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9534B1 - 차량용 냉각액 - Google Patents

차량용 냉각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9534B1
KR102529534B1 KR1020170179701A KR20170179701A KR102529534B1 KR 102529534 B1 KR102529534 B1 KR 102529534B1 KR 1020170179701 A KR1020170179701 A KR 1020170179701A KR 20170179701 A KR20170179701 A KR 20170179701A KR 102529534 B1 KR102529534 B1 KR 102529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weight
vehicle
nanodiamonds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9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8030A (ko
Inventor
이승욱
송경화
이홍기
박재윤
조창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케이디파인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케이디파인켐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9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534B1/ko
Publication of KR20190078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20Antifreeze additives therefor, e.g. for radiator liq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1/00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by applying inhibitors to the surface in danger of corrosion or adding them to the corrosive agent
    • C23F11/08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by applying inhibitors to the surface in danger of corrosion or adding them to the corrosive agent in other liquids
    • C23F11/10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by applying inhibitors to the surface in danger of corrosion or adding them to the corrosive agent in other liquids using organic inhibitors
    • C23F11/12Oxygen-containing compounds
    • C23F11/124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1/00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by applying inhibitors to the surface in danger of corrosion or adding them to the corrosive agent
    • C23F11/08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by applying inhibitors to the surface in danger of corrosion or adding them to the corrosive agent in other liquids
    • C23F11/10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by applying inhibitors to the surface in danger of corrosion or adding them to the corrosive agent in other liquids using organic inhibitors
    • C23F11/14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23F11/149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hetero ato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terials Applied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Mist Or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리콜계 동결방지제 83~95중량%, 트리메틸올에탄 0.002~6중량% 및 나노 다이아몬드 0.002~6중량%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차량용 냉각액은 분산 안정성 및 열교환 효율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차량용 냉각액 {ANTIFREEZING LIQUID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냉각액에 관한 것으로, 트리메틸올에탄 및 나노 다이아몬드를 포함함으로써 분산 안정성 및 열교환 효율이 우수한 차량용 냉각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동액 또는 냉각액의 주 성분으로 에틸렌글리콜 또는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동결방지제와 부식방지제를 사용한다. 부동액은 차량 시스템에서 연료를 제외하고 다음으로 용량이 큰 유체이며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라디에이터를 통해 배출하는 전달매체이다. 열전달매체의 효율 향상은 차량의 연비 증대나 매연 감소, 엔진의 성능 향상까지 이어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 부동액에 나노다이아몬드를 분산시킴으로써 냉각 효율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나노다이아몬드가 분산된 유체는 냉각 시스템 내부에서 다양한 대상 금속과 접촉 시 기존의 분산 안정성이 저하되며 이에 응집현상 및 금속 부식이 더욱 가속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응집된 나노다이아몬드에 의해 관로가 막히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냉각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즉, 하기 특허문헌 1은 표면이 개질된 나노 다이아몬드 및 나노 다이아몬드의표면 개질 방법에 관한 것으로, 표면에 산기가 부착되어 있고, 1nm 내지 100nm의 평균 입경을 갖음에 대해 개시한다.
또 하기 특허문헌 2는 나노 다이아몬드를 포함하는 엔진오일 첨가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나노 다이아몬드를 포함하는 엔진오일 첨가제 조성물로서, 기유 60~99중량%, 소수성으로 표면개질된 나노 다이아몬드 0.001~0.5중량%, 분산제로서 올레일아민 0.05~10중량%, 폴리알케닐 숙신이미드 0.01~5중량% 및 올레산 0.5~35중량%를 포함함에 대해 개시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 중에서 특허문헌 1은 개질된 다이아몬드로 인해 분산 안정성 및 열전도 특성이 향상되기는 하나 여전히 냉각 시스템에서 응집 및 침전 등이 발생되고, 특허문헌 2는 특정 분산제를 이용함에 의해 오일 내 분산 안정성이 우수하나 친수성 베이스로 이루어진 냉각액에 적용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1524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8973호
본 발명은 분산 안정성 및 열교환 효율이 우수한 차량용 냉각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의 설명으로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수단 및 그 조합으로 실현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각액은 글리콜계 동결방지제 83~95중량%, 트리메틸올에탄 0.002~6중량% 및 나노 다이아몬드 0.002~6중량%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글리콜계 동결방지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냉각액은 금속부식방지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금속부식방지제는 총 중량%에 대하여 4~7중량%이며, 아졸유도체; C4-C18 유기카복실산 또는 그 알칼리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졸유도체는 톨리트리아졸, 벤조트리아졸, 4-페닐-1,2,3-트리아졸, 2-나프토트리아졸, 4-니트로벤조트리아졸, 2-메르캅토벤조티아졸트리아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고, 상기 C4-C18 유기카복실산은 아디픽산, 수베르산, 글루타릭산, 네오데칸산, 네오옥타논산, 숙신산, 계피산, 아젤라익산, 메틸계피산, 하이드록시계피산, 에틸계피산, 프로필계 피산, 부틸계피산, 에톡시계피산, 에틸벤조산, 프로필벤조산, 피멜릭산, 디시클로펜타디엔 디카르복실산, 운데 칸산, 벤조산, 노난산, 프탈산, 데칸산, 테레프탈산, 도테칸산, 메틸벤조산, 헥산산, 시클로헥세논산, 2-에틸헥산산, 세바식산, 데칸디카복실산, t-부틸벤조산, 옥탄산, 헵탄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트리메틸올에탄 및 나노 다이아몬드를 포함함으로써 분산 안정성 및 열교환 효율이 우수한 차량용 냉각액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 비교예 5 내지 7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실험예 3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하부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성분, 반응 조건, 폴리머 조성물 및 배합물의 양을 표현하는 모든 숫자, 값 및/또는 표현은, 이러한 숫자들이 본질적으로 다른 것들 중에서 이러한 값을 얻는 데 발생하는 측정의 다양한 불확실성이 반영된 근사치들이므로, 모든 경우 "약"이라는 용어에 의해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기재에서 수치범위가 개시되는 경우, 이러한 범위는 연속적이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이러한 범 위의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의 모든 값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범위가 정수를 지칭하는 경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가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범위가 변수에 대해 기재되는 경우, 상기 변수는 상기 범위의 기재된 종료점들을 포함하는 기재된 범위 내의 모든 값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5 내지 10"의 범위는 5, 6, 7, 8, 9, 및 10의 값들뿐만 아니라 6 내지 10, 7 내지 10, 6 내지 9, 7 내지 9 등의 임의의 하위 범위를 포함하고, 5.5, 6.5, 7.5, 5.5 내지 8.5 및 6.5 내지 9 등과 같은 기재된 범위의 범주에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예를 들면, "10% 내지 30%"의 범위는 10%, 11%, 12%, 13% 등의 값들과 30%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들뿐만 아니라 10% 내지 15%, 12% 내지 18%, 20% 내지 30% 등의 임의의 하위 범위를 포함하고, 10.5%, 15.5%, 25.5% 등과 같이 기재된 범위의 범주 내의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차량용 냉각액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냉각액은 글리콜계 동결방지제, 트리메틸올에탄 및 나노 다이아몬드를 포함한다. 또한, 금속부식방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글리콜계 동결방지제 83~95중량%, 트리메틸올에탄 0.002~6중량%, 나노 다이아몬드 0.002~6중량% 및 금속부식방지제 4~7중량%가 배합될 수 있다.
먼저, 차량용 냉각액의 성분 및 각 성분의 제한 사유를 설명한다.
글리콜계 동결방지제는 동결을 방지하기 위한 필수적인 성분이며, 전체 중량%에 대하여, 83~95중량%포함된다. 이는 83중량% 미만이면, 기온이 영하인 경우에는 냉각시스템이 어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고, 기온이 높은 여름철에는 끓는점 저하로 인한 오버히트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95중량%를 초과하면, 금속부식방지제의 함량이 감소할 수 있어 이에 금속의 부식됨으로써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글리콜계 동결방지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글리콜일 수 있다.
트리메틸올에탄(trimethylolethane, TME)은 나노 다이아몬드의 분산 안정성을 증대시켜 응집 부식 현상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성분이며,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2~6중량%포함된다. 이는 0.002중량% 미만이면, 나노 다이아몬드의 분산성이 저하됨으로써 나노 다이아몬드의 응집 현상이 발생될 수 있고, 6중량%를 초과하면, 냉각액의 저장 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에 다량의 침전이 발생될 수 있다.
나노 다이아몬드(nano-diamond)는 나노 크기의 입도를 가진 다이아몬드로 높은 경도와 열전도율을 가지며 무독성 및 비 발암성 물질로 친환경적인 신소재이다. 이러한 나노 다이아몬드는 흑연, 그래핀, 활성탄, 소프트카본, 하드카본, 카본블랙, 탄소나노튜브, 탄소나노섬유, 변형탄소, 탄소복합소재 등의 탄소재 및 탄소재 또는 도전재 간의 충돌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나노 다이아몬드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2~6중량%포함된다. 이는 0.002중량% 미만이면, 열교환 효율이 저조할 수 있고, 6중량%를 초과하면, 나노입자의 분산한계에 도달하여 초과량에 대한 침전이 발생되며, 이에 냉각시스템 내의 대상금속과 나노입자의 응집으로 인해 부식 또는 나노입자 응집으로 인한 관로 막힘 현상이 초래될 수 있다.
금속부식방지제는 차량 냉각시스템에 사용되는 알루미늄, 철, 동계 부품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성분이며, 전체 중량%에 대하여, 4~7중량%포함된다. 이는 4중량% 미만이면, 금속 부식 및 침전이 발생될 수 있으며, 7중량%를 초과하면, 고 함량으로 금속이 변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다.
금속부식방지제는 아졸유도체; C4-C18 유기카복실산 또는 그 알칼리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아졸유도체는 동 또는 황동의 부식방지제로 사용되고, 티아졸유도체, 톨리트리아졸(Tolyltriazole),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 4-페닐-1,2,3-트리아졸(4-phenyl-1, 2, 3-triazole), 2-나프토트리아졸, 4-니트로벤조트리아졸(4-nitro benzotriazole), 2-메르캅토벤조티아졸트리아졸(2-mercaptobenzothiazole triazol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일 수 있다. 상기 C4-C18 유기카복실산 또는 그 알칼리염은 알루미늄 또는 철의 부식방지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C4-C18 유기카복실산은 아디픽산(adipic acid), 수베르산(suberic acid, octanedioic acid), 글루타릭산(glutaric acid), 네오데칸산(neodecanoic acid), 네오옥타논산(neooctanoic acid), 숙신산(succinic acid), 계피산(cinnamic acid), 아젤라익산(azelaic acid), 메틸계피산(methyl cinnamate), 하이드록시계피산(hydroxy cinnamic acid), 에틸계피산(ethyl cinnamate), 프로필계 피산(propyl cinnamate), 부틸계피산(butyl cinnamate), 에톡시계피산(ethoxy cinnamate), 에틸벤조산(ethylbenzoic acid), 프로필벤조산(propylbenzoic acid), 피멜릭산(pimelic acid), 디시클로펜타디엔 디카르복실산(dicyclopentadiene dicarboxylic acid), 운데 칸산(undecanoic acid), 벤조산(benzoic acid), 노난산(nonanoic acid), 프탈산(phthalic acid), 데칸산(decanoic acid),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도테칸산(dodecanoic acid), 메틸벤조산(methylbenzoic acid), 헥산산(hexanoic acid), 시클로헥세논산(cyclohexenone acid), 2-에틸헥산산(2-ethylhexanoic acid), 세바식산(sebacic acid), 데칸디카복실산(decanedicarboxylic acid), t-부틸벤조산(t-butylbenzoic acid), 옥탄산(octanoic acid), 헵탄산(heptanoic acid)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숙신산(succinic acid), 계피산(cinnamic acid), 벤조산(benzoic acid), 2-에틸헥산산(2-ethylhexanoic acid), 세바식산(sebacic acid), 데카디카복실산(decanedicarboxylic acid), t-부틸벤조산(t-butylbenzoic acid)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차량용 냉각액은 트리메틸올에탄을 기능성 첨가제로 사용함으로써 나노 다이아몬드의 분산 안정성 증대로 인해 응집 및 부식이 억제될 수 있으며, 이에 냉각 효율이 향상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냉각액을 차량에 적용 시 냉각 시스템의 용량이 감소됨으로써 차량의 연비가 향상될 수 있다.
실시예 1~7. 냉각액 제조
하기 표 1에 개시된 성분 및 함량으로 각각 혼합한 후, 40~60℃가 될 때까지 가열 및 교반(기계적 교반 및 초음파 교반)하여 실시예 1~7의 냉각액을 각각 제조하였다.
표 1은 냉각액의 성분 및 함량(중량%)을 나타낸 표이다.
구성 성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에틸렌글리콜 93.994 93.98 93.8 93 92 88 84
세바식산 2.8 2.8 2.8 2.8 2.8 2.8 2.8
t-부틸벤조산 1.2 1.2 1.2 1.2 1.2 1.2 1.2
데칸디카복실산 1 1 1 1 1 1 1
톨리트리아졸 0.6 0.6 0.6 0.6 0.6 0.6 0.6
벤조트리아졸 0.4 0.4 0.4 0.4 0.4 0.4 0.4
TME
(트리메틸올에탄)
0.003 0.01 0.1 0.5 1 3 5
나노다이아몬드 0.003 0.01 0.1 0.5 1 3 5
비교예 1~7. 냉각액의 제조
하기 표 2에 개시된 성분 및 함량으로 각각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7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1~7의 냉각액을 각각 제조하였다.
표 2는 냉각액의 성분 및 함량(중량%)을 나타낸 표이다.
구성 성분 비교예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에틸렌글리콜 94 93.998 80 89 93.997 93.5 89
세바식산 2.8 2.8 2.8 2.8 2.8 2.8 2.8
t-부틸벤조산 1.2 1.2 1.2 1.2 1.2 1.2 1.2
데칸디카복실산 1 1 1 1 1 1 1
톨리트리아졸 0.6 0.6 0.6 0.6 0.6 0.6 0.6
벤조트리아졸 0.4 0.4 0.4 0.4 0.4 0.4 0.4
TME
(트리메틸올에탄)
- 0.001 7 5 - - -
나노다이아몬드 - 0.001 7 - 0.003 0.5 5
실험예 1. 냉각액의 분산 안정성 평가
본원발명에 따른 실시예 1~7에서 제조된 냉각액의 분산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7의 냉각액 및 비교예 1~7의 냉각액을 각각 용기에 담고 이들을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그리고, 육안으로 침전의 발생 유무를 확인하였습니다.
표 3은 상온에서 24시간 경과한 실시예 1~7의 냉각액 및 비교예 1~7의 냉각액의 분산 및 침전 유무를 나타낸 표이다.
그 결과, 표 3을 참고하면, 실시예 1~7의 냉각액이 전반적으로 분산이 양호하며, 침전이 발생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분 분산 상태
상온 24시간 경과
실시예 1 분산 양호 / 침전 없음
실시예 2 분산 양호 / 침전 없음
실시예 3 분산 양호 / 침전 없음
실시예 4 분산 양호 / 침전 없음
실시예 5 분산 양호 / 침전 없음
실시예 6 분산 양호 / 침전 없음
실시예 7 분산 양호 / 침전 없음
비교예 1 -
비교예 2 분산 양호 / 침전 없음
비교예 3 침전 다량
비교예 4 -
비교예 5 분산 양호 / 침전 없음
비교예 6 분산 양호 / 침전 없음
비교예 7 분산 양호 / 침전 없음
실험예 2. 금속 부식성 평가
본원발명에 따른 실시예 1~7의 냉각액의 금속 부식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금속 부식성 시험은 KS M 2142 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금속 부식성 시험에 규정된 조합수(증류수 1ℓ에 무수황산나트륨 148㎎, 염화나 트륨 165㎎ 및 탄산수소나트륨 138㎎을 용해한 용액)에 실시예 1~7 및 비교예 1~7를 각각 투입하여 농도가 30%가 되도록 혼합한 용액 750㎖와 금속시험편 1 세트를 톨 비이커에 넣었다. 그 후 온도계, 통기관 및 냉각관을 가열장치 위에 부착시킨 다음 건조공기를 매 분당 100±10㎖의 유량으로 액 중에 흘려 보내면서 부동액의 온도가 98±2℃에서 336시간 동안 그대로 두었다. 그 다음 금속 부식성을 측정하였다. 금속 부식성을 측정한 후 시험편을 산세척하여 무게변화를 0.1㎎까지 측정하였다.
표 4는 측정 결과를 나타낸 표이고, 도 1은 실시예 1, 비교예 5내지 7를 나타낸 사진이다.
그 결과, 표 4 및 도 1을 참고하면, 나노 다이아몬드가 포함되지 않거나 극소량 포함된 비교예 1, 2 및 4에서는 금속의 부식이 일어나지 않았으나, 나노 다이아몬드가 0.003~5중량%의 범위 내로 포함된 비교예 5 내지 7은 금속의 부식뿐만 아니라 나노다이아몬드들의 응집 및 부동액 탈색 현상도 발생하였다. 특히, 알루미늄, 철, 동, 납땜에 대해서 무게 변화량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본원발명의 실시예 1~7은 전반적으로 금속의 부식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나노 다이아몬드의 응집 또는 부동액의 탈색 현상이 일어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112017129120850-pat00001
실험예 3. 냉각 효율 평가
본원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냉각액의 냉각 효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냉각효율시험은 Experimental study of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 in the application of dilute nanofluids in the car radiator(2012)에서 실시한 평가를 재현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의 냉각액을 사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차량용 부품은 아반테AD차량의 워터펌프와 라디에이터, 차량용 고무호스를 사용하였다.
공기 측의 유량과 온도의 변화와 부동액 측의 유량과 온도변화를 이용하여 각각의 총괄열전달계수를 측정하였으며, 결과에 대한 신뢰성 확보를 위해 공기 측면에서 계산된 총괄열전달계수와 냉각액 측면에서 계산된 총괄열전달계수를 비교하였다.
이때, 라디에이터 측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열저항을 최소화 하기 위해 풍속은 10.8m/s로 고정하였다.
표 5는 공기 측 및 냉각액 측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 표이고, 도 2는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 결과, 표 5 및 도 2를 참고하면, 나노 다이아몬드가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 1의 냉각액 대비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냉각액은 5~20%의 열전달 성능이 향상되었으며, 실시예 2의 냉각액은 5~25%의 열전달 성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공기 유량(kg/s) 0.4420 0.4420 0.4420
공기 비열 1.0042 1.0042 1.0042
공기 온도 상승 정도(℃) 20.0 20.8 22.9
Coolant 유량(kg/s) 0.1015 0.1022 0.0998
부동액 비열(Kj/kgK) 3.55 3.55 3.7
부동액 온도 하강 정도(℃) 24.5 25.5 27.5
Figure 112017129120850-pat00002
(Kw)
8.8280 9.2517 10.1547
부동액 측 결과에 대한 이론적 공기 온도 상승정도
Figure 112017129120850-pat00003
19.86 20.85 22.88
오차 0.55% -0.22% 0.09%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4)

  1. 에틸렌 글리콜 83~95중량%, 트리메틸올에탄 0.002~6중량%, 나노 다이아몬드 0.002~6중량% 및 금속부식방지제 4~7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부식방지제는 톨리트리아졸 및 벤조트리아졸을 포함하는 아졸유도체; 및 세바식산 및 t-부틸벤조산을 포함하는 C4-C18 유기카복실산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차량용 냉각액.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179701A 2017-12-26 2017-12-26 차량용 냉각액 KR102529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701A KR102529534B1 (ko) 2017-12-26 2017-12-26 차량용 냉각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701A KR102529534B1 (ko) 2017-12-26 2017-12-26 차량용 냉각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030A KR20190078030A (ko) 2019-07-04
KR102529534B1 true KR102529534B1 (ko) 2023-05-08

Family

ID=67259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9701A KR102529534B1 (ko) 2017-12-26 2017-12-26 차량용 냉각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95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34288A (zh) * 2020-05-22 2020-08-14 浙江华凯科技有限公司北京销售分公司 一种环保型航空冷却液及其制备方法
KR20220057325A (ko) * 2020-10-29 2022-05-09 주식회사 케이디파인켐 전기 자동차용 냉각액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30953A (ja) 2007-06-22 2010-09-16 アドバンスド テクノロジー マテリア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太陽光吸着冷凍システムの構成要素およびそのような構成要素の作製方法
KR101713749B1 (ko) * 2015-09-01 2017-03-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나노 다이아몬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나노유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7636A (ko) * 2009-10-07 2011-04-13 양정승 고효율 열교환 방법 및 고효율 열교환 장치
BR112015018314B1 (pt) * 2013-02-13 2021-12-28 Basf Se Concentrado anticongelante com proteção contra corrosão, composição de líquido refrigerante aquoso, usos de uma composição de líquido refrigerante aquoso e de um composto, e, método para redução de precipitação de géis de hidróxido de alumínio
KR101318973B1 (ko) 2013-04-30 2013-10-17 김현태 나노 다이아몬드를 포함하는 엔진오일 첨가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15245A (ko) 2013-07-31 2015-02-10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표면이 개질된 나노 다이아몬드 및 나노 다이아몬드의 표면 개질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30953A (ja) 2007-06-22 2010-09-16 アドバンスド テクノロジー マテリア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太陽光吸着冷凍システムの構成要素およびそのような構成要素の作製方法
KR101713749B1 (ko) * 2015-09-01 2017-03-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나노 다이아몬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나노유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030A (ko)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90129B (zh) 冷却液制剂
US7820066B2 (en) Fluid composition having enhanced heat transfer efficiency
EP0816467B1 (de) Silikat-, borat- und nitratfreie Gefrierschutzmittelkonzentrate und diese umfassende Kühlmittelzusammensetzungen
CN107142091B (zh) 一种全有机型纳米防冻液及其制备方法
JPS62158778A (ja) 一塩基−二塩基酸塩不凍液/腐食防止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4528223B2 (ja) 熱輸送流体
KR102529534B1 (ko) 차량용 냉각액
CN101948676B (zh) 一种高储备碱度发动机冷却液
EP3374463B1 (de) Silikathaltiges kühlmittelkonzentrat
US9193897B2 (en) Composition for antifreeze liquid or coolant having superior cavitation erosion- and gap corrosion-resistance effect
EP1564277B1 (en) Heat transfer medium liquid composition
JP6092685B2 (ja) 冷却液組成物
KR101300238B1 (ko) 방식성 및 pH 완충성이 향상된 부동액 또는 냉각액 조성물
EP1688472A1 (en) Cooling fluid composition
JP2019505599A (ja) 六方晶窒化ホウ素ナノ粒子の安定化
JP5660949B2 (ja) 蓄熱材組成物
JP2006316670A (ja) エンジンテストに使用するエンジン冷却液及びテスト済みエンジンの保管方法
JP4785734B2 (ja) 熱媒体組成物
JP6391481B2 (ja) 冷却液組成物
JP2020019905A (ja) 冷却液組成物
JP6970037B2 (ja) 冷却液組成物
KR20070096505A (ko) 부동액 조성물과 이의 제조 방법
JP2004238643A (ja) 冷却液組成物
JP4482650B2 (ja) 冷却液組成物
JP2019143053A (ja) 冷却液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