 철관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측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또한 지지 장치와는 별도로 구비된 이송 장치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철관을 절단 장치가 있는 위치까지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간편한 조작으로 철관을 용이하게 절단하도록 하여 절단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관 절단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철관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철관 이송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도 2의 프레임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프레임 지지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간격조절볼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6의 제1 지지부의 지지 구조 조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6의 프레임 지지부의 지지 높이 조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4의 받침대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하부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의 지지대 연결 링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도 13의 슬라이딩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7 및 도 18은 도 1의 프레임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9는 도 17의 상부 지지대와 해부 지지대 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17의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관 절단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관 절단 장치(10)는, 철관 절단부(10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철관 지지부(20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철관 이송부(300)를 포함한다.
철관 절단부(100)는, 철관 이송부(300)를 통해 전달된 피절단물인 철관(C)을 회전시키면서 절단한다.
일 실시예에서, 철관 절단부(100)는, 물림척 바디(110), 물림척(120), 물림척 회전부(130), 이송 베드(140), 이송 구동부(150), 및 커팅장치(16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림척 바디(110)는, 철관 절단부(100)의 몸통을 형성한다.
물림척 바디(110)의 하면에는 바퀴(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대형 강관 절단기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물림척 바디(110)의 상측에는 철관(C)이 고정 및 회전될 수 있도록 물림척(12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물림척 바디(110)에는 이송 구동부(150)의 구동모터(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등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구동 스위치 박스(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었다.
또한, 물림척 바디(110)에는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철관(C)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한 강관 회전속도 조절기(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속도조절 스위치(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함에 의해 아래에서 설명할 물림척 회전부(130)의 구동을 제어하여 강관의 회전 속도를 조절한다.
즉, 철관(C)의 크기에 따라 철관(C)의 지름이 달라지므로, 강관회전속도 조절기는 철관(C)의 지름에 따라 회전속도가 가감되도록 한다.
물림척(120)은, 물림척 바디(110)에 고정되고, 철관(C)을 고정 및 회전시킨다.
물림척(120)에는 원형의 삽입홀 강관회전속도 조절기(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었으며, 철관(C)의 외주면을 조여줌에 따라 철관(C)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수 개의 고정편 강관회전속도 조절기가 물림척(120)의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었다.
이때, 물림척(120)의 내부에는 삽입홀의 둘레를 따라 고정 기어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고, 고정 기어부에는 고정편(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들이 치합 설치되어, 렌치와 같은 공구에 의해 조작됨에 따라 고정편들이 삽입홀의 내측으로 이동되거나 또는 삽입홀의 외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철관(C)의 외경에 따라 고정편들을 이동시킴으로써 철관(C)이 물림척(120)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물림척(120)의 타측에는 물림척(12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물림척 회전부가(130)를 설치하되, 물림척(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원형의 회전 기어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와, 회전 기어부와 맞물리도록 형성된 피니언(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과, 회전 모터(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가 결합 설치되었다.
물림척 회전부(130)는, 철관(C)의 절단 속도에 따라 철관이 회전되도록 물림척 바디(110) 및 물림척(120)의 구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원형 커터(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가 철관(C)을 1초당 1mm 절삭하는 경우, 물림척 바디(110) 및 물림척(120)은, 물림척 회전부(130)의 구동 제어에 의해 철관(C)의 외주면이 1초당 1mm 정도 회전될 수 있도록 철관(C)을 회전시킨다.
이때, 회전 기어부와 피니언의 기어비는 회전 모터의 회전속도 및 철관(C)의 절삭 속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물림척 회전부(130)에는, 물림척 바디(110)의 회전 모터를 구동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는 강관회전 스위치를 족답형으로 설치하여 사용자가 발로 전원 공급을 차단하거나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나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송 베드(140)는, 물림척(120)의 일측에 결합된다.
이송 구동부(150)는, 이송 베드(140)에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어 철관(C)의 크기에 따라 이동된다.
각 좌/우측 이송유닛가 결합 구성된 양측의 각 이송 구동부(150)에는 원형 커터를 고정 설치한 커팅장치(160)가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원형 커터가 철관(C)의 양측을 동시에 절단하므로, 철관(C)이 반바퀴만 회전되면, 철관(C)이 완전히 절단된다. 결국, 철관(C)이 회전되면서 절단되지만 종래와 같이 철관(C)이 360° 내지 수십회 회전되지 않고 반바퀴(180°회전)만 회전되면 철관(C)이 완전히 절단된다.
또한, 이송 구동부(150)가 1개의 이송 유닛으로만 구성되는 경우, 철관(C)이 대략 한 바퀴(대략 360°) 회전되면 철관(C)이 완전히 절단된다.
각 좌/우측 이송 유닛(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은, 이송 베드(140)에 설치되는 이송 로드와, 이송 로드에 왕복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모터(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와, 구동모터(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와 커팅장치(160) 사이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매개하는 기어박스(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와 연관되어 결합 구성되어 있다.
이송 로드의 일측과 타측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선형 그루브(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또는 나선형 리브가 형성되는 구조이다(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따라서, 이송 로드가 일측으로 회전되는 경우, 한 쌍의 나선형 그루브 또는 나선형 리브는 구동모터를 철관(C) 측으로 이송시킨다.
또한, 이송 로드가 타측으로 회전되는 경우, 한 쌍의 나선형 그루브 또는 나선형 리브는 구동모터를 철관(C)의 반대측으로 이송시킨다.
이송 로드의 끝단부에는 이송 로드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이송 핸들(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잡고 돌리면 이송 로드가 회전되게 된다.
이때, 구동모터 또는 기어박스의 하측에는 이송 로드의 나선형 그루브 또는 나선형 돌기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결합편(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하였다.
커팅장치(160)는, 물림척(120)의 양측에 이송 구동부에 의해 왕복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좌/우측 이송 유닛(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과, 좌/우측 이송 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철관(C)을 양쪽에서 절단하는 원형 커터(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커팅장치(160)는 기어박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과, 회전축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철관(C)을 절단하도록 둘레에 절단용 톱니가 형성된 원형 커터를 형성하였다.
회전축부의 일측에는 기어박스의 기어에 축결합되도록 나사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하여 기어박스의 기어에 조여질 수 있도록 조임링(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하였다.
또한, 회전축의 타측에는 6각너트와 와셔 역할용 너트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가 일체로 형성되며, 너트부에 연장되어 형성된 삽입부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원형 커터(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와셔(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및 너트(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가 체결되어 결합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원형 커터를 분리할 때에는 너트부를 렌치로 고정시키고, 너트를 풀어 와셔를 빼낸 후 회전축의 삽입부에서 원형 커터를 빼낸다. 그리고, 원형 커터를 조립할 때에는, 회전축의 삽입부에 원형 커터를 끼운 후 와셔와 너트를 조립한다.
철관 지지부(200)는, 철관 절단부(100)에 의한 절단 공정이 시작되면 승강되어 철관(C)의 하측을 지지한다.
철관 이송부(300)는, 철관(C)이 철관 절단부(100)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철관(C)의 하측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관 절단 장치(10)는, 철관 지지부(200)를 이용하여 피절단물인 철관(C)의 절단 공정 도중에 철관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측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또한 철관 지지부(200)와는 별도로 구비된 철관 이송부(300)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C)을 철관 절단부(100)가 있는 위치까지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간편한 조작으로 철관(C)을 용이하게 절단하도록 하여 절단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철관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철관 지지부(200)는, 안착 프레임(210), 두 개의 지지 프레임(220), 두 개의 프레임 지지부(230), 승하강 실린더(240), 바닥 플레이트(250) 및 철관 회전 롤러(260)를 포함한다.
안착 프레임(210)은, 내측에 철관(C)의 하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일측 및 타측이 상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승하강 실린더(240)에 의해 지지되며, 내측에 두 개의 지지 프레임(220)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지지 프레임(2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관(C)의 곡률에 대응하는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프레임 지지부(230)에 의해 하직이 지지되며, 안착 프레임(210)의 상부 일측 및 타측의 각 내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안착 프레임(210)의 내측에 안착되어 있는 철관(C)의 하부 일측 및 타측을 지지한다.
프레임 지지부(230)는, 지지 프레임(220)의 하측과 안착 프레임(210)의 내측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 프레임(220)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안착 프레임(210)은, 프레임 지지부(230)을 지지하는 면이 지지 프레임(220)으로부터 멀어지지 아니하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220)의 하측과 대향하는 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승하강 실린더(240)는, 안착 프레임(210)의 하측에 설치되어 철관 절단부(100)에 의한 절단 공정이 시작되면 상부에 연결 설치되는 실린더 로드(240a)를 신장시켜 안착 프레임(210)을 승강시켜 주고, 철관 절단부(100)에 의한 절단 공정이 끝나면 안착 프레임(210)을 다시 하강시켜 철관(C)이 철관 이송부(300)에 안착되도록 한다.
바닥 플레이트(250)는, "+" 형태로 형성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부에 승하강 실린더(240)가 설치된다.
철관 회전 롤러(260)는, 철관 절단부(100)에 의한 절단 공정이 수행되는 도중에 지지 프레임(220)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철관(C)의 회전을 유도할 수 있도록 지지 프레임(220)의 상측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연결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철관 지지부(200)는, 철관 절단부(100)에 의한 철관(C)의 절단을 위해 철관(C)이 회전되는 경우 있어서 철관(C)을 들어올리는 동시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함으로써, 철관 절단부(100)에 의한 회전 로드를 감소시켜 주고 부드러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절단 공정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철관 이송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철관 이송부(300)는, 받침 프레임(310), 두 개의 철관 받침대(320), 두 개의 이송 롤러(330), 두 개의 받침대 지지부(340) 및 프레임 지지대(350)를 포함한다.
받침 프레임(310)은, 철관(C)의 이동 방향과 직각이 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프레임 지지대(350)에 의해 지지된다.
철관 받침대(320)는, 각 일단이 서로 대향하면서 받침 프레임(310)의 상부(311)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각 타단이 받침대 지지부(340)에 의해 지지되어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승강된다.
이송 롤러(330)는, 철관(C)의 이송을 유도할 수 있도록 철관 받침대(320)의 각 타단 상측에 연결 설치되어 철관(C)의 하부 일측 및 타측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송 롤러(330)는, 자력으로 회전되어 철관(C)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전기 모터(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거나, 사용자가 철관(C)을 이동시킴에 따라 회전되어 단순히 철관(C)과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이동이 유도되도록 할 수 있다.
받침대 지지부(340)는, 철관 받침대(320)의 각 타단 하측과 받침 프레임(310)의 상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철관 받침대(320)의 각 타단을 지지한다.
프레임 지지대(350)는, 받침 프레임(310)의 하측에 설치되어 받침 프레임(310)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 지지대(350)는, 상술한 승하강 실린더(240)와 마찬가지로 상부에 연결 설치되는 지지대 로드(350a)를 신장 또는 수축시킴에 따라 받침 프레임(310)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줄 수 있으며 하측에 설치되는 받침대(350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철관 이송부(300)는, 철관 절단부(100) 방향으로 전달되는 철관(C)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대로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철관(C)의 전달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철관(C)의 전달이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되도록 하여 철관(C)의 흔들림에 따른 철관 절단부(100) 등의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프레임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지지부(400)는, 박스형 케이스(410), 제1 지지부(420), 제2 지지부(430), 제3 지지부(440) 및 간격조절볼트(450)를 포함한다.
박스형 케이스(410)는, 내부 공간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격벽(411), 제2 격벽(412) 및 제3 격벽(413)에 의해 제1 공간(S1), 제2 공간(S2), 제3 공간(S3) 및 제4 공간(S4)으로 구획되며, 지지 프레임(220)의 하측과 안착 프레임(210)의 내측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지지부(420)는,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전단 하측이 제1 공간(S1)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414)를 통해 박스형 케이스(4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간격조절볼트(450)에 설치되어 제1 공간(S1)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421)이 박스형 케이스(410)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측이 지지 프레임(220)의 하측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지지 프레임(220)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지부(4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조절볼트(450)에 의해 전단 하측이 후단 방향으로 이동되어 후단과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하 높이가 증가될 수 있다.
제2 지지부(430)는, "∪" 형태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전단 상측이 제2 공간(S2)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 개구부(415)를 통해 박스형 케이스(4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간격조절볼트(450)에 설치되어 제2 공간(S2)에 안착되고, 후단 상측(431)이 박스형 케이스(410)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안착 프레임(210)의 내측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안착 프레임(210)의 내측에 안착된다.
제3 지지부(440)는,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전단 하측이 제3 공간(S3)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3 개구부(416)를 통해 박스형 케이스(4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간격조절볼트(450)에 설치되어 제3 공간(S3)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441)이 박스형 케이스(410)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측이 지지 프레임(220)의 하측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지지 프레임(220)을 지지한다.
간격조절볼트(450)는, 제1 격벽(411), 제2 격벽(412) 및 제3 격벽(413)에 의하여 지지되어 박스형 케이스(41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며, 제1 지지부(420), 제2 지지부(430), 및 제3 지지부(440)의 각 전단이 체결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박스형 케이스(410)에서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지지부(420), 제2 지지부(430), 및 제3 지지부(440)의 각 전단을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간격조절볼트(450)는, 볼트 본체(451), 한 쌍의 제1 고정 원판(452), 한 쌍의 제2 고정 원판(453) 및 한 쌍의 제3 고정 원판(454)을 포함할 수 있다.
볼트 본체(451)는, 박스형 케이스(41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되, 제1 격벽(411), 제2 격벽(412) 및 제3 격벽(413)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외측면을 따라 나사산(451a)을 형성한다.
한 쌍의 제1 고정 원판(452-1, 452-2)은, 볼트 본체(451)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1 지지부(420)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제1 지지부(420)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볼트 본체(451)에서 서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된다.
제2 고정 원판(453-1, 453-2)은, 볼트 본체(451)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2 지지부(430)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제2 지지부(430)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볼트 본체(451)에서 서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된다.
제3 고정 원판(454-1, 454-2)은, 볼트 본체(451)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3 지지부(440)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제3 지지부(440)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볼트 본체(451)에서 서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프레임 지지부(4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조절볼트(450)의 회전 정도에 따라 제1 지지부(420), 제2 지지부(430) 및 제3 지지부(440)에 의하여 지지되는 지지 프레임(220)의 하측과 안착 프레임(210) 사이의 이격 간격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지지 프레임(220)의 지지력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1은 도 4의 받침대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받침대 지지부(500)는, 받침 플레이트(510), 하부 플레이트(520) 및 회동형 완충부(53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받침 플레이트(510)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철관 받침대(320)의 하측을 지지하며, 회동형 완충부(530)에 의하여 지지된다.
하부 플레이트(520)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받침 프레임(310)의 상측에 설치되며, 회동형 완충부(530)에 의해 지지되는 받침 플레이트(51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플레이트(520)은, 받침 프레임(310)의 상측에 설치되고 철관 받침대(320)의 하측면과 평행을 이루는 상부면을 형성하는 받침대(310a)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회동형 완충부(530)는, 받침 플레이트(510)와 하부 플레이트(520)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받침 플레이트(510)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철관 받침대(320)의 움직임에 따라 받침 플레이트(510)를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받침 플레이트(5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회동형 완충부(530)는, 제1 아치형 지지대(531), 제2 아치형 지지대(532), 제3 아치형 지지대(533) 및 지지대 연결 링크(5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아치형 지지대(531)는, 하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U"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받침 플레이트(510)의 하측에 상부 전단 및 후단이 고정 설치되어 받침 플레이트(510)를 지지하고, 하측이 하부 플레이트(520)의 상측에 안착되며, 받침 플레이트(510)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철관 받침대(320)의 움직임에 따라 하측이 하부 플레이트(520)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된다.
제2 아치형 지지대(532)는,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하부 플레이트(52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된다.
제3 아치형 지지대(533)는, 제2 아치형 지지대(532)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아치형 지지대(531)를 사이에 두고 제2 아치형 지지대(532)로부터 이격되어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하부 플레이트(52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된다.
지지대 연결 링크(534)는, 제2 아치형 지지대(532)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제3 아치형 지지대(533)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제1 아치형 지지대(531)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안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받침대 지지부(500)는, 철관 받침대(32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각 구성들이 연결 관계를 통해 완충시켜 줌으로써, 철관(C)의 전달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철관(C)의 전달이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되도록 하여 철관(C)의 흔들림에 따른 철관 절단부(100) 등의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하부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하부 플레이트(520)는, 제2 아치형 지지대(532)의 하부 전단 및 후단, 그리고 제3 아치형 지지대(533)의 하부 전단 및 후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단부 안착 공간(540)이 내측에 각각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단부 안착 공간(540)은, 단부 안착 공간(540)에 안착되는 제2 아치형 지지대(5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533)의 각각의 단부에 형성되는 원판 형태의 원형 플레이트(535)가 안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원형 플레이트(535)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단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원형 플레이트(535)는, 단부 안착 공간(540)의 중앙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상부 지지 탄성체(T1)와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탄성체(T2)에 의해 상측 및 하측이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하부 플레이트(520)는, 제2 아치형 지지대(532) 또는 제3 아치형 지지대(533)가 제1 아치형 지지대(531)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제2 아치형 지지대(5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533)의 각각의 단부가 안착되어 움직이기 위한 공간인 단부 안착 공간(540)의 내측에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아치형 지지대(5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533)는, 일 단부 안착 공간(540)으로부터 다른 단부 안착 공간(540)으로 그 형상이 절곡되는 등과 같이 변형되면서 제1 아치형 지지대(531)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 또는 연성의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3은 도 11의 지지대 연결 링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지지대 연결 링크(534)는, 제1 고정 블록(5341), 제2 고정 블록(5342) 및 슬라이딩 블록(5343)을 포함한다.
제1 고정 블록(5341)은, 제2 아치형 지지대(532)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며, 슬라이딩 블록(5343)의 제1 체결핀(P1)에 연결 설치된다.
제2 고정 블록(5342)은, 제1 고정 블록(5341)과 대향하며 제3 아치형 지지대(533)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며, 슬라이딩 블록(5343)의 제2 체결핀(P2)에 연결 설치된다.
슬라이딩 블록(5343)은, 제1 고정 블록(5341)과 제2 고정 블록(5342) 사이의 이격 공간에 해당하는 제1 아치형 지지대(531)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에 안착되며,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체결핀(P1)이 제1 고정 블록(53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고,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제2 체결핀(P2)이 제1 고정 블록(53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아치형 지지대(531)가 받침 플레이트(510)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함에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고정 블록(5341)과 제2 고정 블록(5342)을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지지대 연결 링크(534)는, 제1 아치형 지지대(531)이 움직임에 따라 전단 또는 후단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딩 블록(5343)에 의해 제2 아치형 지지대(5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533)에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 블록(5341)과 제2 고정 블록(5342)이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2 아치형 지지대(5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533)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 줄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은 도 13의 슬라이딩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블록(5343)은, 제1 아치형 지지대(531)의 내주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홈(5311)에 안착되어 가이드홈(531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아치형 지지대(53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둥글게 형성되는 하측면을 따라 가이드 돌기(5344)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한다.
그리고, 슬라이딩 블록(5343)은, 제1 아치형 지지대(531)의 내주면과의 마찰력을 최소화시켜 줄 수 있도록 가이드 돌기(5344)를 사이에 두고 하측면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다수 개의 롤라(5345)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아치형 지지대(531)는, 제2 아치형 지지대(5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533)와는 달리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받침 플레이트(510)에 의한 가압에도 그 형상이 변하지 않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형상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 바퀴의 휠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지지대(5312)가 일측 및 다른 일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슬라이딩 블록(5343)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 플레이트(510)의 상측에 안착되는 철관 받침대(320)의 움직임에 따라 받침 플레이트(510)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제1 아치형 지지대(531)가 함께 회전할 경우, 받침 플레이트(510)가 평행한 경우의 안착 위치인 기준선(L)으로부터 제1 아치형 지지대(531)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도 4의 프레임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지지부(600)는, 상부 지지대(610), 하부 지지대(620),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630) 및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640)를 포함한다.
상부 지지대(610)는, 하부 지지대(62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측면이 지지 프레임(220)의 하측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지지 프레임(220)의 하측을 지지한다.
하부 지지대(620)는, 안착 프레임(210)과 지지 프레임(22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며, 상측에 상부 지지대(610)가 안착되며, 하부 전단에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630)가 설치되고, 하부 후단에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640)가 설치된다.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630)는,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640)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하측이 하부 지지대(620)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부 지지대(620)의 내측 전단에 안착되어 하부 지지대(620)를 지지하며, 안착 프레임(210)의 내측에 안착된다.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640)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630)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하측이 하부 지지대(620)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부 지지대(620)의 내측 후단에 안착되어 하부 지지대(620)를 지지하며, 안착 프레임(210)의 내측에 안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지지부(600)는, 지지 프레임(220)으로부터 상하 수직 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뿐만 아니라, 지지 프레임(220)으로부터 전달되는 경사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 역시 완충시켜 줌으로써, 회전하는 철관(C)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철관 절단부(100)에 의한 회전 로드를 감소시켜 주고 부드러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절단 공정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9는 도 17의 상부 지지대와 해부 지지대 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부 지지대(610)는, 지지 플레이트(611), 하부홈(612), 간격 지지 탄성체(613), 제1 제동 프레임(614) 및 제2 제동 프레임(615)을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611)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 프레임(220)의 하측을 지지하며, 하측을 따라 형성되는 하부홈(612) 마다 설치되는 간격 지지 탄성체(613)에 의해 하부 지지대(620)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하부홈(612)은, 간격 지지 탄성체(613)의 상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지지 플레이트(611)의 하측에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간격 지지 탄성체(613)는, 지지 플레이트(611)와 하부 지지대(620)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하부홈(612) 마다 설치되어 하부 지지대(620)의 상측에 안착된다.
제1 제동 프레임(614)은, 지지 플레이트(611)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 전단보다 하측 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6141)을 형성한다.
제2 제동 프레임(615)은, 제1 제동 프레임(614)으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된 지지 플레이트(611)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1 제동 프레임(614)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가 형성되도록 하측 후단보다 하측 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6151)을 형성한다.
그리고, 하부 지지대(620)는, 지지 본체(621), 제1 상하 관통홈(622), 제2 상하 관통홀(623), 제1 설치 공간(624) 및 제2 설치 공간(625)을 포함한다.
지지 본체(621)는, 상측에 지지 플레이트(611)가 안착될 수 있도록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설치 공간(624) 및 제2 설치 공간(625)에 설치되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630) 및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640)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1 상하 관통홈(622)은, 제1 제동 프레임(614)이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 본체(62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된다.
제2 상하 관통홀(623)은, 제2 제동 프레임(615)이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 본체(62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된다.
제1 설치 공간(624)은,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63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63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지지 본체(621)의 내측 전단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설치 공간(624)은,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상하 높이가 줄어드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설치 공간(625)은,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64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설치 공간(624)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64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지지 본체(621)의 내측 후단에 형성된다.
도 20은 도 17의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630)는, 제1 스프라켓(631), 제2 스프라켓(632), 제3 스프라켓(633), 구동 벨트(634), 제동 플레이트(635) 및 제동 스프링(636)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640)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630)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후술한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630)의 각각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스프라켓(631)은, 제1 설치 공간(624)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며, 구동 벨트(634)의 전단 상측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구동 벨트(634)를 지지한다.
제2 스프라켓(632)은, 제1 설치 공간(624)의 전단 하측에 설치되며, 구동 벨트(634)의 전단 하측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구동 벨트(634)를 지지한다.
제3 스프라켓(633)은, 제1 설치 공간(624)의 후단 하측에 설치되며, 구동 벨트(634)의 후단 하측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구동 벨트(634)를 지지한다.
구동 벨트(634)는, 제1 스프라켓(631), 제2 스프라켓(632) 및 제2 스프라켓(632)을 따라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제2 스프라켓(632) 및 제2 스프라켓(632)에 의해 지지되는 하측이 지지 본체(621)의 하측으로 노출되어 지지 본체(621)를 지지하며, 외력에 의해 지지 본체(621)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안착 프레임(210)의 내측면과의 밀찰력에 의해 회전된다.
즉, 제2 스프라켓(632)와 제3 스프라켓(633)은, 구동 벨트(634)의 하측이 지지 본체(621)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부 일부가 지지 본체(621)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제1 설치 공간(624)에 연결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제동 플레이트(635)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벨트(634)를 사이에 두고 제1 제동 프레임(614)의 하측면(6141)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제1 제동 프레임(614)의 하측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각을 형성하며 제1 설치 공간(624)에서 고정 설치되며, 제1 제동 프레임(614)이 하강하면 구동 벨트(634)를 사이에 두고 제1 제동 프레임(614)과 밀착되어 구동 벨트(634)의 회전을 제동시킨다.
제동 스프링(636)은, 구동 벨트(634)의 회전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구동 벨트(634)의 전단과 제1 설치 공간(624)의 전단 상측면 사이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630)는, 지지 플레이트(611)의 하강이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구동 벨트(634)의 제동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제동 스프링(636)에 의해 구동 벨트(634)의 회전이 제동되어 프레임 지지부(600)가 제동 스프링(636)의 탄성력에 의해 일정 거리 이상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지지 플레이트(611)의 하강되어 구동 벨트(634)가 제동되는 경우에는 제동 스프링(636)에 의해 제동되는 경우보다 강한 힘으로 구동 벨트(634)의 회전이 제동되어 프레임 지지부(600)가 더 이상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철관 절단 장치
100: 철관 절단부
200: 철관 지지부
300: 철관 이송부

Claims (11)

  1. 피절단물인 철관을 회전시키면서 절단하는 철관 절단부;
    상기 철관 절단부에 의한 절단 공정이 시작되면 승강되어 상기 철관의 하측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철관 지지부; 및
    상기 철관이 상기 철관 절단부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철관의 하측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철관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철관 지지부는,
    내측에 상기 철관의 하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일측 및 타측이 상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안착 프레임;
    상기 철관의 곡률에 대응하는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안착 프레임의 상부 일측 및 타측의 각 내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안착 프레임의 내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철관의 하부 일측 및 타측을 지지하는 두 개의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측과 상기 안착 프레임의 내측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을 지지하는 두 개의 프레임 지지부;
    상기 안착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철관 절단부에 의한 절단 공정이 시작되면 상기 안착 프레임을 승강시켜 주고, 상기 철관 절단부에 의한 절단 공정이 끝나면 상기 안착 프레임을 다시 하강시켜 주는 승하강 실린더;
    "+" 형태로 형성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부에 상기 승하강 실린더가 설치되는 바닥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철관의 회전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측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연결 설치되는 다수 개의 철관 회전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지지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측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상기 안착 프레임의 내측에 안착되며, 상측에 상기 상부 지지대가 안착되는 하부 지지대;
    하측이 상기 하부 지지대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 지지대의 내측 전단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를 지지하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 및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하측이 상기 하부 지지대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 지지대의 내측 후단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를 지지하는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를 포함하는, 철관 절단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하부홈;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지지대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홈 마다 설치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의 상측에 안착되는 간격 지지 탄성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 전단보다 하측 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제동 프레임; 및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으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제동 프레임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가 형성되도록 하측 후단보다 하측 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제동 프레임;을 포함하는, 철관 절단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대는,
    상측에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본체;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제1 상하 관통홈;
    상기 제2 제동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제2 상하 관통홀;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의 내측 전단에 형성되는 제1 설치 공간; 및
    상기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설치 공간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 본체의 내측 후단에 형성되는 제2 설치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설치 공간은,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상하 높이가 줄어드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철관 절단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관 이송부는,
    상기 철관의 이동 방향과 직각이 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받침 프레임;
    각 일단이 서로 대향하면서 상기 받침 프레임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각 타단이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승강되는 두 개의 철관 받침대;
    상기 철관의 이송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철관 받침대의 각 타단 상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철관의 하부 일측 및 타측을 지지하는 두 개의 이송 롤러;
    상기 철관 받침대의 각 타단 하측과 상기 받침 프레임의 상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철관 받침대의 각 타단을 지지하는 두 개의 받침대 지지부; 및
    상기 받침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대;를 포함하는, 철관 절단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지지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철관 받침대의 하측을 지지하는 받침 플레이트;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받침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받침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철관 받침대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회동형 완충부;를 포함하는, 철관 절단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형 완충부는,
    하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U"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하측에 상부 전단 및 후단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하측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철관 받침대의 움직임에 따라 하측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되는 제1 아치형 지지대;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2 아치형 지지대;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로부터 이격되어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3 아치형 지지대; 및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안착되는 지지대 연결 링크;를 포함하는, 철관 절단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의 하부 전단 및 후단, 그리고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의 하부 전단 및 후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단부 안착 공간이 내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단부 안착 공간은,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 및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의 단부에 형성되는 원판 형태의 원형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원형 플레이트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단면이 형성되며,
    상기 원형 플레이트는,
    상기 단부 안착 공간의 중앙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상부 지지 탄성체와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탄성체에 의해 상측 및 하측이 각각 지지되는, 철관 절단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연결 링크는,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 블록;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대향하며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2 고정 블록; 및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상기 제2 고정 블록 사이의 이격 공간에 해당하는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에 안착되며,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체결핀이 상기 제1 고정 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고,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제2 체결핀이 상기 제1 고정 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가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함에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상기 제2 고정 블록을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하는, 철관 절단 장치.
KR1020210008731A 2021-01-21 2021-01-21 철관 절단 장치 KR102529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731A KR102529647B1 (ko) 2021-01-21 2021-01-21 철관 절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731A KR102529647B1 (ko) 2021-01-21 2021-01-21 철관 절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857A KR20220105857A (ko) 2022-07-28
KR102529647B1 true KR102529647B1 (ko) 2023-05-04

Family

ID=82607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731A KR102529647B1 (ko) 2021-01-21 2021-01-21 철관 절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964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532Y1 (ko) 2000-08-05 2001-03-15 박종근 배관설비용 대형 강관 절단기
CN1507977A (zh) 2002-12-17 2004-06-30 华中科技大学 一种用于激光切割的夹具
CN210147367U (zh) 2019-04-23 2020-03-17 乌江渡发电厂 一种沟槽内辅助移动管道的工装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0088B1 (ko) 1995-09-19 2003-09-29 다이유 가부시키가이샤 강관절단장치
KR200300691Y1 (ko) 2002-09-19 2003-01-14 주식회사 우성마그네트 강관 절단장치
KR200458715Y1 (ko) * 2010-01-18 2012-03-06 박종근 배관설비용 대형 강관 절단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532Y1 (ko) 2000-08-05 2001-03-15 박종근 배관설비용 대형 강관 절단기
CN1507977A (zh) 2002-12-17 2004-06-30 华中科技大学 一种用于激光切割的夹具
CN210147367U (zh) 2019-04-23 2020-03-17 乌江渡发电厂 一种沟槽内辅助移动管道的工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857A (ko) 2022-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5135B1 (ko) 배관 용접장치
JP2013521202A (ja) コンベア
CN100525993C (zh) 钻杆耐磨带焊接用万向球托架
KR101178126B1 (ko) 파이프 절단장치
KR102529647B1 (ko) 철관 절단 장치
KR100888879B1 (ko) 롤 쵸크 턴 오버 장치
JP2009028823A (ja) 帯鋸盤
CN209051988U (zh) 一种便于移动的带式输送机
CN106737098A (zh) 双头自动抛光机
CN112720306A (zh) 一种机械夹紧装置
CN107234738A (zh) 一种自适应式建筑石材切割机器人
CN212043496U (zh) 一种机电加工用法兰盘钻孔打磨装置
CN209335215U (zh) 一种滚动丝杆固定机构
WO2020032130A1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電動位置調節装置
CN113878426B (zh) 张紧机构和工件表面处理装置
JP6819536B2 (ja) 締結装置
KR200215532Y1 (ko) 배관설비용 대형 강관 절단기
CN113482371A (zh) 一种建筑幕墙装修自动化作业施工装置
KR102097482B1 (ko) 각도 조절 절단기
CN216097975U (zh) 工件表面处理装置
CN210028689U (zh) 定位装置及具有其的集装箱
KR200461757Y1 (ko) 시설 원예용 레일 리프터
JP4206121B1 (ja) 自走動力式搬送ローラ装置
CN220498877U (zh) 一种抛丸机支架安装结构
EP3572356B1 (en) Device for loosening solidified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