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9427B1 -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9427B1
KR102529427B1 KR1020170178080A KR20170178080A KR102529427B1 KR 102529427 B1 KR102529427 B1 KR 102529427B1 KR 1020170178080 A KR1020170178080 A KR 1020170178080A KR 20170178080 A KR20170178080 A KR 20170178080A KR 102529427 B1 KR102529427 B1 KR 102529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indoor spaces
blower
air conditioner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8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6350A (ko
Inventor
강희정
박진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170178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427B1/ko
Publication of KR20190076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6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50Lo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가 설치되는 장소에 따른 고정된 부하와 실내의 온도 또는 습도의 측정되는 부하를 모두 반영하여 공기조화기의 가동을 제어함으로써 각각의 실내공간에 필요한 최적의 공기량으로 공급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a) 복수의 실내공간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제1부하가 설정되는 단계; b) 복수의 실내공간 각각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부하가 측정되는 단계; c)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 각각의 제1부하와 제2부하에 기초한 개별부하와,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의 개별부하를 합한 전체부하를 연산하는 단계; d) 상기 연산된 전체부하에 따라 설정된 제1회전수로 제1송풍기를 가동하고, 상기 전체부하에 대한 상기 개별부하의 비율에 따라 상기 제1송풍기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에 분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실내공간의 다양한 부하조건이 반영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실내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거나 실내공기를 환기시켜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공기조화기에 제습, 가습, 냉방, 난방, 공기 정화, 환기 등의 다양한 기능을 부가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계절의 변화에 맞추어 실내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공기조화기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7-0066370호가 공개(공개일: 1997.10.13)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공기조화기에는 실내 열교환기의 온도와 실내기의 흡입 온도 및 설정된 실내온도, 단일 송풍기 회전수 저장수단에 저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복수대 송풍기 각각의 회전수를 결정하는 기술이 나타나 있다.
이러한 종래의 공기조화기에서는 온도 데이터만을 기초로 송풍기의 회전수를 결정하게 되므로, 복수의 송풍기 각각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량은 공기가 공급되는 실내공간의 용량(크기), 공기가 유동하는 덕트의 길이 등에 의해 실제 필요한 공기량과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공기조화기가 설치되는 장소에 따른 고정된 부하와 실내의 온도 또는 습도의 측정되는 부하를 모두 반영하여 공기조화기의 가동을 제어함으로써 각각의 실내공간에 필요한 최적의 공기량으로 공급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a) 복수의 실내공간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제1부하가 설정되는 단계; b) 복수의 실내공간 각각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부하가 측정되는 단계; c)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 각각의 제1부하와 제2부하에 기초한 개별부하와,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의 개별부하를 합한 전체부하를 연산하는 단계; d) 상기 연산된 전체부하에 따라 설정된 제1회전수로 제1송풍기를 가동하고, 상기 전체부하에 대한 상기 개별부하의 비율에 따라 상기 제1송풍기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에 분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부하는,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 각각의 용량에 대한 용량부하와, 상기 제1송풍기에서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까지 연결되는 덕트에 의한 덕트부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부하는 상기 제1송풍기를 가동하여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에 공급되는 공기량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덕트부하는 상기 제1송풍기에서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까지 연결되는 덕트의 길이에 비례할 수 있다.
상기 제2부하는,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의 온도에 대한 온도부하와,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의 습도에 대한 습도부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부하는 현재온도와 설정온도의 차이이고, 상기 습도부하는 현재습도와 설정습도의 차이일 수 있다.
상기 제1송풍기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마다 구비된 제2송풍기가 제2회전수로 가동되어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에 공급하고, 상기 제2회전수는 상기 제1회전수에 대한 상기 개별부하의 비율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송풍기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분배기에서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에 분배하되, 상기 분배기에서는 상기 d)단계에서 연산된 상기 개별부하의 비율에 따라 상기 공기의 분배가 이루어지도록 댐퍼의 개도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실내공간에 공기를 공급하는 제1송풍기;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제1부하를 설정하기 위한 제1부하설정부;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 각각의 제2부하를 측정하기 위한 부하측정부; 상기 제1부하와 제2부하에 기초한 복수의 실내공간 각각의 개별부하와 상기 각각의 개별부하를 합한 전체부하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전체부하에 따라 설정된 제1회전수로 제1송풍기를 가동하고, 상기 전체부하에 대한 상기 개별부하의 비율에 따라 상기 제1송풍기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에 분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부하측정부는,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의 현재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부와,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의 현재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측정부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부하는, 상기 온도측정부에서 측정된 현재온도와 설정온도의 차이 또는 상기 습도측정부에서 측정된 현재습도와 설정습도의 차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부하설정부는,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 각각의 용량에 대한 용량부하와, 상기 제1송풍기에서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까지 연결되는 덕트에 의한 덕트부하 중 하나 이상을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 또는 입력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수에 대한 상기 개별부하의 비율에 따라 연산된 제2회전수로 가동되는 제2송풍기가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마다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체부하에 대한 상기 개별부하의 비율에 따라 연산된 공기가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에 분배되도록 댐퍼의 개도량이 제어되는 분배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조화기가 설치되는 장소에 따른 고정된 부하와 실내의 온도 또는 습도의 측정되는 부하를 모두 반영하여 공기조화기의 가동을 제어함으로써 각각의 실내공간에 필요한 최적의 공기량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덕트부하를 설정하는 경우 제1송풍기를 가동하여 복수의 실내공간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이용함으로써 덕트에 작용하는 모든 부하를 반영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덕트부하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제1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1)는, 복수의 실내공간(61,62,63)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1송풍기(11), 복수의 실내공간(61,62,63)마다 각각 구비된 제2송풍기(31,41,51), 상기 제1송풍기(11)와 제2송풍기(31,41,51) 사이를 연결하는 덕트(20), 상기 제1송풍기(11)와 제2송풍기(31,41,51)의 가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송풍기(11)는 실외기실에 설치된 실외기(1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송풍기(11)는, 환기모드시 실외공기를 실내공간(61,62,63)에 공급하거나, 냉방/난방/제습모드시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다시 실내공간(61,62,63)으로 순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송풍기(31,41,51)는 복수의 실내공간(61,62,63)마다 각각 설치된 실내기(30,40,50)에 구비되어, 상기 제1송풍기(11)에 의해 공급된 공기를 각각의 실내공간(61,62,63)으로 공급한다.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61,62,63)에는 상기 각각의 실내공간(61,62,63)에서의 제2부하를 측정하기 위한 부하측정부가 구비된다.
상기 제2부하는 부하측정부에서 측정되는 값에 의해 결정되는 부하로서, 공기조화기(1)가 가동되면 그 값이 가변될 수 있다.
상기 부하측정부는, 각각의 실내공간(61,62,63)에 공급해야 할 공기량을 산출하기 위한 조건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난방모드시 또는 냉방모드시 각각의 실내공간(61,62,63)에 가열된 공기 또는 냉각된 공기를 얼마나 공급해야 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실내공간(61,62,63)의 온도 또는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부하측정부는, 상기 각각의 실내공간(61,62,63)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측정부(110a,110b,110c), 상기 각각의 실내공간(61,62,63)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습도측정부(120a,120b,120c)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온도측정부(110a,110b,110c)와 습도측정부(120a,120b,120c)는 둘 중 어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고, 모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온도와 습도는 공기조화기(1)가 가동됨에 따라 가변하고, 이러한 가변되는 온도와 습도의 측정값은 제어부에 수신된다.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61,62,63)의 온도 또는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온도 또는 설정습도를 설정하기 위한 실내환경설정부(130a,130b,130c)가 구비된다. 상기 실내환경설정부(130a,130b,130c)는 리모콘 또는 벽에 설치된 룸콘트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61,62,63)에 대한 제1부하가 설정된다. 상기 제1부하는 실내환경 조건에 따라 가변하지 않고 고정된 값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1부하는,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61,62,63) 각각의 용량(크기)에 대한 용량부하와, 상기 제1송풍기(11)에서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61,62,63)까지 연결되는 덕트(20)에 의한 덕트부하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용량부하는 복수의 실내공간(61,62,63)의 크기에 비례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큰 방은 용량부하가 크고, 작은 방은 용량부하가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용량부하는 공기조화기(1)를 설치하는 경우 각각의 실내기(30,40,50)에 구비된 딥스위치(Dip Switch)를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즉, 방 크기에 따른 복수의 용량에 대한 스위치가 구비되고, 각각의 실내공간(61,62,63)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용량부하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덕트부하는 상기 제1송풍기(11)에서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61,62,63)까지 연결되는 덕트(20)의 길이에 비례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덕트(20)의 길이만을 기준으로 덕트부하를 설정하게 되면, 덕트(20)가 굴곡진 부분을 공기가 통과하면서 작용하는 부하가 반영되지 않아, 실제 덕트부하와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공기조화기(1)를 설치할 때 제1송풍기(11)를 가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61,62,63)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측정하여 덕트부하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실내공간(61,62,63)에 도달하는 공기의 공기량은 제1송풍기(11)로부터 각각의 실내공간(61,62,63)까지의 덕트(20)의 길이에 반비례한다. 또한, 상기 덕트(20)의 굴곡진 부분이 많을수록 각각의 실내공간(61,62,63)에 도달하는 공기의 공기량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제1송풍기(11)를 가동하여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61,62,63)에 공급되는 공기량으로 덕트부하를 설정되게 되면 상기 덕트(20)에 작용하는 모든 부하를 반영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덕트부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덕트부하는 공기조화기(1)에 구비된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입력할 수도 있고, 상기 용량부하와 마찬가지고 딥스위치를 이용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부하는 공기조화기(1)를 설치할 때 상기 딥스위치, 입력부와 같은 제1부하설정부(미도시)를 통해 고정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61,62,63) 각각에 대한 제2부하가 설정된다. 상기 제2부하는 공기조화기(1)가 가동됨에 따라 복수의 실내공간(61,62,63)에서 가변되는 온도부하 또는 습도부하에 대한 값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온도부하는 온도측정부(110a,110b,110c)에서 측정한 현재온도와 사용자가 실내환경설정부(130a,130b,130c)를 이용하여 설정한 설정온도의 차이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온도부하는 온도차에 비례하고, 이러한 온도부하는 공기조화기(1)가 냉방 또는 난방모드로 가동됨에 따라 점점 가변하게 된다.
상기 습도부하는 습도측정부(120a,120b,120c)에서 측정한 현재습도와 사용자가 실내환경설정부(130a,130b,130c)를 이용하여 설정한 설정습도의 차이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습도부하는 습도차에 비례하고, 이러한 습도부하는 공기조화기(1)가 제습 또는 가습모드로 가동됨에 따라 점점 가변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부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61,62,63) 각각에 대한 개별부하를 연산하고, 상기 개별부하를 합하여 전체부하를 연산한다.
이와 같이 전체부하와 개별부하가 연산되면 제어부는 제1송풍기(10)의 회전수를 설정하고, 제2송풍기(31,41,51)의 회전수를 설정하여, 그 설정된 회전수에 따라 가동되도록 제어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제2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2)는 실외기(10)와 제1송풍기(11), 덕트(20), 온도측정부(110a,110b,110c), 습도측정부(120a,120b,120c), 실내환경설정부(130a,130b,130c)가 구비된 점에서 제1실시예의 공기조화기(2)와 동일하고, 분배기(70)가 구비되어 있는 점과, 복수의 실내공간(61,62,63)에는 제2송풍기가 없는 디퓨져(81,82,83)만 설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분배기(70)의 내부에는 복수의 실내공간(61,62,63)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개폐되는 복수의 댐퍼(71,72,73)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61,62,63)의 개별부하에 비례하도록 댐퍼(71,72,73)의 개도량을 조절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용량부하를 설정하기 위한 제1부하설정부인 딥스위치는 상기 분배기(7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제2송풍기(31,32,33)가 구비되거나, 분배기(70)가 구비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제2송풍기(31,32,33)와 분배기(70)는 함께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S101은 복수의 실내공간(61,62,63)에 대한 제1부하인 용량부하와 덕트부하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실내기(30,40,50) 또는 분배기(70)에 구비된 제1부하설정부를 조작하여 각각의 실내공간(61,62,63)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용량부하를 설정하고, 설정된 용량부하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에 수신된다.
또한 공기조화기(1,2)를 설치한 후 제1송풍기(10)를 가동시켜 각각의 실내공간(61,62,63)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측정함으로써 덕트부하를 산출하고, 산출된 덕트부하는 제1부하설정부를 통해 제어부에 입력된다.
단계 S102는 사용자가 공기조화기(1,2)의 가동을 위해 실내환경설정부(130a,130b,130c)를 이용하여 원하는 실내온도인 설정온도, 원하는 실내습도인 설정습도를 설정한다.
단계 S103은 온도측정부(110a,110b,110c)에서 복수의 실내공간(61,62,63)의 현재온도를 측정하고, 습도측정부(120a,120b,120c)에서 복수의 실내공간(61,62,63)의 현재습도를 측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측정된 현재온도와 현재습도는 제어부에 수신되고, 상기 수신된 현재온도와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온도의 차이가 온도부하로서 제2부하가 되고, 상기 수신된 현재습도와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습도의 차이가 습도부하로서 제2부하가 된다.
단계 S104는 복수의 실내공간(61,62,63) 각각에 대한 개별부하와 복수의 실내공간(61,62,63) 전체에 대한 전체부하를 연산하는 단계이다.
상기 전체부하는 각 실내공간(61,62,63)의 부하인 개별부하의 합으로 구성할 수 있고, 상기 개별부하는 아래 식과 같이 제1부하(용량부하와 덕트부하), 제2부하(온도부하 또는 습도부하)가 모두 반영된 부하로 정의할 수 있다.
(1) 실내의 온도 제어를 하는 경우
각 실내공간의 개별부하 = (각 실내공간의 용량부하)×(각 실내공간의 현재온도와 설정온도의 차이)×(각 실내공간의 덕트부하)
(2) 실내의 습도 제어를 하는 경우
각 실내공간의 개별부하 = (각 실내공간의 용량부하)×(각 실내공간의 현재습도와 설정습도의 차이)×(각 실내공간의 덕트부하)
상기와 같이 각각의 실내공간(61,62,63)에 대한 개별부하가 구해지면, 상기 각각의 개별부하를 합하여 전체부하를 계산한다.
단계 S105는 제1송풍기(11)와 제2송풍기(31,41,51)의 회전수를 설정하거나 댐퍼(71,72,73)의 개도량을 설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연산된 전체부하에 대응하는 제1송풍기(10)의 제1회전수가 설정된다. 상기 전체부하에 대한 각각의 개별부하의 비율에 따라 제2송풍기(31,41,51)의 제2회전수를 설정하거나, 댐퍼(71,72,73)의 개도량을 설정한다.
즉, 상기 전체부하를 100으로 하였을 때, 각각의 실내공간(61,62,63)에 얼마의 비율로 분배할 것인가를 결정하기 위해 개별부하의 비율을 구하고, 그 개별부하의 비율에 따라 제2송풍기(31,41,51)의 제2회전수를 설정하거나, 댐퍼(71,72,73)의 개도량을 설정한다.
그 다음 상기 제1송풍기(10)가 상기 제1회전수에 따라 가동되고, 제2송풍기(31,41,51)가 제2회전수에 따라 가동되어 복수의 실내공간(61,62,63)에 공기를 분배하여 공급하거나, 댐퍼(71,72,73)의 개도량에 따라 복수의 실내공간(61,62,63)에 공기가 분배되어 공급된다.
단계 S106은 온도측정부(110a,110b,110c)에서 현재온도를 측정하고, 습도측정부(120a,120b,120c)에서 현재습도를 측정하는 단계이다. 단계 S105에서 공기조화기(1,2)가 설정된 회전수 또는 개도량에 따라 가동되면, 각각의 실내공간(61,62,63)의 현재온도 또는 현재습도는 가변하게 된다.
단계 S107은 부하변동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온도측정부(110a,110b,110c) 또는 습도측정부(120a,120b,120c)에서의 측정결과 현재온도 또는 현재습도가 변경된 경우에는 부하가 변동된 것으로 판단하여 단계 S104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109로 진행한다.
부하가 변동된 경우에는 단계 S104 내지 단계 S105에 따라 제1송풍기(10)와 제2송풍기(31,41,51)의 회전수를 다시 설정하고, 댐퍼(71,72,73)의 개도량을 다시 설정한다.
단계 S109는 공기조화기(1,2)의 가동종료신호가 수신되어 공기조화기(1,2)의 가동이 종료되는 단계이다.
상기와 같은 제어방법에 의하면, 공기조화기(1,2)가 설치되는 장소에 따른 고정된 제1부하와 실내의 온도 또는 습도의 측정되는 제2부하를 모두 반영하여 공기조화기(1,2)의 가동을 제어함으로써 각각의 실내공간(61,62,63)에 필요한 최적의 공기량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 2 : 공기조화기 10 : 실외기
11 : 제1송풍기 20 : 덕트
30,40,50 : 실내기 31,41,51 : 제2송풍기
61,62,63 : 실내공간 70 : 분배기
71,72,73 : 댐퍼 81,82,83 : 디퓨져
110a,110b,110c : 온도측정부 120a,120b,120c : 습도측정부

Claims (13)

  1. a) 복수의 실내공간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제1부하가 고정된 값으로 설정되는 단계;
    b) 복수의 실내공간 각각에서 실내환경에 따라 가변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부하가 측정되는 단계;
    c)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 각각의 제1부하와 제2부하에 기초한 개별부하와,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의 개별부하를 합한 전체부하를 연산하는 단계;
    d) 상기 연산된 전체부하에 따라 설정된 제1회전수로 제1송풍기를 가동하고, 상기 전체부하에 대한 상기 개별부하의 비율에 따라 상기 제1송풍기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에 분배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송풍기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마다 구비된 제2송풍기가 제2회전수로 가동되어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에 공급하고, 상기 제2회전수는 상기 제1회전수에 대한 상기 개별부하의 비율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하는,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 각각의 용량에 대한 용량부하와, 상기 제1송풍기에서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까지 연결되는 덕트에 의한 덕트부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하는 상기 제1송풍기를 가동하여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에 공급되는 공기량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하는 상기 제1송풍기에서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까지 연결되는 덕트의 길이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하는,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의 온도에 대한 온도부하와,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의 습도에 대한 습도부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부하는 현재온도와 설정온도의 차이이고, 상기 습도부하는 현재습도와 설정습도의 차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송풍기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분배기에서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에 분배하되, 상기 분배기에서는 상기 d)단계에서 연산된 상기 개별부하의 비율에 따라 상기 공기의 분배가 이루어지도록 댐퍼의 개도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9. 복수의 실내공간에 공기를 공급하는 제1송풍기;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제1부하를 고정된 값으로 설정하기 위한 제1부하설정부;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 각각의 실내환경에 따라 가변되는 제2부하를 측정하기 위한 부하측정부;
    상기 제1부하와 제2부하에 기초한 복수의 실내공간 각각의 개별부하와 상기 각각의 개별부하를 합한 전체부하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전체부하에 따라 설정된 제1회전수로 제1송풍기를 가동하고, 상기 전체부하에 대한 상기 개별부하의 비율에 따라 상기 제1송풍기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에 분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회전수에 대한 상기 개별부하의 비율에 따라 연산된 제2회전수로 가동되는 제2송풍기가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마다 구비된 공기조화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측정부는,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의 현재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부와,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의 현재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측정부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부하는, 상기 온도측정부에서 측정된 현재온도와 설정온도의 차이 또는 상기 습도측정부에서 측정된 현재습도와 설정습도의 차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하설정부는,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 각각의 용량에 대한 용량부하와, 상기 제1송풍기에서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까지 연결되는 덕트에 의한 덕트부하 중 하나 이상을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 또는 입력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2. 삭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부하에 대한 상기 개별부하의 비율에 따라 연산된 공기가 상기 복수의 실내공간에 분배되도록 댐퍼의 개도량이 제어되는 분배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70178080A 2017-12-22 2017-12-22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529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080A KR102529427B1 (ko) 2017-12-22 2017-12-22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080A KR102529427B1 (ko) 2017-12-22 2017-12-22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350A KR20190076350A (ko) 2019-07-02
KR102529427B1 true KR102529427B1 (ko) 2023-05-08

Family

ID=67258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8080A KR102529427B1 (ko) 2017-12-22 2017-12-22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94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37699A (zh) * 2021-04-30 2021-07-20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空调器及其控制方法
KR20220165474A (ko) 2021-06-08 2022-12-15 이희두 버추얼리티(vr) 기반의 모바일 커머스 토탈 서비스 플랫폼
KR20220166111A (ko) 2021-06-09 2022-12-16 이희두 버추얼리티(vr) 기반의 전통시장 모바일 커머스 서비스 플랫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0425A (ja) 2008-01-30 2009-08-13 Takasago Thermal Eng Co Ltd 床吹出し空調方法および空調システム
JP2010242995A (ja) * 2009-04-02 2010-10-28 Daikin Ind Ltd 空調システム
KR101271588B1 (ko) 2012-03-05 2013-06-11 이호진 공기열 멀티 항온항습기
KR101304421B1 (ko) * 2011-03-18 2013-09-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실내의 환기량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0507B2 (ja) * 1991-07-15 2001-05-28 東プレ株式会社 空気調和設備
JP2661444B2 (ja) * 1991-12-19 1997-10-08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H0674545A (ja) * 1992-08-25 1994-03-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可変風量空気調和装置
KR101128574B1 (ko) * 2009-11-30 2012-03-23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실내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0425A (ja) 2008-01-30 2009-08-13 Takasago Thermal Eng Co Ltd 床吹出し空調方法および空調システム
JP2010242995A (ja) * 2009-04-02 2010-10-28 Daikin Ind Ltd 空調システム
KR101304421B1 (ko) * 2011-03-18 2013-09-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실내의 환기량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71588B1 (ko) 2012-03-05 2013-06-11 이호진 공기열 멀티 항온항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350A (ko) 201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77174B2 (ja) ダクト式空気調和システム
JP5404777B2 (ja) 空気調和装置
US8364318B2 (en) Demand control ventilation with fan speed control
JP5185319B2 (ja) サーバ室管理用の空調システムおよび空調制御方法
US20050155367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relative duct sizes by zone in an hvac system
KR102529427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JP6951072B2 (ja) 空調システム用の制御装置、空調システム
KR20060101863A (ko) Hvac 시스템에서의 단일 통합 습도 및 환기 제어
JP7058352B2 (ja) 空気調節機器の制御方法、制御装置、空気調節機器及び記憶媒体
US6089464A (en) Thermal dynamic balancer
CA3108793A1 (en) Air-conditioning system and air-conditioning system controller
JP6985794B2 (ja) 空調システム用の制御装置、空調システム
KR20140056851A (ko)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JP6842809B2 (ja) 空調システム
JP2005133979A (ja) 恒温恒湿空気調和システム
JPH0763404A (ja) 空気調和機
EP3967944B1 (en) Outside air treatment device and air conditioning system
KR102104054B1 (ko) 실내 상황에 적응하여 풍량 조절하는 공조 시스템
AU2020258187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JP2884705B2 (ja) 空気調和装置
JP6759093B2 (ja) 空調システム用の制御装置、空調システム
JPH11101486A (ja) 恒温恒湿空調制御システム
JP2011185559A (ja) 空気調和装置および空気調和装置の制御方法
JP2661274B2 (ja) 空気調和機
JP2536234B2 (ja) 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